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739B1 - 사각형의 수막형성 부재로 이루어진 습식 전기 집진기 - Google Patents

사각형의 수막형성 부재로 이루어진 습식 전기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739B1
KR102097739B1 KR1020180121878A KR20180121878A KR102097739B1 KR 102097739 B1 KR102097739 B1 KR 102097739B1 KR 1020180121878 A KR1020180121878 A KR 1020180121878A KR 20180121878 A KR20180121878 A KR 20180121878A KR 102097739 B1 KR102097739 B1 KR 102097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m
water
dust collecting
forming member
film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성
황유성
Original Assignee
(주)에코솔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솔루텍 filed Critical (주)에코솔루텍
Priority to KR1020180121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16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w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78Cleaning the electrodes by was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막의 표면적을 최대로 형성하여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각형의 수막형성 부재로 이루어진 습식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상측에서 공급되는 물에 의해 집진극의 내측 면에는 수막이 형성되고, 집진극의 내측 중심부에는 방전극이 설치된 습식 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극에는 경사를 이룬 복수의 제1배출홈이 하측에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1배출홈과 간격을 이루며 복수의 수직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돌기의 상단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수막형성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수막형성부재는 평면과 모서리로 하강하는 물이 원활하게 합쳐져 수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완만한 곡선의 모서리부로 이루어진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집진극은 수막의 표면적을 최대로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수막형성부재와 대응하는 사각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집진극의 내측 면과 밀착되는 제1배출홈은 최대한 많은 양의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넓게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부의 하측에는 적은 양의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2배출홈이 집진극의 내측 면과 이격된 상태로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막형성부재 및 집진극을 사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집진극의 표면적을 최대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대한 넓은 면적의 수막을 형성하게 되어 단위 시간당 최대의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서리부를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수직돌기 사이로 하강하는 물이 서로 자연스럽게 합쳐져 원활한 나선형의 수막이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배출홈과 제2배출홈을 사각형 및 삼각형의 형상으로 구분하여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집진극 전체에 균일한 수막이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각형의 수막형성 부재로 이루어진 습식 전기 집진기{A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composed of a square water film forming member}
본 발명은 수막을 이용하여 분진을 포집하는 수직형 습식 전기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막의 표면적을 최대로 형성하여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각형의 수막형성 부재로 이루어진 습식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집진기는 소각로, 보일러 탈황설비 기타 미세분진 및 유해가스 제거설비에 설치되어 대기오염을 방지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집진기는 보통 고전압 발생부에서 직류의 고전압을 방전극에 인가하되, (-)전극이 방전극에 연결되게 하여 방전극과 집진극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함유된 분진 입자에 (-) 전하를 인가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극의 성질을 갖는 집진극 쪽으로 유도 부착되게 하여 분진을 제거하는데, 이때 집진극에 부착된 분진을 청소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건식과 습식으로 구분된다.
이때, 건식 전기집진기는 래핑(Rapping)(집진극을 망치로 두드림)에 의한 충격을 집진극에 가함으로써 부착된 분진을 떨어뜨려 청소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부착성이 강하거나 점착성이 있는 분진은 집진극에서 쉽게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집진극의 전기 전도도를 떨어뜨려 집진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와 반면에 습식 전기집진기는 이러한 건식 전기집진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집진극의 표면에 간헐적 또는 연속적인 방법으로 물을 공급하여 청소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 중에서 집진극에 연속적으로 수막을 형성하여 집진극(집진판)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막으면서 청소할 수 있도록 한 방법은 특히 비저항의 분진이나 점착성 및 시효경화성이 강한 분진들을 처리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이러한 습식 전기집진기는 하나의 처리유닛에 100~200개 정도 설치되기 때문에 수평이 유지되지 못할 경우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즉, 수백 개의 집진기를 조립할 때 정밀한 조립이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수평을 정확하게 잡을 수 없는데, 이 경우 오버플로우된 물이 고른 수막을 형성하지 못하고 일부에서 물줄기를 형성한다든지 혹은 수막이 형성되지 못하는 곳이 발생하는 현상을 야기하고, 이러한 현상은 곧바로 방전시 스파크를 형성하거나 혹은 더스트가 집진극에 부착되는 문제를 초래하여 방전을 불량하게 하고, 결국 집진기의 기능을 상실시키므로 분해 후 일일이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 비용과 시간을 낭비하는 문제로 연결되게 된다.
또한, 수평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 유지 보수하기도 힘들고, 수평이 높은 쪽으로 물을 더 많이 흘려보내야 하는 불편은 물론 제어 상의 난점으로 인해 집진기의 기능 저하 및 수명 단축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본원 출원인은 등록특허공고 제10-1849183호에서 수막을 형성하는 물의 공급 및 배출을 더욱 원활하게 하여 항상 균일한 수막을 형성할 수 있는 수직형 습식 전기집진기를 제안하였다.
상기 습식 전기집진기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에 형성된 수조(도면 미표시)에서 공급되는 물이 채워지는 공급수조(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공급수조(1)의 내부에는 원통 형상의 집진극(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집진극(2)의 외주면에는 상기 공급수조(1)의 물이 수압에 의해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홀(3)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집진극(2)의 중심에는 봉 형상의 방전극(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방전극(4)에는 복수의 방전핀(5)이 상하로 간격을 이루며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집진극(2)의 상측에는 상기 공급수조(1)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물을 나선형으로 하향 배출하여 집진극(2)의 내측 면에 수막을 형성하는 수막형성부재(6)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수막형성부재(6)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수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홀(3)과 연통되는 복수의 배출홈(7)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전압 공급장치를 통해 방전극(4)에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수막 쪽으로 방전이 일어나면서 더스트 등의 미세입자를 하전 시킨 후 전계에 의해 집진극(2) 쪽으로 이동시켜 하측으로 흘러내리는 수막에 포집하여 분진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수막형성부재(6) 및 집진극(2)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서로 인접한 집진극(2)과의 사이에 불필요한 많은 공간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집진극(2) 및 수막의 표면적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집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집진극 및 수막의 표면적을 최대로 형성하여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사각형의 수막형성 부재로 이루어진 습식 전기 집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막형성부재의 형상을 개선하여 더욱 균일한 수막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사각형의 수막형성 부재로 이루어진 습식 전기 집진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사각형의 수막형성 부재로 이루어진 습식 전기 집진기는 상측에서 공급되는 물에 의해 집진극의 내측 면에는 수막이 형성되고, 집진극의 내측 중심부에는 방전극이 설치된 습식 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극에는 경사를 이룬 복수의 제1배출홈이 하측에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1배출홈과 간격을 이루며 복수의 수직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돌기의 상단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수막형성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수막형성부재는 평면과 모서리로 하강하는 물이 원활하게 합쳐져 수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완만한 곡선의 모서리부로 이루어진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집진극은 수막의 표면적을 최대로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수막형성부재와 대응하는 사각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집진극의 내측 면과 밀착되는 제1배출홈은 최대한 많은 양의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넓게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부의 하측에는 적은 양의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2배출홈이 집진극의 내측 면과 이격된 상태로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각형의 수막형성 부재로 이루어진 습식 전기 집진기에 의하면, 수막형성부재 및 집진극을 사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집진극의 표면적을 최대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대한 넓은 면적의 수막을 형성하게 되어 단위 시간당 최대의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서리부를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수직돌기 사이로 하강하는 물이 서로 자연스럽게 합쳐져 원활한 나선형의 수막이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배출홈과 제2배출홈을 사각형 및 삼각형의 형상으로 구분하여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집진극 전체에 균일한 수막이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전기집진기에 설치된 수막형성부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막형성부재가 설치된 습식 전기 집진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막형성부재가 설치된 습식 전기 집진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막형성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막형성부재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막형성부재와 집진극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각형의 수막형성 부재로 이루어진 습식 전기 집진기는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분진을 포함한 유해가스가 전기집진기의 하측으로 유입되어 내측에서 정화과정을 거친 후 상측으로 배출되는 수직형의 습식 전기집진기에 적용된다.
상기 습식 전기집진기의 상측에는 격자 형태로 형성된 상측지지대(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지지대(10)에는 복수의 방전극(20)이 좌우로 간격을 이루며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방전극(20)의 외주면에 는 복수의 방전핀(30)이 상하로 간격을 이루며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방전극(20)의 하측은 하측지지대(도면 미표시)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지지대(10)의 하측으로 간격을 이루며 상측수조(4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측수조(40)의 일측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도록 플랜지 형상의 공급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측수조(40)에는 상측과 하측을 관통하여 복수의 집진극(50)이 전후, 좌우로 간격을 이루며 상단부가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측과 하측이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방전극(20)이 내측을 관통하여 상측지지대(10)와 하측지지대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진진극(50)의 하측에는 하측수조(6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측수조(60)에는 하측을 관통하여 원통 형상의 배수분리관(70)이 상기 집진극(50)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배수분리관(70)의 상측 외주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좌우로 간격을 이루며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집진극(50)의 내측 면에 견고히 고정될 뿐만 아니라, 집진극(50)의 내측 면과 배수분리관(70)의 외측 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상측수조(40) 및 하측수조(60)는 상기 공급부(41)를 통해 입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모든 면이 밀폐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측수조(40) 및 하측수조(60), 집진극(50)은 각각 별도로 제작하여 일체로 결합하거나, 금형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FRP(fiber reinforced plastics)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집진극(50)의 개방된 상측에는 합성수지, 고무, 금속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수막형성부재(8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수막형성부재(80)는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막형성부재(80)는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모서리부(81)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 면에는 복수의 수직돌기(82)가 좌우로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돌기(82)의 상단부에는 걸림돌기(83)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돌기(83)는 수막형성부재(80)를 집진극(50)의 상측에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든 수직돌기(82)에 형성할 수도 있으나, 수막형성부재(80) 전체에 최소한 2개 이상을 형성함으로써 수평이 되도록 고정한다.
상기 수직돌기(82)의 하측에는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복수의 제1배출홈(84)이 좌우로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모서리부(81)의 하측에는 복수의 제1배출홈(8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배출홈(84)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2배출홈(85)은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게 되고, 상기 집진극(50)에는 외측과 내측을 관통하는 복수의 홀(도면 미표시)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막형성부재(80)가 집진극(50)에 결합되면 상기 수직돌기(82)와 배출홈(84)(85)의 사이에 홀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습식 전기집진기는 공급부(41)를 통하여 고압의 물을 상측수조(40)에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되면, 상기 상측수조(40)의 내측에 물이 가득 차게 되어 수압에 의해 물이 집진극(50)의 홀을 통과하여 수직돌기(82)와 배출홈(84)(85)의 사이로 유입되면, 복수의 배출홈(84)(85)을 통해 나선형으로 확산되어 하방으로 배출됨으로써 집진극(50)의 내측 면에 수막을 형성하게 된다.
삭제
따라서 고전압이 방전극(20)에 인가되면 (-)전하를 띤 분진은 (+)전하를 띤 집진극(50)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수막에 포집되어 집진극(50)의 내측 면을 따라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렇게 집진극(50)의 내측 면 전체에 수막을 형성하며 나선형으로 흘러내린 물은 배수분리관(70)에 이르게 되며, 돌기에 의해 집진극(50)의 내측 면과 배수분리관(70)의 외측 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하측수조(60)에 이르게 되고, 하측수조(60)에 낙하한 물은 펌프 및 공급부(41)를 통해 다시 상측수조(40)로 이송된다.
그리고 배수분리관(70) 및 하측수조(60)는 집진극(50)의 내측 면에 수막을 형성한 물이 방전극(20) 및 하측지지대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불꽃방전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수막형성부재(80)는 사각형의 형상을 이룸으로써 종래의 일반적인 원형의 수막형성부재에 비하여 수막의 면적을 최대로 형성할 수 있어 집진효율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수막형성부재(80)는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수막형성부재(80)가 설치되는 집진극(50)의 형상을 사각형의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인접한 다른 집진극(5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최소로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집진극(50)의 표면적을 최대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집진극(50)의 내측 면에 최대한 넓은 수막을 형성하게 되어 단위 시간당 최대의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며, 집진극(50)이 사각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배수분리관(70)의 형상도 물론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사각형의 단점인 각진 모서리를 완만한 곡선을 이루어진 모서리부(81)로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수직돌기(82) 사이로 하강하는 물이 평면과 모서리에서 서로 자연스럽게 합쳐져 원활한 나선형의 수막을 형성하며 낙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제1배출홈(84)과 제2배출홈(85)을 사각형 및 삼각형의 형상으로 구분하여 형성함으로써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였는데, 즉 집진극(50)의 내측 면과 밀착되는 제1배출홈(84)으로는 최대한 많은 양의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넓은 홈을 형성하였으며, 집진극(50)의 내측 면과 이격되는 제2배출홈(85)으로는 적은 양의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좁은 홈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수막이 집진극(50)의 직선 구간에 집중되어 차츰 모서리 부분으로 퍼져 나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내측 면 전체에 균일한 수막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10 : 상측지지대 20 : 방전극
30 : 방전핀 40 : 상측수조
41 : 공급부 50 : 집진극
60 : 하측수조 70 : 배수분리관
80 : 수막형성부재 81 : 모서리부
82 : 수직돌기 83 : 걸림돌기
84 : 제1배출홈 85 : 제2배출홈

Claims (3)

  1. 상측에서 공급되는 물에 의해 집진극의 내측 면에는 수막이 형성되고, 집진극의 내측 중심부에는 방전극이 설치된 습식 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집진극(50)에는 경사를 이룬 복수의 제1배출홈(84)이 하측에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1배출홈(84)과 간격을 이루며 복수의 수직돌기(82)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돌기(82)의 상단부에는 걸림돌기(83)가 형성된 수막형성부재(80)가 결합되되, 상기 수막형성부재(80)는 평면과 모서리로 하강하는 물이 원활하게 합쳐져 수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완만한 곡선의 모서리부(81)로 이루어진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집진극(50)은 수막의 표면적을 최대로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수막형성부재(80)와 대응하는 사각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집진극(50)의 내측 면과 밀착되는 제1배출홈(84)은 최대한 많은 양의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넓게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부(81)의 하측에는 적은 양의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2배출홈(85)이 집진극(50)의 내측 면과 이격된 상태로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형의 수막형성 부재로 이루어진 습식 전기 집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홈(84)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배출홈(85)은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형의 수막형성 부재로 이루어진 습식 전기 집진기.
  3. 삭제
KR1020180121878A 2018-10-12 2018-10-12 사각형의 수막형성 부재로 이루어진 습식 전기 집진기 KR102097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878A KR102097739B1 (ko) 2018-10-12 2018-10-12 사각형의 수막형성 부재로 이루어진 습식 전기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878A KR102097739B1 (ko) 2018-10-12 2018-10-12 사각형의 수막형성 부재로 이루어진 습식 전기 집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739B1 true KR102097739B1 (ko) 2020-04-06

Family

ID=7028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878A KR102097739B1 (ko) 2018-10-12 2018-10-12 사각형의 수막형성 부재로 이루어진 습식 전기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7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6948A (ko) * 2015-12-24 2017-07-05 (주)에코솔루텍 수직형 습식 전기집진기
KR20170136114A (ko) * 2016-05-31 2017-12-11 (주)에코솔루텍 가압형 습식 전기집진기
KR20180004050A (ko) * 2017-12-22 2018-01-10 (주)에코솔루텍 수직형 습식 전기집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6948A (ko) * 2015-12-24 2017-07-05 (주)에코솔루텍 수직형 습식 전기집진기
KR20170136114A (ko) * 2016-05-31 2017-12-11 (주)에코솔루텍 가압형 습식 전기집진기
KR20180004050A (ko) * 2017-12-22 2018-01-10 (주)에코솔루텍 수직형 습식 전기집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183B1 (ko) 수직형 습식 전기집진기
KR101153008B1 (ko) 습식 전기집진기
KR20170076948A (ko) 수직형 습식 전기집진기
KR101436293B1 (ko) 습식 전기집진기용 수막형성장치
KR101037350B1 (ko) 습식 전기집진장치의 집진극 연속 세정장치
KR101651034B1 (ko) 전기집진기 및 그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 시스템
KR101113780B1 (ko)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KR20170076944A (ko) 수평형 습식 전기집진기의 수막형성장치
CN105521871B (zh) 一种湿式静电除尘器水膜形成装置
KR102233652B1 (ko) 유동안내면을 포함하는 집진판 및 이를 이용한 습식전기집진기
KR101721925B1 (ko) 전기 쇼트 발생 방지용 전기 집진기 애자 및 이를 포함한 전기 집진기
KR102097739B1 (ko) 사각형의 수막형성 부재로 이루어진 습식 전기 집진기
KR101129782B1 (ko) 집진장치
EP2614894A1 (en) Improved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1819096B1 (ko) 가압형 습식 전기집진기
KR20210022211A (ko) 수충격현상을 이용하여 수막노즐을 세척하는 습식 전기집진기
US11484890B2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0694618B1 (ko) 월류 세정방식의 습식 전기 집진기
KR20190136874A (ko) 습식 전기 집진장치
KR102552175B1 (ko) 분산형 수막형성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수직형 습식 전기집진기
KR102249174B1 (ko) 자갈 순환식 습식 전기 집진장치
KR102503220B1 (ko) 습식 전기집진기
CN205550569U (zh) 一种湿式静电除尘器水膜形成装置
KR101529263B1 (ko) 전기 집진장치
CN204699835U (zh) 一种湿式电除尘装置的阳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