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274B1 -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및 의료용 카트 - Google Patents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및 의료용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274B1
KR102097274B1 KR1020180028782A KR20180028782A KR102097274B1 KR 102097274 B1 KR102097274 B1 KR 102097274B1 KR 1020180028782 A KR1020180028782 A KR 1020180028782A KR 20180028782 A KR20180028782 A KR 20180028782A KR 102097274 B1 KR102097274 B1 KR 102097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teraction
mode
car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7485A (ko
Inventor
김성우
원영준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8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274B1/ko
Priority to PCT/KR2018/016123 priority patent/WO2019177245A1/ko
Publication of KR20190107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10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13Trolleys, e.g. c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60Supports for surgeons, e.g. chairs or han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2/00Accommodation for nursing, e.g. in hospitals, not covered by groups A61G1/00 - A61G11/00, e.g. 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or food; Prescription l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2/00Accommodation for nursing, e.g. in hospitals, not covered by groups A61G1/00 - A61G11/00, e.g. 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or food; Prescription lists
    • A61G12/001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food, linen, nursing suppli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20Displays or moni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ntistry (AREA)
  • Nursing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및 의료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황에 맞게 의료용 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및 의료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감지부가 카트 몸체부에 결합된 모든 인터렉션부를 인식하는 단계와, 모드 실행부가 인식된 인터렉션부에 대응되는 모드를 실행하고, 실행된 모드에 대응되는 제1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인터렉션부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제1감지부는 결합된 인터렉션부로부터 인식 정보를 수신하여, 인터렉션부를 인식하는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및 의료용 카트{METHOD OF CONTROLLING MEDICIAL CART AND MEDICIAL CART}
본 발명은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및 의료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황에 맞게 의료용 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및 의료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카트는 각종 의료용 모듈(컴퓨터, 모니터, 측정장비, 치료기구, 심장 제세동기, 의료 소모품 수납 카트리지 등)의 이동 및 거치에 사용되는 것으로, 의료진은 환자들의 상태에 맞게 알맞은 의료용 모듈을 의료용 카트에 결합하여 환자가 위치한 장소로 운반한다.
의료용 카트는 의료진이 직접 환자의 상태 또는 방문 장소에 따라 제공해야 할 의료 서비스를 판단하여, 의료용 모듈을 결합하여 의료용 카트를 구성해야 하는데, 숙련되지 않은 의료진의 경우 의료용 카트를 잘못 구성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환자에게 빠르고 정확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의료용 카트에 결합된 의료용 모듈을 인식하여, 결합된 의료용 모듈과 관련된 다른 의료용 모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됐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의료용 카트에 결합된 의료용 모듈을 인식하여, 결합된 의료용 모듈과 관련된 다른 의료용 모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하는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제1감지부가 카트 몸체부에 결합된 모든 인터렉션부를 인식하는 단계와, b) 모드 실행부가 인식된 인터렉션부에 대응되는 모드를 실행하고, 실행된 모드에 대응되는 제1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a) 단계에서 제1감지부는 결합된 인터렉션부로부터 인식 정보를 수신하여, 인터렉션부를 인식하는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a) 단계는 제 1감지부가 최초로 카트 몸체부에 결합된 인터렉션부를 인식하는 단계와, 모드 실행부가 인식된 인터렉션부에 대응되는 제2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제1감지부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인터렉션부가 추가로 결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결합된 모든 인터렉션부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정보는 최초로 인식된 인터렉션부와 관련된 다른 인터렉션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b) 단계는 인식된 인터렉션부 중 적어도 하나가 휴대형 치료기기인 경우, 모드 실행부가 입원실 모드를 실행하고, 입원실 모드에 대응되는 제1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입원실 모드에 대응되는 제1정보는 입원실 안내 영상, 병동생활 안내 영상, 진료 안내 영상, 검사 안내 영상, 병원 동성 안내 영상, 낙상 예방 교육 영상, 검사 결과 안내 영상, 감염예방 교육 영상 또는 입원실내 안전 교육 영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b) 단계는 인식된 인터렉션부 중 적어도 하나가 응급처치 기기인 경우, 모드 실행부가 중환자 모드 또는 응급 모드를 실행하고, 중환자 모드 또는 응급 모드에 대응되는 제1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중환자 모드 또는 응급 모드에 대응되는 제1정보는 인식된 인터렉션부의 사용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b) 단계는 인식된 인터렉션부 중 적어도 하나가 수술 기기인 경우, 모드 실행부가 수술 모드를 실행하고, 수술 모드에 대응되는 제1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술 모드에 대응되는 정보는 인식된 인터렉션부의 사용 순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b) 단계 이후, 발광 조절부가 추출된 정보를 수신하고, 인터렉션부의 사용 순서에 따라 해당 인터렉션부에 형성된 발광부를 순차적으로 점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b) 단계 이후, 제2감지부가 환자 베드와의 연결을 판단하는 단계와, 환자 베드와 연결되는 경우, 제2감지부가 환자 베드로부터 환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환자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카트 몸체부에 결합되며, 카트 몸체부에 결합된 인터렉션부로부터 인식 정보를 수신하여, 인터렉션부를 인식하는 제1감지부와, 제1감지부와 연결되어, 인식된 인터렉션부에 대응하는 모드를 실행하고, 모드에 대응되는 제1정보를 추출하는 모드 실행부와, 모드 실행부와 연결되어, 추출된 제1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카트 몸체부에 최초로 결합된 의료용 모듈을 인식하여, 인식된 의료용 모듈과 관련되는 다른 의료용 모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해주기 때문에, 의료진은 표시된 정보를 참고하여 용이하게 카트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트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중 모드 실행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 3의 S100 단계에 대한 상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도 3의 S200 단계에 대한 상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중 환자 정보 표시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트(1)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트(1)의 구성도이다.
의료용 카트(1)는 카트 몸체부(10) 및 하나 이상의 인터렉션부(20), 통신부(30), 제어부(40) 및 디스플레이부(50)를 포함한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도1은 카트 몸체부(10)에 두개의 인터렉션부(20)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의 편의를 위해 인터렉션부(20)를 상자 형태로 표현하였으나, 인터렉션부(20)의 기능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카트 몸체부(10)는 인터렉션부(20)를 운반하는 구성요소로서, 운반의 편의성을 위해 복수의 바퀴(110) 및 손잡이(120)가 형성되고, 인터렉션부(20)가 배치 가능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인터렉션부(20)는 의료진에게 진단 또는 처치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의료용 모듈일 수 있으며, 카트 몸체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카트 몸체부(10)는 내주면에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인터렉션부(20)는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결함홈 및 결합돌기에는 케이블이 형성되어, 카트 몸체부(10)와 인터렉션부(20)의 결합 시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으며, 인터렉션부(20)는 케이블을 통해 카트 몸체부(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인터렉션부(20)는 발광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발광 조절부(430)는 카트 몸체부(10)에 결합된 인터렉션부(20)의 사용 순서에 따라, 해당 인터렉션부(20)의 발광부재를 점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부(30)는 제어부(40)와 인터렉션부(20)와의 통신을 위해 구비되며,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통신부(30)는 카트 몸체부(10)에 결합된 인터렉션부(20)하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인터렉션부(2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제어부(4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제어부(4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인터렉션부(2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30)는 환자 베드(A)에 소정 간격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환자 베드(A)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의료용 카트(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감지부(410) 및 모드 실행부(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광 조절부(430) 및 제2감지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감지부(410)는 카트 몸체부(10)에 결합된 인터렉션부(20)를 인식하는 구성요소로서, 통신부(30)를 통해 카트 몸체부(10)에 결합된 모든 인터렉션부(20)로부터 인식 정보를 수신하여, 인터렉션부(20)를 인식할 수 있다. 제1감지부(410)는 인식된 인터렉션부(20)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모드 실행부(4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1감지부(410)는 통신부(30)와 인터렉션부(20)의 연결 여부로 카트 몸체부(10)에 인터렉션부(20)의 결합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1감지부(410)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통신부(30)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고 되돌아 오는 신호를 통해 인터렉션부(20)가 카트 몸체부(10)에 결합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감지부(410)는 최초로 카트 몸체부(10)에 결합된 인터렉션부(20)를 인식하고, 최초로 결합된 인터렉션부(20)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모드 실행부(42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1감지부(410)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인터렉션부(20)가 추가로 결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카트 몸체부(10)에 결합된 모든 인터렉션부(20)를 인식하고, 이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모드 실행부(420)로 송신할 수 있다.
모드 실행부(420)는 인터렉션부(20)의 결합이 완료되면, 결합된 인터렉션부(20)에 대응되는 모드를 실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인터렉션부(20)마다 그에 대응하는 모드가 저장되어 있고, 각 모드에 대응하는 제1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모드 실행부(420)는 제1감지부(410)로부터 카트 몸체부(10)에 결합된 모든 인터렉션부(20)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해 카트 몸체부(10)에 결합된 인터렉션부(20)에 대응되는 모드를 실행하고, 실행된 모드에 대응하는 제1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실행부(420)는 인식된 인터렉션부(20) 중 적어도 하나가 휴대형 치료기기인 경우, 입원 모드를 실행할 수 있으며, 입원 모드에 대응되는 제1정보로 입원실 안내 영상, 병동생활 안내 영상, 진료 안내 영상, 검사 안내 영상, 병원 동성 안내 영상, 낙상 예방 교육 영상, 검사 결과 안내 영상, 감염예방 교육 영상 또는 입원실내 안전 교육 영상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휴대형 치료기기는 저주파 치료기, 고주파 치료기, 초음파 치료기 등일 수 있다. 한편, 교육 영상을 통해 환자 또는 보호자는 주의사항을 숙지할 수 있다.
또한, 모드 실행부(420)는 인식된 인터렉션부(20) 중 적어도 하나가 응급처치 기기인 경우, 응급 모드 또는 중환자 모드를 실행할 수 있으며, 응급 모드 또는 중환자 모드에 대응되는 제1정보로 인식된 인터렉션부(20)의 사용 방법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모드 실행부(420)는 인식된 인터렉션부(20)에 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식된 인터렉션부(20)의 사용 방법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응급처치 기기는 제세동기(AED), 네불라이저(Nebulizer), 의약품 주입펌프(Infusion pump), 인공 호흡기 등일 수 있다.
한편, 모드 실행부(420)는 적어도 하나의 응급처치 기기가 인식된 경우, 응급 모드 또는 중환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을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50)는 터치 패널로 구비되어, 의료진은 디스플레이부(50)를 통해 모드 선택을 진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모드 실행부(420)는 인식된 인터렉션부(20) 중 적어도 하나가 수술 기기인 경우, 수술 모드를 실행할 수 있으며, 수술 모드에 대응되는 제1정보로 인식된 인터렉션부(20)의 사용 순서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수술 기기는 레이저, 마취장비, 출혈/수혈 모니터 등일 수 있다.
모드 실행부(420)는 인식된 인터렉션부(20)에 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식된 인터렉션부(20)의 사용 순서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인터렉션부(20)의 사용 순서를 후술할 발광 조절부(43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렉션부(20)의 결합이 완료되면, 그에 따른 모드를 실행하고,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제1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의료진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드 실행부(420)는 최초로 카트 몸체부(10)에 결합된 인터렉션부(20)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면, 최초로 결합된 인터렉션부(20)에 대응되는 다른 인터렉션부(20)에 관한 정보인 제2정보를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로 결합된 인터렉션부(20)가 휴대형 치료기기인 경우, 모드 실행부(420)는 처치 키트, 활력징후 측정기기 등 입원 모드에서 요구되는 다른 인터렉션부(20)에 관한 제2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최초로 결합된 인터렉션부(20)가 응급처치 기기인 경우, 모드 실행부(420)는 의료품, 활력징후 측정기기 등 응급 모드에서 요구되는 다른 인터렉션부(20)에 관한 제2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최초로 결합된 인터렉션부(20)가 수술 기기인 경우, 모드 실행부는 수술집기, 활력징후 측정 기기 등 수술 모드에서 요구되는 다른 인터렉션부(20)에 관한 제2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카트 몸체부(10)에 최초로 결합된 인터렉션부(20)에 따라, 추가로 결합해야 하는 다른 인터렉션부(20)를 추천해줌으로써, 초보 의료진이 상황에 맞는 의료용 카트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발광 조절부(430)는 인터렉션부(20)의 발광부재를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모드 실행부(420)로부터 수신한 인터렉션부(20)의 사용 순서에 따라, 점등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30)를 통해 해당 인터렉션부(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 조절부(430)가 형성됨으로써, 의료진은 인터렉션부(20)의 사용 순서를 좀 더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2감지부(440)는 환자 베드(A)와의 연결을 감지하고, 환자 베드(A)로부터 환자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구성요소이다. 제2감지부(440)는 통신부(30)와 환자 베드(A)와의 연결 여부로 의료용 카트(1)가 환자 베드(A)에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환자 베드(A)가 접근된 것으로 판단하면, 환자정보 요청 신호를 통신부(30)를 통해 전송하여, 환자 베드(A)로부터 환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환자 정보를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환자 베드(A)는 환자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통신부(30)를 통해 환자 정보를 의료용 카트(1)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환자 정보는 기설정된 시간 이전부터 현재 시간까지 측정된 활력징후(vital sign) 측정값 정보, 약물 투여 정보, 알레르기 정보, 의료진의 지침, 낙상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의료용 카트(1)는 분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감지부(440)는 환자 정보를 분석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분석부는제2감지부(440)로부터 환자 정보를 수신하여, 환자 정보에 이상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50)를 통해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는 모드 실행부(42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트(1)의 제어 방법 중 모드 실행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S100단계에서 제1감지부(410)는 통신부(30)를 통해 카트 몸체부(10)에 결합된 모든 인터렉션부(20)로부터 인식 정보를 수신하여, 인터렉션부(20)를 인식할 수 있다. 모든 인터렉션부(20)를 인식한 후, 제1감지부(410)는 인식된 인터렉션부(20)에 관한 데이터를 모드 실행부(420)로 송신할 수 있다.
S200단계에서 모드 실행부(420)는 제1감지부(410)를 통해 인식된 인터렉션부(20)에 대응되는 모드를 실행하고, 실행된 모드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제1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도 3의 S100 단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S110단계에서 제1감지부(410)는 통신부(30)를 통해 최초로 결합된 인터렉션부(20)의 인식 정보를 수신하여, 최초로 결합된 인터렉션부(20)를 인식하고, 최초로 결합된 인터렉션부(20)에 관한 데이터를 모드 실행부(420)로 송신할 수 있다.
S120단계에서 모드 실행부(420)는 제1감지부(410)로부터 최초로 결합된 인터렉션부(20)에 대응되는 제2정보를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정보는 최초로 결합된 인터렉션부(20)와 관련된 다른 인터렉션부(20)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후, S130단계에서 제1감지부(410)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추가로 인터렉션부(20)가 결합되지 않는지 판단하고, 기설정된 시간동안 추가로 인터렉션부(20)가 결합되지 않으면 S140단계에서 결합된 모든 인터렉션부(20)를 인식하고, 결합된 모든 인터렉션부(20)에 관한 데이터를 모드 실행부(42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시간동안 추가로 인터렉션부(20)가 결합된 경우, 다시 S130단계로 돌아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의료용 카트(1)는 최초로 결합된 인터렉션부(20)를 인식하고, 인식된 인터렉션부(20)와 관련된 다른 인터렉션부에 관한 제2정보를 표시해주기 때문에, 의료진은 제2정보 참고하여 용이하게 의료용 카트(1)를 구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도 3의 S200 단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S210단계에서 모드 실행부(420)는 제1감지부(410)로부터 카트 몸체부(10)에 결합된 모든 인터렉션부(20)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S220단계에서 수신한 인터렉션부(20)에 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1감지부(410)에 의해 인식된 인터렉션부(20) 중 적어도 하나가 휴대형 치료기기인지 판단한다.
제1감지부(410)에 의해 인식된 인터렉션부(20) 중 적어도 하나가 휴대형 치료기기인 경우, S230단계에서 모드 실행부(420)는 입원 모드를 실행하고, 그에 대응하는 제1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입원 모드에 대응하는 제1정보는 입원실 안내 영상, 병동생활 안내 영상, 진료 안내 영상, 검사 안내 영상, 병원 동성 안내 영상, 낙상 예방 교육 영상, 검사 결과 안내 영상, 감염예방 교육 영상 또는 입원실 내 안전 교육 영상일 수 있다.
인식된 인터렉션부(20) 중 적어도 하나가 휴대형 치료기기가 아닌 경우, S240단계에서 모드 실행부(420)는 인식된 인터렉션부(20)가 응급처치 기기인지 판단한다. 인식된 인터렉션부(20) 중 적어도 하나가 응급처치 기기인 경우, S250단계에서 모드 실행부(420)는 응급 모드를 실행하고, 그에 대응하는 제1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응급 모드에 대응하는 제1정보는 인식된 인터렉션부(20)의 사용 방법일 수 있다.
인식된 인터렉션부(20) 중 적어도 하나가 응급처치 기기가 아닌 경우, S260단계에서 모드 실행부(420)는 수술 기기인지 판단한다. 인식된 인터렉션부(20)가 수술 기기인 경우, S270단계에서 모드 실행부(420)는 수술 모드를 실행하고, 그에 대응하는 제1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수술 모드에 대응하는 제1정보는 인식된 인터렉션부(20)의 사용 순서일 수 있다.
한편, 인식된 인터렉션부(20) 중 적어도 하나가 수술 기기가 아닌 경우, 모드 실행부(420)는 모드실행 단계를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의료용 카트(1)는 인터렉션부(20)를 인식하고, 인시된 인터렉션부에 따라 서로 다른 모드를 실행하고, 모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추출하여 의료진에게 표시해주기 때문에, 의료진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트(1)의 제어 방법 중 환자 정보 표시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입원 모드가 실행된 후, S300단계에서 제2감지부(440)는 통신부(30)를 통한 환자 베드(A)와의 연결을 대기한다. S400단계에서 제2감지부(440)는 환자 베드(A)와 연결되었는지 판단하고, 환자 베드(A)와 연결되면, S500 단계에서 환자 베드(A)로부터 환자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환자 정보는 기설정된 시간 이전부터 현재 시간까지 측정된 활력징후(vital sign) 측정값 정보, 약물 투여 정보, 알레르기 정보, 의료진의 지침, 낙상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의료용 카트(1)를 이용하는 의료진은 환자에게 약물을 공급하기 전, 환자에 관한 주의사항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의료용 카트
10 : 카트 몸체부
20 : 인터렉션부
30 : 통신부
40 : 제어부
5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1)

  1. 바퀴 및 손잡이가 형성되는 카트 몸체부 및 상기 카트 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기 다른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의 인터렉션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제1감지부가 상기 카트 몸체부에 결합된 모든 인터렉션부를 인식하는 단계와,
    b) 모드 실행부가 인식된 인터렉션부에 대응되는 모드를 실행하고, 실행된 모드에 대응되는 제1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1감지부는 결합된 인터렉션부로부터 인식 정보를 수신하여, 인터렉션부를 인식하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감지부가 최초로 상기 카트 몸체부에 결합된 인터렉션부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모드 실행부가 인식된 인터렉션에 대응되는 제2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감지부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인터렉션부가 추가로 결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결합된 모든 인터렉션부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정보는 상기 최초로 인식된 인터렉션부와 관련된 다른 인터렉션부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인식된 인터렉션부 중 적어도 하나가 휴대형 치료기기인 경우, 상기 모드 실행부가 입원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입원 모드에 대응되는 제1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원 모드에 대응되는 제1정보는, 감염예방 교육 영상 또는 입원실내 안전 교육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인식된 인터렉션부 중 적어도 하나가 응급처치 기기인 경우, 상기 모드 실행부가 응급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응급 모드에 대응되는 제1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모드에 대응되는 제1정보는, 상기 인식된 인터렉션부의 사용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인식된 인터렉션부 중 적어도 하나가 수술 기기인 경우, 상기 모드 실행부가 수술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수술 모드에 대응되는 제1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 모드에 대응되는 정보는, 상기 인식된 인터렉션부의 사용 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발광 조절부가 추출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터렉션부의 사용 순서에 따라 해당 인터렉션부에 형성된 발광부를 순차적으로 점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제2감지부가 환자 베드와의 연결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환자 베드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2감지부가 상기 환자 베드로부터 환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환자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11. 삭제
KR1020180028782A 2018-03-12 2018-03-12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및 의료용 카트 KR102097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782A KR102097274B1 (ko) 2018-03-12 2018-03-12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및 의료용 카트
PCT/KR2018/016123 WO2019177245A1 (ko) 2018-03-12 2018-12-18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및 의료용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782A KR102097274B1 (ko) 2018-03-12 2018-03-12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및 의료용 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485A KR20190107485A (ko) 2019-09-20
KR102097274B1 true KR102097274B1 (ko) 2020-04-06

Family

ID=67907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782A KR102097274B1 (ko) 2018-03-12 2018-03-12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및 의료용 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7274B1 (ko)
WO (1) WO201917724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6407A (ja) * 1999-09-08 2003-09-09 キューロン 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1組の治療デバイスを制御する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7708A (ja) * 1996-11-01 1998-05-19 J Morita Tokyo Mfg Corp 歯科診療用カート
JP2004213321A (ja) * 2002-12-27 2004-07-29 Yuuki Kitaoka 医療業務支援端末
CN102548494B (zh) * 2009-10-28 2015-04-01 奥林巴斯医疗株式会社 医疗用装置
AU2011338579B2 (en) * 2010-12-06 2015-07-16 Omnicell, Inc. Computer controlled and monitored medical storage system
KR101816512B1 (ko) * 2016-03-30 2018-02-21 주식회사 네오디안테크놀로지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6407A (ja) * 1999-09-08 2003-09-09 キューロン 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1組の治療デバイスを制御する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77245A1 (ko) 2019-09-19
KR20190107485A (ko) 2019-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43422B2 (ja) 医療監視データを表示するシステム
KR102615025B1 (ko) 스폿 체크 측정 시스템
US10368747B2 (en) System and method of workflow management
JP6136046B2 (ja) 患者ベッドサイド監視ユニット用の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JP6067280B2 (ja) 薬物送達システム用の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イス機構
US9529762B2 (en) Self powered serial-to-serial or USB-to-serial cable with loopback and isolation
CA1312924C (en) Patient monitoring system having transportable data module and display unit
CN110809804A (zh) 使用适配器将医疗系统与网络控制器配对的系统
US9211161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medical probes with connection ports
JPH07213494A (ja) 患者モニタ装置
CN104619245B (zh) 便携式患者监护系统配置文件切换
JP2013039373A (ja) 手技段階に基づいて送達を調整する薬物送達システム
JP2008200111A (ja) 生体情報モニタ装置、警報表示方法および警報表示プログラム
US20180256111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record health care vitals and information on a stand-alone and mobile device.
JP2013039374A (ja) オープンアーキテクチャフレームワークを用いた薬物送達システム
US20230095781A1 (en) Apparatus,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transport indicators on a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
US20220375589A1 (en) Wireless sensor monitoring
KR102097274B1 (ko)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및 의료용 카트
EP4066252A1 (en) Self-describing protocol translation device
EP2750059A2 (en) Monitoring apparatus
CN108269613A (zh) 医疗设备及其操作方法
JP7444907B2 (ja) 生体情報モニター、生体情報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US1200909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remote medical assistance
JP7106253B2 (ja) ベッドサイドモニター及び生体情報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Ursache et al. Web Based Medical System for Remote Heart Rate Monitoring with Cloud Integ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