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791B1 -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 - Google Patents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791B1
KR102095791B1 KR1020190075058A KR20190075058A KR102095791B1 KR 102095791 B1 KR102095791 B1 KR 102095791B1 KR 1020190075058 A KR1020190075058 A KR 1020190075058A KR 20190075058 A KR20190075058 A KR 20190075058A KR 102095791 B1 KR102095791 B1 KR 102095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hamber
housing
flush port
data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6405A (ko
Inventor
김성수
김정성
Original Assignee
용비에이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비에이티(주) filed Critical 용비에이티(주)
Priority to KR1020190075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791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6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determination or the variation of atmospheric pressure with height to measure the vertical components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18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ing liquid as the pressure-sensitive medium, e.g. liquid-column gauges
    • G01L7/18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ing liquid as the pressure-sensitive medium, e.g. liquid-column gauges 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8Adaptations of balloons, missiles, or aircraft for meteorological purposes; Radioson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는, 아웃터 커버(100)가 비행체(700)에 조립될 수 있고, 미들 커버(200)가 아웃터 커버(100)에 조립될 수 있으며, 하우징(300)이 미들 커버(200)에 조립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300)의 내부에는 센서(410)와 밸브 유닛(6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들 커버(200)는 수분과 기체를 분리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센서(410)는 수분의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로 공기에 작용하는 물리적 압력을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고, 상기 밸브 유닛(620)은 수분을 외부로 강제로 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Flush port air data system of flying object}
본 발명은 비행체가 비행할 때에 비행체의 표면에 작용하는 압력을 계측할 수 있도록 하는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행체에는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FADs)가 구비될 수 있다. 플러시 대기 자료 장치는 비행체 주위의 대기 환경에 관한 정보를 계측할 수 있다. 수집한 정보는 비행 고도와 비행 속도를 산출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예를 들면, 비행체 주위의 기압인 정압(靜壓, Static Pressure)과, 비행체의 전방부 정체점에서 발생하는 압력인 전압(全壓, Total Pressure), 비행체 주위의 대기 온도와 공기 압축 또는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온도를 고려한 전온도(全溫度, Total Temperature), 그리고 비행체 주위의 대기 흐름의 방향인 받음각(Angle of Attack) 등이 있다.
특히 상기 정보 중에서, 정압과 전압은 비행 고도와 비행 속도를 산출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종래에 비행체 주변의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0803호(2012.11.07.)에 기재된 L형 피토 정압관(L-Type Pitot-Static Tube)이 알려져 있다.
상기 L형 피토 정압관에는, 비행체가 비행하는 동안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공기에는 수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으로, 빗물의 일부는 비행체의 표면을 따라 흐르다가 공기 유통을 위하여 형성된 에어 홀을 통하여 공기자료장치에 특히 유입될 수 있다.
상기 L형 피토 정압관에는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가 있지만, 앞서 설명된 빗물 또는 수분이 결빙되어 상기 통로가 막힐 수 있다.
상기 통로가 막힌 경우에, 압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L형 피토 정압관은 압력을 측정할 수 없고, 이로써 공기자료장치는 압력과 관련한 전압 정보를 획득할 수 없기 때문에, 비행체 운항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한편으로, 비행체는 양력을 구현하기 위하여 날개가 유선형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해당 비행체의 제조 목적에 따라 운항될 비행 고도 및 비행 속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비행체 날개는 정교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특히 날개는 상측과 하측에 압력 차이가 발생하는데, 실제로 어느 정도 압력 차이가 발생하는지 실제로 계측할 수 있어야 하고, 실제로 계측한 압력 값을 참조함으로써 날개의 모양을 수정하여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비행체를 정교하게 제조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비행체의 겉 모양은 비행 속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데, 종래에 알려진 L형 피토 정압관은 돌출된 형태로써 비행 속도에 저항을 유발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0803호(2012.11.07.)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분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거나 유입된 수분이 응결되더라도 공기의 압력을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하여 압력과 관련한 자유흐름 압력(Free stream pressure) 정보를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는, 비행체의 표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함으로써, 비행체의 겉 모양의 설계 자유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는, 외측과 내측이 관통되도록 제1 에어 홀(140)이 형성되고, 비행체(700)에 설치되는 아웃터 커버(100); 상기 아웃터 커버(100)에 조립되고, 상기 제1 에어 홀(140)을 통하여 유입된 수분이 채워지도록 하는 챔버(240)가 형성되며, 챔버 바닥면(242)와 떨어진 위치에 제2 에어 홀(250)이 형성되고, 상기 챔버 바닥면(242)의 한쪽에 챔버 드레인 피팅 유닛(270)이 구비된 미들 커버(200); 상기 미들 커버(200)에 조립되고, 측벽에 하우징 드레인 피팅 유닛(340)이 구비된 하우징(300); 상기 하우징(330)의 내에 설치되고, 물리적인 공기 압력을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센서(410)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400); 상기 미들 커버(200)와 상기 센서(410)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에어 홀(250)을 통과한 공기 압력이 상기 센서(410)에 전달되도록 하는 슬리브(500); 상기 챔버 드레인 피팅 유닛(270)와 상기 하우징 드레인 피팅 유닛(340)을 연결하여 수분이 이동되도록 하는 튜브(610); 및 상기 챔버(240)에 수분이 설정 유량에 도달한 경우에 개방되어 수분을 배출시키도록 하는 밸브 유닛(62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의 상기 아웃터 커버(100)는, 제1 플레이트(110)의 한쪽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1 실린더(120); 및 상기 제1 실린더(120)의 안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 홀(140)이 연결된 제2 실린더(13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미들 커버(200)는, 상기 제1 실린더(120)와 결합되는 제3 실린더(220); 및 상기 제2 실린더(130)와 결합되고 상기 챔버(240)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4 실린더(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실린더(120)와 상기 제3 실린더(220)가 밀폐되고, 상기 제2 실린더(130)와 상기 제4 실린더(230)가 밀폐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의 상기 챔버 바닥면(242)은 상기 챔버 드레인 피팅 유닛(270)을 향하여 경사진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의 상기 튜브(610)는, 상기 챔버 드레인 피팅 유닛(270)에서 상기 하우징 드레인 피팅 유닛(340)까지 최단거리보다 3 배 내지 10 배의 길이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의 상기 하우징(300)은, 하우징 바닥 면(320)으로부터 높이를 갖도록 시트(330)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330)에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이 설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 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는,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그러한 수분이 압력을 검출하는 데에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는 수분이 일정 량 이상에 도달하면 수분을 강제로 배출시킬 수 있고, 이로써 수분에 의하여 압력을 검출하지 못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는, 비행체의 표면에 돌출되지 않고 매립되는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비행체 겉 모양의 설계 자유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아웃터 커버와 하우징을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하우징의 내부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가 비행체에 설치된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아웃터 커버와 하우징을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하우징의 내부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가 비행체에 설치된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는, 아웃터 커버(100), 미들 커버(200), 하우징(300), 인쇄회로기판(400), 슬리브(500), 튜브(610) 및 밸브 유닛(6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 커버(100)는, 외측과 내측이 관통되도록 제1 에어 홀(140)이 형성되고, 비행체(700)에 설치될 수 있다.
아웃터 커버(100)는 제1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에 제1 플랜지(112)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플랜지(112)에 제1 체결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 커버(100)는 나사못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체결부(152)을 통해 상기 비행체(7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 커버(100)의 한쪽에는 제2 체결부(154)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체결부(154)에는 제1 체결 유닛(156)에 의하여 상기 미들 커버(200)와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미들 커버(200)는, 상기 제1 에어 홀(140)을 통하여 유입된 수분이 채워지도록 하는 챔버(2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들 커버(200)는 챔버(240)의 챔버 바닥면(242)와 떨어진 위치에 제2 에어 홀(25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들 커버(200)는 상기 챔버 바닥면(242)의 한쪽에 챔버 드레인 피팅 유닛(27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미들 커버(200)는, 제2 플레이트(210)의 가장자리에 제2 플랜지(212)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플랜지(212)에는 제3 체결부(282)와 제4 체결부(28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체결 유닛(156)은 제3 체결부(282)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체결부(154)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미들 커버(200)에 조립될 수 있고, 측벽에 하우징 드레인 피팅 유닛(34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00)은 측벽에 케이블 슬리브(3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0)은 가장자리에 제3 플랜지(31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3 플랜지(310)에는 제5 체결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들 커버(200)의 제4 체결부(284)에는 제2 체결 유닛(286)이 관통하여 상기 제5 체결부(360)에 체결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미들 커버(200)와 상기 하우징(30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은 상기 하우징(330)의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센서(4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410)는 물리적인 공기 압력을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500)는 상기 미들 커버(200)와 상기 센서(410)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에어 홀(250)을 통과한 공기 압력이 상기 센서(41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에어 홀(250)의 한쪽에는 커넥트 홀(26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리브(500)의 인너 슬리브(510)가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500)의 다른 한쪽에는 아웃터 슬리브(52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아웃터 슬리브(520)는 센서(410)를 감싸는 형태로 센서(410)와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튜브(610)는 상기 챔버 드레인 피팅 유닛(270)와 상기 하우징 드레인 피팅 유닛(340)을 연결하여 수분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유닛(620)은 상기 챔버(240)에 수분이 설정 량에 도달한 경우에 개방되어 수분을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밸브 유닛(620)은 제어 신호에 의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수분이 설정 량의 검출은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써 예컨대, 수위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이러한 수위 센서는 챔버(240)의 한쪽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수분이 설정 량에 도달하는 경우에 수분 량 검출 신호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수분 량 검출 신호에 의하여 상기 밸브 유닛(620)이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는, 수분이 공기와 혼합된 상태로 챔버(240)의 내부로 유입되면, 수분은 챔버(240)의 내부에 채워지고, 공기만 제2 에어 홀(250)을 통과할 수 있다. 제2 에어 올(250)을 통과한 공기는 슬리브(500)를 경유하여 센서(410)에 도달할 수 있고, 센서(410)는 공기에 작용되는 물리적인 압력을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는,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그러한 수분은 센서(410)가 압력을 계측하는 데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한편, 기온이 너무 낮아 수분이 결빙될 가능성이 있지만, 결빙되는 경우도 얼음 결정은 챔버의 아래 쪽으로부터 차오르는 것으로써 제2 에어 홀(250)이 막힐 우려가 없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는, 비행체에서 압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라면 어느 위치이든 설치가 가능한 것으로써, 비행체 날개의 아래쪽에 거꾸로 뒤집어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수분이 제2 에어 홀(250)을 통과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는, 비행체의 전방이나 비행체의 측면에 설치될 가능성이 있고, 이때 기울어지거나 눕혀진 자세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에도, 제2 에어 홀(250)은 챔버(240)의 중간 높이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수분이 제2 에어 홀(250)을 통과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는, 비행체의 어느 위치에 설치되더라도 수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비행체의 표면에 작용하는 압력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는. 비행체의 불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표면에 작용하는 압력을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검출함으로써 비행체의 안전운항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는, 비행체의 표면에 돌출되지 않고 매립되는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비행체의 겉 모양의 설계를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써 설계 자유를 증대할 수 있어 첨단 비행체를 설계 제작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아웃터 커버(100)는, 제1 플레이트(110)의 한쪽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1 실린더(120) 및 상기 제1 실린더(120)의 안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 홀(140)이 연결된 제2 실린더(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 커버(200)는, 상기 제1 실린더(120)와 결합되는 제3 실린더(220) 및 상기 제2 실린더(130)와 결합되고 상기 챔버(240)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4 실린더(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실린더(120)와 상기 제3 실린더(220)가 밀폐되고, 상기 제2 실린더(130)와 상기 제4 실린더(230)가 밀폐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실린더(120)와 상기 제3 실린더(220)가 결합되고, 상기 제2 실린더(130)와 상기 제4 실린더(230)가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의 조립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는, 아웃터 커버(100)와 미들 커버(200)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고, 상기 공간은 보온 작용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써, 인쇄회로기판(400), 센서(410), 밸브 유닛(620) 등 내부에 구비된 구성 요소가 냉해로 인하여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는, 비행체의 엔진에 의하여 진동이 전달될 경우에 상기 공간에 의하여 진동을 감쇄할 수 있고, 나아가 진동이 인쇄회로기판(400)에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어 인쇄회로기판(400)의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챔버 바닥면(242)가 상기 챔버 드레인 피팅 유닛(270)을 향하여 경사진 것일 수 있다. 이로써 수분이 배출될 때에 좀 더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고, 잔존 수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는, 상기 튜브(610)가 상기 챔버 드레인 피팅 유닛(270)에서 상기 하우징 드레인 피팅 유닛(340)까지 최단거리보다 3 배 내지 10 배의 길이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튜브(610)가 챔버(240)와 슬리브(500)의 바깥쪽으로 배치되고 이완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튜브(610)가 상기 챔버 드레인 피팅 유닛(270)에서 상기 하우징 드레인 피팅 유닛(340)까지 최단거리보다 3 배 이상의 길이를 가지면 이완되는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튜브(610)가 상기 챔버 드레인 피팅 유닛(270)에서 상기 하우징 드레인 피팅 유닛(340)까지 최단거리보다 10 배 이하의 길이를 가지면 튜브(610)가 하우징(300)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을 피하여 배치할 수 있다.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는 위치는 비행체(700)의 표면에서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써, 비행 고도에 따라 낮은 온도와 상온에 번갈아 가며 노출될 수 있고, 영하의 온도인 경우에 수분이 결빙될 수 있으며 이때 수분의 부피가 변화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튜브(610)를 이완된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수분이 결빙될 때의 체적 변화를 수용할 수 있어 튜브(6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의 상기 하우징(300)은, 하우징 바닥 면(320)으로부터 높이를 갖도록 시트(33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시트(330)에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이 얹히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400)에는 제6 체결부(420)가 형성될 수 있고, 제3 체결 유닛(332)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400)을 상기 시트(3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하우징 바닥 면(320)과 인쇄회로기판(400)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하우징(300)을 통하여 진동이 전달되더라도 그러한 공간에 의하여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인쇄회로기판(400)이 진동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센서(41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 구비되는데, 상기 하우징(30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 시킴으로써 센서(410)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 시그널을 최소화하여 좀 더 정확한 압력 값을 계측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바닥 면(320)과 인쇄회로기판(400)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그 공간을 이용하여 각종 신호 라인을 배선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각종 신호 라인은 상기 케이블 슬리브(350)를 통하여 배선 정리 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하우징(300)의 내부에는 열선이 구비될 수 있고, 열선은 하우징(300)의 내부 온도가 과도하게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준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선은 수분이 증발되거나, 결빙된 얼음 조각이 승화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는 비행체에 설치되어 비행체의 표면에 형성되는 압력을 검출하도록 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0: 아웃터 커버 110, 210: 제1, 2 플레이트
112, 212, 310: 제1, 2, 3 플랜지
120, 130, 220, 230: 제1, 2, 3, 4 실린더
140, 250: 제1, 2 에어 홀
152, 154, 282, 284, 360, 420: 제1, 2, 3, 4, 5, 6 체결부
156, 286, 332: 제1, 2, 3 체결 유닛
200: 미들 커버 240: 챔버
242: 챔버 바닥면 260: 커넥트 홀
270: 챔버 드레인 피팅 유닛 300: 하우징
320: 하우징 바닥면 330: 시트
340: 하우징 드레인 피팅 유닛 350: 케이블 슬리브
400: 인쇄회로기판 410: 센서
500: 슬리브 510: 인너 슬리브
520: 아웃터 슬리브 610: 튜브
620: 밸브 유닛 630: 드레인 라인
700: 비행체

Claims (4)

  1. 외측과 내측이 관통되도록 제1 에어 홀(140)이 형성되고, 비행체(700)에 설치되는 아웃터 커버(100);
    상기 아웃터 커버(100)에 조립되고, 상기 제1 에어 홀(140)을 통하여 유입된 수분이 채워지도록 하는 챔버(240)가 형성되며, 챔버 바닥면(242)와 떨어진 위치에 제2 에어 홀(250)이 형성되고, 상기 챔버 바닥면(242)의 한쪽에 챔버 드레인 피팅 유닛(270)이 구비된 미들 커버(200);
    상기 미들 커버(200)에 조립되고, 측벽에 하우징 드레인 피팅 유닛(340)이 구비된 하우징(300);
    상기 하우징(330)의 내에 설치되고, 물리적인 공기 압력을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센서(410)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400);
    상기 미들 커버(200)와 상기 센서(410)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에어 홀(250)을 통과한 공기 압력이 상기 센서(410)에 전달되도록 하는 슬리브(500);
    상기 챔버 드레인 피팅 유닛(270)와 상기 하우징 드레인 피팅 유닛(340)을 연결하여 수분이 이동되도록 하는 튜브(610); 및
    상기 챔버(240)에 수분이 설정 유량에 도달한 경우에 개방되어 수분을 배출시키도록 하는 밸브 유닛(620);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에어 홀(250)은 상기 챔버(240)의 측벽에 구비되고,
    상기 밸브유닛(60)은 제어 신호에 의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포함하는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커버(100)는, 제1 플레이트(110)의 한쪽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1 실린더(120); 및 상기 제1 실린더(120)의 안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 홀(140)이 연결된 제2 실린더(130);을 포함하고,
    상기 미들 커버(200)는, 상기 제1 실린더(120)와 결합되는 제3 실린더(220); 및 상기 제2 실린더(130)와 결합되고 상기 챔버(240)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4 실린더(2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린더(120)와 상기 제3 실린더(220)가 밀폐되고, 상기 제2 실린더(130)와 상기 제4 실린더(230)가 밀폐되는 것
    을 포함하는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바닥면(242)은 상기 챔버 드레인 피팅 유닛(270)을 향하여 경사진 것
    을 포함하는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0)은, 하우징 바닥 면(320)으로부터 높이를 갖도록 시트(330)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330)에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이 설치되는 것
    을 포함하는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
KR1020190075058A 2019-06-24 2019-06-24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 KR102095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058A KR102095791B1 (ko) 2019-06-24 2019-06-24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058A KR102095791B1 (ko) 2019-06-24 2019-06-24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774A Division KR102002824B1 (ko) 2017-12-14 2017-12-14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405A KR20190086405A (ko) 2019-07-22
KR102095791B1 true KR102095791B1 (ko) 2020-04-01

Family

ID=67469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058A KR102095791B1 (ko) 2019-06-24 2019-06-24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7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3170B2 (ja) * 1989-03-08 2000-03-21 ローズマウ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空気データセンサーの水分離装置
JP2005514258A (ja) * 2001-12-21 2005-05-19 ハネウェ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同一面埋込表面大気データセンサ
JP2011522245A (ja) * 2009-04-21 2011-07-28 インディアン・スペース・リサーチ・オーガニゼイション フラッシュ大気データシステム(fads)の圧力検知における障害を検出し分離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6102A (en) * 1999-01-29 2000-01-18 Eaton Corporation Pressure sensor housing
KR101200803B1 (ko) 2010-12-14 2012-11-13 국방과학연구소 비돌출형 전압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3170B2 (ja) * 1989-03-08 2000-03-21 ローズマウ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空気データセンサーの水分離装置
JP2005514258A (ja) * 2001-12-21 2005-05-19 ハネウェ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同一面埋込表面大気データセンサ
JP2011522245A (ja) * 2009-04-21 2011-07-28 インディアン・スペース・リサーチ・オーガニゼイション フラッシュ大気データシステム(fads)の圧力検知における障害を検出し分離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405A (ko) 201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1805B2 (en) Multi-function air data sensing probe having an angle of attack vane
EP1422137B1 (en) Thermal icing conditions detector
US9404936B2 (en) Water resistant aircraft pitot device
CN109990921B (zh) 用于减少除冰加热器误差的总气温探测器
US6651515B2 (en) Sensor for measuring at least one physical parameter of a fluid flow, and in particular a de-iced sensor of air total temperature
US20080285620A1 (en) Aspirated Enhanced Total Air Temperature Probe
EP1602905A1 (en) Sensor assembly for determining total temperature, static temperature and mach number
US10564173B2 (en) Pitot-static probe with pneumatic angle-of-attack sensor
JPH09504102A (ja) 一体形の翼の全温度センサ
US9631967B2 (en) Structural unit for arrangement on a hydraulic fluid tank of a jet engine
CN106949940B (zh) 用于感测流动的流体介质至少一个流动特性的传感器装置
CN111323161A (zh) 集成光学压力的大气数据探针
KR102095791B1 (ko)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
EP3205582B1 (en) Total air temperature probe with efficient particle pass through
EP2937701B1 (en) Boundary layer flow sensor
KR102002824B1 (ko) 비행체의 플러시 포트 대기 자료 장치
JP7043244B2 (ja) 航空機の外板に取り付けられた電子機器への湿気進入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DK2455727T3 (da) Udskiller til flygtige stoffer
KR101799161B1 (ko) 내부 경사면을 구비한 피토튜브
RU2421692C1 (ru) Уровнемер жидкости в баке
US6308581B1 (en) Differential pressure flow sensor
RU2341414C1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обледенения несущего винта вертолета
EP3096120A1 (en) A drain for a pressure sensing line
KR20160016690A (ko) 측정 채널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 매체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
GB2458536A (en) Submersible fluid level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