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047B1 - Compact type remediation system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 Google Patents
Compact type remediation system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9047B1 KR102099047B1 KR1020190112456A KR20190112456A KR102099047B1 KR 102099047 B1 KR102099047 B1 KR 102099047B1 KR 1020190112456 A KR1020190112456 A KR 1020190112456A KR 20190112456 A KR20190112456 A KR 20190112456A KR 102099047 B1 KR102099047 B1 KR 1020990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il
- drum
- tank
- particle size
- drum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2—Extraction using liquids, e.g. washing, leaching, flo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5—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gas bubbles or moving sol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67—Construction of the filtering drums, e.g. mounting or seal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서로 연계된 구성 요소를 인접한 최적의 위치에 배치하여 현장 설치 부지를 최소화시켜 효율적인 관리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유류와 중금속으로 복합 오염된 토양의 동시 처리가 가능한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은, 오염토가 공급되고 탈수 케이크가 배출되는 제1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오염토가 정량으로 이송되게 하는 오염토양 이송 컨베이어;와, 오염토양 이송 컨베이어의 일단에 배치되어 공급된 오염토를 축 회전 방식으로 제1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믹스 와셔;와, 믹스 와셔의 일단에서 배치되어 공급된 오염토에서 일정 입도 이하의 토사는 통과시키고 일정 입도 이상의 토사는 통과하지 못하고 청정 자갈이 생성되게 하는 습식 진동 선별장치;와, 오염토양 이송 컨베이어와 교차되면서 청정 자갈이 배출되게 하는 제2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시스템의 중앙 섹터과 제1주변 섹터를 정의하는 기준이 되는 청정 자갈 배출 컨베이어;와, 시스템의 중앙 섹터에 배치되어 습식 진동 선별장치에서 유입된 토사에 대하여 습식으로 입도 분리를 수행하여 제1기준 입도보다 작은 입자를 제1a배출구로 배출하고 제1기준 입도보다 큰 입자를 제1b배출구로 배출하는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과,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의 제1b배출구에서 배출된 제1기준 입도보다 큰 입자에서 중금속을 용출하기 위한 처리수가 유입되는 용출조와, 용출조 내부에 설치되어 부상 회전함으로써 오염토의 낙하하는 힘을 이용하여 오염토에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중금속이 용출되게 하는 회전 드럼과, 회전 드럼을 용출조 내부에 부상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를 포함하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와,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에서 배출된 입자에서 수분을 탈수하여 청정 모래를 생성하는 진동 세척 탈수장치;와, 청정 자갈 배출 컨베이어와 평행하도록 오염토양 이송 컨베이어와 교차되면서 청정 모래가 배출되는 제2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시스템의 중앙 섹터과 제2주변 섹터를 정의하는 기준이 되는 청정 모래 배출 컨베이어;와, 제2주변 섹터에 배치되어 진동 세척 탈수장치를 거친 토사에 대하여 습식으로 입도 분리를 수행하여 제2기준 입도보다 작은 입자를 제2a배출구로 배출하고 제2기준 입도보다 큰 입자를 제2b배출구로 배출하는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과, 제2주변 섹터에 배치되어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의 제1a배출구 및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의 제2a배출구에서 미세 토사를 공급받아서 미세 토사가 바닥으로 중력 침강되게 하는 침사조;와, 제2주변 섹터에 배치되어 침사조에서 침전되지 않은 미세 토사를 공급받아서 응집제를 이용하여 바닥으로 침전되게 하는 침전조;와, 중앙 섹터에 배치되어 침사조 및 침전조의 토출단에 연결되어 침사조 및 침전조에 토출되는 슬러지를 저류시키고 중력 분리된 농축 슬러지를 생성시키는 농축조;와, 제1주변 섹터에 배치되어 농축조에서 토출된 농축 슬러지가 유입되어 물을 배출시켜 농축 슬러지를 탈수 케이크로 생성시켜서 제1방향으로 배출하는 필터 프레스;를 포함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the components linked to each other in an optimal position adjacent to the site to minimize the site installation site to enable efficient management and operation, while compact complex contamination that can be simultaneously treated with soil contaminated with oil and heavy metals Regarding the soil purification system, such a compact complex pollution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long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contaminated soil is supplied and the dehydrated cake is discharged so that the contaminated soil is transferred in a quantitative manner Soil transfer conveyor; And, a washer disposed on one end of the soil transfer conveyor to transport the contaminated soil in the first direction in an axial rotation manner to spray and wash the washing water; and, was disposed and supplied at one end of the mix washer Soil below a certain particle size in contaminated soil passes and soil above a certain particle size does not pass. And a wet vibration sorting device that generates clean gravel; and clean gravel, which is disposed along a second direction that crosses the polluted soil transport conveyor and discharges clean gravel, as a standard defining a central sector and a first peripheral sector of the system. Discharge conveyor; And, the particle size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particle size is discharged to the 1a discharge port by performing particle size separation with respect to the soil that is disposed in the central sector of the system and wetted from the wet vibration sorting device, and the particle size is larger than the first reference particle size A first hydro cyclone that discharges to the 1b outlet;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hydro cyclone, the treated water for elution of heavy metals from particles larger than the first reference particle size discharged from the first b outlet of the first hydro cyclone flows in. Contaminated soil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elution tank and the falling force of the contaminated soil by floating rotation A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including a rotating drum that allows chemically bound heavy metals to elute, and a rotating device that floats and rotates the rotating drum inside the elution tank; and a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disposed adjacent to the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A vibration washing dehydration device that dehydrates moisture from the discharged particles to produce clean sand; and is disposed along a second direction in which clean sand is discharged while being intersected with a contaminated soil transport conveyor so as to be parallel to the clean gravel discharge conveyor, and A clean sand discharge conveyor that serves as a standard for defining the second surrounding sector; and a particle size smaller than the second reference particle size by performing particle size separation wetly on the soil that has been disposed in the second surrounding sector and has passed through the vibration washing dewatering device. A second high that discharges particles that are larger than the second standard particle size through the outlet and discharges through the 2b outlet. Draw cyclone; and a sedimentation tank disposed in the second peripheral sector to receive micro-soil from the 1a discharge port of the first hydrocyclone and the 2a discharge port of the second hydrocyclone to cause the micro-soil to gravity settle to the bottom; and, 2 The sedimentation tank is arranged in the surrounding sector and is supplied with fine sediment that has not been precipitated in the sedimentation tank to be settled to the bottom using a flocculant; Concentration tank for storing the discharged sludge and generating gravity-separated concentrated sludge; And, the concentrated sludge discharged from the concentration tank disposed in the first surrounding sector flows in and discharges water to generate concentrated sludge as a dehydration cake to produce a first direction. It includes; a filter press to discharge.
Description
본 발명은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연계된 구성 요소를 인접한 최적의 위치에 배치하여 현장 설치 부지를 최소화시켜 효율적인 관리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유류와 중금속으로 복합 오염된 토양의 동시 처리가 가능한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ct complex pollution soil purification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by placing component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n optimal position adjacent to each other, minimizing the site installation site to enable efficient management and operation, while contaminating the complex with oil and heavy metals. It relates to a compact complex pollution soil purification system capable of simultaneous treatment of soil.
일반적으로 환경오염은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특히 토양오염은 식량 생산에 매우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표수는 물론 지하수 오염을 통한 식수원의 오염을 유발하기 때문에 오염된 토양은 이른 시간에 정화될 필요가 있다.In general, environmental pollution can be classified into air pollution, water pollution, and soil pollution. Among them, especially, soil pollution can be a very serious threat to food production, and it causes pollution of drinking water sources through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pollution. Contaminated soil needs to be cleaned up early.
근래 국내에서 발생하는 토양오염은 주로 액상 폐기물의 무단 매립 또는 누출사고로 인하여 발생하며, 그 밖에 장기간 산업활동 과정에서 방치된 지상 적치물의 지하 확산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러한 발생요인에 의해 나타난 오염토양은 단일 종의 화합물보다는 여러 종류의 화학 종에 의해서 발생되며, 대표적인 복합 오염은 유류와 중금속의 형태로써 대부분의 산업활동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다.In recent years, soil pollution occurring in Korea is mainly caused by unauthorized landfill or leakage of liquid waste, and is also caused by underground diffusion of ground deposits left in the process of industrial activities for a long time, and the soil contaminated by these occurrence factors is It is caused by several kinds of chemical species rather than a single species of compound, and typical complex pollution occurs in most industrial areas in the form of oil and heavy metals.
최근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토양 세척, 소각, 고형화, 안정화 및 용매추출 등과 같은 물리화학적 방법과, 토양 경작, 콤포스팅,바이오 벤팅, 식물복원 등과 같은 생물학적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 중에서 비교적 쉽고 오염된 토양을 신속히 복원할 수 있는 것은 토양세척방법이다.Methods for restoring recently contaminated soil can be classified into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such as soil washing, incineration, solidification, stabilization and solvent extraction, and biological methods such as soil cultivation, composting, bio venting, and plant restoration, Among these methods, the soil washing method is relatively easy and can quickly restore contaminated soil.
오염된 토양의 세척방법은 적절한 세척제를 사용하여 토양입자에 결합된 유해성 유기오염물질의 표면장력을 약화시키거나 중금속을 액상으로 변화시켜 토양입자로부터 분리시켜 처리하는 기법으로서, 광범위한 유기 및 무기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한편 오염물질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method of cleaning contaminated soil is a technique of reducing the surface tension of harmful organic contaminants bound to soil particles or converting heavy metals into liquid phases using appropriate cleaning agents to separate and treat them from soil particle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removed while being applied regardless of the type of contaminant.
상기에서 토양 세척방법은 In-situ 법과, Ex-situ 법으로 구분되며, In-situ 법은 오염된 토양을 굴착하지 않고 세척용액 주입정, 세척용액 배출정, 세척유출수 처리시설, 펌프 및 계장시설, 휘발물질 처리시설 등을 오염된 부지에 설치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오염토양 내에 세척제를 순환시켜 오염토양을 직접 세척하는 토양 세정법(Soil Flushing)으로서, 처리 시간이 길고 세척제의 회수가 어려움은 물론 이동성이 없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토양 세척방법은 주로 Ex-situ 법이 적용된다.In the above, the soil washing method is divided into an In-situ method and an Ex-situ method, and the In-situ method does not excavate contaminated soil, but it does not excavate contaminated soil. It is a soil flushing method that installs a volatile material treatment facility on a contaminated site and circulates the cleaning agent in the contaminated soil to be treated to directly wash the contaminated soil (Soil Flushing). As there is no shortcoming, Ex-situ method is mainly applied for soil washing.
Ex-situ 법은 토양 내 오염물질의 분포 및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범위의 오염된 토양을 굴착한 후, 적절한 세척제를 사용하여 굴착된 오염토양을 세척장치가 있는 곳에서 세척하는 방법으로서, 최근 일반화된 토양 세척법(Soil Washing)으로 이용된다.Ex-situ method analyzes the distribution of contaminants in the soil and the physical / 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excavates the contaminated soil in the range to be treated, and then uses the appropriate cleaning agent to clean the contaminated soil in the place with the washing device. As a washing method, it is used as a recently generalized soil washing method.
종래 토양 세척방법으로 오염된 토양을 다단계로 선별 및 세척하여 오염토양에 부착된 유류 및 중금속을 포함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토양을 복원하는 기술로서, 국내 특허 제10-0534067호(오염토의 복원과 선별 처리를 위한 토양 세척 방법과 장치)가 제안되었다.As a technology to recover soil by removing and contaminating various contaminants including oil and heavy metal attached to contaminated soil by selecting and washing contaminated soil in multiple stages using the conventional soil washing method, domestic patent No. 10-0534067 Soil washing methods and devices for screening) have been proposed.
상기의 선행기술은 오염토양을 건식 선별단계와, 고압 살수 선별단계를 통하여 선별한 다음, 1차 세척조에서 세척하는 동시에 오염물이 다량 함유된 부유 토양과 오염물이 소량 함유된 침적 토양으로 분리 배출한 후, 분리된 침적 토양을 2차 세척조에서 세척과 동시에 미세토와 조립토로 분리 배출하여 조립토는 탈수하여 복원용 토양으로 환원하며, 미세토는 1차 세척조에서 배출된 부유 토양과 함께 침전, 응집 및 탈수공정을 통하여 폐기용 오염슬러지로 만들고, 오염된 세척제는 중화시켜 재활용하는 기술이다.In the prior art, the soil is sorted through a dry sorting step and a high-pressure sprinkling sorting step, and then washed in a primary washing tank and separated and discharged into floating soil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contaminants and sedimentary soil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contaminants. At the same time, the separated sedimentary soil is washed in the secondary washing tank and discharged separately to the fine soil and granulated soil to dehydrate the granulated soil and restore it to the restored soil, and the fine soil is precipitated, aggregated and dehydrated together with the suspended soil discharged from the primary washing tank It is a technology to make polluted sludge for disposal through the process and neutralize and recycle the polluted cleaner.
이러한 종래의 선행기술은 건식 선별기와, 고압 살수 선별기에서 입도가 큰 토양입자를 선별한 후, 1차 및 2차세척조에서 세척공정이 수행된 다음, 세척공정에서 생성된 미세토와 부양토를 폐기용 오염 슬러지로 만들어 폐기하므로 폐기물의 처리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폐기물로 인하여 제2의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실정이고, 특히 미립자의 토양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In the prior art, after selecting the soil particles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in a dry sorting machine and a high-pressure sprinkler sorting machine, a washing process is performed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washing tanks, and then the fine soil and floating soil generated in the washing process are discarded. Since it is made of waste polluted sludge and disposed, it is not only expensive to treat waste, but also causes second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waste. In particular, there are problems in that pollutants adsorbed on particulate soil cannot be effectively removed.
또한, 종래의 토양 세척 기술만으로 금속 성분이 토양입자와 아주 강하게 결합되어 있는 경우, 금속성분 함유 토양과 미함유 토양의 밀도 및 표면 특성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 경우, 중금속의 다양한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세척 기술이 적용하기 힘든 경우, 중금속이 다양한 크기의 토양입자와 결합되어 있을 경우, 실트/점토의 함량이 30~50%를 넘거나 휴믹질 함량이 높은 토양의 경우, 높은 점도를 가지는 유기물이 토양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토양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metal component is very strongly combined with the soil particles only by the conventional soil washing technology, when the density and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soil containing the metal component and the soil not containing the metal are not clearly distinguished, the cleaning is due to various chemical properties of the heavy metal When the technology is difficult to apply, when heavy metals are combined with soil particles of various sizes, in the case of soil with a content of silt / clay exceeding 30-50% or a high humic content, organic matter with high viscosity is applied to the soil. When include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effectively remove the contaminants adsorbed on the soil.
특히, 종래의 토양 세척 기술은 적용대상토양이 미세토사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경우, 정화 효율이 낮은 특징이 있는데, 이는 비표면적이 높고, 흡착사이트가 다량 존재하는 미세토의 특징에 기인한 것으로, 조립토의 경우에 비하여 유,무기 오염물질이 더욱 강하게 흡착되므로 정화 공법을 통한 탈착이 어려워 정화 시스템의 경제성, 친환경성, 작업성, 안전성 측면에서 설치 비용이 많이 투입되고 정화 시스템을 위한 현장 설치 부지가 많이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soil washing technology has a feature of low purification efficiency when the soil to be applied contains a large amount of fine soil, which is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fine soil having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and a large amount of adsorption site. Compared to the case, organic and inorganic contaminants are more strongly adsorbed, so it is difficult to desorb through the purification method, so the installation cost is high in terms of economics, eco-friendliness, workability, and safety of the purification system, and there are many site installation sites for the purification system.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secured.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현장 설치 부지를 최소화시켜 효율적인 관리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유류와 중금속으로 복합 오염된 토양의 동시 처리가 가능한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ct complex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system capable of simultaneous treatment of soil contaminated with oil and heavy metals while minimizing site installation sites to enable efficient management and opera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서로 연계된 구성 요소를 최적 위치에 설치하면서도 작업자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 시켜서 근무 환경을 개선하는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ct complex polluted soil purification system that improves the working environment by minimizing the moving distance of workers while installing components linked to each other in an optimal posi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좁은 범위에 집중적으로 분사하는 제1상승부재와 넓은 범위에 분산시켜서 분사하는 제2상승부재를 포함하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에 의해 낙하하는 처리수의 양이 많아지므로 오염토의 중금속 용출 효과가 향상될 수 있는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amount of the treated water falling by the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comprising a first rising member for spraying intensively in a narrow range and a second rising member for spraying by dispersing in a wide range increases the amount of contamination It is to provide a compact complex soil purification system that can improve the heavy metal dissolution effect.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특정 구조의 제1상승부재 및 제2상승부재를 드럼 하우징 내외면에 일체형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컴팩트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first rising member and the second rising member of a specific structure in an integral structure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drum housing,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implement the compact structure by using the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to improve space utilization. It is to provide a compact complex soil purification system to be improv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은, 오염토가 공급되고 탈수 케이크가 배출되는 제1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오염토가 정량으로 이송되게 하는 오염토양 이송 컨베이어;와, 오염토양 이송 컨베이어의 일단에 배치되어 공급된 오염토를 축 회전 방식으로 제1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믹스 와셔;와, 믹스 와셔의 일단에서 배치되어 공급된 오염토에서 일정 입도 이하의 토사는 통과시키고 일정 입도 이상의 토사는 통과하지 못하고 청정 자갈이 생성되게 하는 습식 진동 선별장치;와, 오염토양 이송 컨베이어와 교차되면서 청정 자갈이 배출되게 하는 제2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시스템의 중앙 섹터과 제1주변 섹터를 정의하는 기준이 되는 청정 자갈 배출 컨베이어;와, 시스템의 중앙 섹터에 배치되어 습식 진동 선별장치에서 유입된 토사에 대하여 습식으로 입도 분리를 수행하여 제1기준 입도보다 작은 입자를 제1a배출구로 배출하고 제1기준 입도보다 큰 입자를 제1b배출구로 배출하는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과,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의 제1b배출구에서 배출된 제1기준 입도보다 큰 입자에서 중금속을 용출하기 위한 처리수가 유입되는 용출조와, 용출조 내부에 설치되어 부상 회전함으로써 오염토의 낙하하는 힘을 이용하여 오염토에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중금속이 용출되게 하는 회전 드럼과, 회전 드럼을 용출조 내부에 부상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를 포함하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와,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에서 배출된 입자에서 수분을 탈수하여 청정 모래를 생성하는 진동 세척 탈수장치;와, 청정 자갈 배출 컨베이어와 평행하도록 오염토양 이송 컨베이어와 교차되면서 청정 모래가 배출되는 제2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시스템의 중앙 섹터과 제2주변 섹터를 정의하는 기준이 되는 청정 모래 배출 컨베이어;와, 제2주변 섹터에 배치되어 진동 세척 탈수장치를 거친 토사에 대하여 습식으로 입도 분리를 수행하여 제2기준 입도보다 작은 입자를 제2a배출구로 배출하고 제2기준 입도보다 큰 입자를 제2b배출구로 배출하는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과, 제2주변 섹터에 배치되어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의 제1a배출구 및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의 제2a배출구에서 미세 토사를 공급받아서 미세 토사가 바닥으로 중력 침강되게 하는 침사조;와, 제2주변 섹터에 배치되어 침사조에서 침전되지 않은 미세 토사를 공급받아서 응집제를 이용하여 바닥으로 침전되게 하는 침전조;와, 중앙 섹터에 배치되어 침사조 및 침전조의 토출단에 연결되어 침사조 및 침전조에 토출되는 슬러지를 저류시키고 중력 분리된 농축 슬러지를 생성시키는 농축조;와, 제1주변 섹터에 배치되어 농축조에서 토출된 농축 슬러지가 유입되어 물을 배출시켜 농축 슬러지를 탈수 케이크로 생성시켜서 제1방향으로 배출하는 필터 프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ompact complex polluted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long a first direction in which contaminated soil is supplied and dehydrated cake is discharged, so that the contaminated soil is transported in a quantitative manner; and, A mix washer that sprays and washes washing water while transferring the contaminated soil that is disposed on one end of the transport conveyor in the first direction in an axial rotation manner; and, a soil that is less than a certain particle size in the contaminated soil that is disposed and supplied at one end of the mix washer Is a wet vibration sorting device that allows soil to pass over a certain particle size and does not pass, and generates clean gravel; and is disposed along a second direction that crosses the soil transfer conveyor and discharges clean gravel, so that the central sector and the first sector of the system. Clean gravel discharge conveyor that serves as a standard for defining the surrounding sector; and is arranged in the central sector of the system. A first hydrocyclone that performs particle size separation on the sediment introduced from the vibration type separator to wetly discharge particles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particle size to the 1a outlet and particles larger than the first reference particle size to the 1b outlet; And, the elution tank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hydrocyclone and the treatment water for eluting heavy metals from particles larger than the first reference particle size discharged from the 1b discharge port of the first hydrocyclone, and installed inside the elution tank A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including a rotating drum that causes heavy metal chemically bound to the contaminated soil to elute by using the falling force of the contaminated soil by rotating, and a rotating device that floats and rotates the rotating drum inside the elution tank; and, It is arranged adjacent to the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to dehydrate moisture from the particles discharged from the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to clean it. Vibration washing dehydration device for generating sand; and a standard for defining a central sector and a second peripheral sector of the system by being disposed along a second direction in which clean sand is discharged while being intersected with a contaminated soil transport conveyor so as to be parallel to a clean gravel discharge conveyor. A clean sand discharge conveyor that is disposed in the second peripheral sector and performs particle size separation wetly on the soil that has undergone the vibration washing dehydration device to discharge particles smaller than the second reference particle size to the 2a discharge port, and to A second hydro cyclone for discharging large particles to the second b outlet; and, disposed in the second peripheral sector, receives fine soil from the first a outlet of the first hydro cyclone and the second a outlet of the second hydro cyclone, so that the fine soil is bottomed A sedimentation tank that allows gravity to sediment; A sedimentation tank to be settled to the bottom using Arthur flocculant; and a concentration tank disposed in the central sector to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ends of the sedimentation tank and sedimentation tank to store sludge discharged to the sedimentation tank and sedimentation tank and generate gravity-separated concentrated sludge; And a filter press disposed in the first peripheral sector to discharge the concentrated sludge discharged from the concentration tank to discharge water to generate the concentrated sludge into a dehydrated cake and discharge it in a first direction.
또한,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은, 침전조에 인접하게 위치하면서 중앙 섹터에 배치되어 침전조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침전조에서 보내지는 기포가 유입되어 기포 중에 함유된 기름을 분리하는 유수 분리조;와, 중앙 섹터에 배치되어 유수 분리조에서 기름이 분리된 물을 공급받아서 믹스 와셔와 습식 진동 선별장치와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 및 진동 세척 탈수장치에 물을 공급하는 공정수 저장조;와, 중앙 섹터에 배치되어 공정수 저장조의 물이 일정 수위가 되도록 물을 보충하는 보충수 저장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mpact complex soil soil purification system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dimentation tank and is disposed in the central sector, adjacent to the sedimentation tank, and flowing into the sedimentation tank to introduce bubbles from the sedimentation tank to separate the oil contained in the bubble; A process water storage tank arranged in the central sector to supply water to the oil washer separation tank and supplying water to a mix washer, a wet vibration sorting device, a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and a vibration washing dewatering device;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lemental water storage tank for replenishing the water so that the water in the process water storage tank to a certain level.
또한, 회전 드럼은, 용출 대상인 미세토가 유입되는 제1크기의 원통형 인렛 드럼;과, 인렛 드럼을 거쳐서 유입된 미세토가 부상 회전하여 미세토에서 중금속이 용출되도록 그 외주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 나선형의 제1회전 이송날이 형성되는 제1크기보다 큰 제2크기의 원통형 드럼 하우징;과, 드럼 하우징에서 중금속이 용출된 미세토가 외부로 배출되게 그 내주면에 나선형의 제2회전 이송날이 형성되는 제1크기의 원통형 아웃렛 드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otating drum, a cylindrical inlet drum of the first size to which the micro soil to be eluted flows; And,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fine soil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drum floats and rotates to dissolve heavy metals from the micro soil. And a second sized cylindrical drum housing larger than a first size in which a spiral first rotary feeder blad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econd helical surfac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micro earth eluted from the drum housing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ylindrical outlet drum of the first size on which the rotary transfer blade is formed.
또한,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는, 드럼 하우징의 내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드럼 하우징이 회전할 때 오염토를 끌어 올려 그 출구를 통하여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내면 돌출부, 및 그 내부의 처리수를 내면 돌출부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내면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의 드럼 하우징 외면에 형성되어 드럼 하우징이 회전됨에 따라서 용출조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내면 돌출부의 출구를 통하여 좁은 범위에 집중적으로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외면 저장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제1상승부재;와, 드럼 하우징의 외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1상승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드럼 하우징이 회전됨에 따라서 용출조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드럼 하우징의 통공을 통하여 넓은 범위에 분산시켜서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제2상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housing, and when the drum housing rotates, it pulls up contaminated soil and drops it through its outlet, and the inner surface protrusion that processes water therein. I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um hous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protrusion so that it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As the drum housing is rotated, the treated water inside the elution tank is pulled upward, and the function of intensively falling into a narrow range through the exit of the inner surface protrusion A plurality of first rising member having an outer surface storage to perform; And, formed so as to protrud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um housing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rising member while the drum housing is rotated to pull the treated water inside the elution tank upward Raise and spread over a wide range through the drum housing to perform the function of dropping.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second raised member.
또한, 제2상승부재는, 드럼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외면 돌출부와, 외면 돌출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절곡부와, 외면 돌출부로부터 제1절곡부와는 반대되는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rising member, the outer surface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drum housing, the first bent portion formed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protrusion, and the other sid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bent portion from the outer surface protrus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bent portion formed to extend.
또한, 제2상승부재는, 드럼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lift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extend in a spir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housing.
또한, 제2상승부재는, 제1상승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ris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ising member.
또한, 제1상승부재는, 드럼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내면 돌출부와, 그 내부의 처리수를 제1내면 돌출부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1내면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의 드럼 하우징 외면에 형성되어 드럼 하우징이 회전됨에 따라서 용출조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제1내면 돌출부의 출구를 통하여 좁은 범위에 집중적으로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1외면 저장부를 구비하는 제1a상승부재;와, 제1내면 돌출부에서 일체로 연장되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내면 돌출부와, 그 내부의 처리수를 제2내면 돌출부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2내면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의 드럼 하우징 외면에 형성되어 드럼 하우징이 회전됨에 따라서 용출조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제2내면 돌출부의 출구를 통하여 좁은 범위에 집중적으로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2외면 저장부를 구비하는 제1b상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rising member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ner surface protrusion to be able to supply the inside of the first inner surface protrusion and the first inner surface protrusion formed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housing. I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um housing, and as the drum housing is rotated, the treatment water inside the elution tank is pulled upwards, and the first outer surface storage unit performs a function of intensively falling to a narrow range through the outlet of the first inner surface protrusion. 1a a rising member; and a second inner surface protrusion that extends integrally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protrusion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corresponds to a second inner surface protrusion to supply the treated water therein into the second inner surface protrusion. I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um housing at the position and as the drum housing is rotated, the treated water inside the elution tank is pulled upward to protrude the second inner surfa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1b of the rising member having a second outer surface for storage via the outlet perform the function of intensive fall into a narrow range.
또한, 제1상승부재는, 드럼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평부재로 이루어진 제1내면 돌출부와, 그 내부의 처리수를 제1내면 돌출부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1내면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의 드럼 하우징 외면에 형성되어 드럼 하우징이 회전됨에 따라서 용출조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제1내면 돌출부의 출구를 통하여 좁은 범위에 집중적으로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1외면 저장부를 구비하는 제1a상승부재;와, 제1내면 돌출부와 불연속적으로 배치되며 드럼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부재로 이루어진 제2내면 돌출부와, 그 내부의 처리수를 제2내면 돌출부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2내면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의 드럼 하우징 외면에 형성되어 드럼 하우징이 회전됨에 따라서 용출조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제2내면 돌출부의 출구를 통하여 좁은 범위에 집중적으로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2외면 저장부를 구비하는 제1b상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rising member, the drum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ner surface protrusion so as to supply the first inner surface protrusion made of a horizontal membe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housing, and the treated water therein into the first inner surface protrusion. I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drum housing is rotated to pull the treated water inside the elution tank upward, and a first outer surface storage unit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intensively falling in a narrow range through the exit of the first inner surface protrusion is provided. A rising member; and a second inner surface, which is disposed discontinuously with the first inner surface protrusion and is made of an inclined membe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housing, and a second inner surface to supply the treated water therein into the second inner surface protrusion. I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um hous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and as the drum housing is rotated, the treated water inside the elution tank is pulled upwar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1b rising member having a second outer surface storage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intensively falling to a narrow range through the outlet of the second inner surface protrusion.
또한, 제2상승부재가 인접된 드럼 하우징의 일부분에는, 비다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drum housing adjacent to the second ris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non-porous portion is form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은, 현장 설치 부지를 최소화시켜 효율적인 관리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유류와 중금속으로 복합 오염된 토양의 동시 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compact complex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nabling simultaneous treatment of soil contaminated with oil and heavy metals while minimizing site installation sites to enable efficient management and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은, 서로 연계된 구성 요소를 최적 위치에 설치하면서도 작업자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 시켜서 근무 환경을 개선하도록 하는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compact complex polluted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by minimizing the moving distance of workers while installing the component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n optimal 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은, 좁은 범위에 집중적으로 분사하는 제1상승부재와 넓은 범위에 분산시켜서 분사하는 제2상승부재를 포함하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에 의해 낙하하는 처리수의 양이 많아지므로 오염토의 중금속 용출 효과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compact complex soil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opped by a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including a first rising member that is sprayed intensively in a narrow range and a second rising member that is sprayed by being dispersed in a wide range. Since the amount of treated water increase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ffect of eluting heavy metals from contaminated soil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은, 특정 구조의 제1상승부재 및 제2상승부재를 드럼 하우징 내외면에 일체형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컴팩트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compact composite soil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fficiently forms a first-rise member and a second-rise member of a specific structure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drum housing, thereby efficiently using a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Sinc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ompact structur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space utiliz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의 회전 드럼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의 회전 드럼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mpact complex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compact complex soil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of a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used in a compact complex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of a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used in a compact complex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ng drum of a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used in a compact-type complex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rotating drum of a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used in a compact type complex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drum-type heavy metal dissolution tank used in a compact complex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diagrams showing a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used in a compact complex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and 9B are enlarged views of a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used in a compact type complex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8A and 8B.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mpact complex soil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compact complex soil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10)은, 오염토가 공급되고 탈수 케이크가 배출되는 제1방향(D1)을 따라서 배치되어 오염토가 정량으로 이송되게 하는 오염토양 이송 컨베이어(100);와, 오염토양 이송 컨베이어(100)의 일단에 배치되어 공급된 오염토를 축 회전 방식으로 제1방향(D1)으로 이송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믹스 와셔(200);와, 믹스 와셔(200)의 일단에서 배치되어 공급된 오염토에서 일정 입도 이하의 토사는 통과시키고 일정 입도 이상의 토사는 통과하지 못하고 청정 자갈이 생성되게 하는 습식 진동 선별장치(300);와, 오염토양 이송 컨베이어(100)와 교차되면서 청정 자갈이 배출되게 하는 제2방향(D2)으로 배치되어 시스템(10)의 중앙 섹터(SM)과 제1주변 섹터(S1)를 정의하는 기준이 되는 청정 자갈 배출 컨베이어(400);와, 시스템(10)의 중앙 섹터(SM)에 배치되어 습식 진동 선별장치(300)에서 유입된 토사에 대하여 습식으로 입도 분리를 수행하여 제1기준 입도보다 작은 입자를 제1a배출구(511)로 배출하고 제1기준 입도보다 큰 입자를 제1b배출구(512)로 배출하는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500);과,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50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500)의 제1b배출구(512)에서 배출된 제1기준 입도보다 큰 입자에서 중금속을 용출하기 위한 처리수가 유입되는 용출조(610)와, 용출조(610) 내부에 설치되어 부상 회전함으로써 오염토의 낙하하는 힘을 이용하여 오염토에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중금속이 용출되게 하는 회전 드럼(620)과, 회전 드럼(620)을 용출조(610) 내부에 부상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630)를 포함하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600);와,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60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600)에서 배출된 입자에서 수분을 탈수하여 청정 모래를 생성하는 진동 세척 탈수장치(700);와, 청정 자갈 배출 컨베이어(400)와 평행하도록 오염토양 이송 컨베이어(100)와 교차되면서 청정 모래가 배출되는 제2방향(D2)을 따라서 배치되어 시스템(10)의 중앙 섹터(SM)과 제2주변 섹터(S2)를 정의하는 기준이 되는 청정 모래 배출 컨베이어(800);와, 시스템(10)의 제2주변 섹터(S2)에 배치되어 진동 세척 탈수장치(700)를 거친 토사에 대하여 습식으로 입도 분리를 수행하여 제2기준 입도보다 작은 입자를 제2a배출구(911)로 배출하고 제2기준 입도보다 큰 입자를 제2b배출구(921)로 배출하는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900);과, 제2주변 섹터(S2)에 배치되어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500)의 제1a배출구(511) 및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900)의 제2a배출구(911)에서 미세 토사를 공급받아서 미세 토사가 바닥으로 중력 침강되게 하는 침사조(1000);와, 제2주변 섹터(S2)에 배치되어 침사조(1000)에서 침전되지 않은 미세 토사를 공급받아서 응집제를 이용하여 바닥으로 침전되게 하는 침전조(1100);와, 중앙 섹터(SM)에 배치되어 침사조(1000) 및 침전조(1100)의 토출단에 연결되어 침사조(1000) 및 침전조(1100)에 토출되는 슬러지를 저류시키고 중력 분리된 농축 슬러지를 생성시키는 농축조(1200);와, 제1주변 섹터(S1)에 배치되어 농축조(1200)에서 토출된 농축 슬러지가 유입되어 물을 배출시켜 농축 슬러지를 탈수 케이크로 생성시켜서 제1방향(D1)으로 배출하는 필터 프레스(1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and 2, the compact complex soi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10)에서는 도 2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인 제1방향(D1)을 따라서 오염토가 공급되어 탈수 케이크로 시스템의 측단으로 배출되게 하며, 전후 방향인 제2방향(D2)을 따라서 세척된 오염토가 청정 자갈이나 청정 모래가 시스템(10)의 전단으로 배출되게 한다. In the compact composite soil
먼저, 시스템(10)의 좌측 선단에 배치되어 오염토가 공급되는 투입 호퍼(110)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커지는 구조로 되어 포크레인 등을 통해 오염토의 공급시 유리한 구조를 갖게 된다. First, the
투입 호퍼(110)에 공급된 오염토는 제1방향(D1)을 따라서 배치된 오염토양 이송 컨베이어(100)를 통해 믹스 와셔(200)로 공급한다. 이때 오염토는 그 성상을 구분하지 않으나, 오염 정도를 파악하여 후공정 시 오염 정도에 따라 그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aminated soil supplied to the
오염토양 이송 컨베이어(100)를 통해 믹스 와셔(200)로 투입된 오염토는 습식 진동 선별장치(300) 내에서 유류와 중금속의 탈착 및 입도에 따른 선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습식 진동 선별장치(300)는 일정 입도 이상의 입자(2mm~40mm)를 선별하여 청정 자갈 배출 컨베이어(400)를 통하여 청정 자갈로 배출하고, 일정 입도 이하의 입자(2mm 이하)만을 선별 통과시켜서 후속 공정을 진행한다. The contaminated soil introduced into the
구체적으로, 오염토는 투입 호퍼(110)의 하단에 연결되고 제1방향(D1)을 따라서 길게 배치된 오염토양 이송 컨베이어(100)를 통하여 투입된 믹스 와셔(200)에서 세척수와 혼합된다. Specifically, the contaminated soil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이러한 믹스 와셔(200)는 오염토양 이송 컨베이어(100)의 일단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공급된 오염토를 세척하기 위하여 패들형(paddle type)으로 1개의 회전축(210)에 다수개의 패들들(220)이 부착된다. 또한, 세척수는 믹스 와셔(200) 상부에 설치된 스프레이 노즐들(230)을 통하여 분사된다. The
따라서, 회전축(210)이 회전하면서 패들(220)에 의해 토양을 이송하면 스프레이 노즐들(23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어 혼합되면서 토양을 세척한다. Therefore, when the
이러한 믹스 와셔(200)는, 회전축(210)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서 오염토양의 처리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공급되는 세척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정수 저장조(1400)로부터 공급되는데, 이러한 믹스 와셔(200)의 규격은 길이 4.56m, 폭 0.66m 그리고 높이 0.72m 정도이고, 회전축을 회전하기 위한 구동모터는 15마력 정도를 이용할 수 있다. The supplied washing water is supplied from the process
믹스 와셔(200)로부터 세척된 토양은 습식 진동 선별장치(300)에 투입되어 일정 입도의 크기를 기준으로 오염토를 분리 선별하여 2mm~40mm 크기의 청정 자갈을 생성 반출한다. The soil washed from the
즉, 습식 진동 선별장치(300)는, 믹스 와셔(200)의 우측단에 배치되어 믹스 와셔(200)에서 배출되는 토양 슬러리가 유입되어 일정 입도 이상의 입자를 선별하고 일정 입도 이하의 미세 입자만을 통과시켜 후속 공정을 진행한다. That is, the wet
구체적으로, 이러한 습식 진동 선별장치(300)는, 제1습식 진동 선별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오염토 중 제1크기 이상의 오염토를 선별해내는 제1선별망(310)과, 제2습식 진동 선별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제1크기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2크기를 가지며 제1선별망(3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선별망(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습식 진동 선별장치(300)를 통과하지 못한 입자들은 청정 자갈 배출 컨베이어(400)를 통하여 선별되어 2mm~40mm 크기의 세척 골재를 생성하게 된다. Specifically, the wet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정 자갈 배출 컨베이어(400)는 제1방향(D1)으로 배치된 오염토양 이송 컨베이어(100)와 교차되는 제2방향(D2)으로 배치되는데, 특히 이러한 청정 자갈 배출 컨베이어(400)는,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10)의 중앙 섹터(SM)과 제1주변 섹터(S1)를 정의하는 기준이 된다. Here, the clean
습식 진동 선별장치(300)를 거친 일정 크기 이하의 토사는 펌프(P)를 통하여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10)의 중앙 섹터(SM)에 배치된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500)으로 공급된 후 후속 공정을 통하여 고도 선별된다. Soil below a certain siz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wet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500)은, 습식으로 제1기준 입도를 기초로 입도 분리를 수행하는데, 이러한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500)은 속이 빈 원추형의 제1테이퍼부(510)와 제1노즐부(520)로 구성되고, 원통형의 접선방향에서 진입하는 제1투입구(530)와, 제1테이퍼부(510)의 넓은 입구 측에 연결되는 제1a배출구(511)와, 제1노즐부(520)에 연결되는 제1b배출구(512)로 구성된다.The
즉, 제1투입구(530) 측으로 물과 오염토가 투입되고, 제1테이퍼부(510) 내부에는 소용돌이 현상과 원심력 등에 의해 큰 소용돌이와 작은 소용돌이 및 이들을 축선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직 유동이 발생한다. That is, water and contaminated soil are introduced into the
이때, 입자의 무게차이로 인해 원심력에 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제1기준 입도 보다 큰 입도를 가진 입자와 제1기준 입도보다 작은 입도를 가진 입자와 물이 분리된다.At this time, a difference occurs in the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difference in weight of the particles, thereby separating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larger than the first reference particle size and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particle size.
다시 말해, 제1기준 입도 보다 작은 입자와 물은 제1a배출구(511)를 통해 배출되고, 제1기준입도 보다 큰 입자는 제1b배출구(512)를 통해 배출되는데, 이때 제1테이퍼부(510)의 길이와 양단의 입구면적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입도를 기준으로 토사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particles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particle size and water ar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500)의 제1a배출구(511)를 통해 배출되는 제1기준 입도 보다 작은 입자와 물은 침사조(1000)로 공급되고, 제1b배출구(512)를 통해 배출되는 제1기준입도 보다 큰 입자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600)로 공급된다. Particles and water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particle siz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600)는, 미세토로부터 분리된 고체 상태의 중금속은 물론, 여전히 미세토 등에 결합되어 있는 중금속을 산을 이용하여 용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러한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600)는 중앙 섹터(SM)와 제2주변 섹터(S2)에 연속적으로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The drum-type heavy
여기서,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600)는 미세토를 용출재와 혼합하여 미세토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중금속이 용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600)는 미세토의 낙하하는 힘을 이용하여 미세토에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중금속이 용출될 수 있도록 한다. Here, the drum-type heavy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600)에서는 용출재인 구연산과 함께 알카리제를 공급받아 용출조(600) 내의 pH를 대략 4.0~5.0 수준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drum-type heavy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중금속 용출을 위한 용출재로서 유기산을 사용하며, 구체적으로는 구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용출재의 pH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알카리제로는 구연산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ganic acid is used as an eluent for elution of heavy metals, and citric acid can be used, and sodium citrate can be used as an alkaline agent to properly maintain the pH of the eluent.
일반적으로 중금속을 용출하는데 사용되는 황산, 염산 등의 무기산 대신 유기산인 구연산을 사용하는 이유는, 유기산은 무기산과 달리 화학적 유해물질이 아니며, 인체에도 무해하여 관리와 사용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유기산은 중금속에 대한 용출 효율이 매우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알카리제도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무기계열의 물질 대신 구연산과 동일한 유기계열의 구연산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다. The reason why citric acid, which is an organic acid, is used instead of inorganic acids such as sulfuric acid and hydrochloric acid, which are generally used to elute heavy metals, is that organic acids are not chemically harmful substances, and are not harmful to the human body and are easy to manage and use. , It is because the organic acid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elution efficiency for heavy metals is very good. In addition, the alkali-based sodium citrate may be used instead of inorganic-based substances such as sodium hydroxide and potassium hydroxid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의 회전 드럼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의 회전 드럼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of a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used in a compact-type complex soil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ompact-type complex soil soil pur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ide of a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used in a system, and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ng drum of a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used in a compact type complex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rotating drum of a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used in a compact type complex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600)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용출재 탱크(21,22,23)에서 제공되는 용출재와 오염토를 혼합하여 오염토에서 중금속을 용출하기 위한 처리수가 유입되는 용출조(610)와, 용출조(610) 내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통공을 가지며 부상 회전함으로써 오염토에 결합되어 있는 중금속을 용출하는 회전 드럼(620)과, 회전 드럼(620)을 용출조(610) 내부에 부상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630)와, 회전 드럼(620)의 내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회전 드럼(620)이 회전할 때 오염토를 끌어 올려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내면 돌출부(641) 및 그 내부의 처리수를 내면 돌출부(641)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내면 돌출부(641)와 대응하는 위치의 회전 드럼(620) 외면에 설치되어 회전 드럼(620)이 회전됨에 따라서 용출조(610)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외면 저장부(642)를 구비하는 제1상승부재(640)와, 회전 드럼(620)의 외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회전 드럼(620)이 회전됨에 따라서 용출조(610)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회전 드럼(620) 내부로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2상승부재(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3 to 6, the drum-type heavy
이러한 용출조(610)는 상부 일측에 처리수 투입구(611)를 가지고, 상부 타측에는 용출재 투입구(612)를 가지게 있다. The
구체적으로, 용출조(610)는 상부 일측으로 처리수를 제공하기 위하여 공정수 저장조(1400)와 연결하는 처리수 투입구(611)를 구성하여 용출조(610) 내부로의 처리수 투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Specifically, the
이때, 중금속 용출 과정에서 이용되는 처리수 투입구(611)로 투입되는 처리수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여 오염 토양에서 중금속이 보다 효율적으로 용출될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treated water input to the treated
또한, 용출조(610)는 상부 타측으로 용출재를 제공하기 위하여 용출재 탱크(21,22,23)와 연결하는 용출재 투입구(612)를 구성하여 용출조(610) 내부로의 용출재 투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용출조(610)는 하부 일측으로 용출조(610) 내부에서 유입, 사용한 처리수를 외부 배출시키기 위한 처리수 배출구(613)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회전 드럼(620)은 용출조(610) 내부에 부상 설치되면서 그 양측으로 각각 용출조(610) 양측부에 관통, 연장되어 회전 장치(630)와 연결되는 인렛 드럼(621)과 아웃렛 드럼(622)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이러한 회전 드럼(620)은 용출조(610) 내부에 설치되어 부상 회전함으로써 미세토의 낙하하는 힘을 이용하여 미세토에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중금속이 용출되게 하는데, 구체적으로, 회전 드럼(620)은 용출 대상인 오염 토양이 유입되는 인렛 드럼(621)과, 인렛 드럼(621)을 거쳐 유입된 오염 토양이 부상 회전하여 중금속이 용출되도록 하는 드럼 하우징(660)과, 중금속이 용출된 오염 토양이 배출되는 아웃렛 드럼(6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즉, 회전 드럼(620)은 드럼 하우징(660) 양측으로, 인렛 드럼(621)과 아웃렛 드럼(622)을 일정길이 구성하여 용출조(610) 양측에 관통, 연장시키고, 동시에 인렛 드럼(621)과 아웃렛 드럼(622)을 회전 장치(630)와 연결 구성되게 한다.That is, the
여기서, 인렛 드럼(621)과 아웃렛 드럼(622)은 동일한 제1크기를 가지는 원통형으로 하고, 드럼 하우징(660)은 오염 토양의 중금속이 보다 효율적으로 용출될 수 있도록 제1크기보다 큰 제2크기를 가지는 원통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한편, 도면에서는 인렛 드럼(621)과 드럼 하우징(660) 및 아웃렛 드럼(622)가 구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인렛 드럼(621)과 드럼 하우징(660) 및 아웃렛 드럼(622)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 although the
또, 인렛 드럼(621)에서 이송된 미세토가 드럼 하우징(660)의 내부에 유입되도록 하되, 드럼 하우징(660)은 내면에 나선형의 회전 이송날(661)이 형성되어 유입된 미세토가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형성되고, 드럼 하우징(660)의 외면에는 다수의 통공(662)이 형성되어 회전 시 통공(662)에 의해 오염토가 용출재에 의해 용출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ne soil transferred from the
또, 회전 드럼(620)의 아웃렛 드럼(622) 내면으로 나선형의 회전 이송날(623)이 형성되어 유입된 미세토가 일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 spiral
그리고 회전 장치(630)는 회전 드럼(620)의 인렛 드럼(621) 및 아웃렛 드럼(622)의 하부를 소정의 높이로 받침하여, 회전 드럼(620)이 용출조(610) 내부에서 부상, 회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n, the
구체적으로, 회전 장치(630)는 회전 드럼(620)의 양측을 구성하는 인렛 드럼(621)과 아웃렛 드럼(622) 외면으로 각각 구성하는 회전 기어(631)과, 아웃렛 드럼(622) 중심 외면에 구성하는 구동 기어(632)과, 용출조(610)의 양측 일정 높이에 위치하여 회전 드럼(620) 양측의 인렛 드럼(621)과 아웃렛 드럼(622)에 구성된 각각의 회전 기어(631) 하부를 받침하는 다수개의 회전 롤러(633)와, 아웃렛 드럼(622)의 구동 기어(632)과 구동 체인(634)으로 연결되어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6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여기서, 다수개의 회전 롤러(633)는 하부 베이스 설치대(636)에 의해 일정 높이에 위치하고 또 베어링에 의해 회전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600)는 회전 드럼(620)의 회전 마찰 효율성을 극대화시켜 미세토로부터 중금속이 다시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The drum-type heav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10)의 회전 드럼(620)은 회전할 때 오염토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드럼 하우징(660)에 형성된 복수의 제1상승부재(640)와 제2상승부재(650)를 각각 구비된다. The
제1상승부재(640)는 처리수를 좁은 범위에 집중적으로 분사하는 출구를 가지는데, 구체적으로 제1상승부재(640)는 드럼 하우징(660)의 내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드럼 하우징(660)이 회전할 때 오염토를 끌어 올려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내면 돌출부(641)와, 그 내부의 처리수를 내면 돌출부(641)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내면 돌출부(641)와 대응하는 위치의 드럼 하우징(660) 외면에 설치되어 드럼 하우징(660)이 회전됨에 따라서 용출조(610)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외면 저장부(642)를 구비한다. The first rising
드럼 하우징(660) 내면에 설치된 복수의 내면 돌출부(641)는 드럼 하우징(660)이 회전할 때 오염토를 끌어 올려 낙하시키는 기능뿐 아니라 용출조(610)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낙하시키는 기능을 한다.A plurality of
이러한 내면 돌출부(641)은, 드럼 하우징(660)의 내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처리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돌출벽(643)과, 돌출벽(643) 내부의 처리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돌출벽(643)에 형성되어 처리수를 좁은 범위에 집중적으로 분사하는 다수의 출구(644)를 포함한다. The
돌출벽(643)은 드럼 하우징(660)의 내면으로부터 산형으로 돌출하며, 드럼 하우징(660)의 회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긴 길이를 구비한다. 다수의 출구(644)는 돌출벽(643)의 첨단부분에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내면 돌출부(641)가 설치된 위치의 드럼 하우징(660)에는 내면 돌출부(641)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처리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통공(662)이 형성된다. 이는 내면 돌출부(641)가 하부에 위치할 때 용출조(610)의 처리수가 통공(662)을 통해 돌출벽(643) 내부로 유입되고, 돌출벽(643)이 상부에 위치할 때 돌출벽(643) 내부로 유입된 처리수가 출구(644)를 통하여 드럼 하우징(660) 내부로 배출되어 낙하함으로써 중금속 용출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otruding
드럼 하우징(660)의 외면에는 보다 많은 양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올려 낙하시키기 위한 복수의 외면 저장부(642)가 형성된다. 외면 저장부(642)는, 드럼 하우징(660) 외면에 결합되는 쪽이 개방된 사다리꼴 용기 형태로 마련되며, 드럼 하우징(660)의 중심으로부터 최대 반경에 해당하는 외측면 중앙부분에는 그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입구(645)가 형성된다. 즉 외면 저장부(642)는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둘레가 폐쇄된 형태이다.A plurality of outer
이러한 외면 저장부(642)는 그 내부의 처리수를 내면 돌출부(641)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각 내면 돌출부(641)와 대응하는 위치의 드럼 하우징(660) 외면에 설치되며, 많은 양의 처리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드럼 하우징(660)의 전후 길이에 상당하는 전후방향 길이를 구비하고, 내면 돌출부(641)의 폭보다 큰 폭을 구비한다. 외면 저장부(642)의 입구(645) 폭은 내면 돌출부(641) 전체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The outer
외면 저장부(642)의 입구(645) 폭이 작으면 많은 양의 물을 수용할 수 있으나 입구(645) 폭이 너무 작으면 외면 저장부(642)이 용출조(610) 하측에 위치할 때 그 내부로 처리수 유입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외면 저장부(642)의 입구(645)는 그 내부로 충분한 양의 처리수가 유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구비해야 한다.When the width of the
외면 저장부(642) 내부와 내면 돌출부(641) 내부는 드럼 하우징(660)에 형성된 통공(662)에 의해 연통된다. 따라서, 드럼 하우징(660) 회전에 의하여 외면 저장부(642)가 상승하면, 외면 저장부(642) 내부의 물이 통공(662)을 통하여 내면 돌출부(641)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이 물은 내면 돌출부(641)의 출구(644)를 통하여 드럼 하우징(660) 내부로 낙하할 수 있다. The inside of the outer
제2상승부재(650)는 드럼 하우징의 통공(662)을 통하여 처리수를 넓은 범위에 분산시켜서 분사시키는데, 구체적으로 제2상승부재(650)는 드럼 하우징(660)의 외면에 따라서 다수 구비되어 드럼 하우징(660)이 회전됨에 따라서 용출조(610)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드럼 하우징(660) 내부로 낙하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The second rising
이러한 제2상승부재(650)는, 드럼 하우징(66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 처리수를 끌어올려 드럼 하우징(660)으로 유입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드럼 하우징(660)의 외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외면 돌출부(651)와, 외면 돌출부(651)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절곡부(652)와, 외면 돌출부(651)로부터 제1절곡부(652)와는 반대되는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절곡부(653)를 포함한다.The second rising
제2상승부재(650)의 외면 돌출부(651)는, 드럼 하우징(660)의 외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The outer
그리고, 제1절곡부(652)는, 외면 돌출부(651)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외면 돌출부(651)의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제1절곡부(652)와 외면 돌출부(65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드럼 하우징(660)의 정회전시, 처리수가 수용되어 끌어올려지는 공간이 된다. In addition, the first
또한, 제2절곡부(653)는, 제1절곡부(652)와 마찬가지로 외면 돌출부(651)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제1절곡부(652)가 절곡된 반대 방향인 타측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제2절곡부(653)와 외면 돌출부(65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드럼 하우징(660)의 역회전시, 처리수가 수용되어 끌어올려지는 공간이 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bent portion 653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한편, 제2상승부재(650)가 인접된 드럼 하우징(660)의 일부분에는, 비다공부(654)가 형성된다. 이러한 비다공부(654)는, 드럼 하우징(660)에 다수 형성된 통공(662)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 즉, 드럼 하우징(660)의 내부와 용출조(610) 사이가 막혀 있는 부분으로서, 제2상승부재(650)에 의해 끌어올려지는 처리수가 끌어올려지는 도중에 드럼 하우징(660)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소정 위치까지 끌어올려진 후 넓은 범위에 걸쳐 처리수가 분산되어 낙하될 수 있도록 드럼 하우징(660) 내부로 유입되도록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a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10)의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600)는 좁은 범위에 집중적으로 분사하는 제1상승부재(640)와 넓은 범위에 분산시켜서 분사하는 제2상승부재(650)에 의해 낙하하는 처리수의 양이 많아지므로 오염토의 중금속 용출 효과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the drum-type heav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10)의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600)는 특정 구조의 제1상승부재(640) 및 제2상승부재(650)를 드럼 하우징(660) 내외면에 일체형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드럼 하우징(660)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보다 컴팩트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600)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drum-type heavy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600)에서 산 세척된 물과 입자는 진동 세척 탈수장치(700)로 공급되는데, 이러한 진동 세척 탈수장치(700)은,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600)에서 산 세척된 입자에서 수분을 탈수하여 청정 모래 배출 컨베이어(800)를 통해 0.075mm~2mm 크기의 청정 모래를 생성 반출하거나, 청정 모래를 제외한 나머지 입자들은 펌프(P)를 통하여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900)으로 공급되어 후속 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The water and particles washed in the drum-type heavy
청정 모래 배출 컨베이어(800)는 청정 자갈 배출 컨베이어(400)와 서로 나란하며 오염토양 이송 컨베이어(100)와 교차되는 제2방향(D2)으로 배치되며, 특히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10)의 중앙 섹터(SM)과 제2주변 섹터(S2)를 정의하는 기준이 된다. The clean
진동 세척 탈수장치(700)를 거친 미세 토사는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10)의 제2주변 섹터(S2)에 배치된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900)으로 제공되는데, 이러한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900)은, 습식으로 입도 분리를 수행하여 제2기준 입도보다 작은 입자를 제2a배출구(911)로 배출하고 제2기준 입도보다 큰 입자를 제2b배출구(921)로 배출한다. 특히 이러한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900)은,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5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습식으로 제2기준 입도를 기초로 입도 분리를 수행하는데, 이러한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900)은 크게 속이 빈 원추형의 제2테이퍼부(910)와 제2노즐부(920)로 구성되고, 원통형의 접선방향에서 진입하는 제2투입구(930)와, 제2테이퍼부(910)의 넓은 입구 측에 연결되는 제2a배출구(911)와, 제2노즐부(920)에 연결되는 제2b배출구(921)로 구성된다. The fine soi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vibration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900)의 제2a배출구로 배출되는 제2기준 입도보다 작은 입자는 침사조(1000)로 공급되고, 제2b배출구(921)로 배출되는 제2기준 입도보다 큰 입자는 진동 세척 탈수장치(700)에 의하여 다시 탈수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Particles smaller than the second reference particle size discharged through the 2a discharge port of the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500)의 제1a배출구(511)와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900)의 제2a배출구(911)에서 배출되는 미세 토사는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10)의 제2주변 섹터(S2)에 배치된 침사조(1000)로 공급된다. The microsatellite discharged from the
이렇게 제1 및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500,900)을 거친 제1 및 제2기준 입도 이하의 미세 토사와 세척수는 침사조(1000)에서 5∼10분 정도 체류하면서 미세 토사가 중력 침전되어 세척수와 분리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ne soil and washing water having a particle size of less than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particle size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ydrocyclones 500 and 900 remain in the
따라서 침사조(1000)의 하부에 침전된 미세 토사는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의 중앙 섹터(SM)에 배치된 농축조(1200)로 공급되고, 나머지 침전되지 않은 극미세토양과 상등수는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10)의 제2주변 섹터(S2)에 배치된 침전조(1100)로 공급된다.Therefore, the fine sediment deposited in the lower part of the
그리고, 침전조(1100)로 공급된 극미세토양과 세척수는 침전조(1100)에 응집제를 투여하여 극미세토양을 응집, 침전시키고 침전된 극미세토양은 농축조(1200)를 통해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10)의 제1주변 섹터(S1)에 배치된 필터 프레스(1300)로 공급되고, 오염수는 침사조 처리수조(1010)로 공급되어 세척수로서 재이용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ultrafine soil and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이때 응집제는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10)의 제2주변 섹터(S2)에 배치된 응집제 교반조(1110)에서 세척수와 상호 혼합되어 침전조(1100)로 투입되는 것이다. 응집제는 액체 속에 현탁되어 있는 고체입자를 서로 뭉치도록 하여 침강시키는 물질로서 무기전해질 또는 유기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locculant is mixed with the washing water in the
한편, 침사조(1000) 및 침전조(1100)에는 각각 침사조(1000) 및 침전조(1100)에서 배출되는 스컴을 제거하기 위한 스컴제거장치(1020)와 스컴저장장치(1120)가 접속되어 있다. 스컴제거장치(1020,1120)는 침사조(1000)와 침전조(1100)에서 부유고형물이 분리된 오폐수를 채우고 공기를 주입하여 상부에 부상하는 미세부유고형물 및 유분 등을 걷어내어 스컴저장장치(1020,1120)에 저장하게 된다. Meanwhile, a
여기서, 침전조(1100)에서 보내지는 스컴은 유수 분리조(1140)로 유입되어 스컴 중에 함유된 기름을 분리하게 된다. 이러한 유수 분리조(1140)를 통하여 분리된 기름은 오일 저장탱크(1150)에 저장될 수 있다. Here, the scum sent from the
농축조(1200)는,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의 중앙 섹터(SM)에 배치되어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10)의 제2주변 섹터(S2)에 배치된 침사조(1000) 및 침전조(1100)에서 공급된 미세 토사를 농축시켜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10)의 제1주변 섹터(S1)에 배치된 필터 프레스(1300)로 이송하게 된다. The concentrating
이러한 필터 프레스(1300)는, 농축된 미세 토사를 탈수시켜 탈수 케이크로 배출하고, 탈수 과정에서 배출되는 청수는 여액 탱크(1310)로 이송되며, 탈수 케이크는 별도의 탈수 케이크 처리설비로 이송될 수 있다. The
이러한 필터 프레스(1300)는 공압식 필터 프레스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은, 필터 프레스(1300)에 충진된 슬러지를 공기압에 의해 압착시키는 에어 탱크(1320);와, 공기를 압축하여 에어 탱크(1320)에 저장하기 위한 에어 컴프레셔(1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한편, 유수 분리조(1140)에서 기름이 분리된 물은 공정수 저장조(1400)로 공급되는데, 이러한 공정수 저장조(1400)는 믹스 와셔(200)와 습식 진동 선별장치(300)와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600) 및 진동 세척 탈수장치(700)에 물을 공급하게 되며, 공정수 저장조(1400)에는 공정수 저장조(1400)의 물이 일정 수위가 되도록 물을 보충하는 보충수 저장조(1500)가 접속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separated from the oil in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10)의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500), 농축조(1200), 유수 분리조(1140), 공정수 저장조(1400), 보충수 저장조(1500)는 중앙 섹터(SM)에 배치되고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900), 진동 세척 탈수장치(700), 침사조(1000), 침전조(1100)가 제2주변 섹터(S2)에 배치되는데 이는 서로 연계된 구성 요소를 최적의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현장 설치 부지를 최소화시키면서도 필터 프레스(1300)를 제1주변 섹터(S1)에 배치하여 필터 프레스(1300)에서 배출되는 탈수 케이크가 오염토가 투입되는 방향 그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세척된 청정 모래와 청정 자갈은 탈수 케이크와 구분되게 시스템(10)의 앞쪽으로 배출시켜 효율적인 관리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유류와 중금속으로 복합 오염된 토양의 동시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Here,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10)은, 서로 연계된 구성 요소를 인접한 위치에 설치하면서도 작업자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 시켜서 근무 환경을 개선하도록 하는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compact composite soi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의 정화 시스템의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7 is a view showing a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of a purification system for a compact complex soil so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600a)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용출재 탱크(21,22,23)에서 제공되는 용출재와 오염토를 혼합하여 오염토에서 중금속을 용출하기 위한 처리수가 유입되는 용출조(610)와, 용출조(610) 내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통공을 가지며 부상 회전함으로써 오염토에 결합되어 있는 중금속을 용출하는 회전 드럼(620a)과, 회전 드럼(620a)을 용출조(610) 내부에 부상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630)와, 회전 드럼(620a)의 내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회전 드럼(620a)이 회전할 때 오염토를 끌어 올려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내면 돌출부(641) 및 그 내부의 처리수를 내면 돌출부(641)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내면 돌출부(641)와 대응하는 위치의 회전 드럼(620) 외면에 설치되어 회전 드럼(620)이 회전됨에 따라서 용출조(610)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외면 저장부(642)를 구비하는 제1상승부재(640)와, 회전 드럼(620a)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회전 드럼(620a)이 회전됨에 따라서 용출조(610)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회전 드럼(620a) 내부로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제2상승부재(65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and 7, the drum-type heav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600)의 제2상승부재(650a)는 드럼 하우징(660)의 외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드럼 하우징(66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용출조(610)의 하부에 고인 처리수가 제2상승부재(650a)의 동작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리게 됨으로써 오염토에서 중금속 용출을 위하여 강한 처리수의 흐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The second rising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600)는 중금속 용출이 이루어질 때는 드럼 하우징(660)의 외면에 나선형상으로 마련된 제2상승부재(650a)의 동작에 의해 용출조(610) 하부에 고인 처리수에 중금속 용출을 위한 강한 처리수의 흐름이 형성된다. 즉 드럼 하우징(660)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드럼 하우징(660) 외부의 처리수가 제2상승부재(650a)의 동작에 의해 드럼 하우징(660)의 전방으로 밀리게 되고, 드럼 하우징(660)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드럼 하우징(660) 외부의 처리수가 제2상승부재(650a)의 동작에 의해 드럼 하우징(660)의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Therefore, the drum-type heavy
이러한 동작에 의해서 용출조(610)에 채워진 처리수는 전후방향으로 유동을 하며 중금속의 용출을 위한 강한 흐름이 형성되므로, 드럼 하우징(660) 전방 쪽의 수위를 보다 상승시키거나 드럼 하우징(660) 후방 쪽의 수위를 보다 상승시키는 현상이 반복된다. 그리고 이러한 처리수 흐름의 변화와 처리수의 요동은 드럼 하우징(660)의 통공(662)을 통해 드럼 하우징(660) 내부의 처리수에 전해지므로 오염토에서의 중금속 용출 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Through this operation, the treated water filled i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8a 내지 도 9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a 및 도 8b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a 및 도 9b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9A.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8A and 8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used in a compact type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A and 9B are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S. 8A and 8B This is an enlarged view of a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used in a compact type complex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8a 및 도 8b,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600b)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용출재 탱크(21,22,23)에서 제공되는 용출재와 오염토를 혼합하여 오염토에서 중금속을 용출하기 위한 처리수가 유입되는 용출조(610)와, 용출조(610) 내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통공을 가지며 부상 회전함으로써 오염토에 결합되어 있는 중금속을 용출하는 회전 드럼(620b)과, 회전 드럼(620b)을 용출조(610) 내부에 부상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630)와, 회전 드럼(620b)의 내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회전 드럼(620b)이 회전할 때 오염토를 끌어 올려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로 경사도를 다르게 하는 부재들로 이루어진 내면 돌출부(641a) 및 그 내부의 처리수를 내면 돌출부(641a)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내면 돌출부(641a)와 대응하는 위치의 회전 드럼(620b) 외면에 설치되어 회전 드럼(620b)이 회전됨에 따라서 용출조(610)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외면 저장부(642a)를 구비하는 제1상승부재(640a)와, 회전 드럼(620b)의 외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회전 드럼(620b)이 회전됨에 따라서 용출조(610)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회전 드럼(620b) 내부로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2상승부재(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8A and 8B, as shown in FIGS. 9A and 9B, the drum-type heav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600b)의 제1상승부재(640a)는, 드럼 하우징(66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내면 돌출부(641a)와, 그 내부의 처리수를 제1내면 돌출부(641a)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1내면 돌출부(641a)와 대응하는 위치의 드럼 하우징(660) 외면에 형성되어 드럼 하우징(660)이 회전됨에 따라서 용출조(610)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제1내면 돌출부(641a)의 출구(644a)를 통하여 좁은 범위에 집중적으로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1외면 저장부(642a)를 구비하는 제1a상승부재(670a);와, 제1내면 돌출부(641a)에서 일체로 연장되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내면 돌출부(641b)와, 그 내부의 처리수를 제2내면 돌출부(641b)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2내면 돌출부(641b)와 대응하는 위치의 드럼 하우징(660) 외면에 형성되어 드럼 하우징(660)이 회전됨에 따라서 용출조(610)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제2내면 돌출부(641b)의 출구(644a)를 통하여 좁은 범위에 집중적으로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2외면 저장부(642b)를 구비하는 제1b상승부재(680a);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이렇게 제1a상승부재(670a)와 길이 방향에 대하여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b상승부재(680a)를 포함하는 것으로 오염토가 최상부위치로 올려지면서 드럼 하우징(660)의 중심부 쪽으로 쏠리게 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낙하시킬수 있게하여 오염토의 중금속 용출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Including the
제1상승부재(640)의 다른 변형례로는, 내면 돌출부(641)는 높이를 달리하는데, 드럼 하우징(66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평부재로 이루어진 제1내면 돌출부(641a)와, 그 내부의 처리수를 제1내면 돌출부(641a)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1내면 돌출부(641a)와 대응하는 위치의 드럼 하우징(660) 외면에 형성되어 드럼 하우징(660)이 회전됨에 따라서 용출조(610)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제1내면 돌출부(641a)의 출구(644a)를 통하여 좁은 범위에 집중적으로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1외면 저장부(642a)를 구비하는 제1a상승부재(670a);와, 제1내면 돌출부(641a)와 불연속적으로 배치되며 드럼 하우징(66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부재로 이루어진 제2내면 돌출부(641b)와, 그 내부의 처리수를 제2내면 돌출부(641b)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2내면 돌출부(641b)와 대응하는 위치의 드럼 하우징(660) 외면에 형성되어 드럼 하우징(660)이 회전됨에 따라서 용출조(610)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제2내면 돌출부(641b)의 출구(644a)를 통하여 좁은 범위에 집중적으로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2외면 저장부(642b)를 구비하는 제1b상승부재(680a);를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modification of the
이렇게 제1a상승부재(670a)와 제1b상승부재(680a)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장착된 내면 돌출부(641)는 경사부재에서 높이 변화에 따라 상대적으로 무거운 오염토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로 끌어올려 낙하시킬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가벼운 오염토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서 경사부재와 수평부재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으로 낙하시킬수 있게 하여 오염토의 상태에 따라서 선별적인 중금속 용출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way,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10)의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600b)는 제1상승부재(640a)의 제1a상승부재(670a)와 제1b상승부재(680a)의 배열 또는 간격을 다르게 하는 것으로 오염토의 중금속 용출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거나 오염토의 상태에 따라서 선별적인 중금속 용출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the drum-type heav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은 서로 연계된 구성 요소별로 구획하여 배치함으로써 현장 설치 부지를 최소화시켜 효율적인 관리 운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시켜서 근무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pact complex polluted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and arranged for each component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by minimizing the site installation site, enabling efficient management operation, and minimizing the moving distance of workers. It can be seen that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is a basic technical idea. Therefore, of course,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100...오염토양 이송 컨베이어
200...믹스 와셔 300...습식 진동 선별장치
400...청정 자갈 배출 컨베이어 500...제1하이드로 사이클론
600...어트리션 스크러버 700...진동 세척 탈수장치
800...청정 모래 배출 컨베이어 900...제2하이드로 사이클론
1000...침사조 1100...침전조
1200...농축조 1300...필터 프레스
1400...공정수 저장조 1500...보충수 저장조10 ... Compact type contaminated
200 ...
400 ... clean
600 ...
800 ... Clean
1000 ...
1200 ...
1400 ... Process
Claims (10)
상기 오염토양 이송 컨베이어의 일단에 배치되어 공급된 오염토를 축 회전 방식으로 제1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믹스 와셔;와,
상기 믹스 와셔의 일단에서 배치되어 공급된 오염토에서 일정 입도 이하의 토사는 통과시키고 일정 입도 이상의 토사는 통과하지 못하고 청정 자갈이 생성되게 하는 습식 진동 선별장치;와,
상기 오염토양 이송 컨베이어와 교차되면서 상기 청정 자갈이 배출되게 하는 제2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시스템의 중앙 섹터과 제1주변 섹터를 정의하는 기준이 되는 청정 자갈 배출 컨베이어;와,
상기 시스템의 중앙 섹터에 배치되어 상기 습식 진동 선별장치에서 유입된 토사에 대하여 습식으로 입도 분리를 수행하여 제1기준 입도보다 작은 입자를 제1a배출구로 배출하고 제1기준 입도보다 큰 입자를 제1b배출구로 배출하는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과,
상기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의 제1b배출구에서 배출된 제1기준 입도보다 큰 입자에서 중금속을 용출하기 위한 처리수가 유입되는 용출조와, 상기 용출조 내부에 설치되어 부상 회전함으로써 오염토의 낙하하는 힘을 이용하여 오염토에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중금속이 용출되게 하는 회전 드럼과, 상기 회전 드럼을 상기 용출조 내부에 부상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를 포함하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와,
상기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에서 배출된 입자에서 수분을 탈수하여 청정 모래를 생성하는 진동 세척 탈수장치;와,
상기 청정 자갈 배출 컨베이어와 평행하도록 상기 오염토양 이송 컨베이어와 교차되면서 상기 청정 모래가 배출되는 제2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시스템의 중앙 섹터과 제2주변 섹터를 정의하는 기준이 되는 청정 모래 배출 컨베이어;와,
상기 제2주변 섹터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 세척 탈수장치를 거친 토사에 대하여 습식으로 입도 분리를 수행하여 제2기준 입도보다 작은 입자를 제2a배출구로 배출하고 제2기준 입도보다 큰 입자를 제2b배출구로 배출하는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과,
상기 제2주변 섹터에 배치되어 상기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의 제1a배출구 및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의 제2a배출구에서 미세 토사를 공급받아서 상기 미세 토사가 바닥으로 중력 침강되게 하는 침사조;와,
상기 제2주변 섹터에 배치되어 상기 침사조에서 침전되지 않은 미세 토사를 공급받아서 응집제를 이용하여 바닥으로 침전되게 하는 침전조;와,
상기 중앙 섹터에 배치되어 상기 침사조 및 침전조의 토출단에 연결되어 상기 침사조 및 침전조에 토출되는 슬러지를 저류시키고 중력 분리된 농축 슬러지를 생성시키는 농축조;와,
상기 제1주변 섹터에 배치되어 상기 농축조에서 토출된 농축 슬러지가 유입되어 물을 배출시켜 농축 슬러지를 탈수 케이크로 생성시켜서 상기 제1방향으로 배출하는 필터 프레스;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드럼은,
용출 대상인 미세 토사가 유입되는 제1크기의 원통형 인렛 드럼;과,
상기 인렛 드럼을 거쳐서 유입된 미세 토사가 부상 회전하여 상기 미세 토사에서 중금속이 용출되도록 그 외주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 나선형의 제1회전 이송날이 형성되는 상기 제1크기보다 큰 제2크기의 원통형 드럼 하우징;과,
상기 드럼 하우징에서 중금속이 용출된 미세 토사가 외부로 배출되게 그 내주면에 나선형의 제2회전 이송날이 형성되는 상기 제1크기의 원통형 아웃렛 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는,
상기 드럼 하우징의 내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드럼 하우징이 회전할 때 오염토를 끌어 올려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그 출구를 통하여 처리수를 좁은 범위에 집중적으로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내면 돌출부, 및 그 내부의 처리수를 상기 내면 돌출부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내면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드럼 하우징 외면에 결합되는 쪽이 개방된 사다리꼴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드럼 하우징이 회전됨에 따라서 상기 용출조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외면 저장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제1상승부재;와,
상기 드럼 하우징의 외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1상승부재와 교번적으로 위치하면서 상기 드럼 하우징이 회전됨에 따라서 상기 용출조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상기 드럼 하우징의 통공을 통하여 넓은 범위에 분산시켜서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제2상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상승부재는, 상기 드럼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드럼 하우징의 외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된 외면 돌출부와, 상기 외면 돌출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절곡부와, 상기 외면 돌출부로부터 상기 제1절곡부와는 반대되는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상승부재는, 상기 드럼 하우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용출조의 하부에 고인 처리수가 상기 제2상승부재의 외면 돌출부와 제1 및 제2절곡부의 동작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리게 됨으로써 오염토에서 중금속 용출을 위하여 강한 처리수의 흐름이 형성되게 하며,
상기 제2상승부재가 인접된 드럼 하우징의 일부분에는, 비다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상승부재에 의해 끌어올려지는 처리수가 끌어올려지는 도중에 드럼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소정 위치까지 끌어올려진 후 넓은 범위에 걸쳐 처리수가 분산되어 낙하될 수 있도록 상기 드럼 하우징 내부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A contaminated soil transfer conveyor that is disposed along a first direction in which contaminated soil is supplied and dehydrated cake is discharged so that the contaminated soil is quantitatively transferred; and,
Mix washer is disposed on one end of the contaminated soil transport conveyor to transport the contaminated soil supplied in the first direction in an axial rotation manner to spray and wash the washing water;
Wet vibration sorting device that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mix washer to pass the soil less than a certain particle size in the contaminated soil to pass through, and the soil more than a certain particle size does not pass, and generates clean gravel; and,
Clean gravel discharge conveyor that is arranged along a second direction to cross the contaminated soil transport conveyor and discharges the clean gravel as a reference for defining a central sector and a first peripheral sector of the system; and,
The particle size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particle size is discharged to the 1a discharge port by performing particle size separation on the soil introduced from the wet vibration sorting device in the central sector of the system, and the particle larger than the first reference particle size is 1b. A first hydro cyclone to discharge to the outlet; And,
The elution tank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hydrocyclone and the treatment water for eluting heavy metals from particles larger than the first reference particle size discharged from the first b outlet of the first hydrocyclone is installed inside the elution tank. A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including a rotating drum that allows heavy metal chemically bound to the contaminated soil to elute by using the falling force of the contaminated soil by floating rotation, and a rotating device that floats and rotates the rotating drum inside the elution tank. ;Wow,
A vibration washing dewatering device disposed adjacent to the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to dehydrate moisture from particles discharged from the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to generate clean sand; and,
A clean sand discharge conveyor that is arranged along a second direction in which the clean sand is discharged while being intersected with the contaminated soil transport conveyor so as to be parallel to the clean gravel discharge conveyor, and serves as a standard for defining a central sector and a second peripheral sector of the system; and,
Particles that are disposed in the second peripheral sector and are subjected to particle size separation wetly on the soi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vibration washing dehydration device to discharge particles smaller than the second reference particle size into the 2a outlet and particles larger than the second reference particle size to the 2b outlet A second hydro cyclone discharged to; And,
A sedimentation tank disposed in the second peripheral sector to receive micro-soil from the 1a discharge port of the first hydrocyclone and the 2a discharge port of the second hydro cyclone to allow the fine soil to gravity settle to the bottom; and,
A sedimentation tank disposed in the second peripheral sector to receive fine sediment that has not been precipitated in the sedimentation tank and to settle to the bottom using a flocculant; and,
A concentration tank disposed in the central sector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ends of the settling and sedimentation tanks to store sludge discharged to the settling and sedimentation tanks and generate gravity-separated concentrated sludge; and,
It includes; a filter press disposed in the first peripheral sector to discharge the concentrated sludge discharged from the concentration tank to discharge water to generate concentrated sludge into a dehydrated cake and discharge it in the first direction;
The rotating drum,
A cylindrical inlet drum of the first size to which the fine soils to be eluted flow;
A larger size than the first size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piral first rotating transfer blad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heavy metals are eluted and rotated through the inlet drum so that heavy metals are eluted. Two-sized cylindrical drum housing; and,
It includes; a cylindrical outlet drum of the first size in which a second rotating transfer blade of a spiral is formed on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fine soil from which the heavy metal is eluted from the drum housing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drum-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It is formed so as to protru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housing,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pulling up and dropping contaminated soil when the drum housing rotates, and at the same time, an inner surface protrusion that performs a function of intensively dropping treated water to a narrow range through its outlet, And a trapezoidal container having an open sid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rum hous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protrusion so as to supply the treated water therein to the inner surface protrusion. A plurality of first rising member having an outer surface storage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pulling the treated water upward to drop therein; and,
It is formed so as to protrud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um housing, while alternately position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lifting members, as the drum housing is rotated, the treated water inside the elution tank is pulled upward and wide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drum housing. It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rising member that performs a function of dispersing and falling in the range;
The second rising member includes an outer surface protrusion formed protruding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drum housing and extending in a spiral shap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rum housing, and a first bending part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protrusion. , A second bent portion ext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protrusion in the other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bent portion,
When the drum housing rotates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second rising member is pushed forward or rearward by the operation of the outer surface protrusion of the second rising member and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parts of the second elevating member. This results in a strong stream of treated water for elution of heavy metals from contaminated soil.
A portion of the drum housing adjacent to the second rising member is formed with a non-porous portion, and does not flow into the drum housing while the number of treatments being pulled up by the second rising member is being raised, and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 compact complex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by being accommodated into the drum housing so that the treated water is dispersed and dropped over a wide range.
상기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은,
상기 침전조에 인접하게 위치하면서 상기 중앙 섹터에 배치되어 상기 침전조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침전조에서 보내지는 기포가 유입되어 기포 중에 함유된 기름을 분리하는 유수 분리조;와,
상기 중앙 섹터에 배치되어 상기 유수 분리조에서 기름이 분리된 물을 공급받아서 상기 믹스 와셔와 습식 진동 선별장치와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 및 진동 세척 탈수장치에 물을 공급하는 공정수 저장조;와,
상기 중앙 섹터에 배치되어 상기 공정수 저장조의 물이 일정 수위가 되도록 물을 보충하는 보충수 저장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act complex soil purification system,
It is located adjacent to the sedimentation tank and is disposed in the central sector, is located adjacent to the sedimentation tank, and the air bubbles sent from the sedimentation tank are introduced to separate the oil contained in the bubbles.
A process water storage tank disposed in the central sector to supply water to the mix washer, the wet vibration sorting device, the drum type heavy metal elution tank, and the vibration washing dewatering device by receiving water separated from the oil separation tank; and,
And a replenishment water storage tank disposed in the central sector to replenish water so that the water in the process water storage tank is at a constant water level.
상기 제1상승부재는,
상기 드럼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내면 돌출부와, 그 내부의 처리수를 상기 제1내면 돌출부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내면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드럼 하우징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드럼 하우징이 회전됨에 따라서 상기 용출조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상기 제1내면 돌출부의 출구를 통하여 좁은 범위에 집중적으로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1외면 저장부를 구비하는 제1a상승부재;와,
상기 제1내면 돌출부에서 일체로 연장되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내면 돌출부와, 그 내부의 처리수를 상기 제2내면 돌출부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내면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드럼 하우징 외면에 형성되어 드럼 하우징이 회전됨에 따라서 상기 용출조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상기 제2내면 돌출부의 출구를 통하여 좁은 범위에 집중적으로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2외면 저장부를 구비하는 제1b상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ising member,
The outer surface of the drum hous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ner surface protrusion so that the first inner surface protrusion formed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housing and the processing water therein can be supplied into the first inner surface protrusion. It is formed in the drum housing is provided with a first outer surface storage unit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intensively dropping to a narrow range through the outlet of the first inner surface protrusion by raising the treated water inside the elution tank upward as the drum is rotated 1a rising member; and,
The second inner surface protrusion which extends integrally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protrusion but is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drum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ner surface protrusion so as to supply the treated water therein into the second inner surface protrusion. I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s the drum housing is rotated, it has a second outer surface storage unit that pulls the treated water inside the elution tank upward and performs a function of intensively falling in a narrow range through the outlet of the second inner surface protrusion. A compact composite soil soil purification system comprising a; 1b rising member.
상기 제1상승부재는,
상기 드럼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평부재로 이루어진 제1내면 돌출부와, 그 내부의 처리수를 상기 제1내면 돌출부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내면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드럼 하우징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드럼 하우징이 회전됨에 따라서 상기 용출조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상기 제1내면 돌출부의 출구를 통하여 좁은 범위에 집중적으로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1외면 저장부를 구비하는 제1a상승부재;와,
상기 제1내면 돌출부와 불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드럼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부재로 이루어진 제2내면 돌출부와, 그 내부의 처리수를 상기 제2내면 돌출부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내면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드럼 하우징 외면에 형성되어 드럼 하우징이 회전됨에 따라서 상기 용출조 내부의 처리수를 상부로 끌어 올려 상기 제2내면 돌출부의 출구를 통하여 좁은 범위에 집중적으로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2외면 저장부를 구비하는 제1b상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ising member,
A first inner surface protrusion made of a horizontal membe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housing, an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um hous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ner surface protrusion so as to supply the treated water therein into the first inner surface protrusion As the drum housing is rotated, the first 1a rise having a first outer surface storage part that performs a function of intensively dropping the treated water inside the elution tank to the upper part through the outlet of the first inner surface protrusion part Absence;
The second inner surface protrusion, which is disposed discontinuously with the first inner surface protrusion and is made of an inclined membe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housing, and the second inner surface protrusion so as to supply the treated water therein into the second inner surface protrusion. I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um housing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intensively dropping a narrow range through the outlet of the second inner surface protrusion by raising the treated water inside the elution tank upward as the drum housing is rotated. A compact composite soil soil purification system comprising a; 1b rising member having a second outer surface storage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2456A KR102099047B1 (en) | 2019-09-10 | 2019-09-10 | Compact type remediation system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2456A KR102099047B1 (en) | 2019-09-10 | 2019-09-10 | Compact type remediation system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9047B1 true KR102099047B1 (en) | 2020-04-08 |
Family
ID=70275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2456A Active KR102099047B1 (en) | 2019-09-10 | 2019-09-10 | Compact type remediation system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9047B1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4251B1 (en) * | 2020-04-03 | 2020-07-15 | 박도균 | Wash purification system for contaminated soil |
CN112030214A (en) * | 2020-08-29 | 2020-12-04 | 冯玉武 | Gradient color electroplating equipment and electroplating method |
KR102230364B1 (en) * | 2020-09-15 | 2021-03-22 | (주)자연과환경 | Soil cleaning system with cleaning the transfer pipes by air |
KR102263085B1 (en) * | 2020-07-06 | 2021-06-10 | 주식회사 아이케이 | Method for Removing of Heavy Metals and Oil from Contaminated Soils and Reusing the Washingwater |
KR102355048B1 (en) * | 2021-04-22 | 2022-01-24 | (주)신대양 | Complex polluted soil purification system |
KR102388288B1 (en) * | 2021-08-13 | 2022-04-19 | (주)신대양 | High magnetic combine system for efficient heavy metal treatment |
KR102389010B1 (en) * | 2021-08-13 | 2022-04-22 | (주)신대양 | Heavy metal-contaminated soil complex treatment system using high magnetic |
KR102423221B1 (en) * | 2021-08-13 | 2022-07-20 | (주)신대양 | Complex contaminated soil treatment system with high magnetic separator and scum removal device |
CN119387245A (en) * | 2024-12-31 | 2025-02-07 | 温州垠星建设有限公司 | Stone washing and mud removing device for highway subgrade constructio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84386A (en) * | 2007-03-16 | 2008-09-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Drum Washing Machine |
KR101915030B1 (en) * | 2018-02-08 | 2019-01-07 | 측천산업(주) | Drum type heavy metal release reactor for remediation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
KR101957650B1 (en) * | 2018-11-28 | 2019-03-13 | 주식회사 에코프라임 | Grit flotation apparatus, multistage grit chamber and remediation system of contaminated soils comprising thereof |
-
2019
- 2019-09-10 KR KR1020190112456A patent/KR10209904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84386A (en) * | 2007-03-16 | 2008-09-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Drum Washing Machine |
KR101915030B1 (en) * | 2018-02-08 | 2019-01-07 | 측천산업(주) | Drum type heavy metal release reactor for remediation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
KR101957650B1 (en) * | 2018-11-28 | 2019-03-13 | 주식회사 에코프라임 | Grit flotation apparatus, multistage grit chamber and remediation system of contaminated soils comprising thereof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4251B1 (en) * | 2020-04-03 | 2020-07-15 | 박도균 | Wash purification system for contaminated soil |
KR102263085B1 (en) * | 2020-07-06 | 2021-06-10 | 주식회사 아이케이 | Method for Removing of Heavy Metals and Oil from Contaminated Soils and Reusing the Washingwater |
CN112030214A (en) * | 2020-08-29 | 2020-12-04 | 冯玉武 | Gradient color electroplating equipment and electroplating method |
CN112030214B (en) * | 2020-08-29 | 2021-11-30 | 深圳市富笛邦科技有限公司 | Gradient color electroplating equipment and electroplating method |
KR102230364B1 (en) * | 2020-09-15 | 2021-03-22 | (주)자연과환경 | Soil cleaning system with cleaning the transfer pipes by air |
KR102355048B1 (en) * | 2021-04-22 | 2022-01-24 | (주)신대양 | Complex polluted soil purification system |
KR102388288B1 (en) * | 2021-08-13 | 2022-04-19 | (주)신대양 | High magnetic combine system for efficient heavy metal treatment |
KR102389010B1 (en) * | 2021-08-13 | 2022-04-22 | (주)신대양 | Heavy metal-contaminated soil complex treatment system using high magnetic |
KR102423221B1 (en) * | 2021-08-13 | 2022-07-20 | (주)신대양 | Complex contaminated soil treatment system with high magnetic separator and scum removal device |
CN119387245A (en) * | 2024-12-31 | 2025-02-07 | 温州垠星建设有限公司 | Stone washing and mud removing device for highway subgrade constru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99047B1 (en) | Compact type remediation system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 |
KR100534067B1 (en) | Soil washing method and facility for physical separation and remediation of polluted soil | |
KR102141236B1 (en) | Various dredged soil purification system | |
RU2337938C1 (en) | Installation and method for carbon extraction form solid source | |
KR101396416B1 (en) | The washing apparatus of oils and heavy metals contaminated soils using thermal stress crushing, the remediation system of oils and heavy metals contaminated soils comprising thereof, and remediation method of oils and heavy metals contaminated soils comprising thereof | |
KR102573143B1 (en) | Complex polluted soil purification and recycling system with high magnetic separator | |
KR100952752B1 (en) | Apparatus for washing soils polluted with oil and heavy metal and method thereof | |
KR100988942B1 (en) | Contaminated soil washing sorting system | |
KR101545231B1 (en) | Contaminated soil remediation system and remediation method having the same | |
KR100974911B1 (en) | Flow Cleaning System for Purifying Soil Contamination | |
KR101957650B1 (en) | Grit flotation apparatus, multistage grit chamber and remediation system of contaminated soils comprising thereof | |
KR100988047B1 (en) | Soil pollutant cleaning method and system | |
KR101782615B1 (en) | Contaminated soil remediation system and remediation method having the same | |
KR101915030B1 (en) | Drum type heavy metal release reactor for remediation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 |
KR101982969B1 (en) | Oil separating equipment for remediation system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 |
KR101658523B1 (en) | Remediation system of contaminated soil by soil separation and soil washing | |
KR102068941B1 (en) | Compact type remediation system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 |
KR101915035B1 (en) | Remediation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comprising drum type heavy metal release reactor | |
KR100460629B1 (en) | Soil Washing Apparatus and Soil Washing Device Using It | |
KR102099048B1 (en) | Drum type heavy metal release reactor for compact type remediation system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 |
KR102378387B1 (en) | Multi-stage particles separation release reactor and contaminated soils remediation system comprising thereof | |
KR102111034B1 (en) | Dredged soil processing device | |
US5824210A (en) | Separation of minerals | |
KR100987198B1 (en) | Contaminated soil washing sorting system loaded in the vehicle | |
JP4697719B2 (en) | Method for purifying contaminated soil and separation apparatus used theref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9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