KR102099598B1 -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598B1
KR102099598B1 KR1020180171545A KR20180171545A KR102099598B1 KR 102099598 B1 KR102099598 B1 KR 102099598B1 KR 1020180171545 A KR1020180171545 A KR 1020180171545A KR 20180171545 A KR20180171545 A KR 20180171545A KR 102099598 B1 KR102099598 B1 KR 102099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lant
nuclear power
initial event
safety functio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원
김형진
Original Assignee
비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1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입력부 및 데이터베이스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장치를 이용하여, 원자력 발전소의 검사 대상을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초기 사건 리스트에서 초기 사건을 설정하는 단계(S100); 상기 제어부가, 상기 초기 사건에 대응되는 사건 트리에서 최소의 안전 기능을 수행하는 최단 성공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S200);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최단 성공 경로에 수반되는 안전 기능에 관련된 검사 대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장치 및 방법{INSPECTION TARGET EXTRACTION DEVICE AND METHOD IN NUCLEAR POWER PLANT}
본 발명은 검사 대상 추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자력 발전소의 사고에 관련된 검사 대상을 추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의 가동시 안전성 유지 확인을 위하여 원자력 발전소의 정기적인 검사가 요구된다. 원자력 발전소를 구성하는 각종 장치의 검사는,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을 위해 정기적으로 또는 사고(accident) 발생시 수행될 수 있다.
그런데 원자력 발전소를 구성하는 각종 장치의 종류 및 부품은 매우 다양하며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원자력 발전소의 각종 장치를 순차적으로 일괄 검사하기 위하여 상당한 시간과 인력이 소요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원자력 발전소의 모든 장치를 순차적으로 검사하는 경우,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 운영에 매우 민감하게 영향을 미치는 장치의 검사가 소홀하게 실시될 우려가 있으며, 이는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원자력 발전소의 각종 장치에 대한 검사에,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 평가인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 결과를 활용한 검사(inspection)가 이용될 수 있다. 특히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의 결과인 리스크 정보를 활용여 초기 사건, 사고 경위, 그리고 기본 사건들과 관련하여 높은 중요도를 가지는 기기 및 계통에 우선적으로 검사가 실시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KR 10-1065354 B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생될 수 있는 초기 사건에 대응하여 우선적으로 검사되어야 할 검사 대상을 추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an aspect)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입력부 및 데이터베이스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장치를 이용하여, 원자력 발전소의 검사 대상을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초기 사건 리스트에서 초기 사건을 설정하는 단계(S100); 상기 제어부가, 상기 초기 사건에 대응되는 사건 트리에서 최소의 안전 기능을 수행하는 최단 성공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S200);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최단 성공 경로에 수반되는 안전 기능에 관련된 검사 대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장치 및 방법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생될 수 있는 초기 사건에 대응하여 우선적으로 검사되어야 할 검사 대상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초기 사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사건 트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연결선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성공 경로 확보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은, 실패 경로 차단에 관한 도면이다.
도 7은, 안전 기능의 성공 기준과 최소 단절 집합의 교차 검토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시퀀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초기 사건 설정 단계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장치(1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장치(100)는,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시스템”, “원자력 발전소 검사 순위 추출 장치”, 또는 “원자력 발전소 검사 순위 추출 시스템”이라 칭할 수 있다.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user) 또는 작업자(operator)로부터 입력(input)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작업자로부터 획득된 입력은,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의 추출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장치(100)는, 통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외부 기관(900)과 통신할 수 있다. 외부 기관(900)은, 예를 들어, “원자력 발전소”일 수 있다. 외부 기관(900)은, 예를 들어,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부(operating department)일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외부 기관(900)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외부 기관(900)과 제1 신호(S1)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신호(S1)는, 외부 기관(900)에서 통신부(120)에 전달될 수 있다. 외부 기관(900)에서 통신부(120)에 전달되는 제1 신호(S1)는, 예를 들어,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장치(100)의 작동 명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신호(S2)는, 통신부(120)에서 외부 기관(900)에 전달될 수 있다. 통신부(120)에서 외부 기관(900)에 전달되는 제2 신호(S2)는, 예를 들어, 원자력 발전소를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검사 대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기관(900)의 운영부는,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외부 기관(900)을 점검할 수 있다.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30)는, 데이터(data)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원자력 발전소를 구성하는 각 요소의 상태, 기능, 계통, 그리고 사고율(accident rate)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예를 들어,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의 추출 과정 또는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포함하면, 디스플레이부(140)는 입력부(11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장치(100)는,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PCB(printed circuit board), 컴퓨터(computer), 프로세서(processor), 논리 연산 장치, 그리고 서버(server)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데이터베이스부(130),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10)가 획득한 입력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20)로부터 제1 신호(S1)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 정보와 제1 신호(S1)에 기초하여,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추출된 검사 대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S2)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20)에 제2 신호(S2)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제2 신호(S2)를 외부 기관(900)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데이터베이스부(130)에 데이터를 저장시키거나, 데이터베이스부(13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40)에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초기 사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초기 사건 리스트(200)는 디스플레이부(140, 도 1 참조)에 표시될 수 있다. 초기 사건 리스트(200)는, 복수 개의 초기 사건의 그룹을 의미할 수 있다. 초기 사건(initial event)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사고(accident)를 의미할 수 있다. 초기 사건 리스트(200)는,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사고 중에서 즉각적인 대응을 요구하는 사건의 그룹을 의미할 수 있다.
초기 사건 리스트(200)는, 예를 들어 제1 초기 사건(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초기 사건(210)은, “발전소 정전 사고(Station Black Out)”일 수 있다. 초기 사건 리스트(200)는, 예를 들어 제2 초기 사건(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초기 사건(220)은, “증기 발생기 세관 파단 사고(Steam Generator Tube Rupture)”일 수 있다.
입력부(110, 도 1 참조)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로부터, 초기 사건의 선택을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 도 1 참조)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40, 도 1 참조)는, 터치 입력을 통해, 초기 사건의 선택을 획득할 수 있다.
초기 사건의 선택은, 입력부(110, 도 1 참조)에 의한 수행 외에, 통신부(120, 도 1 참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통신부(120, 도 1 참조)가 외부 기관(900, 도 1 참조)으로부터 획득한 제1 신호(S1, 도 1 참조)는, 초기 사건의 선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초기 사건의 선택은, 제어부(150, 도 1 참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신호(S1)는, 외부 기관(900, 도 1 참조)에 구비된 각종 센서로부터 외부 기관(900, 도 1 참조)의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 도 1 참조)가 통신부(120, 도 1 참조)를 통해 외부 기관(900, 도 1 참조)의 상태를 포함하는 제1 신호(S1, 도 1 참조)를 수신하면, 제어부(150, 도 1 참조)는 제1 신호(S1, 도 1 참조)에 기초하여 대응하여야 할 초기 사건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사건 트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건 트리(300)는, 디스플레이부(140, 도 1 참조)에 표시될 수 있다. 사건 트리(300)는, 일 초기 사건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개입되는 안전 기능들(320)의 성공 또는 실패에 따라 서로 다른 사고 경위를 나타내는 그래프(graph)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사건 트리(300)는, 초기 사건(310)에서부터 전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사고 경위를 표시할 수 있다. 사건 트리(300)에서 초기 사건(310)은, 예를 들어, 제1 초기 사건(210, 도 2 참조)일 수 있다. 안전 기능들(320)은, 초기 사건(310)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초기 사건(310)을 안전하게 완화시킬 목적으로 개입되는 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안전 기능들(320)은, “복수 개의 안전 기능”이라 칭할 수 있다.
초기 사건(310)이후에, “원자로 정지” 신호가 바로 발생될 수 있다. “원자로 정지”는 “RT(Reactor Trip)”로 표시될 수 있다. “원자로 정지” 신호는 복수 개의 안전 기능(320)의 실시로 이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안전 기능(320)은, 초기 사건(31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안전 기능(320)은, 제1 안전 기능(3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전 기능(321)은, “터빈 구동 보조 급수 펌프를 이용한 보조 급수 공급”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1 안전 기능(321)은, “ATF(Deliver Auxiliary Feedwater Using Turbine Driven Pumps)”일 수 있다. 제1 안전 기능(321)은, “”로 표시될 수 있다. 제1 안전 기능(321)은, 증기발생기 2대 중 적어도 1대에 대하여, 각 증기발생기에 연결된 터빈 구동 보조 급수 펌프 1대를 이용하여 복수저장탱크의 물을 공급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안전 기능(320)은, 제2 안전 기능(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안전 기능(322)은, “대기 덤프 밸브를 통한 증기 제거”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2 안전 기능(322)은, “SR1(Steam Removal via Atmospheric Dump Valve)”일 수 있다. 제2 안전 기능(322)은, “”로 표시될 수 있다. 제2 안전 기능(322)은, 급수가 되는 증기발생기에 연결된 대기 덤프 밸브 2개 중 적어도 1개 이상이 개방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안전 기능(320)은, 제3 안전 기능(3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안전 기능(323)은, “후기 소외 전원 복구”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3 안전 기능(323)은, “RACL(Restore AC Power Late)”일 수 있다. 제3 안전 기능(323)은, “RACL”로 표시될 수 있다. 제3 안전 기능(323)은, 대기 덤프 밸브를 통해 증기 방출이 가능한 경우, 사고 발생 이후 11시간 이내에 소외 전원이 복구되어 스위치 기어 중에서 적어도 1개에 전력이 공급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3 안전 기능(323)은, 주 증기 안전 밸브를 통한 증기 방출이 가능한 경우, 사고 발생 이후 7시간 이내에 소외 전원이 복구되어 스위치 기어 중에서 적어도 1개에 전력이 공급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안전 기능(320)은, 제4 안전 기능(3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안전 기능(324)은, “정지 냉각 운전”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4 안전 기능(324)은, “DC(Establish Shutdown Cooling)”일 수 있다. 제4 안전 기능(324)은, “”로 표시될 수 있다. 제4 안전 기능(324)은, 2개의 정지 냉각 트레인 중 적어도 1개 트레인이 운전 가능하여, 정지 냉각 유로가 확보되거나 정지 냉각 계통 열교환기로 기기 냉각수가 공급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안전 기능(320)은, 제5 안전 기능(3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안전 기능(325)은, “초기 소외 전원 회복”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4 안전 기능(324)은, “RACE(Restore AC power Early)”일 수 있다. 제5 안전 기능(325)은, “”로 표시될 수 있다. 제5 안전 기능(325)은, 소외 전원이 1시간 이내에 복구되어 2개의 스위치 기어 중 적어도 1개의 스위치 기어에 전력이 공급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안전 기능(320)은, “모터 구동 보조 급수 펌프를 이용한 보조 급수 공급”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안전 기능은, “Auxiliary Feedwater Using MDPs”일 수 있다. 이 안전 기능은, 2대의 증기 발생기 중 적어도 1개의 증기 발생기에 연결된 모터 구동 보조 급수 펌프를 이용하여 복수저장탱크에 물을 공급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안전 기능(320)은, “주 증기 안전 밸브를 통한 증기 제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안전 기능은, “Steam Removal via MSSVs”일 수 있다. 이 안전 기능은, 급수가 이루어지는 증기발생기에 연결된 복수 개의 주 증기 안전 밸브 중 적어도 1개를 이용하여 증기를 제거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안전 기능(320)은, “이차측 열 제거 유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안전 기능은, “Secondary Hear Removal”일 수 있다. 이 안전 기능은, 각 증기발생기에 연결된 모터 구동 보조 급수 펌프를 이용하여 증기발생기에 물을 공급하고, 보조 급수 펌프의 급수원을 복수저장탱크에서 순수저장탱크로 전환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안전 기능(320)은, “원자로 냉각제 방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안전 기능은, “RCS)”일 수 있다. 이 안전 기능은, 안전 감압 계통 방출관이 개방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안전 기능(320)은, “고압 안전 주입”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안전 기능은, “HPI(HPSIS Injection)”일 수 있다. 이 안전 기능은, 고압 안전 주입 펌프를 이용하여 원자로 냉각재 계통 저온관으로 재장전수가 공급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안전 기능(320)은, “고압 안전 주입 계통 재순환”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안전 기능은, “Recirculation)”일 수 있다. 이 안전 기능은, 고압 안전 주입 펌프를 이용하여 격납 건물 집수조의 재순환수가 원자로 냉각재 계통 저온관으로 공급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안전 기능(320)은, 재순환수 냉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안전 기능은, “cooling)”일 수 있다. 이 안전 기능은, 격납 건물 살수 펌프를 이용하여 격납 건물 집수조의 재순환수가 격납 건물 살수 열교환기를 통해 살수 헤더로 공급되어 격납 건물 살수 열교환기가 냉각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안전 기능(320)은, “정지 냉각으로의 전환”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안전 기능은, “to Shutdown Cooling)”일 수 있다. 이 안전 기능은, 안전 감압 계통의 방출관이 격리되고 정지 냉각 유로가 확보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사건 트리(300)는, 연결선(34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선(340)은, 시작점(370)에서 최종 사건(380)까지 이어질 수 있다. 시작점(370)은, 초기 사건(310)에 대응될 수 있다. 시작점(370)에서 시작된 연결선(340)은, 복수 개의 안전 기능(320)의 성공과 실패에 따라 상하(上下)로 각각 분기되어 표시될 수 있다.
최종 사건(380)은, 초기 사건(310)에서 시작되어 복수 개의 안전 기능(320)을 거친 이후 최종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최종 사건(380)의 특성은, 순번(331), 상태(333), 그리고 발생 빈도(335)를 포함할 수 있다. 최종 사건(38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최종 사건(380)은, 제1 최종 사건(381)과 제2 최종 사건(38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최종 사건(380)은, 순번(331)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최종 사건(381)의 순번은 “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최종 사건(382)의 순번(331)은, “”일 수 있다. 최종 사건(380)은, 상태(333)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최종 사건(381)의 상태(333)는, “정상 상태” 또는 “복구 완료 상태”일 수 있다. 도 3에서 “정상 상태”는, “OK”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최종 사건(382)의 상태(333)는, “복구 불능 상태” 또는 “노심 손상(core damage) 상태”일 수 있다. 도 3에서 “노심 손상 상태”는, “CD”로 표시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최종 사건(380)은, 발생 빈도(335)를 가질 수 있다. 발생 빈도(335)는, 노심 손상 상태인 경우 사건 트리(300)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최종 사건(382)의 발생 빈도(335)는, 8.915E-07 일 수 있다. 제2 최종 사건(382)의 발생 빈도(335)는, 제2 최종 사건(382)이 발생될 확률(probability)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안전 기능(320)의 성공과 실패의 경우에 따라 분기되는 연결선(340)은, 최종적으로 최종 사건(380)에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사건(310)에서 시작된 연결선(340)은, 제1 안전 기능(321)의 성공, 제2안전 기능(322)의 성공, 제3 안전 기능(323)의 성공, 그리고 제4 안전 기능(324)의 성공을 거쳐 제1 최종 사건(381)에 이어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초기 사건(310)에서 시작된 연결선(340)은, 제1 안전 기능(321)의 성공, 제2 안전 기능(322)의 성공, 그리고 제3 안전 기능(323)의 실패를 거쳐 제2 최종 사건(382)에 이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최종 사건(380) 중에서 하나의 최종 사건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최종 사건(382)이 선택될 수 있다. 최종 사건의 선택은, 입력부(110, 도 1 참조)에 의해 수행되거나 통신부(120, 도 1 참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연결선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선(340)은, 시작점(370)을 포함할 수 있다. 시작점(370)은, 예를 들어, 초기 사건(310)에 대응될 수 있다. 초기 사건(310)은, 예를 들어 제1 초기 사건(210)일 수 있다. 연결선(340)은, 수평선(341)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선(341)은, 안전 기능(320)의 진행을 표시할 수 있다.
연결선(340)은, 성공 스텝(350)과 실패 스텝(360)을 포함할 수 있다. 시작점(370)에서 시작된 연결선(340)은, 성공 스텝(350)과 실패 스텝(360)에 따라 양 갈래로 분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점(370)에서 시작된 연결선(340)은 제1 안전 기능(321)의 실행 결과에 따라 제1 성공 스텝(351)과 제1 실패 스텝(361)에 따라 분기될 수 있다.
제1 안전 기능(321)의 실행 결과가 실패인 경우, 시작점(370)에서 시작된 연결선(340)은, 제1 실패 스텝(361)을 따라 분기된 이후 수평선(341)에 이어질 수 있다. 제1 안전 기능(321)의 수행이 실패된 경우, 제5 안전 기능(325)이 실행될 수 있다.
제1 안전 기능(321)의 실행 결과가 성공인 경우, 시작점(370)에서 시작된 연결선(340)은, 제1 성공 스텝(351)을 따라 분기된 이후 수평선(341)에 이어질 수 있다. 제1 안전 기능(321)이 성공적으로 실행된 이후, 제2 안전 기능(322)이 실행될 수 있다.
제2 안전 기능(322)의 실행 결과가 성공인 경우, 연결선(340)은, 제2 성공 스텝(352)을 따라 분기된 이후 수평선(341)에 이어질 수 있다. 제2 안전 기능(322)이 성공적으로 실행된 이후, 제3 안전 기능(323)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제2 안전 기능(322)의 실행 결과가 실패인 경우, 연결선(340)은, 제2 실패 스텝(362)을 따라 분기된 이후 수평선(341)에 이어질 수 있다.
제3 안전 기능(323)의 실행 결과가 실패인 경우, 연결선(340)은, 제3 실패 스텝(363)을 따라 분기된 이후 수평선(341)을 따라 제2 최종 사건(382)에 이어질 수 있다. 즉, 제2 최종 사건(382)은, 초기 사건(310)에서 시작하여, 제1 안전 기능(321)의 성공, 제2 안전 기능(322)의 성공, 그리고 제3 안전 기능(323)의 실패에 기인할 수 있다.
제3 안전 기능(323)의 실행 결과가 성공인 경우, 연결선(340)은, 제3 성공 스텝(353)을 따라 분기된 이후 수평선(341)에 이어질 수 있다. 제3 안전 기능(323)의 실행이 성공한 이후, 제4 안전 기능(324)이 실행될 수 있다. 제4 안전 기능(323)의 실행 결과가 성공인 경우, 연결선(340)은 제4 성공 스텝(354)을 따라 분기된 이후 수평선(341)을 따라 제1 최종 사건(381)에 이어질 수 있다. 즉, 제1 최종 사건(381)은, 초기 사건(310)에서 시작하여, 제1 안전 기능(321)의 성공, 제2 안전 기능(322)의 성공, 제3 안전 기능(323)의 성공, 그리고 제4 안전 기능(324)의 성공에 기인할 수 있다.
최종 사건(380)의 상태(333)는, 최종 사건(380)의 중간 과정을 구성하는 안전 기능(320) 중 마지막 안전 기능(320)의 성공과 실패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최종 사건(381)의 중간 과정을 구성하는 안전 기능(320) 중 마지막 안전 기능(320)은, 제4 안전 기능(324)일 수 있다. 제1 최종 사건(381)의 직전 단계인 제4 안전 기능(324)의 실행 결과가 성공인 사실에 기인하여, 제1 최종 사건(381)의 상태(333)는 “정상 상태(OK)”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최종 사건(382)의 중간 과정을 구성하는 안전 기능(320) 중 마지막 안전 기능(320)은, 제3 안전 기능(323)일 수 있다. 제2 최종 사건(382)의 직전 단계인 제3 안전 기능(323)의 실행 결과가 실패인 사실에 기인하여, 제2 최종 사건(382)의 상태(333)는, “노심 손상 상태(CD)”일 수 있다.
시작점(370)에서 중간 과정을 거쳐 최종 사건(380)까지 이르는 경로(400)가 고려될 수 있다. 경로(400)는, 성공 경로(410)와 실패 경로(420)를 포함할 수 있다. 최종 사건(380)의 상태가 “정상 상태(OK)”인 경우, 경로(400)는 성공 경로(410)일 수 있다. 최종 사건(380)의 상태가 “노심 손상 상태(CD)”인 경우, 경로(400)는 실패 경로(42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점(370)에서 중간 과정을 거쳐 제1 최종 사건(381)까지 경로(400)는, 성공 경로(410)로서 제1 성공 경로(411)라 할 수 있다. 도 4에서 제1 성공 경로(411)는, 일점 쇄선(dot-and-dash line)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시작점(370)에서 중간 과정을 거쳐 제2 최종 사건(382)까지 경로는, 실패 경로(420)로서 제2 실패 경로(422)라 칭할 수 있다. 도 4에서 제2 실패 경로(422)는, 점선(dotted line)으로 표시될 수 있다.
초기 사건(310)의 대응에 있어서, 성공 경로(410)의 확보는 중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성공 경로(411)가 확보되면, 제1 초기 사건(210)이 제1 최종 사건(381)으로 이어져 “정상 상태(OK)”에 이를 수 있다. 특히 제1 성공 경로(411)는, 가장 짧은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최종 사건(381)에 이르는 제1 성공 경로(411)는, 4개의 안전 기능(320)을 요구할 수 있다. 제1 성공 경로(411)에서 요구되는 4개의 안전 기능(320)은, 제1 안전 기능(321), 제2 안전 기능(322), 제3 안전 기능(323), 그리고 제4 안전 기능(324)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제1 성공 경로(411) 이외의 성공 경로(410)는, 4개를 초과하는 안전 기능(320)을 요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소의 안전 기능(320)을 요구하는 성공 경로인 제1 성공 경로(411)는, “최단 성공 경로”라 칭할 수 있다. 최단 성공 경로에 대응되는 안전 기능(320)의 확보는, 최단 성공 경로의 확보로 이어질 수 있다. 최단 성공 경로의 확보는, 초기 사건(310)으로 인한 원자력 발전소의 오작동(malfunction) 또는 고장(accident)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데 있어서 지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성공 경로(411)의 확보를 위하여, 제1 안전 기능(321), 제2 안전 기능(322), 제3 안전 기능(323), 그리고 제4 안전 기능(324)에 관련된 구성을 우선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도 5는, 성공 경로 확보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건 트리(300)는, 디스플레이부(140, 도 1 참조)에 표시될 수 있다. 최단 성공 경로의 확보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제1 안전 기능(321)의 특성에 관하여 살펴볼 수 있다.
최단 성공 경로(411)는, 제1 안전 기능(321)의 성공을 수반할 수 있다. 따라서 최단 성공 경로(411)의 확보를 위하여, 제1 안전 기능(321)의 성공 기준이 만족될 필요가 있다. 제1 안전 기능(321)의 성공은, 사건 트리(300)에서, 제1 성공 스텝(351) 또는 상기 제1 성공 스텝(351)에 연결된 수평선(341, 도 4 참조)으로 표시될 수 있다.
입력부(110, 도 1 참조)가 제1 성공 스텝(351) 또는 상기 제1 성공 스텝(351)에 연결된 수평선(341, 도 4 참조)에 대응된 입력을 획득하면, 디스플레이부(140, 도 1 참조)는 제1 안전 기능(321)의 성공 기준(710)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성공 스텝(351) 또는 상기 제1 성공 스텝(351)에 연결된 수평선(341, 도 4 참조)에 대응된 입력은, 사건 트리(300)에서 제1 성공 스텝(351) 또는 상기 제1 성공 스텝(351)에 연결된 수평선(341, 도 4 참조)에 대응된 터치(touch) 또는 클릭(click)일 수 있다. 제어부(150, 도 1 참조)는, 데이터베이스부(130, 도 1 참조)로부터 성공 기준(710)을 추출할 수 있다.
제1 안전 기능(321)의 성공 기준(710)은, 예를 들어, 제1 안전 기능(321)의 성공 요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전 기능(321)의 성공 기준(710)은, “터빈 구동 펌프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증기발생기(steam generator)에 CST(condensate storage tank) 용수를 제공하기”일 수 있다. 한편, 제1 안전 기능(321)의 성공 기준(10)은, 제1 안전 기능(321)의 성공을 위하여 필요한 구성 요소의 작동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실패 경로 차단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성공 경로(410)의 확보는, 실패 경로(420)의 차단과 관련될 수 있다. 즉 성공 경로(410)의 확보를 위하여, 실패 경로(420)가 차단될 필요성이 발생될 수 있다.
최단 성공 경로(411)는, 제1 안전 기능(321)의 실패 차단을 수반할 수 있다. 따라서 최단 성공 경로(411)의 확보를 위하여, 제1 안전 기능(321)이 작동하지 못하는 원인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안전 기능(320)이 작동하는 못하는 원인들의 집합은, “최소 단절 집합” 또는 “MCS(Minimal Cut Set)”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안전 기능(321)의 실패는, 사건 트리(300)에서, 제1 실패 스텝(361) 또는 상기 제1 실패 스텝(361)에 연결된 수평선(341, 도 4 참조)으로 표시될 수 있다. 입력부(110, 도 1 참조)가 제1 실패 스텝(361) 또는 상기 제1 실패 스텝(361)에 연결된 수평선(341, 도 4 참조)에 대응된 입력을 획득하면, 디스플레이부(140, 도 1 참조)는 제1 안전 기능(321)의 최소 단절 집합(720)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50, 도 1 참조)는, 최소 단절 집합(720)을 데이터베이스부(13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제1 실패 스텝(361) 또는 상기 제1 실패 스텝(361)에 연결된 수평선(341, 도 4 참조)에 대응된 입력은, 사건 트리(300)에서 제1 실패 스텝(361) 또는 상기 제1 실패 스텝(361)에 연결된 수평선(341, 도 4 참조)에 대응된 터치(touch) 또는 클릭(click)일 수 있다.
제1 안전 기능(321)의 최소 단절 집합(720)은, 예를 들어, 제1 안전 기능(321)의 실패 요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전 기능(321)의 최소 단절 집합(720)은, “공통 원인 고장(CCF, Common Cause Failure)에 의한 터빈 구동 펌프(TDP) 요구 실패” 또는 “터빈 구동 펌프(TDP)의 구동 실패”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전 기능(321)의 최소 단절 집합(720)은, 제1 안전 기능(321)의 실패를 차단하기 위하여, 고려될 수 있다.
도 7은, 안전 기능의 성공 기준과 최소 단절 집합의 교차 검토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안전 기능(321)의 성공 기준(710, 도 5 참조)과 최소 단절 집합(720)이 교차 검토된 결과가 디스플레이부(140, 도 1 참조)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안전 기능(321)의 성공 기준(710, 도 5 참조)과 최소 단절 집합(720)이 교차 검토된 결과는, 검사 대상(500)과 추출된 단절 요소 그룹(600)을 포함할 수 있다.
검사 대상(500)은, 제1 안전 기능(321)의 성공 기준(710, 도 5 참조)으로부터 추출되되 최소 단절 집합(720, 도 6 참조)에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 대상(500)은, 제1 검사 대상(510), 제2 검사 대상(520), 제3 검사 대상(530), 그리고 제4 검사 대상(5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검사 대상(510)은 제3 검사 대상(530)에 관련될 수 있다. 제2 검사 대상(520)은 제4 검사 대상(540)에 관련될 수 있다. 제3 검사 대상(530)과 제4 검사 대상(540)은, 추출된 단절 요소 그룹(600)에 관련될 수 있다.
추출된 단절 요소 그룹(600)은, 최소 단절 집합(720, 도 6 참조)로부터 추출되되 성공 기준(710, 도 5 참조)에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된 단절 요소 그룹(600)은, 제1 단절 요소(610)와 제2 단절 요소(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절 요소(610)와 제2 단절 요소(620)는, 제3 검사 대상(530)과 제4 검사 대상(540)에 관련될 수 있다.
도 4 내지 7을 참조하면, 최단 성공 경로(411)의 확보를 위하여, 최단 성공 경로(411)의 확보 및 실패 경로(420)의 차단이 요구될 수 있다.
제1 안전 기능(321)에 관한 최단 성공 경로(411)의 확보에 있어서, 성공 기준(710)이 요구될 수 있다. 또한 제1 안전 기능에 관한 실패 경로(420)의 차단에 있어서, 최소 단절 집합(720)의 분석이 요구될 수 있다.
제1 안전 기능(321)에 관한 최단 성공 경로(411)의 확보에 있어서, 성공 기준(710)에 관련된 검사 대상(500)은, 최소 단절 집합(720)과 교차되어 분석될 수 있다. 제어부(150, 도 1 참조)는, 성공 기준(710)에 관련된 검사 대상(500)과 최소 단절 집합(720)을 교차하여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 도 1 참조)는, 추출된 단절 요소 그룹(600) 및 검사 대상(500)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50, 도 1 참조)에 의해 추출된 검사 대상(500)은, 제1 안전 기능(321)과 관련하여 우선적으로 고려될 검사 대상(500)일 수 있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제1 신호(S1)를 통신부(12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제1 신호(S1)는, 초기 사건(310)의 선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S1)가 초기 사건(310)의 선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선택된 초기 사건(310)에 관한 사건 트리(300)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신호(S1)는, 초기 사건(310)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초기 사건(310)에 관련된 정보는, 원자력 발전소(900)의 오작동 또는 고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신호(S1)에 기초하여 초기 사건(310)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S1)가 원자력 발전소(900)의 정전(Black Out)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제1 신호(S1)에 기초하여 제1 초기 사건(210)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선택된 초기 사건(310)에 관한 사건 트리(300)를 생성할 수 있다.
초기 사건(310)의 선택은, 초기 사건(310)의 선택에 관한 제1 신호(S1)가 없는 경우, 입력부(110)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즉 수동 모드에서, 초기 사건(310)은,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또는 작업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된 초기 사건(310)에 관한 사건 트리(300)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선택된 초기 사건(310)에 관한 사건 트리(300)에서 최단 성공 경로(411)를 추출할 수 있다. 최단 성공 경로(411)는, 성공 경로(410) 중에서 최소의 안전 기능(320)을 요구하는 성공 경로(410)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최단 성공 경로(411)에서 요구되는 안전 기능(320)에 관한 성공 기준(710)과 최소 단절 집합(720)을, 데이터베이스부(130)에서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30)는, 각 안전 기능(320)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최단 성공 경로(411)에서 요구되는 안전 기능(320)에 관한 성공 기준(710)과 최소 단절 집합(720)을 교차하여 분석함으로써, 단절 요소 그룹(600) 및 검사 대상(500)을 데이터베이스부(130)에서 추출할 수 있다. 도 7에서 제1 안전 기능(321)에 관한 단절 요소 그룹(600)과 검사 대상(500)이 추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최단 성공 경로(411)에서 요구되는 안전 기능(320)인 제1 내지 제4 안전 기능(321, 322, 323, 324)에 관한 단절 요소 그룹(600)과 검사 대상(500)이 각각 데이터베이스부(130)에서 추출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되는 각 안전 기능(320) 및/또는 검사 대상(500)에 관련된 정보는, 갱신(更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제1 신호(S1)에 포함된 갱신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부(130)를 업데이트(update)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검사 대상(500) 또는/및 단절 요소 그룹(60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S2)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2 신호(S2)를,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 기관(9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시퀀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시퀀스(450)는 디스플레이부(140)에서 표시될 수 있다. 시퀀스(450)는, 초기 사건(310, 도 3 참조)에서 최종 사건(380, 도 3 참조)에 이르기까지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퀀스(450)는, 초기 사건(310)에서 제2 최종 사건(382)에 이르기까지 과정을 나타낼 수 있다.
시퀀스(450)는, 안전 기능(320, 도 3 참조)과 안전 기능(320, 도 3 참조)의 분기(39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기능(320, 도 3 참조)의 분기(390)는, 성공(391) 및 실패(392)를 포함할 수 있다. 성공(391)은, 디스플레이부(140, 도 1 참조)에서 “성공”으로 표시될 수 있다. 실패(392)는, 디스플레이부(140, 도 1 참조)에서 “실패”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초기 사건(210, 도 2 참조)에 따른 초기 사건(310)에 대응하기 위하여 제1 안전 기능(321)이 실행될 수 있다. 제1 안전 기능(321)의 실행 결과는, 성공(391)일 수 있다. 제1 안전 기능(321)의 실행 이후에, 제2 안전 기능(322)이 실행될 수 있다. 제2 안전 기능(322)의 실행 결과는, 성공(391)일 수 있다. 제2 안전 기능(322)의 실행 이후에, 제3 안전 기능(323)이 실행될 수 있다. 제3 안전 기능(323)의 실행 결과는, 실패(392)일 수 있다. 제3 안전 기능(323)의 실행 실패(392)는, 제2 최종 사건(382)에 이어질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시퀀스(450)로부터, 초기 사건(310)에서 최종 사건(380, 도 3 참조)에 이어지는 과정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입력부(110, 도 1 참조)는, 디스플레이부(140, 도 1 참조)에서 제1 안전 기능(321)에 대응된 영역에 대한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 도 1 참조)는, 디스플레이부(140, 도 1 참조)에서 제1 안전 기능(321)에 대응된 영역에 대한 터치(touch) 또는 마우스(mouse)의 클릭을 통해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입력부(110, 도 1 참조)가 제1 안전 기능(321)에 대응된 입력을 획득하면, 제어부(150, 도 1 참조)는 제1 안전 기능(321)에 관련된 단절 요소 그룹(600, 도 7 참조)과 검사 대상(500)을 디스플레이부(140, 도 1 참조)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초기 사건 설정 단계(S100)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9 및 10은, 도 1 내지 8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함께 설명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의 실행은 “자동 모드”와 “수동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의 자동 모드에서, 제어부(150)는 우선 순위에 따라 검사 대상(500)을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다.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의 수동 모드에서, 제어부(150)는 사용자(또는 작업자)로부터 입력을 획득하여 검사 대상(500)을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다.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은, 초기 사건 설정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원자력 발전소(900)에서 발생될 수 있는 사고(accident) 중에서 초기 사건(310)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단계(S100)는, 자동 모드와 수동 모드로 구분될 수 있으며, 도 10에서 상세히 기술된다.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은, 사고 경위를 설정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초기 사건(310)으로부터 시작되어 복수 개의 안전 기능(320)을 거쳐 최종 사건(380)에 이르는 연결선(340)을 포함하는 사건 트리(300)를 형성할 수 있다.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의 수동 모드에서, 사고 경위 설정 단계(S200)는, 제어부(150)가 디스플레이부(140)를 이용하여 사건 트리(300)를 전시하는 단계(S210)를 포함할 수 있다.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의 수동 모드에서, 사고 경위 설정 단계(S200)는, 제어부(150)가 입력부(110)를 통해 제2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입력은, 복수 개의 경로(400) 중에서 일 경로(400)를 선택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고 경위 설정 단계(S200)를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의 자동 모드로 실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초기 사건(310)에서 시작된 복수 개의 경로 중에서 최단 성공 경로(411)를 사고 경위로 설정할 수 있다.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은, 제어부(150)가 안전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된 안전 기능(320)은, 설정된 사고 경위 또는 경로(400)에 관여하는 안전 기능(320)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안전 기능(320)은, 제1 성공 경로(411)에 관련하는, 제1 내지 제4 안전 기능(321, 322, 323, 324)을 포함할 수 있다.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의 수동 모드에서, 안전 기능 설정 단계(S300)는, 제어부(150)가 디스플레이부(140)를 이용하여 시퀀스(450)를 전시하는 단계(S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310)에서, 제어부(150)는 설정된 사고 경위에 관련된 안전 기능(320)을 디스플레이부(14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의 수동 모드에서, 안전 기능 설정 단계(S300)는, 제어부(150)가 입력부(110)를 통하여 제3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 단계(S320)에서, 복수 개의 안전 기능(320) 중에서 설정된 사고 경위에 관련된 안전 기능(320)의 선택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안전 기능 설정 단계(S300)를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의 자동 모드로 실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이 단계(S300)에서, 복수 개의 안전 기능(320) 중에서 설정된 사고 경위에 관여하는 안전 기능(320)을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다.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은, 제어부(150)가 검사 대상(500)을 추출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400)는, 교차 분석 단계(S410) 또는/및 검사 대상 전시 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교차 분석 단계(S410)에서, 제어부(150)는, 일 안전 기능(320)에 관한 최소 단절 집합(720)과 성공 기준(710)을 교차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교차 분석을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부(130)로부터, 검사 대상(500)을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검사 대상(500)은, 원자력 발전소(900)에서 초기 사건(310)과 관련하여 우선적으로 검사(inspection)될 장치 또는 부품을 의미할 수 있다.
검사 대상 전시 단계(S420)에서, 제어부(150)는, 추출된 검사 대상(500)을 디스플레이부(140) 상에 전시하는 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420)에서, 제어부(150)는, 검사 대상(500)과 단절 요소 그룹(600)을 디스플레이부(140) 상에 전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검사 대상 추출 단계(S400)를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의 자동 모드로 실행할 수 있다. 이 단계(S400)에서 제어부(150)는, 설정된 안전 기능(320)에 관한 검사 대상을 데이터베이스부(130)에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이 단계(S400)에서, 추출된 검사 대상(50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S2)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 단계(S400)에서, 통신부(120)를 통해, 제2 신호(S2)를 원자력 발전소(900)에 전송할 수 있다. 원자력 발전소(900)는, 제2 신호(S2)로부터 검사 대상(500)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검사 대상(500)에 대한 검사를 우선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원자력 발전소(900)는, 사고 발생시 우선적으로 검사할 대상(장치 또는 부품)을 효과적을 지정하여 검사할 수 있다. 이로써 원자력 발전소(900)의 가동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원자력 발전소(900)의 가동 효율이 높아지면, 원자력 발전소(900)의 운영 정지에 따른 손실이 감소될 수 있으며, 특히 대중(public)에 대한 원자력 발전소의 신뢰가 높아질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초기 사건 설정 단계(S100)는, 제어부(150)가 제1 신호를 획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110)에서, 제어부(150)는 통신부(120)를 통한 제1 신호(S1)의 획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신호(S1)는, 초기 사건(31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가 초기 사건(310)에 관한 제1 신호(S1)를 획득한 경우, 제어부(150)는 자동 모드로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 도 9 참조)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가 초기 사건(310)에 관한 제1 신호(S1)를 획득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50)는 수동 모드로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 도 9 참조)을 실행할 수 있다.
초기 사건 설정 단계(S100)는, 제어부(150)가 제1 신호(S1)에 초기 사건(310)의 선택에 관한 정보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초기 사건 설정 단계(S100)는, 제어부(150)가 복수 개의 초기 사건(200) 중에서 제1 신호(S1)에 포함된 사건을 초기 사건으로 설정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S1)는, 복수 개의 초기 사건(200) 중 원자력 발전소(900)에서 요청하는 초기 사건(200)의 선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S1)는, 제1 초기 사건(210)의 선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신호(S1)에 초기 사건(200)의 선택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이 단계(S130)를 실행할 수 있다. 설정된 초기 사건(200)은, 사건 트리(300)의 초기 사건(310)이 될 수 있다.
초기 사건 설정 단계(S100)는, 제어부(150)가 제1 신호(S1)에 기초하여 초기 사건(200)을 설정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S1)는, 원자력 발전소(900)의 사고(accident)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S1)는, 제1 초기 사건(210)과 관련된 계측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신호(S1)에 포함된 계측 정보를 기초로 제1 초기 사건(210)을 사건 트리(300)의 초기 사건(3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신호(S1)에 초기 사건 선택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이 단계(S140)를 실행할 수 있다.
초기 사건 설정 단계(S100)는, 제어부(150)가 초기 사건 리스트(200)를 디스플레이부(140) 상에 전시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신호(S1)가 제어부(150)에 전달되지 않은 경우, 이 단계(S150)를 실행할 수 있다.
초기 사건 설정 단계(S100)는, 제어부(150)가 입력부(110)를 통해 제1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은, 초기 사건 리스트(200)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은, 복수 개의 초기 사건(200) 중에서 제1 초기 사건(210)을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초기 사건 설정 단계(S100)는, 제어부(150)가 제1 입력에 기초하여 초기 사건을 설정하는 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170)에서, 제어부(150)는, 제1 입력에 대응된 초기 사건(200)을 사건 트리(300)의 초기 사건(3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장치
110: 입력부 120: 통신부
130: 데이터베이스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제어부 200: 초기 사건 리스트
300: 사건 트리 410: 성공 경로
420: 실패 경로 500: 검사 대상

Claims (7)

  1.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입력부 및 데이터베이스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장치를 이용하여, 원자력 발전소의 검사 대상을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초기 사건 리스트에서 초기 사건을 설정하는 단계(S100);
    상기 제어부가, 상기 초기 사건에 대응되는 사건 트리에서 최소의 안전 기능을 수행하는 최단 성공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S200);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최단 성공 경로에 수반되는 안전 기능에 관련된 검사 대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 대상 추출 단계(S400)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최단 성공 경로에 수반되는 안전 기능에 관련된 최소 단절 집합과 성공 기준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최소 단절 집합과 상기 성공 기준을 교차하여 검사 대상을 도출하는 단계(S410)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기 사건 설정 단계(S100)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초기 사건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S150);
    상기 제어부가, 상기 초기 사건 리스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입력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획득하는 단계(S160);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 사건을 설정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장치는,
    외부 기관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관으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초기 사건 설정 단계(S100)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신호에 초기 사건 선택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120);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신호에 상기 초기 사건 선택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초기 사건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 사건을 설정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사건 설정 단계(S100)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신호에 상기 초기 사건 선택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초기 사건을 설정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관은,
    원자력 발전소이며,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원자력 발전소의 사고(accident)에 관련된 계측 정보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대상 추출 단계(S400)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검사 대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관에 전송하는 단계(S430)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방법(S10).
KR1020180171545A 2018-12-28 2018-12-28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장치 및 방법 KR102099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545A KR102099598B1 (ko) 2018-12-28 2018-12-28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545A KR102099598B1 (ko) 2018-12-28 2018-12-28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598B1 true KR102099598B1 (ko) 2020-04-10

Family

ID=70291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545A KR102099598B1 (ko) 2018-12-28 2018-12-28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5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07348A (zh) * 2020-05-22 2021-11-26 华龙国际核电技术有限公司 核电厂安全因素的确定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354B1 (ko) 2009-09-25 2011-09-1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주요 최소단절집합들의 sdp 계산방법을 이용한 대형 안전시설의 계통 고장확률의 계산방법
KR101553892B1 (ko) * 2014-04-30 2015-09-17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 발전소 중대사고 대응 장치 및 방법
KR20160035361A (ko) * 2014-09-23 2016-03-31 전자부품연구원 원전사고 통합 대응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354B1 (ko) 2009-09-25 2011-09-1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주요 최소단절집합들의 sdp 계산방법을 이용한 대형 안전시설의 계통 고장확률의 계산방법
KR101553892B1 (ko) * 2014-04-30 2015-09-17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 발전소 중대사고 대응 장치 및 방법
KR20160035361A (ko) * 2014-09-23 2016-03-31 전자부품연구원 원전사고 통합 대응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07348A (zh) * 2020-05-22 2021-11-26 华龙国际核电技术有限公司 核电厂安全因素的确定方法及装置
CN113707348B (zh) * 2020-05-22 2024-02-27 华龙国际核电技术有限公司 核电厂安全因素的确定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71054A1 (ja) 故障要因優先度提示装置
CN109358893A (zh) 一种fpga程序的在线升级方法、装置及系统
CN109213108B (zh) 一种核电站操纵员运行辅助支持系统以及方法
KR102099598B1 (ko) 원자력 발전소 검사 대상 추출 장치 및 방법
US8713236B2 (en) Maintenance guidance display device, maintenance guidance display method, and maintenance guidance display program
CN109471670A (zh) 设备启动方法及电子设备
CN104344970A (zh) 一种装备系统故障综合诊断方法及装置
Reer et al. The CESA method and its application in a plant-specific pilot study on errors of commission
US10235210B2 (en) Operation management method and operation management apparatus
CN110824369A (zh) 一种卫星放电深度超限诊断与恢复测试方法
Naito et al. A real-time expert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failure diagnosis and operational guide
JP2014059664A (ja) フォールトツリー生成プログラム、方法及び装置
CN114864125A (zh) 核电厂火灾信息的失效处理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US20220342788A1 (en) Anomaly location estimat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Wakefield Application of the human cognitive reliability model and confusion matrix approach in a probabilistic risk assesmeent
CN110286931A (zh) 一种电力终端与电力终端系统
JP2008160981A (ja) 電力系統における事故復旧操作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JP2011154456A (ja) 警報処理装置及び警報処理方法
JPS60147811A (ja) プラントの運転ガイダンスシステム
JP2016065834A (ja) プラントの非常時運転支援装置
JPS58182711A (ja) プラント異常原因推定装置
CN113835976B (zh) 针对互联网数据中心进行告警处理的方法及装置
JP2008217188A (ja) 障害復旧作業支援システム及び障害復旧作業支援方法
JPH01265301A (ja) 装置の異常状態に対する操作ガイド方法
Vesely Utilizing Probabilistic Risk Analyses (Pras) In Decision Support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