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871B1 - 트롤리컨베이어에 결합이 가능한 식물지지망조립체 - Google Patents

트롤리컨베이어에 결합이 가능한 식물지지망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871B1
KR102096871B1 KR1020190109906A KR20190109906A KR102096871B1 KR 102096871 B1 KR102096871 B1 KR 102096871B1 KR 1020190109906 A KR1020190109906 A KR 1020190109906A KR 20190109906 A KR20190109906 A KR 20190109906A KR 102096871 B1 KR102096871 B1 KR 102096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stem
support
po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훈 최
Original Assignee
코리아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9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지지망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식물이 식재되는 화분(150)과; 내부에 상기 화분(150)이 수용되는 화분수용망(110)과; 상기 화분수용망(110)의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화분(150)에 식재된 식물의 줄기를 지지하는 식물줄기지지망(120)과; 상기 식물줄기지지망(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트롤리컨베이어(200)에 결합되는 트롤리결합수단(140)과; 상기 화분수용망(110)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화분(150)에 식재된 식물의 시들어진 줄기가 권취되는 시든줄기결합바(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롤리컨베이어에 결합이 가능한 식물지지망조립체{PLANT SUPPORT MESH ASSEMBLY TO COMBINE TROLLEY CONVEYOR}
본 발명은 식물지지망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는 넝쿨식물이나 열매식물을 지지할 수 있으며 트롤리컨베이어에 결합되어 허공에 매달려 이동될 수 있는 식물지지망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식물을 대량으로 생육시킨 후 판매하는 식물공장이 증가하고 있다. 식물공장에서 식물을 재배할 때, 줄기를 반듯이 세우지 않고 다른 나무나 울타리 등에 붙거나 감겨서 자라는 넝쿨식물들을 재배하기에는 공간적으로도 제약이 있고, 타 식물에 감겨 타식물의 과실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추나 가지, 오이와 같은 열매 식물의 경우 열매의 무게가 무거워 줄기가 반듯이 자라지 않고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져 자라게 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69913호 "길이조정이 가능한 화분용 식물지지대"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매식물과 넝쿨식물이 반듯이 자라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는 식물지지망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물공장의 천정에 구비된 트롤리컨베이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는 식물지지망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의 하부에 시들어서 미관상 좋지 않게 배치된 시든가지들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식물지지망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지지망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지지망조립체는 식물이 식재되는 화분(150)과; 내부에 상기 화분(150)이 수용되는 화분수용망(110)과; 상기 화분수용망(110)의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화분(150)에 식재된 식물의 줄기를 지지하는 식물줄기지지망(120)과; 상기 식물줄기지지망(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트롤리컨베이어(200)에 결합되는 트롤리결합수단(140)과; 상기 화분수용망(110)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화분(150)에 식재된 식물의 시들어진 줄기가 권취되는 시든줄기결합바(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물줄기지지망(120)은 일정 높이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금속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금속링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식물줄기지지망(12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복수개의 수직보강망(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든줄기결합바(160)는 서로 “+”자 형태로 교차되게 형성된 한 쌍의 막대로 구비되며, 상기 시든줄기결합바(160)의 양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높이 형성되어 내부에 권취된 시든줄기의 외부이탈을 방지하는 수직지지바(161)가 구비될 수 있다 .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지지망조립체(100)와; 상기 식물지지망조립체(10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천정에 일정 경로로 형성되어 상기 식물지지망조립체(100)가 공중에 매달린 상태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하는 트롤리컨베이어(200)를 포함하며, 상기 트롤리컨베이어(200)는, 식물공장의 천장에 일정경로로 형성되는 트랙(210)과; 상기 트랙(210)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체인부(220)와; 상기 트롤리결합수단(14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망결합고리(271)가 구비된 지지망결합부(270)와; 상기 체인부(220)와 상기 지지망결합부(270)를 연결하는 행거부(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공장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지지망조립체는 고추, 가지, 오이와 같은 큰 크기를 갖는 열매를 맺는 식물이 휘어지지 않고 곧게 자랄 수 있게 지지한다.
또한, 식물지지망조립체는 상부에 트롤리결합수단이 구비되어 트롤리컨베이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트롤리컨베이어에 매달린 상태로 식물이 생장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식물지지망조립체는 식물의 하부에 시들어 보기 싫게 된 시든가지를 정리할 수 있는 시든줄기결합바가 구비되어 외관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지지망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지지망조립체가 트롤리컨베이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식물지지망조립체에 고추가 식재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식물지지망조립체가 트롤리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트롤리컨베이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지지망조립체(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식물지지망조립체(100)가 트롤리컨베이어(20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식물지지망조립체(100)에 고추가 식재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고추가 식재된 식물지지망조립체(100)가 트롤리컨베이어(200)에 매달려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물지지망조립체(100)는 식물이 식재되는 화분(150)과, 화분(150)을 수용하는 화분수용망(110)과, 화분수용망(110)의 상부에 일정 높이 형성된 식물줄기지지망(120)과, 식물줄기지지망(120)을 보강하는 수직보강망(130)과, 식물줄기지지망(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트롤리컨베이어(200)와 결합되는 트롤리결합수단(140)과, 화분수용망(110)의 하부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시든줄기가 권취되는 시든줄기결합바(160)를 포함한다.
화분수용망(110)은 화분(150)의 외부를 감싸는 망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수용망(110)은 서로 다른 높이에 복수개의 원형링과 수직보강망(130)이 결합되어 화분(150)의 외부를 감싸게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화분(150)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금속소재의 다양한 망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화분수용망(110)은 화분(150)의 크기별로 다양하게 구비되거나, 화분(150)의 크기에 맞게 굽히거나 좁혀 사용할 수 있다.
식물줄기지지망(120)은 화분수용망(110)의 상부에 일정 높이 형성되어 화분(150)에 식재된 식물의 줄기가 상부로 곧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또한, 식물에 맺히는 다양한 열매들의 무게를 지탱하여 식물이 옆으로 휘지 않도록 지지한다.
식물줄기지지망(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금속링 형태로 형성된다. 식물줄기지지망(120)은 수직보강망(13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여기서, 화분수용망(110), 식물줄기지지망(120) 및 수직보강망(130)은 서로 요접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형성된다.
식물줄기지지망(120)의 전체 높이는 식재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금속링 간의 높이(h)는 식물의 종류와 열매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식물줄기지지망(120)을 형성하는 금속링의 직경(R)은 식재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트롤리결합수단(140)은 식물줄기지지망(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컨베이어(200)의 지지망결합고리(27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트롤리결합수단(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수직보강망(130)이 함께 모이면서 상부로 볼록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볼록한 트롤리결합수단(140) 사이로 지지망결합고리(271)가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트롤리결합수단(140)은 지지망결합고리(27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고리 형태, 링 형태, 후크형태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화분(150)은 화분수용망(110) 내부에 수용되며, 내부에 식물이 식재된다. 화분(150)은 하부로 물이 빠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화분(150)의 내부에는 흙이 수용되고, 흙에 식물이 식재된다. 화분(150)은 가급적 무게가 가벼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트롤리컨베이어(200)를 따라 이동되기에 전체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시든줄기결합바(160)는 화분수용망(110)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화분(150)에 식재된 식물의 시든줄기를 정리하는데 사용된다.
시든줄기결합바(160)는 한 쌍의 금속막대를 "+"자 형태로 교차시켜 형성된다. 이는 일실시예일 뿐이며 시든줄기결합바(160)는 복수개의 금속막대를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각 시든줄기결합바(160)의 단부에는 시든줄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지지바(161)가 일정 높이 수직하게 형성된다. 다량의 시든줄기를 시든줄기결합바(160)와 화분수용망(110) 사이에 감게 되면, 부피가 커져서 시든줄기가 시든줄기결합바(160)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수직지지바(161)는 단부에 상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시든줄기가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식물지지망조립체(100)에 고추를 식재한 경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추의 중심줄기(A)가 상부를 향하게 자라고, 중심줄기(A)로부터 높이방향으로 복수개의 곁가지(B)들이 측면을 향해 불규칙적으로 자란다. 그리고, 곁가지(B)들에 고추열매(C)가 열리게 된다.
이 때, 고추열매(C)가 불규칙한 방향으로 불규칙한 갯수가 열리게 되므로 무게중심이 맞지 않아 중심줄기(A)가 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지지망조립체(100)는 곁가지(B)들이 식물줄기지지망(120)에 거치되어 고추열매(C)들의 무게를 분산 지지하게 된다. 이에 의해 중심줄기(A)가 수직방향으로 곧게 자랄 수 있게 한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중심줄기(A)의 하부에서 시들어지는 시든줄기(D)들은 화분수용망(110)의 주변으로 감아 정리를 하게 된다. 즉, 시든줄기(D)들은 화분수용망(110)과 복수개의 수직지지바(161) 사이의 공간에 권취되며 정리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지지망조립체(100)들이 트롤리컨베이어(200)를 따라 이동될 때, 화분수용망(110) 주변으로 시든 가지들이 어지럽게 배치되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식물지지망조립체(100)를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는 고추를 식재한 경우를 도시했으나, 가지나 오이와 같이 열매가 큰 식물도 동일하게 본 발명의 식물지지망조립체(100)를 이용해 재배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넝쿨식물도 본 발명의 식물지지망조립체(100)를 이용해 재배할 수 있다. 넝쿨식물을 식재할 경우, 식물줄기지지망(120)의 간격을 좀 더 촘촘하게 형성하여 넝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지지망조립체(100)는 식물공장의 상부에 구비된 트롤리컨베이어(200)에 매달린 상태로 식물 생육이 이루어지며, 트롤리컨베이어(20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식물지지망조립체(100)의 화분(150)에 식재된 식물은 땅에 위치되지 않고, 트롤리컨베이어(200)를 통해 공중에 매달린 상태로 식물이 자라게 한다.
트롤리컨베이어(200)는 식물공장의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트롤리컨베이어(200)를 구동하여 트롤리컨베이어(200)에 매달린 복수개의 식물지지망조립체(100)들의 위치를 조절하여 복수개의 식물지지망조립체(100)에 수용된 화분에 식재된 식물들의 일조량을 동일하게 조절하고, 복수개의 식물지지망조립체(100)들을 물공급영역으로 주기적으로 이동시켜 물이 공급되게 한다.
이에 의해 오이나 가지와 같은 부피가 큰 열매도 식물지지망조립체(100)를 이용해 대량으로 트롤리컨베이어(200)에 결합되어 동일한 생육조건에서 생장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균일한 품질의 열매를 수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성장이 완료되어 고추, 오이 및 가지 등을 수확해야 할 경우, 작업자가 식물공장을 이동하며 열매를 따지 않고 작업자가 있는 곳으로 트롤리컨베이어(200)를 이용해 식물지지망조립체(100)를 이동시켜 작업자가 열매를 따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의 노동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트롤리컨베이어(2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컨베이어(200)는 식물공장의 천정에 일정경로로 형성되는 트랙(210)과, 트랙(210)을 따라 이동되는 체인부(220)와, 식물지지망조립체(100)와 결합되는 지지망결합부(270)와, 체인부(220)와 지지망결합부(270)를 연결하는 행거부(260)를 포함한다.
트랙(210)은 식물공장의 천정에 일정 경로로 형성되어 체인부(220)가 이동될 수 있게 지지한다. 트랙(210)에는 개구(211)가 형성된다.
체인부(220)는 트랙(210)를 따라 이동하며 식물지지망조립체(100)가 매달린 행거부(260)가 식물공장 내부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도 2와 도 4는 트롤리 컨베이어(200)가 식물지지망조립체(100)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부(220)는 단위체인(230,240)이 서로 연속되게 결합되어 형성된다. 단위체인(230,240)은 구성이 모두 동일하므로, 제1단위체인(230)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한다.
제1단위체인(230)은 제1수직롤러지지부(231)와 제1수평롤러지지부(233)가 제1중간연결블럭(235)에 의해 결합되어 형성된다. 제1수직롤러지지부(231)는 트랙(210)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수직롤러(231a)와, 한 쌍의 제1수직롤러(231a)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수직롤러지지프레임(231b)과, 한 쌍의 제1수직롤러지지프레임(231b)을 관통하여 한 쌍의 제1수직롤러(231a)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수직롤러회전축(231c)과, 한 쌍의 제1수직롤러지지프레임(231b)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일정면적 구비되는 제1행거결합플랜지(231d)와, 제1행거결합플랜지(231d)와 제1수직롤러지지프레임(231b)을 연결하는 제1넥(231e)을 포함한다.
한 쌍의 제1수직롤러(231a)는 트랙(210)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트랙(210)의 바닥면을 따라 회전하며 이동된다. 제1수직롤러(231a)의 외경은 트랙(210)의 높이와 같거나 조금 작게 형성되어 트랙(210) 내부를 따라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수직롤러회전축(231c)은 한 쌍의 제1수직롤러지지프레임(231b)을 관통하여 한 쌍의 제수직롤러(231a)의 중심에 결합된다. 제1수직롤러회전축(231c)은 한 쌍의 제1수직롤러(231a)가 아이들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를 위해 제1수직롤러(231a)와 제1수직롤러회전축(231c)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수직롤러회전축(231c)은 트랙(210)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되어 한 쌍의 제1수직롤러(231a)가 트랙(210)의 내부에 양쪽으로 대칭되게 배치되게 한다.
제1넥(231e)은 한 쌍의 제1수직롤러지지프레임(231b)의 상부에서 중심방향으로 형성되어 트랙(210)의 개구(211)를 통해 상부로 연장형성된다. 제1넥(231e)은 개구(211) 보다 작게 형성되어 개구(211)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제1행거결합플랜지(231d)는 제1넥(231e)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일정면적 연장형성되어 행거부(260)의 플랜지결합판(263)과 결합된다. 제1행거결합플랜지(231d)의 양측에는 제1체결공(231f)이 형성되어 플랜지결합판(263)과 제1체결부재(263a)에 의해 결합된다.
제1수평롤러지지부(233)는 제1수평롤러(233a)와, 제1수평롤러(233a)의 상하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제1수평롤러지지프레임(233b)과, 제1수평롤러지지프레임(233b)에 대해 제1수평롤러(233a)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수평롤러회전축(233c)을 포함한다.
제1수평롤러(233a)는 트랙(210)의 수평방향으로 위치된다. 제1수평롤러(233a)는 외경이 트랙(210)의 폭에 대응되거나 폭 보다 일정길이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단위체인(230)이 제1수직롤러지지부(231)와 제1수평롤러지지부(233)가 결합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은 화분지지부(270)와 결합되는 행거부(260)가 편심되게 구비되기 때문이다.
행거본체(261)가 "C"자 형태로 트랙(210)의 일측에 편심되게 배치되고, 행거부(260)의 하부에 구비된 화분지지부(270)에 식물지지망조립체(100)가 결합될 경우 하중이 일측으로 편심되게 된다.
이렇게 행거본체(261)가 편심되면 체인부(220)가 트랙(210) 내부에 한쪽으로 기울어져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할 수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체인부(220)는 수직롤러와 수평롤러가 교번되게 배치된 단위체인을 연속되게 연결한다.
한 쌍의 제1수직롤러(231a)는 트랙(210)의 내부에 양측으로 배치되고, 제1수직롤러(231a)가 트랙(210)의 바닥면을 접촉한 채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한 쌍의 제1수직롤러(231a)는 트랙(210)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며 수직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제1수평롤러(233a)는 트랙(210) 내부를 따라 이동될 때 트랙(210)의 양측 내벽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며 체인부(220)가 일방향으로 편심되지 않고 균형을 잡고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제1수직롤러지지부(231)와 제2수직롤러지지부(241)는 중간연결블럭(235)에 의해 결합된다. 중간연결블럭(235)은 한 쌍의 제1수직롤러지지프레임(231b)과 한 쌍의 제1수평롤러지지프레임(233b) 사이에 결합된다. 중간연결블럭(235)은 직육면체의 블럭 형태로 구비된다. 중간연결블럭(235)에는 수평방향으로 제1중간수평연결축삽입공(235a)이 관통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제1중간수직연결축삽입공(235b)이 관통형성된다.
제1중간수평연결축삽입공(235a)에는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수평롤러지지프레임(233b)을 관통하여 제1중간수평연결축(235c)이 삽입된다. 제1중간수직연결축삽입공(235b)에는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수직롤러지지프레임(231b)을 관통하여 제1중간수직연결축(235d)이 삽입된다.
중간연결블럭(235)의 연결구조에 의해 제1수직롤러지지부(231)와 제2수직롤러지지부(241)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트랙(210)를 따라 이동될 때 제1수직롤러지지부(231)와 제2수직롤러지지부(241)가 제1중간수평연결축(235c)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될 수 있고, 제1중간수직연결축(235d)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될 수 있다.
체인부(220)는 체인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체인구동부(미도시)는 트랙(210)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트랙(210)의 외측에 복수개가 구비되어 체인부(220)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체인구동부(미도시)는 모터와, 모터의 구동을 체인부(220)로 전달하는 전동부로 구성된다. 체인구동부(미도시)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행거부(260)는 상부는 체인부(220)와 고정결합되어 체인부(220)와 함께 이동되고 하부는 화분지지부(270)와 결합된다. 행거부(2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비되어 이웃하는 한 쌍의 단위체인(230,240)에 각각 결합된다.
즉, 한 쌍의 행거부(260) 중 하나는 제1단위체인(230)에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는 제2단위체인(240)에 결합된다. 한 쌍의 행거부(260)가 이웃하는 단위체인에 함께 결합되고, 한 쌍의 행거부(260)의 하부에 하나의 화분지지부(270)가 결합된다.
이에 의해 화분지지부(270)에 적재된 식물지지망조립체(100)의 하중이 한 쌍의 행거부(260)에 분산지지되어 체인부(220)를 통한 식물지지망조립체(100)의 이송이 보다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된다.
행거부(260)는 "C"자 또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행거본체(261)와, 행거본체(261)의 상단에 수평하게 구비되어 각 단위체인(230,240)의 행거결합플랜지(231d,241d)에 접촉배치되는 플랜지결합판(263)과, 행거본체(261)의 하단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화분지지부(270)의 행거결합브래킷(273)에 결합되는 브래킷결합판(265)을 포함한다.
화분지지부(270)는 행거부(260)의 하부에 구비되며 식물지지망조립체(10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화분지지부(270)는 행거부(260)에 고정결합되어 체인부(220)의 이동에 의해 식물지지망조립체(100)가 공중에 매달린 상태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한다.
화분지지부(270)는 행거부(260)의 브래킷결합판(265)과 결합되는 한 쌍의 행거결합브래킷(273)과, 식물지지망조립체(100)의 트롤리결합수단(160)이 결합되는 지지망결합고리(271)를 포함한다.
행거결합브래킷(273)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내부에 한 쌍의 행거부(260)의 브래킷결합판(265)이 삽입된다. 행거결합브래킷(273)은 한 쌍의 행거부(260)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한 쌍의 브래킷결합판(265)은 행거결합브래킷(273)의 양측 사이에 삽입되고, 제2체결부재(275, 도 2참조)에 의해 행거결합브래킷(273)과 결합된다.
지지망결합고리(271)는 행거결합브래킷(273)의 하부에 구비되어 트롤리결합수단(140)과 결합된다. 지지망결합고리(271)는 착탈이 용이하도록 고리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트롤리결합수단(140)의 형상에 대응되게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지지망조립체(100)를 이용한 식물재배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작업자는 화분수용망(110) 내부에 화분(150)을 수용한다. 이 때, 화분(150)에는 흙이 수용되고, 희망하는 식물이 식재된다.
식물이 식재된 식물지지망조립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컨베이어(200)의 지지망결합고리(271)에 결합된다.
복수개의 식물지지망조립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컨베이어(200)에 매달린 상태로 식물공장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일조시간과 일조위치에 따라 트롤리컨베이어(200)를 따라 식물지지망조립체(100)가 이동되며 동일한 생육환경에서 식물이 자라자게 환경을 조성한다.
식물지지망조립체(100)에 식재된 식물이 생장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줄기(A) 주위로 곁가지(B)가 복수개 자라나게 되고, 열매(C)도 자라나게 된다. 본 발명의 곁가지(B)들은 중심줄기(A)를 중심으로 외부로 자라면서 식물줄기지지망(120)에 거치된다. 이에 의해 열매(C)와 곁가지(B)의 무게가 식물줄기지지망(120)에 분산되고, 중심줄기(A)가 휘어지지 않고 곧게 자라나게 된다.
한편, 중심줄기(A)가 점점 자라나면서 하부에 시든가지들이 발생된다. 작업자는 시든가지(D)들은 화분수용망(110)과 시든줄기결합바(160) 사이의 공간에 감아 시든가지(D)를 정리한다. 이에 의해 화분수용망(110)의 외관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물지지망조립체는 고추, 가지, 오이와 같은 큰 크기를 갖는 열매를 맺는 식물이 휘어지지 않고 곧게 자랄 수 있게 지지한다.
또한, 식물지지망조립체는 상부에 트롤리결합수단이 구비되어 트롤리컨베이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트롤리컨베이어에 매달린 상태로 식물이 생장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식물지지망조립체는 식물의 하부에 시들어 보기 싫게 된 시든가지를 정리할 수 있는 시든줄기결합바가 구비되어 외관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식물지지망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식물지지망조립체 110 : 화분수용망
120 : 식물줄기지지망 130 : 수직보강망
140 : 트롤리결합수단 150 : 화분
160 : 시든줄기결합바 161 : 수직지지바
200 : 트롤리 컨베이어 210 : 트랙
211 : 개구 220 : 체인부
230 : 제1단위체인 231 : 제1수직롤러지지부
231a : 제1수직롤러 231b : 제1수직롤러지지프레임
231c : 제1수직롤러회전축 231d : 제1행거결합플랜지
231e : 제1넥 231f : 제1체결공
233 : 제1수평롤러지지부 233a : 제1수평롤러
233b : 제1수평롤러지지프레임 233c : 제1수평롤러회전축
235 : 중간연결블럭 235a :중간수평연결축삽입공
235b : 중간수직연결축삽입공 235c : 중간수평연결축
235d : 중간수직연결축 237 : 제1선단연결블럭
240 : 제2단위체인 241 : 제2수직롤러지지부
243 : 제2수평롤러지지부 247 : 제2선단연결블럭
260 : 행거부 261 : 행거본체
263 : 플랜지결합판 263a : 제1체결부재
265 : 브래킷결합판 270 : 지지망결합부
271 : 지지망결합고리 273 : 행거결합브래킷
275 : 제2체결부재

Claims (4)

  1. 식물이 식재되는 화분(150)과, 내부에 상기 화분(150)이 수용되는 화분수용망(110), 상기 화분수용망(110)의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화분(150)에 식재된 식물의 줄기를 지지하는 식물줄기지지망(120)과, 상기 식물줄기지지망(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트롤리컨베이어(200)에 결합되는 트롤리결합수단(140)을 구비하고,
    상기 식물줄기지지망(120)은 일정 높이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금속링들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된 복수개의 수직보강망(130)으로 형성된 식물지지망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화분수용망(110)은 서로 다른 높이의 복수개의 원형링과 수직보강망(130)이 결합되어 화분(150)의 외부를 감싸는 망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화분수용망(110)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화분(150)에 식재된 식물의 시들어진 줄기가 권취되도록 서로 “+”자 형태로 교차되게 형성된 한 쌍의 막대를 구비하는 시든줄기결합바(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든줄기결합바(160)의 양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높이 형성되어 내부에 권취된 시든줄기의 외부이탈을 방지하는 수직지지바(16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지지망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09906A 2019-09-05 2019-09-05 트롤리컨베이어에 결합이 가능한 식물지지망조립체 KR102096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906A KR102096871B1 (ko) 2019-09-05 2019-09-05 트롤리컨베이어에 결합이 가능한 식물지지망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906A KR102096871B1 (ko) 2019-09-05 2019-09-05 트롤리컨베이어에 결합이 가능한 식물지지망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871B1 true KR102096871B1 (ko) 2020-04-03

Family

ID=70282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906A KR102096871B1 (ko) 2019-09-05 2019-09-05 트롤리컨베이어에 결합이 가능한 식물지지망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8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0815A (zh) * 2022-08-01 2022-11-01 江苏省黄海农场有限公司 一种长青柳冬青造型苗培育架及其培育方法
KR102634610B1 (ko) * 2023-05-18 2024-02-07 강성기 수경재배용 교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2388A (ja) * 1998-05-21 1999-12-07 F Aika:Kk 植木鉢用スライド支柱
KR200338832Y1 (ko) * 2003-09-22 2004-01-16 조용권 화분용 넝쿨식물 지지대
KR200369913Y1 (ko) 2004-09-02 2004-12-23 김소영 길이조정이 가능한 화분용 식물지지대
KR100863077B1 (ko) * 2007-06-14 2008-10-10 김영숙 화분걸이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2388A (ja) * 1998-05-21 1999-12-07 F Aika:Kk 植木鉢用スライド支柱
KR200338832Y1 (ko) * 2003-09-22 2004-01-16 조용권 화분용 넝쿨식물 지지대
KR200369913Y1 (ko) 2004-09-02 2004-12-23 김소영 길이조정이 가능한 화분용 식물지지대
KR100863077B1 (ko) * 2007-06-14 2008-10-10 김영숙 화분걸이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0815A (zh) * 2022-08-01 2022-11-01 江苏省黄海农场有限公司 一种长青柳冬青造型苗培育架及其培育方法
CN115250815B (zh) * 2022-08-01 2024-03-15 江苏省黄海农场有限公司 一种长青柳冬青造型苗培育架及其培育方法
KR102634610B1 (ko) * 2023-05-18 2024-02-07 강성기 수경재배용 교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871B1 (ko) 트롤리컨베이어에 결합이 가능한 식물지지망조립체
US20110219689A1 (en) Botanical Arrangement and Display Apparatus
US11178825B2 (en) Stackable trellis support system
KR100488827B1 (ko) 고설 재배 장치용 가대
US20190059240A1 (en) Modular plant growth tray and support fencing assembly and method for supporting plant extremities during growth
JP2013034441A (ja) 吊下ろし栽培装置および栽培方法
US7143543B1 (en) Self-supporting plant holder
JP6458246B2 (ja) 蔓性植物栽培装置および蔓性植物栽培方法
JP6544745B2 (ja) 園芸作物の温室栽培方法およびその栽培装置
KR102062495B1 (ko) 식물 재배장치
US20220312688A1 (en) Plant support cage assembly for use with trolley conveyor
KR101829433B1 (ko) 덩굴식물 거치대
JP3121520U (ja) 作物栽培装置
KR20230127041A (ko) 직육면체 격자형 수직 이동식 채소재배기
CN210445097U (zh) 一种新型植物培养棚架
KR100905800B1 (ko) 연결프레임을 이용한 관상용 유실수 재배방법
JP2015084711A (ja) 栽培用支柱構造体
CN211322317U (zh) 一种用于葡萄种植的可调式支架
KR20200034132A (ko) 넝쿨작물 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넝쿨작물 재배방법
KR200480429Y1 (ko) 수경재배시설용 베드 지주구조물
CN216292328U (zh) 一种西红柿种植用大棚
JP2019037201A (ja) 植物栽培設備
WO2024106608A1 (ko) 덩굴식물 재배용 화분
KR20220000622U (ko)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화분
KR101555671B1 (ko) 식물 재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