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577B1 - 음파 통신을 이용한 아이오티 개폐기 조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파 통신을 이용한 아이오티 개폐기 조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577B1
KR102097577B1 KR1020190117751A KR20190117751A KR102097577B1 KR 102097577 B1 KR102097577 B1 KR 102097577B1 KR 1020190117751 A KR1020190117751 A KR 1020190117751A KR 20190117751 A KR20190117751 A KR 20190117751A KR 102097577 B1 KR102097577 B1 KR 102097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key
frame
user
recorded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단솔플러스
임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단솔플러스, 임창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단솔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117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577B1/ko
Priority to CN202080046488.5A priority patent/CN114026617A/zh
Priority to EP20867627.0A priority patent/EP4036874A4/en
Priority to PCT/KR2020/005311 priority patent/WO2021060640A1/ko
Priority to US17/609,593 priority patent/US2022023796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1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system having a variable access-code, e.g. varied as a function of tim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50Safety; Security of things, users, data o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1Time-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2Subscriber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23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ted data signal containing a code which is changed
    • G07C2009/002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ted data signal containing a code which is changed dynamically, e.g. variable code - rolling cod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80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acoustic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관리자 등록, 사용자 등록, 변경 비밀번호 전송, 사용자 본인이 IoT 개폐기를 개폐하기 위한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전송,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IoT 개폐기를 개폐하기 위한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전송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을 음파 통신을 통하여 IoT 개폐기로 요청하는 통신 단말기; 상기 통신 단말기와의 음파 통신을 통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는 관리자 등록, 사용자 등록, 비밀번호 변경,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저장,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를 이용하여 도어 개폐를 수행하는 IoT 개폐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파 통신을 이용한 아이오티 개폐기 조작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IoT gate using sound wav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IoT 개폐기 조작 시스템으로서, 음파를 이용하여 IoT 개폐기(200)를 조작할 수 있는 음파 통신을 이용한 IoT 개폐기 조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을 디지털 키로 활용한 App Key 시장이 확산됨에 따라 각종 IoT 개폐장치를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으로 연동하는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으나, 기존 기술은 스마트폰에 내장된 H/W(BLE, WiFi, NFC등)를 기반으로 구동이 되므로 해당 H/W가 장착된 특정 단말기에서만 사용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기존 스마트폰에 내장된 H/W를 활용한 서비스는 Key보안 및 스마트폰과 IoT 개폐장치의 연결 이슈로 상당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대부분 제조사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의 H/W중 BLE 혹은 NFC 를 활용하여 IoT 개폐장치와 통신을 하고 있으나 최근 들어 발생되는 보안문제와 IoT 개폐장치의 연결 및 전력소모 문제 등의 다양한 문제로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특정 제조사의 특정 단말기뿐만 아니라 모든 다양한 단말기에서도 디지털 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강력한 보안 및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IoT 개폐장치 개발 필요성이 절실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17-0019243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폰의 스피커로 음파통신을 이용하여 별도의 중계서버와 H/W(BLE, WiFi등)연결 없이 보안에 강력한 IoT 개폐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관리자 등록, 사용자 등록, 변경 비밀번호 전송, 사용자 본인이 IoT 개폐기(200)를 개폐하기 위한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전송,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IoT 개폐기(200)를 개폐하기 위한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전송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을 음파 통신을 통하여 IoT 개폐기(200)로 요청하는 통신 단말기(100); 상기 통신 단말기(100)와의 음파 통신을 통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요청되는 관리자 등록, 사용자 등록, 비밀번호 변경,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저장,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를 이용하여 도어 개폐를 수행하는 IoT 개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관리자 등록을 알리는 고유한 PIN 코드와, 관리자 접속 IP주소 정보와, WiFi 연결 정보가 기록된 관리자 등록 프레임을 생성하는 관리자 등록 프레임 생성 모듈(110); 사용자 등록을 알리는 고유한 PIN 코드와, IoT 개폐기(200)를 사용할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기록된 사용자 등록 프레임을 생성하는 사용자 등록 프레임 생성 모듈(120); 비밀번호 변경을 알리는 고유한 PIN 코드와, IoT 개폐기(200)에 변경하여 등록할 변경 비밀번호가 기록된 변경 비밀번호 프레임을 생성하는 변경 비밀번호 프레임 생성 모듈(130); 1회성 디지털키의 전송을 알리는 고유한 PIN 코드와, 상기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가 기록된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을 생성하는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 생성 모듈(140); 1회성 디지털키의 전송을 알리는 고유한 PIN 코드와, 상기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가 기록된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을 생성하는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 생성 모듈(150); 상기 관리자 등록 프레임, 사용자 등록 프레임, 변경 비밀번호 프레임,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을 음파 신호에 실어 음파 송신하는 음파 송신기(160);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oT 개폐기(200)는, 상기 관리자 등록 프레임, 사용자 등록 프레임, 변경 비밀번호 프레임,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을 음파 수신하는 음파 수신기(210); IoT 개폐기(200)에 마련된 설정 버튼(220); 상기 설정버튼이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눌리어진 경우 음파 수신기(210)에서 수신되는 프레임의 PIN 코드 필드를 판독하여, 프레임의 PIN 코드 필드에 기록된 PIN 코드가 관리자 등록 PIN 코드인 경우, 음파 수신기(210)를 통해 수신된 관리자 등록 프레임에서 관리자 접속 IP주소 정보 및 WiFi 연결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관리자 등록 모듈(230); 상기 설정버튼이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눌리어진 경우 음파 수신기(210)에서 수신되는 프레임의 PIN 코드 필드를 판독하여, 프레임의 PIN 코드 필드에 기록된 PIN 코드가 사용자 등록 PIN 코드인 경우, 음파 수신기(21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등록 프레임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등록 모듈(240); 상기 설정버튼이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눌리어진 경우 음파 수신기(210)에서 수신되는 프레임의 PIN 코드 필드를 판독하여, 프레임의 PIN 코드 필드에 기록된 PIN 코드가 변경 비밀번호 PIN 코드인 경우, 음파 수신기(210)를 통해 수신된 변경 비밀번호 프레임에서 변경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갱신하는 변경 비밀번호 갱신 모듈(250); IoT 개폐기(200)의 터치 또는 설정된 음파 대역이 검출되는 경우, 음파 수신기(210)를 통해 수신된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 또는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를 이용하여 도어 개폐를 수행하는 1회성 디지털키 처리 모듈(260); IoT 개폐기(200)의 동작 상태를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메시징 푸시 모듈(2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등록 프레임은, 다른 음파 서비스와 식별되는 고유한 관리자 등록 식별 PIN 코드가 기록된 PIN 코드 필드; 관리자 단말기가 접속한 IP주소가 기록된 관리자 단말기 IP 주소 필드; 관리자 단말기가 접속한 WiFi의 SSID가 기록된 WiFi SSID 필드; WiFi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비밀번호가 기록된 SSID Password 필드; 관리자로 등록할 관리자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기록된 관리자 단말기 전화번호 필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등록 모듈(230)은, 음파 수신기(210)를 통해 수신된 관리자 등록 프레임의 WiFi SSID 필드에 기록된 SSID와, SSID Password 필드에 기록된 WiFi 접속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WiFi에 접속한 후 관리자 단말기 IP 주소 필드에 기록된 관리자 단말기 IP 주소에 접속하여, IoT 개폐기(200)의 고유 MAC 주소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WiFi 접속 또는 관리자 단말기 IP주소 접속이 실패되는 경우 알람음을 발생시킨 후 슬립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등록 프레임은, 다른 음파 서비스와 식별되는 고유한 사용자 등록 식별 PIN 코드가 기록된 PIN 코드 필드;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관리자 비밀번호가 기록된 관리자 비밀번호 필드; IoT 개폐기(200)의 개폐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기록된 사용자 단말기 전화번호 필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등록 모듈(240)은, 음파 수신기(21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등록 프레임의 관리자 비밀번호 필드에서 관리자 비밀번호를 추출하여, 추출된 관리자 비밀번호가 이전에 등록된 관리자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사용자 등록 프레임에 기록된 새로운 사용자 단말기로서 갱신 등록하며,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알람음을 발생하며 슬립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사용자 단말기로서 갱신 등록하는 것은, 사용자 단말기 전화번호 필드에 기록된 사용자 단말기 전화번호,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비밀번호, 사용자 비밀번호 설정시의 타임 스탬프를 기록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변경 비밀번호 프레임은, 다른 음파 서비스와 식별되는 고유한 변경 비밀번호 식별 PIN 코드가 기록된 PIN 코드 필드; 이전에 설정된 현재의 사용자 비밀번호가 현재 사용자 비밀번호 필드; 변경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기록된 변경 사용자 전화번호 필드; 변경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되어 변경될 비밀번호가 기록된 변경 비밀번호 필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버튼이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눌리어진 경우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웨이크업 모드(wake up mode)로 전환하여 수신되는 프레임에서 미리 설정된 필드 위치에서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며, 유효 데이터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 알람음을 발생시킨 후 슬립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은, 다른 음파 서비스와 식별되는 고유한 1회성 디지털키 식별 PIN 코드가 기록된 PIN 코드 필드; 사용자 본인이 IoT 개폐기(200)를 개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임을 알리는 본인용 1회성 코드가 기록된 구분 코드 필드; 사용자 비밀번호가 기록된 사용자 비밀번호 필드; 디지털키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디지털키 입력 시점의 타임 스탬프로 이루어진 OTP 방식의 1회성 디지털키가 기록된 1회성 디지털키 필드;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음파 통신을 이용한 IoT 개폐기 조작 시스템.
상기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은, 다른 음파 서비스와 식별되는 고유한 1회성 디지털키 식별 PIN 코드가 기록된 PIN 코드 필드;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IoT 개폐기(200)를 개폐하기 위한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임을 알리는 타인용 1회성 코드가 기록된 구분 코드 필드; 음파 통신할 IoT 개폐기(200)의 고유 MAC 주소가 기록된 IoT 개폐기 고유 MAC 주소 필드; 디지털키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디지털키 입력 시점의 타임 스탬프로 이루어진 OTP 방식의 1회성 디지털키가 기록된 1회성 디지털키 필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키 처리 모듈은, 프레임의 PIN 코드 필드에 1회성 디지털키 식별 PIN 코드가 기록되어 있으며 프레임의 구분 코드 필드에 본인용 1회성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검증을 수행하며, 프레임의 PIN 코드 필드에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PIN 코드가 기록되어 있으며 프레임의 구분 코드 필드에 타인용 1회성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검증은,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의 1회성 디지털키 필드에 기록된 사용자 단말기 전화번호가 IoT 개폐기(200)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 사용자 단말기 번화번호가 등록되어 있으면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의 사용자 비밀번호 필드에 기록된 사용자 비밀번호와 IoT 개폐기(200)에 등록된 사용자 비밀번호가 서로 일치하는지를 1차 검증하고,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의 1회성 디지털키 필드에서 전화번호와 함께 수신된 타임 스탬프의 시간과 IoT 개폐기(200)에 등록되어 있는 타임스탬프의 시간을 비교하여 IoT 개폐기(200)에 등록되어 있는 시간이 수신된 시간보다 이전 시간이거나 초기 타임스탬프 시간이면 유효한 사용자의 디지털키로서 2차 검증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검증은,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의 1회성 디지털키 필드에 기록된 사용자 단말기 전화번호가 IoT 개폐기(200)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 사용자 단말기 번화번호가 등록되어 있으면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의 IoT 개폐기 고유 MAC 주소 필드에 기록된 IoT 개폐기 고유 MAC 주소와 IoT 개폐기(200)에 등록된 IoT 개폐기 고유 MAC 주소가 서로 일치하는지를 1차 검증하고,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의 1회성 디지털키 필드에서 전화번호와 함께 수신된 타임 스탬프의 시간과 IoT 개폐기(200)에 등록되어 있는 타임스탬프의 시간을 비교하여 IoT 개폐기(200)에 등록되어 있는 시간이 수신된 시간보다 이전 시간이거나 초기 타임스탬프 시간이면 유효한 사용자의 디지털키로서 2차 검증을 완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존 IoT 개폐기(200)들은 WiFi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단계가 매우 복잡하고 어려웠으나 음파통신을 활용한 방식은 손쉽게 기기간 연결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는 사용자도 간단히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SNS로 일회용 키를 전달 시 음원파일을 직접 전달 하거나 음원파일 URL을 전달하여 전용 앱 설치 없이 일회용 키를 송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파 통신을 이용한 IoT 개폐기 조작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등록 프레임의 예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등록 프레임의 예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경 비밀번호 프레임의 예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의 예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의 예시 그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개폐기(200)의 전면 및 후면 예시 그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개폐기(200)의 구성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파 수신에 따른 데이터 추출 및 검증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예시 그림.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등록이 이루어지는 플로우차트 예시 그림.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등록이 이루어지는 플로우차트 예시 그림.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밀번호 변경이 이루어지는 플로우차트 예시 그림.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키 처리 예시 플로우차트 그림.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10진수 전송 방식의 예시 테이블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파 통신을 이용한 IoT 개폐기 조작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등록 프레임의 예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등록 프레임의 예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경 비밀번호 프레임의 예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의 예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의 예시 그림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개폐기(200)의 전면 및 후면 예시 그림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개폐기(200)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파 수신에 따른 데이터 추출 및 검증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예시 그림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등록이 이루어지는 플로우차트 예시 그림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등록이 이루어지는 플로우차트 예시 그림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밀번호 변경이 이루어지는 플로우차트 예시 그림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키 처리 예시 플로우차트 그림이며,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10진수 전송 방식의 예시 테이블 그림이다.
본 발명은 별도의 중계서버와 H/W(BLE, WiFi등)연결없이 스마트폰의 스피커로 음파통신을 이용하여 직접 IoT 개폐장치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기(100), 도어락 등의 IoT 개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단말기(100)는, 도면에서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태블릿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통신 단말기(100)는, 관리자 등록, 사용자 등록, 변경 비밀번호 전송, 사용자 본인이 IoT 개폐기(200)를 개폐하기 위한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전송,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IoT 개폐기(200)를 개폐하기 위한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전송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을 음파 통신을 통하여 IoT 개폐기(200)로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음파 통신에서 이용되는 음파 신호는 음파 주파수 대역, 예컨대, 18,000Hz ~ 19,800Hz 사이의 신호이다. 이러한 주파수 대역은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가 아니기 때문에 사람들에게는 들리지 않는 주파수 신호이다. 따라서 이러한 불가청 음파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관리자 등록, 사용자 등록, 변경 비밀번호 전송, 사용자 본인이 IoT 개폐기(200)를 개폐하기 위한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전송,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IoT 개폐기(200)를 개폐하기 위한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전송 등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통신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 등록 프레임 생성 모듈(110), 사용자 등록 프레임 생성 모듈(120), 변경 비밀번호 프레임 생성 모듈(130),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 생성 모듈(140),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 생성 모듈(150), 음파 송신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등록 프레임 생성 모듈(110)은, IoT 개폐기(200)에 해당 개폐장치가 접속할 WiFi(SSID와 Password)정보와 관리자 단말기의 정보(동일 WiFi의 IP주소 및 휴대번호)를 음파로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관리자 등록 프레임은, 다른 음파 서비스와 중복되지 않도록 관리자 등록을 알리는 고유한 PIN 코드와, 관리자 접속 IP주소 정보와, WiFi 연결 정보가 기록된 관리자 등록 프레임을 생성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관리자 등록 프레임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음파 서비스와 식별되는 고유한 관리자 등록 식별 PIN 코드가 기록된 PIN 코드 필드와, 관리자 단말기가 접속한 IP주소가 기록된 관리자 단말기 IP 주소 필드와, 관리자 단말기가 접속한 WiFi의 SSID가 기록된 WiFi SSID 필드와, WiFi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비밀번호가 기록된 SSID Password 필드와, 관리자로 등록할 관리자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기록된 관리자 단말기 전화번호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관리자 등록 프레임의 필드 구성 정보는 통신 단말기(100)와 IoT 개폐기(200)와 미리 협의되어 있으며, 이는, 후술할 사용자 등록 프레임, 변경 비밀번호 프레임,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러한 관리자 등록 프레임을 음파 통신을 통해 수신한 IoT 개폐기(200)는, 수신된 WiFi정보로 WiFi접속을 시도하고 정상 접속이 되면 IoT 개폐장치는 수신된 12자리 IP주소(관리자 단말기)와 WiFi 연결을 통하여 더 많은 정보를 상호 손쉽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 IoT 개폐기(200)들은 WiFi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단계가 매우 복잡하고 어려웠으나 음파통신을 활용한 방식은 손쉽게 기기간 연결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는 사용자도 간단히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 등록 프레임 생성 모듈(120)은, IoT 개폐기(200)에 디지털 키로 사용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전달하여 관리자가 IoT 개폐기(200)에 해당 사용자를 등록시키는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프레임을 생성하는 모듈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 등록 프레임 생성 모듈(120)은 사용자 등록을 알리는 고유한 PIN 코드와, IoT 개폐기(200)를 사용할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기록된 사용자 등록 프레임을 생성한다. 여기서 사용자 등록 프레임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음파 서비스와 식별되는 고유한 사용자 등록 식별 PIN 코드가 기록된 PIN 코드 필드와,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관리자 비밀번호가 기록된 관리자 비밀번호 필드와, IoT 개폐기(200)의 개폐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기록된 사용자 단말기 전화번호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 비밀번호는 IoT 개폐장치에 등록한 관리자의 비밀번호 15자리이며, 사용자 단말기 전화번호는 한 번호당 최대 20자리 번호까지 등록이 가능하며 등록하는 사용자 만큼의 프레임(Frame)에 추가된다.
변경 비밀번호 프레임 생성 모듈(130)은, 사용자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비밀번호를 변경하기 위한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프레임을 생성하는 모듈이다. 이를 위해 변경 비밀번호 프레임 생성 모듈(130)은 다른 음파 서비스와 중복되지 않도록 비밀번호의 변경을 알리는 고유한 PIN 코드와, IoT 개폐기(200)에 변경하여 등록할 변경 비밀번호가 기록된 변경 비밀번호 프레임을 생성한다. 여기서 변경 비밀번호 프레임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음파 서비스와 식별되는 고유한 변경 비밀번호 식별 PIN 코드가 기록된 PIN 코드 필드와, 이전에 설정된 현재의 사용자 비밀번호가 현재 사용자 비밀번호 필드와, 변경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기록된 변경 사용자 전화번호 필드와, 변경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되어 변경될 비밀번호가 기록된 변경 비밀번호 필드를 포함할 있다. 예컨대, 사용자 비밀번호 필드에는 해당 사용자에 이전에 저장된 15자리 현재 비밀번호, 변경 비밀번호 필드에는 해당 사용자 번호에 변경할 15자리 비밀번호가 기록될 수 있다.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 생성 모듈(140)은, IoT 개폐장치를 개방하기 위하여 OTP방식의 1회성 디지털 키를 송출하는 디지털키 음파 송출하기 위한 프레임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 생성 모듈(140)은, 1회성 디지털키의 전송을 알리는 고유한 PIN 코드와, 상기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가 기록된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을 생성한다.
여기서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음파 서비스와 식별되는 고유한 1회성 디지털키 식별 PIN 코드가 기록된 PIN 코드 필드와, 사용자 본인이 IoT 개폐기(200)를 개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임을 알리는 본인용 1회성 코드가 기록된 구분 코드 필드와, 사용자 비밀번호가 기록된 사용자 비밀번호 필드와, 디지털키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디지털키 입력 시점의 타임 스탬프로 이루어진 OTP 방식의 1회성 디지털키가 기록된 1회성 디지털키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1회성 디지털키 필드에는 OTP 방식의 1회성 디지털키가 기록되는데, 이는, 디지털 키 생성시 타임 스탬프가 변경되어 디지털 키를 복제하여 사용할 수 없도록 1회성 디지털 키를 생성하여 기록하는 것이다.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 생성 모듈(150)은, IoT 개폐기(200)의 전용 앱 설치를 하지 않은 특정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한정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1회성 키를 생성한다. 따라서 SNS로 해당 일회용 키를 전달 시 음원파일을 직접 전달하거나 음원파일 URL을 전달 하여 전용 앱 설치 없이 음원을 송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 생성 모듈(150)은, 1회성 디지털키의 전송을 알리는 고유한 PIN 코드와, 상기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가 기록된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을 생성한다.
여기서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음파 서비스와 식별되는 고유한 1회성 디지털키 식별 PIN 코드가 기록된 PIN 코드 필드와,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IoT 개폐기(200)를 개폐하기 위한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임을 알리는 타인용 1회성 코드가 기록된 구분 코드 필드와, 음파 통신할 IoT 개폐기(200)의 고유 MAC 주소가 기록된 IoT 개폐기 고유 MAC 주소 필드와, 디지털키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디지털키 입력 시점의 타임 스탬프로 이루어진 OTP 방식의 1회성 디지털키가 기록된 1회성 디지털키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IoT 개폐기(200)의 고유 MAC 주소는 관리자가 IoT 개폐기(200) 등록 시 장치로 부터 전달받은 단말기 IC의 고유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SNS로 해당 일회용 키를 전달 시 음원파일을 직접 전달 하거나 음원파일 URL을 전달 하여 전용 앱 설치 없이 음원을 송출할 수 있다.
음파 송신기(160)는, 관리자 등록 프레임, 사용자 등록 프레임, 변경 비밀번호 프레임,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을 음파 신호에 실어 음파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참고로, 음파통신은 알려진 바와 같이, 음파통신은 블루투스 등 RF 통신보다
저전력 통신이 가능하다. 음파통신은 데이터를 음파 신호로서 전송하기 위하여 BFSK(Binary Frequency Shift Keying)변조와 ASK(Amplitude Shift Keying) 등의 CW(Continuous Waveform)변조를 이용한다. BFSK 변조 방식은 2개의 특정 주파수 음파에 각각 0과 1을 할당하는 방식이고, CW 변조 방식은 주파수와 무관하게 특정 세기 이상의 소리를 특정 시간 이상 지속하는 것을 1로 할당하고, 소리가 없는 상태를 특정 시간 이상 지속하는 것을 0으로 할당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변조 방식에 의한 통신은 특정 단위 시간 동안 2개 형태의 음파로 1비트의 데이터만을 전송할 수 있다. 통상적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하는 음파는 전파에 비해 상당히 저주파이기 때문에 전송할 데이터 열을 구분할 시간인 단위 시간이 전파에 비해 상당히 길다. 따라서 2가지 형태의 음파만을 이용하여 단위 시간 동안 1비트만을 전송할 경우 전송속도가 낮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2가지 형태의 음파만이 아닌 다양한 주파수음을 갖는 음파를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한다. 즉, 사용되는 주파수음을 음악에서 사용되는 음높이 주파수로 정하여 각각의 음높이 주파수에 데이터 디지털값을 대응시키고 다양한 주파수음을 전송하여 디코드함으로써 통신한다. 이렇게 하여 단위 시간당 다수의 비트를 전송하게 된다. 다만, 기존 음파 통신의 경우 전송속도가 낮으며 전송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드웨어 특성에 따른 오차를 보정하고, 다수의 음파가 중복되는 경우에도 가장 가까운 곳에서 발신되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10-1568314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밖에 공지된 다른 다양한 음파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IoT 개폐기(2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락 개폐기로서, 전면에는 송신되는 음파를 수신하는 마이크(20)와 키를 입력받는 키버튼(10)이 구비되며, 후면에는 배터리 수납함(30), 설정 버튼(220)을 구비한다.
IoT 개폐기(200)는, 통신 단말기(100)와의 음파 통신을 통하여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요청되는 관리자 등록, 사용자 등록, 비밀번호 변경,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저장,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저장, 도어 개폐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오류 발생 알람 혹은 등록완료 알람 등 소리로 식별할 수 있는 상태 알람 발생, 절전 모드인 슬립 모드(sleep mode)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IoT 개폐기(2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파 수신기(210), 설정 버튼(220), 관리자 등록 모듈(230), 사용자 등록 모듈(240), 변경 비밀번호 갱신 모듈(250), 1회성 디지털키 처리 모듈(260), 메시징 푸시 모듈(270)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 버튼(220)은, IoT 개폐기(200)에 마련되어 있는데, 사용자로부터 설정버튼이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눌리어진 경우 음파 수신기(210)에서 수신되는 프레임의 PIN 코드 필드에 대한 판독이 이루어진다. 즉, IoT 개폐기(200)의 설정버튼이 기준시간 이상 눌리어져 Wake up되면 설정된 시간(ex 30초)동안 음파 수신기(210)가 활성화 된다. 설정버튼이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눌리어진 경우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웨이크업 모드(wake up mode)로 전환하여 수신되는 프레임에서 미리 설정된 필드 위치에서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며, 유효 데이터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 알람음을 발생시킨 후 슬립 모드로 복귀한다.
음파 수신기(210)는, 관리자 등록 프레임, 사용자 등록 프레임, 변경 비밀번호 프레임,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을 음파 수신한다. 즉, 마이크를 통해 음파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음파 신호를 복조하여 프레임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수집되는 아날로그 음파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의 음파 송신기(160)에서 지정한 특정 샘플(Sample)로 샘플링(Sampling)하여 MCU의 메모리 큐[queue: FIFO ( First In First Out )]에 수집을 하고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추출하며 데이터 주파수가 검출될 때까지 지정된 시간동안 반복한다. 지정한 시간동안 데이터 추출이 되지 않으면 알람(상태 알림 비프음)을 발생시키고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된다.
관리자 등록 모듈(230)은, 설정버튼이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눌리어진 경우 음파 수신기(210)에서 수신되는 프레임의 PIN 코드 필드를 판독하여, 프레임의 PIN 코드 필드에 기록된 PIN 코드가 관리자 등록 PIN 코드인 경우 수신된 프레임이 관리자 등록 프레임으로 판독하여,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파 수신기(210)를 통해 수신된 관리자 등록 프레임에서 관리자 접속 IP주소 정보 및 WiFi 연결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관리자 등록 모듈(230)은, 음파 수신기(210)를 통해 수신된 관리자 등록 프레임의 WiFi SSID 필드에 기록된 SSID와, SSID Password 필드에 기록된 WiFi 접속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WiFi에 접속한 후 관리자 단말기 IP 주소 필드에 기록된 관리자 단말기 IP 주소에 접속하여, IoT 개폐기(200)의 고유 MAC 주소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만약, WiFi 접속 또는 관리자 단말기 IP주소 접속이 실패되는 경우 알람음을 발생시킨 후 슬립 모드로 복귀한다.
사용자 등록 모듈(240)은, 설정버튼이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눌리어진 경우 음파 수신기(210)에서 수신되는 프레임의 PIN 코드 필드를 판독하여, 프레임의 PIN 코드 필드에 기록된 PIN 코드가 사용자 등록 PIN 코드인 경우, 음파 수신기(21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등록 프레임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등록 모듈(240)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파 수신기(21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등록 프레임의 관리자 비밀번호 필드에서 관리자 비밀번호를 추출하여, 추출된 관리자 비밀번호가 이전에 등록된 관리자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사용자 등록 프레임에 기록된 새로운 사용자 단말기로서 갱신 등록하며,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알람음을 발생하며 슬립 모드로 복귀한다.
여기서, 새로운 사용자 단말기로서 갱신 등록하는 것은, 사용자 단말기 전화번호 필드에 기록된 사용자 단말기 전화번호,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비밀번호, 사용자 비밀번호 설정시의 타임 스탬프를 기록하여 갱신할 수 있다. 사용자 비밀번호와 타임 스탬프는 해당 사용자가 최초로 디지털 키로 IoT 개폐장치 인증 시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화 사용된 타임 스탬프가 설정될 수 있고 비밀번호 등록은 비밀번호 변경모드로 진입하여 개별 사용자가 상시 변경할 수 있다.
관리자 인증이 완료되면 IoT 개폐기(200)에 구비된 플래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리스트를 초기화하고 수신된 새로운 사용자를 등록한다. 따라서 IoT 개폐기(200)의 플래시 메모리에 다음과 같은 구조로 사용자를 등록할 수 있게 된다.
Figure 112019097779429-pat00001
변경 비밀번호 갱신 모듈(250)은, 설정버튼이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눌리어진 경우 음파 수신기(210)에서 수신되는 프레임의 PIN 코드 필드를 판독하여, 프레임의 PIN 코드 필드에 기록된 PIN 코드가 변경 비밀번호 PIN 코드인 경우, 음파 수신기(210)를 통해 수신된 변경 비밀번호 프레임에서 변경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갱신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IoT 개폐기(200) 후면의 설정버튼을 일정 시간동안 누르면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깨어나(wake up) 비밀번호 변경 음파수신 모드를 활성화 시킨다. 그리고 IoT 개폐기(200)의 마이크로부터 변경 비밀번호 프레임을 수신하면 내부 저장소(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의 해당정보를 갱신한다. 즉, 데이터 검증이 완료되면 IoT 개폐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비밀번호가 수신된 현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수신된 변경 비밀번호로 갱신하여 저장한다. 반면에 수신된 사용자 전화번호가 없거나 현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태 알람 발생 후 슬립 모드(Sleep mode)로 진입한다.
1회성 디지털키 처리 모듈(260)은, IoT 개폐기(200)의 터치 또는 설정된 음파 대역이 검출되는 경우,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파 수신기(210)를 통해 수신된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 또는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를 이용하여 IoT 개폐기(200)의 도어 개방을 수행한다. 저장된 1회성 디지털키는 IoT 개폐기(200)의 키버튼을 통한 개폐 인증에 사용된다. 이를 위해 디지털키 처리 모듈은, 프레임의 PIN 코드 필드에 1회성 디지털키 식별 PIN 코드가 기록되어 있으며 프레임의 구분 코드 필드에 본인용 1회성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검증을 수행한다. 여기서 OTP방식의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는 사용자가 IoT 개폐기(200)를 개방하는데 사용되며, OTP방식의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는 전용 앱 설치를 하지 않은 특정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한정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일회용 키이다.
프레임의 PIN 코드 필드에 기록된 PIN 코드가 유효한 PIN 코드인지 확인하고 유효한 PIN 코드이면 5번째 구분 코드 필드가 1과 2로 수신이 되었는지 확인하고 정합성에 맞으면 수신데이터를 메모리 변수에 다음과 같이 파싱 하여 저장한다.
Pin code = Frame 1번 1~4번째 까지의 데이터
구분 코드 = Frame 1번 5번째 데이터
비밀번호 = Frame 1번 6~20번째 까지의 데이터
사용자 전화번호 + OTP 코드(타임 스탬프) = Frame 2번
만약 위 수신 정합성이 맞지 않으면 잘못된 키로 인식하고 상태 알람 발생 후 Sleep mode로 진입한다.
예컨대, 수신 정합성이 일치하면 구분 코드가 본인용 1회성 코드인 1이면 사용자가 전송한 디지털키로 인식하고 구분 코드가 타인용 1회성 코드인 2이면 사용자가 타인에게 제공한 인스턴스(일회용) 키로 구분한다.
디지털키 검증은 구분 코드가 본인용 1회성 코드인 1이면 사용자 디지털키 검증을 수행하고 구분 코드가 타인용 1회성 코드인 2이면 인스턴스(일회용)키 검증을 수행한다.
본인용 1회성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검증은,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의 1회성 디지털키 필드에 기록된 사용자 단말기 전화번호가 IoT 개폐기(200)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 사용자 단말기 번화번호가 등록되어 있으면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의 사용자 비밀번호 필드에 기록된 사용자 비밀번호와 IoT 개폐기(200)에 등록된 사용자 비밀번호가 서로 일치하는지를 1차 검증한다. 그리고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의 1회성 디지털키 필드에서 전화번호와 함께 수신된 타임 스탬프의 시간과 IoT 개폐기(200)에 등록되어 있는 타임스탬프의 시간을 비교하여 IoT 개폐기(200)에 등록되어 있는 시간이 수신된 시간보다 이전 시간이거나 초기 타임스탬프 시간이면 유효한 사용자의 디지털키로서 2차 검증을 완료한다. 키검증이 완료되면 IoT 개폐기(200)를 개방한다.
상술하면, IoT 개폐기(200)에 해당 전화번호로 등록된 사용자가 있는지 확인한다.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있으면 IoT 개폐기(200)에 해당 사용자 전화번호로 등록된 비밀번호와 수신된 비밀번호가 동일한지 확인한다. 동일한 비밀번호가 수신 되었거나 IoT 개폐장치에 초기 비밀번호코드로 등록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최초로 디지털 키를 송출한 것으로 인식하고 다음단계로 진행한다. 전화번호와 함께 수신된 타임스탬프의 시간과 IoT 개폐기(200)에 등록되어 있는 타임 스탬프의 시간을 비교하여 IoT 개폐기(200)에 등록되어 있는 시간이 수신된 시간보다 이전 시간이거나 초기 타임스탬프 시간이면 유효한 사용자의 디지털키로 검증을 완료한다. 위 항목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는 잘못된 디지털 키로 인식을 하고 상태 알람 발생 후 Sleep mode로 진입한다. 키검증이 완료되면 IoT 개폐기(200)를 개방하며, IoT 개폐기(200) 개방 후에 수신된 디지털 키 정보에서 최초 사용자 디지털 키 수신일 경우 해당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갱신한다. 해당 사용자의 타임스탬프를 수신된 타임스탬프로 갱신한다. 타임 스탬프가 항상 갱신 되므로 디지털 키를 녹음하거나 일회용으로 발급받은 키를 재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디지털키 처리 모듈은, 프레임의 PIN 코드 필드에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PIN 코드가 기록되어 있으며 프레임의 구분 코드 필드에 타인용 1회성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검증을 수행한다.
여기서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검증은,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의 1회성 디지털키 필드에 기록된 사용자 단말기 전화번호가 IoT 개폐기(200)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 사용자 단말기 번화번호가 등록되어 있으면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의 IoT 개폐기 고유 MAC 주소 필드에 기록된 IoT 개폐기 고유 MAC 주소와 IoT 개폐기(200)에 등록된 IoT 개폐기 고유 MAC 주소가 서로 일치하는지를 1차 검증한다. 그리고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의 1회성 디지털키 필드에서 전화번호와 함께 수신된 타임 스탬프의 시간과 IoT 개폐기(200)에 등록되어 있는 타임스탬프의 시간을 비교하여 IoT 개폐기(200)에 등록되어 있는 시간이 수신된 시간보다 이전 시간이거나 초기 타임스탬프 시간이면 유효한 사용자의 디지털키로서 2차 검증을 완료한다. 키검증이 완료되면 IoT 개폐기(200)를 개방한다.
상술하면, IoT 개폐기(200)에 해당 전화번호로 등록된 사용자가 있는지 확인한다.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있으면 IoT 개폐기(200)의 고유 아이디(고유 MAC 주소)와 수신된 비밀번호가 동일한지 확인한다. 동일한 IoT 개폐기(200) 고유 아이디(고유 MAC 주소)가 수신 되었으면 다음단계로 진행한다. 전화번호와 함께 수신된 타임스탬프의 시간과 IoT 개폐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타임스탬프의 시간을 비교하여 IoT 개폐기(200)에 등록되어 있는 시간이 수신된 시간보다 이전 시간이거나 초기 타임스탬프 시간이면 유효한 사용자의 디지털키로 검증을 완료한다. 위 항목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는 잘못된 디지털 키로 인식을 하고 상태 알람 발생 후 Sleep mode로 진입한다. 키검증이 완료되면 IoT 개폐기(200)를 개방하며, IoT 개폐기(200) 개방 후에 수신된 디지털 키 정보에서 최초 사용자 디지털 키 수신일 경우 해당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갱신한다. 해당 사용자의 타임스탬프를 수신된 타임스탬프로 갱신한다.
메시징 푸시 모듈(270)은, IoT 개폐기(200)의 동작 상태를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정상적으로 IoT 개폐기(200)가 개방되면 해당 정보를 IoT 개폐기(200)에 등록되어 있는 WiFi 정보로 접속하여 등록되어 있는 관리자 토큰으로 Push 알람을 전송한 후 Sleep mode로 진입한다.
한편, 프레임에 기록되는 데이터 형태는,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등록특허 10-1568314에서 2진수 또는 16진수 형태로서 음파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는데, 10진수 전송 방식으로 기록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플임 주파수 테이블과 수신 개수 주파수 테이블을 가진다고 할 때, 예컨대, 20자리 12345678901234567890 1번 프레임 전송 시 주파수 할당할 때 도 16과 같이 총 19개 주파수가 발생되므로 수신개수 주파수는 19번째 주파수가 발생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통신 단말기
200:IoT 개폐기

Claims (8)

  1. 관리자 등록, 사용자 등록, 변경 비밀번호 전송, 사용자 본인이 IoT 개폐기를 개폐하기 위한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전송,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IoT 개폐기를 개폐하기 위한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전송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을 음파 통신을 통하여 IoT 개폐기로 요청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와의 음파 통신을 통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는 관리자 등록, 사용자 등록, 비밀번호 변경,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저장,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를 이용하여 도어 개폐를 수행하는 IoT 개폐기;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단말기는,
    관리자 등록을 알리는 고유한 PIN 코드와, 관리자 접속 IP주소 정보와, WiFi 연결 정보가 기록된 관리자 등록 프레임을 생성하는 관리자 등록 프레임 생성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IoT 개폐기는,
    관리자 등록 프레임, 사용자 등록 프레임, 변경 비밀번호 프레임,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을 음파 수신하는 음파 수신기와, IoT 개폐기에 마련된 설정 버튼, 및 상기 설정버튼이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눌리어진 경우 음파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프레임의 PIN 코드 필드를 판독하여, 프레임의 PIN 코드 필드에 기록된 PIN 코드가 관리자 등록 PIN 코드인 경우, 음파 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관리자 등록 프레임에서 관리자 접속 IP주소 정보 및 WiFi 연결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관리자 등록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자 등록 모듈은 음파 수신기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된 WiFi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WiFi에 접속한 후, 관리자 단말기 IP 주소 필드에 기록된 관리자 단말기 IP 주소에 접속하여, IoT 개폐기의 고유 MAC 주소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 통신을 이용한 IoT 개폐기 조작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 등록을 알리는 고유한 PIN 코드와, IoT 개폐기를 사용할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기록된 사용자 등록 프레임을 생성하는 사용자 등록 프레임 생성 모듈;
    비밀번호 변경을 알리는 고유한 PIN 코드와, IoT 개폐기에 변경하여 등록할 변경 비밀번호가 기록된 변경 비밀번호 프레임을 생성하는 변경 비밀번호 프레임 생성 모듈;
    1회성 디지털키의 전송을 알리는 고유한 PIN 코드와, 상기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가 기록된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을 생성하는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 생성 모듈;
    1회성 디지털키의 전송을 알리는 고유한 PIN 코드와, 상기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가 기록된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을 생성하는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 생성 모듈; 및
    상기 관리자 등록 프레임, 사용자 등록 프레임, 변경 비밀번호 프레임,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을 음파 신호에 실어 음파 송신하는 음파 송신기;를 더 포함하는 음파 통신을 이용한 IoT 개폐기 조작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IoT 개폐기는,
    상기 설정버튼이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눌리어진 경우 음파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프레임의 PIN 코드 필드를 판독하여, 프레임의 PIN 코드 필드에 기록된 PIN 코드가 사용자 등록 PIN 코드인 경우, 음파 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등록 프레임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등록 모듈;
    상기 설정버튼이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눌리어진 경우 음파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프레임의 PIN 코드 필드를 판독하여, 프레임의 PIN 코드 필드에 기록된 PIN 코드가 변경 비밀번호 PIN 코드인 경우, 음파 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변경 비밀번호 프레임에서 변경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갱신하는 변경 비밀번호 갱신 모듈;
    IoT 개폐기의 터치 또는 설정된 음파 대역이 검출되는 경우, 음파 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 또는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를 이용하여 도어 개폐를 수행하는 1회성 디지털키 처리 모듈; 및
    IoT 개폐기의 동작 상태를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메시징 푸시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음파 통신을 이용한 IoT 개폐기 조작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등록 프레임은,
    다른 음파 서비스와 식별되는 고유한 관리자 등록 식별 PIN 코드가 기록된 PIN 코드 필드;
    관리자 단말기가 접속한 IP주소가 기록된 관리자 단말기 IP 주소 필드;
    관리자 단말기가 접속한 WiFi의 SSID가 기록된 WiFi SSID 필드;
    WiFi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비밀번호가 기록된 SSID Password 필드;
    관리자로 등록할 관리자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기록된 관리자 단말기 전화번호 필드;
    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음파 통신을 이용한 IoT 개폐기 조작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등록 프레임은,
    다른 음파 서비스와 식별되는 고유한 사용자 등록 식별 PIN 코드가 기록된 PIN 코드 필드;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관리자 비밀번호가 기록된 관리자 비밀번호 필드;
    IoT 개폐기의 개폐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기록된 사용자 단말기 전화번호 필드;
    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음파 통신을 이용한 IoT 개폐기 조작 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변경 비밀번호 프레임은,
    다른 음파 서비스와 식별되는 고유한 변경 비밀번호 식별 PIN 코드가 기록된 PIN 코드 필드;
    이전에 설정된 현재의 사용자 비밀번호가 현재 사용자 비밀번호 필드;
    변경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기록된 변경 사용자 전화번호 필드;
    변경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되어 변경될 비밀번호가 기록된 변경 비밀번호 필드;
    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음파 통신을 이용한 IoT 개폐기 조작 시스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은,
    다른 음파 서비스와 식별되는 고유한 1회성 디지털키 식별 PIN 코드가 기록된 PIN 코드 필드;
    사용자 본인이 IoT 개폐기를 개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본인용 1회성 디지털키임을 알리는 본인용 1회성 코드가 기록된 구분 코드 필드;
    사용자 비밀번호가 기록된 사용자 비밀번호 필드;
    디지털키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디지털키 입력 시점의 타임 스탬프로 이루어진 OTP 방식의 1회성 디지털키가 기록된 1회성 디지털키 필드;
    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음파 통신을 이용한 IoT 개폐기 조작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 프레임은,
    다른 음파 서비스와 식별되는 고유한 1회성 디지털키 식별 PIN 코드가 기록된 PIN 코드 필드;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IoT 개폐기를 개폐하기 위한 타인용 1회성 디지털키임을 알리는 타인용 1회성 코드가 기록된 구분 코드 필드;
    음파 통신할 IoT 개폐기의 고유 MAC 주소가 기록된 IoT 개폐기 고유 MAC 주소 필드;
    디지털키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디지털키 입력 시점의 타임 스탬프로 이루어진 OTP 방식의 1회성 디지털키가 기록된 1회성 디지털키 필드;
    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음파 통신을 이용한 IoT 개폐기 조작 시스템.

KR1020190117751A 2019-09-24 2019-09-24 음파 통신을 이용한 아이오티 개폐기 조작 시스템 KR102097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751A KR102097577B1 (ko) 2019-09-24 2019-09-24 음파 통신을 이용한 아이오티 개폐기 조작 시스템
CN202080046488.5A CN114026617A (zh) 2019-09-24 2020-04-22 利用声波通信的物联网开关设备操作系统
EP20867627.0A EP4036874A4 (en) 2019-09-24 2020-04-22 IOT SWITCHGEAR OPERATING SYSTEM USING SOUND WAVE COMMUNICATION
PCT/KR2020/005311 WO2021060640A1 (ko) 2019-09-24 2020-04-22 음파 통신을 이용한 아이오티 개폐기 조작 시스템
US17/609,593 US20220237964A1 (en) 2019-09-24 2020-04-22 Iot switchgear operation system using sound wave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751A KR102097577B1 (ko) 2019-09-24 2019-09-24 음파 통신을 이용한 아이오티 개폐기 조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577B1 true KR102097577B1 (ko) 2020-04-07

Family

ID=70290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751A KR102097577B1 (ko) 2019-09-24 2019-09-24 음파 통신을 이용한 아이오티 개폐기 조작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37964A1 (ko)
EP (1) EP4036874A4 (ko)
KR (1) KR102097577B1 (ko)
CN (1) CN114026617A (ko)
WO (1) WO20210606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640A1 (ko) *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단솔플러스 음파 통신을 이용한 아이오티 개폐기 조작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932B1 (ko) * 2015-04-28 2016-08-30 주식회사 사운드잇 도어락 잠금해제 방법 및 도어락 장치
KR20170019243A (ko) 2015-08-11 2017-02-21 (주)혜강씨큐리티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개방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 및 그 제어 방법
JP2018145638A (ja) * 2017-03-02 2018-09-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錠システム及び電気錠装置
KR20180116741A (ko) * 2017-04-17 2018-10-25 모비두 주식회사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492205U (zh) * 2013-09-16 2014-03-19 四川虹微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组网功能的智能开关
KR101568314B1 (ko) 2015-05-26 2015-11-12 주식회사 단솔플러스 음파 통신 장치 및 방법
CN104954121B (zh) * 2015-06-12 2017-11-24 福建星网锐捷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声波通讯的远程门禁控制方法及其系统
CN205656756U (zh) * 2016-05-13 2016-10-19 广州中卡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声波通信的智能水和/或电控制系统
CN205722070U (zh) * 2016-06-15 2016-11-23 广州中卡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声波通信的门禁系统
KR101887978B1 (ko) * 2017-04-26 2018-08-13 우용성 IoT 모듈을 포함하는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97577B1 (ko) * 2019-09-24 2020-04-07 주식회사 단솔플러스 음파 통신을 이용한 아이오티 개폐기 조작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932B1 (ko) * 2015-04-28 2016-08-30 주식회사 사운드잇 도어락 잠금해제 방법 및 도어락 장치
KR20170019243A (ko) 2015-08-11 2017-02-21 (주)혜강씨큐리티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개방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 및 그 제어 방법
JP2018145638A (ja) * 2017-03-02 2018-09-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錠システム及び電気錠装置
KR20180116741A (ko) * 2017-04-17 2018-10-25 모비두 주식회사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640A1 (ko) *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단솔플러스 음파 통신을 이용한 아이오티 개폐기 조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36874A1 (en) 2022-08-03
CN114026617A (zh) 2022-02-08
EP4036874A4 (en) 2023-10-18
WO2021060640A1 (ko) 2021-04-01
US20220237964A1 (en)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06561A (zh) 一种配对方法、取消配对方法、终端设备及外接设备
TWI481774B (zh) 房門解鎖方法、資產使用權租賃方法及使用其之系統
KR101494471B1 (ko) 음향 신호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과 장치
CN102204391B (zh) Repeater WPS连接方法及装置
CA2875286C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ly modifying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portable devices
US20190149987A1 (en) Secondary device setup
CN104808496B (zh) 一种智能家居控制系统及访问方法
CN109391634A (zh) 建立通信的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4091376A (zh) 智能锁控制方法和装置
US8188857B2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wireless networks
KR20150020268A (ko) 음향파들을 통한 디바이스들 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TWI241829B (en) Remote control system
CN104580409A (zh) 业务请求处理方法、服务器及终端
CN105099517B (zh) 连接建立方法及装置
CN106714126A (zh) 下行数据传输方法、装置和设备
KR102097577B1 (ko) 음파 통신을 이용한 아이오티 개폐기 조작 시스템
CN104010060A (zh) 识别来电呼入方身份的方法和电子设备
CN107404720B (zh) 一种无线设置信息重置的方法及相关设备
CN107070707A (zh) 路由器初始化模式的确定方法和装置
CN107820251A (zh) 一种网络接入的方法、装置及系统
US20230283994A1 (en) Automatic Control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9903767B (zh) 一种语音处理方法、装置、设备及系统
KR101700243B1 (ko) 사운드 기반 인증 방법 및 시스템
CN108391307A (zh) 基于安卓系统的功耗管控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5722079B (zh) WiFi接入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