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718B1 - 올바른 발로 신발을 신도록 유도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올바른 발로 신발을 신도록 유도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718B1
KR102096718B1 KR1020180118925A KR20180118925A KR102096718B1 KR 102096718 B1 KR102096718 B1 KR 102096718B1 KR 1020180118925 A KR1020180118925 A KR 1020180118925A KR 20180118925 A KR20180118925 A KR 20180118925A KR 102096718 B1 KR102096718 B1 KR 102096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pressure
sensor
control unit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진
Original Assignee
익스트림제이제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익스트림제이제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익스트림제이제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8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specially adapted for babies or small children
    • A43B3/0021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9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with means to differentiate between right and left sho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5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sound or music 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부가 아이가 신발을 신었을 때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단계; 상기 센서의 신호를 통해 제어부가 아이가 신발을 올바른 발로 신었는지 다른 발로 신었는지 판단하여 판단정보를 얻는 판단단계; 상기 제어부가 판단정보에 따라 소리가 출력되도록 소리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 올바른 발로 신발을 신도록 유도하는 방법은 아이가 신발을 신었을 때, 좌측신발과 우측신발 각각에서 올바른 발로 신은 것을 판단하되, 올바르지 않게, 즉, 틀리게 신었을 때 올바로 신도록 유도하는 올바른 발로 신발을 신도록 유도하여, 아이의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고 독립성 발달에 좋은 영향을 주기 위해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지 않으면서 간접적으로 도움을 주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올바른 발로 신발을 신도록 유도하는 방법 { inducing method of foot wearing right shoes }
본 발명은 올바른 발로 신발을 신도록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이가 신발을 신을 때, 좌측신발과 우측신발 각각에서 올바른 발로 신은 것을 판단하되, 올바르지 않게, 즉, 틀리게 신었을 때 올바로 신도록 유도하는 신발에서 올바른 발로 신도록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아기에 접어들면서 아이는 부모의 도움이 없이 무엇이든 혼자 하려는 행동을 한다. 흔히 혼자 신발을 신는 행동을 하는데 왼발과 오른발을 구분하기 어려워 신발을 거꾸로 신게 되고 발이 맞지 않아 아프거나 넘어져 다칠 위험이 크다. 이 때, 부모의 걱정으로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거나 조정하려하면 오히려 아이는 의기소침해지거나 반항심이 생긴다.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150362호의 유아 신발 바로신기 패드에 있어서, 좌측 신발과 우측 신발을 바로신기 위해 신발에 모양 패드를 붙여 신발을 바로신기 하기를 도와주는 도구이다. 좌측 신발과 우측 신발에 패드를 붙였을 때 하나의 모양으로 완성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38232호의 좌우 맞춤이 용이한 신발에 있어서, 통상의 신발에 있어서, 한쌍의 신발 발등부의 갑피 내측에 연하여 퍼즐도형을 각 절반씩 표시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맞춤이 용이한 신발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모양을 변경하여야 함에 따라 눈으로 확인한 다음에야 올바로 신은 것을 판단가능하며, 신발을 신고난 후에는 올바로 신도록 유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 올바른 발로 신발을 신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통하여, 아이가 신발을 신었을 때, 좌측신발과 우측신발 각각에서 올바른 발로 신은 것을 판단하되, 올바르지 않게, 즉, 틀리게 신었을 때 올바로 신도록 유도하여, 아이의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고 독립성 발달에 좋은 영향을 주기 위해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지 않으면서 간접적으로 도움을 주는 올바른 발로 신발을 신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어부가 아이가 신발을 신었을 때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단계; 상기 센서의 신호를 통해 제어부가 아이가 신발을 올바른 발로 신었는지 다른 발로 신었는지 판단하여 판단정보를 얻는 판단단계; 상기 제어부가 판단정보에 따라 소리가 출력되도록 소리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올바른 발로 신발을 신도록 유도하는 방법은 아이가 신발을 신었을 때, 좌측신발과 우측신발 각각에서 올바른 발로 신은 것을 판단하되, 올바르지 않게, 즉, 틀리게 신었을 때 올바로 신도록 유도하는 올바른 발로 신발을 신도록 유도하여, 아이의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고 독립성 발달에 좋은 영향을 주기 위해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지 않으면서 간접적으로 도움을 주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올바른 발로 신발을 신도록 유도하는 방법의 개념도
본 발명은 제어부가 아이가 신발을 신었을 때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단계; 상기 센서의 신호를 통해 제어부가 아이가 신발을 올바른 발로 신었는지 다른 발로 신었는지 판단하여 판단정보를 얻는 판단단계; 상기 제어부가 판단정보에 따라 소리가 출력되도록 소리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발은 2개가 한쌍인 것으로, 좌측신발과 우측신발로 구분되는 것이며, 상기 좌측신발과 우측신발 각각에 제어부, 센서, 및 음성출력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판단정보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도록 음성출력부를 제어하되, 상기 판단정보가 올바른 것으로 판단되면 긍정적인 소리를 출력하도록 음성출력부를 제어하며, 상기 판단정보가 틀린 것으로 판단되면 부정적인 소리를 출력하도록 음성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올바른 발로 신발을 신도록 유도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본 발명은 제어부가 아이가 신발을 신었을 때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단계; 상기 센서의 신호를 통해 제어부가 아이가 신발을 올바른 발로 신었는지 다른 발로 신었는지 판단하여 판단정보를 얻는 판단단계; 상기 제어부가 판단정보에 따라 소리가 출력되도록 소리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신발에 제어부, 센서, 및 음성출력부가 설치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신발은 2개가 한쌍인 것으로, 좌측신발과 우측신발로 구분되는 것이며, 상기 좌측신발과 우측신발 각각에 제어부, 센서, 및 음성출력부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좌,우측신발 각각에 설치되는 제어부, 센서, 및 음성출력부는 인솔 바닥에 함께 부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좌측신발과 우측신발은 올바른 발이 각각 다르며, 좌측신발을 신어야 하는 올바른 발은 왼발이며, 우측신발을 신어야 하는 올바른 발은 오른발인 것이다.
상기 센서는 아이의 발을 감지하기 쉽도록 신발의 인솔 바닥에 부착되는 것으로, 압력감지센서 등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한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할 때, 상기 제어부는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왼발 및 오른발의 차이를 이용하여, 왼발과 오른발을 구분하고, 해당 신발과 발의 위치가 일치되면(우측신발에 오른발이거나, 좌측신발에 왼발인 경우) 올바른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신발과 발의 위치가 불일치되면(우측신발에 좌측발이거나, 좌측신발에 오른발인 경우) 틀린 것으로 판단하여 판단정보를 얻게 된다.
상기 압력감지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압력감지센서는 다수 개가 신발의 인솔 바닥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다수 개의 압력감지센서에 의해 발의 압력을 부분적으로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부분별로 감지되는 압력을 통해 오른발과 왼발을 구분한 발구분정보를 얻게 된다.
상기 제어부에는 해당 신발이 좌측신발인지, 우측신발인지 확인할 수 있는 신발구분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신발구분정보와 발구분정보를 비교하여 판단정보를 얻게 된다.
특히, 압력감지센서를 2개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솔 바닥의 좌측에 좌측 압력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인솔 바닥의 우측에 우측 압력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으로, 발바닥이 인솔을 밟으면 발바닥 하면의 높낮이가 다른 좌측과 우측이, 인솔 바닥의 좌측 압력감지센서와 우측 압력감지센서에 각각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사람의 오른발은 발바닥 하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높이가 높게 위치하고, 우측 높이가 낮게 위치함에 따라, 우측 압력감지센서는 완전히 눌러지지만, 좌측 압력감지센서는 눌러지지 않거나 일부만 눌러지게 되며, 반대로 사람의 왼발은 발바닥의 하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 높이가 높게 위치하고, 좌측 높이가 낮게 위치함에 따라, 좌측 압력감지센서는 완전히 눌러지지만, 우측 압력감지센서는 눌러지지 않거나 일부만 눌러지게 된다.
즉, 인솔 바닥에 설치된 좌측 압력감지센서과, 우측 압력감지센서에서 각각 측정한 압력을 제어부로 전달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인솔 바닥에 설치된 좌측 압력감지센서의 압력과, 우측 압력감지센서로부터의 압력의 변화를 비교하되, 인솔 바닥 우측에 설치된 압력감지센서의 압력이 높은 경우 오른발인 것으로 판단하며, 반대로 인솔 바닥 좌측에 설치된 압력감지센서의 압력이 높은 경우 왼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부는 판단한 좌측 압력감지센서의 압력과 우측 압력감지센서의 압력을 통해 오른발과 왼발을 구분하는 발구분정보를 얻게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해당 신발이 좌측신발인지, 우측신발인지 확인할 수 있는 신발구분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신발구분정보와 발구분정보를 비교하여 판단정보를 얻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통해 해당 발이 왼발인지 오른발인지 구분하여 발구분정보를 얻고, 해당 신발이 좌측신발인지 우측신발인지 미리 저장된 신발구분정보를 통해 확인한 후, 발구분정보와, 신발구분정보를 통해 올바른 발로 해당 신발을 신었는지에 대한 판단정보를 얻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판단정보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도록 음성출력부를 제어하되, 상기 판단정보가 올바른 것으로 판단되면 칭찬소리, 박수소리, "GOOD" 등의 긍정적인 소리를 출력하도록 음성출력부를 제어하며, 상기 판단정보가 틀린 것으로 판단되면 우는소리, 경고음, "NO" 등의 부정적인 소리를 출력하도록 음성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이다.
즉, 긍정적인 소리를 통해 아이가 더 잘 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하며, 부정적인 소리를 통해 아이가 틀리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긍정적인 소리를 출력하는 경우 신발을 신지 않았던 상태에서 신발을 올바른 발로 신었을 때 1회만 출력하는 것이며, 부정적인 소리를 출력하는 경우 신발을 신지 않았던 상태에서 신발을 틀린 발로 신었을 때부터 신발을 벗을 때까지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한편, 실시예로써, 상기 센서는 열감지센서를 더 사용하되, 상기 열감지센서는 신발의 인솔 바닥에 부착되고, 상기 열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는 아이의 열을 통해 감기를 판단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는 열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를 통해 온도가 일정온도(예를들면, 38℃) 이상이 되면 감기로 판단하고, 감기로 판단되면 음성출력부를 통해 주변에 아이가 감기인 것을 알려주거나, 제어부에 무선통신부가 더 연결되어있어 무선통신부를 통해 부모의 스마트폰에 알리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센서는 움직임감지센서를 더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움직임감지센서는 신발의 인솔 바닥에 부착되어, 아이의 움직임을 감지한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는 연동된 스마트폰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스마트폰에서는 아이의 움직임에 따라 그래프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그래프는 제자리, 걷기, 뛰기, 발구르기 등의 움직임에 따라 그래프는 다르게 나타나되, 아이가 제자리에 가만히 있을 때에는 그래프에 변동이 없으며, 아이가 보행을 할 때 또는 뛰기를 할 때에는 그래프에 일정한 변동이 있으며, 아이가 발을 동동 구르는 등의 위급한 상황에서 나타나는 움직임을 보일 때에는 그래프에 급격하게 변동이 있어서, 움직임에 따라 다르게 변하는 그래프를 통해 아이의 보행, 상태 등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일정주기내에 움직임이 변하는 횟수가 일정 값 이상일 경우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센서는 압력 감지 센서를 더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압력감지센서는 신발의 인솔 바닥에 부착되어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압력감지센서의 신호를 통해 발의 압력분포도를 판단한 후, 압력분포도에 따라 안짱다리, 일자다리 등의 아이의 다리상태 데이터와, 안쪽으로만 걷는 걸음걸이, 뒷꿈지를 들고걷는 걸음걸이, 바깥쪽으로만 걷는 걸음걸이 등의 아이의 걸음걸이 데이터를 판단할 수 있으며, 아이의 다리상태 데이터와, 아이의 걸음걸이 데이터를 연동된 스마트폰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스마트폰에서는 아이의 다리상태 데이터와, 아이의 걸음걸이 데이터를 정보로 변환하여 화면에 출력함에 따라, 화면에 출력되는 정보를 통해 부모가 정확한 아이의 다리 상태 및 걸음걸이 상태를 알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신발에는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외부면에 표시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표시되는 내용이 변경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에서는 연동된 스마트폰으로부터 텍스트 데이터를 신호로 수신하면, 텍스트 데이터에 따라 표시부를 제어하여 텍스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스마트폰에서 부모가 입력한 정보를 신발의 표시부에서 출력함에 따라, 아이가 신발을 잃어버렸을 경우에, 제어부는 무선통신으로 수신한 부모의 핸드폰번호 등의 내용을 신발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며, 상기 표시부는 LED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센서는 적외선감지센서인 인체감지센서가 더 설치되는 것으로, 신발의 인솔 바닥에 인체감지센서와 전기히터 내지 열전소자가 설치되며, 상기 인체감지센서를 통해 인체의 발을 감지한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발이 일정이하의 온도로 차가운 것으로 판단되면 전기히터 내지 열전소자를 발열시켜 따뜻하게 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절한 온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인체감지센서를 통해 인체의 발이 일정이상의 온도로 뜨거울 경우 별도의 개방수단을 제어하여 습기를 방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간단하게는 신발측면에 개방수단인 자동문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자동문에 신호를 보내어 제어하면, 자동문이 개폐되는 것이다. 이는 자동문이 회전하는 힌지축에 소형모터를 연결하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소형모터가 가동되면 자동문이 회전되며 열리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올바른 발로 신발을 신도록 유도하는 방법은 아이가 신발을 신었을 때, 좌측신발과 우측신발 각각에서 올바른 발로 신은 것을 판단하되, 올바르지 않게, 즉, 틀리게 신었을 때 올바로 신도록 유도하는 올바른 발로 신발을 신도록 유도하여, 아이의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고 독립성 발달에 좋은 영향을 주기 위해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지 않으면서 간접적으로 도움을 주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제어부가 아이가 신발을 신었을 때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단계; 상기 센서의 신호를 통해 제어부가 아이가 신발을 올바른 발로 신었는지 다른 발로 신었는지 판단하여 판단정보를 얻는 판단단계; 상기 제어부가 판단정보에 따라 소리가 출력되도록 소리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단계; 로 이루어지되,
    상기 신발은 2개가 한쌍인 것으로, 좌측신발과 우측신발로 구분되는 것이며, 상기 좌측신발과 우측신발 각각에 제어부, 센서, 및 음성출력부가 설치되는 올바른 발로 신발을 신도록 유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아이의 발을 감지하기 쉽도록 신발의 인솔 바닥에 부착되는 것으로, 압력감지센서이며,
    상기 압력감지센서를 통해 감지한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할 때, 상기 제어부는 압력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왼발 및 오른발의 차이를 이용하여, 왼발과 오른발을 구분하고, 해당 신발과 발의 위치가 일치되면 올바른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신발과 발의 위치가 불일치되면 틀린 것으로 판단하여 판단정보를 얻게 되며,
    상기 압력감지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압력감지센서는 2 개가 신발의 인솔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 개의 압력감지센서에 의해 발의 압력을 부분적으로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부분별로 감지되는 압력을 통해 오른발과 왼발을 구분한 발구분정보를 얻게 되는 것으로, 압력감지센서를 2개 설치하는 경우, 인솔 바닥의 좌측에 좌측 압력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인솔 바닥의 우측에 우측 압력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으로, 발바닥이 인솔을 밟으면 발바닥 하면의 높낮이가 다른 좌측과 우측이, 인솔 바닥의 좌측 압력감지센서와 우측 압력감지센서에 각각 압력을 가하게 되며, 이때, 사람의 오른발은 발바닥 하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높이가 높게 위치하고, 우측 높이가 낮게 위치함에 따라, 우측 압력감지센서는 완전히 눌러지지만, 좌측 압력감지센서는 눌러지지 않거나 일부만 눌러지게 되며, 반대로 사람의 왼발은 발바닥의 하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 높이가 높게 위치하고, 좌측 높이가 낮게 위치함에 따라, 좌측 압력감지센서는 완전히 눌러지지만, 우측 압력감지센서는 눌러지지 않거나 일부만 눌러지게 되는 것이므로, 인솔 바닥에 설치된 좌측 압력감지센서과, 우측 압력감지센서에서 각각 측정한 압력을 제어부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며,
    이후, 상기 제어부는 인솔 바닥에 설치된 좌측 압력감지센서의 압력과, 우측 압력감지센서로부터의 압력의 변화를 비교하되, 인솔 바닥 우측에 설치된 압력감지센서의 압력이 높은 경우 오른발인 것으로 판단하며, 반대로 인솔 바닥 좌측에 설치된 압력감지센서의 압력이 높은 경우 왼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는 판단한 좌측 압력감지센서의 압력과 우측 압력감지센서의 압력을 통해 오른발과 왼발을 구분하는 발구분정보를 얻게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해당 신발이 좌측신발인지, 우측신발인지 확인할 수 있는 신발구분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신발구분정보와 발구분정보를 비교하여 판단정보를 얻게 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정보에 따라 소리를 다르게 출력하도록 음성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바른 발로 신발을 신도록 유도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80118925A 2018-10-05 2018-10-05 올바른 발로 신발을 신도록 유도하는 방법 KR102096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925A KR102096718B1 (ko) 2018-10-05 2018-10-05 올바른 발로 신발을 신도록 유도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925A KR102096718B1 (ko) 2018-10-05 2018-10-05 올바른 발로 신발을 신도록 유도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718B1 true KR102096718B1 (ko) 2020-04-02

Family

ID=70281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925A KR102096718B1 (ko) 2018-10-05 2018-10-05 올바른 발로 신발을 신도록 유도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718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3313U (ja) * 1983-03-15 1984-09-25 株式会社ア−ク 履物
JPH10127302A (ja) * 1996-11-05 1998-05-19 Akie Yamada 幼児用靴
KR200226030Y1 (ko) * 2000-12-19 2001-06-01 김미현 엄지발가락 감지에 의해 멜로디가 흘러나오는 아동용 신발
KR200240664Y1 (ko) * 2001-04-25 2001-10-12 전광재 정상 착용상태 여부를 안내하는 신발
KR20060111307A (ko) * 2005-04-22 2006-10-27 소효숙 바르게 신발을 신도록 소리가 나오는 어린이용 신발
US20070245598A1 (en) * 2006-03-31 2007-10-25 Pawsey William C Shoe tags
KR20090110619A (ko) * 2008-04-18 2009-10-22 손미정 유아용 신발
KR20110030020A (ko) * 2009-09-17 2011-03-23 이세희 짝맞춤 알림기능을 가진 신발
KR20120002312U (ko) * 2010-09-24 2012-04-03 김헌 신발의 바른 착용 유도장치
KR20120100058A (ko) * 2011-03-02 2012-09-12 이정숙 신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3313U (ja) * 1983-03-15 1984-09-25 株式会社ア−ク 履物
JPH10127302A (ja) * 1996-11-05 1998-05-19 Akie Yamada 幼児用靴
KR200226030Y1 (ko) * 2000-12-19 2001-06-01 김미현 엄지발가락 감지에 의해 멜로디가 흘러나오는 아동용 신발
KR200240664Y1 (ko) * 2001-04-25 2001-10-12 전광재 정상 착용상태 여부를 안내하는 신발
KR20060111307A (ko) * 2005-04-22 2006-10-27 소효숙 바르게 신발을 신도록 소리가 나오는 어린이용 신발
US20070245598A1 (en) * 2006-03-31 2007-10-25 Pawsey William C Shoe tags
KR20090110619A (ko) * 2008-04-18 2009-10-22 손미정 유아용 신발
KR20110030020A (ko) * 2009-09-17 2011-03-23 이세희 짝맞춤 알림기능을 가진 신발
KR20120002312U (ko) * 2010-09-24 2012-04-03 김헌 신발의 바른 착용 유도장치
KR20120100058A (ko) * 2011-03-02 2012-09-12 이정숙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7034B2 (ja) 織物感知装置の足取り分析システム及び方法
US10241498B1 (en) Customized, additive-manufactured outerwear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110305B1 (ko) 운동량 체크를 위한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JP2016529081A (ja) 転倒検出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8526060A (ja) 機械学習アルゴリズムを用いた転倒リスクの識別
KR20170043308A (ko) 보행 데이터에 기반한 대상자 식별 방법
US10638927B1 (en) Intelligent, additively-manufactured outerwear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2096718B1 (ko) 올바른 발로 신발을 신도록 유도하는 방법
JP2012161402A (ja) 運動特性評価システムおよび運動特性評価方法
CN105640557B (zh) 负荷检测装置和步行辅助装置
KR102214513B1 (ko)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인솔 시스템
KR20180075810A (ko) 걸음걸이 교정 시스템 및 방법
US20190335843A1 (en) Multi-modal sensor fusion platform
KR20180052513A (ko) 낙상 방지용 보행 매트
US11205335B2 (en) Lanyard device, method and personal lanyard monitoring system
KR200462846Y1 (ko) 보행 교정용 신발
KR102177647B1 (ko) 개인별 특성을 감안한 맞춤형 보행패턴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US20220226148A1 (en) Motion assistance program, motion assistance system, and motion assistance system control method
KR101825373B1 (ko) 슈즈를 이용한 탈거형 신체활동 모니터링 장치
JP2020058464A (ja) 中敷きの作製方法および中敷きの作製システム
Takeda et al. Foot age estimation for fall-prevention using sole pressure by fuzzy logic
KR200422369Y1 (ko) 신체 부분상에 가해진 하중의 감지 및 알림장치
KR20150117716A (ko) 보행정보 분석을 통한 개인 맞춤형 신발정보 제공방법
KR101540904B1 (ko) 물집방지 양말
KR20190079934A (ko) 걸음 교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