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650B1 - Grit flotation apparatus, multistage grit chamber and remediation system of contaminated soils comprising thereof - Google Patents
Grit flotation apparatus, multistage grit chamber and remediation system of contaminated soils comprising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7650B1 KR101957650B1 KR1020180149568A KR20180149568A KR101957650B1 KR 101957650 B1 KR101957650 B1 KR 101957650B1 KR 1020180149568 A KR1020180149568 A KR 1020180149568A KR 20180149568 A KR20180149568 A KR 20180149568A KR 101957650 B1 KR101957650 B1 KR 1019576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il
- tank
- heavy metal
- fine
- slur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03B5/3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 B03B5/44—Application of particular media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0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using shaken, pulsated or stirred beds as the principal means of sepa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2—Extraction using liquids, e.g. washing, leaching, flo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침사 부선장치, 다단 침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 침사조의 전단에 침사 부선장치를 일체로 고정 설치하여 미세 토사 슬러리에서 중금속을 거품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사전에 제거하여 이후 진행되는 물리적 처리 공정에서 오염 토양이 효율적으로 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침사 부선장치, 다단 침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udge floatation apparatus, a multistage needle settling tank, and a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tage needle settling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udge flotation apparatus, a multistage needle settling tank, and a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환경오염은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특히 토양오염은 식량 생산에 매우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표수는 물론 지하수 오염을 통한 식수원의 오염을 유발하기 때문에 오염된 토양은 이른 시간에 정화될 필요가 있다.In general, environmental pollution can be classified into air pollution, water pollution, and soil pollution. Among them, soil pollution poses a serious threat to food production, and also pollutes the groundwater as well as groundwater pollution. Contaminated soil needs to be cleaned up early.
근래 국내에서 발생하는 토양오염은 주로 액상 폐기물의 무단 매립 또는 누출사고로 인하여 발생하며, 그 밖에 장기간 산업활동 과정에서 방치된 지상 적치물의 지하 확산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러한 발생요인에 의해 나타난 오염토양은 단일 종의 화합물보다는 여러 종류의 화학 종에 의해서 발생되며, 대표적인 복합 오염은 유류와 중금속의 형태로써 대부분의 산업활동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다.In recent years, soil pollution in Korea is mainly caused by unauthorized landfill or leakage of liquid wastes. In addition, it is caused by the underground diffusion of ground - level objects left in the course of long - term industrial activities. It is caused by various kinds of chemical species rather than single species compounds. Representative complex pollution occurs in most industrial activity areas in the form of oil and heavy metals.
최근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토양 세척, 소각, 고형화, 안정화 및 용매추출 등과 같은 물리화학적 방법과, 토양 경작, 콤포스팅,바이오 벤팅, 식물복원 등과 같은 생물학적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 중에서 비교적 쉽고 오염된 토양을 신속히 복원할 수 있는 것은 토양세척방법이다.Methods for recovering contaminated soil can be classified into physical methods such as soil washing, incineration, solidification, stabilization and solvent extraction, and biological methods such as soil cultivation, composting, bio-venting, and plant restoration. Among these methods, it is relatively easy to recover soil contaminated easily and is a soil washing method.
오염된 토양의 세척방법은 적절한 세척제를 사용하여 토양입자에 결합된 유해성 유기오염물질의 표면장력을 약화시키거나 중금속을 액상으로 변화시켜 토양입자로부터 분리시켜 처리하는 기법으로서, 광범위한 유기 및 무기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한편 오염물질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contaminated soil washing method is a technique of using a proper detergent to weaken the surface tension of the harmful organic pollutants bonded to the soil particles or to separate them from the soil particles by changing the heavy metal to liquid, And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kind of the pollutant.
상기에서 토양 세척방법은 In-situ 법과, Ex-situ 법으로 구분되며, In-situ 법은 오염된 토양을 굴착하지 않고 세척용액 주입정, 세척용액 배출정, 세척유출수 처리시설, 펌프 및 계장시설, 휘발물질 처리시설 등을 오염된 부지에 설치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오염토양 내에 세척제를 순환시켜 오염토양을 직접 세척하는 토양 세정법(Soil Flushing)으로서, 처리 시간이 길고 세척제의 회수가 어려움은 물론 이동성이 없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토양 세척방법은 주로 Ex-situ 법이 적용된다.The soil washing method is divided into an in-situ method and an ex-situ method. In-situ method is a method to remove contaminated soil without washing solution injecting solution, washing solution discharging solution, washing effluent treating solution, (Soil Flushing), which is a soil flushing method in which volatile substance treatment facilities are installed on contaminated sites and the contaminated soil is directly circulated by circulating the cleaning agent in the contaminated soil to be treated. As a result, the treatment time is long, Because there are no disadvantages, the soil washing method is mainly applied to the Ex-situ method.
Ex-situ 법은 토양 내 오염물질의 분포 및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범위의 오염된 토양을 굴착한 후, 적절한 세척제를 사용하여 굴착된 오염토양을 세척장치가 있는 곳에서 세척하는 방법으로서, 최근 일반화된 토양 세척법(Soil Washing)으로 이용된다.The Ex-situ method is used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pollutants in the soil and the phys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il, excavate the contaminated soil to be treated, and then use the appropriate detergent to remove the contaminated soil As a method of washing, it is used as a recently generalized soil washing method.
종래 토양 세척방법으로 오염된 토양을 다단계로 선별 및 세척하여 오염토양에 부착된 유류 및 중금속을 포함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토양을 복원하는 기술로서, 국내 특허 제10-0534067호(오염 토양의 복원과 선별 처리를 위한 토양 세척 방법과 장치)가 제안되었다.Conventional soil washing methods are used to select and wash the contaminated soil in multiple steps to remove various contaminants including oil and heavy metals attached to the contaminated soil, thereby restoring the soil. Korean Patent No. 10-0534067 (Restoration of Contaminated Soil And a soil was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were proposed.
상기의 선행기술은 오염토양을 건식 선별단계와, 고압 살수 선별단계를 통하여 선별한 다음, 1차 세척조에서 세척하는 동시에 오염물이 다량 함유된 부유 토양과 오염물이 소량 함유된 침적 토양으로 분리 배출한 후, 분리된 침적 토양을 2차 세척조에서 세척과 동시에 미세토와 조립토로 분리 배출하여 조립토는 탈수하여 복원용 토양으로 환원하며, 미세토는 1차 세척조에서 배출된 부유 토양과 함께 침전, 응집 및 탈수공정을 통하여 폐기용 오염슬러지로 만들고, 오염된 세척제는 중화시켜 재활용하는 기술이다.In the prior art, the contaminated soil is sorted through a dry sorting step and a high pressure spraying step, and then washed in a primary washing tank and simultaneously discharged and discharged into a flooded soil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contaminants and immersed soil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contaminants , The separated soil is washed and separated into fine soil and granular soil simultaneously with washing in the secondary washing tank, and the granular soil is dehydrated and reduced to the restoration soil. The fine soil is precipitated, flocculated and dehydrated together with the suspended soil discharged from the primary washing tank It is a technology to make waste sludge by the process and neutralize and clean the polluted cleaner.
이러한 종래의 선행기술은 건식 선별기와, 고압 살수 선별기에서 입도가 큰 토양입자를 선별한 후, 1차 및 2차세척조에서 세척공정이 수행된 다음, 세척공정에서 생성된 미세토와 부양토를 폐기용 오염 슬러지로 만들어 폐기하므로 폐기물의 처리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폐기물로 인하여 제2의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실정이고, 특히 미립자의 토양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Such conventional prior arts are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he soil particles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are selected in the dry separator and the high pressure spraying separator, the cleaning process is performed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washing tanks, and then the fine soil and floating soil generated in the washing process are discarded So that the second environmental pollution is caused by waste. In particular, pollutants adsorbed on the particulate soil can not be effectively removed.
또한, 종래의 토양 세척 기술만으로 금속 성분이 토양입자와 아주 강하게 결합되어 있는 경우, 금속성분 함유 토양과 미함유 토양의 밀도 및 표면 특성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 경우, 중금속의 다양한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세척 기술이 적용하기 힘든 경우, 중금속이 다양한 크기의 토양입자와 결합되어 있을 경우, 실트/점토의 함량이 30~50%를 넘거나 휴믹질 함량이 높은 토양의 경우, 높은 점도를 가지는 유기물이 토양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토양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metal component is strongly bonded to the soil particles only by the conventional soil washing technique, if the density and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metal-containing soil and the non-containing soil are not clearly distinguished, If the technique is difficult to apply, if the heavy metals are combined with soil particles of various sizes, or if the silt / clay content exceeds 30-50% or the soil with high humic conten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remove contaminants adsorbed on the soil.
특히, 종래의 토양 세척 기술은 적용대상토양이 미세토사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경우, 정화 효율이 낮은 특징이 있는데, 이는 비표면적이 높고, 흡착사이트가 다량 존재하는 미세토의 특징에 기인한 것으로, 조립토의 경우에 비하여 유,무기 오염물질이 더욱 강하게 흡착되므로 정화 공법을 통한 탈착이 어렵다.Particularly, in the conventional soil cleaning technology, when the soil to be applied contains a large amount of micro-soil, the purification efficiency is low. This is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micro-soil in which the specific surface area is high and the adsorption site is abundant, It is difficult to desorb the oil and the inorganic contaminants through the purification method because the contaminants are more strongly adsorbed.
또한, 중금속 오염토양을 정화하는 경우 현재까지의 경우 주로 대량의 산을 이용하는 산세척이 대부분 적용되었기 때문에 경제성, 친환경성, 작업성, 안전성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urifying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acid pickling using a large amount of acid was mainly applied so far, which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economy, environment friendliness, workability and safety.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단 침사조의 전단에 침사 부선장치가 일체로 고정 설치하여 미세 토사 슬러리에서 중금속을 거품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사전에 제거하여 이후 진행되는 물리적 처리 공정에서 오염 토양이 효율적으로 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침사 부선장치, 다단 침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contaminated soil efficiently by removing a heavy metal in a micro-soil slurry by sticking a float to the foam beforehand in a physical treatment process, And a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system including the multi-stage settling tank.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제1단 침사조와 제2단 침사조에서 토양 슬러리가 이동함에 있어서 경계부를 오버플로되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입경에 따른 중력 침전이 이루어지는 침사 부선장치, 다단 침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udge flotation apparatus in which gravity sedimentation is easi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grain size by causing the boundary portion to overflow when the soil slurry moves in the first and second monotonous sludge tanks, And to provide a soil purification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사 부선장치는,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것으로, 다단 침사조 전단에서 다단 침사조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세척 선별 공정을 거친 다음 분배조에서 유입되는 미세 토사 슬러리에서 미세 중금속을 거품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사전에 부상시켜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contaminated soil, which is used in a multistage needle barrel in a multi-stage needle barrel cleaning system, Wherein the heavy metal is floated and removed in the manner of attaching to the foam.
또한, 침사 부선장치는, 파이프 형상의 제1 및 제2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미세 토사 슬러리를 각각 공급받는 제1 및 제2부선조;와, 제1 및 제2부선조 내부에서 미세 토사 슬러리를 교반하면서 중금속만을 거품 형태로 부유시키는 제1 및 제2듀얼 부선기;와, 제1 및 제2부선조의 전단 외주면을 따라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중금속 거품이 각각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회전에 의해 배출되게 하는 제1 및 제2거품 배출부;와, 제1 및 제2거품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중금속 거품을 보관하여 외부로 반출되게 하는 제1 및 제2거품 보관 반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udge flotation apparatus comprising: first and second sub-scales each receiving fine soil slurry introduced through pipe-shaped first and second entrances; and first and second sub- The first and second dual flotage vessels are formed to be inclin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ubgoal vessels so that the heavy metal foam is discharg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crapers, And a first and a second foam storage and delivery part for storing heavy metal bubbles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foam discharge parts and allowing the bubbles to be taken out to the outside.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침사조는,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것으로, 세척 선별 공정을 거친 다음 분배조에서 유입되는 미세 토사 슬러리에서 미세 중금속을 거품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사전에 부상시켜서 제거하는 침사 부선장치가 일체로 고정 설치되고, 미세 토사 슬러리의 입경에 따른 중력 침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ultistage needle s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system. After the washing and sorting process, the micro-soil slurry flowing in the distribution tank is floated and removed in adv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needle barge apparatus is integrally fixed and installed so that gravity precipitation occurs depending on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soil slurry.
또한, 다단 침사조는, 침사 부선장치에서 유입된 미세 토사가 바닥으로 중력 침강되게 하되 조립 토사와 미립 토사가 순차적으로 분급되어 침강되게 하며, 조립 토사가 침강되고, 침강된 조립 토사를 제1습식 진동 선별기로 반송되게 하는 제1단 침사조;와, 미립 토사가 침강되고 상등수는 방류하되, 침강된 미립 토사를 제2습식 진동 선별기로 반송되게 하는 제2단 침사조;와, 제1단 침사조와 제2단 침사조의 사이에 위치되며 미세 토사 슬러리가 제1단 침사조에서 잠시 정체되었다가 제2단 침사조로 오버플로되게 하는 경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ultistage nitrification tank allows grains to be settled gravity down to the bottom, while granulated gravel and microgrooved soil are sequentially classified and settled, sedimented, and the sedimented granulated gypsum is subjected to a first wet vibration A second monotonous sludge sedimentation unit for sedimenting the fine sludge and discharging the supernatant to return the sedimented fine sludge to the second wet vibration discriminator, And a boundary portion located between the second-stage silt-forming tanks, wherein the fine tortoise slurry is temporarily stagnated in the first-stage tumbling tanks and overflowed to the second-stage tumbling tanks.
또한, 제1단 침사조의 상단에는 침사 부선장치가 위치하며, 제2단 침사조의 상단에는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a smelting flotation device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age silt bath, and a scum removing device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age silt bath.
본 발명의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은, 오염 토양을 공급하기 위하여 투입 호퍼와 투입 컨베이어가 구비되는 피딩 장치;와, 피딩 장치에서 공급된 오염 토양을 세척하기 위하여 투입된 오염 토양을 축 회전 방식으로 이송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습식 믹서와, 습식 믹서에서 세척된 오염 토양을 공급받아 제1a기준 입도 이상의 입자는 제1차 처리토를 생성하여 반출하고 제1a기준 입도 미만의 입자는 배출하는 제1습식 진동 선별기와, 제1습식 진동 선별기에서 유입된 입자에 대하여 습식으로 입도 분리를 수행하여 제2a기준 입도 미만의 입자를 제1a배출구로 배출하고 제2a기준 입도 이상의 입자를 제1b배출구로 배출하는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과,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에서 유입된 입자를 공급받아 제1b기준 입도 이상의 입자는 제2차 처리토를 생성하여 반출하고 제1b기준 입도 미만의 입자는 배출하는 제2습식 진동 선별기와, 제2습식 진동 선별기에서 유입된 입자에 대하여 습식으로 입도 분리를 수행하여 제2b기준 입도 미만의 입자를 제2a배출구로 배출하고 제1b기준 입도 이상의 입자를 제2b배출구로 배출하는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를 포함하는 세척 선별 장치;와,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의 제1a배출구 및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의 제2a배출구에 연결되어 세척 선별 장치를 거친 토양 슬러리를 공급받아서 저장하되 토양 슬러리가 미세 토사의 크기와 오염 상태에 따라서 물리적 처리 또는 화학적 처리를 선택적으로 분배되게 하는 분배조;와, 미세 토사의 물리적 처리를 위하여 분배조에서 공급된 미세 토사에서 미세 중금속을 거품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사전에 부상시켜서 부유 물질을 제거하는 침사 부선장치가 일체로 고정 설치된 다단 침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aminated soil pu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eeding device having a feed hopper and an input conveyor for feeding contaminated soil, and a washing device for feeding contaminated soil, which is supplied for washing the contaminated soil supplied from the feeding device, A first mixer for spraying and cleaning the first wet process mixer, and a second wet vibration mixer for receiving the contaminated soil washed in the wet mixer to generate and discharge the first treated tobacco particles, And a first wet vibration discriminator for performing wet particle size separation on the particles introduced from the first wet vibration discriminator to discharg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smaller than the 2a reference particle size to the 1a discharge port and discharging particles larger than the 2a reference particle size to the 1b discharge port The hydrocyclone and the particles introduced from the first hydrocyclone are fed to the particles of the first-b reference particle size or more, A second wet vibration discriminator for discharging the particles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particle size and discharging the particles smaller than the second reference particle size; And a second hydrocyclone for discharging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reference particle to the second bout outlet; and a washing / sorting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of the first hydrocyclone and the outlet of the second outlet of the second hydrocyclone, A distribution tank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soil slurry through which the soil slurry is distributed, wherein the soil slurry selectively distributes the physical treatment or the chemical treatment depending on the size and contamination state of the fine soil; A sediment that removes suspended matter by floating in advance by attaching fine heavy metals to the foam in soil And a multi-stage settling tank in which the flotation apparatus is integrally fixed.
또한, 침사 부선장치는, 분배조에서 파이프 형상의 제1 및 제2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토양 슬러리가 각각 유입되는 제1 및 제2부선조;와, 제1 및 제2부선조 내부에서 미세 토사 슬러리를 교반하면서 중금속만을 거품 형태로 부유시키는 제1 및 제2듀얼 부선기;와, 제1 및 제2부선조의 전단 외주면을 따라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중금속 거품이 각각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회전에 의해 배출되게 하는 제1 및 제2거품 배출부;와, 제1 및 제2거품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중금속 거품을 보관하여 외부로 반출되게 하는 제1 및 제2거품 보관 반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udge flotation apparatus comprising: first and second sub-anchors into which a soil slurry introduced through a first and a second inlet of a pipe in a distribution tank flows, respectively; and first and second sub- First and second dual flotines which suspend only the heavy metal in the form of bubbles while stirring the slurry; and a first and a second dual flotation device which slopes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ront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b- And first and second bubble storing and delivering units for storing heavy metal bubbles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bubble discharging units to be taken out to the outside .
또한, 제1듀얼 부선기는,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공압에 의해 제1부선조 내의 토양 슬러리가 유입되어 토양 슬러리의 원할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a 및 제1b파이프;와, 제1a 및 제1b구동축이 각각 제1a 및 제1b파이프를 통과하도록 제1부선조의 상단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제1구동부;와, 제1a 및 제1b구동축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동시에 제1a 및 제1b파이프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미세 토사 슬러리가 교반되게 하는 제1a 및 제1b임펠러;와, 제1a 및 제1b파이프의 하단에 결합되어 제1a 및 제1b임펠러의 회전시 제1a 및 제1b파이프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제1부선조 내부의 토양 슬러리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1a 및 제1b디퓨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dual flotation vessel includes first and first b pipes for allowing the soil slurry in the first subcontractor to flow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subcontact by the generated vacuum pressure so that the soil slurry is thoroughly agitated, A first driving unit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sub-arrays so that the driving shafts pass through the first and the second b pipes, respectively, and a second driving unit fix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shafts, A first and a second impellers which ar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pes to allow the fine soil slurry to be agitated; And a first and a second diffusers for allowing the soil slurry to flow into the first sub-tank by negative pressure.
또한, 제1구동부는, 제1구동모터;와, 제1구동모터에 설치된 제1주동풀리;와, 제1a파이프를 관통하는 제1a구동축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제1a종동풀리 및 제1b파이프를 관통하는 제1b구동축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1b종동풀리;와, 제1주동풀리와 제1a종동풀리 및 제1b종동풀리를 연결하는 제1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driving pulley installed in the first driving motor, an 1a driven pulley integrally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driving shaft passing through the 1a pipe, A first driven pulley integrally fixed to an upper end of a first drive shaft passing through the first pipe and a first belt connecting the first driven pulley and the first driven pulley and the first driven pulley, .
또한, 다단 침사조는, 침사 부선장치에서 유입된 미세 토사가 바닥으로 중력 침강되게 하되 조립 토사와 미립 토사가 순차적으로 분급되어 침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ultistage hook-and-loop type apparatu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e gravels introduced from the spinnaker barrels are gravity-settled to the bottom, but granular gravel and micro-gravel are sequentially classified and settled.
또한, 다단 침사조는, 조립 토사가 침강되고, 침강된 조립 토사를 제1습식 진동 선별기로 반송되게 하는 제1단 침사조;와, 미립 토사가 침강되고 상등수는 방류하되, 침강된 미립 토사를 제2습식 진동 선별기로 반송되게 하는 제2단 침사조;와, 제1단 침사조와 제2단 침사조의 사이에 위치되며 미세 토사 슬러리가 제1단 침사조에서 잠시 정체되었다가 제2단 침사조로 오버플로되게 하는 경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ultistage nitrification tank may include: a first monotonous tank for allowing the granulated gypsum settled and the sedimented granulated gypsum to be transported to the first wet vibration discriminator; and a second monotone gypsum for discharging the sedimented micro- 2 wet-vibration separator, and a second monolithic sandwich which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noliths of the first and second stages, wherein the microtispersed slurry is temporarily stuck in the first monolith and then overflowed into the second monolith, And a boundary portion to be formed on the substrate.
또한, 다단 침사조에 연결되어 방류되는 상층수를 응집제를 이용하여 바닥으로 침전되게 하는 침전조;와, 침전조에서 이송되는 미세토사를 농축시키는 농축조;와, 농축조에서 배출되는 농축된 미세토사를 탈수시켜 탈수 케이크를 생성하는 탈수 장치;와, 탈수 장치에서 여과된 용액을 수용하는 여액 저장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dimentation tank is a sedimentation tank for sedimenting the upper layer water discharged from the multistage siltation tank to the bottom using a flocculant. The concentrating tank is used for concentrating the fine soil transferred from the sedimentation tank. The dehydrated micro- A dewatering device for generating a cake; and a filtrate storage tank for receiving the filtered solution in the dewatering device.
또한,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은, 침전조로부터 배출된 물을 공급받아서 물에 함유된 기름을 기포 발생을 통해 강제 부상 분리시키는 가압 부상조;와, 가압 부상조에 기름이 분리된 물을 공급받아서 습식 믹서와 제1 및 제2습식 진동 선별기에 물을 공급하는 공정수 저장조;와, 공정수 저장조의 물이 일정 수위가 되도록 물을 보충하는 보충수 저장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taminated soil remediation system includes: a pressurized floating tank for receiv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settling tank and forcibly floating the oil contained in the water through bubble generation; and a pressurized floating tank for supplying oil separated from the pressurized floating tank to a wet mixer A process water storage tank for supplying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wet vibration discriminators, and a replenishing water storage tank for replenishing water to a predetermined water level in the process water storage tank.
또한,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은, 화학적 처리를 위한 화학적 처리 설비를 더 포함하며, 화학적 처리 설비는, 분배조에서 화학적 처리를 위해 미세 토사가 유입되는 제1중금속 용출조;와, 제1중금속 용출조를 거친 다음 미세 토사에서 중금속을 효율적으로 용출하여 제3처리토를 생성하기 위한 제2 및 제3중금속 용출조;와, 제1중금속 용출조에 산 세척제를 공급하는 산 세척제 공급조;와, 제1중금속 용출조에 계면 활성제를 공급하기 위한 계면 활성제 공급조;와, 제3중금속 용출조에 접속되는 제3하이드로 사이클론;과, 제3하이드로 사이클론에서 배출되는 일정 입도 이상의 입자를 탈수하기 위한 모래 탈수장치;와, 제3하이드로 사이클론과 모래 탈수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스크레퍼 콘베이어;와, 모래 탈수장치에 유입된 미세 토사를 중화시키기 위한 소석회 저장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aminated soil remediation system further includes a chemical treatment facility for chemical treatment, the chemical treatment facility comprising: a first heavy metal inflow stage in which fine soil is introduced for chemical treatment in a distribution tank; A second pickling tank for supplying a pickling agent to the first heavy metal leaching tank, and a second pickling tank for supplying the pickling agent to the first heavy metal leaching tank, A surfactant supply tank for supplying a surfactant to the heavy metal elusion tank; a third hydrocyclone connected to the third heavy metal leaching tank; a sand dewatering device for dewatering particles having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or more discharged from the third hydrocyclone; A scraper conveyor installed between the third hydrocyclone and the sand dewatering device, and a lime slurry for neutralizing the fine gravel introduced into the sand dewatering device And a storage tank.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은, 다단 침사조의 전단에 침사 부선장치가 일체로 고정 설치하여 미세 토사 슬러리에서 중금속을 거품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사전에 제거하여 이후 진행되는 물리적 처리 공정에서 오염 토양이 효율적으로 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in the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iver flotation device is integrally fixed to the front of the multi-stage silt bath to remove the heavy metal in the micro slip so that it adheres to the foam, So that contaminated soil can be efficiently purified in the proces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은, 제1단 침사조와 제2단 침사조에서 토양 슬러리가 이동함에 있어서 경계부를 오버플로하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입경에 따른 중력 침전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입자가 습식 진동 선별기 측으로 반송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the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oil slurry moves in the first and second monotonous tanks, the boundary portion is overflowed so that gravity precipitation is easi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So that it can be conveyed to the vibration discriminating device sid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다단 침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에 도시된 다단 침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조와 침전조와 가압 부상조 및 공정수 저정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도 2a에 도시된 침사 부선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c에 도시된 침사 부선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사 부선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사 부선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diagram of a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C are enlarged views of the multistage needle-sinker shown in Fig. 1. Fig.
3A to 3D are enlarged photographs of the multistage needle-sinker shown in Fig. 1. Fig.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distribution tank, a settling tank, a pressurized float tank, and a process wat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wick system shown in Fig. 2a.
FIG. 6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electromotive wire barbing apparatus shown in FIG. 2C.
FIG. 7 is an enlarged side view of a worm ba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A and 8B are enlarged photographs of a needle bar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10)은, 오염 토양을 공급하는 피딩 장치(100), 공급된 오염 토양을 세척 선별하기 위한 세척 선별 장치(200~400), 세척 선별된 오염 토양을 입자 크기 및 오염 상태에 따라서 물리적 처리 설비/화학적 처리 설비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조(500), 침사 부선장치(600)에 의해 거품 표면에 부착해 부상하는 중금속 입자가 사전에 제거된 미세 토사가 중력 침전되게 하는 다단 침사조(700), 응집제를 이용하여 미세 토사가 침전되게 하는 침전조(810), 침전된 미세 토사를 농축시키는 농축조(820), 농축된 미세 토사를 탈수시키는 탈수장치(8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diagram of a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 contaminated
피딩 장치(100)는, 투입된 오염물질이 혼합된 토양을 정량으로 세척 선별 장치(200~400)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피딩 장치(100)는, 오염 토양이 투입되는 투입 호퍼(110)와, 투입 호퍼(110)의 측방에 배치되어 세척 선별 장치(200~400)에 오염 토양을 정량적으로 이송하는 투입 컨베이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즉, 투입 호퍼(110)에 공급된 오염 토양을 투입 컨베이어(120)를 통해 세척 선별 장치(200~400)로 공급한다. 이때 오염 토양은 그 성상을 구분하지 않으나, 오염 정도를 파악하여 후공정 시 오염 정도에 따라 그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aminated soil supplied to the
피딩 장치(100)를 통해 세척 선별 장치(200~400)로 투입된 오염 토양은 세척 선별 장치(200~400) 내에서 유류와 중금속의 탈착 및 입도에 따른 선별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세척 선별 장치(200~400)는 일정 입도 이상의 입자를 선별하여 처리토를 생성하고, 일정 입도 미만의 입자만을 선별 통과시켜서 후속 공정을 진행한다. The contaminated soil put into the washing and sorting
구체적으로, 피딩 장치(100)에는 유류와 중금속을 토양에서 분리하여 정화공정의 효율을 높이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세척 선별 장치(200~400)가 접속되어 있다. Specifically, the
이러한 세척 선별 장치(200~400)는, 피딩 장치(100)에서 공급된 오염 토양을 세척하기 위하여 투입된 오염 토양을 축 회전 방식으로 이송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습식 믹서(200)와, 습식 믹서(200)에서 세척된 오염 토양을 공급받아 제1기준 입도 이상의 토양은 외부로 처리토를 생성 반출하고 제1기준 입도 미만의 토양은 배출하는 습식 진동 선별기(300)와, 습식 진동 선별기(300)에서 제공된 입자에 대하여 습식으로 입도 분리를 수행하여 제2기준 입도 이상의 입자는 재차 습식 진동 선별하며 제2기준 입도 미만의 입자만을 배출하는 하이드로 사이클론(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투입 호퍼(110)의 하단에 연결된 투입 컨베이어(120)를 통하여 투입된 토양은 습식 믹서(200)에서 세척수와 혼합된다. Specifically, the soil introduced through the
이러한 습식 믹서(200)는 패들형(paddle type)으로 1개의 회전축(210)에 다수개의 패들들(220)이 부착된다. The
또한, 세척수는 습식 믹서(200) 상부에 설치된 스프레이 노즐들(230)을 통하여 분사된다. Also,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through the
따라서, 회전축(210)이 회전하면서 패들(220)에 의해 토양을 이송하면 스프레이 노즐들(23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어 혼합되면서 토양을 세척한다. Accordingly, when the
이러한 습식 믹서(200)는, 회전축(210)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서 오염토양의 처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레이 노즐들(230)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정수 저장조(750)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The
습식 믹서(200)로부터 세척된 토양은 습식 진동 선별기(300)에 투입되어 일정 입도를 기준으로 토양을 분리 선별하여 처리토를 생성 반출한다. The soil washed from the
즉, 습식 진동 선별기(300)는, 습식 믹서(200)에서 배출되는 토양 슬러리가 유입되어 일정 입도 이상의 입자를 선별하고 일정 입도 이하의 미세 입자만을 통과시켜 후속 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다. In other words, the wet vibration discriminator 300 allows the soil slurry discharged from the
구체적으로 이러한 습식 진동 선별기(300)는, 습식 믹서(200)에서 세척된 오염 토양 슬러리를 공급받아 제1a기준 입도 이상의 입자는 제1차 처리토를 생성하여 반출하고 제1a기준 입도 미만의 입자는 배출하는 제1습식 진동 선별기(310)와, 제1습식 진동 선별기(310)에 배출되는 제1a기준 입도 미만의 입자가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410)을 거친 다음 유입되어 제1b기준 입도 이상의 입자는 제2차 처리토를 생성하여 반출하고 제1b기준 입도 미만의 입자는 배출하는 제2습식 진동 선별기(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articularly, in the wet vibration separator 300, the contaminated soil slurry cleaned in the
제1습식 진동 선별기(310)와 제2습식 진동 선별기(320)는, 하이드로 사이클론(400)에 접속되어 제1기준 입도 즉, 제1a 및 제1b기준 입도에 기초하여 선별된 오염 토양이 다시 제2기준 입도 즉, 제2a 및 제2b기준 입도에 기초하여 고도 선별될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이러한 하이드로 사이클론(400)은, 제1습식 진동 선별기(310)에서 유입된 토양에 대하여 습식으로 입도 분리를 수행하여 제2a기준 입도 미만의 입자를 제1a배출구(411)로 배출하고 제2a기준 입도 이상의 입자를 제1b배출구(412)로 배출하는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410)과, 제2습식 진동 선별기(320)을 거친 입자에 대하여 습식으로 입도 분리를 수행하여 제2b기준 입도 미만의 입자를 제2a배출구(421)로 배출하고 제2기준 입도보다 큰 입자를 제2b배출구(422)로 배출하는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hydrocyclone 400 performs wet-type particle separation on the soil introduced from the first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410)은, 습식으로 제2a기준 입도를 기초로 입도 분리를 수행하는데, 이러한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410)은 속이 빈 원추형의 제1테이퍼 부분과 제1노즐 부분으로 구성되고, 원통형의 접선방향에서 진입하는 제1투입구(413)와, 제1테이퍼 부분의 넓은 입구 측에 연결되는 제1a배출구(411)와, 제1노즐 부분에 연결되는 제1b배출구(412)로 구성된다.The
즉, 제1투입구(413) 측으로 물과 오염토사가 투입되고, 제1테이퍼 부분 내부에는 소용돌이 현상과 원심력 등에 의해 큰 소용돌이와 작은 소용돌이 및 이들을 축선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직 유동이 발생한다. That is, water and contaminated soil are introduced into the
이때, 입자의 무게차이로 인해 원심력에 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제2a기준 입도 이상의 입도를 가진 입자와 제2b기준 입도 미만의 입도를 가진 입자와 물이 분리된다.At this time, a difference in centrifugal force occurs due to the difference in weight of the particles, thereby separating th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larger than the 2a reference particle size and th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smaller than the 2b reference particle size.
다시 말해, 제2a기준 입도 미만의 입자와 물은 제1a배출구(411)를 통해 배출되고, 제2a기준입도 이상의 입자는 제1b배출구(412)를 통해 배출되는데, 이때 제1테이퍼 부분의 길이와 양단의 입구면적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입도를 기준으로 토사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particles and water below the 2a reference particle size are discharged through the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410)의 제1a배출구(411)를 통해 배출되는 제2a기준 입도 미만의 입자와 물은 분배조(500)로 공급되고, 제1b배출구(412)를 통해 배출되는 제2a기준입도 이상의 입자는 제2습식 진동 선별기(320)으로 공급된다. Particles and water less than the 2a reference granularity discharged through the
이렇게 제2습식 진동 선별기(320)로 공급된 입자 중 제2차 처리토로 생성 반출되는 입자 이외에 나머지 입자는 다시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420)으로 재차 공급되어 고도 선별이 지속되거나 밸브(미부호)를 조작하여 중금속 용출조(811)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Of the particles supplied to the second wet vibration discriminator 320, the remaining particles other than the particles generated and exported to the second treated soil are supplied again to the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420)은, 습식으로 입도 분리를 수행하여 제2b기준 입도 미만의 입자를 제2a배출구(421)로 배출하고 제2b기준 입도 이상의 입자를 제2b배출구(422)로 배출하는데, 이러한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420)은,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41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습식으로 제2b기준 입도를 기초로 입도 분리를 수행하는데, 이러한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420)은 크게 속이 빈 원추형의 제2테이퍼 부분와 제2노즐 부분로 구성되고, 원통형의 접선방향에서 진입하는 제2투입구(423)와, 제2테이퍼 부분의 넓은 입구 측에 연결되는 제2a배출구(421)와, 제2노즐 부분에 연결되는 제2b배출구(422)로 구성된다. The
이렇게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420)의 제2a배출구로 배출되는 제2b기준 입도 미만의 입자는 분배조(500)로 공급되고, 제2b배출구(422)로 배출되는 제2b기준 입도 이상의 입자는 오염 상태에 따라서 밸브(미부호)의 개폐 상태에 따라서 제2습식 진동 선별기(320) 또는 화학적 처리 설비(900)로 이송되어 다시 선별/중금속 용출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Particles smaller than the second b reference particle size discharged to the 2a outlet of the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410)의 제1a배출구(411) 및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420)의 제2a배출구(421)에서는 제2a기준 입도 미만의 입자와 제2b기준 입도 미만의 입자가 분배조(500)로 공급된다. At the
이러한 분배조(500)는,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410)의 제1a배출구(411) 및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420)의 제2a배출구(421)에 연결되어 세척 선별 장치(200~400)를 거친 토양 슬러리를 공급받아서 저장하되 토양 슬러리가 미세 토사의 크기와 오염 상태에 따라서 물리적 처리 또는 화학적 처리를 선택적으로 분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특히, 이러한 분배조(500)는 공급된 미세 토사의 크기 및 오염 상태에 따라서 물리적 처리 설비(600~800)와 화학적 처리 설비(900) 중 어느 하나의 설비로 미세 토사를 분배하는데, 예를 들어 유류와 중금속으로 복합 오염된 clay 상태의 미세 토사의 경우는 물리적 처리 설비(600~800)로 분배될 수 있도록 하며, 중금속만으로 오염된 가는 모래 상태의 미세 토사의 경우는 화학적 처리 설비(900)로 분배될 수 있도록 한다. Particularly, the
이렇게 분배조(500)를 거친 미세 토사는 각각 물리적 처리 설비(600~800)와 화학적 처리 설비(900)로 분배되는데, 먼저 분배조(500)를 거친 미세 토사가 물리적 처리 설비(600~800)로 유입되어 처리되는 경우를 설명한 다음 화학적 처리 설비(900)로 분배되어 처리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The micro tile passing through the
도 2a 내지 도 2c, 도 3a 내지 도 3d,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의 분배조에서 물리적 처리 설비로 미세 토사가 처리되는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다단 침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에 도시된 다단 침사조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조와 침전조와 가압 부상조 및 공정수 저정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Referring to FIGS. 2A to 2C, 3A to 3D, and 4, a process of treating fine soil with a physical treatment facility in a distribution tank of a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S. 2A to 2C are enlarged views of the multistage needle-sinker shown in FIG. 1. FIGS. 3A to 3D are photographs showing the multistage needle-sinker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distribution tank, the settling tank, the pressurized floating tank, and the process water tank.
도 1, 도 2a 내지 도 2c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의 물리적 처리 설비(600~800)는, 분배조(500)에서 공급된 미세 토사를 부유 선별하기 위해 거품 표면에 부착해 부상하는 중금속 입자를 구분하여 사전에 제거하는 침사 부선장치(600)와, 침사 부선장치(600)에서 유입된 미세 토사가 바닥으로 중력 침강되게 하되 조립 토사와 미립 토사가 순차적으로 분급되어 침강되게 하는 다단 침사조(700)와, 다단 침사조(700)에 연결되어 방류되는 상층수를 응집제를 이용하여 바닥으로 침전되게 하는 침전조(810)와, 침전조(810)의 토출단에 연결되어 침전조(810)에서 토출되는 슬러지를 저류시키고 중력 분리된 농축 슬러지를 생성시키는 농축조(820)와, 농축조(820)에서 토출된 농축 슬러지가 유입되어 물을 배출시켜 농축 슬러지를 탈수케이크로 생성시키는 탈수장치(8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1, 2A to 2C and 4,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사 부선장치(600)는, 다단 침사조(700)의 전단에서 다단 침사조(700)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분배조(500)에서 공급된 미세 토사를 부유 선별하여 거품 표면에 부착해 부상하는 중금속 입자를 구분하여 사전에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The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사 부선장치(600)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2a에 도시된 침사 부선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2c에 도시된 침사 부선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사 부선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FIG. FIG. 5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needle barbing device shown in FIG. 2a, FIG. 6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needle barbing device shown in FIG. 2c, and FIG. Fig.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10)의 침사 부선장치(600)는, 분배조에서 파이프 형상의 제1 및 제2입구(A1,A2)를 통하여 유입된 토양 슬러리를 각각 공급받는 제1 및 제2부선조(610,620)와, 제1 및 제2부선조(610,620) 내부에서 미세 토사 슬러리를 교반하면서 중금속만을 거품 형태로 부유시키는 제1 및 제2듀얼 부선기(630,640)와, 제1 및 제2부선조(610,620)의 전단 외주면을 따라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중금속 거품이 각각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회전에 의해 배출되게 하는 제1 및 제2거품 배출부(650,660)와, 제1 및 제2거품 배출부(650,660)에서 배출되는 중금속 거품을 보관하여 외부로 반출되게 하는 제1 및 제2거품 보관 반출부(670,6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5 to 7, a
제1부선조(610)는, 분배조(500)에서 파이프 형상의 제1입구(A1)를 통하여 유입된 토양 슬러리를 공급받아 매우 미세한 중금속을 거품 형태로 부유시켜 사전 제거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을 가지고 있다. The
제1부선조(610)의 전단 외주면을 따라 경사지게 제1거품 배출부(650)가 설치되어 공기에 의하여 부유 선별되어 흘러넘치는 중금속 거품이 제1스크레이퍼(651)의 회전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이러한 제1거품 배출부(650)는, 중금속 거품을 배출시키는 공간으로 foam형의 슬러리가 떠올라 어느 위치에서든지 제1부선조(610)의 위로 흘러 넘치더라도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제1듀얼 부선기(630)는,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공압에 의해 제1부선조(610) 내의 토양 슬러리가 유입되어 토양 슬러리의 원할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a 및 제1b파이프(631,632)와, 제1a 및 제1b구동축(633A,633B)이 각각 제1a 및 제1b파이프(631,632)를 통과하도록 제1부선조(610)의 상단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제1구동부(633)와, 제1a 및 제1b구동축(633A,633B)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동시에 제1a 및 제1b파이프(631,63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미세 토사 슬러리가 교반되게 하는 제1a 및 제1b임펠러(634,635)와, 제1a 및 제1b파이프(631,632)의 하단에 결합되어 제1a 및 제1b임펠러(634,635)의 회전시 제1a 및 제1b파이프(631,632)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제1부선조(610) 내부의 토양 슬러리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1a 및 제1b디퓨저(636,6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irst
제1a 및 제1b파이프(631,632)는 각종 구조물에 의해 고정 설치되되 제1a 및 제1b임펠러(634,635)의 회전 시 그 내부에서 발생되는 부압에 의해 제1부선조(610) 내의 토양 슬러리가 유입되도록 하여 토양 슬러리의 원활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first and the
제1구동부(633)는, 제1구동모터(633C)와, 제1구동모터(633C)에 설치된 제1주동풀리(633D)와, 제1a파이프(631)를 관통하는 제1a구동축(633A)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제1a종동풀리(633E) 및 제1b파이프(632)를 관통하는 제1b구동축(633B)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제1b종동풀리(633F)와, 제1주동풀리(633D)와 제1a종동풀리(633E) 및 제1b종동풀리(633F)를 연결하는 제1벨트(633G)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제1a 및 제1b구동축(633A,633B)은, 제1부선조(610)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제1a 및 제1b구동축(633A,633B)은 제1a 및 제1b파이프(631,63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제1a 및 제1b임펠러(634,635)를 설치한 뒤 회전시 토양 슬러리가 교반될 수 있도록 한다. The 1a and
따라서, 제1구동부(633)는, 제1구동모터(633C)의 회전에 의해 제1주동풀리(633D), 제1벨트(633G)가 순차적으로 회전되면서 제1a종동풀리(633E)와 제1b종동풀리(633F)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제1a종동풀리(633E)와 제1b종동풀리(633F)는 각각 제1a구동축(633A)과 제1b구동축(633B)을 거쳐서 제1a임펠러(634)와 제1b임펠러(635)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듀얼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The first driving
제1a 및 제1b디퓨저(636,637)는, 제1a 및 제1b파이프(631,632)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데, 이러한 제1a 및 제1b디퓨저(636,637)는 각각 제1a 및 제1b임펠러(634,635)의 회전시 제1a 및 제1b파이프(631,632)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제1부선조(610) 내부의 토양 슬러리가 유입되도록 한다. The 1a and
제1거품 보관 반출부(670)는, 제1스크레이퍼(651)의 회전에 의해 배출된 중금속 거품을 보관하는 제1거품 보관통(671)과, 제1거품 보관통(671)의 상단에 설치되어 중금속 거품이 넘치지 않도록 물을 분무하는 제1분무노즐(672)과, 제1거품 보관 반출부(670)의 하단에 연결되어 중금속 거품이 외부로 반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거품 반출 튜브(67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bubble storage and
제2부선조(642)는, 분배조(500)에서 파이프 형상의 제2입구(A2)를 통하여 제공된 토양 슬러리를 공급받아 매우 미세한 중금속을 거품 형태로 부유시켜 사전 제거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을 가지고 있다. The
제2부선조(642)의 전단 외주면을 따라 경사지게 제2거품 배출부(660)가 설치되어 공기에 의하여 부유 선별되어 흘러넘치는 중금속 거품이 제2스크레이퍼(미부호)의 회전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A second
이러한 제2거품 배출부(660)는, 중금속 거품을 배출시키는 공간으로 foam형의 슬러리가 떠올라 어느 위치에서든지 제2부선조(642)의 위로 흘러 넘치더라도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The second
제2듀얼 부선기(640)는,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공압에 의해 제2부선조(642) 내의 토양 슬러리가 유입되어 토양 슬러리의 원할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a 및 제2b파이프(641,642)와, 제2a 및 제2b구동축(643A,643B)이 각각 제2a 및 제2b파이프(641,642)를 통과하도록 제2부선조의 상단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제2구동부(643)와, 제2a 및 제2b구동축(643A,643B)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동시에 제2a 및 제2b파이프(641,64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미세 토사 슬러리가 교반되게 하는 제2a 및 제2b임펠러(644,645)와, 제2a 및 제2b파이프(641,642)의 하단에 결합되어 제2a 및 제2b임펠러(644,645)의 회전시 제2a 및 제2b파이프(641,642)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제1부선조(610) 내부의 토양 슬러리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2a 및 제2b디퓨저(646,6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second
제2a 및 제2b파이프(641,642)는 각종 구조물에 의해 고정 설치되되 제2a 및 제2b임펠러(644,645)의 회전 시 그 내부에서 발생되는 부압에 의해 제2부선조(642) 내의 토양 슬러리가 유입되도록 하여 토양 슬러리의 원활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2a and
제2구동부(643)는, 제2구동모터(미부호)와, 제2구동모터에 설치된 제2주동풀리(미부호)와, 제2a파이프(641)를 관통하는 제2a구동축(643A)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제2a종동풀리(643E) 및 제2b파이프(642)를 관통하는 제2b구동축(643B)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제2b종동풀리(643F)와, 제2주동풀리와 제2a종동풀리(643E) 및 제2b종동풀리(643F)를 연결하는 제2벨트(미부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제2a 및 제2b구동축(643A,643B)은, 제2부선조(642)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제2a 및 제2b구동축(643A,643B)은 제2a 및 제2b파이프(641,64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제2a 및 제2b임펠러(644,645)를 설치한 뒤 회전시 토양 슬러리가 교반될 수 있도록 한다. The 2a and
따라서, 제2구동부(643)는, 제2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제2주동풀리, 제2벨트가 순차적으로 회전되면서 제2a종동풀리(643E)와 제2b종동풀리(643F)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제2a종동풀리(643E)와 제2b종동풀리(643F)는 각각 제2a구동축(643A)과 제2b구동축(643B)을 거쳐서 제2a임펠러(644)와 제2b임펠러(645)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듀얼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Accordingly, the
제2a 및 제2b디퓨저(646,647)는, 제2a 및 제2b파이프(641,642)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데, 이러한 제2a 및 제2b디퓨저(646,647)는 각각 제2a 및 제2b임펠러(644,645)의 회전시 제2a 및 제2b파이프(641,642)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제2부선조(642) 내부의 토양 슬러리가 유입되도록 한다.The 2a and
제2거품 보관 반출부(680)는, 앞서 설명한 제1거품 보관 반출부(67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구성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제1거품 보관 반출부(670)을 설명한 것으로 대신한다. The second bubble storage /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사 부선장치(600)는, 분배조(500)에서 제공된 토양 슬러리가 제1부선조(610)의 제1입구(A1)를 거쳐서 제1a파이프(631) 및 제1b파이프(632) 내부로 공급되어 제1a임펠러(634) 및 제1b임펠러(635)로 흐르게 되며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토양 슬러리는 제1부선조(610)를 채우게 됨과 동시에, 제2부선조(642)의 제2입구(A2)를 거쳐서 제2a파이프(641) 및 제2b파이프(642) 내부로 공급되어 제2a임펠러(644) 및 제2b임펠러(645)로 흐르게 되며,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토양 슬러리는 제2부선조(642)를 채우게 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the case where the soil slurry provided in the
이때, 제1구동부(633)의 구동에 의해 제1a임펠러(634)와 제1b임펠러(635)가 회전하게 되고, 제2구동부(643)의 구동에 의해 제2a임펠러(644)와 제2b임펠러(645)가 회전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and
결국, 제1a임펠러(634)와 제1b임펠러(635), 제2a임펠러(644)와 제2b임펠러(645) 측에서 교반하면서 상승되는 토양 슬러리는 공기에 의해 반응된 중금속만을 부유시키게 되고 나머지는 제1부선조(610)와 제2부선조(642)의 내부에 머물면서 계속 요동을 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soil slurry that is raised while stirring on the side of the first and
이때, 제1부선조(610)와 제2부선조(642)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토양 슬러리는 제1a 및 제1b디퓨저(636,637)와 제2a 및 제2b디퓨저(646,647)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며, 또한 제1부선조(610)의 제1입구(A1)와 제2부선조(642)의 제2입구(A2)를 통해서 내부로 유입되어 다시 제1a임펠러(634)와 제1b임펠러(635), 제2a임펠러(644)와 제2b임펠러(645) 측으로 이송되므로 토양 슬러리의 교반시간을 늘려 주어 계속적인 반응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soil slurry flowing inside the
따라서, 공기에 의하여 부유 선별되는 중금속 거품은 제1부선조(610)와 제2부선조(642)의 상층부에서 foam 상태로 되어 제1부선조(610)와 제2부선조(642)의 위로 흘러 넘쳐 제1거품 배출부(650)와 제2거품 배출부(660)를 통하여 가이드된 다음 제1스크레이퍼(651)와 제2스크레이퍼의 회전에 의해 제1거품 보관 반출부(670) 및 제2거품 보관 반출부로 배출되고, 나머지 제1부선조(610)와 제2부선조(642) 내부의 토양 슬러리는 제1부선조(610)의 제1a 및 제1b출구(B1,B2)와 제2부선조(642)의 제2a 및 제2b출구(B3,B4)를 거쳐 다단 침사조(700)로 배출되거나, 제1부선조(610) 또는 제2부선조(642)를 관통하는 공통 출구(B5)를 통하여 다단 침사조(700)로 배출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heavy metal foam floating by air is foa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이렇게, 침사 부선장치(600)에 의해 중금속이 사전 제거된 미세 토사는 다단 침사조(700)로 이송되는데, 이러한 다단 침사조(700)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사 부선장치(600)에서 토양 슬러리가 유입되는 조립 토사가 침강되는 제1단 침사조(710)와, 미립 토사가 침강되고 상등수는 배출되는 제2단 침사조(720)와, 제1단 침사조(710)와 제2단 침사조(720)의 사이에 위치되며 토양 슬러리가 제1단 침사조(710)에서 잠시 정체되었다가 제2단 침사조(720)로 오버플로되게 하는 경계부(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2A to 2C, the
제1단 침사조(710)와 제2단 침사조(720)는 상광하협의 호퍼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제1단 침사조(710)와 제2단 침사조(720)에서 토양 슬러리가 이동함에 있어서 경계부(730)를 오버플로하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입경에 따른 중력 침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first and second temporary settling
즉, 제1단 및 제2단 침사조(710,720)에서 각각 5∼10분 정도 체류하면서 미세 토사가 중력 침전되어 세척수와 분리되는데, 이러한 다단 침사조(700)는 조립 토사가 중력 침전되는 제1단 침사조(710)에서 잠시 정체되었다가 일부가 경계부(730)에서 제2단 침사조(720)로 오버플로되어 미립 토사가 제2단 침사조(720)에서 중력 침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That is, fine soil is gravitationally settled and separated from the washing water while staying in the first and second monotone set
이렇게 제1단 침사조(710) 또는 제2단 침사조(720)의 하부에 침전된 조립 토사 또는 미립 토사는 배출구(740,750)가 설치되어 침강된 토사가 각각 제1습식 진동 선별기(310)와 제2습식 진동 선별기(32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The granulated gypsum or fine gypsum settled a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특히, 앞서 설명한 침사 부선장치(600)는 제1단 침사조(710)의 상단에 설치되어 세척 선별 공정을 거친 다음 분배조(500)에서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미세 토사 슬러리에서 미세 중금속을 거품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사전에 부상시켜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Particularly, the
또한, 제2단 침사조(720)의 상부에는 스컴 제거장치(76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스컴 제거장치(760)는 제2단 침사조(720) 수면에 형성된 스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방출되는 상등수의 수질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A
이러한 스컴 제거장치(760)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체인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고 제2단 침사조(720)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블레이드(761)와, 이들 블레이드(761)에 의하여 이송된 스컴이 수집되는 스컴수집조(762)로 구성되며, 제2단 침사조(720) 수면에 형성된 스컴이 이동하는 블레이드(761)에 의하여 스컴수집조(762)로 유입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The
블레이드(761)가 연결되는 한 쌍의 체인은 동력전달수단을 통하여 연결된 스프로킷에 결합된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블레이드(761)도 체인을 따라 궤도운동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스컴을 이송하게 된다. The pair of chains to which the
결국,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 침사조(700)에서 침강된 토사는 제1 및 제2습식 진동 선별기(310,320)로 반송되고, 방류되는 상등수와 극미세토양은 침전조(810)로 공급된다.1, the soil settled in the
침전조(810)로 공급된 극미세토양과 세척수는 침전조(810)에 응집제를 투여하여 극미세토양을 응집, 침전시키고 침전된 극미세토양은 농축조(820)를 통해 탈수장치(830)로 공급되고, 오염수는 가압 부상조(840)로 공급되어 세척수로서 재이용되도록 한다.The very fine soil and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이때 응집제는 별도의 응집제 공급장치(미도시)를 통해 공급되는데, 응집제 교반조(870)와 공정수 저장조(850)를 통해 공급된 응집제와 공정수가 응집제 교반조(870)에서 상호 혼합되어 침전조(810)로 투입되는 것이다. 응집제는 액체 속에 현탁되어 있는 고체입자를 서로 뭉치도록 하여 침강시키는 물질로서 무기전해질 또는 유기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한다. In this case, the flocculant is supplied through a separate flocculant supply device (not shown). The flocculant and the process water supplied through the
응집제는 액체 속에 현탁되어 있는 고체입자를 서로 뭉치도록 하여 침강시키는 물질로서 무기전해질 또는 유기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한다.The coagulant is an inorganic electrolyte or an organic polymer compound which precipitates solid particles suspended in a liquid.
침전조(810)에서 침전된 침전물을 농축조(820)로 제공되고 방류되는 상등수는 가압 부상조(840)로 제공된다. The precipitate precipitated in the
이러한 농축조(820)는, 침전조(810)에서 공급된 미세 토사를 농축시켜 탈수장치(830)로 이송되는데, 이러한 탈수장치(830)는, 농축된 미세 토사를 탈수시켜 탈수케이크로 배출하고, 탈수 과정에서 여과된 용액은 여액 저장 탱크(831)에 수용되어 가압 부상조(840) 또는 공정수 저장조(850)와 이송되며, 탈수케이크는 별도의 탈수케이크 처리설비로 이송될 수 있다. The thickening
가압 부상조(840)는, 침전조(81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일정 수위까지 채워지는 다수의 셀을 구비한 저수조(841)와, 저수조(841)에 연결되어 처리수 중에서 기름이 부유되도록 물과 공기가 혼합된 기포를 발생시키는 가압 탱크(842)와, 저수조(841)의 상측부에 설치되는 기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포 배출 유닛(8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surized floating
저수조(841)는, 다수의 셀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다수의 셀의 양측에는 각각 처리수가 공급되는 공급관과, 처리수가 배수되는 배수관이 구비되어 있다. The
저수조(841)에는 처리수에서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가압 탱크(842)가 구비되어 잇는데, 이러한 가압 탱크(842)는 처리수에서 기름이 부착된 기포가 발생된 다음 배수관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The
배출 유닛(843)은, 저수조(841)의 상측부에서 회전하면서 부유된 기포를 긁어내는 스키머에 의해 긁어진 기포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포 배출구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이렇게 기포가 배출된 처리수는 배수관을 통하여 공정수 저장조(850)로 이송되는데, 이러한 공정수 저장조(850)는 가압 부상조(840) 뿐만 아니라, 보충수 저장조(860)와 탈수장치(830)에 접속되어 공정수를 제공받게 되며, 습식 믹서(200)와 제1 및 제2습식 진동 선별기(310,320)로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The treated water discharged from the bubbles is conveyed to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10)에서 미세 토사, clay 등을 위한 물리적 처리 설비(600~800)는 다단 침사조(700), 침전조(810), 농축조(820), 탈수장치(8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contaminated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의 분배조에서 화학적 처리 설비로 미세 토사가 처리되는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process in which fine soil is treated with a chemical treatment facility in a distribution tank of a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학적 처리 설비(900)는, 분배조(500)에서 화학적 처리를 위해 미세 토사가 유입되는 제1중금속 용출조(911)와, 제1중금속 용출조(911)를 거친 다음 미세 토사에서 중금속을 효율적으로 용출하여 제3처리토를 생성하기 위한 제2 및 제3중금속 용출조(912,913)와, 제1중금속 용출조(911)에 산 세척제를 공급하는 산 세척제 공급조(920)와, 제1중금속 용출조(911)에 계면 활성제를 공급하기 위한 계면 활성제 공급조(930)와, 제3중금속 용출조(813)에 접속되는 제3하이드로 사이클론(940)과, 제3하이드로 사이클론(940)에서 배출되는 일정 입도 이상의 입자를 탈수하기 위한 모래 탈수장치(950)와, 제3하이드로 사이클론(940)과 모래 탈수장치(950) 사이에 설치되는 스크레퍼 콘베이어(960)와, 모래 탈수장치(950)에 유입된 미세 토사를 중화시키기 위한 소석회 저장조(9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a chemical treatment facility 9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eavy
제1중금속 용출조(911)에 공급되는 산 세척제는 산 세척제 공급조(920)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The pickling agent supplied to the first heavy
이렇게 제1중금속 용출조(911)를 거친 다음 미세 토사는 제2 및 제3중금속 용출조(912,913)를 추가로 거치면서 중금속이 효율적으로 용출되어 제3처리토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heavy
제1 내지 제3중금속 용출조(911~913)는 산 세척제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식성이 강한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모래 탈수장치(950)에서 배출되는 물은 pH 조정조(980)를 거쳐서 다단 침전조(810)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pH 조정조(980)에는 제3하이드로 사이클론(940)에서 유입되는 작은 입자와 중화제 저장조(990)에서 공급된 중화제가 더 접속되어 있다.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pH 조정조(980)에 공급된 일정 입도 이하의 토사와 폐수는 중화제와 혼합된 세척수를 이용하여 중화될 수 있는데, 이러한 중화제는 제1중금속 용출조(911)에 공급된 산 세척제를 중화시킴으로써 다단 침전조(810)에서 재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soil and wastewater having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or less and supplied to the
결국, 이렇게 화학적 처리 설비(900)를 거쳐서 정화된 오염 토양은 미세 토사에서 중금속을 효율적으로 용출한 다음 제3처리토를 생성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contaminated soil purified through the chemical treatment facility 900 efficiently leaches heavy metals from the micro-soil, and then generates the third treated soi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은 다단 침사조의 전단에 침사 부선장치가 일체로 고정 설치하여 미세 토사 슬러리에서 중금속을 거품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사전에 제거하여 이후 진행되는 물리적 처리 공정에서 오염 토양이 효율적으로 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cculent flotation apparatus is integrally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multistage silt bath, and the heavy metal is previously removed from the micro slip so that the heavy metal is adhered to the foam, It is understood that the basic technical idea is that the contaminated soil can be efficiently purified in the physical treatment process. Therefore, many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200...습식 믹서
300...습식 진동 선별기 400...하이드로 사이클론
500...분배조 600...침사 부선장치
700...다단 침사조 810...침전조
820...농축조 830...탈수장치10 ... contaminated
300 ... wet vibration selector 400 ... hydrocyclone
500 ...
700 ...
820 ...
Claims (14)
상기 침사 부선장치는,
파이프 형상의 제1 및 제2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미세 토사 슬러리를 각각 공급받는 제1 및 제2부선조;와,
상기 제1 및 제2부선조 내부에서 미세 토사 슬러리를 교반하면서 중금속만을 거품 형태로 부유시키는 제1 및 제2듀얼 부선기;와,
상기 제1 및 제2부선조의 전단 외주면을 따라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중금속 거품이 각각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회전에 의해 배출되게 하는 제1 및 제2거품 배출부;와,
상기 제1 및 제2거품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중금속 거품을 보관하여 외부로 반출되게 하는 제1 및 제2거품 보관 반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 부선장치. It is used in the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system. It is fixed in the multistage sedimentation tank in the multistage sedimentation tank, and is subjected to the washing and sorting process. Then, the microgrowth slurry flowing in the distribution tank is floated Wherein the needle barge arrangement comprises:
The needle barge arrangement comprises:
First and second sub-filaments that are respectively supplied with the fine soil slurry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let-shaped pipes;
First and second dual barge vessels floating only the heavy metal in the form of bubbles while stirring the fine soil slurry in the first and second sub-
First and second foam discharge portions formed to be inclin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ront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b-filaments to discharge the heavy metal foam by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crapers, respectively;
And first and second bubble storage and dispensing units for storing and discharging the heavy metal foam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foam discharge units,
And wherein the flap is attached to the flap.
상기 피딩 장치에서 공급된 오염 토양을 세척하기 위하여 투입된 오염 토양을 축 회전 방식으로 이송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습식 믹서와, 상기 습식 믹서에서 세척된 오염 토양을 공급받아 제1a기준 입도 이상의 입자는 제1차 처리토를 생성하여 반출하고 제1a기준 입도 미만의 입자는 배출하는 제1습식 진동 선별기와, 상기 제1습식 진동 선별기에서 유입된 입자에 대하여 습식으로 입도 분리를 수행하여 제2a기준 입도 미만의 입자를 제1a배출구로 배출하고 제2a기준 입도 이상의 입자를 제1b배출구로 배출하는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과, 상기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에서 유입된 입자를 공급받아 제1b기준 입도 이상의 입자는 제2차 처리토를 생성하여 반출하고 제1b기준 입도 미만의 입자는 배출하는 제2습식 진동 선별기와, 상기 제2습식 진동 선별기에서 유입된 입자에 대하여 습식으로 입도 분리를 수행하여 제2b기준 입도 미만의 입자를 제2a배출구로 배출하고 제2b기준 입도 이상의 입자를 제2b배출구로 배출하는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를 포함하는 세척 선별 장치;와,
상기 제1하이드로 사이클론의 제1a배출구 및 제2하이드로 사이클론의 제2a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 선별 장치를 거친 토양 슬러리를 공급받아서 저장하되 토양 슬러리가 미세 토사의 크기와 오염 상태에 따라서 물리적 처리 또는 화학적 처리를 선택적으로 분배되게 하는 분배조;와,
상기 미세 토사의 물리적 처리를 위하여 상기 분배조에서 공급된 미세 토사에서 미세 중금속을 거품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사전에 부상시켜서 부유 물질을 제거하는 침사 부선장치가 고정 설치된 다단 침사조;를 포함하며,
상기 침사 부선장치는,
상기 분배조에서 파이프 형상의 제1 및 제2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토양 슬러리가 각각 유입되는 제1 및 제2부선조;와,
상기 제1 및 제2부선조 내부에서 미세 토사 슬러리를 교반하면서 중금속만을 거품 형태로 부유시키는 제1 및 제2듀얼 부선기;와,
상기 제1 및 제2부선조의 전단 외주면을 따라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중금속 거품이 각각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회전에 의해 배출되게 하는 제1 및 제2거품 배출부;와,
상기 제1 및 제2거품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중금속 거품을 보관하여 외부로 반출되게 하는 제1 및 제2거품 보관 반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A feeding device having a feed hopper and a feed conveyor for feeding contaminated soil;
A wet mixer for spraying and washing the washing water while conveying the contaminated soil so as to clean the contaminated soil supplied from the feeding device, and a particle mixer for receiving the contaminated soil washed in the wet mixer, A first wet vibration discriminator for generating and discharging the first treated soot and discharging particles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particle size; and a second wet vibration discriminator for performing wet particle size separation on the particles introduced from the first wet vibration discriminator, A first hydrocyclone for discharging the particles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particle size to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discharging the particles larger than the second reference particle size to the first b discharge port and a second hydrocyclone for receiving the particles introduced from the first hydrocyclone, A second wet vibration discriminator for generating and discharging the treated soil and discharging particles below the first b reference particle size; And a second hydrocyclone for performing particle size separation on the particles introduced from the separate unit to discharge the particles smaller than the 2b reference particle size to the 2a discharge port and discharge the particles larger than the 2b reference particle size to the 2b discharge port ;Wow,
The first slurry is connected to the outlet 1a of the first hydrocyclone and the outlet 2a of the second hydrocyclone so as to receive and store the slurry through the washing and sorting apparatus. The soil slurry is subjected to physical treatment or chemical treatment A dispensing tank for selectively dispensing treatment,
And a multi-stage settling trough in which microspheres fed from the dispensing tank are floated in advance in such a manner that fine heavy metals are adhered to the bubble to physically treat the micro tile,
The needle barge arrangement comprises:
First and second sub-filaments into which the soil slurry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ipe-shaped inlets in the distribution tank respectively flows,
First and second dual barge vessels floating only the heavy metal in the form of bubbles while stirring the fine soil slurry in the first and second sub-
First and second foam discharge portions formed to be inclin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ront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b-filaments to discharge the heavy metal foam by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crapers, respectively;
And first and second bubble storage and dispensing units for storing and discharging the heavy metal foam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foam discharge units,
Wherein the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system comprises:
상기 제1듀얼 부선기는,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공압에 의해 상기 제1부선조 내의 토양 슬러리가 유입되어 토양 슬러리의 원할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a 및 제1b파이프;와,
상기 제1a 및 제1b구동축이 각각 상기 제1a 및 제1b파이프를 통과하도록 제1부선조의 상단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제1구동부;와,
상기 제1a 및 제1b구동축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1a 및 제1b파이프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미세 토사 슬러리가 교반되게 하는 제1a 및 제1b임펠러;와,
상기 제1a 및 제1b파이프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a 및 제1b임펠러의 회전시 상기 제1a 및 제1b파이프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상기 제1부선조 내부의 토양 슬러리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1a 및 제1b디퓨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dual flip-
A first and a second pipe for introducing the soil slurry into the first sub-tank by the vacuum pressure generated therein,
A first driving unit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sub-arrays so that the first and the second driving shafts pass through the first and the first b pipes, respectively,
A first and a second impellers fixedly installed a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the first driving shafts and disposed at low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ipes to allow the fine soil slurry to be agitated;
A first baffle connect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the first b pipes to allow the soil slurry to flow into the first sub-fins due to negative pressure generated in the first and the first b pipes when the first and second baffles rotate, 1a and a first b diffuser
Wherein the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system comprises:
상기 제1구동부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에 설치된 제1주동풀리;와,
상기 제1a파이프를 관통하는 제1a구동축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제1a종동풀리 및 상기 제1b파이프를 관통하는 제1b구동축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1b종동풀리;와,
상기 제1주동풀리와 제1a종동풀리 및 제1b종동풀리를 연결하는 제1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drive motor;
A first driven pulley installed in the first drive motor,
A first driven pulley integrally fixed to an upper end of a first drive shaft passing through the first pipe, and a first driven pulley integrally fixed to an upper end of a first drive shaft passing through the first b pipe,
A first belt connecting the first main pulley, the first driven pulley and the first driven pulley to each other;
Wherein the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system comprises:
상기 다단 침사조는,
상기 침사 부선장치에서 유입된 미세 토사가 바닥으로 중력 침강되게 하되 조립 토사와 미립 토사가 순차적으로 분급되어 침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multi-
Characterized in that fine soil particles introduced from the electromyographic flotation device are gravity-settled to the bottom but granular soil and micro-soil are sequentially classified and settled.
상기 다단 침사조는,
상기 조립 토사가 침강되고, 침강된 조립 토사를 상기 제1습식 진동 선별기로 반송되게 하는 제1단 침사조;와,
상기 미립 토사가 침강되고 상등수는 방류하되, 상기 침강된 미립 토사를 상기 제2습식 진동 선별기로 반송되게 하는 제2단 침사조;와,
상기 제1단 침사조와 제2단 침사조의 사이에 위치되며 미세 토사 슬러리가 상기 제1단 침사조에서 잠시 정체되었다가 상기 제2단 침사조로 오버플로되게 하는 경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multi-
A first monotone yarn tank in which the granulated gypsum is settled and the sedimented granulated gypsum is conveyed to the first wet vibration separator;
A second monolithic sludge tank for sedimenting the fine sludge and discharging the supernatant, wherein the sedimented fine sludge is conveyed to the second wet vibration sorter,
And a boundary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of the silt bath to allow the fine soil slurry to stagnate for a moment in the first single needle thread bath and to overflow to the second single needle thread bath. Soil cleansing system.
상기 다단 침사조에 연결되어 방류되는 상층수를 응집제를 이용하여 바닥으로 침전되게 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에서 이송되는 미세토사를 농축시키는 농축조;와,
상기 농축조에서 배출되는 농축된 미세토사를 탈수시켜 탈수 케이크를 생성하는 탈수 장치;와,
상기 탈수 장치에서 여과된 용액을 수용하는 여액 저장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A sedimentation tank connected to the multistage nitrification tank for discharging the upper layer water discharged to the bottom using an aggregating agent;
A concentrating tank for concentrating fine soil transferred from the settling tank,
A dewatering device for dewatering the condensed fine soil discharged from the concentrating tank to produce a dehydrated cake;
A filtrate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filtered solution in the dehydration apparatus;
Wherein the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system comprises:
상기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은,
상기 침전조로부터 배출된 물을 공급받아서 물에 함유된 기름을 기포 발생을 통해 강제 부상 분리시키는 가압 부상조;와,
상기 가압 부상조에 기름이 분리된 물을 공급받아서 상기 습식 믹서와 제1 및 제2습식 진동 선별기에 물을 공급하는 공정수 저장조;와,
상기 공정수 저장조의 물이 일정 수위가 되도록 물을 보충하는 보충수 저장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system includes:
A pressurized floating vessel for receiv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settling tank and forcibly floating the oil contained in the water through bubble generation;
A process water storage tank for receiving water separated from the pressurized floating tank and supplying water to the wet mixer and the first and second wet vibration discriminators,
And a replenishing water storage tank for replenishing water so that the water in the process water storage tank becomes a certain water level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은, 상기 화학적 처리를 위한 화학적 처리 설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학적 처리 설비는,
상기 분배조에서 화학적 처리를 위해 미세 토사가 유입되는 제1중금속 용출조;와,
상기 제1중금속 용출조를 거친 다음 미세 토사에서 중금속을 효율적으로 용출하여 제3처리토를 생성하기 위한 제2 및 제3중금속 용출조;와,
상기 제1중금속 용출조에 산 세척제를 공급하는 산 세척제 공급조;와,
상기 제1중금속 용출조에 계면 활성제를 공급하기 위한 계면 활성제 공급조;와,
상기 제3중금속 용출조에 접속되는 제3하이드로 사이클론;과,
상기 제3하이드로 사이클론에서 배출되는 일정 입도 이상의 입자를 탈수하기 위한 모래 탈수장치;와,
상기 제3하이드로 사이클론과 모래 탈수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스크레퍼 콘베이어;와,
상기 모래 탈수장치에 유입된 미세 토사를 중화시키기 위한 소석회 저장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aminated soil remediation system further includes a chemical treatment facility for the chemical treatment,
The chemical treatment facility includes:
A first heavy metal feedstock into which fine soil is introduced for chemical treatment in the distribution tank;
Second and third heavy metal tanks for efficiently eluting the heavy metals from the fine toss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heavy metal forging to produce the third treated soil;
A pickling agent supply tank for supplying a pickling agent to the first heavy metal eluting vessel;
A surfactant supply tank for supplying a surfactant to the first heavy metal eluant tank;
A third hydrocyclone connected to the third heavy metal leaching tank,
A sand dewatering device for dewatering particles having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or more discharged from the third hydrocyclone,
A scraper conveyor installed between the third hydrocyclone and the sand dewatering device,
And a slaked lime storage tank for neutralizing the fine soil introduced into the sand dewater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9568A KR101957650B1 (en) | 2018-11-28 | 2018-11-28 | Grit flotation apparatus, multistage grit chamber and remediation system of contaminated soils comprising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9568A KR101957650B1 (en) | 2018-11-28 | 2018-11-28 | Grit flotation apparatus, multistage grit chamber and remediation system of contaminated soils comprising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7650B1 true KR101957650B1 (en) | 2019-03-13 |
Family
ID=6576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9568A KR101957650B1 (en) | 2018-11-28 | 2018-11-28 | Grit flotation apparatus, multistage grit chamber and remediation system of contaminated soils comprising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7650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8941B1 (en) * | 2019-09-10 | 2020-01-22 | 측천산업(주) | Compact type remediation system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
KR102099047B1 (en) * | 2019-09-10 | 2020-04-08 | 측천산업(주) | Compact type remediation system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
KR102099048B1 (en) * | 2019-09-10 | 2020-04-08 | 측천산업(주) | Drum type heavy metal release reactor for compact type remediation system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
KR102112962B1 (en) * | 2019-10-18 | 2020-05-19 |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Contaminated soil washing sorting apparatus |
WO2020244820A1 (en) * | 2019-06-07 | 2020-12-10 | Niall Drennan Enterprises Limited | A device for treating and recycling water |
KR102378387B1 (en) * | 2021-04-30 | 2022-03-25 | 주식회사 예일 | Multi-stage particles separation release reactor and contaminated soils remediation system comprising thereof |
KR102400359B1 (en) * | 2021-07-16 | 2022-05-20 | 주식회사 에코프라임 | Heavy metal elution tank using probe type ultrasonic vibrator and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8523B1 (en) * | 2016-03-10 | 2016-10-04 | 효림산업주식회사 | Remediation system of contaminated soil by soil separation and soil washing |
KR20160129604A (en) * | 2015-04-30 | 2016-11-09 |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purify soil polluted crude |
KR101701399B1 (en) * | 2015-06-02 | 2017-02-01 |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 Moveable grit chamber for reaction of chemicals |
KR101717126B1 (en) * | 2016-06-28 | 2017-03-17 | 효림산업주식회사 | Soil Treatment System Using Nanobubble and Multi-Stage Washing of Organic Acid |
KR101782615B1 (en) * | 2017-02-20 | 2017-10-23 | 주식회사 에코프라임 | Contaminated soil remediation system and remediation method having the same |
-
2018
- 2018-11-28 KR KR1020180149568A patent/KR10195765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29604A (en) * | 2015-04-30 | 2016-11-09 |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purify soil polluted crude |
KR101701399B1 (en) * | 2015-06-02 | 2017-02-01 |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 Moveable grit chamber for reaction of chemicals |
KR101658523B1 (en) * | 2016-03-10 | 2016-10-04 | 효림산업주식회사 | Remediation system of contaminated soil by soil separation and soil washing |
KR101717126B1 (en) * | 2016-06-28 | 2017-03-17 | 효림산업주식회사 | Soil Treatment System Using Nanobubble and Multi-Stage Washing of Organic Acid |
KR101782615B1 (en) * | 2017-02-20 | 2017-10-23 | 주식회사 에코프라임 | Contaminated soil remediation system and remediation method having the same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244820A1 (en) * | 2019-06-07 | 2020-12-10 | Niall Drennan Enterprises Limited | A device for treating and recycling water |
KR102068941B1 (en) * | 2019-09-10 | 2020-01-22 | 측천산업(주) | Compact type remediation system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
KR102099047B1 (en) * | 2019-09-10 | 2020-04-08 | 측천산업(주) | Compact type remediation system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
KR102099048B1 (en) * | 2019-09-10 | 2020-04-08 | 측천산업(주) | Drum type heavy metal release reactor for compact type remediation system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
KR102112962B1 (en) * | 2019-10-18 | 2020-05-19 |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Contaminated soil washing sorting apparatus |
KR102378387B1 (en) * | 2021-04-30 | 2022-03-25 | 주식회사 예일 | Multi-stage particles separation release reactor and contaminated soils remediation system comprising thereof |
KR102400359B1 (en) * | 2021-07-16 | 2022-05-20 | 주식회사 에코프라임 | Heavy metal elution tank using probe type ultrasonic vibrator and contaminated soil purif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7650B1 (en) | Grit flotation apparatus, multistage grit chamber and remediation system of contaminated soils comprising thereof | |
KR100952752B1 (en) | Apparatus for washing soils polluted with oil and heavy metal and method thereof | |
KR102099047B1 (en) | Compact type remediation system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 |
KR101782615B1 (en) | Contaminated soil remediation system and remediation method having the same | |
KR100988942B1 (en) | Contaminated soil washing sorting system | |
KR101915030B1 (en) | Drum type heavy metal release reactor for remediation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 |
KR101982969B1 (en) | Oil separating equipment for remediation system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 |
KR100534067B1 (en) | Soil washing method and facility for physical separation and remediation of polluted soil | |
US5599137A (en) | Mobile soil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 |
KR101278958B1 (en) |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 |
KR20200088943A (en) | Various dredged soil purification system | |
KR101995214B1 (en) | Remediation and monitorin system of contaminated soil by soil separation and soil washing and wastewater treatment | |
KR101658523B1 (en) | Remediation system of contaminated soil by soil separation and soil washing | |
KR20120064803A (en) | Hybrid type soil washing facility and method for separation and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 |
KR101964830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1417277B1 (en) | Device to cohere and to dispose of wastes water | |
KR101915035B1 (en) | Remediation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comprising drum type heavy metal release reactor | |
KR101206925B1 (en) | SBR Washing System for contaminated soils, SBR Washing Apparatus for contaminated soils and SBR Washing Method for contaminated soils | |
KR100460629B1 (en) | Soil Washing Apparatus and Soil Washing Device Using It | |
CN102020403B (en) | Sludge purification treatment method and device | |
KR101929272B1 (en) | Remediation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 |
CN114308620A (en) | Continuous screening and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polluted civil engineering slag | |
KR102033963B1 (en) |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of Swine Wastewater | |
KR100639042B1 (en) | A purifying system for dredged sediment | |
KR101103411B1 (en) | Washing apparatus for contaminated soi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