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894B1 -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기준 신호 - Google Patents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기준 신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894B1
KR102095894B1 KR1020187004030A KR20187004030A KR102095894B1 KR 102095894 B1 KR102095894 B1 KR 102095894B1 KR 1020187004030 A KR1020187004030 A KR 1020187004030A KR 20187004030 A KR20187004030 A KR 20187004030A KR 102095894 B1 KR102095894 B1 KR 102095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quipment
reference signal
data symbols
data
symbo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8502A (ko
Inventor
헨리크 살린
징야 리
데이빗 아스텔리
니클라스 앤드가르트
구스타프 윅스트롬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180028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04L27/2607Cyclic ext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복조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105; 505)에서의 방법(110). 본 방법은, 복조 기준 신호에 대한 멀티플렉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111), 및 다른 사용자 장비의 복조 기준 신호와 동일한 시간 할당에서 멀티플렉싱 정보를 사용하여 복조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113)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 심벌들의 시간 할당에 대한 물리 자원들의 별개의 시간 할당에서 동일한 물리 주파수 자원을 통해 복조 기준 신호와 연관된 데이터 심벌들을 송신하는 단계(115)를 추가로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기준 신호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준 신호들 및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패킷 데이터 레이턴시는 벤더들, 운영자들 및 최종 사용자들이 정기적으로 측정하는 성능 메트릭들 중 하나이다. 레이턴시 측정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시스템 수명의 모든 단계들에서 수행되는데, 예를 들어, 새로운 소프트웨어 릴리스 또는 시스템 컴포넌트를 검증할 때, 시스템을 전개할 때, 및 시스템이 상업적으로 작동할 때, 수행된다.
무선 자원 효율성은 레이턴시 감소에 의해 긍정적으로 영향받을 수 있다. 더 낮은 패킷 데이터 레이턴시는 특정 지연 경계 내에서 가능한 송신들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더 높은 블록 에러 레이트(Block Error Rate)(BLER)의 타겟들이 데이터 송신들에 사용될 수 있어, 무선 자원들을 확보하고 잠재적으로 시스템의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에서의 자원 할당은 통상적으로 자원 블록들의 관점에서 설명되는데, 여기서 자원 블록은 시간 도메인에서의 하나의 슬롯(0.5ms)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12개의 서브캐리어에 대응한다. 자원 블록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시스템 대역폭의 한쪽 끝에서부터 0으로 시작해서 번호가 매겨진다.
LTE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 및 스케줄링에 기초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이다. 데이터의 송신에 하위 계층 제어 시그널링의 왕복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사실들은 레이턴시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데이터는 상위 계층들에 의해 생성되고,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 모뎀은 진화된 노드B(evolved NodeB)(eNB)에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SR)을 전송할 필요가 있다. eNB는 이 SR을 처리하고, 허가로 응답하여, 업링크 데이터 전송이 시작될 수 있다.
도 1은 제1 서브프레임(10a) 및 제2 서브프레임(10b)으로 표시된 2개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PUSCH) 서브프레임(10) 내의 사용자 데이터 심벌들과 기준 신호들의 예시적인 LTE 릴리스 8 매핑을 도시한다. 서브프레임들(10)은 시간-주파수 구조로 되어 있다. 각각의 행(11)은 (예를 들어, 15kHz로 분리된) 상이한 주파수의 서브-캐리어에 대응하고, 각각의 열(12)은 상이한 시간, 또는 기본 시간 유닛(12)에서의 심벌 지속기간에 대응한다. 자원 엘리먼트(13)는 하나의 심벌 동안의 하나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된다. 각각의 서브프레임(10a, 10b)은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정상 길이에 대해) 시간적으로 14개의 심벌을 포함하며, 이들은 0에서 13으로 표시되어 있다. 서브프레임들(10a, 10b)은 각각의 7개의 심벌의 2개의 슬롯으로 각각 구성되며, 주파수적으로는 복수의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된다. 자원 블록(또는 물리 자원 블록)은 시간적으로는 하나의 슬롯, 주파수적으로는 180kHz(예를 들어, 12개의 서브캐리어)로서 정의된다. 자원 블록 쌍 또는 물리 자원-블록 쌍은 이러한 2개의 자원 블록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에 대한 참조들은 대안적으로 자원 블록 쌍 또는 물리 자원 블록 쌍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 자원 블록은 제한된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12개의 서브캐리어의 하나의 세트)를 갖는다. 단 하나의 UE에 대한 데이터는 물리 자원 블록 쌍을 통해 전송된다.
3GPP TS 36.211에 정의된 LTE 릴리스 8에서, PUSCH 서브프레임의 기준 신호들은 슬롯마다 1회 송신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슬롯의 중간에 위치된다. 자원 엘리먼트 그리드 내의 숫자들은 전송 블록이 송신되는 예시적인 전송 시간 인터벌(Transmission Time Interval)(TTI)을 의미한다. 각각의 상자는 심벌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자원 엘리먼트를 나타낸다. 도 1의 하부 부분의 번호는 이 예에서는 LTE 릴리스 8 서브프레임 내의 업링크 심벌들에 대한 인덱스를 나타낸다.
기준 신호들 "R"(16)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SC-FDMA 심벌 번호 3 및 심벌 번호 10에 삽입된다. 제1 서브프레임(10a)에서, 데이터 심벌들은 기준 심벌들을 제외한 모든 심벌들에서 송신된다.
제1 서브프레임(10a)은 제1 UE에 의해 송신되고, 이에 대응하여 데이터 심벌들(13)은 '1'로 표시된다. 제2 서브프레임(10b)은 셀의 제2 UE에 의해 송신되고, 이에 대응하여 데이터 심벌들(13)은 '2'로 표시된다. 제1 서브프레임(10a)의 기준 신호들 R(16)은 제1 UE에 의해 송신되고, 제2 서브프레임(10b)의 기준 신호들 R (16)은 제2 UE에 의해 송신된다. 제1 서브프레임(10a)에서 송신된 기준 신호들은 제1 서브프레임(10a)의 데이터 심벌들(13)의 채널 추정에 사용될 수 있고, 제2 서브프레임(10b)에서 송신된 기준 신호들은 제2 서브프레임(10b)의 데이터 심벌들(13)의 채널 추정에 사용될 수 있다.
LTE 업링크에서 사용되는 단일 캐리어 포맷들의 경우, 각각의 신호는 다수의자원 엘리먼트들을 통해 확산되며, 단일 자원 엘리먼트에 위치되지 않는다. 이것은 LTE 다운링크에서 사용되는 직교 주파수-분할 멀티플렉싱(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OFDM)과는 대조적이다.
LTE 내의 무선 액세스는, 예를 들어, 3GPP TS 36.211,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Technical Specification,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V12.5.0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다운링크에서는 OFDM에, 업링크에서는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SC-FDMA)라고도 하는 DFT-확산 OFDM에 기초한다. 업링크에서 송신될 신호는 DFT에 의해 사전-코딩되고, 자신이 할당되는 주파수 인터벌에 매핑되고,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되고, 사이클릭 프리픽스와 연계되어, 최종적으로 무선으로(over air) 송신된다. DFT, 매핑, IFFT 및 CP 삽입에 의해 구성된 심벌은 SC-FDMA 심벌로 표시된다. LTE 릴리스 8 내에서, TTI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정상 사이클릭 프리픽스에 대해 14개의 그러한 SC-FDMA 심벌에 의해 구성된다.
업링크에서 사용되는 이 DFT-확산 OFDM은 OFDM에 비해 현저히 낮은 피크 대 평균 전력비(Peak to Average Power Ratio)(PAPR)를 갖는다. 낮은 PAPR을 가짐으로써, 송신기가 보다 간단하고 적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무선 장비에 장착될 수 있고, 이는 비용과 배터리 소비가 중요한 문제인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중요하다.
기준 신호들은 사용자 데이터가 송신되지 않는 오버헤드를 나타낸다. 사용자 데이터 송신의 증가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증가시키는 데 유리하다. 레이턴시의 감소 또한 유리하다.
본 개시내용의 제1 양태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복조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에서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복조 기준 신호에 대한 멀티플렉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다른 사용자 장비의 복조 기준 신호와 동일한 시간 할당에서 멀티플렉싱 정보를 사용하여 복조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 심벌들의 시간 할당에 대한 물리 자원들의 별개의 시간 할당에서 동일한 물리 주파수 자원을 통해 복조 기준 신호와 연관된 데이터 심벌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따라서, 기준 신호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오버헤드가 감소된다. 이것은 특히 사용자 데이터의 TTI가 예를 들어, 시간 길이가 서브프레임 미만 또는 슬롯 미만으로 감소될 때 유리하다.
본 개시내용의 제2 양태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기 위한 기지국에서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1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2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기준 신호와 제2 기준 신호는 멀티플렉싱된다. 본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1 데이터 심벌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2 데이터 심벌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및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데이터 심벌들은 물리 자원들의 별개의 시간 할당에서 동일한 물리 주파수 자원을 통해 수신된다.
본 개시내용의 제3 양태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복조 기준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를 제공한다. 사용자 장비는 복조 기준 신호에 대한 멀티플렉싱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 및 다른 사용자 장비의 복조 기준 신호와 동일한 시간 할당에서 멀티플렉싱 정보를 사용하여 복조 기준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회로를 포함한다. 무선 회로는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 심벌들의 시간 할당에 대한 물리 자원들의 별개의 시간 할당에서 동일한 물리 주파수 자원을 통해 복조 기준 신호와 연관된 데이터 심벌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제4 양태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기지국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1 기준 신호를,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2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회로를 포함한다. 제1 기준 신호와 제2 기준 신호는 멀티플렉싱된다. 무선 회로는 제1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1 데이터 심벌들을 수신하고,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2 데이터 심벌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데이터 심벌들은 물리 자원들의 별개의 시간 할당에서 동일한 물리 주파수 자원을 통해 수신된다.
본 개시내용의 제5 양태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송신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기준 신호들 및 데이터의 종래 기술의 할당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예에 따른 예시적인 네트워크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송신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기준 신호들 및 데이터 심벌들의 예시적인 할당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송신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기준 신호들 및 데이터 심벌들의 추가적인 예시적인 할당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송신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기준 신호들 및 데이터 심벌들의 추가적인 예시적인 할당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송신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기준 신호들 및 데이터 심벌들의 추가적인 예시적인 할당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송신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기준 신호들 및 데이터 심벌들의 추가적인 예시적인 할당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송신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기준 신호들 및 데이터 심벌들의 추가적인 예시적인 할당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적인 개요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개략적인 개요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에서의 예시적인 방법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예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예시적인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예들은 다수의 송신기들로부터의 또는 다수의 송신기들로의 기준 신호들은 동일한 심벌에 멀티플렉싱하고, 상이한 송신기들로부터의 또는 상이한 송신기들로의 사용자 데이터는 별개의 심벌들로 송신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심벌들은 예를 들어, 다수의 UE들로부터의 업링크에서 SC-FDMA 심벌들일 수 있다.
자원 할당에서 오버헤드의 양은 다수의 UE들로부터의 (또는 다수의 UE들로의) 기준 신호들을 동일한 심벌에 멀티플렉싱함으로써 상당히 감소된다. 한편, 각각의 UE는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전용 심벌(들)(예를 들어, SC-FDMA 심벌)을 갖기 때문에, 하나의 UE로부터의 사용자 데이터는 다른 UE들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업링크) 송신들의 단일 캐리어 특성이 보존될 수 있으며, 이는 디바이스 비용 및 전력 소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도 2는 예시적인 통신 네트워크(100)를 도시하며, 여기서 실시예들은 기준 신호들, 예를 들어,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DMRS)들의 송신 또는 시그널링 정보와 관련된다. 일부 예들에서, 기준 신호들의 송신은 셀 내의 복수의 UE들로부터의 송신들의 멀티플렉싱이다. 통신 네트워크(100)는 예를 들어, LTE, LTE 어드밴스드, WCDMA, GSM, 또는 임의의 3GPP 또는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과 같은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00)는 예를 들어, 셀(101)을 서빙하는 기지국(103)과 같은 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한다. 기지국(103)은 사용되는 기술 및 용어에 따라 무선 기지국, 노드B, 예를 들어, eNB와 같은 기지국일 수도 있고, 또는 셀(101)에 존재하는 제1 사용자 장비(105)와 무선 캐리어(102)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 유닛일 수 있다. 무선 캐리어(102)는 또한 캐리어, 무선 채널, 채널, 통신 링크, 무선 링크 또는 링크를 지칭할 수도 있다. 기지국(103)은 예를 들어, 송신 전력 및 그에 따른 셀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이한 클래스들, 예를 들어, eNodeB와 같은 매크로 기지국, 또는 예를 들어, 홈 eNodeB, 피코 기지국 또는 펨토 기지국과 같은 저전력 기지국일 수 있다. 도 2는 기지국(103)이 하나의 셀(101)을 서빙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기지국(103)은 둘 이상의 셀들(101)을 서빙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00)는 다른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장비(107) 및 제3 사용자 장비(109)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사용자 장비(107)와 제3 사용자 장비(109)는 제1 사용자 장비(105)와 동일한 셀(101)에 존재하고, 동일한 기지국(103)에 의해 서빙된다.
통신 네트워크(100)는 예를 들어, 셀들(101)과 같은 셀들로 분할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100)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셀은 셀(101)을 서빙하는 기지국(103)이 셀(101)에 존재하는 사용자 장비들(105)에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지리적 영역이다. 셀(101)은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제한된 영역을 커버하는 마이크로 셀, 통상적으로 작은 영역을 커버하는 피코 셀, 통상적으로 가정 또는 소규모 비즈니스에서 사용하기 위해 설계되는 펨토 셀, 또는 통상적으로 마이크로 셀보다 큰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매크로 셀과 같이 상이한 사이즈의 것일 수 있다.
셀(101) 내에 존재하고 기지국(103)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장비(105)는 이경우에 무선 캐리어(102)를 통해 기지국(103)과 통신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들)은 계층화된 접근 방식으로 무선 채널(102)을 통해 기지국(103)과 사용자 장비(들)(105) 사이에서 전달된다. 계층들의 예들은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전송 계층, 세션 계층 등이 있다.
사용자 장비(105)는 무선 채널(102)을 통해 기지국(103)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능력들을 갖는 임의의 적절한 통신 디바이스들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바일폰, 스마트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랩탑, MP3 플레이어 또는 휴대용 DVD 플레이어(또는 유사한 미디어 콘텐츠 디바이스들), 디지털 카메라, 또는 심지어 PC와 같은 고정식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PC는 또한 브로드캐스팅된/멀티캐스팅된 미디어의 엔드 스테이션으로서 이동국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105)는 예를 들어, 전자 포토 프레임들, 심장 감시 장비, 침입 또는 기타 감시 장비, 기상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들, 차량, 자동차 또는 운송 통신 장비 등에서의 임베딩된 통신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사용자 장비(105)는 일부 도면들에서는 UE로 지칭된다. 기지국(103)은 복수의 사용자 장비들(105, 107, 109)의 세트를 서빙할 수 있다. UE는 대안적으로 엔드 디바이스, 단말 디바이스, 사용자 또는 단말기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103)과 사용자 장비(105) 사이의 무선 캐리어(102)는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종류일 수 있음에 유의하도록 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캐리어(102)는 예를 들어, 개방 시스템 상호접속(Open Systems Interconnection)(OSI) 모델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층의 타입 및 레벨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은 예로서 LTE 네트워크의 업링크(UL) 송신 경로를 사용하지만, 예들은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운링크(DL) 및/또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들에 적용될 수 있다. UL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기지국으로의 링크이고, DL은 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 장비로의 링크이다.
도 3은 복수의 UE들에 대해 스케줄링된 물리 송신 자원의 예시적인 서브프레임들(30)을 도시한다. 서브프레임들(30)은 다르게 설명된 것을 제외하고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LTE 릴리스 8에 대응한다. 심벌들(13)은 사용자 데이터 또는 기준 신호, 일부 예들에서는 제어 데이터에 대응한다. 서브프레임이라는 용어는 물리 자원 블록 쌍의 시간 기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시간 기간 및 정의된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12개의 서브캐리어의 하나 이상의 배량) 또는 하나 이상의 물리 자원 블록 또는 물리 자원 블록 쌍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되는 정보는 페이로드로 지칭된다.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PUSCH 서브프레임들)은, 페이로드에 부가하여, 전송 포맷 지시자들 및 MIMO 파라미터들과 같이 페이로드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임의의 제어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데이터는 DFT 확산 전에 페이로드와 함께 멀티플렉싱된다. 페이로드 및 제어 데이터는 모두 기준 신호들과는 별개로 사용자 데이터 또는 데이터로 지칭될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예에서, 각각의 UE에 대한 스케줄링은 서브프레임,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30a 또는 30b)보다 작은 서브프레임에 기초한다. 이 경우, UE는 시간적으로 14개의 심벌 또는 1ms보다 적은 자원들로 스케줄링된다. 이 예에서, 제1 서브프레임(30a)은 2개의 UE, 예를 들어, 제1 UE(105) 및 제2 UE(107)에 할당된다. 이것은 1ms 서브프레임이 단지 하나의 UE에만 할당되는 종래의 스케줄링과는 대조적이다. 제1 할당(32a)은 시간적으로 7개의 심벌을 포함하고, 제2 할당(32b)도 또한 시간적으로 7개의 심벌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는, 할당들(32a 및 32b)이 하나의 자원 블록의 길이에 대응하지만, 예들이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예들에서, 스케줄링된 자원들은 업링크에 있다. 예를 들어, 자원들은 서브프레임, 물리 자원 블록 또는 물리 자원 블록 쌍의 PUSCH 할당과 관련된다. 심벌들은 SC-FDMA 심벌들이다. 이와 같이, PUSCH 할당들은 1ms 서브프레임의 모든 SC-FDMA 심벌들을 커버하지는 못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주파수 자원 할당은 종래에 공지된 바와 같으며, 예를 들어, 자원 블록은 12개의 서브-캐리어를 갖는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PUCCH)을 통한 송신들에도 적용가능하다.
할당들(32a, 32b)은 상이한 UE들에 대한 각각의 송신 시간 인터벌(Transmission Time Interval)(TTI)들이다. 제1 할당(32a)의 심벌들에서의 숫자 '1'은 제1 UE에 대한 데이터 심벌들을 나타내고, 제2 할당(32b)의 심벌들에서의 숫자 '2'는 제2 UE에 대한 데이터(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 심벌들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데이터(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를 갖는 6개의 SC-FDMA 심벌이 동일한 TTI에 포함된다.
서브프레임들(30)은 위에서 설명된 기준 신호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기준 신호(36), 예를 들어, DM-RS를 포함한다.
도 3은 데이터 심벌들 또는 기준 심벌들을 나타내도록 표시된 8개의 서브캐리어(즉, 행)를 도시한다. 표시된 행들의 수는 단지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임의의 예를 8개의 서브캐리어로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임의의 예에서는 12개의 서브캐리어(행) 또는 그 배량(multiple)이 사용될 수 있다.
UE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는 업링크 방향에 있으며, 기지국(예를 들어, eNodeB)에 의해 사용자 데이터의 복조 및 디코딩에 사용하기 위한 채널을 추정하고/하거나, 타이밍 및 주파수 에러를 추정하고/하거나, 업링크 채널 품질을 추정하는 데 사용된다. eNodeB는 예를 들어, 업링크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또는 타이밍 정렬 프로시저의 일부로서의 업링크 타이밍 추정을 위해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SRS)들을 별개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제1 할당(32a)에서 데이터 심벌들을 송신하는 제1 UE는 또한 제1 할당(32a)에서(즉, 심벌 3에서) 기준 신호(36)를 송신한다. 이 예에서, 제1 UE는 데이터 심벌들의 그 할당 시간 외에서 추가적인 기준 심벌을 추가로 송신한다. 이 경우, 제1 UE는 제2 할당(32b)에서, 즉, 제1 서브프레임(30a)의 심벌 10에서 기준 신호들을 송신한다. 데이터 심벌들의 시간 외에서, 다른 사용자에 대한 할당에서의 시간, 또는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UE의 할당된 자원들과 시간적으로 연속하지 않은 상이한 자원 블록, 서브프레임 또는 심벌을 참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UE가 데이터 심벌들의 그 할당 시간 외에 있는 무선 채널의 시간 변화들을 따르게 할 수 있다. 이 포지션에서, 기준 신호(36)는 제1 할당(32a)의 중심 포지션 및 제2 할당(32b)의 중심 포지션에 있다.
셀(101)에 의해 서빙되는 복수의 UE들은 또한 데이터 심벌들의 그 할당 시간 외에서 추가적인 기준 심벌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 UE(107)는 심벌들 7, 8, 9, 11, 12 및 13의 제2 할당(32b)을 스케줄링하고, 그 제2 할당(32b) 내에 삽입된 기준 신호(36)를 즉, 심벌 10에서 송신한다. 제2 UE(107)는 또한 그 제2 할당(32b) 외의 다른 기준 심벌에서 기준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추가적인 기준 심벌은 제1 할당(32a), 즉, 서브프레임의 처음 7개의 심벌, 예를 들어, 심벌 3에서 송신된다.
따라서, 제1 UE는 제1 할당(32a), 즉, 심벌들 0, 1, 2, 4, 5 및 6의 6개의 데이터 심벌에서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제1 UE는 심벌 3에서, 즉, 심벌 3에 대응하는 자원 엘리먼트에서 기준 심벌을 송신한다. 일부 예들에서, 제1 UE는 또한 상이한 UE의 데이터 심벌 할당 내에서 또는 그에 인접해서, 예를 들어, 심벌 10에서 기준 심벌(36)을 송신한다. 이 예에서, 서브프레임(30a)은 복수의 UE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UE에 대한 데이터 할당을 포함한다. 각각의 UE는 전체 서브프레임에 대한 데이터 할당을 갖는 것에 대응하는 시간 인터벌에서 기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할당(및 TTI)이 단지 각각의 UE에 대한 서브프레임의 일부일지라도, 각각의 UE에 대한 기준 신호들은 서브프레임에서 종래의 주기성으로 송신된다.
이 예에서, 제1 및 제2 UE는 모두 동일한 심벌(들)에서, 즉, 동일한 자원 엘리먼트(들)에서 기준 신호(36)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UE는 업링크 물리 자원을 공유한다. 공유되는 자원은 시간-주파수 자원(들)이다. 제1 및 제2 UE는 독립적으로 하나 이상의 기준 신호를 송신한다. 제1 및 제2 UE는 동시에 (그리고, 이 예에서는 주파수적으로 동일한 서브캐리어에서) 하나 이상의 기준 심벌을 송신한다.
제1 및 제2 UE의 기준 심벌들(36)은 멀티플렉싱된다. 멀티플렉싱은 기준 심벌들을 수신하는 eNodeB가 제1 UE 및 제2 UE로부터의 기준 심벌을 차별화하게 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UE는 다른 UE들(예를 들어, 제2 UE)로부터의 기준 신호들과 멀티플렉싱하도록 기준 신호를 생성 및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들에서, 기준 신호들은 코드 멀티플렉싱에 의해 멀티플렉싱된다. 예를 들어, 제1 UE는 순환 시프트(cyclic shift)에 의해 기준 신호를 생성 및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순환 시프트는, 예를 들어, 기준 신호를 상이한 순환 시프트들을 사용하는 다른 UE들로부터의 기준 신호들에 직교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기준 신호들과의 멀티플렉싱을 제공한다. 일부 예들에서, 기준 신호는 멀티플렉싱을 제공하기 위해 직교 커버 코드(Orthogonal Cover Code)(OCC)를 사용하여 생성된다.
순환 시프트(및 OCC)는 복수의 UE들로부터의 각각의 기준 신호가 서로 직교하도록 제공한다. 일부 예들에서, 셀 내의 UE들 각각으로부터의 기준 신호는(예를 들어, 셀 ID로부터 도출된) 동일한 베이스 시퀀스에 기초한다. 일부 예들에서, 멀티플렉싱된 기준 신호들은 동일한 셀에서, 즉, 동일한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제2 할당(32b)은 제1 할당(32a)과 별개로 고려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할당(32a, 32b)은 데이터 심벌들에 대한 물리 자원들의 별개의 시간 할당들이다. 제1 UE의 할당(32a)은 (예를 들어, 제2) UE의 다른 할당(32b)의 것과 별개이다. 이 경우, 별개의 UE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심벌들 간에 시간적인 중첩은 없다. UE들은 동일한 서브캐리어들을 사용하면서 상이한 시간 자원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는, 제1 및 제2 UE에 의해, 즉, 제1 및 제2 할당(32a, 32b)에서 동일한 주파수 자원들만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제1 UE는 제2 UE와 동시에 자원들의 상이한 주파수 할당을 제공받지 못한다.
데이터 심벌들에 대한 별개의 시간 물리 자원 할당은 멀티플렉싱된 기준 신호들과 대조된다. UE 및 다른 UE로부터의 기준 신호들은 동일한 시간 할당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동일한 시간 할당은 동일한 심벌이다. 예를 들어, 동일한 심벌은 슬롯, 서브프레임, 자원 블록 또는 자원 블록 쌍 내의 동일한 심벌 또는 심벌 기간이다. 동일한 시간 할당은 0 내지 13의 번호가 매겨진 심벌들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심벌들 3 및 10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기준 신호들은 하나 이상의 시간 할당에서 복수의 서브캐리어들(주파수 범위)을 통해 송신된다. 따라서, 기준 신호들은 공통 시간 할당(심벌)에서 멀티플렉싱되는 반면, 데이터 심벌들은 시간 할당에서 별개이다.
이 경우, 제1 및 제2 UE의 데이터 심벌들은 서브프레임 시간 기간 내에서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통해 송신된다. 해당 시간 기간 내에서, 동일한 주파수 자원들을 통해, 제1 및 제2 UE 모두에 대한 기준 신호들이 송신된다. 제1 및 제2 UE 모두에 대한 기준 신호들은 예를 들어, 코드 멀티플렉싱을 사용하여 동일한 시간에서(즉, 동일한 심벌에서) 송신된다.
일부 예들에서, 각각의 UE 할당(32a, 32b)은 사용자 데이터 및 하나 이상의 연관된 기준 심벌에 사용된다. 이 예에서, 복수의 UE들 각각은 1ms 기간, 즉, LTE 릴리스 8의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기간에 2개의 기준 심벌을 사용한다. 특정 UE 할당(32a, 32b)의 TTI는 서브프레임 기간(1ms)보다 시간적으로 짧다.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에는 1ms 시간 기간에서 할당(예를 들어, 제2 할당(32b))이 스케줄링된다. 1ms 시간 기간에서 데이터 할당을 갖는 UE들에 의해 송신되는 기준 심벌들(36)은 멀티플렉싱된다. 따라서, 제1 UE는 서브프레임에서 동일한 수의 기준 신호 심벌들을 송신하지만, 제2 UE에 대한 데이터 할당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심벌들(또는 TTI)의 수는 감소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신호들은 업링크 신호들이고/이거나 SC-FDMA를 활용한다. 이 예에서는, 특정 UE에 대한 PUSCH 할당들이 1ms 서브프레임의 모든 SC-FDMA 심벌들을 커버하지 않기 때문에 레이턴시가 개선된다. TTI에서 감소된 시간 길이(즉, 감소된 심벌들의 수)는 개선된 레이턴시를 제공한다.
복수의 UE들에는 복수의 UE들 중 다른 UE와 공유되지 않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별개의 데이터 할당이 할당된다. 특히, 별개의 데이터 할당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와 별개인 물리 자원들의 시간 할당이다. 일부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는 동일한 주파수 자원들만을 사용한다. 별개의 시간 할당은 다른 UE의 시간 할당과 시간적으로 중첩되지 않는다. 별개의 시간 할당은 둘 이상의 UE들에 대한 데이터의 별개의 스케줄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시간 할당은 UE가 시간 할당에서 실제로 송신하는 데이터 심벌들의 수가 아닌, UE가 송신을 위해(그리고 송신할 수 있도록) 스케줄링되는 시간량을 지칭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시간 할당은 심벌 기간, 심벌 시간 기간 또는 스케줄링 기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MU-MIMO를 사용하여 공간적으로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은, 추가적인 UE들과의 임의의 공간 멀티플렉싱에 관계없이, 서로 공간적으로 멀티플렉싱되지 않은 복수의 UE들의 세트에 관한 것이다. 공간적으로 멀티플렉싱된 UE들은 물리 자원 블록 또는 물리 자원 블록 쌍에 멀티플렉싱되는 복수의 UE들과 동일한 시간-주파수 물리 자원들을 공유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공간적으로 멀티플렉싱된 UE들은 데이터 심벌들이 물리 자원들의 별개의 시간 할당에서 송신되는 다른 UE 또는 기준 신호들이 멀티플렉싱되는 다른 UE로 지칭되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들은 공간적으로 멀티플렉싱되지 않은 UE들의 세트 내의 다른 UE에 적용된다.
본 개시내용의 예들은 동일한 안테나 포트 상에서 수신되도록 스케줄링되는 데이터 할당들에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의 송신된 심벌들은 동일한 안테나 포트 상에서 수신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 할당들은 서로 공간적으로 멀티플렉싱되지 않지만(즉, 별개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들이 스케줄링되지만), 또 다른 추가적인 UE의 데이터 할당들과 함께 공간적으로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멀티플렉싱된 기준 신호들 및 데이터 심벌들에 대한 별개의 시간 할당을 갖는 제1 및 제2 UE는 주파수 멀티플렉싱되지 않으며, 즉, 제1 및 제2 UE는 동일한 물리 주파수 자원들을 공유한다. 동일한 물리 주파수 자원은 자원 블록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12개의 서브캐리어)의 주파수 범위, 복수의 자원 블록들의 주파수 범위 또는 다른 무선 주파수 범위를 지칭할 수 있다. UE의 데이터 심벌들은 다른 UE의 데이터 심벌들과 동일한 물리 주파수 자원을 통해 송신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1 UE의 데이터 심벌들에 할당된 주파수 범위는 제2 UE의 데이터 심벌들에 할당된 주파수 범위와 동일하다(또는 중첩한다). 멀티플렉싱된 복조 기준 신호들은 동일한 주파수 범위에서 제1 및 제2 UE에 의해 송신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되는 서브프레임들(40)은 복수의 UE들로부터의 송신들에 의해 구성된다. 이 예에서, 제1 UE의 제1 데이터 할당(42a)은 3개의 심벌(예를 들어, SC-FDMA 심벌)을 갖는다. 제1 할당(42a) 내의 데이터는 TTI를 정의한다. 이 감소된 TTI(데이터 할당)는 감소된 레이턴시를 제공하고, 더 많은 UE들이 서브프레임에 시간 멀티플렉싱될 수 있게 한다.
이 예에서는, 4개의 UE가 서브프레임에서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40a)에서, 4개의 UE는 각각 '1', '2', '3' 및 '4'로 표시된 제1 데이터 할당(42a), 제2 데이터 할당(42b), 제3 데이터 할당(42c) 및 제4 데이터 할당(42d)에서 스케줄링된다. 제1 할당(42a)의 데이터 심벌들은 제1 UE에 의해 송신되고, 제2 할당(42b)의 데이터 심벌들은 제2 UE에 의해 송신된다. 제3 할당(42c)의 데이터 심벌들은 제3 UE에 의해 송신되고, 제4 할당(42d)의 데이터 심벌들은 제4 UE에 의해 송신된다. 복수의 UE들(제1 및 제2 UE)이 자원 블록에서 별개의 데이터 할당들을 갖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UE들(제1 내지 제4 UE)이 자원 블록 쌍에서 별개의 데이터 할당들을 갖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UE는 동일한 주파수 자원의 상이한 시간 할당들에서 스케줄링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후속 서브프레임(40b)은 예를 들어, 제5 내지 제8 UE의 추가적인 UE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5', '6', '7' 및 '8'로 표시되어 있다.
1ms 서브프레임 시간 길이는 기준 신호들을 위한 2개의 시간 유닛(심벌), 예를 들어, 심벌 3의 포지션에서의 제1 기준 심벌(36a) 및 심벌 10의 포지션에서의 제2 기준 심벌(36b)을 갖는다. 일부 예들에서, 제1 기준 심벌(36a)은 해당 서브프레임 또는 물리 자원 블록 쌍에 데이터 할당을 갖는 모든 UE들로부터의 멀티플렉싱된 기준 심벌들을 포함한다. 제2 기준 심벌(36b)은 또한 해당 서브프레임 또는 물리 자원 블록 쌍에 데이터 할당을 갖는 모든 UE들로부터의 멀티플렉싱된 기준 심벌들을 포함한다. 이 경우, 서브프레임 또는 물리 자원 블록 쌍 내의 모든 기준 심벌들은 해당 물리 자원 블록 쌍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복수의 UE들 모두,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UE로부터의 멀티플렉싱된 기준 신호들을 포함한다. 기준 신호, 예를 들어, 데이터 할당(42a)을 갖는 제1 UE에 대한 심벌 10에서의 기준 신호는 데이터 심벌과 연속되지 않은 시간에 UE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특정 시간에는, 단지 하나의 UE에 대한 데이터가 물리 자원 블록에서 송신된다.
이는 채널의 시간 변화들을 따를 때 수신기의 고정밀도를 가능하게 한다. 이는 특정 UE가 전체 시간 길이에서,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의 전체 시간 길이에 걸쳐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을 때조차도 그러하다.
추가적인 예에서, 특정 기준 심벌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UE들의 서브세트로부터의 멀티플렉싱된 기준 신호들만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심벌(36a)은 각각 제1 및 제2 할당들(42a, 42b)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1 및 제2 UE로부터의 멀티플렉싱된 기준 신호들만을 포함한다. 제2 기준 심벌(36b)은 각각 제3 및 제4 할당(42c, 42d)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3 및 제4 UE로부터의 멀티플렉싱된 기준 신호들만을 포함한다. 이 경우, 서브프레임 또는 자원 블록 쌍은 복수의 UE들로부터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각각의 UE는 단지 하나의 심벌 포지션에서 기준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각각의 UE는 서브프레임에서의 심벌 시간에서만 기준 신호를 송신하며, 즉, 서브프레임에서의 추가적인 기준 신호 심벌 시간에서는 송신하지 않는다. 이것은 수신기가 사용자 데이터 심벌들을 처리(복조)하기 전에 서브프레임 시간 길이에서 두 기준 신호들 모두를 대기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예를 들어, 기준 신호는 UE에 대해 데이터 할당(42a, 42b, 42c, 42d)의 바로 이전 또는 이후에 삽입된다.
일부 예들에서, 사용자 데이터 심벌들의 2개의 블록 사이의 기준 심벌(36a, 36b)은 기준 심벌 이전 및 이후의 사용자 데이터에 할당된 적어도 2명의 해당 사용자들에 대한 기준 신호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들에서, 복수의 UE들에는 슬롯 또는 물리 자원 블록에서 데이터 심벌들의 별개의 시간 할당이 스케줄링된다. 기준 신호는 해당 슬롯 또는 물리 자원 블록에서 별개로 스케줄링된 UE들에 의해 송신된다. 이러한 기준 신호들은 멀티플렉싱된다. 멀티플렉싱된 기준 신호들은 해당 슬롯 또는 물리 자원 블록, 또는 서브프레임 또는 물리 자원 블록 쌍에 대해 스케줄링된 UE들 중 일부 또는 이들 전부에 대한 기준 신호들일 수 있다.
서브프레임이라는 용어는 물리 자원 블록 쌍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시간 인터벌 및 정의된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12개의 서브캐리어의 하나 이상의 배량 또는 하나 이상의 물리 자원 블록)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주파수 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시간 멀티플렉싱되는 UE들의 세트에 할당된 주파수 범위일 수 있다. 주파수 범위에서, 특정 시간에는 단지 하나의 UE만이 할당되거나 데이터 심벌을 송신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물리 자원들의 할당은 물리 시간 및 주파수 자원들에 기초한다. 양태들은 복수의 UE들이 물리 자원 블록 또는 물리 자원 블록 쌍을 공유하는 것과 관련된다. 복수의 UE들은 하나의 물리 자원 블록 또는 물리 자원 블록 쌍(예를 들어, 12개의 서브캐리어)보다 큰 주파수 범위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참조되는 주파수 범위 또는 서브프레임은 다른 UE들의 주파수 멀티플렉싱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데이터 심벌들에 대한 물리 자원들의 별개의 시간 할당은, 제한된 주파수 범위에 걸쳐 동일한 물리 자원 블록, 물리 자원 블록 쌍 또는 서브프레임을 공유하는 해당 UE들에 대한 별개의 시간 할당을 의미한다.
도 5는 서브프레임들(50)에서의 물리 자원들의 할당에 대한 추가적인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데이터 할당 내의 2개의 심벌(예를 들어, SC-FDMA)은 동일한 TTI에 포함된다. 따라서, 2개의 데이터 심벌의 블록은 UE에 대한 TTI로서 할당되거나 스케줄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50)은 제1 할당(52a), 제2 할당(52b), 제3 할당(52c), 제4 할당(52d), 제5 할당(52e) 및 제6 할당(52f)을 포함한다. 각각의 할당(52a, 52b, 52c, 52d, 52e, 52f)은 셀 내의 별개의 제1 내지 제6 UE에 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각각의 데이터 심벌은 물리 자원들의 특정 또는 고유 시간 할당을 갖는다. 일부 양태들에서, 상이한 시간 자원들이 서브프레임 내에서 송신하는 각각의 UE에 할당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물리 자원 블록 쌍에 대응하는 주파수 자원이 그러한 UE들에 의해 사용된다. 이러한 물리 자원들의 할당은 특히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예를 들어, eNodeB로서 구현됨)의 서빙 셀을 위한 것이다.
위의 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1ms 서브프레임은 제1 기준 심벌(36a) 및 제2 기준 심벌(36b)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멀티플렉싱된 기준 신호들을 갖는 심벌이 반드시 동일한 UE와 연관된 데이터 심벌들 다음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기준 심벌들은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의 기준 신호들을 멀티플렉싱하는 데 사용된다. 사용자 데이터의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기준 심벌들(36a, 36b)은 대응하는 데이터(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의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데이터 심벌의 제1 할당(52a)은 임의의 기준 신호, 예를 들어, 제1 기준 심벌(36a)에 시간적으로 인접하지 않는다. 이 경우, 제1 할당(52a)은 제1 기준 심벌(36a) 이전에 스케줄링된다. 추가적인 예에서, 제3 할당(52c)은 제1 또는 제2 기준 심벌들(36a, 36b)에 시간적으로 인접하지 않으며, 제1 기준 심벌(36a) 이후에 스케줄링된다. 따라서, UE는 (비-멀티플렉싱된) 데이터 심벌들 이후 및/또는 이전에 멀티플렉싱되는 기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기준 심벌(36a, 36b)은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스케줄링되는 모든 UE들, 또는 단지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스케줄링되는 UE들 중 일부(서브세트)에 대한 기준 신호들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복수의 기준 심벌들은 사용자 데이터 심벌들에 대한 포지션들에서 채널 추정들을 개선하기 위해 결합되거나 보간될 수 있다.
이 예에서, UE에 대한 하나 이상의 할당에 대한(즉, TTI에서의) 데이터 심벌들은 서로 시간적으로 인접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할당(52b)은 제1 기준 심벌(36a)에 의해 분할되어, 제2 할당(52b)이 시간적으로 제1 기준 심벌(36a) 이전 및 이후 모두에 있다. 데이터 심벌들의 제2 할당(52b)(또는 TTI)은 심벌 2 및 4에 있다. 기준 심벌들(36a, 36b)은 1ms 서브프레임 내의 통상적인 포지션들에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그러한 분할된 데이터 할당들(52b, 52e)은 인접한 데이터 할당들, 예를 들어, 제3 할당(52c)보다 높은 레이턴시의 송신 데이터를 갖는다. 제3 할당(52c)은 기준 신호들(36a) 이후이므로, eNodeB가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해 대기할 필요가 없다. eNodeB는 제1 할당(52a)의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기 전에 심벌 3의 기준 신호들(36a)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
도 6은 데이터 심벌들의 대안적인 매핑을 갖는 서브프레임들(60)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데이터(예를 들어, SC-FDMA) 심벌들은 도 5의 예와 비교하여 시간적으로 하나의 심벌만큼 시프트된다. 도 5의 예와 같이, 서브프레임마다 UE에 대한 TTI 또는 데이터 할당에서 2개의 데이터 심벌이 송신된다. 도 6의 예에서, 하나의 UE로부터의 2개의 데이터 심벌은 시간적으로 서로 인접하여 위치한다. 이와 같이, UE에 대한 TTI는 기준 신호 주위에서 분할되지 않는다.
제1 내지 제5 할당(62a, 62b, 62c, 62d, 62e)이 제1 서브프레임(60a)에서 송신된다. 제1 할당(62a)은 서브프레임의 시작 이후에, 예를 들어, 심벌 1에서 시작된다. 기준 심벌들은 서브프레임 내의 통상적인 포지션들, 즉, 심벌 3 및 10에 위치한다. 서브프레임들(60)은 데이터 할당들 중 어느 것도 기준 신호들에 의해 2개의 비연속적인 부분으로 분할되지 않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2 할당(62b)이 도 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기준 심벌(36a)에 의해 분할되지 않는다. 대신에, 제2 할당(62b)은 제1 기준 심벌(36a) 뒤에 온다.
이 예에서는, 하나의 UE의 데이터 심벌들이 제1 서브프레임(60a)과 후속하는 제2 서브프레임(60b) 또는 물리 자원 블록 쌍 사이에서 분할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제6 할당(62f)의 데이터 심벌들은 서브프레임들(60a, 60b) 사이에서 분할된다. 서브프레임들(60a, 60b)은 한 쌍의 서브프레임들 또는 인접한 자원 블록 쌍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심벌들의 별개의 물리 자원 할당은 다른 사용자 장비에 대한 통신의 한 쌍의 서브프레임들에서의 별개의 시간 할당이다. 한 쌍의 서브프레임들은 한 쌍의 서브프레임들의 시간 기간, 예를 들어, 2ms를 지칭한다. 예들은 1ms의 LTE 릴리스 8의 서브-프레임들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기준 신호들은 위의 임의의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멀티플렉싱된다.
도 7은 데이터 심벌들의 서브프레임들(70)에의 매핑의 추가적인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동일한 TTI에 단지 하나의 데이터 심벌만이 포함된다. 각각의 UE에는 서브프레임 또는 물리 자원 블록 쌍마다 단일 데이터 심벌만이 할당된다. 예를 들어, 제1 UE에 대한 제1 데이터 할당(72a)은 서브프레임에서 단지 하나의 심벌만을 갖는다. 이 예에서, 12개의 UE는 서브프레임 시간 기간에서의 데이터에 대한 별개의 시간 할당들 및 동일한 물리 주파수 자원을 갖는다. 제1 UE는 서브프레임에서 하나 이상의 기준 신호 심벌(36)을 추가로 송신한다. 복수의 UE들의 기준 신호들은 동일한 기준 심벌로 멀티플렉싱된다. 기준 신호들은 위의 임의의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멀티플렉싱되는데,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에서 송신하는 모든 UE들은 모든 기준 신호 심벌들에서 또는 단지 하나의 기준 신호 심벌에서만 송신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기준 신호 심벌은 해당 서브프레임 또는 물리 자원 블록 쌍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UE들로부터의 기준 신호들 전부 또는 이들의 서브세트의 멀티플렉싱이다.
설명된 예들 중 임의의 예에서, 기준 신호들은 동일한 심벌(들)에 코드 멀티플렉싱된다. 예를 들어, 기준 신호들은 순환 시프트(및 OCC)를 사용하여 멀티플렉싱된다. 예를 들어, LTE 릴리스 8의 사양, 예를 들어, 3GPP TS 36.211,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Technical Specification,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V12.5.0에 정의된 바와 같이, 최대 12개의 상이한 UE가 순환 시프트들을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심벌에 코드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http://www.3gpp.org/ftp/Specs/archive/36_series/를 참조하도록 한다. 순환 시프트는 기준 신호의 주파수 도메인 선형 위상 회전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UE들은 동일한 SC-FDMA 심벌 내에서 기준 신호들의 상이한 시간 순환 시프트들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순환 시프트는 기준 신호의 공지된 순환 시간 지연에 대응한다. 이러한 순환 시간 지연이 무선 채널의 지연 확산보다 큰 경우, 수신기는 상이한 사용자들에 대한 채널들을 별개로 추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동일한 슬롯, 서브프레임, 물리 자원 블록 또는 물리 자원 블록 쌍에서 송신하는 복수의 UE들로부터의 기준 신호들(36)은 주파수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예의 기준 신호들(36)은 주파수 빗(frequency comb)들을 사용하여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기준 신호들은 미리 결정된 주파수 또는 서브캐리어 인터벌에서 반복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로부터의 기준 신호들이 매 6번째 캐리어마다 송신되도록, 6의 "반복 인자(repetition factor)"가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예를 들어, 무선 채널 코히어런시 대역폭들과 관련이 있는 경우, LTE 릴리스 8 셀 특정 기준 신호(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s)(CRS) 설계가 사용된다. 일부 예들에서, 주파수 멀티플렉싱은 데이터 할당들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주파수 자원들을 통해 이루어진다. 복수의 주파수 멀티플렉싱된 복조 기준 신호들은 동일한 시간에서,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의 심벌 3 및/또는 심벌 10에서 송신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복수의 기준 신호들이 상이한 주파수 빗들에 의해 멀티플렉싱되는 경우, 순환 시프트들에 의해 멀티플렉싱되는 기준 신호들의 수는 동일한 양만큼 감소된다. 일부 예들에서는, 상이한 순환 시프트들 및 빗들에 대응하는 상이한 기준 신호들 사이의 간섭이 낮아지도록, 주파수 빗들 및 순환 시프트들이 결합 및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복수의 복조 기준 신호들은 코드 멀티플렉싱 또는 주파수 멀티플렉싱에 의해 멀티플렉싱된다. 복수의 UE들의 세트의 기준 신호들은 공간 멀티플렉싱에 의해 멀티플렉싱되지 않는다. 이 UE들의 세트의 기준 신호들은 코드 또는 주파수 멀티플렉싱에 의해 멀티플렉싱된다. 이 UE들의 세트에 있어서, 각각의 UE는 데이터 심벌들의 별개의 시간 할당을 갖는다. 데이터 심벌들의 별개의 시간 할당은 해당 UE들의 세트에 의해서만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자원 블록)에 대한 것이다. 기준 신호들의 주파수 멀티플렉싱은 UE들의 세트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 또는 자원 블록 또는 자원 블록 쌍 내에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UE들의 세트 중의 UE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와 공간 멀티플렉싱되고/되거나 주파수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또는 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은 제한된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자원 블록 주파수 범위)의 UE들의 세트, 및 해당 세트 내의 다른 UE들과 공간적으로 멀티플렉싱되지 않은 UE들의 세트에 적용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기준 신호는 코드 멀티플렉싱(예를 들어, 순환 시프트/OCC) 및 주파수 멀티플렉싱(예를 들어, 주파수 빗을 사용) 모두를 사용하여 멀티플렉싱된다. UE들은 상이한 코드들(예를 들어, 순환 시프트들) 및 주파수들(예를 들어, 빗들)에 대응하는 상이한 기준 신호들 사이의 간섭이 낮아지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로 구성된다.
상이한 UE들로부터의 멀티플렉싱된 기준 신호들은 서브프레임의 동일한 기본 시간 유닛에서 송신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할당된 시간 기본 유닛을 공유하는 자원 엘리먼트들이 복수의 기준 심벌들에 대해 사용된다. 멀티플렉싱된 기준 심벌들은 또한 자원 블록 또는 자원 블록 쌍 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는 UE들로부터 온 것이다. 일부 예들에서, 자원 블록 또는 자원 블록 쌍은 시간-주파수 물리 자원, 예를 들어, 시간 도메인에서의 7개 또는 14개의 심벌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12개의 서브캐리어에 대응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기준 신호는 데이터 심벌들과 함께 물리 자원에서 송신된다. 이와 같이, 기준 신호는 UE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심벌들과 동일한 자원 블록 또는 서브프레임, 또는 시간적으로 인접한 자원 블록 또는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다. 예를 들어, 기준 신호들에 의한 주파수 대역폭(즉, 기준 신호들에 의해 사용되는 서브캐리어들)은 UE로부터의 데이터와 동일하다. 일부 양태들에서, 기준 신호는 항상 데이터 심벌들과 함께 또는 이와 연관되어 물리 자원에서 송신된다.
상기 예들에서, 기준 심벌은 슬롯 또는 자원 블록의 중심 심벌(예를 들어, SC-FDMA 심벌)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기준 심벌은 슬롯의 시간 중심에 있다. 대안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원리를 변경하지 않고도, 기준 심벌은 상이한 포지션에 삽입될 수 있다. 슬롯의 중간에서 기준 신호를 사용하는 것은 기지국(예를 들어, eNodeB)이 레거시 릴리스 8의 UE들과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 따라 동작하는 UE들의 혼합에 대한 간섭 측정들을 위해 기준 심벌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레거시 UE들에 의해서도 사용되는 중심 심벌로서의 기준 신호의 포지션은 기준 심벌이 최악의 경우의 간섭 시나리오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TTI의 길이가 (즉,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 길이 미만으로) 감소되면, 각각의 TTI에 대해 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기준 신호는 상대적으로 증가된 오버헤드, 및 대응하는 데이터 레이트의 감소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2개의 심벌의 TTI에서는, LTE 릴리스 8에서 사용되는 14개의 심벌(12개의 데이터 심벌, 2개의 기준 심벌) 중의 12개와 비교하여, 절반의 심벌들(하나의 데이터 심벌 및 하나의 기준 심벌)만이 데이터 송신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심벌의 TTI의 경우, 심벌이 기준 신호 또는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는 사용될 수 있지만 둘 다에는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현재의 업링크(SC-FDMA) 구조는 사용될 수 없다. 비멀티플렉싱된 데이터 심벌들에 대한 기준 심벌들의 멀티플렉싱은 감소된 오버헤드 또는 증가된 데이터 레이트를 제공한다. 상이한 UE들로부터의 기준 신호들의 멀티플렉싱은 또한 각각의 UE에 의해 동일한 수의 기준 심벌들이 사용되게 할 수 있지만, 그 데이터 할당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감소된 TTI 또는 송신 길이를 갖는 것으로 고려된다. 일부 예들에서, TTI는 최초로 송신된 데이터 심벌부터 마지막으로 송신된 데이터 심벌까지의 시간 인터벌로서 고려되며, 이에 대한 데이터 심벌들은 공동으로 채널 코딩된다. 이것은 기준 심벌들, 예를 들어, 연관된 데이터 심벌들과 시간적으로 연속하지 않은 기준 신호 심벌들을 제외할 수 있다. 기준 신호들(DM-RS)은 여전히 UE에 의해 송신되고 데이터와 연관되며, 본 개시내용의 예들은 기준 신호 송신 타이밍들을 변경하지 않고도 감소된 레이턴시를 제공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서브프레임들(80)의 추가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7에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UE가 서브프레임(80)에서 기준 신호들(36) 및 데이터 심벌들을 송신하기 위한 자원 할당이 제공되며, 여기서 기준 신호들(데이터 심벌들은 제외)은 멀티플렉싱된다. 서브프레임에서의 각각의 UE에 대한 데이터 할당은 하나의 심벌 기간이며,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할당(82a)은 하나의 심벌의 길이(TTI)를 갖는다. 이 예에서, UE에 대해 할당된 기준 심벌(36)은 특정 UE로부터의 데이터에 앞서 있다(즉, 그 이전에 송신된다).
예를 들어, 제3 UE에 대한 제3 데이터 할당(82c)의 경우, 가장 가까운 기준 신호는 제3 데이터 할당(82c)에 바로 후속하는 제1 기준 심벌(36a)이다. 이 예에서, 기준 심벌(36a)은 제3 UE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제3 UE는 이전 프레임으로부터의 선행하는 기준 심벌(도시 생략)을 사용한다. 제4 데이터 할당(82d)의 경우, 선행하는 기준 심벌(36a)이 기준 신호의 송신에 사용된다. 이것은 시간적으로 가장 가까운 기준 심벌이기도 하다. 심벌 4 내지 9에 데이터 할당들을 갖는 UE들(제4 내지 제9 UE)로부터의 기준 신호들은 단일 기준 신호(36a)로 멀티플렉싱된다. 후속하는 서브프레임의 심벌 11 내지 심벌 2에 데이터 할당들을 갖는 UE들(제10 내지 제15 UE)로부터의 기준 신호들은 추가적인 단일 기준 신호(36b)로 멀티플렉싱된다. 데이터 할당들 및 연관된 기준 신호들은 한 쌍의 서브프레임들, 2개의 자원 블록 또는 2개의 물리 자원 블록 쌍을 통해 배열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기준 심벌이 데이터 심벌(들) 이전에 송신되는 방법의 경우, 채널 추정이 항상 이용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채널 추정이 획득되기 전에 추가적인 대기 시간이 없다.
이것은, 기준 심벌이 데이터 심벌(들)의 이전 또는 이후에 있는 것에 관계없이, 데이터 심벌들에 (시간적으로) 가장 가까운 기준 심벌들을 사용하는 UE의 전술한 예들 중 임의의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대안과 대조된다. 일부 예들에서, UE는 사용자 데이터에 근접하여 채널 추정이 사용될 수 있도록 모든 기준 신호 심벌 할당들에서 기준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UE는 그 후 사용자 데이터의 가능한 수신을 수신하고 처리하도록 준비된다.
기준 신호들은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 기간에서 몇몇 심벌들(예를 들어, SC-FDM 심벌들)로 송신될 수 있다. 기준 신호들에 사용되는 심벌들의 수를 증가시키면, 더 높은 기준 신호 오버헤드의 비용으로 더 많은 사용자들이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데이터에 가장 가까운 기준 심벌 할당을 사용하면, 특히 페이딩 채널에서 높은 품질의 채널 추정을 제공한다. 저속 UE의 경우, 페이딩은 제한사항이 아닐 수 있으며, 데이터에 앞서 기준 심벌을 송신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물리 업링크 채널(예를 들어, PUSCH) 상에서의 기준 신호들의 대역폭 및 데이터 송신의 대역폭은 동일하지 않다. UE는 예를 들어, PUSCH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동적으로) 구성되기 전에 기준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기준 신호는 실제 데이터(예를 들어, PUSCH) 송신과 비교하여 상이한 (예를 들어, 더 큰) 대역폭을 커버할 수 있다.
MU-MIMO에서, 몇몇 UE들은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자원들을 공유한다. 응용의 예들은 MU-MIMO, 예를 들어, 업링크 MU-MIMO에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의 사용자 장비는 공간적으로 멀티플렉싱된다(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설명된 예들 중 임의의 예에 있어서, 복수의 UE들은 시간-주파수 자원의 동일한 심벌 내에서 송신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기지국에서의) 몇몇 수신기 안테나들, 복조 시에 다중-사용자 검출이 가능한 수신기 및 복조 시에 사용자 신호들을 분리하기에 충분히 풍부한 무선 채널을 필요로 한다. 이 복조 내에서,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무선 채널이 추정되어야 한다. 사용자들의 시간 멀티플렉싱에 대해 이전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MU-MIMO에 의한 사용자들의 공간 멀티플렉싱을 사용하면, 기준 신호들은 서브프레임의 특정 시간에서의 심벌(예를 들어, SC-FDM 심벌)에서 멀티플렉싱된다. 여기서, 공간 멀티플렉싱된 사용자들은 상이한 기준 신호들에 대해 상이한 순환 시프트 또는 주파수 빗들을 사용할 수 있다.
UL MU-MIMO 실시예에서, 사용자 데이터는 동일한 SC-FDMA 심벌에서 기준 신호들을 송신하는 송신기들의 서브세트로부터 송신된다.
일부 예들에서,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비의 통신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FDD)에 기초한다. 본 개시내용의 예들은 또한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통신 네트워크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기준 신호들은 업링크 물리 채널들의 코히어런트 복조를 위한 채널 추정을 위해 기지국에 의해 사용된다. 복조 기준 신호는 그것이 사용되는 채널, 예를 들어, PUSCH 또는 PUCCH에서만 송신될 수 있다. 기준 신호들은 적어도 대응하는 물리 채널과 동일한 주파수 범위에 걸쳐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복조 기준 신호가 데이터 심벌을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복조 기준 신호는 데이터 심벌과 연관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예들은 연관된 복조 기준 신호들 및 데이터 심벌들에 관한 것이다. 연관된 기준 신호 및 데이터는 동일한 UE로부터 송신된다. 연관된 복조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심벌들은 인접한 심벌 기간들에서 송신될 수 있고, 또는 복조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심벌들은 인접하지 않은 심벌 기간들 내에 있을 수도 있다. 연관된 복조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심벌들은 서브프레임 시간 기간의 동일한 슬롯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는, 연관된 복조 기준 신호 및 데이터 심벌들이 2개의 서브프레임의 기간에 걸쳐 송신된다.
예들은 동일한 기지국과 통신하는 UE들에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 기준 신호들을 멀티플렉싱하는 UE들은 기준 신호들 및 데이터 심벌들을 동일한 기지국(예를 들어, eNB)으로 송신한다. 일부 예들에서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사용되는 기지국이 상이하다. 이 예에서, (다운링크에서) 사용자 장비를 시그널링하는 데 사용되는 기지국은 업링크에서 신호들을 수신하는 기지국과 상이하다. 이 예는 제1 기지국이 제2 기지국보다 양호한 다운링크를 갖고, (제1 기지국과 비교하여) 업링크가 제2 기지국에 대해 더 양호한 경우에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예들은 (예를 들어, TTI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한) 데이터 및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시간의 감소 및/또는 제어 시그널링의 처리 시간(예를 들어, UE가 허가 신호를 처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의 감소에 의해 패킷 레이턴시 감소를 제공한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 중 일부의 실시예들을 수행할 수 있는 기지국 또는 eNB(401)의 예시적인 노드 구성을 예시한다. 기지국(401)은 통신 데이터, 명령어들 및/또는 메시지들을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무선 회로 또는 통신 포트(41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회로 또는 통신 포트(410)는 임의의 수의 송수신, 수신 및/또는 송신 유닛들 또는 회로로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무선 회로 또는 통신 포트(410)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입력 또는 출력 통신 포트의 형태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무선 회로 또는 통신 포트(410)는 RF 회로 및 기저 대역 프로세싱 회로(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401)은 또한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예에 따라 UE를 구성하기 위한 스케줄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프로세싱 유닛 또는 회로(4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420)는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컴퓨팅 유닛,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회로일 수 있다. 기지국(401)은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일 수 있으며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타입일 수 있는 메모리 유닛 또는 회로(4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30)는 수신된 및/또는 송신된 및/또는 측정된 데이터, 디바이스 파라미터들, 통신 우선순위들 및/또는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기지국(401)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기지국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40)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10은 설명된 예들 중 하나 이상의 예를 수행할 수 있는 UE 또는 무선 단말기(505)의 예시적인 노드 구성을 예시한다. 무선 단말기(505)는 사용자 장비, 머신-대-머신 타입 디바이스, 또는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일 수 있다. 무선 단말기(505)는 통신 데이터, 명령어들 및/또는 메시지들을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무선 회로 또는 통신 포트(51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회로 또는 통신 포트(510)는 임의의 수의 송수신, 수신 및/또는 송신 유닛들 또는 회로로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무선 회로 또는 통신 포트(510)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입력 또는 출력 통신 포트의 형태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무선 회로 또는 통신 포트(510)는 RF 회로 및 기저 대역 프로세싱 회로(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단말기(505)는 다운링크 브로드캐스트 송신을 획득하도록,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예를 구성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프로세싱 유닛 또는 회로(5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 또는 유닛은 임의의 예에 따라 데이터 심벌들 및 멀티플렉싱된 기준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별개의 심벌들에 멀티플렉싱된 기준 신호 및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을 통신 회로를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다르게는, 디바이스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520)는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컴퓨팅 유닛,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회로일 수 있다. 무선 단말기(505)는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일 수 있으며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타입일 수 있는 메모리 유닛 또는 회로(5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30)는 수신된 데이터 및/또는 송신된 및/또는 측정된 데이터, 디바이스 파라미터들, 통신 우선순위들 및/또는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기준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무선 단말기(105; 505)에 의해 취해질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을 도시하는 흐름도(110)이다. 이들 동작들은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임의의 동작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모든 동작들이 수행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시적인 동작들은 임의의 순서 및 임의의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111)에서, UE는 기준 신호에 대한 멀티플렉싱 정보를 결정한다. 멀티플렉싱 정보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시그널링에서 수신될 수도 있고, 또는 내부적으로 저장된 정보 또는 하나 이상의 측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UE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멀티플렉싱 정보는 사용하는 코드 멀티플렉싱(예를 들어, 순환 시프트 및/또는 OCC) 및/또는 주파수 멀티플렉싱 구성의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자원들은 eNodeB 또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스케줄링된다. 일부 예들에서, 시그널링은 MU-MIMO의 순환 시프트들에 사용되는 공지된 시그널링과 유사하다. 일부 양태들에서, UE는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송신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스케줄링은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다른 UE들의 데이터 심벌 송신에 대한 데이터 심벌 송신의 별개의 시간 할당에 대한 것이며, 여기서 UE는 멀티플렉싱된 기준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113)에서, UE는 기준 신호를 송신한다. 기준 신호는 결정된 시간-주파수 자원을 통해 송신된다. 송신되는 기준 신호는 다른 UE들로부터의 기준 신호들과 멀티플렉싱된다. 이는 수신 기지국이 각각의 UE로부터의 기준 신호를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처리하게 할 수 있다.
단계(115)에서, UE는 데이터 심벌들을 송신한다. 데이터 심벌들의 송신은 데이터 심벌들의 복조에 사용되는 기준 신호 이전 및/또는 이후에 한다. 데이터 심벌들은 동일한 주파수 및 동일한 수신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는 다른 UE들에 대해 스케줄링된 시간 자원과는 별개인 스케줄링된 시간 자원에서 송신된다.
도 12는 기준 신호들 및 데이터 심벌들의 업링크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기지국(103, 401)에 의해 취해질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을 도시하는 흐름도(120)이다. 이들 동작들은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임의의 동작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모든 동작들이 수행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시적인 동작들은 임의의 순서 및 임의의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121)에서, 기지국은 제1 UE로부터 제1 기준 신호를 수신한다. 동시에, 단계(123)에서, 기지국은 제2 UE로부터 멀티플렉싱된 제2 기준 신호를 수신한다. 기지국은 예를 들어, 코드 및/또는 주파수 디멀티플렉싱에 의해 제1 및 제2 기준 신호를 디멀티플렉싱한다.
단계(125)에서, 기지국은 제1 데이터 심벌들을 수신한다. 제1 데이터 심벌들은 제1 UE와 연관된 서브프레임의 시간 할당에서 수신된다.
단계(127)에서, 기지국은 제2 데이터 심벌들을 수신한다. 제2 데이터 심벌들은 제2 UE와 연관된 서브프레임의 별개의 시간 할당에서 수신된다. 제2 데이터 심벌들은 제1 데이터 심벌들의 수신이 완료된 이후에만 수신된다.
단계(129)에서, 기지국은 수신된 기준 신호들 및 데이터 심벌들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연관된 수신된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데이터 심벌을 복조한다. 복조는 기준 신호로부터 도출된 채널 추정을 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기지국은 제1 및 제2 UE의 멀티플렉싱된 기준 신호들의 제공을 위해 멀티플렉싱 정보를 제1 및 제2 UE에 송신한다. 송신된 정보는 멀티플렉싱된 기준 신호들이 기지국에 의해 분리되도록 한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기지국은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복수의 UE들에 대한 스케줄링을 결정한다. 기지국은 임의의 예에 따라 스케줄링을 결정하는데, 예를 들어, 복수의 UE들이 복조 기준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공통 시간 할당, 및 각각의 UE가 연관된 데이터를 별개로 송신하기 위한 각각의 서브프레임(또는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에서의 별개의 시간 할당을 결정한다. 기지국은 제1 및 제2 UE의 데이터 및/또는 기준 신호 할당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대응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제1 및 제2 UE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본 개시내용은 본 개시내용의 본질적인 특성들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 이외의 다른 방식들로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모든 면들에서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 방법은 LTE 네트워크에서 PUSCH를 통해 데이터(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와 함께 기준 신호(예를 들어, DM-RS)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은 멀티플렉싱되기에 적절한, 예를 들어, 동일한 심벌을 통해(즉,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물리 자원을 통해) 송신하는 다른 UE들로부터의 기준 신호들에 직교하는 기준 신호를 생성 및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또한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들, 컴퓨터 프로그램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을 포함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을 전송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회로, 및 통신 회로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데이터 심벌들의 할당, 기준 신호 구성을 결정하고/하거나 데이터 심벌들 및 기준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디바이스로 하여금 본 명세서의 방법들 중 임의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캐리어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캐리어는 전자 신호, 광 신호, 무선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중 하나이다.
다수의 구현들이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감소된 레이턴시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양태들은 경험의 증가된 인지 품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들로는 게이밍, 실시간 애플리케이션들, 예를 들어, VoLTE/OTT VoIP 및 다자간 화상 회의가 있다. 지연에 민감한 추가적인 응용들, 예를 들어, 차량들의 원격 제어/구동, 예를 들어, 스마트 안경에서의 증강 현실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낮은 레이턴시를 요구하는 특정 머신 통신 또한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송신의 레이턴시가 감소되면 상위 계층 제어 시그널링의 보다 빠른 송신으로 인해 호 설정/베어러 설정과 같은 무선 제어 평면 프로시저들을 간접적으로 더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서브프레임에 대한 임의의 참조는 서브프레임의 시간 기간, 예를 들어, 1ms를 참조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에 대한 참조들은 서브프레임의 주파수 자원들, 예를 들어, 자원 블록 또는 자원 블록 쌍의 주파수 자원들의 서브세트만을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주파수 자원들은 셀에 의해 서빙되는 UE들의 세트, 일부 예들에서는, 셀에 의해 서빙되는 UE들의 서브세트에 의해 공유된다. 상이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추가적인 UE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내용에 따라 동작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UE들의 세트의 일부가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은 업링크뿐만 아니라 다운링크 및/또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송신들에도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업링크에 대한 임의의 참조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UE로의 다운링크를 참조하도록 반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태들은 업링크가 아니라 다운링크 및/또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송신들을 위해 낮은 PAPR을 제공하는 설명된 단일 캐리어를 활용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은 SC-FDMA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설명되었다. 대안적으로, 임의의 예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OFDMA)에서 사용하도록 적용가능하다.

Claims (20)

  1. 통신 네트워크에서 복조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에서의 방법으로서,
    상기 복조 기준 신호에 대한 멀티플렉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다른 사용자 장비의 복조 기준 신호와 동일한 시간 할당 및 동일한 물리 주파수 자원에서 상기 멀티플렉싱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복조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 심벌들의 시간 할당에 대한 물리 자원들의 별개의 시간 할당에서 상기 동일한 물리 주파수 자원을 통해 상기 복조 기준 신호와 연관된 데이터 심벌들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심벌들의 별개의 물리 자원 할당은 서브프레임, 슬롯, 물리 자원 블록, 물리 자원 블록 쌍 또는 다른 사용자 장비에 대한 통신의 한 쌍의 서브프레임들의 별개의 시간 할당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슬롯, 서브프레임 또는 2개의 서브프레임의 기간에서 상기 기준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심벌들을 송신하고,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슬롯, 서브프레임 또는 2개의 서브프레임에서 다른 사용자 장비의 기준 신호와 멀티플렉싱되고,
    상기 슬롯, 서브프레임 또는 2개의 서브프레임의 기간의 별개의 시간 할당에서 데이터 심벌들을 송신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멀티플렉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신호와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기준 신호를 코드 멀티플렉싱하기 위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상기 하나 이상의 기준 신호와의 코드 멀티플렉싱을 제공하도록 결정된 순환 시프트에 의해 상기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상기 하나 이상의 기준 신호와의 주파수 멀티플렉싱을 제공하는 주파수 인터벌들에서 상기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심벌들은 서브프레임 미만 및/또는 1밀리초 미만인 송신 시간 인터벌(transmission time interval)(TTI) 내에서 송신되는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심벌들은 1, 2, 3, 4, 5, 6, 7, 8, 9, 10, 11, 12 또는 13개의 심벌의 송신 시간 인터벌(TTI)로 송신되는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은 PUSCH 통신이고, 및/또는 상기 데이터 심벌들은 SC-FDMA 심벌들인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추가적인 다른 사용자 장비와 다중-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User Multiple In Multiple Out)(MU-MIMO) 통신의 일부로서 통신하는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와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의 송신된 심벌들은 기지국에서 동일한 안테나 포트 상에서 수신되도록 스케줄링되는 방법.
  12.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기 위한 기지국에서의 방법으로서,
    제1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1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2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동일한 시간 할당 및 동일한 물리 주파수 자원에서 멀티플렉싱됨 -,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1 데이터 심벌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2 데이터 심벌들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심벌들은 물리 자원들의 별개의 시간 할당에서 상기 동일한 물리 주파수 자원을 통해 수신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장비에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신호들에 대한 멀티플렉싱 정보를 각각 시그널링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장비에 데이터 심벌 송신을 위한 물리 자원들의 별개의 시간 할당의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싱 정보는 코드 멀티플렉싱 정보 및/또는 주파수 멀티플렉싱 정보인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신호들 및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심벌들은 단일 슬롯, 물리 자원 블록, 서브프레임, 물리 자원 블록 쌍 또는 인접한 서브프레임 또는 물리 자원 블록 쌍에서 수신되는 방법.
  16. 통신 네트워크에서 복조 기준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로서,
    상기 복조 기준 신호에 대한 멀티플렉싱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
    다른 사용자 장비의 복조 기준 신호와 동일한 시간 할당 및 동일한 물리 주파수 자원에서 상기 멀티플렉싱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복조 기준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회로, 및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 심벌들의 시간 할당에 대한 물리 자원들의 별개의 시간 할당에서 상기 동일한 물리 주파수 자원을 통해 상기 복조 기준 신호와 연관된 데이터 심벌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상기 무선 회로
    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복조 기준 신호들을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의 복조 기준 신호들과 코드 멀티플렉싱 및/또는 주파수 멀티플렉싱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18.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기지국으로서,
    제1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1 기준 신호를,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2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회로 - 상기 제1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기준 신호는 동일한 시간 할당 및 동일한 물리 주파수 자원에서 멀티플렉싱됨 -,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1 데이터 심벌들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2 데이터 심벌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심벌들은 물리 자원들의 별개의 시간 할당에서 상기 동일한 물리 주파수 자원을 통하는 기지국.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신호들에 대한 멀티플렉싱 정보를 결정하고/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한 데이터 심벌 송신을 위한 물리 자원들의 별개의 시간 할당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회로는 상기 멀티플렉싱 정보 및/또는 상기 별개의 시간 할당의 정보를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20.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제1항, 제2항 및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7004030A 2015-07-14 2015-07-14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기준 신호 KR102095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5/066037 WO2017008840A1 (en) 2015-07-14 2015-07-14 Reference signal in a communications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502A KR20180028502A (ko) 2018-03-16
KR102095894B1 true KR102095894B1 (ko) 2020-04-01

Family

ID=53716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030A KR102095894B1 (ko) 2015-07-14 2015-07-14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기준 신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80192321A1 (ko)
EP (1) EP3323217A1 (ko)
JP (1) JP6640980B2 (ko)
KR (1) KR102095894B1 (ko)
CN (1) CN107949999B (ko)
HK (1) HK1248038A1 (ko)
IL (1) IL256604A (ko)
NZ (1) NZ738983A (ko)
WO (1) WO20170088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0257B2 (en) 2014-09-26 2018-05-22 Qualcomm Incorporated Ultra-low latency LTE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US9955462B2 (en) 2014-09-26 2018-04-24 Qualcomm Incorporated Ultra-low latency LTE control data communication
US10708910B2 (en) * 2016-02-05 2020-07-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JP6722301B2 (ja) 2016-05-13 2020-07-15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ワイヤレスデバイスに対するアップリンク送信の設定
CN107547462A (zh) * 2016-06-24 2018-01-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处理方法及装置
WO2018029363A1 (en) 2016-08-12 2018-02-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control signaling on pusch with shortened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EP3985897A1 (en) 2016-09-30 2022-04-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 information mcs offset determination for uci on pusch with shortened tti
US10447457B2 (en) 2016-11-09 2019-10-15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pattern and pilot sharing for shortened transmission time interval wireless communications
US10425205B2 (en) 2016-12-22 2019-09-24 Qualcomm Incorporated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in low latency wireless transmissions
US10862640B2 (en) * 2017-03-24 2020-12-08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transient period configurations for shortened transmission time intervals
EP3602936B1 (en) 2017-03-24 2021-09-01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ownlink data transmissions
CN108632190B (zh) * 2017-03-24 2022-06-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发送、接收方法及装置、终端、基站
EP3627744A4 (en) * 2017-07-13 2020-06-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TRANSFER METHOD AND DEVICE
KR20210008411A (ko) 2018-05-11 2021-01-21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업링크 신호의 송신 방법 및 단말기
US11552762B2 (en) * 2018-08-10 2023-01-10 Ntt Docomo, Inc. Resource allocating method for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and base station
JP7107913B2 (ja) * 2019-12-26 2022-07-27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参照信号
CN116918417A (zh) * 2021-02-25 2023-10-20 华为技术有限公司 使用具有频域偏移的短参考符号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5100B2 (en) * 2007-07-30 2012-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fferent signal types in communication systems
KR101430490B1 (ko) * 2008-02-28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정보와 제어 정보의 다중화 방법
JP2012524453A (ja) * 2009-04-15 2012-10-1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参照信号を伝送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643258B1 (ko) * 2009-05-18 2016-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Lte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JP5043080B2 (ja) * 2009-08-20 2012-10-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システム
JP5087061B2 (ja) * 2009-10-30 2012-11-28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9357565B2 (en) * 2010-03-09 2016-05-31 Qualcomm Incorporated Multi-user uplink communication using EDCA with polling
KR101577518B1 (ko) * 2011-06-22 2015-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 포트를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US8842628B2 (en) * 2011-09-12 2014-09-23 Blackberry Limited Enhanced PDCCH with transmit diversity in LTE systems
US8942083B2 (en) * 2011-11-25 2015-01-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KR20150008163A (ko) * 2012-05-11 2015-01-21 옵티스 와이어리스 테크놀로지, 엘엘씨 특정 서브프레임 구성용 기준 신호 디자인
CN104641678B (zh) * 2012-09-16 2019-07-05 Lg 电子株式会社 在支持协作传输的无线通信系统中收发信道状态信息的方法和设备
US9253768B2 (en) * 2012-10-08 2016-02-02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s for an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US10038526B2 (en) * 2013-02-15 2018-07-3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Wireless device, a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D2D communication
CN104009827B (zh) * 2013-02-22 2019-05-2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用户设备专用解调参考信号的传输方法及设备
CN104301073B (zh) * 2013-07-17 2019-05-31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通信系统中的参考信号设置方法
EP3281437B1 (en) * 2015-04-10 2020-04-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Base station, terminal, receiving method, and transmission method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01223*
3GPP TS 36.211 V12.6.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23217A1 (en) 2018-05-23
JP2018527788A (ja) 2018-09-20
CN107949999A (zh) 2018-04-20
JP6640980B2 (ja) 2020-02-05
IL256604A (en) 2018-02-28
CN107949999B (zh) 2021-09-17
US20180192321A1 (en) 2018-07-05
KR20180028502A (ko) 2018-03-16
NZ738983A (en) 2019-08-30
WO2017008840A1 (en) 2017-01-19
HK1248038A1 (zh) 2018-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5894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기준 신호
EP3506543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scch and pssch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4997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terminal to transmit d2d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3166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signal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522628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resource and transmitting pssc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022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EP3444990A1 (en) Sidelink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of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3564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07925977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接收v2x终端的信号的方法和装置
AU2017338040B2 (en) Control of aperiodic signalling of SRS for wireless systems
US11412487B2 (en) Uplink channel multiplexing and waveform selection
US11115958B2 (en) Method whereby terminal transmits and receives sidelink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6118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de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070675A1 (zh) 下行信息发送、下行信息接收方法及装置
AU2017334941B2 (en) Reference signal design
US1147061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sidelink signal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sidelink and apparatus therefor
EP3402276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7107913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参照信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