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508B1 - 발끝막이판을 포함한 작업대 - Google Patents

발끝막이판을 포함한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508B1
KR102099508B1 KR1020180085781A KR20180085781A KR102099508B1 KR 102099508 B1 KR102099508 B1 KR 102099508B1 KR 1020180085781 A KR1020180085781 A KR 1020180085781A KR 20180085781 A KR20180085781 A KR 20180085781A KR 102099508 B1 KR102099508 B1 KR 102099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ring
coupled
floor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9725A (ko
Inventor
이동락
조정범
선철곤
김희경
문병성
정우섭
이민재
김진수
박민철
문성진
최재호
권순언
김명식
정창모
Original Assignee
(주)해람솔루션
(주)해인금속
주식회사 썬 프레인 코
김희경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람솔루션, (주)해인금속, 주식회사 썬 프레인 코, 김희경,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해람솔루션
Publication of KR20190139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5Toe boar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E04G2007/285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specially adapted for toe boards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재; 저면에는 걸침홈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상기 바닥재에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걸침고리; 상기 걸침고리의 일측에 결합되는 이탈방지고리; 상기 바닥재의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재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와 90도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발끝막이결합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발끝막이결합구에 양단이 결합된 길이방향 발끝막이판과, 상기 바닥재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발끝막이결합구에 양단이 결합된 폭방향 발끝막이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끝막이판을 작업대에 꽂는 방식으로 설치하므로 케이블타이나 철사 등으로 고정 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하여 발끝막이판의 설치 및 분해 작업이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작업대로부터 발끝막이판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작업대와 발끝막이판을 보관하기 위한 적재 시 다른 부품에 의한 간섭을 회피할 수 있어 적재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끝막이판을 포함한 작업대{Platform including toe board}
본 발명은 산업현장 또는 건설현장에서 고소작업을 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작업자의 발 헛디딤이나 공구 낙하 등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발끝막이판을 구비한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 또는 건설현장 등에서 고소 작업을 할 때는 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공간과 이동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비계와 작업대를 설치한다. 최근에는 작업자의 실족, 공구나 자재의 낙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대의 가장자리에 발끝막이 판을 추가로 설치하는 추세이다.
그런데 종래의 발끝막이판은 주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므로 비철 금속으로 제작하는 것에 비해 강도가 약하고, 케이블타이, 철사, 나사 등으로 작업대에 고정되므로 결합력이 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타이, 철사, 나사 등으로 작업대에 고정하는 설치 작업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현장에서는 발끝막이판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도 많은 실정이다.
한편 현장에서는 매우 많은 양의 작업대가 사용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에는 비용절감을 위하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KOSHA)의 안전인증 기준 성능을 최소한으로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가급적 저가의 제품을 구매 또는 임대하여 사용하고 있다.
저가의 작업대는 저가의 철재 소재로 제작된 것이 대부분이고, 안전장치인 이탈방지고리에도 저가의 소재를 사용하거나 안전성이 낮은 간단한 구조를 적용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저가의 철재 작업대는 녹 발생과 점용접부 이탈 문제로 인해 사용 수명이 길지 않으며, 특히 염분이 많은 바닷가 주변의 현장(예, 발전소 등)에서는 사용수명이 2년을 넘기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의 작업대는 잦은 교체로 인해 비용부담이 커지는 것은 물론이고 안전사고의 위험도 큰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작업대는 이탈방지고리의 설치 및 해제작업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불편이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8726호(2012.12.20 공개) 등록특허 제10-1336729호(2013.12.04 공고)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끝막이판을 보다 간편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작업대의 소재를 개선하여 녹 발생 및 점용접부 이탈에 따른 기능저하를 해결함으로써 사용수명을 늘리고 안전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염분이 많은 발전소 등의 현장에서도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수명이 긴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설치 및 해체 작업을 혼자서도 할 수 있고 작업편의성이 우수한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바닥재; 저면에는 걸침홈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상기 바닥재에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걸침고리; 상기 걸침고리의 일측에 결합되는 이탈방지고리; 상기 바닥재의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재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와 90도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발끝막이결합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발끝막이결합구에 양단이 결합된 길이방향 발끝막이판과, 상기 바닥재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발끝막이결합구에 양단이 결합된 폭방향 발끝막이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작업대에서, 상기 발끝막이결합구의 제1 결합부는 판재 형상이고, 제2 결합부의 단부에는 높이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닥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발끝막이결합구는 상기 제1 결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상기 바닥재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발끝막이결합구는 상기 제2 결합부의 결합홈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작업대에서, 상기 바닥재의 네 모서리에는 각각 꽂이부가 설치되고, 상기 꽂이부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바닥재에 삽입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설치되어 잠금기능을 하는 볼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꽂이부의 기둥부가 상기 발끝막이결합구의 상기 본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발끝막이결합구가 상기 바닥재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작업대는, 상기 이탈방지고리와 상기 걸침고리에 결합되어 상기 이탈방지고리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제1 부재와, 상기 이탈방지고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걸침고리에 결합되어 상기 이탈방지고리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제2 부재를 구비하는 이탈방지고리결합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탈방지고리에는 해제위치까지 회전하였을 때 상기 제2 부재에 걸리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고리의 내측면과 외측면에는 각각 해제위치와 정지위치에서 상기 스토퍼돌기가 삽입되는 내측홈과 외측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작업대에서, 상기 바닥재의 최외측 중공부에는 폭방향을 따라 다수의 공간이 형성된 파티션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걸침고리의 연결부를 상기 다수의 공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공간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걸침고리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닥재의 최외측 중공부의 양 측벽, 상기 걸침고리의 연결부 및 상기 파티션부재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파이프 형상의 가이드픽스와, 상기 가이드픽스를 통과하여 상기 걸침고리와 상기 파티션부재를 상기 바닥재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작업대에서, 상기 걸침고리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탈방지고리의 위치를 고정하는 스토퍼돌기; 상기 스토퍼돌기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돌기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장부; 상기 확장부의 일측에서 상기 스토퍼돌기의 반대쪽으로 돌출된 스프링결합부; 상기 스프링결합부에 감기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푸쉬핀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핀조립체는 상기 걸침고리에 형성된 결합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침고리의 타측에 결합된 커버에 의해 상기 걸침고리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스프링결합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바닥재; 저면에는 걸침홈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상기 바닥재에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걸침고리; 상기 걸침고리의 일측에 결합되는 이탈방지고리; 상기 이탈방지고리와 상기 걸침고리에 결합되어 상기 이탈방지고리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제1 부재와, 상기 이탈방지고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걸침고리에 결합되어 상기 이탈방지고리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제2 부재를 구비하는 이탈방지고리결합구; 상기 걸침고리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탈방지고리의 위치를 고정하는 스토퍼돌기를 포함하는 작업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바닥재; 저면에는 걸침홈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상기 바닥재에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걸침고리; 상기 걸침고리의 일측에 결합되는 이탈방지고리; 상기 바닥재의 최외측 중공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폭방향을 따라 다수의 공간이 형성된 파티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침고리의 연결부를 상기 다수의 공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공간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걸침고리의 위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끝막이판을 작업대에 꽂는 방식으로 설치하므로 케이블타이나 철사 등으로 고정 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하여 발끝막이판의 설치 및 분해 작업이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작업대로부터 발끝막이판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작업대와 발끝막이판을 보관하기 위한 적재 시 다른 부품에 의한 간섭을 회피할 수 있어 적재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합금 등의 비철금속을 이용하여 작업대를 제조하므로 녹 발생 및 점용접부 이탈에 의한 작업대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고 사용 수명을 크게 늘릴 수 있다. 특히 바닷가 등 염분이 많은 발전소 등의 작업현장에 적용할 경우 종래 보다 사용 수명을 크게 늘릴 수 있으므로 작업대의 유지보수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안전사고의 위험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작업대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간편하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 1인이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비용절감과 작업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작업대가 비철금속으로 제조되어 경량화됨에 따라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의 사시도, 측면도, 정면도 및 분해사시도
도 5는 바닥재의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이탈방지고리가 잠금위치에 있을 때 걸침고리조립체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 8 및 도 9는 각각 이탈방지고리가 해제위치에 있을 때 걸침고리조립체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 10은 걸침고리와 이탈방지고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걸침고리와 푸쉬핀조립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2는 커버의 결합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2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바닥재와 걸침고리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15 및 도 16은 바닥재와 걸침고리조립체의 결합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
도 17은 파티션부재의 정면도
도 18과 도 19는 각각 파티션부재의 외측공간과 내측공간에 걸침고리조립체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20은 2개의 작업대가 일직선으로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1은 꽂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2는 발끝막이결합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바닥재에 결합된 발끝막이결합구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
도 25는 도 3의 부분 확대도
도 26은 길이방향 발끝막이판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7은 폭방향 발끝막이판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는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는 중간에 다른 요소 없이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다면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 위, 아래, 앞, 뒤, 선단, 후단 등의 표현은 바라보는 위치에 따라 반대로도 표현될 수 있는 상대적인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실제와 다른 치수 또는 비율로 표시된 부분이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100)는, 도 1 내지 도 4의 사시도, 측면도, 정면도 및 분해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재(110)와, 바닥재(110)의 양단에 리벳(250) 등으로 결합된 걸침고리조립체(120)와, 바닥재(110)의 상부 가장자리에 결합된 다수의 발끝막이판(191,192)을 포함한다.
도면에는 바닥재(11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2개씩의 걸침고리조립체(120)가 결합된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설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더 많은 개수의 걸침고리조립체(120)가 결합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바닥재(110)의 단부에 하나의 걸침고리조립체(120)만 결합될 수도 있다.
바닥재(110)는 작업자 또는 통행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도 5의 정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배치된 상판(111) 및 하판(112)과, 상판(111)과 하판(112)의 사이에 개재된 다수의 지지판(11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지지판(113)은 바닥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이로 인해 바닥재(110)의 내부에는 단면형상이 폐루프 구조를 갖는 다수의 중공부(117)가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중공부(117)는 걸침고리조립체(12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바닥재(110)의 외부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재(110)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비철금속 소재를 인발 또는 압출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조하면 녹 발생이나 점용접부 이탈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작업대(100)의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고 사용수명도 크게 늘릴 수 있다.
상판(111)의 양측에는 확장부(11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판(111)의 전체 폭이 하판(112)보다 크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서는 이러한 확장부(111a)에 발끝막이결합구(170)를 고정하기 위한 꽂이부(180)를 결합한다.
바닥재(110)의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판(111)과 하판(112)이 같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꽂이부(180)는 상판의 모서리 부근에 결합될 수 있다.
상판(111), 하판(112), 및 지지판(113)의 두께, 크기(가로x세로), 길이 등은 작업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이어야 한다. 바닥재(110) 내부의 중공부(170)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의 형상이 될 수 있다.
걸침고리조립체(120)는,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침고리(121)와, 걸침고리(121)의 측면에 결합된 이탈방지고리(130)와, 이탈방지고리(130)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설치된 스토퍼돌기(152)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이탈방지고리(130)가 잠금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각각 이탈방지고리(130)가 해제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걸침고리(121)는 작업대(100)를 비계 등의 구조물에 장착 및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은 바닥재(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리벳(250) 등에 의해 바닥재(110)에 고정되고 타단은 바닥재(110)의 측단으로 돌출되어 파이프 등의 구조물에 걸쳐진다.
걸침고리(121)의 일단에는 연결부(122)가 연장되고, 저면에는 파이프 등의 구조물에 걸칠 수 있는 오목한 걸침홈(123)이 형성된다. 걸침고리(121)는 압출 또는 단조 공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122)는 바닥재(110)의 중공부(117)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이며, 바닥재(110)와의 결합을 위한 2개의 볼트홀(125a,125b)을 구비한다. 2개의 볼트홀(125a,125b)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바닥재(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도 있다. 더 많은 개수의 볼트홀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걸침홈(123)은 걸침고리(121)가 걸쳐지는 구조물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 파이프에 걸치는 경우에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사각 파이프에 걸치는 경우에는 사각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고리(130)는 상단부가 걸침고리(121)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가 걸침고리(121)의 하부로 돌출되며, 걸침고리(121)와 함께 파이프 등의 구조물을 둘러싸서 걸침고리(121)가 파이프 등의 구조물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0의 분해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탈방지고리(130)는 걸침고리(121)의 걸침홈(123)을 향하는 내측면(131)과 반대쪽의 외측면(132)을 구비하며, 상단 부근에는 축홀(139)이 형성된다.
이탈방지고리(130)가 잠금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침고리(121)의 하부로 돌출된 부분의 내측면(131)이 파이프(10) 등의 구조물을 둘러싸서 걸침고리(121)가 파이프 등의 구조물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탈방지고리(130)의 내측면(131)과 외측면(132)에는 각각 스토퍼돌기(152)가 삽입되는 내측홈(135)과 외측홈(136)이 형성되며, 외측면(132)의 상단 부근에는 회전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133)이 돌출될 수 있다.
이탈방지고리(130)는 축홀(139)에 삽입된 이탈방지고리결합구(140)에 의해 걸침고리(12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고리결합구(140)는 U형상으로서, 각 일단이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부재(141)와 제2 부재(142)를 포함하며, 제1 부재(141)의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홈(14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141)는 이탈방지고리(130)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탈방지고리(130)의 축홀(139)과 걸침고리(121)의 제1 홀(126a)을 통과하여 걸침고리(121)의 반대쪽으로 돌출된다. 돌출된 제1 부재(141)의 홈(145)에 멈춤링(147)을 결합하면 이탈방지고리(130)가 걸침고리(121)에 빠지지 않게 결합된다.
한편 제1 부재(141)가 축홀(139)과 제1 홀(126a)에 삽입될 때 제1 부재(141)와 평행한 제2 부재(142)는 걸침고리(121)에 구비된 제2 홀(126b)에 삽입된다. 제1 홀(126a)과 제2 홀(126b)은 걸침고리(121)의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2 홀(126b)이 제1 홀(126a)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탈방지고리결합구(140)의 제2 부재(142)는 이탈방지고리(130)가 잠금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동안에는 이탈방지고리(130)와 간섭하지 않으면서도 이탈방지고리(130)가 해제위치에 도달하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2 부재(142)는 이탈방지고리(130)가 잠금위치에서 해제위치까지 회전하는 동안에는 이탈방지고리(130)의 상단과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서 걸침고리(130)의 제2 홀(126b)에 삽입되고, 이탈방지고리(130)의 걸림턱(133)의 회전 반경 내에 위치한다.
이렇게 하면,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탈방지고리(130)가 잠금위치에서 축홀(139)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해제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걸림턱(133)이 이탈방지고리결합구(140)의 제2 부재(142)에 걸리면서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스토퍼돌기(152)를 이탈방지고리(130)의 내측홈(135)에 삽입하면 이탈방지고리(130)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보관이나 운반 중에 이탈방지고리(130)가 흔들리거나 다른 자재와 간섭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홀(126b)과 걸림턱(133)의 위치나 형상이 도면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와 다르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탈방지고리(130)를 해제위치에 위치시켰을 때 이탈방지고리(130)가 걸침고리(121)의 상단이나 하단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제2홀(126b)의 위치, 걸림턱(133)의 위치 또는 형상, 이탈방지고리(130)의 형상 등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돌기(152)는 이탈방지고리(130)가 잠금위치나 해제위치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1의 분해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침고리(121)에 결합된 푸쉬핀조립체(15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푸쉬핀조립체(150)는 스토퍼돌기(152)의 일단에 형성되고 스토퍼돌기(152)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장부(154)와, 확장부(154)의 일측에서 스토퍼돌기(152)의 반대쪽으로 돌출된 스프링결합부(156)와, 스프링결합부(156)에 감기는 스프링(158)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158)은 확장부(154)의 직경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푸쉬핀조립체(150)는 걸침고리(121)에 형성된 결합홀(129)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침고리(121)의 일측에 결합된 커버(160)에 의해 걸침고리(121)에 결합된다.
커버(160)는 이탈방지고리(130)의 반대쪽에서 걸침고리(121)의 측면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걸침고리(121)의 리벳홀(128a,128b)과 커버(160)의 리벳홀(162,163)을 관통하는 리벳(165,166)에 의해 걸침고리(121)의 측면에 결합되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탈방지고리결합구(140)의 제1 및 제2 부재(141,142)의 단부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결합된다.
커버(160)는 푸쉬핀조립체(150)의 스프링결합부(156)가 삽입되는 관통홀(161)을 포함하며, 관통홀(161)의 직경은 푸쉬핀조립체(150)의 확장부(154)의 직경 및 스프링(158)의 직경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의 B-B 단면도인 도 13을 참조하면, 푸쉬핀조립체(150)의 스토퍼돌기(152)는 결합홀(129)을 통해 이탈방지고리(130)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확장부(154)는 결합홀(129)의 내측에 위치하며, 스프링결합부(156)의 일단은 커버(160)의 관통홀(161)에 삽입된다.
결합홀(129)의 내부에는 확장부(154)의 이동을 차단하는 걸림턱(129a)이 돌출 형성되며, 걸림턱(129a)은 푸쉬핀조립체(150)가 이탈방지고리(130)가 결합된 측면을 통해 걸침고리(121)로부터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스토퍼돌기(152)를 누르면 확장부(154)에 의해 스프링(158)이 압축됨에 따라 스토퍼돌기(152)가 결합홀(129)의 내부로 삽입되므로 이탈방지고리(13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의 잠금위치에서 스토퍼돌기(152)를 누르면 이탈방지고리(13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도 8 및 도 9의 해제위치에서 스토퍼돌기(152)를 누르면 이탈방지고리(1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스토퍼돌기(152)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158)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토퍼돌기(152)가 외부로 돌출된다. 스토퍼돌기(152)가 이탈방지고리(130)의 내측홈(135)에 위치하면 이탈방지고리(1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없고, 이탈방지고리(130)의 외측홈(136)에 위치하면 이탈방지고리(13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걸침고리조립체(120)는 도 14의 분해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재(110)의 각 모서리에서 가장 바깥쪽의 중공부(117)에 삽입되고, 파티션부재(210), 가이드픽스(240), 리벳(250) 등에 의해 고정된다.
도 15의 분해사시도 및 도 16의 결합단면도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바닥재(110)의 가장 바깥쪽 중공부(117)에는 파티션부재(210)가 삽입되고, 걸침고리조립체(120)의 연결부(122)는 파티션부재(210)에 삽입된다.
파티션부재(210)의 내부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격벽(212)에 의해 제1 및 제2 공간(221, 222)으로 분할되며, 걸침고리조립체(120)의 연결부(122)는 제1 및 제2 공간(221, 222)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 공간(221)의 최소 너비(d1)와 제2 공간(222)의 최소 너비(d2)는 각각 걸침고리조립체(120)의 연결부(122)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파티션부재(210)의 내부에 1개의 격벽(212)에 의해 2개의 공간(221,222)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2개 이상의 격벽에 의해 3개 이상의 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격벽(212)이 일직선으로 형성되지 않고 중간부분이 제2 공간(222)쪽으로 돌출된 것으로 나타나 있는데, 이는 걸침고리조립체(120)의 연결부(122)의 너비가 파티션부재(122)의 전체 너비의 절반보다 훨씬 작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닥재(110)의 중공부(117)의 너비, 파티션부재(210)의 전체 너비, 걸침고리조립체(120)의 연결부(122)의 너비 등에 따라 격벽(212)의 위치. 형상, 개수 등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파티션부재(210)의 양 측면에는 다수의 리벳홀(251a,251b)이 형성되고, 가운데의 격벽(212)에도 리벳홀(251a,251b)에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크기의 리벳홀이 형성된다.
가이드픽스(240)는 작업자가 리벳(250)을 보다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양단이 개구된 파이프 형상이며 일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닥재(110)의 최외측 중공부(117)를 둘러싸는 양 측벽, 즉, 측판(115)과 지지판(113)에는 각각 파티션부재(210)의 리벳홀(251a,251b)에 대응하는 위치에 리벳홀이 형성된다.
가이드픽스(240)는 측판(115)의 바깥쪽에서 리벳홀을 통해 삽입되어 파티션부재(210)의 리벳홀(251a,251b)을 통과한 후 지지판(113)의 리벳홀에 삽입될 수 있다.
리벳(250)은 걸침고리조립체(120)의 연결부(122)가 삽입된 중공부(117)에 인접한 중공부에서부터 가이드픽스(240)의 일단으로 삽입되고, 가이드픽스(240)의 타단을 통해 바닥재(110)의 측판(115)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고정될 수 있다.
걸침고리조립체(120)의 위치는 연결부(122)가 파티션부재(210)에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즉,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티션부재(210)의 2개의 공간(221,222) 중에서 바깥쪽 공간에 연결부(122)를 삽입하면 걸침고리조립체(120)의 간격이 넓어지고,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티션부재(210)의 2개의 공간(221,222) 중에서 안쪽 공간에 연결부(122)를 삽입하면 걸침고리조립체(120)의 간격이 좁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재(110)의 폭방향을 따라 2개의 걸침고리조립체(120)의 간격을 필요에 따라 매우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바닥재(110)를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배치해야 하는 경우에도 인접한 바닥재(110)의 걸침고리(121a,121b)의 간격 또는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하여 걸침고리(121a,121b)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같은 파이프(10)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한편 발끝막이판(191,192)은 바닥재(110)의 상부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작업자의 실족사고나 공구, 자재 등의 낙하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끝막이판(191)은 바닥재(110)의 측면가장자리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길이방향 발끝막이판(191)과, 바닥재(110)의 양 끝단에서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폭방향 발끝막이판(192)을 포함할 수 있다.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 발끝막이판(191,192)은 필요에 따라 두 종류 모두 설치될 수도 있고 어느 한 종류만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끝막이결합구(170)와 꽂이부(180)를 이용하여 발끝막이판(191,192)을 바닥재(110)에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바닥재(110)의 네 모서리 부근에는 꽂이부결합홀(119)이 형성되고, 꽂이부결합홀(119)에는 꽂이부(180)가 결합된다. 꽂이부결합홀(119)은 바닥재(110)의 양 측단으로 돌출된 연장부(111a)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꽂이부(180)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둥부(181)와, 기둥부(181)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182)와, 플랜지(182)의 하단으로 돌출된 기둥형상의 결합부(183)와, 결합부(183)에서 꽂이부(18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홀(184)과, 일단은 상기 홀(184)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홀(184)의 외부로 돌출된 볼플런저(187)를 포함한다.
플랜지(182)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기둥부(181)의 하단은 꽂이부결합홀(119)보다 큰 직경을 가져야 하고, 기둥부(181)의 하단에 연결된 결합부(183)는 기둥부(18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결합부(183)는 바닥재(110)의 꽂이부결합홀(119)에 삽입되며, 결합부(183)의 하단이 바닥재(110)의 연장부(111a)의 하부로 돌출되면, 결합부(183)의 측방으로 돌출된 볼플런저(187)에 의해 꽂이부(180)는 바닥재(110)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발끝막이결합구(170)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는 파이프 형상의 본체(175)와, 본체(175)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다수의 리벳홀(173)이 형성된 판재 형상의 제1 결합부(171)와, 본체(175)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제1 결합부(17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본체(175)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결합홈(174)을 구비하는 제2 결합부(172)를 포함한다.
본체(175)의 중공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꽂이부(180)의 기둥부(181)의 형상에 따라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발끝막이결합구(170)는 바닥재(110)의 네 모서리마다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재(11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발끝막이결합구(170)는 제2 결합부(172)의 결합홈(174)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바닥재(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발끝막이 결합구(170)는 제1 결합부(171)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끝막이결합구(170)는 바닥재(110)에 결합된 꽂이부(180)에 의해 바닥재(1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바닥재(110)의 모서리마다 꽂이부(180)를 설치하고, 각 꽂이부(180)마다 발끝막이결합구(170)의 본체(175)에 꽂이부(180)의 기둥부(181)가 삽입되도록 발끝막이결합구(170)를 결합한다.
도 24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25는 도 3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꽂이부(180)는 결합부(183)가 바닥재(110)의 연장부(111a)를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볼플런저(187)에 의해 잠금 상태가 되고, 발끝막이결합구(170)는 본체(175)에 꽂이부(180)의 기둥부(181)가 삽입됨으로써 바닥재(110)에 결합된다.
길이방향 발끝막이판(191)의 단부는 리벳(177)에 의해 발끝막이결합구(170)의 제1 결합부(171)에 결합되고, 폭방향 발끝막이판(192)의 단부는 발끝막이결합구(170)의 제2 결합부(172)의 결합홈(174)에 삽입된다.
길이방향 발끝막이판(191)의 상단과 하단에는 수직으로 구부러져 측방으로 돌출된 연장부(191a,191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길이방향 발끝막이판(191)의 단면은 전체적으로 ㄷ 형상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연장부(191a,191b)를 형성하면 발끝막이결합구(170)의 제1 결합부(171)가 길이방향 발끝막이판(191)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둘러싸인 상태에서 고정되므로 길이방향 발끝막이판(191)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191a,191b)는 상단 또는 하단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6은 길이방향 발끝막이판(191)과 발끝막이결합구(170)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길이방향 발끝막이판(191)의 양 단부가 각각 리벳(177)에 의해 바닥재(1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발끝막이결합구(170)의 제1 결합부(171)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실제 현장에서 발끝막이판을 사용할 때는 대부분의 경우 길이방향 발끝막이판(191)이 기본적으로 사용되므로 사전에 리벳(177)을 이용하여 길이방향 발끝막이판(191)의 양단에 발끝막이결합구(170)를 결합시켜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바닥재(110)에 길이방향 발끝막이판(191)을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해지고 작업시간도 크게 단축될 수 있다.
바닥재(110)의 양 측 가장자리에 이와 같이 길이방향 발끝막이판(191)을 결합한 이후에는 필요한 위치에 폭 방향 발끝막이판(192)을 설치할 수 있다.
즉, 도 27의 분해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방향 발끝막이판(192)의 양단부를 각각 바닥재(110)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발끝막이결합구(170)의 제2 결합부(172)의 결합홈(174)에 삽입함으로써 폭 방향 발끝막이판(192)을 결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바닥재(110)의 상부에 길이방향 발끝막이판(191)은 설치하지 않고 폭 방향 발끝막이판(192)만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걸침고리조립체(120)를 바닥재(110)에 결합할 때 바닥재(110)의 중공부(117)에 파티션부재(210)를 삽입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전에 파티션부재(210)를 중공부(117)의 내부에 용접 등으로 결합해 둘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파티션부재(210)를 생략하고, 바닥재(110)의 내부에 걸침고리조립체(120)의 연결부(122)에 대응하는 폭과 높이를 갖는 다수의 중공부(117)를 바닥재(110)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바닥재(110)에 발끝막이판(191,192)을 결합하기 위한 꽂이부(180)와 발끝막이결합구(170)가 별개 부품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들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꽂이부(180)의 기둥부(181)를 발끝막이결합구(170)의 본체(175)에 삽입한 상태에서 용접 등으로 일체화 시킬 수 있다. 이때 발끝막이결합구(170)의 하부로 결합부(183)가 돌출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와 달리 발끝막이결합구(170)의 본체(175)의 하단에 꽂이부결합홀(119)에 삽입할 결합부(183)를 돌출 형성하고, 결합부(183)에 잠금을 위한 볼플런저(187)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이상에서는 발끝막이결합구(170)가 서로 다른 형상의 제1 결합부(171)와 제2 결합부(172)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한 경우에는 2개의 결합부가 동일할 수도 있다. 즉, 제1 결합부(171)와 제2 결합부(172)가 모두 판재 형상일 수도 있고, 모두 결합홈(174)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본 명세서에서 각종 부품의 결합수단으로 사용되는 리벳, 볼트 등은 필요에 따라 다른 결합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체적인 적용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100: 작업대 110: 바닥재 111: 상판
111a: 연장부 112: 하판 113: 지지판
115: 측판 117: 중공부 119: 꽂이부결합홀
120: 걸침고리조립체 121: 걸침고리 122: 연결부
123: 걸침홈 125a, 125b: 볼트홀 126a, 126b: 홀
128a, 128b: 리벳홀 129: 결합홀 129a: 걸림턱
130: 이탈방지고리 131: 내측면 132: 외측면
133: 걸림턱 135: 내측홈 136: 외측홈
139: 축홀 140: 이탈방지고리결합구
141, 142: 제1, 제2 부재 145: 홈 147: 멈춤링
150: 푸쉬핀조립체 152: 스토퍼돌기 154: 확장부
156: 스프링결합부 158: 스프링 160: 커버
161: 관통홀 162, 163: 리벳홀 165, 166: 리벳
170: 발끝막이결합구 171: 제1 결합부 172: 제2 결합부
173: 리벳홀 174: 결합홈 175: 본체
177: 리벳 180: 꽂이부 181: 기둥부
182: 플랜지 183: 결합부 184: 홀
187: 볼플런저 191: 길이방향 발끝막이판
192: 폭방향 발끝막이판 210: 파티션부재 212: 격벽
221, 222: 제1, 제2 공간 240: 가이드픽스 250: 리벳
251a, 251b: 리벳홀

Claims (12)

  1. 바닥재;
    저면에는 걸침홈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상기 바닥재에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걸침고리;
    상기 걸침고리의 일측에 결합되는 이탈방지고리;
    상기 바닥재의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바닥재에 삽입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설치되어 잠금기능을 하는 볼플런저를 포함하는 꽂이부;
    상기 꽂이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닥재의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재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기 꽂이부의 기둥부가 삽입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와 90도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발끝막이결합구
    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발끝막이결합구에 양단이 결합된 길이방향 발끝막이판과, 상기 바닥재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발끝막이결합구에 양단이 결합된 폭방향 발끝막이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끝막이결합구의 제1 결합부는 판재 형상이고, 제2 결합부의 단부에는 높이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발끝막이결합구는 상기 제1 결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상기 바닥재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발끝막이결합구는 상기 제2 결합부의 결합홈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고리와 상기 걸침고리에 결합되어 상기 이탈방지고리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제1 부재와, 상기 이탈방지고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걸침고리에 결합되어 상기 이탈방지고리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제2 부재를 구비하는 이탈방지고리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고리에는 해제위치까지 회전하였을 때 상기 제2 부재에 걸리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고리의 내측면과 외측면에는 각각 해제위치와 정지위치에서 스토퍼돌기가 삽입되는 내측홈과 외측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최외측 중공부에는 폭방향을 따라 다수의 공간이 형성된 파티션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걸침고리의 연결부를 상기 다수의 공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공간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걸침고리의 위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최외측 중공부의 양 측벽, 상기 걸침고리의 연결부 및 상기 파티션부재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파이프 형상의 가이드픽스와, 상기 가이드픽스를 통과하여 상기 걸침고리와 상기 파티션부재를 상기 바닥재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침고리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탈방지고리의 위치를 고정하는 스토퍼돌기와, 상기 스토퍼돌기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돌기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장부와, 상기 확장부의 일측에서 상기 스토퍼돌기의 반대쪽으로 돌출된 스프링결합부와, 상기 스프링결합부에 감기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푸쉬핀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핀조립체는 상기 걸침고리에 형성된 결합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침고리의 타측에 결합된 커버에 의해 상기 걸침고리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스프링결합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85781A 2018-06-08 2018-07-24 발끝막이판을 포함한 작업대 KR1020995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010 2018-06-08
KR20180066010 2018-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725A KR20190139725A (ko) 2019-12-18
KR102099508B1 true KR102099508B1 (ko) 2020-04-09

Family

ID=69052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781A KR102099508B1 (ko) 2018-06-08 2018-07-24 발끝막이판을 포함한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5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6776A (ja) * 2015-04-06 2016-11-24 ホリー株式会社 仮設足場用幅木の取付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8700B2 (ja) * 1995-03-15 1999-10-25 株式会社ナカオ 構築物用把持連結金具
KR20120008726U (ko) 2011-06-10 2012-12-20 유수원 안전 작업대
KR101336729B1 (ko) 2013-02-25 2013-12-04 주식회사 비엔에스산업 조선·해양 플랜트 작업발판용 발끝막이판
KR20130084270A (ko) * 2013-06-04 2013-07-24 코리아디엠주식회사 낙하물 방지용 안전발판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6776A (ja) * 2015-04-06 2016-11-24 ホリー株式会社 仮設足場用幅木の取付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725A (ko)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75821A1 (en) Formwork Panel of a Formwork System
US20200199870A1 (en) Formwork system
KR102099508B1 (ko) 발끝막이판을 포함한 작업대
CN115126214A (zh) 连接部件
JP5709150B1 (ja) 組立式足場
KR20200011130A (ko) 발끝막이판을 포함한 작업대
KR200400366Y1 (ko) 조립식 안전 작업대
EP1853774B2 (en) A construction element
JP4621028B2 (ja) 足場板構造
JP2016196776A (ja) 仮設足場用幅木の取付具
KR102459395B1 (ko) 조립식 트러스용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
US7452153B2 (en) Fitting for joining scaffold boards
KR200397956Y1 (ko) 조립식 안전 작업대
KR200481467Y1 (ko)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
US20060054396A1 (en) Scaffold having a replaceable locking and securing device
KR101133016B1 (ko) 거푸집 연결용 파워 클램프
KR101040651B1 (ko) 비계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비계용 클램프 어셈블리
JP3236083U (ja) 仮設足場用幅木
JP7264467B2 (ja) 仮設足場用の縦支柱、及び、それを使用した仮設足場システム
CN214834950U (zh) 一种钢结构建筑钢柱定位施工装置
KR102512134B1 (ko) 조립식 트러스
JP7429523B2 (ja) 仮設足場の幅木固定構造及びその幅木固定方法
KR102593377B1 (ko)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
KR200199021Y1 (ko) 낙하 방지용 안전망
KR101454975B1 (ko) 클램프 일체형 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