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548B1 - Post or door having a built-in light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ost or door having a built-in light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548B1
KR102097548B1 KR1020190148940A KR20190148940A KR102097548B1 KR 102097548 B1 KR102097548 B1 KR 102097548B1 KR 1020190148940 A KR1020190148940 A KR 1020190148940A KR 20190148940 A KR20190148940 A KR 20190148940A KR 102097548 B1 KR102097548 B1 KR 102097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ost
lighting module
uni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9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은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코큐비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코큐비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코큐비클
Priority to KR1020190148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54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5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06B1/528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with ducts for cables o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t unit embedded with a replacement lighting module therei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o a post unit which allows a user to intuitively check an opening/closing state of a door and whether or not a person is present in a space divided by the door by using an 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ing module can be installed in a simple and firm structure and is easy to be installed and replaced. In addition, the convenience of a user and an expected user is maximized by allowing the expected user desiring to use a divided space to intuitively check whether or not the space is used and the elapsed time of use. Even when a structural change of the door or the post unit due to continuous long-term use is randomly generated, a problem in control of a display state of use or non-use is not generated, thereby securing durability due to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control by an electric signal in accordance with whether two or more members are adjacent to each other rather than control of a display state of use or non-use in a physical scheme.

Description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 및 이의 제조방법 {Post or door having a built-in light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Post or door having a lighting module embedded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ost or door having a built-in light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LED를 활용하여 도어의 개폐상태와 상기 도어로 구분된 공간 내부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상기 공간의 외부에서 직관적으로 확인가능하도록 구성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t part or a door part in which a replaceable lighting module is embedde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o determine whether a person is present in the door open / closed state and inside the space divided by the door by using an LED. It relates to a post portion or a door portion configured to be intuitively vi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space.

공간과 공간을 구획하고 구분가능한 칸막이, 도어부 또는 포스트부 등은 판재와 부자재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It is common that a partition, a partition, a door part or a post part, which can divide and distinguish a space and a space, is composed of a plate material and an auxiliary material.

판재는 쪽판, 중판, 도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자재는 상부 데코몰딩, 잠금세, 경첩, 받침대, 브라켓, 옷걸이, 스토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late material is composed of a side plate, a middle plate, and a door, and the auxiliary material may be composed of an upper deco molding, a lock tax, a hinge, a stand, a bracket, a hanger, a stopper, and the like.

공간과 공간을 구획하고 구분가능한 칸막이, 도어 및 포스트부 등은 지대 또는 건물 내부의 공간의 구획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패널 및 포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와 같이 공간을 구분하고 선택적으로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어 등이 설치 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common that partitions, doors and posts, etc. that divide and separate spaces and spaces include a plurality of panels and posts to enable partitioning of space within a zone or building. It is possible that a door or the like is installed to form an isolated space.

이 경우, 해당 구분된 공간이 특정인에 의해 사용중이어서 더 이상의 공간내 인입을 금지하거나, 사용중인 상태를 구분된 공간 외측으로 알리기 위하여 다양한 알림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various notification methods may be used to prohibit further entry into the space because the divided space is being used by a specific person, or to notify the state of being used outside the divided space.

상기 알림방법은 일반적으로 잠금걸쇠 등의 동작으로 인해 공간 내부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가 물리적으로 회전하는 등의 아날로그 방식으로 공간 내부상태를 상기 공간의 외부로 공지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The notification method is generally used as a method of notifying the interior state of the space to the outside of the space in an analog manner such as a physically rotating state display unit displaying the internal state of the space due to an operation such as a locking latch.

이러한 기존 공지방법을 사용하거나 공지방법이 없는 단순 도어 및 포스트 등의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 구분된 공간 내부에 이용자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도어와 포스트의 틈 사이로 이용자의 존재를 육안확인하거나, 도어 또는 포스트를 노크하고 응답을 기다리는 등 이용자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받지 못하여 민망하고 불쾌한 상황이 발생가능하며, 이와 같은 물리적인 확인과정을 거치는 동안 다른 구획되고 구분된 공간에서 이용자가 나온 경우, 공간의 인입 또는 사용 순서를 놓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When using such an existing notification method or a structure such as a simple door and a post without a notification method, visually check the existence of the user between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post in order to confirm the existence of the user in the separated space, If the user's personal privacy is not protected, such as knocking on a door or post and waiting for a response, an embarrassing and unpleasant situation can occur, and if the user comes out of another divided and separated space during this physical verification process, the space is entered. Or, the order of use may be missed.

이와 같이 사용자들이 사용 유무를 알기 위해 겪어야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덜어주기 위해 조명을 사용하여 사용 유무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칸막이 등이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relieve the hassle and inconvenience that users need to know to use or not, a partition lamp configured to display the use or not using lighting is being developed.

이와 관련해서, 특허등록번호 제10-1487733호에서는 잠금쇠의 직접 접촉에 의해 LED가 점등되는 도어용 점등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In this regard, Patent Registration No. 10-1487733 discloses a lighting system for a door in which the LED is lit by direct contact of the clamp.

이 특허의 주요 구성은 도어의 잠금장치에 조명 스위치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잠금스위치를 돌려 타원형의 회전판을 회전시키면 회전판은 타원형 형상인 관계로 캠운동을 하게 되어 잠금쇠는 직선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케이싱에 삽입 또는 인출시켜 잠금쇠에 내설된 도전체와 케이싱 내부에 설치된 도전체의 접지유무에 따라 LED는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되어 있다.The main configuration of this patent is to install a light switch on the lock of the door. When the rotation switch is rotated to rotate the elliptical rotating plate, the rotating plate is cam-shaped in an elliptical shape. The LED is turned on or off depending on whether the conductor installed in the clamp by inserting or withdrawing and the conductor installed in the casing are grounded.

그러나, 상기 특허등록번호 10-1487733호는 점등기구의 스위치가 도어의 잠금장치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점등기구가 점등되는 구성으로, 화장실의 구성부품 중에서 가장 고장이 많이 나는 부품이 화장실의 잠금장치인 점을 감안하면, 잠금장치에 내설된 스위치도 자주 고장나 점등기구 또한 사용할 수 없게 될 것이다.However, the patent registration number 10-1487733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witch of the lighting mechanism is installed on the door lock and the lighting mechanism is turned on by the user's manipulation. Given that it is a locking device, the switch built into the locking device will often fail and the lighting device will also be unusable.

뿐만 아니라, 점등기구가 점등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은 도어 및 프레임 각각에 연결되는 전선에 의해 공급되는데, 이때 전선은 도어와 프레임의 내부로 배선된 것으로, 도어 및 프레임 모두의 제작 비용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In addition, the electric power required for the lighting mechanism to be lit is supplied by wires connected to each of the door and the frame. At this time, the wires are wired into the interior of the door and the frame, which inevitably increases the production cost of both the door and the frame.

또한, 도어에 연결된 전선에 실질적으로 전류가 흐르기 위해서는 전선은 결국 도어가 아닌 프레임을 통해 천장과 연결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힌지 내부에 도전체가 내설되어야 하고 전선의 길이 또한 충분히 길어야 함으로써, 전체적인 재료비 및 제작 비용이 늘어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ubstantially flow the electric current connected to the door, the electric wire must eventually be connected to the ceiling through the frame, not the door. For this purpose, a conductor must be installed inside the hinge and the length of the electric wire must also be sufficiently long, thereby making the overall material cost and produ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increases.

이에 따라,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도어부 등에도 설치가능한 조명 모듈의 구성을 제공하면서, 공간 내부의 이용자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면서 설치되는 구성의 내구성 문제를 해결하고,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설치가 용이하고, 프라이버시가 보호가능하도록 구성된 공간 구획 및 구분용 도어부 또는 포스트부 구성가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while providing a configuration of a lighting module that can be installed in a door or the like using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inside the space, solve the durability problem of the installed configuration,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simple configuration. And it is easy to install, an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door section or a post section for partitioning and a space configured to protect privacy.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87733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4487733

본 발명의 목적은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도어부 또는 포스트부와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견고한 구조로 조명 모듈을 설치가능하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구조와 조명의 점등 상태의 제어를 통해 구획 및 구분된 공간 내부에 사용자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part or a post part in which a replaceable lighting module is embedded,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rough this, it is to provide a structure capable of easily checking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in a compartment and a divided spa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체 가능한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는, 도어부 등과 인접하여 구성되며, 소정 영역의 공간을 구획하고 구분하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포스트부, 상기 포스트부와 인접하여 구성되며, 여닫이 또는 미닫이 등의 방식으로 구동되는 도어부, 상기 포스트부의 일측과 상기 도어부의 일측의 인접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조명 모듈의 점등여부 및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는 상기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의 일측에 형성된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부는 상기 패널부 내측에 인입되어 고정되는 패널부 하우징, 상기 패널부 하우징 내측으로 억지끼움 또는 슬라이드 결합되는 연질의 제1지지체, 다수개의 LED가 배열된 조명 모듈 및 상기 조명 모듈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1지지체와 결합되는 제2지지체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가 제공될 수 있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ost part or the door part in which the replaceable light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s configured adjacent to the door part and the like, and a post part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to divide and divide a space in a predetermined area, the post part It is configured adjacent to, and the door part driven by a method such as a casement or a sliding door, a sensor part for sensing whether one side of the post part is adjacent to one side of the door part and the sensor part, and whether the lighting module is turned on or off.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he post portion or the door portion includes a panel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post portion or the door portion, the panel portion is a panel portion housing fixed to the inside of the panel portion, the panel portion housing inside A post portion in which a lighting module including a soft first support, which is forcibly fitted or slide-coupled, a lighting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LEDs are arranged, and a second support fixed to one side of the lighting module and coupled with the first support, or A door portion can be provided.

상기 패널부 하우징은 ㄷ자로 구성된 상기 패널부 하우징의 하우징 벽 각 단부에 상기 패널부 하우징 내측방향을 향해 소정길이 연장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외측 돌기, 하우징 벽으로부터 상기 패널부 하우징의 내측방향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되어 연장형성된 다수개의 스토퍼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anel portion housing has at least two or more outer protrusions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inside of the panel portion housing at each end of the housing wall of the panel portion housing composed of U-shaped, predetermined from the housing wall toward the inside direction of the panel portion housing The length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topper protrusions protruding and extending.

상기 외측 돌기는 상기 외측 돌기에서 상기 패널부 하우징의 하우징 몸체의 방향을 향해 상기 외측 돌기 각각의 내측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침형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outer protrus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needle-shaped protrusions formed inside each of the outer protrusions toward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body of the panel unit housing from the outer protrusions.

상기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 중 어느 하나는, 소정방향으로 왕복구동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유도기전력 유도부를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는 고정된 코일을 포함하는 유도기전력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ny one of the post part and the door part includes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duction part including a magnet reciprocat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other one includes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ion part including a fixed coil.

상기 제어부는 센서부와 제어부가 근접한 상태에 놓여져 있으며, 도어부와 포스트부가 잠금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조명 모듈을 점등상태로 제어하되, 상기 조명 모듈의 점등상태가 경과된 시간에 따라 상기 조명 모듈의 발광색을 달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is placed in a state in which the sensor unit and the control unit are in close proximity, and when the door unit and the post unit are in a locked state, the lighting module is controlled to a lighting state, and the lighting module is adjusted according to a time when the lighting state of the lighting module has elapsed. The emission color of can be changed.

상기 제어부는 센서부와 제어부가 근접한 상태에 놓여져 있으며, 도어부와 포스트부가 잠금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조명 모듈을 점등상태로 제어하되, 상기 조명 모듈의 점등상태가 경과된 시간에 따라 상기 도어부 또는 포스트부에 설치된 조명 모듈의 상부 또는 하부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점등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is placed in a state in which the sensor unit and the control unit are in close proximity, and when the door unit and the post unit are in a locked state, the lighting module is controlled to a lighting state, but the door unit according to the elapsed time of the lighting module. Alternatively, lighting control may be per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top or bottom of the lighting module installed in the post.

또한,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해결 수단 외에도 해당 구성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심재보드가 제작되고 표면재가 부착되는 심재보드-표면재 부착단계, 상기 심재보드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이 길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길이 및 깊이만큼 타공되어 홈부가 형성되는 홈부 형성단계, 상기 홈부에 패널부 하우징이 고정되는 패널부 하우징 고정단계, 상기 패널부 하우징에 제1지지체가 고정되는 제1지지체 고정단계, 제2지지체가 조명 모듈에 고정되는 제2지지체 고정단계 및 상기 제1지지체에 상기 제2지지체가 결합되는 지지체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solution compris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nfiguration, the core material board is manufactured and the surface material is attached to the core material board-surface material attachment step, at least one of both sides of the core material board is pres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groove portion forming step in which a groove is formed by being punched by a length and a depth, a panel portion housing fixing step in which a panel portion housing is fixed to the groove portion, a first support fixing step in which a first support is fixed to the panel portion housing, and a second suppor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st portion or a door portion in which a lighting module is embedded, including a fixing step of a second supporting body fixed to a lighting module and a supporting step of coupling the second supporting body to the first supporting body may be provided.

이 경우, 상기 조명 모듈 및 패널부 하우징에 마감재가 결합되는 마감재 결합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a finishing material coupling step in which a finishing material is coupled to the lighting module and the panel housing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표면재가 부착된 상기 심재보드의 일면이 타공되어 통공부가 형성되는 통공부 형성단계 및 상기 통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조명 모듈과 센서부 및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조명 모듈 연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step of forming a through-hole where one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board to which the surface material is attached is perforated to form a through-hole, and a step of connecting a lighting module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lighting module, the sensor unit, and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through-hole. It is preferred to include.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심플하지만 견고한 구조로 조명 모듈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조명 모듈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lighting module with a simple but sturdy structure, and it is easy to install and replace the lighting module.

또한, 구분된 공간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예정자로 하여금, 공간의 이용여부 및 이용의 경과정도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 및 이용예정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특징이 존재한다.In addition, there is a feature that maximizes the convenience of users and prospective users by allowing the prospective user who wants to use the divided space to intuitively check whether the space is used and the progress of use.

추가적으로, 물리적인 방식으로 공간의 이용여부에 대한 표시상태를 제어하는 것이 아닌 2개 이상 부재의 근접여부에 따른 전기적신호에 의한 제어를 수행하는 구성특징상 연속적인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해 도어부 또는 포스트부의 구조변경이 소정부분 발생하는 경우에도, 이용여부에 대한 표시상태를 제어함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확보되는 특징이 존재한다.In addition, the door part or post due to continuous long-term use due to the configuration feature that performs control by electrical signals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wo or more members, rather than controlling the display state of the use of space in a physical manner. Even when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part occurs in a predetermined part, there is no problem in controlling the display state for use or not, and there is a feature that the durability is secu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의 단면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의 매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에 형성된 통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의 조명 점진적 점등 제어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의 조명 점등 제어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post unit or a door unit in which a lighting module is embed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 post or door part in which a lighting module is embed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buried state of a post unit or a door unit in which a lighting module is embed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mbined state of a post unit or a door unit in which a lighting module is embed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mbined state of a post unit or a door unit in which a lighting module is embed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through-hole formed in a post or door part in which a lighting module is embed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lighting gradual lighting control state of a post unit or a door unit in which a lighting module is embed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lighting lighting control state of a post unit or a door unit in which a lighting module is embed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st unit or a door unit in which a lighting module is embed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unconditionally limited in a conventional or lexical sense, and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cept of various terms can be properly defined and used, and furthermore, these terms or words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That is,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specifically limit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terms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possibiliti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a term defined in consideration.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may include the meaning of the singular even though they are similarly expressed in plural. do.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When describing a component as "comprising" another compon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component is further excluded from any other compon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could mean you can do it.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Further,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existing or connected inside" of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installed directly connected to or in contact with other components, and may be installed. It may be installed spaced apart at a distance, and in the case of being installed spaced apart at a certain distance, there may be a third component or means for fixing or connecting the component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r means of may be omitted.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hird component or means does not exist.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imilarly,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have the same effect. It should be interpreted as.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one side", "other side", "one side", "other side", "first", "second", etc., if used, this one component for one component It is used to clearly distinguish from other components,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eanings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related to positions such as “upper”, “lower”, “left”, and “right”, if used, should be understood as indicating relative positions in corresponding drawings with respect to corresponding components, Unless an absolute position is specified for their position, these position-related term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ferring to an absolute position.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Moreover,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 unit”, “… group”, “module”, and “device”, if used, refer to a unit capable of processing one or more functions or operations, which are hardware.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in designating reference numerals for each component in each drawing, for the same component, the component has the same reference number even though it is displayed in different drawings, that is, the same reference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components.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In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ze, position, and coupling relationship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exaggerated, reduced, or omitted in order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may be described, so its proportions or scale may not be strict.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a configuration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known technology including the conventional technology may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post unit or a door unit in which a lighting module is embed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어부는 본 발명의 포스트부(100)와 상호작용하여 조명 모듈(530)이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어부(200)는 심재, 표면재, 제어부, 보호부, 잠금쇠부 및 힌지부 등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door unit as shown in FIG. 1 is configured to interact with the post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lighting module 530 can emit light, and the door unit 200 includes a core material, a surface material, a control unit, a protection unit, and a lock It is possible to include a portion and a hinge portion.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부(200) 등과 인접하여 구성되며, 소정 영역의 공간을 구획하고 구분하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포스트부(100), 상기 포스트부(100)와 인접하여 구성되며, 여닫이 또는 미닫이 등의 방식으로 구동되는 도어부(200), 상기 포스트부(100)의 일측과 상기 도어부(200)의 일측의 인접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300) 및 상기 센서부(300)와 연결되어 조명 모듈(530)의 점등여부 및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포스트부(100) 또는 도어부(200)는 상기 포스트부(100) 또는 도어부(200)의 일측에 형성된 패널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부(500)는 상기 패널부(500) 내측에 인입되어 고정되는 패널부 하우징(510), 다수개의 LED가 배열된 조명 모듈(530) 및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조명 모듈(530)의 일측을 커버하는 커버체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가 제공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t is configured adjacent to the door part 200 and the like, and is configured to be adjacent to the post part 100 and the post part 100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to divide and divide a space in a predetermined area, and a casement or Door unit 200 driven by a sliding door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300 and the sensor unit 300 to sense whether one side of the post unit 100 and one side of the door unit 200 are adjacent. It includes a control unit 400 to control whether the lighting module 530 is turned on and on, but the post unit 100 or the door unit 200 is one side of the post unit 100 or the door unit 200. It includes a panel portion 500 formed on, the panel portion 500 is a panel portion housing 510 is fix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panel portion 500, a plurality of LEDs arranged the lighting module 530 and the A post unit or a door unit in which a lighting module including a cover body fixed to one side of the panel unit housing 510 and covering one side of the lighting module 530 is embedded may be provided.

상기 커버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소재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외측을 향해 발광하는 조명 모듈(530)의 일측을 커버하며 조명의 밝기를 완화시키고, 보다 부드러운 발광느낌을 조성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ver body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a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panel housing 510 to cover one side of the lighting module 530 that emits light toward the outside, thereby reducing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 It is possible to create a softer luminous feel.

또한, 도어부(200) 등과 인접하여 구성되며, 소정 영역의 공간을 구획하고 구분하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포스트부(100), 상기 포스트부(100)와 인접하여 구성되며, 여닫이 또는 미닫이 등의 방식으로 구동되는 도어부(200), 상기 포스트부(100)의 일측과 상기 도어부(200)의 일측의 인접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300) 및 상기 센서부(300)와 연결되어 조명 모듈(530)의 점등여부 및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포스트부(100) 또는 도어부(200)는 상기 포스트부(100) 또는 도어부(200)의 일측에 형성된 패널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부(500)는 상기 패널부(500) 내측에 인입되어 고정되는 패널부 하우징(510),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 내측으로 억지끼움 또는 슬라이드 결합되는 연질의 제1지지체(520), 다수개의 LED가 배열된 조명 모듈(530) 및 상기 조명 모듈(53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1지지체(520)와 결합되는 제2지지체(540)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configured to be adjacent to the door part 200 and the like, and is configured to be adjacent to the post part 100 and the post part 100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to divide and divide a space in a predetermined area, such as a casement or a sliding door. Door module 200 driven in a manner, a sensor unit 300 for sensing whether one side of the post unit 100 and one side of the door unit 200 are adjacent, and a lighting module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300 It includes a control unit 400 for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lighting of 530 and the lighting state, the post unit 100 or the door unit 200 is a panel formed on one side of the post unit 100 or the door unit 200 The panel 500 includes a panel 500, and the panel 500 is inserted into and fixed inside the panel 500, and the panel portion housing 510 is forcibly inserted or slide-coupled into the panel. The first support 520 of the plurality of LEDs are arranged lighting module 530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lighting module 530 includes a second support 540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520 A post unit or a door unit in which the lighting module is embedded may be provided.

포스트부(100)는 도어부(200) 구성과 접하거나 맞물리며 소정영역의 공간을 구획하고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센서부(300) 또는 제어부(400)는 상기 포스트부(100) 또는 도어부(200) 구성 중 양측 어디에나 나누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post unit 100 may be in contact with or interlocked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door unit 200 to divide and separate a space in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sensor unit 300 or the control unit 400 may include the post unit 100 or the door unit. (200) It is possible to install di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figuration.

상기 표면재는 열경화성 수지 고압화 장판(HPM)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습기강화형 핫멜트 열경화 본드와 같은 접착제를 통해 파티클보드(PB)인 심재 또는 심재보드에 접착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surface material may be composed of a thermosetting resin high pressure sheet (HPM), and it is possible to adhere to a core material or core material board which is a particle board (PB) through an adhesive such as a moisture-reinforced hot-melt thermosetting bond.

잠금쇠 삽입부(110)는 통상적으로 화장실 문을 잠금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일 수 있다. The clamp insert 110 may be of a configuration that is commonly used to lock the toilet door.

잠금쇠 삽입부(110)는 도어부(200)에 부착된 잠금쇠부(210)와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잠금쇠부(210)에는 사용자 유무를 표시하는 표시창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에서도 열 수 있는 비상키 기능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lasp insertion part 110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clasp part 210 attached to the door part 200, and the clasp part 21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display window indicating whether a user is present, and can be opened from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emergency key function is provided.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의 단면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 post or door part in which a lighting module is embed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의 매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buried state of a post unit or a door unit in which a lighting module is embed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mbined state of a post unit or a door unit in which a lighting module is embed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mbined state of a post unit or a door unit in which a lighting module is embed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은 ㄷ자로 구성된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의 하우징 벽(512) 각 단부에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 내측방향을 향해 소정길이 연장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외측 돌기(5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패널부 하우징은 상기 포스트부(100) 또는 도어부(200)의 일측에 형성된 패널부(50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외측 돌기(513)는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의 단부에서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 내측방향을 향해 소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 내측을 채우게 되는 제1지지체(520)의 고정을 돕는 역할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2 to 5, the panel portion housing 510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an inner direction of the panel portion housing 510 at each end of the housing wall 512 of the panel portion housing 510 composed of a letter C. It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outer protrusions 513 formed, the panel portion housing is preferably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panel portion 500 formed on one side of the post portion 100 or the door portion 200, , The outer protrusion 513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end of the panel portion housing 510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panel portion housing 510 to fill the inside of the panel portion housing 510, the first support 520 ) It is possible to serve to help fix.

또한, 상기 외측 돌기(513) 구성과 더불어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은 하우징 벽(512)으로부터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의 내측방향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되어 연장형성된 다수개의 스토퍼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외측 돌기(513)는 상기 외측 돌기(513)에서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의 하우징 몸체(511)의 방향을 향해 상기 외측 돌기(513) 각각의 내측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침형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outer protrusion 513, the panel part housing 510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topper protrusions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housing wall 512 toward the inner direction of the panel part housing 510. The outer protrusions 513 may have a plurality of needles formed inside each of the outer protrusions 513 toward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body 511 of the panel housing 510 from the outer protrusions 513.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projections.

상기 스토퍼 돌기는 상기 하우징 벽(512)에 다수개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스토퍼 돌기의 돌출방향이 상기 제1지지체(520)가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의 외측 돌기(513)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저지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The stopper protrusion may be configured by being arranged in plural number on the housing wall 512, and the protrusion direction of the stopper protrusion protrudes toward the outer protrusion 513 of the panel housing 510. It will be desirable to be provided in a direction that prevents or deviates.

또한, 상기 침형 돌기는 상기 외측 돌기(513)에 대수개 배열되어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침형 돌기의 돌출방향이 상기 제1지지체(520)가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의 외측 돌기(513)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저지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hat the needle-shaped protrusions are arranged in a large number of the outer protrusions 513, and the protrusion direction of the needle-shaped protrusions is such that the first support 520 is the outer protrusion 513 of the panel housing 510. It will be preferred that it is set and provided in a direction to prevent it from protruding or deviating in the direction.

추가적으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부(100) 또는 도어부(200) 중 어느 하나는 소정방향으로 왕복구동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유도기전력 유도부를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는 고정된 코일을 포함하는 유도기전력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Additionally, one of the post part 100 or the door part 200 includes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duction part including a magnet reciprocat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other part comprises a fixed coil. It is possible to include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or.

유도기전력이란, 전자기 유도에 의하여 생기는 기전력으로서, 폐회로 가까이에서 마그넷을 움직이거나 전류가 흐르는 다른 회로를 이용해 자기장을 변화시키면 폐회로에 전류가 통하게 되며 이때 전류를 생성하는 힘을 의미한다.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is an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when a magnet is moved near a closed circuit or a magnetic field is changed using another circuit through which current flows, current is passed through the closed circuit, and at this time, it means a force that generates current.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의 유도기전력 유도부의 기재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구동부를 유도기전력 유도부라 칭하고, 유도기전력 발생부는 고정된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부를 유도기전력 발생부라 칭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duction unit refers to a driving unit including a magnet as an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induction unit, and the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generation unit refers to a fixed portion including a fixed coil as an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generation unit.

본 발명은 유도기전력 발생부가 위치한 포스트부(100) 또는 도어부(200)에 조명 모듈(530)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대편 도어부(200) 또는 포스트부에 전류를 전달하는 다수개의 전선과 유도기전력 유도부가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다수개의 전선을 포함하여야 하는 유도기전력 유도부가 상기 포스트부(100)에 위치하고, 유도기전력 발생부는 도어부(200)에 위치하여 조명 모듈(530)을 구동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ing module 530 is located in the post part 100 or the door part 200 where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ing part is located, and a plurality of electric wires that transmit electric current to the opposite door part 200 or the post part. It is possible to locate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duction part, but preferably,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duction part, which should include a plurality of wires, is located in the post part 100, and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ion part is located in the door part 200 to illuminate the module 530. Can be driven.

전술한 바와 같은 유도기전력 발생부는 조명 모듈(530)과의 전류 연결만이 필요한 관계로 외부의 전력공급원과 별도로 전선 등을 통해 전류 연결이 필요치 않아, 도어부(200) 등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조명 모듈(530)의 구동을 위해서 가장 바람직한 구성형태라 할 수 있다.Since the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generating unit as described above requires only a current connection with the lighting module 530, there is no need to connect a current through a wire separately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source, so that the lighting module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door unit 200 or the like. It can be said to be the most desirable configuration for driving 530.

도 3 및 도 5는 도 2의 A-A'평면에 대한 단면도이며, 이를 참고하면, 심재 또는 심재보드와 표면재의 결합형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가공되는 패널부(500)와 패널부 하우징(510)의 결합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3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plane A-A 'of FIG. 2, referr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combination of the core material or the core material board and the surface material, and the panel unit 500 and the panel unit processed therein The coupling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510 can be confirmed.

또한,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의 내측 공간에 인입되어 고정가능한 제1지지체(520)의 구성과 제2지지체(540) 및 조명 모듈(530)의 구체적인 결합형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지지체(520) 또는 제2지지체(540)는 각각 패널부 하우징(510) 또는 제1지지체(520)에 슬라이드 결합 또는 억지끼움 형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support 520 that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panel unit housing 510 and fixed, and the specific combination of the second support 540 and the lighting module 530. The first support 520 or the second support 540 may be fixed by being coupled to the panel housing 510 or the first support 520 in a slide-fitting or interference-fitting manner, respectively.

이와 같은 비접착 방식으로 견고한 고정을 수행할 경우, 상기 제1지지체(520) 또는 조명 모듈(530)에 대한 유지보수가 원할한 특징이 존재한다.When performing a rigid fixing in such a non-adhesive manner, there is a feature that the maintenance of the first support 520 or the lighting module 530 is desired.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포스트부(100)의 일측에 형성된 패널부(500)를 덮는 불투명한 부재인 마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 모듈(530)이 패널부(500) 또는 패널부 하우징(510) 내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마감부는 불투명 아크릴과 같은 재료로서 습기강화형 핫멜트 열경화 본드 등을 사용하여 패널부(500) 또는 패널부 하우징(510) 단면을 커버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opaque member that covers the panel portion 500 formed on one side of the post portion 100. In the state in which the lighting module 530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panel portion 500 or the panel portion housing 510, the finishing portion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opaque acrylic, and a panel portion using a moisture-reinforced hot-melt thermosetting bond or the like. 500) or the panel portion housing 510 may be attached to cover the end fac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에 형성된 통공부(9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through-hole portion 900 formed in a post portion or a door portion in which a lighting module is embed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포스트부(100) 또는 도어부(200)에 가공된 통공부(900)를 통해 연결전선 및 센서 전선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센서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6, the connection wire and the sensor wire may be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300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hole 900 processed in the post unit 100 or the door unit 200 as shown in FIG. 6. have.

상기 통공부(900)는 상기 가공된 통공부 규격에 일치하는 센서부(300)의 구성으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rough-hole 900 is preferably filled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unit 300 conforming to the processed through-hole standard.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의 조명 점등 제어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7 and 8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a lighting lighting control state of a post or door part in which a lighting module is embed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센서부(300)와 상기 제어부(400)가 근접한 상태에 놓여져 있으며, 상기 도어부(200)와 포스트부(100)가 잠금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조명 모듈(530)을 점등상태로 제어하되, 상기 조명 모듈(530)의 점등상태가 경과된 시간에 따라 상기 조명 모듈(530)의 발광색을 달리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300)와 상기 제어부(400)가 근접한 상태에 놓여져 있으며, 상기 도어부(200)와 포스트부(100)가 잠금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조명 모듈(530)을 점등상태로 제어하되, 상기 조명 모듈(530)의 점등상태가 경과된 시간에 따라 상기 도어부(200) 또는 포스트부(100)에 설치된 상기 조명 모듈(530)의 상부 또는 하부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점등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400, the sensor unit 300 and the control unit 400 is placed in a close state, the door unit 200 and the post unit 100 is in the locked state, the lighting Controlling the module 530 to a lighting state, the light emission color of the lighting module 53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elapsed time of the lighting module 530, and the sensor unit 300 and the control unit ( 400) is placed in a close state, and when the door part 200 and the post part 100 are in a locked state, the lighting module 530 is controlled to a lighting state, but the lighting module 530 is in a lighting state. It is possible to perform lighting control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top or bottom of the lighting module 530 installed in the door part 200 or the post part 100 according to the elapsed time.

이와 같은 점등상태 제어((a) 부터 (c) 순으로 진행)를 통해, 내부 공간의 이용자가 이용하는 시간의 경과 등을 원거리에서 이용예정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해당공간의 대기여부 또는 타공간에의 대기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존재한다.Through such lighting state control (proceeding from (a) to (c)), the prospective user can intuitively grasp the elapse of time used by the user of the internal space, and determine whether the space is in standby or other spac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o wait.

상기 조명 모듈(530)의 발광색은 초록, 노랑 빨강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는 일 예시일 뿐 보다 다양한 색, 문자 또는 스펙트럼으로 표현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light emission color of the lighting module 530 may be displayed in green, yellow, and red, and this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expressed in more various colors, characters, or spectrums.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st unit or a door unit in which a lighting module is embed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심재보드(600)가 제작되고 표면재(700)가 부착되는 심재보드-표면재 부착단계(S100), 상기 심재보드(600)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이 길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길이 및 깊이만큼 타공되어 홈부(610)가 형성되는 홈부 형성단계(S200), 상기 홈부(610)에 패널부 하우징(510)이 고정되는 패널부 하우징 고정단계(S300),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에 제1지지체(520)가 고정되는 제1지지체 고정단계(S400), 제2지지체(540)가 조명 모듈(530)에 고정되는 제2지지체 고정단계(S500), 상기 제1지지체(520)에 상기 제2지지체(540)가 결합되는 지지체 결합단계(S600), 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ost or door portion with a lighting module embedded, the core material board 600 is manufactured and the surface material 700 is attached to the core material board-surface material attaching step (S100), of either side of the core material board 600 A groove portion forming step (S200) in which at least one side is perforat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dep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groove portion 610 (S200), and a panel portion housing fixing step in which the panel portion housing 510 is fixed to the groove portion 610 (S300) ), A first support fixing step (S400) in which the first support 520 is fixed to the panel housing 510, and a second support fixing step in which the second support 540 is fixed to the lighting module 530 (S500) ), A supporting method (S600) in which the second support 540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520, a manufacturing method of a post portion or a door portion in which a lighting module is embedded may be provided.

이 경우, 상기 조명 모듈(530) 및 패널부 하우징(510)에 마감재가 결합되는 마감재 결합단계(S7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ing module 530 and the panel unit housing 510 further includes a finishing material coupling step (S700) in which a finishing material is combined.

또한, 상기 표면재(700)가 부착된 상기 심재보드(600)의 일면이 타공되어 통공부(900)가 형성되는 통공부 형성단계(S800) 및 상기 통공부(900)를 통과하여 상기 조명 모듈(530)과 센서부(300) 및 제어부(4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조명 모듈 연결단계(S8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face module 700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core board 600 is perforated to form a through-hole forming step (S800) and through the through-hole 900, the lighting module ( 530) and a lighting module connection step (S810)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nsor unit 300 and the control unit 400 may be further included.

100 : 포스트부
200 : 도어부
300 : 센서부
400 : 제어부
500 : 패널부
510 : 하우징
511 : 하우징 몸체
512 : 하우징 벽
513 : 외측 돌기
520 : 제1지지체
530 : 조명 모듈
540 : 제2지지체
600 : 심재보드
610 : 홈부
700 : 표면재
900 : 통공부
S100 : 심재-표면재 부착단계
S200 : 홈부 형성단계
S300 : 하우징 고정단계
S400 : 제1지지체 고정단계
S500 : 제2지지체 고정단계
S600 : 지지체 연결단계
S700 : 마감재 결합단계
S800 : 통공부 형성단계
S810 : 조명 모듈 연결단계
100: post part
200: door part
300: sensor unit
400: control unit
500: panel part
510: housing
511: housing body
512: housing wall
513: outer projection
520: first support
530: lighting module
540: second support
600: heartwood board
610: home part
700: surface material
900: Ministry of Transportation
S100: Core-surface material attachment step
S200: groove forming step
S300: housing fixing step
S400: First support fixing step
S500: Second support fixing step
S600: Support connection step
S700: Finishing material combination step
S800: Forming the through hole
S810: Lighting module connection step

Claims (5)

도어부(200)와 인접하여 구성되며, 소정 영역의 공간을 구획하고 구분하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포스트부(100);
상기 포스트부(100)와 인접하여 구성되며, 여닫이 또는 미닫이 방식으로 구동되는 도어부(200);
상기 포스트부(100)의 일측과 상기 도어부(200)의 일측의 인접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300); 및
상기 센서부(300)와 연결되어 조명 모듈(530)의 점등여부 및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400);
를 포함하되,
상기 포스트부(100) 또는 도어부(200)는,
상기 포스트부(100) 또는 도어부(200)의 일측에 형성된 패널부(500);
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부(500)는,
상기 패널부(500) 내측에 인입되어 고정되는 패널부 하우징(510);
다수개의 LED가 배열된 조명 모듈(530); 및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조명 모듈(530)의 일측을 커버하는 커버체;
를 포함하되,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 내측으로 억지끼움 또는 슬라이드 결합되는 연질의 제1지지체(520); 및
상기 조명 모듈(53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1지지체(520)와 결합되는 제2지지체(54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은 ㄷ자로 구성된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의 하우징 벽(512) 각 단부에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 내측방향을 향해 소정길이 연장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외측 돌기(51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센서부(300)와 상기 제어부(400)가 근접한 상태에 놓여져 있으며, 상기 도어부(200)와 포스트부(100)가 잠금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조명 모듈(530)을 점등상태로 제어하되,
상기 조명 모듈(530)의 점등상태가 경과된 시간에 따라 상기 도어부(200) 또는 포스트부(100)에 설치된 상기 조명 모듈(530)의 상부 또는 하부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점등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
A post portion 100 configured adjacent to the door portion 200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to divide and divide a space in a predetermined area;
A door unit 200 configured adjacent to the post unit 100 and driven by a casement or sliding method;
A sensor unit 300 for sensing whether one side of the post portion 100 and one side of the door portion 200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control unit 400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300 to control whether the lighting module 530 is turned on or off and the lighting state;
Including,
The post part 100 or the door part 200,
A panel portion 500 formed on one side of the post portion 100 or the door portion 200;
Including,
The panel unit 500,
A panel part housing 510 which is inserted into and fixed inside the panel part 500;
A lighting module 530 in which a plurality of LEDs are arranged; And
A cover body fixed to one side of the panel housing 510 and covering one side of the lighting module 530;
Including,
A soft first support 520 which is fitted or slide-bonded into the panel housing 510; And
A second support 540 fixed to one side of the lighting module 530 and coupled with the first support 520;
Further comprising,
The panel portion housing 510 has at least two or more outer protrusions 513 formed to extend in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inner direction of the panel portion housing 510 at each end of the housing wall 512 of the panel portion housing 510 composed of a letter C. ),
The control unit 400,
When the sensor unit 300 and the control unit 400 are placed in close proximity, and the door unit 200 and the post unit 100 are in a locked state, the lighting module 530 is controlled to a lighting state.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lighting control is per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top or bottom of the lighting module 530 installed in the door part 200 or the post part 100 according to a time when the lighting state of the lighting module 530 has elapsed. Post or door part with lighting module embedd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부(100) 또는 도어부(200) 중 어느 하나는,
소정방향으로 왕복구동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유도기전력 유도부;
를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는,
고정된 코일을 포함하는 유도기전력 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
According to claim 1,
Either of the post portion 100 or the door portion 200,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duction unit including a magnet reciprocat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cluding,
The other one,
An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generator including a fixed coil;
Post or door portion is embedded light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심재보드(600)가 제작되고 표면재(700)가 부착되는 심재보드-표면재 부착단계(S100);
상기 심재보드(600)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이 길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길이 및 깊이만큼 타공되어 홈부(610)가 형성되는 홈부 형성단계(S200);
상기 홈부(610)에 패널부 하우징(510)이 고정되는 패널부 하우징 고정단계(S300);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에 제1지지체(520)가 고정되는 제1지지체 고정단계(S400);
제2지지체(540)가 조명 모듈(530)에 고정되는 제2지지체 고정단계(S500)
상기 제1지지체(520)에 상기 제2지지체(540)가 결합되는 지지체 결합단계(S600)
를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체(520)는,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 내측으로 억지끼움 또는 슬라이드 결합되고,
상기 제2지지체(540)는,
상기 조명 모듈(53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1지지체(520)와 결합되며,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은,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은 ㄷ자로 구성된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의 하우징 벽(512) 각 단부에 상기 패널부 하우징(510) 내측방향을 향해 소정길이 연장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외측 돌기(5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300)와 상기 제어부(400)가 근접한 상태에 놓여져 있으며, 상기 도어부(200)와 포스트부(100)가 잠금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조명 모듈(530)을 점등상태로 제어하되,
상기 조명 모듈(530)의 점등상태가 경과된 시간에 따라 상기 도어부(200) 또는 포스트부(100)에 설치된 상기 조명 모듈(530)의 상부 또는 하부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점등제어를 실시하는 제어부(400)를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 일측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의 제조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st portion or a door portion in which the lighting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3 is embedded,
Core material board 600 is manufactured and the surface material 700 is attached to the core material board-surface material attachment step (S100);
A groove portion forming step (S200) in which at least one of both sides of the core board 600 is perforat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dep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groove portion 610;
A panel part housing fixing step (S300) in which the panel part housing 510 is fixed to the groove part 610;
A first support fixing step (S400) in which the first support 520 is fixed to the panel housing 510;
A second support fixing step (S500) in which the second support 540 is fixed to the lighting module 530
Support bonding step (S600) in which the second support 540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520 (S600)
Including,
The first support 520,
The panel portion housing 510 is forcibly fitted or slide-coupled inside,
The second support 54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lighting module 530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520,
The panel housing 510,
The panel portion housing 510 has at least two or more outer protrusions 513 formed to extend in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inner direction of the panel portion housing 510 at each end of the housing wall 512 of the panel portion housing 510 composed of a letter C. ),
When the sensor unit 300 and the control unit 400 are placed in close proximity, and the door unit 200 and the post unit 100 are in a locked state, the lighting module 530 is controlled to a lighting state. ,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lighting control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top or bottom of the lighting module 530 installed in the door part 200 or the post part 100 according to the elapse of the lighting state of the lighting module 530 ( 400) Post or door unit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ing modul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ost or door unit
KR1020190148940A 2019-11-19 2019-11-19 Post or door having a built-in light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975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940A KR102097548B1 (en) 2019-11-19 2019-11-19 Post or door having a built-in light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940A KR102097548B1 (en) 2019-11-19 2019-11-19 Post or door having a built-in light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548B1 true KR102097548B1 (en) 2020-05-26

Family

ID=7091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940A KR102097548B1 (en) 2019-11-19 2019-11-19 Post or door having a built-in light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54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20200100658A (en) * 2020-10-29 2022-05-09 Master Part System I.K.E., Glass door with aluminium frame and integral perimetrical security light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2548A (en) * 2010-02-09 2011-08-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Crime prevention door by using smart glas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87733B1 (en) 2014-02-18 2015-01-29 주식회사 경신 Lighting system of door
JP2018181064A (en) * 2017-04-17 2018-11-15 オオサカ精機株式会社 Slide sensor and power generator used for the same
KR101925943B1 (en) * 2018-04-20 2018-12-06 서두나 Bathroom post having replaceable built-in light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bathroom unit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2548A (en) * 2010-02-09 2011-08-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Crime prevention door by using smart glas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87733B1 (en) 2014-02-18 2015-01-29 주식회사 경신 Lighting system of door
JP2018181064A (en) * 2017-04-17 2018-11-15 オオサカ精機株式会社 Slide sensor and power generator used for the same
KR101925943B1 (en) * 2018-04-20 2018-12-06 서두나 Bathroom post having replaceable built-in light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bathroom unit compri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20200100658A (en) * 2020-10-29 2022-05-09 Master Part System I.K.E., Glass door with aluminium frame and integral perimetrical security ligh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3499B2 (en) Topside control panel for bathing unit system
CN100541565C (en) Outlet device with luminous touch pad
KR101925943B1 (en) Bathroom post having replaceable built-in light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bathroom unit comprising the same
US11655669B2 (en) Lighted door jamb for an access door
KR102097548B1 (en) Post or door having a built-in light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548267B2 (en) Sliding door device with electromagnetic lock
KR100991848B1 (en) Digital door lock with key-holder
JP5485850B2 (en) Enclosure and power supply device for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JP2013159989A (en) Door device
KR101174261B1 (en) Sliding type Security Gate Apparatus
ES2656523T3 (en) Emergency exit security installation
KR200193017Y1 (en) Used indicator for public toilet
KR101080057B1 (en) the structure of display for door and post of rest room
JP6960265B2 (en) Joinery
JPH09317346A (en) Non-contact power supply door construction
KR101955026B1 (en) Elevator with sterilization system for driving machine
CA2985901A1 (en) Topside control panel for bathing unit system
JP5288593B2 (en) Translucent display device
JP3758449B2 (en)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2022092073A (en) Door panel and door device equipped therewith
JP3719105B2 (en)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2363617B1 (en) Toilet cubicle with embedded illumination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2291055B1 (en) A frame for decoration
KR101568367B1 (en) invisible automatic door have join of one another art to different
KR102175000B1 (en) Lightening device for a panel of prefabricated toile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