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484B1 - 접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접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484B1
KR102097484B1 KR1020130121300A KR20130121300A KR102097484B1 KR 102097484 B1 KR102097484 B1 KR 102097484B1 KR 1020130121300 A KR1020130121300 A KR 1020130121300A KR 20130121300 A KR20130121300 A KR 20130121300A KR 102097484 B1 KR102097484 B1 KR 102097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oxy
adhesive composition
group
resi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3596A (ko
Inventor
조천희
권혜림
정재욱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1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484B1/ko
Publication of KR20150043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4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중합성 화합물, 에폭시계 바인더 수지 및 양이온 광개시제를 포함하며,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은 일반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경화 속도가 현저히 개선되어 충분한 밀착력 발현을 위해 장시간의 양생을 요하지 않으므로, 편광판 제조 수율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착제 조성물 {Adhesive composition}
본 발명은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CD), 전계발광(EL) 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전계방출 표시장치(FED), OLED 등과 같은 각종 화상표시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폴리비닐알콜계(polyvinyl alcohol, PVA) 필름에 요오드계 화합물 또는 이색성 편광물질이 흡착 배향된 편광자를 포함하며, 편광자의 한 면에는 편광자 보호필름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으며, 편광자의 다른 한 면에는 편광자 보호필름, 액정셀과 접합되는 점착제층과 이형필름이 순서대로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갖는다.
상기 편광자와 보호필름의 적층에는 접착제가 사용되는데, 통상 사용되는 접착제 조성물의 경우 경화 속도가 느려 접합 이후7에 충분한 접착력을 발현하기 위해 장시간의 양생 공정을 요한다. 이에 따라 편광판 제조에 소요되는 전체 공정 시간, 양생 공정을 위한 온도 및 습도 조절에 드는 비용 등이 증대되어 공정 수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양생 공정 동안의 보관, 취급 상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각종 화상표시장치가 점차 대형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되는 편광자 및 편광판도 대형화되고 있다. 따라서, 공정시 핸들링 과정에서 취급이 더욱 불리해지고, 사용 중 반복적인 고온 및 저온 환경 하에서 발생되는 변형량은 더욱 증가하게 되어 내환경성이 우수한 편광판이 요구되고 있다.
편광자와 보호필름은 그 사이에 개재된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데, 이러한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의 밀착성이 떨어지는 경우에 공정시 취급 과정 또는 사용 중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고온 조건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에 적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는 편광판의 내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경화 속도를 개선하여 양생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 내환경성이 우수한 접착제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26007호에는 편광판용 접착제, 편광판, 그 제조방법, 광학필름 및 화상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26007호
본 발명은 경화 속도가 현저히 개선된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접착력 및 내수성이 우수한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접착제 조성물로 접합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광중합성 화합물, 에폭시계 바인더 수지 및 양이온 광개시제를 포함하며,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Figure 112013092058170-pat00001
(식 중,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6의 알킬렌기, 시클로알킬렌기 또는 페닐렌기이고;
X는
Figure 112013092058170-pat00002
또는
Figure 112013092058170-pat00003
이며;
R3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이고;
R4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6의 알킬렌기 또는 시클로알킬렌기임)
Figure 112013092058170-pat00004
(식 중, R1은 탄소수 1~6의 알킬렌기, 시클로알킬렌기 또는 페닐렌기이고;
X는
Figure 112013092058170-pat00005
또는
Figure 112013092058170-pat00006
이며;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임).
2. 위 1에 있어서, 일반식 (1) 및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3-에틸-3-((비닐옥시)메틸)옥세탄, 2-(((4-((비닐옥시)메틸)시클로헥실)메톡시)메틸)옥시란 및 2-((비닐옥시)메틸)옥시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접착제 조성물.
3. 위 1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접착제 조성물 총 중량 중 10~30중량%로 포함되는, 접착제 조성물.
4. 위 1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계 바인더 수지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며 그 에폭시기 중의 적어도 1개가 지환식 에폭시기인 에폭시 수지(A)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5. 위 1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계 바인더 수지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며 지환식 에폭시기를 포함하지 않는 에폭시 수지(B)를 더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6. 위 5에 있어서, 에폭시 수지(A) 및 에폭시 수지(B)는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인, 접착제 조성물.
7. 위 5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B)는 지환식 고리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인, 접착제 조성물.
8.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보호필름이 위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접착제 조성물로 접합된 편광판.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경화 속도가 현저히 개선되어 충분한 밀착력 발현을 위해 장시간의 양생을 요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편광판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켜 공정 수율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력 및 내수성이 우수하다. 이에 따라 편광판의 내구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중합성 화합물, 에폭시계 바인더 수지 및 양이온 광개시제를 포함하며,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은 일반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경화 속도가 현저히 개선되어 충분한 밀착력 발현을 위해 장시간의 양생을 요하지 않으므로, 편광판 제조 수율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적으로 편광판은 편광자와 그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로 접합된 보호필름을 포함한다. 이때 사용되는 접착제 조성물 조성물은 경화 속도가 느리므로 충분한 밀착력을 나타내기까지의 시간인 초기 밀착력 발현 시간이 오래 걸려, 접합 이후에 통상 24시간 이상의 양생(aging)을 요한다. 이에 따라 편광판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늘어나므로 공정 수율이 떨어지고, 보관 또는 취급상의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경화 속도가 현저히 개선되어 장시간의 양생을 수행하지 않아도 짧은 시간 안에 충분한 밀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편광판 제조 수율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광중합성 화합물, 에폭시계 바인더 수지 및 양이온 광개시제를 포함한다.
광중합성 화합물
광중합성 화합물은 바인더 기능을 가지며 접착성을 부여하는 성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중합성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112013092058170-pat00007
(식 중,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6의 알킬렌기, 시클로알킬렌기 또는 페닐렌기이고;
X는
Figure 112013092058170-pat00008
또는
Figure 112013092058170-pat00009
이며;
R3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이고;
R4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6의 알킬렌기 또는 시클로알킬렌기임)
Figure 112013092058170-pat00010
(식 중, R1은 탄소수 1~6의 알킬렌기, 시클로알킬렌기 또는 페닐렌기이고;
X는
Figure 112013092058170-pat00011
또는
Figure 112013092058170-pat00012
이며;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임).
상기 일반식 (1) 및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광경화시에 라디칼 생성 속도가 빨라 경화 속도를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기 밀착력 발현시간이 단축되어, 충분한 밀착력 발현을 위해 장시간의 양생을 요하지 않는다.
또한, 편광자 또는 보호필름 표면에 존재하는 극성기와 수소 결합하여 우수한 접착성을 발현하고, 내수성을 개선하여 가습열 조건에서도 편광판이 박리되지 않도록 한다.
일반식 (1) 및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3-에틸-3-((비닐옥시)메틸)옥세탄, 2-(((4-((비닐옥시)메틸)시클로헥실)메톡시)메틸)옥시란, 2-((비닐옥시)메틸)옥시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반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접착제 조성물 총 중량 중 10~30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반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경화 속도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30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에폭시계 바인더 수지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계 바인더 수지는, 예를 들면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며 그 에폭시기 중의 적어도 1개가 지환식 에폭시기인 에폭시 수지(이하, 에폭시 수지(A))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은, 예를 들어 제조 과정 등에 의해 불가피하게 잔류한 것 이외에는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경화 속도가 크고 보존 안정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콜계의 편광자와 투습도가 낮은 수지 필름인 보호필름을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의 형성에 사용되는 경우에도, 우수한 접착 강도 및 외관이 부여된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는 편광자와 보호필름의 접착에 대하여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에폭시 수지란,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며, 경화 반응하는 것이 가능한 화합물 또는 이의 중합체를 말한다.
에폭시 수지(A)는 접착력을 개선한다.
에폭시 수지(A)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에폭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광경화성이 양호하여 경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접착층의 내후성 및 굴절률이 우수하다.
에폭시 수지(A)는 분자 중에 갖는 2개 이상의 에폭시기 중 적어도 1개가 지환식 에폭시기이면 되지만, 에폭시기가 모두 지환식 에폭시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에폭시 수지(A)를 조합하는 것에 의한 접착력 개선 효과가 보다 우수하다.
에폭시 수지(A)는 분자 중에 에폭시기를 2개 가지며, 2개의 그 에폭시기가 모두 지환식 에폭시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접착력 개선의 측면에서 특히 유리하다.
에폭시 수지(A) 중의 지환식 에폭시기를 구성하는 지환식 고리의 탄소수는 통상 5∼7의 범위내이다. 저비용으로 입수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지환식 고리의 탄소수가 6인 시클로헥산 고리를 갖는 지환식 에폭시기(에폭시시클로헥실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지환식 고리는 치환기를 가져도 되고, 전형적으로는, 치환기로서 알킬기를 갖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경화 속도 및 접착 강도의 점에서는, 그 알킬기의 탄소수는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폭시 수지(A)의 에폭시기 이외의 구조 부분으로는, 예를 들어, 포화 탄화수소, 불포화 탄화수소, 지환, 에스테르, 에테르, 케톤, 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기 이외의 구조 부분의 탄소수는, 예를 들어 8 이하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에폭시 수지(A)의 점도가 낮아 제조시 또는 도공시 취급이 용이하다.
에폭시 수지(A)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3)∼(24)로 나타내는 것을 특히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수지는 광경화성이 특히 양호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Figure 112013092058170-pat00013
Figure 112013092058170-pat00014
Figure 112013092058170-pat00015
상기 일반식 (3)∼(24)에서, R1∼R4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1∼R44가 알킬기인 경우, 지환식 고리에 결합하는 위치는 1위∼6위의 임의의 위치이다. 탄소수 1∼6의 알킬기는, 직쇄이어도 되고, 분기를 가져도 되고, 지환식 고리를 갖고 있어도 된다. 그 탄소수가 6 이하인 경우, 경화 속도의 점에서 유리하다.
Y1은, 산소원자 또는 알칸디일기를 나타내고, Y2∼Y22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이어도 되고, 분기를 갖고 있어도 되고, 지환식 고리를 가져도 되는 알칸디일기를 나타낸다. 알칸디일기의 탄소수는, Y2, Y4, Y9, Y10, Y11, Y12, Y13, Y14, Y15, Y18, Y19, Y20, Y21은 1∼20이며, Y1, Y3, Y5, Y6, Y7, Y8, Y17, Y18은 2∼20이다. Y2∼Y22의 탄소수가 20 이하인 경우, 점도가 낮아진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Z1∼Z2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이어도 되고, 분기를 가져도 되고, 지환식 고리를 가져도 되는 알칸트리일기를 나타낸다. 알칸트리일기의 탄소수는, Z1은 2∼20이고, Z2는 1∼20이다. Z1∼Z2의 탄소수가 20 이하인 경우, 점도가 낮아진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T1은, 직쇄이어도 되고, 분기를 갖고 있어도 되고, 지환식 고리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1∼20의 알칸테트라일기를 나타낸다. 그 탄소수가 20 이하인 경우, 점도가 낮아진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a∼r은 0∼20의 정수를 나타낸다. a∼r이 20 이하인 경우, 점도가 낮아진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에폭시 수지(A)로는, 1종류의 수지 또는 2종류 이상의 수지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계 바인더 수지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며 지환식 에폭시기를 포함하지 않는 에폭시 수지(B)(이하, 에폭시 수지(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폭시 수지(B)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에폭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지환식 에폭시기를 포함하지 않는 에폭시 수지는, 분자 중의 에폭시기가 지방족 에폭시기로 이루어진 에폭시 수지로 환언할 수 있다.
에폭시 수지(B)는 경화된 접착층의 가요성을 개선한다.
에폭시 수지(B)를 에폭시 수지(A)와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경화 속도가 빠르고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제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을 예를 들어 편광판 등의 광학 용도로 사용한 경우에는, 우수한 외관과 물리적 강도가 양립될 수 있다.
에폭시 수지(B)로는,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F의 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S의 디글리시딜에테르와 같은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페놀노볼락에폭시 수지; 크레졸노볼락에폭시 수지; 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페놀노볼락에폭시 수지와 같은 노볼락형의 에폭시 수지; 테트라히드록시페닐메탄의 글리시딜에테르,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의 글리시딜에테르, 에폭시화 폴리비닐페놀과 같은 다관능형의 에폭시 수지 등의 방향족 에폭시 수지; 지방족 다가 알콜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지방족 다가 알콜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지방족 다가 알콜과 지방족 다가 카르복실산의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지방족 다가 카르복실산의 폴리글리시딜에스테르; 지방족 다가 알콜과 지방족 다가 카르복실산의 폴리에스테르폴리카르복실산의 폴리글리시딜에스테르;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의 비닐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다이머, 올리고머, 폴리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와 다른 비닐 모노머의 비닐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올리고머, 폴리머; 에폭시화 식물유; 에폭시화 식물유의 에스테르 교환체;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족 다가 알콜로는, 예를 들어 탄소수 2∼20의 범위내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3-메틸-2,4-펜탄디올, 2,4-펜탄디올, 1,5-펜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2-메틸-2,4-펜탄디올, 2,4-디에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7-헵탄디올, 3,5-헵탄디올, 1,8-옥탄디올, 2-메틸-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등의 지방족 디올; 시클로헥산디메탄올, 시클로헥산디올,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수소 첨가 비스페놀 F 등의 지환식 디올;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헥시톨류, 펜티톨류,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펜타에리스리톨, 디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틸올프로판 등의 3가 이상의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알킬렌옥사이드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부틸렌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다가 카르복실산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린산, 아젤라산, 세바신산, 도데칸이산, 2-메틸숙신산, 2-메틸아디프산, 3-메틸아디프산, 3-메틸펜탄이산, 2-메틸옥탄이산, 3,8-디메틸데칸이산, 3,7-디메틸데칸이산, 1,20-에이코사메틸렌디카르복실산, 1,2-시클로펜탄디카르복실산, 1,3-시클로펜탄디카르복실산, 1,2-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4-디카르복실메틸렌시클로헥산, 1,2,3-프로판트리카르복실산,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1,2,3,4-시클로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화 식물유로는, 에폭시화 대두유, 에폭시화 아마인유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 수지(B)가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인 경우, 광경화성이 양호하여 경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접착층의 내후성 및 굴절률이 우수하다. 또, 에폭시 수지(B)가 지환식 고리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로 구성하면,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의 밀착력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에폭시 수지(A) 및 에폭시 수지(B)가 모두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경화 시간의 단축 효과가 특히 양호하며, 내후성 및 굴절률이 특히 양호한 접착제층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접착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에폭시 수지(B)로는, 1종류의 수지 또는 2종류 이상의 수지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계 바인더 수지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접착제 조성물 총 중량 중 60 내지 89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에폭시계 바인더 수지의 함량이 상기 60 내지 89 중량%인 경우, 경화 시간 단축 및 접착력 개선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
에폭시 수지(A) 및 에폭시 수지(B)의 혼합비는 상기 기능을 다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A)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폭시 수지(B)가 5∼100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에폭시 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경화 시간 단축 효과가 우수하다. 경화 시간 단축 효과를 극대화 하고, 접착력 및 가요성을 개선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수지(B)는 에폭시 수지(A) 100중량부에 대하여 10∼50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5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양이온 광개시제
양이온 광개시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양이온 광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광조사에 의해 루이스산을 방출하는 오늄염인 복염 또는 그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상기 에폭시계 바인더 수지와 함께 사용되어, 접착제 조성물의 보존시의 경화가 억제되어, 우수한 보존 안정성이 부여되고, 예를 들어 열경화성의 중합개시제를 사용한 경우의 열이력에 의해 생기는 접착제 자체 및 접착 대상물의 열화,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그 열이력에 의한 접착 대상물의 열수축에 의한 변형 등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로는, 일반식 [A]y+[B]y-로 나타내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염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양이온 Ay +은 오늄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구조는 예를 들어 [(R45)xQ]y+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R45는 탄소수가 1∼60이며, 탄소 이외의 금속원소, 비금속원소, 전이원소, 전이후금속원소 또는 준금속원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x는 1∼5의 정수이다. x개의 R45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된다. 또, x개의 R45 중 적어도 하나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Q는, S, N, Se, Te, P, As, Sb, Bi, O, I, Br, Cl, F, N=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원자 또는 원자단이다. 또, 양이온 Ay + 중의 Q의 원자가를 z로 했을 때, y=x-z인 관계가 성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음이온 By -은, 할로겐화물 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구조는 예를 들어 [LXs]y-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L은 할로겐화물 착체의 중심 원자인 금속 또는 반금속(Metalloid)이며, 예를 들면 B, P, As, Sb, Fe, Sn, Bi, Al, Ca, In, Ti, Zn, Sc, V, Cr, Mn, Co 등이다. X는 할로겐이다. s는 3∼7인 정수이다. 또, 음이온 By - 중의 L의 원자가를 t로 했을 때 y=s-t인 관계가 성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일반식의 음이온 [LXs]y-의 구체예로는,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BF4)-,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F6)-,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SbF6)-, 헥사플루오로아루세네이트(AsF6)-,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SbCl6)- 등을 들 수 있다.
또, 음이온 By -로는, [LXs -1(OH)]y-로 나타내는 구조의 것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L, X, s는 상기와 동일하다.
또, 그 밖에 사용할 수 있는 음이온으로는, 과염소산 이온(ClO4)-, 트리플루오로메틸아황산 이온(CF3SO3)-, 플루오로술폰산 이온(FSO3)-, 톨루엔술폰산 음이온, 트리니트로벤젠술폰산 음이온 등을 들 수 있다.
또, 음이온 By -로서,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오늄염 중에서도, 방향족 오늄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효하다. 그 중에서도, 일본 특허 공개 소 50-15199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 50-158680호 공보에 기재된 방향족 할로늄염, 일본 특허 공개 소 50-15199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 52-3089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 56-5542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 55-125105호 공보 등에 기재된 VIA족 방향족 오늄염, 일본 특허 공개 소 50-158698호 공보에 기재된 VA족 방향족 오늄염, 일본 특허 공개 소 56-842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 56-14940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 57-192429호 공보 등에 기재된 옥소술폭소늄염, 일본 특허 공개 소 49-17040호 공보에 기재된 방향족 디아조늄염, 미국 특허 제 4139655호 명세서에 기재된 티오피릴륨염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방향족 오늄염 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것은, 하기 일반식 (25)~(27)의 술포늄 양이온을 갖는 화합물, (톨릴쿠밀)요오드늄, 비스(t-부틸페닐)요오드늄, 트리페닐술포늄 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3092058170-pat00016
(식 중, R46∼R5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산소원자를 포함할 수 있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이며;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이다.)
예를 들어, 4-(4-벤조일-페닐티오)페닐-디-(4-플루오로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4'-비스[비스((β-히드록시에톡시)페닐)술포니오]페닐술피드-비스-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4'-비스[비스((β-히드록시에톡시)페닐)술포니오]페닐술피드-비스-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4'-비스[비스(플루오로페닐)술포니오]페닐술피드-비스-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4'-비스[비스(플루오로페닐)술포니오]페닐술피드-비스-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4'-비스(디페닐술포니오)페닐술피드-비스-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4'-비스(디페닐술포니오)페닐술피드-비스-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4-벤조일페닐티오)페닐-디-(4-(β-히드록시에톡시)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4-벤조일페닐티오)페닐-디-(4-(β-히드록시에톡시)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4-벤조일페닐티오)페닐-디-(4-플루오로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4-벤조일페닐티오)페닐-디-(4-플루오로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4-벤조일페닐티오)페닐-디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4-벤조일페닐티오)페닐-디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페닐티오)페닐-디-(4-(β-히드록시에톡시)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페닐티오)페닐-디-(4-(β-히드록시에톡시)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페닐티오)페닐-디-(4-플루오로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페닐티오)페닐-디-(4-플루오로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페닐티오)페닐-디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페닐티오)페닐-디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2-클로로-4-벤조일페닐티오)페닐비스(4-플루오로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2-클로로-4-벤조일페닐티오)페닐비스(4-플루오로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2-클로로-4-벤조일페닐티오)페닐디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2-클로로-4-벤조일페닐티오)페닐디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2-클로로-4-벤조일페닐티오)페닐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2-클로로-4-벤조일페닐티오)페닐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트리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트리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톨릴쿠밀)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톨릴쿠밀)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톨릴쿠밀)요오드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비스(t-부틸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비스(t-부틸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비스(t-부틸페닐)요오드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벤질-4-히드록시페닐메틸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벤질-4-히드록시페닐메틸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벤질디메틸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벤질디메틸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p-클로로벤질-4-히드록시페닐메틸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p-클로로벤질-4-히드록시페닐메틸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아세톡시페닐디메틸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아세톡시페닐디메틸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메톡시카르보닐옥시페닐디메틸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메톡시카르보닐옥시페닐디메틸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에톡시카르보닐옥시페닐디메틸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에톡시카르보닐옥시페닐디메틸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α-나프틸메틸디메틸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α-나프틸메틸디메틸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α-나프틸메틸테트라히드로티오페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α-나프틸메틸테트라히드로티오페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신나밀디메틸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신나밀디메틸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신나밀테트라히드로티오페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신나밀테트라히드로티오페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N-(α-페닐벤질)시아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α-페닐벤질)-2-시아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N-신나밀-2-시아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신나밀-2-시아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N-(α-나프틸메틸)-2-시아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α-나프틸메틸)-2-시아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N-벤질-2-시아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벤질-2-시아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그 밖에 바람직한 것으로는, 자일렌-시클로펜타디에닐 철(II)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쿠멘-시클로펜타디에닐 철(II)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자일렌-시클로펜타디에닐 철(II)-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메타나이드 등의 철/알렌 착체, 알루미늄 착체/광분해 규소 화합물계 개시제 등도 들 수 있다.
양이온 광개시제는, 1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양이온 광개시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조성물 총 중량 중 0.01~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가 불충분하여 충분한 접착 강도를 얻기 어려울 수 있고, 10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접착층의 이온성 물질 함량 과다에 의해 흡습성이 증가하여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0.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첨가제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증감제, 접착 촉진제, 레벨링제, 자외선 흡수제, 노화 방지제, 염료, 가공 보조제, 이온 트랩제, 산화 방지제, 점착 부여제, 충전제, 가소제, 발포 억제제, 대전 방지제, 방향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첨가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접착제 조성물 총 중량 중 0.01~10중량%일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에폭시 수지(A), 에폭시 수지(B) 및 양이온 광개시제의 조합에 의한, 보존 안정성의 향상, 변색 방지, 경화 속도의 향상, 양호한 접착성의 확보라는 효과를 양호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편광판>
또한, 본 발명은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보호필름이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로 접합된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편광자는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필름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것이다.
편광자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 이외에, 아세트산 비닐과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트산 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불포화 술폰산계, 올레핀계, 비닐에테르계,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된 것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내지 100몰%이며, 바람직하게는 98몰% 이상인 것이 좋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내지 10,000이며,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5,000인 것이 좋다.
이러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막으로 형성한 것이 편광자의 원반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막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원반 필름의 막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0 내지 1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는 수용액 상에서 연속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흡착시키는 공정,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수세, 건조하는 공정을 경유하여 제조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은 염색 전에 수행할 수 있고, 염색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염색 후에 수행할 수도 있다. 일축 연신을 염색 후에 수행하는 경우에는 붕산 처리 전에 수행할 수 있고, 붕산 처리 중에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이들 복수개의 단계로 일축 연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축 연신에는 주속이 다른 롤 또는 열 롤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일축 연신은 대기 중에서 연신하는 건식 연신일 수도 있고, 용매로 팽윤시킨 상태에서 연신하는 습식 연신일 수도 있다. 연신비는 통상 4 내지 8배이다.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는 공정은,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침지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색성 색소로는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가 이용된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염색 전에 물에 미리 침지하여 팽윤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염색용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통상 염색용 수용액에서의 요오드의 함량은 물(증류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중량부이고, 요오드화칼륨의 함량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중량부이다. 염색용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 내지 40℃이고, 침지시간(염색시간)은 통상 20 내지 1,800초이다.
이색성 색소로서 이색성 염료를 이용하는 경우는 통상 수용성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 수용액에 있어서의 2색성 염료의 함유량은, 물 100 중량부당 통상 1×10-4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10-3 내지 1 중량부이다. 이 수용액은 황산나트륨 등의 무기염을 염색 보조제로서 함유할 수도 있다. 염색에 이용하는 염료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 내지 80℃이고, 또한 이 수용액에 대한 침지 시간은 통상 10 내지 1,800 초이다.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붕산 처리하는 공정은 붕산 함유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통상 붕산 함유 수용액에서의 붕산의 함량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중량부인 것이 좋다.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한 경우에는 붕산 함유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은 통상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중량부인 것이 좋다. 붕산 함유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인 것이 좋고, 침지시간은 통상 60 내지 1,200초,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600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초인 것이 좋다.
붕산 처리 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통상 수세 및 건조된다. 수세처리는 붕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수세처리의 물의 온도는 통상 5 내지 40℃이고, 침지시간은 통상 1 내지 120초이다. 수세 후 건조함으로써 편광자를 얻을 수 있다. 건조처리는 통상 열풍 건조기나 원적외선 가열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건조처리 온도는 통상 3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이고, 건조시간은 통상 60 내지 600초,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600초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5 내지 40㎛일 수 있다.
보호필름의 종류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필름, 셀룰로스계 수지필름,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각종 투명 수지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필름; 디아세틸셀룰로스, 트리아세틸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계 수지필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르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호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0 내지 20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인 것이 좋다. 보호필름의 두께가 10 내지 200㎛인 경우, 편광자의 양면에 편광자 보호필름이 적층되는 경우 각 보호필름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을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도공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층을 매개로 하여 편광자와 보호필름 또는 점착층이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을 도공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적으로 0.01 내지 1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인 것이 좋다. 접착제층의 두께가 0.5㎛ 이하인 경우에는 접합시 기포 혼입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으며, 접착제층의 두께가 5㎛ 이상인 경우에는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편광자 및/또는 보호 필름의 표면에 프라이머 처리,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등의 드라이 처리, 비누화(알칼리) 처리 등의 화학 처리의 표면 처리를 적절하게 실시할 수도 있다. 비누화(알칼리) 처리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의 수용액에 침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일면에 보호필름이 접합된 편광자의 다른 면은 필요에 따라, 하드코트 처리, 반사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 처리, 확산 또는 안티글래어 목적으로 한 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적절하게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일면에 보호필름이 접합된 편광자의 다른 면은 전술한 표면처리 외에도, 필요에 따라 하드코팅층, 반사방지층, 방현층, 대전방지층 등의 표면처리층이 더 적층될 수 있으며, 점착제층에 의해 광학 기능성 필름이 더 적층될 수도 있다.
상기 광학 기능성 필름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기재 표면에 액정성 화합물 또는 이의 고분자 화합물 등이 배향되어 있는 광학보상 필름, 어떠한 종류의 편광광을 투과시키고 그것과 반대되는 성질의 편광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형 편광분리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방현기능 부가 필름, 표면 반사 방지 처리된 부가 필름, 표면에 반사 기능을 갖는 반사 필름, 반사 기능과 투과 기능을 함께 갖는 반투과 반사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편광판은 통상의 화상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로 접합된 편광판은 접합 이후에 장시간의 양생 공정 없이도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의 밀착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비교예
평균중합도가 2,400이고, 비누화도가 99.9몰% 이상인 75㎛ 두께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건식으로 약 5배로 일축 연신하고, 연신 상태를 유지한 채로 60℃의 물(증류수)에 1분 동안 침지한 후 요오드/요오드화칼륨/증류수의 중량비가 0.05/5/100인 28℃의 수용액에서 60초 동안 침지하였다. 그 후, 요오드화칼륨/붕산/증류수의 중량비가 8.5/8.5/100인 72℃ 수용액에 300초 동안 침지하고, 26℃의 증류수로 20초 동안 세정한 후 65℃에서 건조하여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된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편광자의 양면에,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 및 함량을 갖는 접착제 조성물을 두께가 2㎛가 되도록 도포한 후 니프롤을 이용하여 코로나 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스계 보호필름과 코로나 처리된 노르보넨계 시클로올레핀폴리머계 보호필름을 접합시킨 후 고압수은램프(UVA 적산광량 500mJ/cm2, 조도 500mW/cm2)로 UV를 조사하여 경화시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구분 광중합성 화합물
(a)
바인더 수지 양이온 광개시제
(d)
에폭시수지(A)
(b)
에폭시수지(B)
(c)
성분 중량부 성분 중량부 성분 중량부 성분 중량부
실시예 1 a-1 20 b-1 76 - - d-1 4
실시예 2 a-1 20 b-1 60 c-1 16 d-1 4
실시예 3 a-2 20 b-1 60 c-1 16 d-1 4
실시예 4 a-3 20 b-1 60 c-1 16 d-2 4
실시예 5 a-1 20 b-2 60 c-2 16 d-1 4
실시예 6 a-2 20 b-3 60 c-3 16 d-2 4
실시예 7 a-1 10 b-1 70 c-1 16 d-1 4
실시예 8 a-1 30 b-1 50 c-1 16 d-1 4
실시예 9 a-1 8 b-1 72 c-1 16 d-1 4
실시예 10 a-1 32 b-1 48 c-1 16 d-1 4
비교예 1 - - b-1 80 c-1 16 d-1 4
비교예 2 a-4 20 b-1 60 c-1 16 d-1 4
비교예 3 a-5 20 b-1 60 c-1 16 d-1 4
비교예 4 - - b-2 80 c-3 16 d-2 4
비교예 5 - - b-3 80 c-2 16 d-1 4
a-1: 3-에틸-3-((비닐옥시)메틸)옥세탄
a-2: 2-(((4-((비닐옥시)메틸)시클로헥실)메톡시)메틸)옥시란
a-3: 2-((비닐옥시)메틸)옥시란
a-4:OXT-101 (동아합성사)
a-5: 시클로헥실비닐에테르
b-1: Celloxide-2021P (다이셀사)
b-2: YD-128 (국도화학사)
b-3: Celloxide-2081(다이셀사)
c-1: 1,4-부탄다이올디글리시딜에테르
c-2: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
c-3: 1.6-헥산다이올디글리시딜에테르
d-1: SP-150 (아데카옵토머사)
d-2: CPI-110A (산-에프로사)
실험예
(1) 초기 접착력 발현 시간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을 하기 실험예 (2)의 방법에 따라 5분 간격으로 접착성을 평가하여, 커터의 날이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에 2mm 이하로 들어갔을 때의 시간을 초기 접착력 발현 시간으로 측정하였다.
◎: 1시간 이내
○: 3시간 이내
△: 6시간 이내
X: 6시간 초과
(2) 접착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을 23℃, 상대 습도 55%에서 24시간 방치한 후에,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에 커터의 날을 밀어넣었을 때 날이 들어가는 정도로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의 접착성을 평가하였다.
◎: 커터의 날이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에 들어가지 않음
○: 커터의 날이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에 2mm 이하로 들어감
△: 커터의 날이 편광자와 적어도 한쪽의 보호필름 사이에 2mm 초과 내지 5mm 이하로 들어감
X: 커터의 날이 편광자와 적어도 한쪽의 보호필름 사이에 무리 없이 끝까지 들어감
(3) 내온수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을 23℃, 상대 습도 55%에서 24시간 방치한 후에, 흡수축(연신 방향)을 긴 변으로 하여 5cm×2cm의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후 상기 각 샘플의 짧은 변 측을 파지하고 길이 방향의 80%를 60℃의 수조에 4시간 침지한 후에 꺼내어 수분을 닦아내었다.
온수 침지에 의해 편광자는 수축하므로, 샘플의 짧은 변 중앙의 보호필름의 끝에서부터 수축한 편광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를 수축 길이로 하였다.
또한, 온수 침지에 의해 편광자의 주변부로부터 요오드가 용출되어 탈색되므로, 샘플의 짧은 변 중앙의 수축한 편광자 끝에서부터 탈색되지 않은 부분까지의 거리를 요오드 빠짐 길이로 하였다.
상기 수축 길이와 요오드 빠짐 길이의 합계를 총 침식 길이로 하였다. 즉, 총 침식 길이는 샘플의 짧은 변 중앙의 보호필름의 끝에서부터 편광자의 탈색되지 않은 부분까지의 거리로서, 이 침색 길이가 작을수록 내수성이 우수하다.
◎:총 침식길이가 2mm 미만
○:총 침식길이가 2mm 이상 내지 3mm 미만
△:총 침식길이가 3mm 이상 5mm 미만
X:총 침식길이가 5mm 이상
구분 초기 접착력
발현 시간
접착성 내온수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비교예 1 X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X
비교예 5 X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6의 접착제 조성물은 초기 접착력 발현 시간이 매우 짧아, 장시간의 양생 공정을 요하지 않으므로 편광판 제조 공정 효율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접착성 및 내온수성도 매우 우수하였다.
본원의 광중합성 화합물을 바람직한 함량을 벗어나도록 포함하는 실시예 7 내지 10의 경우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5의 조성물은 접착력의 발현을 위해 장시간의 양생을 요하여 편광판 제조 공정 효율이 떨어졌다.

Claims (8)

  1. 광중합성 화합물, 에폭시계 바인더 수지 및 양이온 광개시제를 포함하며,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고,
    접착제 조성물 총 중량 중 하기 일반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5 내지 25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계 바인더 수지를 70 내지 85중량%로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Figure 112019107721967-pat00017

    (식 중,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6의 알킬렌기, 시클로알킬렌기 또는 페닐렌기이고;
    X는
    Figure 112019107721967-pat00018
    또는
    Figure 112019107721967-pat00019
    이며;
    R3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이고;
    R4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6의 알킬렌기 또는 시클로알킬렌기임)
    Figure 112019107721967-pat00020

    (식 중, R1은 탄소수 1~6의 알킬렌기, 시클로알킬렌기 또는 페닐렌기이고;
    X는
    Figure 112019107721967-pat00021
    또는
    Figure 112019107721967-pat00022
    이며;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반식 (1) 및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3-에틸-3-((비닐옥시)메틸)옥세탄, 2-(((4-((비닐옥시)메틸)시클로헥실)메톡시)메틸)옥시란 및 2-((비닐옥시)메틸)옥시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접착제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접착제 조성물 총 중량 중 10~30중량%로 포함되는, 접착제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계 바인더 수지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며 그 에폭시기 중의 적어도 1개가 지환식 에폭시기인 에폭시 수지(A)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계 바인더 수지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며 지환식 에폭시기를 포함하지 않는 에폭시 수지(B)를 더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에폭시 수지(A) 및 에폭시 수지(B)는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인, 접착제 조성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B)는 지환식 고리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인, 접착제 조성물.
  8.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보호필름이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접착제 조성물로 접합된 편광판.
KR1020130121300A 2013-10-11 2013-10-11 접착제 조성물 KR102097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300A KR102097484B1 (ko) 2013-10-11 2013-10-11 접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300A KR102097484B1 (ko) 2013-10-11 2013-10-11 접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596A KR20150043596A (ko) 2015-04-23
KR102097484B1 true KR102097484B1 (ko) 2020-04-07

Family

ID=53036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300A KR102097484B1 (ko) 2013-10-11 2013-10-11 접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4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865A (ko) 2015-08-13 2017-02-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KR20170019840A (ko) 2015-08-13 2017-02-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KR20170021033A (ko) 2015-08-17 2017-02-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0989A (ja) 2007-07-19 2009-02-26 Maruzen Petrochem Co Ltd 液状硬化性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0470B2 (ja) * 2012-03-09 2014-06-25 チェイ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偏光板用接着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0989A (ja) 2007-07-19 2009-02-26 Maruzen Petrochem Co Ltd 液状硬化性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596A (ko) 2015-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707B1 (ko) 편광판용 접착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TWI415916B (zh) A photohardenable adhesive, a polarizing plate using the photohardenable adhesiv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 optical member,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855947B2 (ja) 光硬化性接着剤、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積層光学部材
KR20190107710A (ko)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780540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577114B1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7072728A (ja) 偏光板
KR102097484B1 (ko) 접착제 조성물
JP2016118779A (ja) 光硬化性接着剤、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積層光学部材
KR101588496B1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TWI818906B (zh) 光學積層體
KR20180058124A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
KR101882549B1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편광판용 접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659136B1 (ko) 편광판,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81308B1 (ko) 편광판 세트 및 액정 패널
KR101780530B1 (ko) 편광판용 접착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2022120975A (ja) 偏光板
JP2017173780A (ja) 偏光板
CN206248955U (zh) 偏振板组及液晶面板
CN106556887B (zh) 偏光板组及液晶面板
JP7363631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接着剤組成物、偏光板用接着剤組成物、偏光板用接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KR20170105924A (ko)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장치
KR20170038680A (ko) 편광판 세트 및 액정 패널
KR20200064616A (ko) 편광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1622079B1 (ko)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