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384B1 - 손 끼임 방지 도어용 힌지 - Google Patents

손 끼임 방지 도어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384B1
KR102095384B1 KR1020190124364A KR20190124364A KR102095384B1 KR 102095384 B1 KR102095384 B1 KR 102095384B1 KR 1020190124364 A KR1020190124364 A KR 1020190124364A KR 20190124364 A KR20190124364 A KR 20190124364A KR 102095384 B1 KR102095384 B1 KR 102095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upport
coupled
bas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범철
Original Assignee
(주)이가도어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가도어산업 filed Critical (주)이가도어산업
Priority to KR1020190124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3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05D7/0027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n ax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1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Abstract

본 발명은 손 끼임 방지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와 도어용 프레임 사이에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도어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여 설치 및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손 끼임 방지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어가 설치되는 도어용 프레임에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고정체; 상기 베이스와 고정체에 상호 결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고정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모듈은,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배치된 회전지지체와, 상기 고정체에 형성되며 일단이 개구되고 개구된 일단과 연통되어 상기 회전지지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소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손 끼임 방지 도어용 힌지{Door assembly that improves ease of assembly and prevents fingers}
본 발명은 손 끼임 방지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와 도어용 프레임 사이에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도어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여 설치 및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손 끼임 방지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를 분류하는 기준으로는 재질, 사용 목적, 개폐 방식이 있는데, 이 중에서 개폐 방식은 도어를 밀거나 당겨서 개폐하는 여닫이 또는 도어를 슬라이드 형태로 옆으로 밀어서 개폐하는 미닫이 또는 다수개의 도어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형태인 회전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여닫이 도어는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하는데 사용하는 도어락의 설치가 용이하고 미닫이 및 회전식에 비해 설치에 소요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고, 다양한 소재로 구성이 가능하여 현관, 실내 방문, 방화문 등과 같이 활용 범위가 넓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여닫이 도어는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 또는 옷 등이 도어와 도어용 프레임 또는 도어와 벽체에 끼이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금속, 목재와 같이 중량이 무거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어가 닫힐 때 발생하는 소음이 크고 중량이 무거울수록 도어가 닫히는 속도를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에 추가로 도어클로져(Door Closer)를 설치하여 도어가 닫히는 속도를 조절하고 있다.
한편, 도어와 도어를 설치하기 위하여 설치된 도어용 프레임 즉, 문틀 사이에 사용자의 손 또는 옷이 끼이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종래 도어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도어의 소재로 사용되는 금속, 목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측단을 직선으로 제조하기 때문이다.
도어와 도어용 프레임 사이에 사용자의 손, 옷이 끼이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축법 시행령’ 제2조제17호에 따른 다중이용 건축물과 건축물의 분양에 관한 법률, 제3조에 따른 건축물(분양하는 부분의 바닥면적 합계가 3천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오피스텔로서 330실 이상인 것 등)에 해당하는 경우 ‘건축법 시행규칙’ 제26조의5(실내건축의 구조, 시공방법 등의 기준), 제1항제6호에 따라 실내의 돌출부 등에는 충돌, 끼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완충 재료를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고, 세부 사항으로 ‘실내건축의 구조, 시공방법 등에 관한 기준’(국토교통부 고시 제2016-1024호) 제8조제2항에 따라 실내에 설치하는 출입문 등으로 인한 끼임 사고 방지를 위한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기준을 충족하고 사용자의 손, 옷이 끼이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도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도어를 도어용 프레임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도어의 수평도 및 수직도를 정확하게 정렬되어야 하는데, 도어의 수평도와 수직도가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어가 동작 또는 대기하는 과정에서 도어와 도어용 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부위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손상된 힌지를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 도어가 동작할 때마다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고 수평 또는 수직이 뒤틀린 도어는 휨 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에 도어용 프레임에 끼여서 빠지지 않고 무리한 힘을 가해 도어용 프레임에서 도어를 빼는 경우 도어 또는 도어용 프레임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도어에 결합된 마감시트 또는 ABS 수지가 도어의 휨 변형에 의해 찢어지거나 벗겨져 도어의 미감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고, ABS 수지가 찢어지거나 손상된 부위는 난연성, 불연성, 방음, 방수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296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890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도어와 도어용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의 구조를 개선하여 도어를 도어용 프레임에 설치하는 공정에서 도어의 수평도 및 수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 중 도어의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손 끼임 방지 도어용 힌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건축법 시행규칙 제26조의5(실내건축의 구조, 시공방법 등의 기준)에 부합하는 도어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손 끼임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킨 손 끼임 방지 도어용 힌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가 설치되는 도어용 프레임에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고정체;
상기 베이스와 고정체에 상호 결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고정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모듈은,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배치된 회전지지체와,
상기 고정체에 형성되며 일단이 개구되고 개구된 일단과 연통되어 상기 회전지지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소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체는,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형성된 지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름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지지체에는, 상기 회전지지체와 맞닿게 배치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높이조절용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측단면에 공구삽입공이 형성된 바디를 포함한 지지구와, 상기 소켓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높이조절용 나사산이 맞물리는 대응나사산이 형성된 조절공과, 상기 소켓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헤드와 맞닿는 걸림턱을 포함한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도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의 테두리를 감싸는 커버가 더 구비되되, 상기 커버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측이 개구된 상기 도어의 측면에 결합되는 개구부와, 도어용 프레임과의 사이에 손 끼임을 방지하는 손 끼임 방지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만곡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만곡면에는 상기 공구삽입공에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여닫이 도어에 사용되는 힌지의 구조를 개선하여 도어의 설치 공정 및 유지 보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도어의 수평도 및 수직도 조절이 용이하여 도어의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도어의 설치 기준을 제시한 관련 법령에 적합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손 끼임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의 수평도와 수직도 조절이 용이하여 설치 공정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사용 중 수평도 또는 수직도가 변경된 도어의 수평도 및 수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 끼임 방지 도어용 힌지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 끼임 방지 도어용 힌지를 분해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 끼임 방지 도어용 힌지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을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와 도어용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손 끼임 방지공간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 끼임 방지 도어용 힌지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 끼임 방지 도어용 힌지(1)는, 도어(D)가 설치되는 도어용 프레임(DF)에 결합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도어(D)에 결합되는 고정체(20)와, 상기 베이스(10)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체(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모듈(30) 및 상기 도어(D)의 테두리를 감싸는 커버(40)를 포함한 것으로, 상기 회전지지모듈(30)을 통해 도어(D)가 도어용 프레임(DF)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커버(40)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의 손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베이스(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다수개의 도어용 프레임 결합공(11)이 형성되어 도어용 프레임(DF)에 결합볼트를 통해 고정된다.
이러한 베이스(10)의 형태는 도어용 프레임(DF)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는 도어용 프레임(DF)에서 상하로 대칭되게 한 쌍이 배치되고, 상기 고정체(20)와 일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어용 프레임(DF)에서 하부에 배치된 베이스(10)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고정체(20)는 도어(D)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와 결합하기 위한 도어 결합공(2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체(20)는 상기 베이스(10)가 배치된 위치 및 개수에 상응하는 위치 및 개수로 배치되고, 상기 도어 결합공(21)을 통해 도어(D)의 외측면에 결합볼트를 통해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체(20)는 도어의 외측면 중 상단면 및 하단면에 결합되고 이때 고정체(20)와 도어(D)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서 도어(D)의 측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측면지지편(22)이 더 형성되고 상기 측면지지편(22)에도 상기 도어 결합공(21)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지지모듈(30)은 상기 베이스(10)와 고정체(20)에 상호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일면에 배치된 회전지지체(31)와, 상기 고정체(20)에 형성되며 일단이 개구되고 개구된 일단과 연통되어 상기 회전지지체(31)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21)이 형성된 소켓(32)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지지체(3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돌기(311)와, 중앙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기(311)가 관통된 중앙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돌기(311)를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름체(312)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회전지지체(31)는 구름체(312)가 지지돌기(311)를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소켓(32)은 상기 고정체(2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단 또는 하단 중 일단이 개구되고, 개구된 일단과 연통되어 상기 회전지지체(31)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소켓(32)에 형성된 수용공간(321)에 회전지지체(31)가 배치되고, 수용공간(321)의 내주면이 회전지지체(31)의 구름체(312)의 외주면에 맞닿아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구름체(312)의 개수를 도면에 도시된 1개 이외에 다수개를 배치하여 고정체(20)의 회전이 보다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된 개수 및 상하 폭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회전지지모듈(30)에는 고정체(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33)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높이조절수단(33)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지지체(31)와 맞닿게 배치되는 헤드(331)와, 상기 헤드(331)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높이조절용 나사산(333a)이 형성되고 일측단면에 공구삽입공(334)이 형성된 바디(332)를 포함한 지지구(333)와, 상기 소켓(32)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높이조절용 나사산(333a)이 맞물리는 대응나사산(336)이 형성된 조절공(335)과, 상기 소켓(32)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헤드(331)와 맞닿는 걸림턱(337)을 포함하여 고정체(2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도어(D)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지지구(333)는, 헤드(331)와 상기 헤드(331)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바디(332)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332)의 외주면에는 높이조절용 나사산(333a)이 형성되고 바디(332)의 일측단면에 공구삽입공(33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헤드(331)는 상기 회전지지체(31)를 구성하는 구름체(312)의 상면에 맞닿도록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헤드(331)의 외주면은 소켓(32)의 내주면에 맞닿지 않는 직경 또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소켓(32)이 회전시 헤드(331)의 외주면이 소켓(32)의 내주면에 맞닿아 소켓(32)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원활한 소켓(32)의 회전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헤드(331)의 형태는 도면 중 도시된 원형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바디(332)는 헤드(331)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높이조절용 나사산(333a)이 형성되고 연장된 외측의 단면에 공구삽입공(334)이 형성된다. 상기 공구삽입공(334)의 형태는 도면 중 도시된 육각 내홈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며 일 예로 십자(+) 또는 일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바디(332)에 형성된 높이조절용 나사산(333a)은 소켓(32)의 조절공(335)에 형성된 대응나사산(336)과 치(齒)결합하고, 공구삽입공(334)에 결합된 공구를 통해 지지구(333)를 회전시키면 소켓(32) 및 소켓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체(20)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도어(D)의 높이, 위치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걸림턱(337)은 상기 소켓(32)의 수용공간(321)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구(333)의 헤드(331)가 맞닿음으로써 소켓(32)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높이조절수단(33)은 도어용 프레임에 결합된 도어의 수평과 수직을 조절하는 것으로,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도어(D)에 결합된 고정체(20)와 도어용 프레임(DF)에 결합된 베이스(10)를 결합시켜 도어(D)를 도어용 프레임(DF)에 배치한다. 이때, 베이스(10)에 구비된 회전지지체(31)의 외주면이 고정체(20)에 구비된 소켓(32)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고정체(20)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어용 프레임(DF)에 결합한 도어(D)의 수평과 수직을 조절하기 위하여 공구삽입공(334)에 공구를 삽입하여 지지구(333)를 회전시켜 도어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도어의 수평 및 수직을 조절한다.
한편, 상기 도어(D)의 테두리를 감싸는 커버(4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커버(40)는 상기 도어(D)의 테두리를 감싸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10)와 고정체(20)와 도어의 측면을 이물질 및 습기로부터 보호하며 동시에 도어의 측면과 도어용 프레임 사이에 사용자의 손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손 끼임 방지공간(43)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40)는 도어(D)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일측은 도어(D)의 측면을 감싸면 결합할 수 있도록 개구된 개구부(41)가 형성되고, 타측은 사용자의 손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만곡면(4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만곡면(42)은 도어용 프레임(DF)과의 사이에 손 끼임 방지공간(43)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와 도어용 프레임(DF)사이에 사용자의 손, 옷이 끼이는 사고를 방지하고 특히 도어(D)가 개폐를 위해 회전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 끼임을 방지할 수 있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만곡면(42)에는 상기 지지구(333)에 형성된 공구삽입공(334)에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44)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커버(40)는 도어(D)를 사용하던 중 도어가 뒤틀려 수평도 및 수직도가 변경된 경우 커버(40)를 도어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D)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손 끼임 방지 도어용 힌지
10 : 베이스
11 : 도어 프레임용 결합구
20 : 고정체
21 : 도어 결합공 22 : 측면 지지편
30 : 회전지지모듈
31 : 회전지지체 32 : 소켓
33 : 높이조절수단
311 : 지지돌기 312 : 구름체
321 : 수용공간
331 : 헤드 332 : 바디
333 : 지지구 334 : 공구삽입공
335 : 조절공 336 : 대응나사산
337 : 걸림턱
40 : 커버
41 : 개구부 42 : 만곡면
43 : 손 끼임 방지공간 44 : 관통공

Claims (5)

  1. 도어(D)가 설치되는 도어용 프레임(DF)에 결합되는 베이스(10);
    상기 도어(D)에 결합되는 고정체(20);
    상기 베이스(10)와 고정체(20)에 상호 결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고정체(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모듈(3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모듈(30)은,
    상기 베이스(10)의 일면에 배치된 회전지지체(31)와,
    상기 고정체(20)에 형성되며 일단이 개구되고 개구된 일단과 연통되어 상기 회전지지체(31)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21)이 형성된 소켓(32)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지지체(31)는,
    상기 베이스(10)의 일면에 형성된 지지돌기(311)와,
    상기 지지돌기(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름체(312)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체(31)에는,
    상기 회전지지체(31)와 맞닿게 배치되는 헤드(331)와, 상기 헤드(331)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높이조절용 나사산(333a)이 형성되고 일측단면에 공구삽입공(334)이 형성된 바디(332)를 포함한 지지구(333)와,
    상기 소켓(32)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높이조절용 나사산(333a)이 맞물리는 대응나사산(336)이 형성된 조절공(335)과,
    상기 소켓(32)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헤드(331)와 맞닿는 걸림턱(337)을 포함한 높이조절수단(33)이 구비되어 도어(D)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도어(D)의 테두리를 감싸는 커버(4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커버(4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측이 개구된 상기 도어(D)의 측면에 결합되는 개구부(41)와,
    도어용 프레임(DF)과의 사이에 손 끼임을 방지하는 손 끼임 방지공간(43)을 형성하기 위하여 만곡면(42)이 형성되고,
    상기 만곡면(42)에는,
    상기 공구삽입공(334)에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44)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고정체(20)와 일직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체(20)는 상기 도어(D)의 외측면 중 상단면 및 하단면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D)의 측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측면지지편(22)이 더 형성되며 상기 측면지지편(22)에는 도어 결합공(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끼임 방지 도어용 힌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24364A 2019-10-08 2019-10-08 손 끼임 방지 도어용 힌지 KR102095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364A KR102095384B1 (ko) 2019-10-08 2019-10-08 손 끼임 방지 도어용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364A KR102095384B1 (ko) 2019-10-08 2019-10-08 손 끼임 방지 도어용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384B1 true KR102095384B1 (ko) 2020-03-31

Family

ID=70002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364A KR102095384B1 (ko) 2019-10-08 2019-10-08 손 끼임 방지 도어용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38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601B1 (ko) 2021-05-31 2021-09-13 (주)이가도어산업 손 끼임 방지용 커버가 구비된 도어 회전 지지모듈
KR102447204B1 (ko) 2022-05-03 2022-09-26 구본춘 손끼임방지용 커버가 구비된 도어
IT202100011666A1 (it) * 2021-05-06 2022-11-06 Colcom Group S R L Cerniera per la movimentazione girevole di una porta, un’anta o similare
WO2022234499A1 (en) * 2021-05-06 2022-11-10 Colcom Group S.P.A. System for the controlled rotary movement of a door, a leaf or the like
KR102611316B1 (ko) 2022-10-17 2023-12-07 구본춘 도어용 손끼임방지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748U (ko) * 1998-12-26 2000-07-15 조현식 방화문용 힌지
KR200322544Y1 (ko) * 2003-05-26 2003-08-09 최낙필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방화문 힌지
KR200432964Y1 (ko) 2006-09-18 2006-12-07 장선홍 비틀림 방지 슬라이딩 도어
KR200478900Y1 (ko) 2011-06-01 2015-12-01 (주)일진게이트 현관용 목재 도어
KR101723571B1 (ko) * 2016-07-11 2017-04-14 주식회사 태상 안전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748U (ko) * 1998-12-26 2000-07-15 조현식 방화문용 힌지
KR200322544Y1 (ko) * 2003-05-26 2003-08-09 최낙필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방화문 힌지
KR200432964Y1 (ko) 2006-09-18 2006-12-07 장선홍 비틀림 방지 슬라이딩 도어
KR200478900Y1 (ko) 2011-06-01 2015-12-01 (주)일진게이트 현관용 목재 도어
KR101723571B1 (ko) * 2016-07-11 2017-04-14 주식회사 태상 안전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11666A1 (it) * 2021-05-06 2022-11-06 Colcom Group S R L Cerniera per la movimentazione girevole di una porta, un’anta o similare
WO2022234499A1 (en) * 2021-05-06 2022-11-10 Colcom Group S.P.A. System for the controlled rotary movement of a door, a leaf or the like
KR102301601B1 (ko) 2021-05-31 2021-09-13 (주)이가도어산업 손 끼임 방지용 커버가 구비된 도어 회전 지지모듈
KR102447204B1 (ko) 2022-05-03 2022-09-26 구본춘 손끼임방지용 커버가 구비된 도어
KR102611316B1 (ko) 2022-10-17 2023-12-07 구본춘 도어용 손끼임방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5384B1 (ko) 손 끼임 방지 도어용 힌지
US7000954B2 (en) Midrail mounted exit device
US20100019513A1 (en) Window lock keeper
US20130000203A1 (en) Door assemblies
US10900268B2 (en) Sliding door system
US5395143A (en) Post assembly permitting only limited opening of a portal
KR102100355B1 (ko) 접철가능하며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KR102301601B1 (ko) 손 끼임 방지용 커버가 구비된 도어 회전 지지모듈
CN104499887A (zh) 一种转角门结构
KR102349413B1 (ko)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CN209976239U (zh) 一种可自动回位的多角度安装锁牌机构
KR200411572Y1 (ko) 문과 그 문이 설치되는 문틀
EP1298270B1 (en) Pivotable shutter panel assembly
KR102660979B1 (ko) 손끼임 방지용 도어 힌지장치
KR102650048B1 (ko) 손끼임 방지기능을 갖는 도어 개폐장치
EP3124725B1 (en) A window with an opening restrictor having an activation part
GB2383072A (en) Door joined to a rotatable door post
WO2006078169A1 (en) Child safety lock for reversible window hinges
KR102564419B1 (ko) 손가락 끼임 방지 도어
CN218522530U (zh) 一种纱窗内开式窗型
KR102372715B1 (ko) 리프팅창호의 후크타입 잠금장치
KR102438423B1 (ko) 히든 도어 프레임 구조
GB2415457A (en) Pivoting sash window
CN219953049U (zh) 一种推拉窗的儿童锁开关装置
CN109555444A (zh) 一种通风防盗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