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453B1 - 꽃장식체가 내장된 텀블러 - Google Patents

꽃장식체가 내장된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453B1
KR102095453B1 KR1020190145639A KR20190145639A KR102095453B1 KR 102095453 B1 KR102095453 B1 KR 102095453B1 KR 1020190145639 A KR1020190145639 A KR 1020190145639A KR 20190145639 A KR20190145639 A KR 20190145639A KR 102095453 B1 KR102095453 B1 KR 102095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ver
tumbler
beverage contain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자
Original Assignee
김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자 filed Critical 김순자
Priority to KR1020190145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이 연결되고 상단이 개방된 이중 통체 형상을 가지는 커버용기; 하단이 폐쇄된 통체 형상을 가지고 커버용기의 설치공간에 삽입시 커버용기의 상단 개방공간을 커버하면서 결합되고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용기; 음료용기의 수용공간 상단을 커버하면서 결합되는 뚜껑; 커버용기의 개방공간에 탈착 또는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는 꽃장식체; 및 커버용기의 하단 설치공간과 음료용기의 하단부를 커버하면서 결합되는 바닥지지체를 포함하는 꽃장식체가 내장된 텀블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꽃장식체가 내장된 텀블러{Tumbler with flower decorative structure}
본 발명은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용기를 커버하는 커버용기에 꽃 또는 드라이플라워 또는 워터글로브를 포함하는 꽃장식체가 교체 가능하게 내장되어 사용자에게 새로운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꽃장식체가 내장된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텀블러는 굽과 손잡이가 없고 바닥이 납작한 큰 잔을 일컫는 것으로서, 다량의 음료를 장시간에 걸쳐 조금씩 나누어 마실 수 있도록 비교적 큰 용량을 가진다.
특히, 텀블러는 일반적인 컵이나 일회용 컵에 비하여 보냉성이나 휴대성이 우수하여 최근에는 따뜻하거나 차가운 커피나 녹차 및 탄산음료 등을 담아 두고 보온 또는 냉온을 유지한 상태에서 장시간에 걸쳐 수시로 나누어 마시는 용도로 사용되는 등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텀블러는 단순히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용기의 외부 또는 음료용기를 커버하는 커버용기에 직접 장식을 위한 프린팅이 실시되는 방식으로 심미감이 제공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프린팅된 장식을 교체할 수 없어 사용자가 쉽게 장식에 대한 식상함을 느끼게 되어 오랫동안 텀블러를 사용하지 않고 새로운 텀블러를 구매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등록실용 제20-0453875호
(특허문헌 0002) 등록실용 제20-0488437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용기를 커버하는 커버용기에 꽃 또는 드라이플라워 또는 스노우볼을 포함하는 꽃장식체가 교체 가능하게 내장되어 사용자에게 새로운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꽃장식체가 내장된 텀블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용기에 내장되는 꽃장식체에 빛이 조사되도록 하여 새로운 심미감을 더 제공할 수 있는 꽃장식체가 내장된 텀블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용기에 발열을 통한 보온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는 꽃장식체가 내장된 텀블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커가 내장되어 블루투스 스피커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꽃장식체가 내장된 텀블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이 연결되고 상단이 개방된 이중 통체 형상을 가지는 커버용기; 하단이 폐쇄된 통체 형상을 가지고 커버용기의 설치공간에 삽입시 커버용기의 상단 개방공간을 커버하면서 결합되고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용기; 음료용기의 수용공간 상단을 커버하면서 결합되는 뚜껑; 커버용기의 개방공간에 탈착 또는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는 꽃장식체; 및 커버용기의 하단 설치공간과 음료용기의 하단부를 커버하면서 결합되는 바닥지지체를 포함하는 꽃장식체가 내장된 텀블러가 제공된다.
여기서, 커버용기는, 바닥이 연결되고 상단이 개방된 이중 통체 형상을 가지는 외부커버체와 내부커버체; 내부커버체의 내부 설치공간에 해당되며 음료용기가 삽입되는 용기수용부; 및 외부커버체와 내부커버체 사이의 개방공간에 해당되며 꽃장식체가 탈착 또는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는 장식체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료용기는, 하단이 폐쇄된 통체 형상을 가지는 수용체; 수용체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외부커버체의 상측단에 밀착되는 결합플랜지; 결합플랜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외부커버체의 상측단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스커트; 및 수용체의 하단으로부터 돌출 구성되어 바닥지지체에 밀착 결합되는 바닥결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꽃장식체는, 종이에 생화 또는 드라이플라워가 접착되거나 프린팅된 상태에서 롤링된 후 장식체수용부에 삽입되거나, 장식체수용부에 충전되는 워터글로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닥지지체는, 베이스; 베이스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외부커버체의 하측단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커버플랜지; 및 커버플랜지의 내측부에 해당되는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음료용기의 바닥결합체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바닥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꽃장식체가 내장된 텀블러는, 커버용기의 상단에 음료용기 결합시 상호간 결합되는 부분에 밀폐력을 제공하여 꽃장식체가 위치되는 커버용기의 개방공간에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 음료용기의 외면을 감싸면서 구성되고 음료용기에 수용된 음료의 보온 기능을 향상시키는 보온부; 바닥지지체에 구성되고 커버용기의 바닥을 향해 빛을 조사하여 꽃장식체의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조명부; 및 바닥지지체에 구성되고 외부의 음원기기로부터 음원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꽃장식체가 내장된 텀블러는, 바닥지지체에 구성되고 보온부, 조명부 및 스피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용기를 커버하는 커버용기에 꽃 또는 드라이플라워 또는 스노우볼을 포함하는 꽃장식체가 교체 가능하게 내장되어 사용자에게 새로운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버용기에 내장되는 꽃장식체에 빛이 조사되도록 하여 새로운 심미감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료용기에 발열을 통한 보온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가 내장되어 블루투스 스피커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꽃장식체가 내장된 텀블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텀블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텀블러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및
도 4는 도 1의 텀블러에 있어서 꽃장식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꽃장식체가 내장된 텀블러는, 바닥이 연결되고 상단이 개방된 이중 통체 형상을 가지는 커버용기(110), 하단이 폐쇄된 통체 형상을 가지고 커버용기(110)의 설치공간에 삽입시 커버용기(110)의 상단 개방공간을 커버하면서 결합되고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용기(120), 음료용기(120)의 수용공간 상단을 커버하면서 결합되는 뚜껑(130), 커버용기(110)의 개방공간에 탈착 또는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고 심미감을 제공하는 꽃장식체(140) 및 커버용기(110)의 하단 설치공간과 음료용기(120)의 하단부를 커버하면서 결합되는 바닥지지체(150) 등을 포함한다.
커버용기(110)는, 꽃장식체(140)가 내장되고 음료용기(120)를 커버하는 용기부재로서, 바닥이 연결되고 상단이 개방된 이중 통체 형상을 가지는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 내부커버체(112)의 내부 설치공간에 해당되며 음료용기(120)가 삽입 및 안착되는 용기수용부(113) 및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 사이의 개방공간에 해당되며 꽃장식체(140)가 탈착 또는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는 장식체수용부(114)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외부커버체(111)의 상측단 외주면 및 하측 외주면에는 각각 음료용기(120)와 바닥지지체(150)가 나사 결합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커버나사산(115)과 제2커버나사산(11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커버체(112)의 상측단과 하측단 내주면에는 각각 음료용기(120)와 바닥지지체(150)가 나사 결합되도록 하여, 장식체수용부(114)로부터 액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커버나사산(117)과 제4커버나사산(11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용기(110)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을 가지는 것을 통하여, 꽃장식체(140) 및 조명부(180)에 의해 제공되는 심미감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커버용기(110)에 의하면,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의 이중 통체 형상을 통하여 장식체수용부(114)에 꽃장식체(140)가 탈착 또는 교체 가능하게 위치 구성되도록 하여 새로운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음료용기(120)는, 내부커버체(112) 내부의 용기수용부(113)에 수용되고 음료가 수용되는 수용부재로서, 하단이 폐쇄된 통체 형상을 가지는 수용체(121), 수용체(12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및 절곡 형성되어 외부커버체(111)의 상측단에 밀착되는 결합플랜지(122), 결합플랜지(122)로부터 연장 및 절곡 형성되어 외부커버체(111)의 상측단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스커트(123) 및 수용체(121)의 하단으로부터 돌출 구성되어 바닥지지체(150)에 밀착 결합되는 바닥결합체(124)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플랜지(122)로부터 연장되는 스커트(123)와 바닥결합체(124)에는 각각 외부커버체(111)의 제1커버나사산(115)과 후술된 바닥지지체(150)의 제2바닥나사산(155)이 나사 결합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수용나사산(125)과 제2수용나사산(12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커트(123)에 대향되는 수용체(121)의 상측단 외주면에는 내부커버체(112)의 제3커버나사산(117)이 나사 결합되도록 하여, 장식체수용부(114)의 액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수용나사산(12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료용기(120)는, 금속재질을 가지는 것을 통하여, 보온성 및 청결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음료용기(120)에 의하면, 음료가 수용되는 수용체(121)가 결합플랜지(122)와 바닥결합체(124)를 통하여 각각 커버용기(110)와 바닥지지체(150)에 결합된 상태로 간단히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뚜껑(130)은, 음료용기(120)의 수용체(121) 상단에 음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커버하면서 결합되는 덮개부재로서,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뚜껑(130)은, 수용체(121)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별도의 캡을 통하여 일부분이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꽃장식체(140)는, 커버용기(110)의 개방공간인 장식체수용부(114)에 탈착 또는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고 심미감을 제공하는 장식부재로서, 한지 등의 종이에 생화 또는 드라이플라워가 접착되거나 프린팅된 상태에서 롤링된 후 장식체수용부(114)에 삽입되거나, 장식체수용부(114)에 액체, 꽃 모형 및 반사용 가루입자 등이 충전되는 워터글로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꽃장식체(140)에 의하면, 커버용기(110)의 장식체수용부(114)에 교체 가능한 상태로 장식 기능을 제공하여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교체를 통하여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시켜 텀블러를 오랫동안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바닥지지체(150)는, 커버용기(110)의 하단 설치공간과 음료용기(120)의 하단부를 커버하면서 결합되는 바닥지지수단으로서, 외부커버체(111)의 직경에 대응되는 면적과 소정의 부피를 가지는 베이스(151), 베이스(151)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외부커버체(111)의 하측단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커버플랜지(152) 및 커버플랜지(152)의 내측부에 해당되는 베이스(151)의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음료용기(120)의 바닥결합체(124)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바닥플랜지(153)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커버플랜지(152)와 바닥플랜지(153)에는 각각 외부커버체(111)의 제2커버나사산(116)과 바닥결합체(124)의 제2수용나사산(126)이 나사 결합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바닥나사산(154)과 제2바닥나사산(15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닥플랜지(153)에는 내부커버체(112)의 제4커버나사산(118)과 나사 결합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바닥나사산(15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닥지지체(150)는, 합성수지 재질을 가지는 것을 통하여, 텀블러의 무게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닥지지체(150)에 의하면, 커버용기(110)의 용기수용부(113) 하단과 음료용기(120)의 바닥부위가 밀폐된 상태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꽃장식체가 내장된 텀블러는, 음료용기(120)의 상단에 구성되어 커버용기(110)의 상단에 음료용기(120) 결합시 상호간 결합되는 부분에 밀폐력을 제공하여 꽃장식체(140)가 위치되는 커버용기(110)의 개방공간에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160), 음료용기(120)의 외면을 감싸면서 구성되고 음료용기(120)에 수용된 음료의 보온 기능을 향상시키는 보온부(170), 바닥지지체(150)에 구성되고 커버용기(110)의 바닥을 향해 빛을 조사하여 꽃장식체(140)의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조명부(180), 바닥지지체(150)에 구성되고 외부의 음원기기로부터 음원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출력하는 스피커부(190) 및 음료용기(120)의 하단부에 바닥지지체(150) 결합시 보온부(170)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함과 동시에 조명부(180)와 스피커부(190)에도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동작전원공급부(P) 및 바닥지지체(150)에 구성되고 사용자로부터 보온부(170), 조명부(180) 및 스피커부(190)에 대한 동작 제어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여 내부의 제어부(미도시)로 하여금 해당 구성부가 동작되도록 하는 입력부(B) 등을 더 포함한다.
밀폐부(160)는, 음료용기(120)의 상단에 구성되어 커버용기(110)의 상단에 음료용기(120) 결합시 상호간 결합되는 부분에 밀폐력을 제공하여 꽃장식체(140)가 위치되는 커버용기(110)의 개방공간에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수단으로서, 외부커버체(111)의 상측단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수용체(121)의 결합플랜지(122)의 하면에 소정의 높이와 간격을 가지면서 돌출 형성되고 외부커버체(111)의 내측면과 내부커버체(112)의 외측면에 탄력적으로 밀착 접촉되며 상호간 대향되는 형상을 가지는 외부누수방지플랜지(160-1)와 내부누수방지플랜지(160-2)를 포함한다.
여기서, 외부누수방지플랜지(160-1)와 내부누수방지플랜지(160-2)는, 각각 외부커버체(111)의 내측면과 내부커버체(112)의 외측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결합플랜지(122)의 하면으로부터 해당 위치에 연장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장식체수용부(114)에 물이 침투되지 않도록 하거나 장식체수용부(114)의 액체가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각각, 결합플랜지(122)의 하면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바디(161), 플랜지바디(161)의 내벽에 해당되고 직선의 단면을 가지는 제1벽면(162) 및 제1벽면(162)에 대향되는 플랜지바디(161)의 외벽에 해당되고 라운드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각각 외부커버체(111)의 내측면과 내부커버체(112)의 외측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제2벽면(163)을 포함한다.
여기서, 플랜지바디(161)는 3.0mm 내지 4.3mm의 길이로 돌출 형성되고, 이때, 제1벽면(162)과 제2벽면(163)의 중간 높이에 해당되는 중앙부(164)는 1.0mm 내지 3.5mm의 두께를 가지며, 제1벽면(162)과 제2벽면(163)의 시작점에 해당되는 상부(165)는 중앙부(164)로부터 시작점인 결합플랜지(122)의 하면까지 0도 내지 7도의 각도를 가지면서 라운드 형성되고, 제1벽면(162)과 제2벽면(163)의 끝점에 해당되는 하부(166)는 중앙부(164)로부터 끝점인 플랜지바디(161)의 끝까지 15도 내지 35도의 각도를 가지면서 라운드 형성된다.
또한, 플랜지바디(161)와 제1수용나사산(125) 또는 플랜지바디(161)와 제3커버나사산(117) 사이의 간격은, 각각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의 두께보다 0.5mm 내지 1mm 얇은 두께의 간격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플랜지바디(161)는, 결합플랜지(122)의 하면으로부터 3.0mm 내지 4.3mm의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데, 3.0mm 보다 짧은 경우에는 플랜지바디(161)가 오그라들지 않게 되고, 4.3mm 보다 긴 경우에는 플랜지바디(161)의 탄력도가 너무 커지게 되어 플랜지바디(161)의 중앙부(164)가 각각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에 밀착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플랜지바디(161)의 중앙부(164)는, 제1벽면(162)과 제2벽면(163)의 두께가 1.0mm 내지 3.5mm의 두께를 가지는데, 1.0mm 보다 짧은 경우에는 상부(165)와 하부(166)의 라운드 각도에 의해 플랜지바디(161)의 시작점과 끝점의 두께가 너무 얇아지게 되어 탄력도가 너무 커져 플랜지바디(161)의 중앙부(164)가 각각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에 밀착되지 않게 되고, 3.5mm 보다 긴 경우에는 플랜지바디(161)의 탄력도가 저하되어 각각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가 삽입되더라도 오그라들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플랜지바디(161)의 상부(165)는, 제1벽면(162)과 제2벽면(163)의 두께가 중앙부(164)로부터 시작점인 결합플랜지(122)의 하면까지 0도 내지 7도의 각도를 가지면서 라운드 형성되는 두께를 가지는데, 0도 미만의 각도를 가지는 경우에는 상부(165)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플랜지바디(161)의 탄력도가 저하되어 플랜지바디(161)가 오그라들지 않게 되어 플랜지바디(161)의 중앙부(164)가 각각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에 밀착되지 않게 되고, 7도를 초과하는 각도를 가지는 경우에는 상부(165)의 두께가 너무 얇아지게 되어 플랜지바디(161)의 탄력도가 너무 커지게 되어 플랜지바디(161)가 너무 쉽게 오그라들어 플랜지바디(161)의 중앙부(164)가 각각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에 강하게 밀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플랜지바디(161)의 하부(166)는, 제1벽면(162)과 제2벽면(163)의 두께가 중앙부(164)로부터 끝점인 플랜지바디(161)의 끝까지 15도 내지 35도의 각도를 가지면서 라운드 형성되는 두께를 가지는데, 15도 미만의 각도를 가지는 경우에는 하부(166)의 두게가 너무 두꺼워져 플랜지바디(161)의 탄력도가 저하되어 플랜지바디(161)가 오그라들지 않게 되어 플랜지바디(161)의 중앙부(164)가 각각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에 밀착되지 않게 되고, 35도를 초과하는 각도를 가지는 경우에는 하부(166)의 두께가 너무 얇아지게 되어 플랜지바디(161)의 탄력도가 너무 커지게 되어 플랜지바디(161)가 너무 쉽게 오그라들어 플랜지바디(161)의 중앙부(164)가 각각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에 강하게 밀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플랜지바디(161)의 제2벽면(163) 중앙부(164)와 제1수용나사산(125) 또는 제3커버나사산(117) 사이의 간격은, 각각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의 두께보다 0.5mm 내지 1mm 얇은 두께의 간격을 가지는데, 0.5mm 보다 짧은 간격을 가지게 되면 각각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의 상단이 삽입되지 않게 되고, 1mm 보다 긴 간격을 가지게 되면 플랜지바디(161)의 탄력도가 저하되어 각각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와의 밀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즉, 본 발명의 플랜지바디(161)는, 중앙부(164)의 두께가 상부(165)의 두께와 하부(166)의 두께보다 두껍고, 또한, 상부(165)의 두께가 하부(166)의 두께 보다 두꺼운 구조를 가짐에 따라, 각각의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가 각각 플랜지바디(161)의 제2벽면(163) 중앙부(164)와 제1수용나사산(125) 또는 제3커버나사산(117) 사이의 공간에 삽입시,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가 삽입 공간의 폭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짐에 따라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의 단부가 중앙부(164)와 하부(166) 사이의 라운딩 부분에 따라 가이드되는 가압력에 의해, 플랜지바디(161)의 상부(165)에 그 힘이 작용되어 플랜지바디(161)가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를 향해 탄력적으로 오그라들게 되면서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에 플랜지바디(161)의 볼록한 중앙부(164)가 밀착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밀폐부(160)에 의하면, 외부누수방지플랜지(160-1)와 내부누수방지플랜지(160-2)에 의하여, 커버용기(110)의 상단에 음료용기(120) 결합시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의 단부가 각각의 플랜지바디(161)의 제2벽면(163)과 중앙부(164)와 제1수용나사산(125) 또는 제3커버나사산(117) 사이로 삽입되며, 이때,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의 두께가 상기 삽입 공간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짐에 따라, 각각의 플랜지바디(161)가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를 향해 탄력적으로 오그라들게 되고, 이에, 각각의 플랜지바디(161)의 제2벽면(163) 중앙부(164)가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에 밀착되는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밀폐부(160)에 의하여, 외부커버체(111)의 장식체수용부(114) 공간에 워터글로브 타입의 꽃장식체(140)가 구성되더라도, 액체가 누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보온부(170)는, 음료용기(120)의 외면을 감싸면서 구성되고 음료용기(120)에 수용된 음료의 보온 기능을 향상시키는 보온수단으로서, 수용체(121)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구성되고 발열 기능을 제공하여 수용체(121)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체(171), 발열체(171)를 감싸면서 수용체(121)의 외주면에 구성되는 코팅층(172) 및 발열체(171)로부터 연장되고 수용체(121) 하단의 바닥결합체(124) 하면 외부로 노출되어 음료용기(120)가 바닥지지체(150)에 결합시 동작전원공급부(P)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단자편(173)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발열체(171)는, 수용체(121)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열을 방출시키는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코팅층(172)은, 발열체(171)를 보호하면서 발열체(171)의 열이 커버용기(110)로 발산되는 것을 억제하고 수용체(121)를 향하여 빠르게 전도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실리콘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때, 실리콘층에는 열전도용 조성물 일예로, 적어도 1 종의 중합체 100 질량부와, 팽창화 흑연 분말 1.5 질량부 이하와, 25 ℃ 에 있어서의 점도가 3000 mPa/s 이상이고 또한 대기압하에서의 15 ℃ 이상 100 ℃ 이하의 온도 영역에 있어서 액체인 인산에스테르 10 질량부 이상 15 질량부 이하와, BET 비표면적이 1 ㎡/g 이상인 알루미나 50 질량부 이상 90 질량부 이하와, 팽창화 흑연 분말 및 상기 알루미나를 제외한 난연성 열전도 무기 화합물 100 질량부 이상 150 질량부 이하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전원단자편(173)은, 바닥결합체(124)의 하면에 평단자 구조로 일부만 노출됨에 따라, 후술된 전원단자(P2)가 탄력적으로 접점되도록 할 수 있으며, 수용체(121)가 분리된 상태에서 세척이 되더라도 빠르게 물이나 수분이 건조되도록 하고 발열체(171)까지 물이 누수되지 않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보온부(170)에 의하면, 동작전원공급부(P)로부터 전원단자편(173)을 통하여 발열체(171)에 동작전원이 공급됨으로써, 발열체(171)의 발열을 통한 보온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조명부(180)는, 바닥지지체(150)에 구성되고 커버용기(110)의 바닥을 향해 빛을 조사하여 꽃장식체(140)의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조명수단으로서, 바닥지지체(150)의 커버플랜지(152)와 바닥플랜지(153) 사이의 베이스(151)에 일정 간격으로 노출 구성되어 외부커버체(111)와 외부커버체(111)의 바닥으로부터 장식체수용부(114)에 조명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LED(181)와, 베이스(151)의 내부에 구성되고 동작전원공급부(P)로부터 LED(181)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조명부(180)에 의하면, 꽃장식체(140)가 구성되는 커버용기(110)의 장식체수용부(114)에 다양한 색과 점멸의 제어가 이루어지는 빛이 조사됨으로써,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조명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스피커부(190)는, 바닥지지체(150)에 구성되고 외부의 음원기기로부터 음원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출력하는 음원출력수단으로서, 바닥지지체(150)의 베이스(151) 측면에 설치되는 스피커(191)와, 베이스(151)의 내부에 구성되고 동작전원공급부(P)로부터 스피커(191)에 동작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외부의 음원기기로부터 무선 통신방식으로 음원정보를 제공받아 스피커(191)에 출력하는 통신제어부(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스피커부(190)에 의하면, 꽃장식체(140)를 통한 심미감 이외에 블루투스 스피커 기능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텀블러를 블루투스 스피커로 활용하도록 하여 텀블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동작전원공급부(P)는, 음료용기(120)의 하단부에 바닥지지체(150) 결합시 보온부(170)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함과 동시에 조명부(180)와 스피커부(190)에도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동작전원공급수단으로서, 바닥지지체(150)의 베이스(151) 측면에 노출 구성되어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는 연결포트(P1), 베이스(151)의 내부에 구성되고 연결포트(P1)를 통하여 외부의 전원공급장치로부터 동작전원이 충전되도록 하는 배터리(P3) 및 베이스(151)의 상면 중앙부에 노출 구성되고 바닥지지체(150)가 음료용기(120)에 결합시 보온부(170)의 전원단자편(173)에 탄력적으로 접점되어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단자(P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포트(P1)는, 별도의 방수기능을 제공하는 캡에 의해 개폐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텀블러의 세척시 연결포트(P1)를 통하여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전원공급부(P)에 의하면, 보온부(170), 조명부(180) 및 스피커부(190)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구성부들의 기능을 통해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입력부(B)는, 바닥지지체(150)에 구성되고 사용자로부터 보온부(170), 조명부(180) 및 스피커부(190)에 대한 동작 제어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여 내부의 제어부(미도시)로 하여금 해당 구성부가 동작되도록 하는 입력수단으로서, 바닥지지체(150)의 베이스(151) 측면에 노출 구성되어 보온부(170), 조명부(180) 및 스피커부(190)의 온/오프 동작, 온도 및 시간 등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제어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버튼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버튼은, 공지의 방수구조를 가지면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텀블러의 세척시 버튼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부(B)에 의하면,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되는 보온부(170), 조명부(180) 및 스피커부(190)의 동작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꽃장식체가 내장된 텀블러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지 등의 종이에 생화 또는 드라이플라워가 접착되거나 프린팅되어 꽃장식체(140)가 구성되거나, 워터글로브 타입의 꽃장식체(140) 구성을 위한 액체, 꽃 모형 및 반사용 가루입자 등이 준비된다.
이후, 커버용기(110)의 개방공간인 장식체수용부(114) 내부에 꽃장식체(140)가 삽입되거나 충전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후, 음료용기(120)의 수용체(121)가 커버용기(110)의 내부커버체(112) 내부 공간인 용기수용부(113)에 수용된 상태에서, 스커트(123)와 수용체(121)에 대면되도록 형성되는 제1수용나사산(125)과 제3수용나사산(127)에 각각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에 형성되는 제1커버나사산(115)과 제3커버나사산(117)이 나사 결합되어, 음료용기(120)가 커버용기(110)에 안착 및 밀착 결합된다.
이때, 커버용기(110)와 음료용기(120)의 상단을 밀착시키는 결합플랜지(122)의 하면에 밀폐부(160)가 구성되는 경우, 외부누수방지플랜지(160-1)와 내부누수방지플랜지(160-2)에 의하여 외부커버체(111)의 장식체수용부(114) 공간에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꽃장식체(140)가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장식체수용부(114)에 워터글로브 타입의 꽃장식체(140)가 충전되더라도 액체가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음료용기(120)의 음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의 상단에는 뚜껑(130)이 결합된다.
이후, 바닥지지체(150)의 커버플랜지(152)와 바닥플랜지(153)에 각각 형성되는 제1바닥나사산(154), 제2바닥나사산(155) 및 제3바닥나사산(156)이 각각 외부커버체(111)의 제2커버나사산(116), 바닥결합체(124)의 제2수용나사산(126) 및 내부커버체(112)의 제4커버나사산(118)이 나사 결합되어, 바닥지지체(150)가 음료용기(120)와 커버용기(110)의 하측단에 밀착 결합된다.
이때, 음료용기(120)에 보온부(170)가 구성되고 바닥지지체(150)에 동작전원공급부(P)가 구성되는 경우, 동작전원공급부(P)로부터 보온부(170)에 제공되는 동작전원에 의해 보온부(170)의 발열체(171)가 발열 동작되어 수용체(121)에 수용된 음료가 보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닥지지체(150)에 조명부(180)가 구성되는 경우, 동작전원공급부(P)로부터 조명부(180)에 제공되는 동작전원에 의해 조명부(180)의 LED(181)가 점등 동작되어 장식체수용부(114)에 빛이 조사되어 꽃장식체(140)의 심미감이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닥지지체(150)에 스피커부(190)가 구성되는 경우, 외부의 음원기기로부터 음원정보가 스피커부(190)에 제공되어 텀블러가 블루투스 스피커로 활용되도록 하고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용기(120)를 커버하는 커버용기(110)에 꽃 또는 드라이플라워 또는 스노우볼을 포함하는 꽃장식체(140)가 교체 가능하게 내장되어 사용자에게 새로운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료용기(120)에 발열을 통한 보온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커버용기(110)에 내장되는 꽃장식체(140)에 빛이 조사되도록 하여 새로운 심미감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91)가 내장되어 블루투스 스피커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바닥이 연결되고 상단이 개방된 이중 통체 형상을 가지는 커버용기(110); 하단이 폐쇄된 통체 형상을 가지고 커버용기(110)의 설치공간에 삽입시 커버용기(110)의 상단 개방공간을 커버하면서 결합되고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용기(120); 음료용기(120)의 수용공간 상단을 커버하면서 결합되는 뚜껑(130); 커버용기(110)의 개방공간에 탈착 또는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는 꽃장식체(140); 및 커버용기(110)의 하단 설치공간과 음료용기(120)의 하단부를 커버하면서 결합되는 바닥지지체(150)를 포함하고,
    커버용기(110)는,
    바닥이 연결되고 상단이 개방된 이중 통체 형상을 가지는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 내부커버체(112)의 내부 설치공간에 해당되며 음료용기(120)가 삽입되는 용기수용부(113); 및 외부커버체(111)와 내부커버체(112) 사이의 개방공간에 해당되며 꽃장식체(140)가 탈착 또는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는 장식체수용부(114)를 포함하며,
    음료용기(120)는,
    하단이 폐쇄된 통체 형상을 가지는 수용체(121); 수용체(12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외부커버체(111)의 상측단에 밀착되는 결합플랜지(122); 결합플랜지(122)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외부커버체(111)의 상측단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스커트(123); 및 수용체(121)의 하단으로부터 돌출 구성되어 바닥지지체(150)에 밀착 결합되는 바닥결합체(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장식체가 내장된 텀블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꽃장식체(140)는,
    종이에 생화 또는 드라이플라워가 접착되거나 프린팅된 상태에서 롤링된 후 장식체수용부(114)에 삽입되거나,
    장식체수용부(114)에 충전되는 워터글로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장식체가 내장된 텀블러.
  5. 제1항에 있어서, 바닥지지체(150)는,
    베이스(151);
    베이스(151)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외부커버체(111)의 하측단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커버플랜지(152); 및
    커버플랜지(152)의 내측부에 해당되는 베이스(151)의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음료용기(120)의 바닥결합체(124)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바닥플랜지(1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장식체가 내장된 텀블러.
  6. 제1항에 있어서,
    커버용기(110)의 상단에 음료용기(120) 결합시 상호간 결합되는 부분에 밀폐력을 제공하여 꽃장식체(140)가 위치되는 커버용기(110)의 개방공간에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160);
    음료용기(120)의 외면을 감싸면서 구성되고 음료용기(120)에 수용된 음료의 보온 기능을 향상시키는 보온부(170);
    바닥지지체(150)에 구성되고 커버용기(110)의 바닥을 향해 빛을 조사하여 꽃장식체(140)의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조명부(180); 및
    바닥지지체(150)에 구성되고 외부의 음원기기로부터 음원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출력하는 스피커부(1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장식이 내장된 텀블러.
  7. 제6항에 있어서,
    바닥지지체(150)에 구성되고 보온부(170), 조명부(180) 및 스피커부(1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전원공급부(P)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장식이 내장된 텀블러.
  8. 제6항에 있어서, 보온부(170)는,
    음료용기(120)의 수용체(121) 외주면을 감싸면서 구성되고 수용체(121)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체(171);
    발열체(171)를 감싸면서 수용체(121)의 외주면에 구성되는 코팅층(172); 및
    발열체(171)로부터 연장되고 수용체(121) 하단의 바닥결합체(124) 하면 외부로 노출되는 전원단자편(1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장식이 내장된 텀블러.
  9. 제7항에 있어서, 동작전원공급부(P)는,
    바닥지지체(150)의 베이스(151) 측면에 노출 구성되는 연결포트(P1);
    베이스(151)의 내부에 구성되고 연결포트(P1)를 통하여 동작전원이 충전되도록 하는 배터리(P3); 및
    베이스(151)의 상면 중앙부에 노출 구성되는 전원단자(P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장식이 내장된 텀블러.
KR1020190145639A 2019-11-14 2019-11-14 꽃장식체가 내장된 텀블러 KR102095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639A KR102095453B1 (ko) 2019-11-14 2019-11-14 꽃장식체가 내장된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639A KR102095453B1 (ko) 2019-11-14 2019-11-14 꽃장식체가 내장된 텀블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453B1 true KR102095453B1 (ko) 2020-03-31

Family

ID=70002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639A KR102095453B1 (ko) 2019-11-14 2019-11-14 꽃장식체가 내장된 텀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4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875Y1 (ko) 2009-09-16 2011-06-0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형 텀블러
KR200460978Y1 (ko) * 2012-04-02 2012-06-15 김유정 물통
KR20170113963A (ko) * 2016-03-30 2017-10-13 주식회사 플래닌 살균기능 및 무드등 기능이 가능한 텀블러
KR20180136280A (ko) * 2017-06-14 2018-12-24 엄태일 보온과 보조배터리 기능을 겸비한 휴대용 텀블러
KR200488437Y1 (ko) 2017-02-17 2019-01-31 박지민 텀블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875Y1 (ko) 2009-09-16 2011-06-0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형 텀블러
KR200460978Y1 (ko) * 2012-04-02 2012-06-15 김유정 물통
KR20170113963A (ko) * 2016-03-30 2017-10-13 주식회사 플래닌 살균기능 및 무드등 기능이 가능한 텀블러
KR200488437Y1 (ko) 2017-02-17 2019-01-31 박지민 텀블러
KR20180136280A (ko) * 2017-06-14 2018-12-24 엄태일 보온과 보조배터리 기능을 겸비한 휴대용 텀블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53342A1 (en) Heated beverage receptacle
KR101684243B1 (ko) 뚜껑에 개폐버튼이 구비된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ITTO940108A1 (it) Contenitore isotermico di pasti caldi, particolarmente per ristorazione collettiva.
KR102095453B1 (ko) 꽃장식체가 내장된 텀블러
CN105686559A (zh) Diy绕线的触感温度杯
USD533303S1 (en) Combined palm-held liquid and lotion applicator and cover
CN105686561B (zh) 具有加湿功能的智能保温杯
KR200469845Y1 (ko)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두드림 도포 용기
KR200236756Y1 (ko) 페이스 파우더 용기내의 망사체
CN206745187U (zh) 电水壶
KR102373019B1 (ko) 히팅 가능한 기능성 텀블러
KR102376963B1 (ko) 화장품 용기
CN209204143U (zh) 杀菌装置
CN207689020U (zh) 一种吸盘式温度报警器
CN210018789U (zh) 温差发光杯
CN106308349A (zh) 一种带有声控led灯的水杯
CN207461937U (zh) 电水壶
KR101126792B1 (ko) 보온기
CN101984892B (zh) 杯式电热锅
CN215246755U (zh) 一种具有加温功能的液体涂抹瓶
CN213464119U (zh) 一种具有加温功能的化妆品瓶
CN211984233U (zh) 一种化妆盒
CN207217373U (zh) 电饭盒的开关组件及一种电饭盒
CN112842035A (zh) 一种石墨烯膜加热的杯子
CN217137421U (zh) 水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