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578B1 - 창상 드레싱용 셀룰로오스 기반 다공성 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셀룰로오스 기반 다공성 필름을 이용한 조직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창상 드레싱용 셀룰로오스 기반 다공성 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셀룰로오스 기반 다공성 필름을 이용한 조직 재생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6578B1 KR102096578B1 KR1020180164190A KR20180164190A KR102096578B1 KR 102096578 B1 KR102096578 B1 KR 102096578B1 KR 1020180164190 A KR1020180164190 A KR 1020180164190A KR 20180164190 A KR20180164190 A KR 20180164190A KR 102096578 B1 KR102096578 B1 KR 1020965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queous solution
- cellulose
- pmia
- film
- wound dress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3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17423 tissue regener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0889 poly(m-phenylene isophthalamid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701 coagul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1112 coagul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6
- FXHOOIRPVKKKFG-UHFFFAOYSA-N N,N-Dimethylacetamide Chemical compound CN(C)C(C)=O FXHOOIRPVKKKF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3
- KWGKDLIKAYFUFQ-UHFFFAOYSA-M lith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Li+].[Cl-] KWGKDLIKAYFUFQ-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4927 skin cel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
- UXVMQQNJUSDDNG-UHFFFAOYSA-L Calc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a+2] UXVMQQNJUSDDNG-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4
- TWRXJAOTZQYOKJ-UHFFFAOYSA-L Magnes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Mg+2].[Cl-].[Cl-] TWRXJAOTZQYOKJ-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4
- FPGGTKZVZWFYPV-UHFFFAOYSA-M tetrabutylammonium fluoride Chemical compound [F-].CCCC[N+](CCCC)(CCCC)CCCC FPGGTKZVZWFYPV-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4
- VEPTXBCIDSFGBF-UHFFFAOYSA-M tetrabutylazanium;fluoride;trihydrate Chemical compound O.O.O.[F-].CCCC[N+](CCCC)(CCCC)CCCC VEPTXBCIDSFGBF-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2950 fibroblas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RAYLUPYCGGKXQO-UHFFFAOYSA-N n,n-dimethylacetamide;hydrate Chemical compound O.CN(C)C(C)=O RAYLUPYCGGKXQ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5167 vascular cel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VMTHENQVKJTLFE-UHFFFAOYSA-N butan-1-amine;trihydrate;hydrofluoride Chemical compound O.O.O.[F-].CCCC[NH3+] VMTHENQVKJTLFE-UHFFFAOYSA-N 0.000 claims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06010052428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17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7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10000002510 keratin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1878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503 metabol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108010037362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102000010834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21164 cell adhe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663 cell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2744 extracellular matrix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FWBHETKCLVMNFS-UHFFFAOYSA-N 4',6-Diamino-2-phenylindol Chemical compound C1=CC(C(=N)N)=CC=C1C1=CC2=CC=C(C(N)=N)C=C2N1 FWBHETKCLVMNF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02 attenuated total refl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0261 cell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2292 cell mi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570 cell viability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446 lig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08 mig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363 phosphate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8091003079 Bovine Serum Album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16 DAPI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33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95 PrestoBlue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26 X-ray photoelectron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833 cell vi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93 cytochem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3 cyto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135 cyto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91 fetal bovine ser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799 fluorescence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26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989 1,3-phenylene group Chemical group [H]C1=C([H])C([*:1])=C([H])C([*:2])=C1[H] 0.000 description 1
- VHSHLMUCYSAUQU-UHFFFAOYSA-N 2-hydroxypropyl methacrylate Chemical compound CC(O)COC(=O)C(C)=C VHSHLMUCYSAUQ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HVDTGUDJYJELY-UHFFFAOYSA-N 6-{[2-carboxy-4,5-dihydroxy-6-(phosphanyloxy)oxan-3-yl]oxy}-4,5-dihydroxy-3-phosphanyl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1C(C(O)=O)C(P)C(O)C(O)C1OC1C(C(O)=O)OC(OP)C(O)C1O FHVDTGUDJYJEL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83 ATR-FTI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61 Chitos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353 D-glucosyl group Chemical group C1([C@H](O)[C@@H](O)[C@H](O)[C@H](O1)CO)* 0.000 description 1
- 108020004414 DN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53602 DN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SXRSQZLOMIGNAQ-UHFFFAOYSA-N Glutaraldehyde Chemical compound O=CCCCC=O SXRSQZLOMIGNA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34 Spandex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2056 algi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368 amid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20 biologic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24 body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39 body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45 cartilag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94 cell viability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33 cyto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72 cyto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12 deficienc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67 deionis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7 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77 drug deli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23 electro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5 enzy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615 epi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RTZKZFJDLAIYFH-UHFFFAOYSA-N ether Substances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55 external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45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073 fluorescence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74 free electr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478 glucosid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31 glucos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791 glucosyl group Chemical group C1([C@H](O)[C@@H](O)[C@H](O)[C@H](O1)CO)*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47 immunogen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38 in vitro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12 mi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01 molecular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7 morph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KPYIWASQZGASP-UHFFFAOYSA-N n-(2-hydroxypropyl)-2-methylprop-2-enamide Chemical compound CC(O)CNC(=O)C(C)=C OKPYIWASQZGAS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59 nano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21 nan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1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074 necrotic cell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29 nitroge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083 no cyto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32 poly(L-lact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10 polycaprolact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32 polycaprolac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41 scar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86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322 streptomyc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33 trauma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08—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13/01012—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made of natural material, e.g. cellulose-, protein-, collagen-based
-
- A61F13/00012—
-
- A61F13/00017—
-
- A61F13/00025—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98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08—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13/01017—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ynthetic, e.g. polymer bas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2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 A61F13/01025—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made of a single lay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25—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2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6—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8—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 A61L27/38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characterised by specific cells or progenitors thereof, e.g. fibroblasts, connective tissue cells, kidney cel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상 드레싱용 셀룰로오스 기반 다공성 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셀룰로오스 기반 다공성 필름을 이용한 조직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PMIA)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제1단계); 셀룰로오스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제2단계); 상기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PMIA) 수용액과 셀룰로오스 수용액을 혼합하여 제 1 혼합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제3단계); 상기 제 1 혼합 수용액을 이형상에 코팅시키는 단계(제4단계); 상기 이형상에 코팅된 제 1 혼합 수용액을 응고제에 침지시켜 응고 시키는 단계(제5단계); 및 상기 응고된 제 1 혼합 수용액의 표면층을 접착 테이프로 필-오프(peel-off)시켜 창상 드레싱용 필름을 얻는 단계(제6단계); 를 포함하여, 간단한 필-오프(peel-off)공정을 통해 상호연결된 다공성을 갖춘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창상 드레싱용 셀룰로오스 기반 다공성 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셀룰로오스 기반 다공성 필름을 이용한 조직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에서 가장 크고, 가장 바깥쪽 있는 장기이며, 세균의 침입, 화학물질에 의한 손상 및 외부의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하는 물리적인 장벽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표피와 진피의 명확한 두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부의 전층은 트라우마, 암, 당뇨 및 스스로 치유될 수 없는 화상에 의해 잃게 된다. 비록 때때로 자가이식과 동종이식이 상처 재생에 이용되기는 하지만, 기증자의 부족 또는 기증 위치와 면역 거부와 같은 몇가지 문제 때문에 제한이 있다. 이러한 결함을 극복하기 위해, 바이오재료를 이용한 조직공학 계획이 손상된 조직의 재생을 위해 최근에 이용되고 있다. 조직 재생을 위해 높은 상호연결성을 가진 다공성의 바이오-구조물은 세포의 부착, 성장, 퍼지거나 증폭을 위한 전제조건 요소이다.
타겟된 조직은 바이오-구조물의 구조 안에서 가이드 되어 질 수 있다. 그러므로, 영양분과 세포간의 노폐물 교환을 통해 상처 조직의 재생을 위한 높은 상호연결성의 다공성뿐만 아니라 생체 친화적인 구조물을 제조할 필요가 있다.
세포 성장을 위한 뼈대의 디자인은 3D 체외 배양 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가장 중요한 기술이다. 2D 배양 시스템에서, 초기 세포 성장의 속도는 증가되나, 세포가 빽빽하게 많아지게 되면 증폭을 멈춘다. 조직공학을 위한 3차원 구조는 2차원 구조와 비교하여 세포 부착 및 퍼지게하기 위한 더 넓은 표면적 때문에 연구되어지고 있다. 또한, 상호연결된 다공성을 가진 3차원 구조물은 바이오분자, 영양분 및 산소의 확산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많은 세포들의 생존에 필수적이다.
조직공학 바이오-구조물에 키토산(chitosan), 셀룰로오스(cellulose), 알긴산염(alginate), 콜라겐(collagen), 젤라틴(gelatine)과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락틱-코글라리콜산(polylactic-coglycolic acid), 폴리(L-락틱산)(poly(L-lactic acid)) 및 N-(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리아미드(N-(2-hydroxypropyl)methacrylamide;HPMA)와 같은 다른 합성 재료들을 포함한 다양한 재료들이 이용 되어왔다. 상기 재료 중 D-글루코스 유닛(unit)으로부터 유래된 셀룰로오스는 가장 널리 알려진 천연 재료이다. 두 글루코스 잔기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는 β-1,4 글루코시드 결합을 매개로 농축되었으며, 이는 조직공학 응용에 뛰어난 재료이다. 최근에, 나노튜브, 나노크리스탈 및 나노섬유 재료를 포함한 셀룰로오스 기반 재료가 낮은 수용성, 우수한 화학 구조, 낮은 항원성 및 면역원성, 우수한 생체적합성, 효소에 의한 생물분해성 및 낮은 세포독성 때문에 뼈 조직공학, 연골 대체 물질, 피부 대체물질 및 약물 전달 매개체와 같은 조직공학에서의 응용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셀룰로오스가 비록 높은 생체 적합성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낮은 상호연결성을 초래하는 전기방사의 방법을 제외하면 셀룰로오스를 이용하여 3차원의 다공성 구조를 제조하는 것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조직공학에 활용될 수 있는 셀룰로오스 기반 다공성 구조의 필름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조직 재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필-오프(peel-off)공정을 통해 창상 드레싱용 셀룰로오스 기반 다공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셀룰로오스 기반 다공성 필름을 이용한 조직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PMIA)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제1단계); 셀룰로오스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제2단계); 상기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PMIA) 수용액과 셀룰로오스 수용액을 혼합하여 제 1 혼합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제3단계); 상기 제 1 혼합 수용액을 이형상에 코팅시키는 단계(제4단계); 상기 이형상에 코팅된 제 1 혼합 수용액을 응고제에 침지시켜 응고 시키는 단계(제5단계); 및 상기 응고된 제 1 혼합 수용액의 표면층을 접착 테이프로 필-오프(peel-off)시켜 창상 드레싱용 필름을 얻는 단계(제6단계); 를 포함하여 평균 직경이 20 내지 100㎛인 기공을 포함하는 창상 드레싱용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에 따른 창상 드레싱용 필름에 세포를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상 드레싱용 셀룰로오스 기반 다공성 필름의 제조방법은 간단한 필-오프(peel-off)공정을 통해 상호연결된 다공성을 갖춘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셀룰로오스 기반 다공성 필름은 세포 증식에 충분한 공간을 가지며,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바닥까지 영양분, 가스 및 노폐물의 이동이 쉬워 세포의 성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세포 독성이 없어 생체 적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물리적으로 필-오프된 셀룰로오스/PMIA 다공성 필름의 (a) VMS(visual management system) 이미지, (b) SEM(Scanning electron micrograph) 이미지로, (α)는 표면층, (β)는 표면 아래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a) 필-오프 방법으로 제조된 셀룰로오스/PMIA, (b) PMIA, (c) 셀룰로오스 필름의 ATR-FTIR 스펙트로스코피(spectroscopy)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a) 필-오프 방법으로 제조된 셀룰로오스/PMIA, (b) PMIA, (c) 셀룰로오스 필름의 XPS 스펙트라(spectr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a) 필-오프 방법 없이 제조된 셀룰로오스/PMIA, (b) 필-오프 방법으로 제조된 셀룰로오스/PMIA의 단면 SEM 이미지와 (c) 필-오프 방법 없이 제조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 (d) 필-오프 방법으로 제조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의 표면 SEM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필-오프 처리되거나 되지 않은 셀룰로오스/PMIA 필름의 기공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필-오프 처리되거나 되지 않은 셀룰로오스/PMIA 필름의 36℃, pH7.4.에서 42시간 동안 유체 흡수 능력의 비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2D 플레이트, 필-오프 처리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 필-오프 처리되지 않은 셀룰로오스/PMIA 필름에서의 30일동안 인간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의 세포 생존율 분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a-d) 필-오프 처리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에서 30일째 배양된 인간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의 부착 및 증식의 SEM 이미지, (e) DAPI 염색에 의해 필-오프 처리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과 30일째 배양된 세포 사이의 상호작용을 평가하기 위한 형광 마이크로스코피(microscopy) 이미지, (f) 살아있는 세포 수/죽어 있는 세포수 분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a) 필-오프 방법으로 제조된 셀룰로오스/PMIA, (b) PMIA, (c) 셀룰로오스 필름의 ATR-FTIR 스펙트로스코피(spectroscopy)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a) 필-오프 방법으로 제조된 셀룰로오스/PMIA, (b) PMIA, (c) 셀룰로오스 필름의 XPS 스펙트라(spectr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a) 필-오프 방법 없이 제조된 셀룰로오스/PMIA, (b) 필-오프 방법으로 제조된 셀룰로오스/PMIA의 단면 SEM 이미지와 (c) 필-오프 방법 없이 제조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 (d) 필-오프 방법으로 제조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의 표면 SEM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필-오프 처리되거나 되지 않은 셀룰로오스/PMIA 필름의 기공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필-오프 처리되거나 되지 않은 셀룰로오스/PMIA 필름의 36℃, pH7.4.에서 42시간 동안 유체 흡수 능력의 비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2D 플레이트, 필-오프 처리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 필-오프 처리되지 않은 셀룰로오스/PMIA 필름에서의 30일동안 인간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의 세포 생존율 분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a-d) 필-오프 처리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에서 30일째 배양된 인간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의 부착 및 증식의 SEM 이미지, (e) DAPI 염색에 의해 필-오프 처리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과 30일째 배양된 세포 사이의 상호작용을 평가하기 위한 형광 마이크로스코피(microscopy) 이미지, (f) 살아있는 세포 수/죽어 있는 세포수 분석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셀룰로오스와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PMIA)를 이용하여 간단한 필-오프(peel-off) 공정만으로 상호연결된 다공성을 갖춘 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공정을 통해 제조된 필름은 세포의 부착 및 증식을 가능하게 하며, 생체 적합하여, 조직 재생을 위한 창상 드레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PMIA)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제1단계); 셀룰로오스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제2단계); 상기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PMIA) 수용액과 셀룰로오스 수용액을 혼합하여 제 1 혼합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제3단계); 상기 제 1 혼합 수용액을 이형상에 코팅시키는 단계(제4단계); 상기 이형상에 코팅된 제 1 혼합 수용액을 응고제에 침지시켜 응고 시키는 단계(제5단계); 및 상기 응고된 제 1 혼합 수용액의 표면층을 접착 테이프로 필-오프(peel-off)시켜 창상 드레싱용 필름을 얻는 단계(제6단계); 를 포함하여 평균 직경이 20 내지 100㎛인 기공을 포함하는 창상 드레싱용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 1단계는 염화리튬(LiCl), 염화마그네슘(MgCl2) 및 염화칼슘(CaCl2)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촉매를 포함하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N,N-Dimethylacetamide;DMAc), 테트라(1-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트리하이드레이트/디메틸 설폭사이드(tetra(1-butyl)ammonium fluoride trihydrate/dimethyl sulfoxide;TBAF/DMSO) 및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DMS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에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PMIA) 섬유를 첨가하여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PMIA) 수용액을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드레싱용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단계는 염화리튬(LiCl), 염화마그네슘(MgCl2) 및 염화칼슘(CaCl2)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촉매를 포함하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N,N-Dimethylacetamide;DMAc), 테트라(1-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트리하이드레이트/디메틸 설폭사이드(tetra(1-butyl)ammonium fluoride trihydrate/dimethyl sulfoxide;TBAF/DMSO) 및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DMS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에 펄프 셀룰로오스를 첨가하여 셀룰로오스 수용액을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드레싱용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혼합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는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PMIA) 수용액과 셀룰로오스 수용액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하며, 제 3단계는 30 내지 70℃, 20 내지 28시간의 조건 하에서 수행되나, 50℃에서 24시간의 조건 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조건을 벗어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상호연결된 다공성을 갖춘 필름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세포의 부착 및 증식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어 조직 재생의 효과가 발생되지 않는 문제가 야기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상에 코팅된 제 1 혼합 수용액의 평균 두께는 500 내지 6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드레싱용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PMIA) 섬유가 용해되도록 염화리튬(LiCl) 촉매를 포함하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용매에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PMIA) 섬유를 첨가하고, 100 내지 140℃에서 1 내지 3시간동안 교반하여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PMIA)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제1단계); 염화리튬(LiCl) 촉매를 포함하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용매에 펄프 셀룰로오스를 첨가하고, 100 내지 140℃에서 1 내지 3시간동안 교반하여 셀룰로오스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제2단계); 상기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PMIA) 수용액과 셀룰로오스 수용액을 1:1의 부피비로 30 내지 70℃에서 20 내지 28시간 동안 혼합하여 제 1 혼합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제3단계); 상기 제 1 혼합 수용액을 이형상에 평균 500 내지 600㎛ 두께로 코팅시키는 단계(제4단계); 상기 이형상에 코팅된 제 1 혼합 수용액을 물/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AMc)/염화리튬(LiCl) 응고제에 -10 내지 -5℃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침지시켜 응고 시키는 단계(5단계); 및 상기 응고된 제 1 혼합 수용액의 표면층을 접착 테이프로 필-오프(peel-off)시켜 창상 드레싱용 필름을 얻는 단계(제6단계); 를 포함하여 평균 직경이 20 내지 100㎛인 기공을 포함하는 창상 드레싱용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른 창상 드레싱용 필름에 세포를 배양하는 것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세포는 피부세포, 혈관세포 및 섬유아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피부세포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실험 재료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N,N-Dimethylacetamide;DMAc) 및 무수 염화리튬(LiCl)은 덕산 순수화학(Duksan Pure Chemical Co., Ltd (Seoul, Korea))에서 구매되었다. 섬유 모양의 PMIA와 펄프 셀룰로오스(중합도 1440)는 각각 옌타이 스판덱스(Yantai Spandex Co., Ltd (Yantai, China))와 코오롱 산업(Kolon Industries Inc. (Gwacheon, Korea))에서 구입하였다. DMEM(Dulbecco’modified Eagle’medium), FBS(fetal bovine serum),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및 트립신-EDTA는 깁코(Gibco (Carlsbad, USA))에서 공급 받았다. 글루타알데하이드 수용액(Glutaraldehyde solution) (50%) 및 PBS (phosphate buffer saline), DAPI(4’6- diamidino-2-phenylindole)는 시그마 알드리치(Sigma Aldrich (Yongin, Korea))로부터 구매하였다. 프레스토 블루 세포 생존율 검출 시약(Presto Blue cell viability reagent)은 인비트로젠(Invitrogen Corporation (San Diego, USA))에서 구매하였다. 인간 케라티노사이트(Human keratinocytes (CRL-2310TM))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USA)로부터 구매하였다. 모든 화학물질은 구매한채로 사용하였으며, 모든 수용액은 D. I. 워터(de-ionized water)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셀룰로오스/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cellulose/Poly(m-phenylene isophthalamide)(PMIA))의 합성
PMIA를 60℃에서 아세톤과 에탄올로 두번 연속하여 세척하고, 24시간동안 상온의 그늘에서 건조시켰다. PMIA 섬유를 용해하기 위한 촉매로서 10g의 LiCl를 포함하는 100mL의 DMAc에 10g의 PMIA 섬유를 첨가하고, 120℃에서 2시간동안 섞어줌으로써 10wt% PMIA 수용액을 준비하였다. 10g의 LiCl를 포함하는 100mL의 DMAc에105℃에서 2시간동안 건조된 펄프 셀룰로오스 10g을 첨가하고, 85℃에서 5시간동안 섞어주었다. 준비된 PMIA와 셀룰로오스 수용액은 50: 50의 부피비로 50℃에서 24시간동안 섞어주었다.
그 후에, 상기 수용액을 유리 플레이트에 붓고, 베이커 어플리케이터(Baker Applicator(YBA-4; Yoshimitsu Seiki, Japan))를 이용하여 얇은 층을 만들었다. 유리 위에 얇은 층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물/DAMc(10 wt%)/LiCl(10 wt%) 응고제에 -5℃에서 20분동안 담갔다. 이후에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물에 6시간동안 담갔으며, 그 후 반응되지 않은 DMAc와 LiCl 제거를 위해 80℃에서 20분동안 담갔다. 제작된 필름은 약 60℃에서 따뜻한 물에 몇분동안 담근 후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였다. 마지막으로, 수화된 필름의 표면층을 얻기 위해 표면의 끝과 끝을 이동하는 접착테이프 롤러를 사용하여 필-오프(peel-off) 시켰다. 필-오프(peel-off)된 필름은 도 1에 보여주었다. 필-오프 처리 없이 얻어진 셀룰로오스/PMIA 필름의 결과물은 실험의 기준(control)을 위해 사용되었다. PMIA 및 셀룰로오스 필름은 또한 상기 언급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실시예 3> FT-IR 분석
실시예 2에서 준비된 필-오프 처리된 셀룰로오스/PMIA 다공성 필름의 구조적 배열은 다이아몬드 ATR(attenuated total reflectance) 장비가 갖춰진 FTIR (Spectrum 100; PerkinElmer, USA)에 의해 분석되었다. ATR 스펙트럼은 투과 모드에서 획득되었으며, 샘플은 어떠한 처리 없이 다이아몬드 홀더에 놓여졌다. 스펙트라는 실온에서 4cm-1의 해상도로 4000-350cm-1의 스펙트라 범위에서 기록되었다.
<실시예 4> 필름 특성 분석
기공의 분포, 상호연결성 및 형태를 알아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에서 준비된 셀룰로오스/PMIA 다공성 필름의 구조와 구조적 형태는 FE-SEM(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4800; Hitachi Ltd., Japan)에 의해 조사되었다. 샘플은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하룻밤동안 동결건조 하였으며, SEM 분석 전에 120s 동안 스퍼터 코터기를 이용하여 백금 코팅을 하였다. SEM 분석은 4.5mm의 스팟 크기와 함께 15kV의 가속 전압에서 수행되었다.
<실시예 5> 모세관류 포로메트리(Capillary flow porometry)
상기 실시예 2에서 준비된 셀룰로오스/PMIA 다공성 필름(지름 10mm)의 기공 분포 및 크기는 모세관류 포로메트리(Capillary flow porometry, CFP-1500AEL; Porous Material Inc., USA)를 이용하여 조사되었다. 간단하게, 필름은 10mm 지름의 원으로 잘라 15.9dyn/cm의 표면장력을 가진 습윤물질인 갈윅(galwick)으로 적신 후 측정되었다.
<실시예 6> 유체 흡수 분석(Fluid uptake analysis)
유체인 물 흡수 운동(kinetic)은 표면으로부터 벌크 기재까지의 영양분 확산과 세포 생존율에 필수적인 세포간 분비물의 배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상처로부터 체액에 대한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므로, 조직공학에서 바이오-기재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중요한 지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유체 흡수 조사는 다음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80℃에서 24시간 이상 동결건조 해놓은 실시예 2에서 준비된 셀룰로오스/PMIA 다공성 필름은 15 x 15mm의 크기로 자른 다음 pH 7.4의 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평형이 될 때까지 체온 36.5℃, 50rpm의 하에서 포화되어 적셔졌다. 샘플의 표면 상부에 얼룩진 버퍼는 킴와이프스(Kimwipes)로 닦아내고, 버퍼로 적셔진 샘플의 중량을 기록하였다. 상기 절차는 관찰된 중량의 변화가 없을 때 까지 반복하였다. 수화된 샘플의 유체 흡수 퍼센티지는 하기의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유체 흡수(Fluid Uptake(%))=(Ws-Wd)/Wd x 100
(여기서 Ws 와 Wd는 각각 유체로 포화되었을 때의 중량(젖은 상태)과 초기 중량(건조된 상태) 이다.)
<실시예 7> 생체적합성 분석(Biocompatibility assay)
실시예 2에서 준비된 셀룰로오스/PMIA 다공성 필름은 20, 40, 60, 80 및 100% 에탄올로 각각 1시간 동안 멸균되었으며, 그 후 즉시 70% 에탄올로 24시간동안 적셔졌다. 필름은 PBS(phosphate buffer saline)에서 대기하에 12시간동안 보관되었으며, 그 후 DEME에서 24시간동안 인큐베이트(incubate) 되었다. 상기 DEME 배양액을 제거한 후에, 인간 케라티노사이트(Human keratinocytes;CRL-2310)를 약 5 x 103 cells/ml/well의 농도로 각 필름(4-500㎛ 두께, 10mm 지름크기)에 씨드(seed)되었다. 세포와 함께 필름 샘플은 37℃, 5% CO2 대기 하에서 배양되었으며, 몇 시간 후에 1.5mL의 배양액을 각 웰(well)에 추가적으로 첨가하였다. 샘플은 그 후에 12웰 플레이트에서 배양액에 30일까지 배양되었으며, 필름에서의 세포 증식 수치를 알아내기 위하여 매 3일마다 세포수를 조사하였다. 필름에서의 세포 증식은 필름이 세포독성이 있는지를 알아내기 위하여 프레스토 블루(PrestoBlue) 시약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간단하게, 세포를 포함하는 필름 배양액 900㎕에 시약 100㎕을 첨가하고, 시약이 포함된 웰 플레이트는 37℃, 5% CO2 대기 하에서 30분 동안 반응 시켰다. 각 웰의 흡광도는 570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스펙트로포토미터기(microplate spectrophotometer, (Epoch; BioTeck, USA))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색의 세기는 세포의 신진대사 활성을 증명하는 것으로, 이는 필름상에 살아있는 세포의 수를 제공하는 것이다. 세포와 필름 사이의 상호작용은 2중 가닥 DNA와 형광 복합체를 형성한 잘 알려진 화학물질인 DAPI(4, 6’-dia midino-2-phenylindole) 물질로 핵을 염색함으로써 조사되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DAPI는 세포-화학(cyto-chemical) 조사에 유용한 물질이 되어왔으며, 이는 필-오프된 셀룰로오스/PMIA 다공성 필름에 배양된 인간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와 필름의 상호작용 관찰을 위해 이용되었다. 간단하게, DAPI 용액은 PBS를 이용하여 200ng/ml로 준비되었으며, 세포가 있는 필름은 10분동안 DAPI와 반응하여 염색되었다. 그 후 염색된 필름은 PBS로 헹궈냈으며, 세포 증식 수치 분석을 위해 스캔되었다. 핵의 형태(mophology)는 형광 마이크로 스코피(fluorescence microscopy (Ti-U; Nikon, Japan))에 의해 관찰되었으며, 정상세포의 핵은 보통 밝은 파란색으로 보여 진다.
<실험예 1> 셀룰로오스와 PMIA 사이의 분자 상호작용
도 2에서, 약 1020cm-1(셀룰로오스 및 필-오프된 셀룰로오스/PMIA)에서 강한 밴드의 존재는 셀룰로오스의 특징인 C-O-C 대칭 스트레칭의 존재를 보여주었다. 반면에 순수한 PMIA 스펙트럼에서는 에테르 결합과 관련된 피크가 관찰되지 않았다. 게다가, 셀룰로오스 및 필-오프된 셀룰로오스/PMIA에서 보여진 약 2880cm-1에서 흡수 피크의 세기는 순수한 셀룰로오스 필름에서 유래된 C-H 하이드록시 그룹 대칭 스트레칭의 존재를 보여주는 것으로, 순수한 PMIA에서 이러한 피크가 관찰되지 않았다. PMIA 및 필-오프된 셀룰로오스/PMIA의 스펙트라에서 1541-1560cm-1과 1607-1629cm-1에서의 피크는 순수한 셀룰로오스의 스펙트라에서는 보여지지 않는 아미드 결합에서의 NH 밴드(bend) 및 CO 스트레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PMIA 스펙트럼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929, 1382cm-1 피크는 순수한 셀룰로오스로부터 유래된 OH 작용기에 관한 것이다. PMIA의 스펙트럼에서 보여진 3492 및 3309cm-1의 두 피크는 아미드 그룹에서 결합된 수소와 자유전자의 스트레칭 진동에 관한 것이며, 3380cm-1 근처의 넓은 커브는 셀룰로오스의 OH 스트레칭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피크는 필-오프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의 스펙트럼에서 3300부터 3500cm-1 까지 겹쳐져 있다.
준비된 필름의 표면층 원자 분석을 위해 XPS가 사용되었으며, 이 스펙트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셀룰로오스와 비교하여, PMIA는 화학구조에 질소만 있었다. 그러므로, 필-오프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에서 질소의 존재는 PMIA가 존재한다는 표시이다. 셀룰로오스 필름의 XPS 스펙트럼은 질소 피크를 보이지 않은 반면, PMIA 및 필-오프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의 스펙트라는 401.4eV의 결합 에너지에서 질소 피크(N1s)를 보여 주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질소 피크로 필-오프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에서 PMIA가 존재함을 추론할 수 있다.
<실험예 2> 형태(Morphological) 분석
필름의 표면층을 필-오프(peel-off) 하거나 필-오프 하지 않은(no peel-off) 두 종류의 셀룰로오스/PMIA 필름을 준비했다. 도 4와 같이, 필-오프된 샘플의 두께는 625㎛였으나, 기준(control)으로서 필-오프 하지 않은 샘플의 두께는 530㎛였다. 이러한 두께 차이의 결과는 필-오프 방법 때문인데, 표면층과 같은 층을 벗겨내는 것은 압축되어 숨겨진 미세 다공성 구조를 노출되게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처리는 제작된 셀룰로오스/PMIA 내에서 상호연결된 다공성의 네트워크를 만들어 냈으며, 이는 세포증식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과 표면으로부터 바닥까지 영양분, 가스 및 노폐물이 쉽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적인 통로(phathway)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기공 구조를 갖춘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필-오프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은 조직 재생을 위한 잠재력을 갖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필-오프 처리를 하거나 하지 않은 셀룰로오스/PMIA 필름의 구조적인 형태 및 기공 구조는 SEM을 통해 관찰되었으며, 이는 기공 지름의 시각적 측정을 위해 이용되었다.
도4 (a, b)는 필-오프 처리를 하지 않거나 한 셀룰로오스/PMIA 필름의 SEM 이미지 단면을 보여준다. 필-오프 처리를 하지 않은 필름은 다공성 구조가 없었으나, 필-오프 처리를 한 필름은 다양한 상호연결된 기공 사이즈를 갖춘 다공성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그로므로 필-오프 처리로 필름은 거시적 다공성 및 미세 다공성 구조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도 4 (c, d)는 각각 필-오프 처리를 하지 않거나 한 필름의 표면 및 내부 형태를 보여준다. 필-오프 처리를 한 필름에서 상호연결된 기공구조는 잘 생성되었으며, 약 90㎛ 지름의 기공 벽은 20-80㎛로 다양한 크기의 작은 기공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라 준비된 필름의 상호연결된 다공성 구조는 생리학적 조직과 같이 표면으로부터 내부의 3차원 구조까지 멀리 이동하는 세포의 증식과 투과를 위해 필수적이다. 게다가, 다양한 크기를 가진 본 발명에 따라 준비된 필름의 기공 구조는 가스, 영양분 및 세포간의 분출물의 교환을 위해 유용하다.
만약 필-오프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면, 필름은 100-120㎛의 기공 크기를 가지며 이것은 피부 세포 부착, 이동 및 증폭에 적합하나, 기공이 노출될 수 없다. 따라서 실시예 2에 따라 제작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은 필-오프 과정을 통해서 적절한 크기의 기공으로 구성되며, 이것은 피부 세포간의 활성 조건에 적절하다.
<실험예 3> 기공 크기와 분포
기공은 세포에 영양분을 제공하고 세포의 부착과 성장의 장소이기 때문에 기공 크기와 분포는 조직공학에 이용되는 바이오-구조물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 5는 필-오프 처리를 하거나 하지 않은 준비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의 기공 분포를 보여준다. SEM 이미지에서 보여줬듯이(도 4), 필-오프 공정을 수행한 필름은 20-80㎛로 다양한 기공 크기를 가졌다(도 5). 게다가, 100㎛의 기공 크기도 관찰되었다. 반면에, 필-오프 공정을 수행하지 않은 필름의 그래프에서는 10㎛보다 더 작은 기공 크기가 발생됨을 알아냈으며, 그 외에 10-50㎛의 기공 크기도 관찰되었다. 조직공학 분야에서 바이오-구조물 개발을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기공 크기인데, 본 발명에 따라 개발된 바이오-구조물은 세포의 부착, 성장, 이동 및 영양분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상호연결된 기공에 침투적일 수 있다. 기공이 너무 작으면 세포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으며, 세포 주변에서 구조적, 생화학적 지지를 제공하고, 세포들에 의해 분비되는 세포외 분자들이 모여진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ECM)의 분비물 때문에 막혀질 수 있다. 분비된 ECM과 세포 응집은 바이오-구조물의 외부 표면에 발생하여 세포로부터 노폐물 제거와 영양분의 확산을 방해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영양분 분포와 생성된 노폐물의 제거를 제한하여 바이오-구조물에서 세포의 괴사를 초래한다. 반면에, 만약 기공이 상대적으로 크다면, 바이오-구조물의 비표면적이 감소하여 세포의 활성은 세포들과 ECM 사이의 인테그린(integrin)-리간드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세포간의 결합을 위한 리간드(ligand) 밀도의 감소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준비된 바이오-구조물의 기공 크기는 세포의 부착, 증식 및 투과를 위해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이다.
<실험예 4> 유체 흡수 능력
조직 재생을 위해 사용되는 바이오-구조물은 친수성 특성과 주변의 생리학적 유체에 대한 낮은 계면 장력을 필요로 한다. 도 6은 필-오프 처리를 하거나 그렇지 않은 실시예 2에 따라 준비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중량 ~0.013g, n=4)의 36℃, pH7.4 PBS에서 42시간동안 인큐베이션 처리되는 동안의 유체 흡수 능력을 비교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 필-오프 처리를 한 필름의 중량은 처리되지 않은 샘플에 비해 2배이상 증가하였다.
필-오프 처리를 하고, PBS 버퍼에 담가진 필름은 6시간 후에 약 2.5배 부풀었으며, 이와 같은 필름의 중량 차이는 주로 필-오프된 필름의 증가 되어진 상호연결된 기공과 비표면적을 가지는 거시적 다공성/ 미세 다공성 구조 때문이다. 필-오프 처리를 하지 않은 필름은 대개 ~2㎛ 크기의 작은 기공으로 구성되는 표면층으로 덮혀져 있으며, 이것은 50-100㎛ 크기의 상호연결된 기공을 막고 있다. 반면에, 안쪽 기공을 막는 표면층이 없는 필-오프 처리된 샘플의 상호연결된 기공은 이러한 상호연결된 기공을 통해서 내부의 구조로 PBS 버퍼의 침투를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실시예 2에 따라 준비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에서 표면층 아래의 노출은 필-오프 공정을 사용함으로써 준비된 바이오-구조물에 더 높은 유체 흡수 능력을 초래한다.
<실험예 5> 세포 생존율 분석
필-오프 처리된 실시예 2에 따라 준비된 셀룰로오스/PMIA 다공성 필름의 세포간 생체적합성 분석은 조직 재생을 위해 사용되는 바이오-구조물의 디자인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분석이다. 세포 생존율 분석은 준비된 샘플에서 신진대사 활성과 세포의 바이오-기능을 위한 간접적인 지표를 제공한다. 셀룰로오스/PMIA 필름에 씨드된 인간 케라티노사이트(Human keratinocyte)의 신진대사 활성은 프레스토 블루(PrestoBlue) 시약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도 7에서와 같이, 실시예 2에 따라 준비된 필-오프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위에 씨드된 세포의 신진대사 활성은 24일까지 꾸준하게 증가되었다. 그러나, 신진대사 활성은 기준(control)인 2D 플레이트에서는 18일째 이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또한, 필-오프 없이 제작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은 기준(control) 2D 플레이트와 유사하게 21일째 이후부터 세포 활성이 떨어짐을 보였다. 필-오프 없이 제작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은 세포간의 신진대사 활성에 적절한 20-120㎛의 기공 크기로 구성되지 않으며, 대개 ~20㎛ 기공 크기에서는 세포 이동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포의 부착, 퍼짐(spread), 증폭에 적절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필-오프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은 생체 적합하며, 상기 필름에 형성된 상호연결된 다공성 구조는 쉽게 영양분을 포함하는 배양액을 세포에 공급할 수 있고, 신진대사 활성으로 발생되는 증가되는 세포간의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어, 세포의 증폭과 부착을 지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6> 세포간 반응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피부 조직공학을 위해 세포간 노폐물과 영양분의 교환을 돕는 높은 상호연결된 기공을 가진 매개체를 준비하기 위한 것이다. SEM, DAPI 염색뿐만 아니라 실시예 2에 따라 제작된 필-오프된 셀룰로오스/PMIA 다공성 필름의 생체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살아 있는 세포 수(Live)/죽은 세포 수(dead) 분석을 하였다. 도 8 (a-d)에서, 30일째에 분석된 SEM은 세포의 부착, 증폭 및 세포로부터의 ECM 분출과 같은 다양한 세포간의 활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로, 필-오프 처리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에서의 높은 상호연결된 다공성 네트워크는 세포 재생에 이상적인 구조물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케라티노사이트 세포는 30일째까지 필-오프 처리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의 기공 벽에 안정적으로 부착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세포들은 지속적으로 ECM을 분출하여 기공의 벽 사이를 연결하였으며, 멀리 떨어져 증폭된 세포를 덮었다.
세포화학 분석을 위한 DAPI 염색은 세포와 필-오프 처리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 사이의 상호작용 평가를 위해 수행되었다. 케라티노사이트의 핵은 형광 마이크로스코피(fluorescence microscopy)에 의해 관찰되었으며, 이것은 세포의 부착 뿐만 아니라 필름에서의 세포 수 증가를 보여준다. 도 8(e)에서 보여주듯이, 30일째의 이미지는 세포들이 기공벽에 부착되고, 증폭되었음을 보여주었다. 게다가, 씨드된 세포들은 증폭되어 바닥을 향해 침투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필름에 씨드된 케라티노사이트 세포는 많은 수로 증폭되었으며, 이로써 최종 필름을 제작하기 위해 첨가된 PMIA가 세포독성의 효과 없이 다공성 구조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세포 생존율은 살아 있는 세포 수(Live)/죽은 세포 수(dead) 분석을 통해 평가되었다. 도 8(f)는 필-오프 처리된 셀룰로오스/PMIA 필름에 부착된 30일째에 살아있는 씨드된 세포를 보여준다. 즉, 씨딩 30일 후에 많은 수의 세포들이 살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과적으로, 필-오프 처리된 셀룰로오스/PMIA 다공성 필름은 세포들의 높은 부착 및 증폭 가능함을 보여주어 조직공학 응용에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케라티노사이트 세포는 흉터 재생을 돕기 때문에 피부 재생에 응용될 수 있다.
Claims (9)
-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PMIA)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제1단계);
셀룰로오스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제2단계);
상기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PMIA) 수용액과 셀룰로오스 수용액을 혼합하여 제 1 혼합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제3단계);
상기 제 1 혼합 수용액을 이형상에 코팅시키는 단계(제4단계);
상기 이형상에 코팅된 제 1 혼합 수용액을 응고제에 침지시켜 응고 시키는 단계(제5단계); 및
상기 응고된 제 1 혼합 수용액의 표면층을 접착 테이프로 필-오프(peel-off)시켜 창상 드레싱용 필름을 얻는 단계(제6단계);
를 포함하여, 평균 직경이 20 내지 100㎛인 기공을 포함하는 창상 드레싱용 필름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제 1단계는 염화리튬(LiCl), 염화마그네슘(MgCl2) 및 염화칼슘(CaCl2)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촉매를 포함하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N,N-Dimethylacetamide;DMAc), 테트라(1-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트리하이드레이트/디메틸 설폭사이드(tetra(1-butyl)ammonium fluoride trihydrate/dimethyl sulfoxide;TBAF/DMSO) 및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DMS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에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PMIA) 섬유를 첨가하여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PMIA) 수용액을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드레싱용 필름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제 2단계는 염화리튬(LiCl), 염화마그네슘(MgCl2) 및 염화칼슘(CaCl2)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촉매를 포함하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N,N-Dimethylacetamide;DMAc), 테트라(1-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트리하이드레이트/디메틸 설폭사이드(tetra(1-butyl)ammonium fluoride trihydrate/dimethyl sulfoxide;TBAF/DMSO) 및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DMS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에 펄프 셀룰로오스를 첨가하여 셀룰로오스 수용액을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드레싱용 필름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제 1 혼합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PMIA) 수용액과 셀룰로오스 수용액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드레싱용 필름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제 3단계는 30 내지 70℃, 20 내지 28시간의 조건 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드레싱용 필름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상에 코팅된 제 1 혼합 수용액의 평균 두께는 500 내지 6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드레싱용 필름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염화리튬(LiCl) 촉매를 포함하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용매에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PMIA) 섬유를 첨가하고, 100 내지 140℃에서 1 내지 3시간동안 교반하여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PMIA)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제1단계);
염화리튬(LiCl) 촉매를 포함하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용매에 펄프 셀룰로오스를 첨가하고, 100 내지 140℃에서 1 내지 3시간동안 교반하여 셀룰로오스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제2단계);
상기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PMIA) 수용액과 셀룰로오스 수용액을 1:1의 부피비로 30 내지 70℃에서 20 내지 28시간 동안 혼합하여 제 1 혼합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제3단계);
상기 제 1 혼합 수용액을 이형상에 평균 500 내지 600㎛ 두께로 코팅시키는 단계(제4단계);
상기 이형상에 코팅된 제 1 혼합 수용액을 물/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AMc)/염화리튬(LiCl) 응고제에 -10 내지 -5℃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침지시켜 응고 시키는 단계(5단계); 및
상기 응고된 제 1 혼합 수용액의 표면층을 접착 테이프로 필-오프(peel-off)시켜 창상 드레싱용 필름을 얻는 단계(제6단계);
를 포함하여, 평균 직경이 20 내지 100㎛인 기공을 포함하는 창상 드레싱용 필름 제조방법. -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따른 창상 드레싱용 필름에 세포를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피부세포, 혈관 세포 및 섬유아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4190A KR102096578B1 (ko) | 2018-12-18 | 2018-12-18 | 창상 드레싱용 셀룰로오스 기반 다공성 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셀룰로오스 기반 다공성 필름을 이용한 조직 재생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4190A KR102096578B1 (ko) | 2018-12-18 | 2018-12-18 | 창상 드레싱용 셀룰로오스 기반 다공성 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셀룰로오스 기반 다공성 필름을 이용한 조직 재생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6578B1 true KR102096578B1 (ko) | 2020-04-02 |
Family
ID=70281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4190A KR102096578B1 (ko) | 2018-12-18 | 2018-12-18 | 창상 드레싱용 셀룰로오스 기반 다공성 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셀룰로오스 기반 다공성 필름을 이용한 조직 재생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6578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73195A (ko) * | 2011-12-23 | 2013-07-03 |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 이차전지용 메타아라미드 다공성 막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다공성 막 |
KR20150117748A (ko) * | 2014-04-10 | 2015-10-21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창상치료용 미더덕껍질 유래 셀룰로오스 필름의 제조방법 |
KR20180060173A (ko) * | 2016-11-28 | 2018-06-07 |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 다공성 하이드로겔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하이드로겔 시트 |
KR101858175B1 (ko) * | 2017-05-25 | 2018-06-28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내열 기능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80106919A (ko) * | 2017-03-21 | 2018-10-01 | 티씨아이 코 엘티디 | 바이오-셀룰로오스 슬러리 및 건조 바이오-셀룰로오스 물질, 건조 바이오-셀룰로오스 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케어 필름 |
-
2018
- 2018-12-18 KR KR1020180164190A patent/KR10209657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73195A (ko) * | 2011-12-23 | 2013-07-03 |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 이차전지용 메타아라미드 다공성 막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다공성 막 |
KR20150117748A (ko) * | 2014-04-10 | 2015-10-21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창상치료용 미더덕껍질 유래 셀룰로오스 필름의 제조방법 |
KR101637018B1 (ko) | 2014-04-10 | 2016-07-06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창상치료용 미더덕껍질 유래 셀룰로오스 필름의 제조방법 |
KR20180060173A (ko) * | 2016-11-28 | 2018-06-07 |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 다공성 하이드로겔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하이드로겔 시트 |
KR20180106919A (ko) * | 2017-03-21 | 2018-10-01 | 티씨아이 코 엘티디 | 바이오-셀룰로오스 슬러리 및 건조 바이오-셀룰로오스 물질, 건조 바이오-셀룰로오스 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케어 필름 |
KR101858175B1 (ko) * | 2017-05-25 | 2018-06-28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내열 기능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ang et al. | Synergistic effect of highly aligned bacterial cellulose/gelatin membranes and electrical stimulation on directional cell migration for accelerated wound healing | |
Subhedar et al. | Nanocellulose in biomedical and biosensing applications: A review | |
Thankam et al. | Growth and survival of cells in biosynthetic poly vinyl alcohol–alginate IPN hydrogels for cardiac applications | |
Ullah et al. | Advances in biomedical and pharmaceutical applications of functional bacterial cellulose-based nanocomposites | |
Mao et al. | Study of novel chitosan‐gelatin artificial skin in vitro | |
Volova et al. | Biotechnological wound dressings based on bacterial cellulose and degradable copolymer P (3HB/4HB) | |
Ikeda et al. |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hitosan sponge as a tissue engineering scaffold | |
Kwak et al. | Bacterial cellulose membrane produced by Acetobacter sp. A10 for burn wound dressing applications | |
Czaja et al. | The future prospects of microbial cellulose in biomedical applications | |
Chen et al. | Three-dimensional layered nanofiber sponge with in situ grown silver-metal organic framework for enhancing wound healing | |
Sionkowska et al. | Bacterial nanocelullose in biomedical applications: A review | |
SG185279A1 (en) | Method for preparing porous scaffold for tissue engineering, cell culture and cell delivery | |
Pattanashetti et al. | Development of multilayered nanofibrous scaffolds with PCL and PVA: NaAlg using electrospinning technique for bone tissue regeneration | |
Chhabra et al. | Optimization, characterization, and efficacy evaluation of 2% chitosan scaffold for tissue engineering and wound healing | |
Lin et al. | Tri-layered chitosan scaffold as a potential skin substitute | |
Lee et al. | Cellulose/poly-(m-phenylene isophthalamide) porous film as a tissue-engineered skin bioconstruct | |
Varoni et al. | Hierarchic micro-patterned porous scaffolds via electrochemical replica-deposition enhance neo-vascularization | |
Lai et al. |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biocompatible and physical–chemical properties of poly (lactide-co-glycolide) and polydopamine as coating materials for bacterial cellulose | |
PL226837B1 (pl) | Aktywna warstwa polimerowa utworzona zpochodnych chityny zwłaszcza doopatrunku oraz jejzastosowanie | |
US20220315760A1 (en) | Bacterial Cellulose-Polyurethane Composite Material,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Application Thereof | |
JP3521226B2 (ja) | 架橋複合生体材料 | |
Ullah et al. | Impact of structural features of acetylated bacterial cellulose on cell-scaffold and scaffold-blood interactions in vitro | |
Kang et al. |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electro‐compacted collagen/elastin/hyaluronic acid sheet as a potential skin scaffold | |
Andleeb et al. | Hydrogel patch with pretreated stem cells accelerates wound closure in diabetic rats | |
KR20080078279A (ko) | 생체고분자와 생체세라믹의 이종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