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441B1 - 용접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용접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441B1
KR102096441B1 KR1020190035875A KR20190035875A KR102096441B1 KR 102096441 B1 KR102096441 B1 KR 102096441B1 KR 1020190035875 A KR1020190035875 A KR 1020190035875A KR 20190035875 A KR20190035875 A KR 20190035875A KR 102096441 B1 KR102096441 B1 KR 102096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hollow housing
insertion hole
nozzle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정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정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정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90035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external pipe alignment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flash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파이프를 길이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다각기둥 형상의 중공형 하우징(100); 상기 중공형 하우징(100)의 외면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내부를 관찰할 수 있고, 개폐가 가능한 윈도우부(200); 상기 다각기둥 형상의 중공형 하우징(100)의 일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로부터 이격된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는 용접봉 삽입구(320); 및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 및 용접봉 삽입구(320)가 형성된 상기 다각기둥 형상의 중공형 하우징(100)의 일면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커버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형 하우징(100)은 횡방향으로 절단되어 반기둥 형상을 가지는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 상기 제1 중공형 하우징(110)과 상하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 및 상기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 및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이 접촉하는 일면을 상호 결합 가능하되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 및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의 수직방향 개폐가 가능한 힌지 형태의 결합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400)는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홀(410); 및 상기 용접봉 삽입구(3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홀(420);을 포함하는 용접보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접보조장치{Welding auxiliary apparatus}
본 발명은 용접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용접 작업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접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접(Welding)이라 함은 동종 또는 이종의 금속재료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고체 사이에 직접 결합이 되도록 접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서로 다른 두 개의 금속파이프를 용접하는 경우 용접포를 이용한 5면보양 또는 6면보양을 통해 화재 발생사고에 대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용접포를 바닥에 설치하고, 두 개의 금속파이프를 거치대에 평행하게 배치한 후 용접할 위치에 용접기의 노즐 및 용접봉을 이용하여 용접을 수행하였다. 이 경우 용접 위치는 대기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에 존재하고, 작업자는 보호용 마스크 또는 보호용 고글과 같은 보호장비를 착용하고 용접을 수행하기 때문에 비가 오는 경우에는 용접 부위가 오염되거나 산화되고, 바람이 심하게 부는 경우에는 용접 작업시 발생되는 불꽃비산으로 인하여 화재위험성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용접 작업의 위험성으로 인하여 바닥에 용접포를 설치하고, 화기감시자(안전요원)을 의무적으로 배치하게 된다. 그러나, 용접포로부터 비산되는 섬유가 작업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경우 피부통증을 유발시키고, 용접포의 의무 설치 및 화기감시자의 의무 배치는 공사비용 및 시간을 증가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옥외작업시 바람이 심할 경우 바람의 영향을 받는 차폐가스(Shielding gas)의 손실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용접 작업시 용접 결과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용접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1-152566호는 "배관부재단부 가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2개의 배관부재의 단부를 맞대어 가용접시까지 상기 2개의 배관부재의 단부를 고정하는 배관부재단부 가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배관부재의 단부의 외측면에 클램프 부재를 압착시켜 배관부재에 고정하는 클램퍼를, 1개의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이격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각 클램퍼의 클램프 부재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2축을 통해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부재단부 가고정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1-152566호에 따른 배관부재단부 가고정장치는 용접 작업을 위한 파이프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불꽃비산으로 인한 화재 위험성이 존재하고 외부환경으로 인하여 용접면이 오염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용접물의 품질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68947호는 "툴박스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콘테이너 선에 탑재하는 반 조립상태의 툴박스(60)를 용접시키기 위해 거치하는 용접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된 고정판(50)과; 상기 고정판(50)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회전장치(40)와; 상기 회전장치(40) 위에 안착하여 설치된 내부가 뚫린 원통형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소정 크기의 일측면을 여닫도록 구비된 커버(20)와; 상기 프레임(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툴박스(60)를 고정하는 고정지그(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박스 용접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68947호에 따른 툴박스 용접장치는 용접용 파이프에 쉽게 설치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개방된 환경에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재 위험성 및 용접물의 품질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1329호는 "파이프 부재의 알곤 용접용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두 부분으로 절개된 원통형태로 파이프를 감쌀 수 있도록 개폐수단을 보유하고 있는 가이드 몸체와. 상기 가이드 몸체의 상부에 고정되어 용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창와, 상기 투시창의 스프링 장치에 의해 접이식으로 연결되어 용접시 발생되는 빛을 차단하는 차광 플레이트 프레임과, 두 개로 나뉘어진 상기 가이드 몸체를 연결하여 주는 힌지와, 상기 가이드 몸체를 닫을 때 결합을 공고히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걸쇠와, 상기 가이드 몸체의 상부에 부착되어 용접봉이 전후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수단을 제공하는 로드엔드 베어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재의 알곤 용접용 가이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1329호는 파이프 부재의 알곤 용접용 가이드는 장치 내부에서 용접 작업을 수행하여 화재 및 품질분량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나, 토치와 용접봉을 삽입하여 작업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고, 홀의 크기를 크게 할 경우 고휘도 광이 외부로 출사되거나 외부에 불꽃 비산을 유발하여 작업 안전성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장치 내부의 밀폐된 환경에서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용접 작업시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아니하기 때문에 용접 작업물의 불량률을 현저히 낮추어 용접 작업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접포 설치 및 화기감시자 배치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므로 작업 비용 및 기간을 절감할 수 있고, 옥외 작업시 차폐가스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용접보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모든 과제는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모두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보조장치는, 내부에 파이프를 길이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다각기둥 형상의 중공형 하우징(100); 상기 중공형 하우징(100)의 외면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내부를 관찰할 수 있고, 개폐가 가능한 윈도우부(200); 상기 다각기둥 형상의 중공형 하우징(100)의 일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로부터 이격된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는 용접봉 삽입구(320); 및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 및 용접봉 삽입구(320)가 형성된 상기 다각기둥 형상의 중공형 하우징(100)의 일면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커버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형 하우징(100)은 횡방향으로 절단되어 반기둥 형상을 가지는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 상기 제1 중공형 하우징(110)과 상하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 및 상기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 및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이 접촉하는 일면을 상호 결합 가능하되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 및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의 수직방향 개폐가 가능한 힌지 형태의 결합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400)는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홀(410); 및 상기 용접봉 삽입구(3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홀(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윈도우부(200)는 내부로부터 발생하는 고휘도의 광이 발산되는 것을 차단 가능한 흑유리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접보조장치는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 및 용접봉 삽입구(320)가 형성된 상기 중공형 하우징(100)의 일면과 커버부(400) 사이에 개재되는 제어용 플레이트(50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용 플레이트(500)는 중앙에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에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과 관통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510); 상기 용접봉 삽입구(32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타원형 안내홀(520); 및 상기 안내홀(52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홀(520)을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한 조절부재(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400)는 외면에 결합된 손잡이부(4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400)는 상기 다각기둥 형상의 중공형 하우징(100)의 일면과 힌지 형태의 결합을 하여 상기 커버부(400)는 상기 중공형 하우징(100)에 대하여 수직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접봉 삽입구(3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로부터 이격된 양 측 소정의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접보조장치는 상기 결합부재(130)와 좌우 대칭되는 방향인 상기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 및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이 접촉하는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 및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이 접촉하는 경우 상기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이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에 대하여 개방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락(Lock)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장치 내부의 밀폐된 환경에서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용접 작업시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아니하기 때문에 용접 작업물의 불량률을 현저히 낮추어 용접 작업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접포 설치 및 화기감시자 배치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므로 작업 비용 및 기간을 절감할 수 있고, 옥외 작업시 차폐가스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용접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보조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보조장치의 커버부를 개방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보조장치에 파이프를 삽입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보조장치에 파이프를 삽입한 후 용접작업을 개시하기 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보조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보조장치의 커버부를 개방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보조장치는 내부에 파이프를 길이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다각기둥 형상의 중공형 하우징(100); 상기 중공형 하우징(100)의 외면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내부를 관찰할 수 있고, 개폐가 가능한 윈도우부(200); 상기 다각기둥 형상의 중공형 하우징(100)의 일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로부터 이격된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는 용접봉 삽입구(320); 및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 및 용접봉 삽입구(320)가 형성된 상기 다각기둥 형상의 중공형 하우징(100)의 일면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커버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공형 하우징(100)은 용접용 파이프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부재로, 주로 가용접된 파이프를 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내부가 개방되는 중공형의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중공형 하우징(100)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다각기둥 형상의 구조 내부에 파이프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중공형 하우징(100)은 파이프가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되는 경우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횡방향으로 절단되어 반기둥 형상을 가지는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 상기 제1 중공형 하우징(110)과 상하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 및 상기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 및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이 접촉하는 일면을 상호 결합 가능하되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 및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의 수직방향 개폐가 가능한 힌지 형태의 결합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중공형 하우징(100)이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 및 결합부재(130)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을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에 대하여 상하 개폐가 가능하기 때문에 내부에 파이프를 삽입하여 고정하기에 더 용이한 구조를 제공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윈도우부(200)는 용접 작업시 작업자가 용접 위치를 쉽게 확인하고, 용접 작업시 작업자의 시력을 보호하며,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재로, 상기 중공형 하우징(100)의 외면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내부를 관찰할 수 있고,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윈도우부(200)는 개폐가 용이하고 힌지 구조로 이루어지고, 강도가 우수한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윈도우부(200)는 용접 작업시 내부로부터 발생하는 고휘도의 광이 발산되는 것을 차단 가능하도록 흑유리부(21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는 용접기의 노즐을 내부에 삽입하여 용접 작업을 밀폐된 공간에서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부재로, 본 발명에 따른 다각기둥 형상의 중공형 하우징(100)의 일면 중앙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필요한 용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의 직경을 크게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만약 용접기의 노즐의 직경이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보다 작거나, 용접 작업시 용접기가 삽입되는 면적 이외의 공간이 크게 형성될 경우 용접 작업시 고휘도의 광이 작업자 또는 외부환경에 직접 방출되거나, 내부에서 발생하는 스파크(Spark)가 장치 외부로 비산되거나, 차폐가스(Shielding gas)가 외부로 손실되는 양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용접보조장치는 이러한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 가능한 커버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4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용접봉 삽입구(320)는 용접봉을 내부에 삽입하여 용접 작업을 밀폐된 공간에서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부재이다. 용접봉 삽입구(320)는 용접 작업이 용이하도록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로부터 이격된 소정의 위치에 형성하고, 용접봉이 통과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직경으로 제조한다. 또한, 용접봉 삽입구(320)는 하나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한 쌍으로 구성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용접봉 삽입구(320)가 한 쌍으로 구성될 경우 한 쌍의 용접봉 삽입구(320)는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로부터 이격된 양 측 소정의 위치에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400)는 용접 작업시 용접을 더욱 밀폐된 공간에서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용접 작업시 발생하는 불꽃비산에 따른 화재위험성을 방지하고, 고휘도 광이 방출되는 것으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며, 용접부를 외부 환경요인으로부터 차단 및 보호하여 용융 금속의 환원성을 높여 용접 작업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옥외작업시 바람의 영향을 받는 차폐가스의 손실을 줄여 작업 원가를 절감하는 등의 다각적인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부재이다.
상기 커버부(400)는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 및 용접봉 삽입구(320)가 형성된 상기 다각기둥 형상의 중공형 하우징(100)의 일면의 상부면에 형성하고,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홀(410); 및 상기 용접봉 삽입구(3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홀(420);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제1홀(410)은 용접기의 노즐을 삽입하기 때문에 용접기의 노즐이 용점기 노즐 삽입구(310)를 관통하여 내부의 공간과 연결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하고, 제2홀(420)은 용접봉이 용접봉 삽입구(320)를 관통하여 내부의 공간에 연결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한다. 또한, 커버부(400)는 외면에 결합된 손잡이부(4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400)는 상기 다각기둥 형상의 중공형 하우징(100)의 일면과 힌지 형태의 결합을 하여 상기 커버부(400)가 상기 중공형 하우징(100)에 대하여 수직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보조장치에 파이프를 삽입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보조장치에 파이프를 삽입한 후 용접작업을 개시하기 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접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용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을 개방하여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의 상부면에 용접용 파이프(P)를 적치한다. 상기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은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과 힌지 형태의 결합부재(130)로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은 상하로 자유로운 개폐가 가능하다. 그 후 파이프(P)에 대한 상기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과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작업의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해 본 발명의 용접보조장치는 상기 결합부재(130)와 좌우 대칭되는 방향인 상기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 및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이 접촉하는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 및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이 접촉하는 경우 상기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이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에 대하여 개방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락(Lock)부(6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접보조장치의 내부에 파이프(P)가 고정되면 용접 작업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용접보조장치는 제어용 플레이트(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용 플레이트(500)는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 및 용접봉 삽입구(320)가 형성된 상기 중공형 하우징(100)의 일면과 커버부(400) 사이에 개재되는 부재로, 중앙에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에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과 관통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510); 상기 용접봉 삽입구(32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타원형 안내홀(520); 및 상기 안내홀(52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홀(520)을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한 조절부재(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접 작업시 작업자는 용접봉을 좌우 또는 원형으로 회전시키면서 용접물을 모재에 도포하는 행위인 위빙(Weaving)에 의해 작업하고, 본 발명의 용접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용접위빙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용접기 노즐은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에 삽입하고, 용접봉은 용접봉 삽입구(320)에 삽입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조절부재(530)는 타원형 안내홀(520)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개구부(510)가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에 대하여 관통하는 직경이 변화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직경 변화에 의해 용접위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중공형 하우징
110: 상부 중공형 하우징
120: 하부 중공형 하우징
130: 결합부재
200: 윈도우부
210: 흑유리부
310: 용접기 노즐 삽입구
320: 용접봉 삽입구
400: 커버부
410: 제1홀
420: 제2홀
430: 손잡이부
500: 제어용 플레이트
510: 개구부
520: 안내홀
530: 조절부재
600: 락부

Claims (6)

  1. 내부에 파이프를 길이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다각기둥 형상의 중공형 하우징(100);
    상기 중공형 하우징(100)의 외면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내부를 관찰할 수 있고, 개폐가 가능한 윈도우부(200);
    상기 다각기둥 형상의 중공형 하우징(100)의 일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로부터 이격된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는 용접봉 삽입구(320); 및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 및 용접봉 삽입구(320)가 형성된 상기 다각기둥 형상의 중공형 하우징(100)의 일면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커버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형 하우징(100)은 횡방향으로 절단되어 반기둥 형상을 가지는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 상기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과 상하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 및 상기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 및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이 접촉하는 일면을 상호 결합 가능하되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 및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의 수직방향 개폐가 가능한 힌지 형태의 결합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400)는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홀(410); 및 상기 용접봉 삽입구(3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홀(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200)는 내부로부터 발생하는 고휘도의 광이 발산되는 것을 차단 가능한 흑유리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보조장치는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 및 용접봉 삽입구(320)가 형성된 상기 중공형 하우징(100)의 일면과 커버부(400) 사이에 개재되는 제어용 플레이트(50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용 플레이트(500)는 중앙에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에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과 관통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510); 상기 용접봉 삽입구(32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타원형 안내홀(520); 및 상기 안내홀(52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홀(520)을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한 조절부재(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400)는 외면에 결합된 손잡이부(4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400)는 상기 다각기둥 형상의 중공형 하우징(100)의 일면과 힌지 형태의 결합을 하여 상기 커버부(400)는 상기 중공형 하우징(100)에 대하여 수직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봉 삽입구(3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접기 노즐 삽입구(310)로부터 이격된 양 측 소정의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보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보조장치는 상기 결합부재(130)와 좌우 대칭되는 방향인 상기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 및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이 접촉하는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 및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이 접촉하는 경우 상기 상부 중공형 하우징(110)이 하부 중공형 하우징(120)에 대하여 개방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락(Lock)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보조장치.
KR1020190035875A 2019-03-28 2019-03-28 용접보조장치 KR102096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875A KR102096441B1 (ko) 2019-03-28 2019-03-28 용접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875A KR102096441B1 (ko) 2019-03-28 2019-03-28 용접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441B1 true KR102096441B1 (ko) 2020-05-27

Family

ID=70911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875A KR102096441B1 (ko) 2019-03-28 2019-03-28 용접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4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1434A (ja) * 2003-05-27 2004-12-16 Nippon Sanso Corp 溶接装置および方法
KR101201483B1 (ko) * 2011-05-17 2012-11-14 김동근 용접용 마스크
KR101304318B1 (ko) * 2013-03-25 2013-09-11 (주)피에이씨 건축사사무소 배관 용접 보호 장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1434A (ja) * 2003-05-27 2004-12-16 Nippon Sanso Corp 溶接装置および方法
KR101201483B1 (ko) * 2011-05-17 2012-11-14 김동근 용접용 마스크
KR101304318B1 (ko) * 2013-03-25 2013-09-11 (주)피에이씨 건축사사무소 배관 용접 보호 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1329Y1 (ko) 파이프 부재의 알곤 용접용 가이드
KR101304318B1 (ko) 배관 용접 보호 장비
KR102208526B1 (ko) 용접용 지그
KR100311835B1 (ko) 좁은그루브용접장치및방법
KR102096441B1 (ko) 용접보조장치
KR102162299B1 (ko) 배관 가접 지그 및 상기 배관 가접 지그를 포함하는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유닛
RU2751389C1 (ru) Защит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станка лазерной резки
SE1150373A1 (sv) Method of welding a nuclear fuel rod
KR101997769B1 (ko) 용접용 지그
KR102166866B1 (ko) 가용접용 파이프 고정장치
FR2543257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creation d'un piquage en atmosphere controlee sur une tuyauterie, notamment une tuyauterie de centrale nucleaire
DE4325289A1 (de) Schweißkabelanschluß für Lichtbogenhand- und Lichtbogenautomaten-Schweiß- und Schneidbrenner
KR101724666B1 (ko) 알곤 용접 보호장치
KR102121232B1 (ko) 가접용 실드 장치
CN104014971B (zh) 带式烧结机钢带焊接装置、钢带焊接支承机构及焊接方法
KR102386984B1 (ko) 로봇을 이용한 자동 용접 시스템
KR102349537B1 (ko) 용접지그
CN207189028U (zh) 一种焊接台
KR20140005528A (ko) 심용접 시험용 소재고정장치
CN219648997U (zh) 一种焊接装置
CN214291743U (zh) 一种金属包装桶生产加工使用的焊接装置
KR20110108802A (ko) 용접 시편 지그를 구비한 전기저항 점 용접기의 스패터 방지 장치
DE602005000292T2 (de) Mobiles Mikroskop zum Echtzeit-Prüfen des Schweissens mit einer Laserschweissanlage
CN213916783U (zh) 一种金属零部件加工用焊接装置
ITVI20080180A1 (it) Apparato di saldatura e metodo per il controllo della qualita' delle sald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