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068B1 - 복합보일러 - Google Patents

복합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068B1
KR102097068B1 KR1020190007406A KR20190007406A KR102097068B1 KR 102097068 B1 KR102097068 B1 KR 102097068B1 KR 1020190007406 A KR1020190007406 A KR 1020190007406A KR 20190007406 A KR20190007406 A KR 20190007406A KR 102097068 B1 KR102097068 B1 KR 102097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ater
housing
spac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석철
노봉주
Original Assignee
노석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석철 filed Critical 노석철
Priority to KR1020190007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202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1Construction of the tank
    • F24H9/12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 F24H9/133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 및 스팀공급 등을 각각 수행할 때, 각각의 조건에 따라 효율적인 가열환경을 제공하여, 열사용효율을 증대함은 물론, 사용성을 극대화하도록;
내부에 외부에서 물(원수)이 공급되는 원수공급구가 구비된 공간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에 배치되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전달받아 전열을 발생시키도록 된 전열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전열수단을 통한 물의 가열을 통해 발생된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스팀배관과; 상기 하우징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전열수단을 통한 물의 가열을 통해 발생된 온수(난방순환수)를 외부로 연결하여 순환시키도록 순환배관과 각각 연결되어 온수를 배수하도록 된 난방출구 및 순환된 온수를 회수하도록 된 난방회수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전열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 상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위에 대하여 수직상으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어수단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각각 전열을 발생시키도록 된 상부전열히터와 하부전열히터를 포함하는 복합보일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복합보일러{Multiple boiler}
본 발명은, 난방은 물론, 스팀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복합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난방 및 스팀공급 등을 각각 수행할 때, 각각의 조건에 따라 효율적인 가열환경을 제공하여, 열사용효율을 증대함은 물론, 사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복합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적정 연료를 연소시키면서 발생되는 온수를 난방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장치의 하나로, 적용되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 가스보일러, 기름보일러, 전기보일러, 연탄보일러 등으로 크게 구분된다.
그 중 전기보일러는, 다른 보일러에 비해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고 위생적이며, 과열 등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도 상대적으로 적어 점점 그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기보일러는,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저장하는 대용량의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 저장, 순환되는 물을 전기에 의해 발열되는 전기히터로 가열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저장탱크 내에서 가열된 물을 난방배관과 난방펌프 등으로 건물의 난방용수나 생활용 온수로 공급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전기보일러는 비등점과 비열이 낮은 물을 이용하여 축열식으로 열을 저장하므로 많은 양의 열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상기 저장탱크가 매우 커야 되고, 전기 보일러 자체의 크기도 대형화 될 수밖에 없어 설치공간이 작은 장소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전기히터로 대형의 저장탱크에 저장된 난방수를 직접 가열하는 방식의 전기보일러는 전열소모가 매우 클 뿐 아니라 난방이 이루어지기까지 걸리는 소요시간이 너무 길고, 반면에 열교환을 통해 난방수를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방식은 직접 가열방식에 비해 전력소모는 적지만 가열효과가 비교적 낮고 구성이 복잡하여 제품단가 및 그에 따른 유지보수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자에는, 고온의 수증기로 열교환배관을 가열하여 온수를 발생시킴으로써 전기보일러 장치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전체적인 크기 또한 작으며, 전열소모가 작고 빠른 시간내에 고온으로 가열된 온수를 얻을 수 있도록 된 보일러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4-0019115호(명칭: 스팀가열식 전기보일러/2004.07.0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을 다수개의 전기히터로 가열하여 고온의 수증기를 다량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는 스팀발생부와, 상기 스팀발생부에 일체로 연통 설치되며 내부에는 열교환배관이 구비되고 상기 열교환배관에는 온수저장통이 연설된 스팀가열부로 구성되어, 상기 스팀발생부에서 발생된 고온의 수증기로 열환배관을 가열하여 내부의 순환수를 가온시켜 온수저장통에 저장하고 저장된 온수를 온수배출관을 통해 난방 및 온수용으로 공급하도록 된 전기보일러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65982호(명칭: 스팀과 온수 복합 보일러/2015.05.12.)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 내부에 탑재되며 열원에 의해 저장된 물로부터 온수와 스팀을 생산하는 열원 탱크와; 상기 열원 탱크의 외부에 설치되며 배관을 통해 상기 열원 탱크의 내부의 천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열원 탱크 내부의 천정부에 존재하는 스팀과 온수를 펌핑하는 펌프와; 일측은 상기 열원 탱크의 토출단에 연결되며 상기 펌프의 펌핑에 의해 상기 열원 탱크에서 토출되는 온수와 스팀을 순환시켜 난방하는 난방 배관과; 상기 열원 탱크에 물을 보충하는 물 보충수단과; 상기 펌프와 물보충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복합보일러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4-0019115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65982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일러들은, 스팀을 발생시킬 때, 단순히 물을 가열하는 수증기화 하도록 되어 있어, 스팀의 온도가 낮아 사용성 및 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전열히터가 항상 물에 잠긴 상태로 물을 가열하도록 됨에 따라, 물과 접촉하는 표면에서 물의 기화에 따른 산소와의 접촉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전기히터의 표면이 부식되어 장시간 사용시 열발생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난방 및 스팀공급 등을 각각 수행할 때, 각각의 조건에 따라 효율적인 가열환경을 제공하여, 열사용효율을 증대함은 물론, 사용성을 극대화하도록 되고, 특히, 전기히터에 대한 산소기체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부식 등의 발생을 극소화하여 열발생효율이 유지되도록 되어 에너지사용효율이 향상되도록 된 복합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복합보일러는, 내부에 외부에서 물(원수)이 공급되는 원수공급구가 구비된 공간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에 배치되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전달받아 전열을 발생시키도록 된 전열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전열수단을 통한 물의 가열을 통해 발생된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스팀배관과; 상기 하우징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전열수단을 통한 물의 가열을 통해 발생된 온수(난방순환수)를 외부로 연결하여 순환시키도록 순환배관과 각각 연결되어 온수를 배수하도록 된 난방출구 및 순환된 온수를 회수하도록 된 난방회수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전열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 상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위에 대하여 수직상으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어수단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각각 전열을 발생시키도록 된 상부전열히터와 하부전열히터를 포함하는 복합보일러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는, 상기 원수공급구와 연결된 물공급공간과; 상기 상부전열히터 및 상기 하부전열히터가 상하부에 배치된 가열공간으로 각각 구획 분할하도록 된 격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벽에는, 상기 물공급공간에서 상기 가열공간으로 물(원수)을 공급하는 물공급공이 형성되고, 상기 물공급공은, 상기 격벽의 높이를 따라 복수개 또는 다수개가 형성되며, 가장 높은 곳의 위치가 상부전열히터와 하부전열히터 사이에 위치되는 수위 보다 낮은 위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가열공간과 상기 물공급공간을 공간적으로 연결되게 배치되는 오버플로우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물공급공간에는, 상기 원수공급구와 연결된 충수탱크가 배치되면서 구비되며, 상기 충수탱크에는, 상기 충수탱크의 내부에서 상기 물공급공간으로 물(원수)을 공급하도록 된 충수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보일러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한 쌍의 전열히터를 통해 온수난방가열과 스팁발생가열을 효율적으로 극대화하여 각각의 환경조건에 따라, 가열하도록 됨으로서, 열사용효율을 증대함은 물론, 사용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때, 스팀발생환경에서는, 하부전열히터를 통해 물을 1차가열하여 증기화 한 후, 증기화된 수증기를 기체상태에서 상부전열히터를 통해 고온으로 2차가열하여 고온의 스팀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에너지사용효율을 극대화함은 물론, 상부전열히터 및 하부전열히터의 표면에서의 산소기체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부식 등의 발생을 예방함으로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열발생효율이 유지되어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하우징이 격벽을 통해 물공급공간과 가열공간으로 구분되고 가열공간의 상하부에 각각 상부전열히터와 하부전열히터가 구성되며 격벽의 물공급공을 통해 물공급공간과 가열공간의 하부만 연통되도록 하여 상부전열히터와 하부전열히터의 부식을 방지하고 향상된 열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복합보일러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복합보일러를 보인 개략 측단면 예시도.
도 3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복합보일러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복합보일러의 제어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복합보일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복합보일러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복합보일러(1)는, 내부에 외부에서 물(원수)이 공급되는 원수공급구(21)가 구비된 공간부를 가지는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의 공간부에 배치되며 전원공급부(3)의 전원을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전달받아 전열을 발생시키도록 된 전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우징(2)에 충수되는 물(원수)를 상기 전열수단을 통해 가열하여 온수 및/또는 스팀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원수공급구(21)에는, 상수원 또는 미도시된 펌프를 통해 물(원수)을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원수공급구(21)에는,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물(원수)의 공급을 개폐하도록 된 원수밸브(22)가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복합보일러(1)는, 상기 하우징(2)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2)의 내부에서 상기 전열수단을 통한 물의 가열을 통해 발생된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스팀배관(23)을 더 가진다.
즉, 상기 스템배관(23)을 통해 상기 하우징(2)의 공간부에서 발생된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스템배관(23)과 연결된 별도의 장치에 적용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에서 스템배관(23)에는, 상기 하우징(2)의 상부에 연통되게 배치되며 스팀조리장치(100) 및/또는 순간온수가열통(200)과 연결되어 조리 및/또는 온수공급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팀배관(23)에는, 별도의 조작수단(5)을 통해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상기 스팀조리장치(100) 및/또는 상기 순간온수가열통(200)으로 스팀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선택적 개폐하도록 된 스팀공급밸브(3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복합보일러(1)는, 상기 하우징(2)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2)의 내부에서 상기 전열수단을 통한 물의 가열을 통해 발생된 온수(난방순환수)를 외부로 연결하여 순환시키도록 순환배관(400)과 각각 연결되어 온수를 배수하도록 된 난방출구(24) 및 순환된 온수를 회수하도록 된 난방회수구(2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우징(2)의 내부에서 가열된 온수를 상기 난방출구(24)를 통해 상기 순환배관(400)으로 공급하여 난방순환한 후, 상기 난방회수구(25)를 통해 상기 하우징(2)의 내부로 회수하여 재가열하는 난방순환사이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난방출구(24)와 상기 난방회수구(25)는, 상기 하우징(2)의 하부에서 연통되도록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복합보일러(1)에서, 상기 전열수단은, 상기 하우징(2)의 공간부 상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위에 대하여 수직상으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어수단(4)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각각 전열을 발생시키도록 된 상부전열히터(61)와 하부전열히터(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우징(2)의 공간부상에서 상부는 상기 상부전열히터(61)를 통해 가열하고, 하부는 상기 하부전열히터(62)를 통해 가열하도록 하는 가열공간을 구획 분할함으로써 상기 하우징(2)의 공간부에서 각각의 가열 환경을 각각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선택된 가열조건에 따른 가열 환경을 각각 형성하도록 됨에 따라, 가열효율을 극대화함은 물론, 사용성을 확장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증대된다. 즉, 종래와 같이, 상부전열히터(61)와 하부전열히터(62)가 각각의 하우징에 독립적으로 구성되고 각 하우징이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에 비해, 제조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의 동일한 공간에 상부전열히터(61)와 하부전열히터(62)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구성되고 이때, 상부전열히터(61)와 하부전열히터(62)의 중간 부분에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하부전열히터(62)에 의해 물이 가열되는 경우 기포가 상부전열히터(61)에 접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부전열히터(61)가 젖은 상태를 가지게 되어 상부전열히터(61)가 기체만을 가열할 때 발생되는 흑변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복합보일러(1)에서, 상기 하우징(2)에는, 상기 하우징(2)의 공간부에 충수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된 수위감지센서(7)가 구비되고, 스팀공급환경조작시에는,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상기 원수밸브(22)를 제어하여 하우징(2)의 공간부의 수위가 상기 상부전열히터(61)와 상기 하부전열히터(62)의 사이간격에 위치되도록 상기 원수공급구(21)를 통해 물이 공급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팀발생환경에서는, 상기 하부전열히터(62)를 통해 물(원수)을 1차가열하여 증기화 한 후, 증기화된 수증기를 기체 상태에서 상기 상부전열히터(61)를 통해 고온으로 2차가열하여 고온의 스팀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에너지사용효율을 극대화함은 물론, 상기 상부전열히터(61) 및 상기 하부전열히터(62)의 표면에서의 산소기체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부식 등의 발생을 예방함으로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열발생효율이 유지되어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2)의 내부에서 한 쌍의 상기 상부전열히터(61) 및 상기 하부전열히터(62)를 통해 온수난방가열과 스팁발생가열을 효율적으로 극대화하여 각각의 환경조건에 따라, 가열하도록 됨으로서, 열사용효율을 증대함은 물론, 사용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때, 난방환경조작시에는,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하우징(2)의 공간부의 수위가 상기 상부전열히터(6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원수공급구(21)를 통해 물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난방과 스팀발생을 동시에 수행하는 환경조건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제어수단(4)의 제어를 통해 하우징(2)의 공간부의 수위가 상기 상부전열히터(61)와 상기 하부전열히터(62)의 사이간격에 위치되도록 상기 원수공급구(21)를 통해 물이 공급되어, 상기 하우징(2)의 공간부에서 상부에서는 스팀을 가열하여 공급하고, 하부에서는, 난방온수를 가열하여 동시에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상기 동작을 반대로 작동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하우징(2)의 물공급공간(A) 하부에 형성된 난방회수구(25)가 배출구의 역할을 하고, 가열공간(B)의 난방배출구(24)는 사용된 난방온수를 회수하는 역할을 하여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그 동작을 반대로 제어할 경우 난방온수와 스팀사용을 더욱 효율적으로 각각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첨부된 도 3은, 상기 하우징(2)의 내부에서 스팀을 발생시키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첨부된 도 4는, 상기 하우징(2)의 내부에서 난방온수를 발생시키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첨부된 도면 5는, 상기 하우징(2)의 내부에서 스팀과 난방온수를 동시에 발생시키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복합보일러(1)에서, 상기 하우징(2)의 공간부는, 상기 원수공급구(21)와 연결된 물공급공간(A)과 상기 상부전열히터(61) 및 상기 하부전열히터(62)가 각각 배치된 가열공간(B)으로 각각 구획 분할하도록 된 격벽(8)이 구비되며, 상기 격벽(8)에는, 상기 물공급공간(A)에서 상기 가열공간(B)으로 물(원수)을 공급하도록 된 물공급공(8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우징(2)의 공간부에서 가열공간(B)을 물공급공간(A)과 분리하여 물의 직접적인 전달을 방지하여 고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물(원수)을 가열하도록 하여 가열효율을 극대화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물공급공(81)은, 격벽(8)의 높이를 따라 복수개 또는 다수개가 형성되어 물공급공간(A)과 가열공간(B) 사이에 물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장 높은 곳의 위치가 상부전열히터(61)와 하부전열히터(62) 사이에 위치되는 수위 보다는 낮은 위치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에, 하우징(2)의 공간부의 수위가 상기 상부전열히터(61)와 상기 하부전열히터(62)의 사이간격에 위치되는 경우, 하부전열히터(62)의 가열영향을 받는 하우징(2)의 공간 하부는 물공급공간(A)과 가열공간(B) 사이가 연통되도록 하여 두 공간 사이의 물이 상호간 혼합되면서 가열되는 상태를 가지도록 하고, 상부전열히터(61)의 가열영향을 받는 하우징(2)의 공간 상부는 수위에 의해 물공급공간(A)과 가열공간(B) 사이가 차폐 구획되도록 하여 가열공간(B)의 상부에 위치된 상부전열히터(61)가 하우징(2)의 가열공간(B) 상부의 공간에 위치된 산소기체와 접촉되도록 하고 하우징(2)의 물공급공간(A) 상부의 공간에 위치된 산소기체와는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부식 등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 스팀배관(23) 및 난방출구(24)는, 상기 가열공간(A)과 연통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난방회수구(25)는, 상기 물공급공간(A)과 연통되게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복합보일러(1)에서. 상기 하우징(2)의 상부에는, 상기 가열공간(B)과 상기 물공급공간(A)을 공간적으로 연결되게 배치되는 오버플로우관(26)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우징(2)의 상부에 가열되어 잔존하는 스팀 및 고온의 온수의 미사용시 상기 물공급공간(A)으로 공급하여, 상기 물공급공간(A)에 충수된 물(원수)을 예열함으로서, 열사용효율을 극대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복합보일러(1)에서. 상기 하우징(2)의 물공급공간(A)에는, 상기 원수공급구(21)와 연결된 충수탱크(9)가 배치되면서 구비되며, 상기 충수탱크(9)에는, 상기 충수탱크(9)의 내부에서 상기 물공급공간(A)으로 물(원수)을 공급하도록 된 충수공(9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원수공급구(21)를 통해 상기 하우징(2)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원수)가 상기 물공급공간(A)으로 직접적으로 공급되지 않고, 상기 물공급공간(A)을 통해 예열되는 상기 충수탱크(9)의 내부에서 1차적으로 공급한 후, 추후 상기 충수공(91)을 통해 상기 물공급공간(A)으로 공급하도록 됨으로써, 상기 물공급공간(B)에 충수된 물(원수/순환수/스팀)의 온도가 저온의 물(원수)에 의해 급격히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2)의 공간부가, 물(원수)이 최초로 공급되는 상기 충수탱크(9)와 상기 격벽(8)에 의해 구획된 상기 물공급공간(A) 및 상기 가열공간(B)에 각각 충수되는 물의 온도를 각각 유지하여, 가열환경에 따른 각각 적합한 온도환경을 구현하여 가열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에너지사용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수위감지센서(7)는, 상기 하우징(2)의 외부에서 상기 하우징(2)의 공간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4)으로 감지된 수위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수위감지센서(7)에 대한 냉각효율을 향상시켜, 고온환경에서 손상됨 없이 안정적으로 수위감지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수위감지센서(7)는, 종래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복합보일러 2 : 하우징
21 : 원수공급구 22 : 원수밸브
23 : 스템배관 24 : 난방출구
25 : 난방회수구 26 : 오버플로우관
3 : 전원공급부 4 : 제어수단
5 : 조작수단 61 : 상부전열히터
62 : 하부전열히터 7 : 수위감지센서
8 : 격벽 81 : 물공급공
9 : 충수탱크 91 : 충수공
100 : 스팀조리장치 200 : 순간온수가열통
300 : 스팀공급밸브 400 : 순환배관

Claims (5)

  1. 내부에 외부에서 물이 공급되는 원수공급구가 구비된 공간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에 배치되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전달받아 전열을 발생시키도록 된 전열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전열수단을 통한 물의 가열을 통해 발생된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스팀배관과; 상기 하우징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전열수단을 통한 물의 가열을 통해 발생된 온수를 외부로 연결하여 순환시키도록 순환배관과 각각 연결되어 온수를 배수하도록 된 난방출구 및 순환된 온수를 회수하도록 된 난방회수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전열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 상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위에 대하여 수직상으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어수단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각각 전열을 발생시키도록 된 상부전열히터와 하부전열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는,
    상기 원수공급구와 연결된 물공급공간과;
    상기 상부전열히터 및 상기 하부전열히터가 상하부에 배치된 가열공간으로 각각 구획 분할하도록 된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에는,
    상기 물공급공간에서 상기 가열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공이 형성되고,
    상기 물공급공은,
    상기 격벽의 높이를 따라 복수개 또는 다수개가 형성되고,
    가장 높은 곳의 위치가 상부전열히터와 하부전열히터 사이에 위치되며,
    난방환경조작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하우징의 수위가 상기 상부전열히터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스팀공급환경조작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하우징의 수위가 복수개의 물공급공 중 가장 높은 곳에 위치된 물공급공 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보일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가열공간과 상기 물공급공간을 공간적으로 연결되게 배치되는 오버플로우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보일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물공급공간에는,
    상기 원수공급구와 연결된 충수탱크가 배치되면서 구비되며,
    상기 충수탱크에는,
    상기 충수탱크의 내부에서 상기 물공급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된 충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보일러.
KR1020190007406A 2019-01-21 2019-01-21 복합보일러 KR102097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406A KR102097068B1 (ko) 2019-01-21 2019-01-21 복합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406A KR102097068B1 (ko) 2019-01-21 2019-01-21 복합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068B1 true KR102097068B1 (ko) 2020-04-03

Family

ID=70282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406A KR102097068B1 (ko) 2019-01-21 2019-01-21 복합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0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6632A (ko) * 2009-02-25 2010-09-02 김홍근 보일러 장치
KR20100131048A (ko) * 2009-06-05 2010-12-15 주식회사 쌍마기계 자동급수구조를 가진 전기스팀보일러
KR200475406Y1 (ko) * 2012-12-14 2014-12-04 이근복 순간 가열식 저탕 보일러
KR20150065982A (ko) 2013-12-05 2015-06-16 윤영은 외부입력장치와의 연결 감지시 광고컨텐츠를 출력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
KR20150003546U (ko) * 2014-03-19 2015-10-01 주식회사 하이원이엔지 온수보일러용 보충수탱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6632A (ko) * 2009-02-25 2010-09-02 김홍근 보일러 장치
KR20100131048A (ko) * 2009-06-05 2010-12-15 주식회사 쌍마기계 자동급수구조를 가진 전기스팀보일러
KR200475406Y1 (ko) * 2012-12-14 2014-12-04 이근복 순간 가열식 저탕 보일러
KR20150065982A (ko) 2013-12-05 2015-06-16 윤영은 외부입력장치와의 연결 감지시 광고컨텐츠를 출력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
KR20150003546U (ko) * 2014-03-19 2015-10-01 주식회사 하이원이엔지 온수보일러용 보충수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485B1 (ko) 전기보일러
JP5441440B2 (ja) 温水器
KR20140042841A (ko) 태양열발전을 이용한 태양열 난방 시스템
KR20160035904A (ko) 히터봉과 상변화물질을 이용하는 축열식 보일러
KR100949609B1 (ko) 다중 순간가열 저탕식 보일러
KR20170029959A (ko) 열매체유와 축열물질을 이용한 복합 온수 가열장치
KR20140091423A (ko) 휴대용 온수보일러
KR102097068B1 (ko) 복합보일러
KR101712017B1 (ko) 난방 온수 겸용 보일러
NO138728B (no) Kinoksalin-di-n-oksyd derivater for anvendelse som vektsfremmende fortilsetningsmidler
KR20090070462A (ko) 열 매체유를 이용한 보일러
KR101797384B1 (ko) 연속 가동이 가능한 스팀보일러
KR20160048560A (ko) 전기 보일러
KR100767759B1 (ko)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KR101156109B1 (ko) 전기보일러
KR100976246B1 (ko) 보일러의 내부열을 이용한 온수공급장치가 구비된 저탕식 전기 보일러
KR200364727Y1 (ko) 스팀가열식 전기보일러
KR101392393B1 (ko) 스팀 발생기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 스팀 보일러
KR200412472Y1 (ko) 이중 스팀가열식 전기보일러
KR20110127933A (ko) 저탕식 보일러
KR200428272Y1 (ko) 스팀가열부가 보강된 스팀가열식 전기보일러
CN105066082B (zh) 一种太阳能储热蒸汽发生器
KR102657762B1 (ko) 전기 보일러
JP2756853B2 (ja) 太陽熱利用深夜電気温水器
KR20000061549A (ko) 전기가열식 온수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