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193B1 - 차량 맞춤형 거점방역설비 - Google Patents

차량 맞춤형 거점방역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193B1
KR102095193B1 KR1020190166898A KR20190166898A KR102095193B1 KR 102095193 B1 KR102095193 B1 KR 102095193B1 KR 1020190166898 A KR1020190166898 A KR 1020190166898A KR 20190166898 A KR20190166898 A KR 20190166898A KR 102095193 B1 KR102095193 B1 KR 102095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jector
disinfectant
spraye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로
Priority to KR1020190166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4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with liquid or gas distribu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3Biocide decomposition means, e.g. catalysts, sorb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8Detecting or categorising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맞춤형 거점 소독 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측면 형상이나 종류에 따라 차량 전체에 소독액 분사가 가능하면서도 소독액 낭비를 방지하는 차량 맞춤형 거점 소독 설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맞춤형 거점방역설비{BASE DISINFECTION FACILITY FOR INDIVIDUAL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맞춤형 거점방역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 형상이나 종류에 따라 차량 전체에 소독액 분사가 가능하면서도 소독액 낭비를 방지하는 차량 맞춤형 거점방역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인접한 상기 분사기 세트 사이에 설치된 차폐장치를 통해서 분사기 세트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소독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맞춤형 거점방역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소독후에 차량소독액공급관의 잔류하는 차량소독액을 완전 소진하도록 하여 잔류 차량소독액으로 인한 동파의 방지 및 소독액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차량 맞춤형 거점방역설비이다.
일반적으로 우사, 돈사, 양계장, 도축장, 사료공장 등에는 사료차, 가축 운반차, 약품차 뿐만 아니라 개인 방문 차량 등 각종 차량이 출입을 하고, 이들 출입 차량은 여러 곳의 축사를 드나들고 있다.
따라서, 축사를 드나드는 출입 차량에 의해 가축전염병(예: 돼지 콜레라 바이러스, 돼지 열병 바이러스, 조류독감 바이러스, 돼지 호흡기 바이러스 등)이 퍼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한국등록특허 제10-1948086호 '거점식 차량 소독설비' 등에서는 축산 농가의 출입로에 축사를 출입하는 차량에 대해 소독액을 분사하여 가축 전염병을 예방하는 방역 설비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은 차량의 종류나 형상에 무관하게 차량의 측면과 상부에서 고정식으로 설치된 분사기를 이용하여 소독액을 분사하기 때문에 특정 차량의 경우에는 차량 전체를 소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차량 전체를 소독한다는 목적 달성을 위해 출입 차량에 무관하게 넓은 범위에 소독액을 분사하기 때문에 소독액 낭비가 심하고 이로 인해서 환경 오염을 유발하게 되므로, 소독효과를 높이면서 소독액의 사용을 최대한 줄여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 및 차량실내의 소독과 인체소독을 위한 실현가능한 방안에 대해서 고안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8086호(2019. 2. 14.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거점 소독 설비로 진입한 차량의 측면 형상이나 종류에 따라 차량 전체에 소독액 분사가 가능하면서도 소독액 낭비를 방지하는 차량 맞춤형 거점 소독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낭비될 수 있는 소독액을 최소화하고 시설의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한 차량 맞춤형 거점 소독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미스트분무가 가능한 차량실내소독장치 및 인체소독장치에 의해서 소독액이 차량실내 또는 인체에 젖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소독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차량 맞춤형 거점 소독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맞춤형 거점 소독 설비는,
거점 소독 설비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진입 차단기와;
상기 진입 차단기를 통과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한 후 차량 번호를 추출하여 출입 시간과 함께 DB에 기록하는 번호판 인식기와;
진입로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진입 차단기를 통과한 차량의 하면과 차륜를 세척하는 차량 하부 세차기;
상기 하부세차기를 통과한 차량의 하부차체와 바퀴를 건조하는 차량건조기;
상기 차량건조기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차량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측면을 스캐닝하는 차량 형상 스캐너;
상기 차량 형상 스캐너에서 제공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측면 형상을 판독하는 차량 형상 판독기;
정차된 차량을 향해 소독액을 분사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좌우 양측면에 설치되는 제1 분사기;
상기 제1 분사기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되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분류된 차량의 측면 형상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된 후 상기 제1 분사기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부분이 있는 차량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소독액을 분사하는 제2 분사기; 및
상기 제1 분사기 및 제2 분사기에 소독액공급관을 통해서 소독액을 공급하도록 소독액공급펌프를 구비한 소독액 공급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독액공급탱크로 배출된 소독액공급관의 소독액은 상기 소독액공급펌프를 통해서 제1분사기 및 제2분사기로 공급되어 분사되되, 소독액공급관의 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소독액을 완전히 소진시키기 위해서 상기 소독액공급관은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관과 연결된다.
또한, 차량의 실내소독을 위해 상기 소독액공급탱크와 연결되어 소독액을 공급하는 미스트분무기를 구비하되, 상기 미스트분무기는 차량도어의 높이에 따라서 선택되는 제1미스트분무기와 제2미스트분무기를 포함한다.즉, 승용차량과 화물차량의 차량실내 높이가 상이하므로, 이에 대응하는 미스트분무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킨다.
또한, 차량 탑승자의 대인소독을 위한 대인소독실을 더 구비하되, 대인소독액은 대인소독액 공급탱크로부터 대인소독액공급관을 거쳐 소독액 미스트(mist)를 분사하는 분무기를 통해서 분무된다. 대인소독실에는 흉부이상을 커버하는 흉부커버를 구비한 대인소독가이드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분사기는 높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다수개의 제1 분사 노즐들을 포함하되, 다수개의 제1 분사 노즐은 상기 소독액 공급 탱크에 공통 연결되어 동시에 소독액을 분사하고, 상기 제2 분사기는 높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다수개의 제2 분사 노즐들을 포함하되, 선택에 따라 상측면에 배치된 제2 분사 노즐부터 순차로 분사되도록 각각 전자 제어 밸브를 통해 상기 소독액 공급 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분사기 및 제2 분사기는 차량의 전장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이격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제2 분사기는 상기 차량의 측면 형상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높이가 조절된 상태로 소독액을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닥면의 횡방향으로 바퀴를 따라서 경사를 형성되고, 바닥면의 종방향을 따라서 경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분사기 및 제2 분사기로부터 분사된 소독액을 수집하는 수집로가 구비되고, 상기 수집로를 통해 수집되는 소독액을 정화하는 정화필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소독액은 통상의 물로 정화되어 회수관을 거쳐 세차수탱크로 저장된다. 상기 세차수탱크의 물은 압축공기를 통해서 차량의 하부세차를 위해서 공급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형상판독기를 통해 차량의 형상을 분석한 후 고정식의 제1 분사기 및 승강식의 제2 분사기를 조합하여 소독액을 분사하게 됨에 따라서 차량의 측면 형상이나 종류에 따라 차량 전체에 소독액 분사가 가능하게 되면서도 소독액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소독액공급탱크에 구비되는 소독액공급펌프에 의해서 소독액은 소독액 공급관을 통해서 공급되며, 소독액 분사후에 소독액공급관에 잔류하는 소독액을 제거하기 위해서 소독액공급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서 잔류되는 소독액을 완전히 소진하도록 하여 소독액의 낭비를 없애고, 잔류되는 소독액으로 인한 동파를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차폐장치는 그에 마주보는 분사기세트에서 분사되는 소독액이 마주보는 분사기세트 사이 공간을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최종적으로는 바닥면의 수집로에 모이도록 하는 차단벽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맞춤형 거점 소독 설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맞춤형 거점 소독 설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분사기 및 제2분사기를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분사기 및 제2분사기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례장치의 구조 및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배관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맞춤형 거점 소독 설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맞춤형 거점소독설비는 우사, 돈사, 양계장, 도축장, 사료공장 등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사료차, 가축 운반차, 약품차 뿐만 아니라 개인 방문 차량 등 각종 출입 차량을 소독하는 것으로, 출입 차량에 의해 가축전염병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인식수단(120), 차량 하부세차수단(130), 차량건조수단(131), 차량형상판독수단, 차량소독수단, 개인소독수단, 소독액회수수단을 포함한다.
차량인식수단은 진입로 입구에 설치되어 차량의 출입을 단속하는 진입차단기, 상기 진입차단기를 통과한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DB에 저장하는 번호판인식기, 이동하는 차량의 측면을 스캐닝할 수 있도록 설치된 차량스캐너 및 상기 차량스캐너를 통해 스캔된 차량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이미지분석장치를 구비한 차량형상판독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번호판인식기는 차량등록소의 차량번호DB에 연동되어 차종에 따른 차종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상기 차량인식수단을 통과한 차량은 차량하부세차수단으로 진입한다.
상기 차량하부세차수단은 차량 하부세차기는 진입로의 바닥에 설치되어 차량하부 및 바퀴로 세차수를 분사하는 분사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분사수단은 세차수 저장탱크로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세차수공급펌프에 의해서 공급되는 세차수를 골고루 분사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ㄷ 자형 분사노즐모듈을 구비한다.
세차수탱크 및 세차수펌프에 의해서 세차수는 세차수공급관을 통해서 세차수노즐로 공급되나, 세차수공급관에 잔류하고 있는 잔류한 세차수에 의해서 세차수공급관이 동파될 수 있으므로, 공기압축기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서 세차수공급관에 잔류하고 있는 세차수를 완전 소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차량하부세차수단은 바람직하게 차량의 하부만을 세차하도록 구성된다. 차량의 하부는 각종 오염물질이 붙어 있어서 세차를 먼저 하지 않을 경우 후술하는 차량소독수단으로 소독액을 분사하더라도 병원균에 직접적으로 소독액이 침투할 수 없게 되므로, 먼저 차량하부세차를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차량의 상부를 세차하는 경우 트럭의 오물 등이 씻겨져 내려와 오히려 세차수를 오염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차량하부세차수단은 차량의 하부와 차륜을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세차수분사노즐은 차량의 하부와 바퀴에 집중하여 분사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ㄷ 자형으로 진입로에 설치된다. 상기 차량 하부세차수단을 통과하여 이동 중인 차량을 온풍으로 건조하는 차량건조수단(131)에 의해서 건조된다.
차량인식수단에 의해서 차종 및 차량길이 및 높이가 판독되기 때문에 차량소독수단에서 차량소독액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차종 및 차량형상 판독결고에 따라서, 제1분사기 및 제2분사기는 소독액 분사를 제어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분사기는 고정식 분사기이고, 제2분사기는 제1분사기에 설치되어 유압수단에 의해서 높이가 조절되는 분사기로서, 차량의 높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높이가 조절된 후 소독액을 분사한다.
차량소독액탱크는 내장하는 차량소독액펌프에 의해서 차량소독액공급관을 거쳐 차량소독액을 상기 제1분사기 및 제2분사기로 공급한다. 또한, 차량의 실내를 소독하기 위해서는 차량 탑승자가 하차한 후에 개방된 차량도어를 통해서 안개형태로 차량소독액을 분무하는 미스트 분무기를 포함한다. 차량미스트분무기는 승용차용으로 제1차량분무기와 화물차용으로 제2차량분무기가 구분되어 구비된다.
한편, 차량탑승자나 방문자를 소독하는 대인소독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ㄷ대인소독수단은 별도의 구분된 인체소독액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인체소독액탱크에 내장되는 펌프에 의해서 인체소독액을 인체소독액공급관을 통하여 공급하며, 인체미스트분무기로 분무된다.
제1분사기 및 제2분사기를 통해 출입 차량에 분사된 소독액은 횡방향으로 경사진 바닥면에 의해서 수집로로 모아지고, 종방향으로 경사진 수집로를 통해서 회수관으로 회수되되, 상기 회수관은 정수필터에 의해서 정수되며 일반적인 물로 정수된 물이 상기 세차수탱크로 회수되도록 연결된다.
차량스캐너는 차량 하부세차기를 통과하여 이동 중인 차량의 일측 또는 양측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의 측면(도어측)을 스캐닝하는 것으로, 최적의 소독액 분사를 위해 차종, 차량의 길이방향에 따른 높이, 차량도어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차량 스캐너는 차량의 좌우 형상이 대칭인 점을 고려하여 차량의 일측에만 설치되어도 차량의 형상 파악이 가능하며, 일 예로 설치용 스탠드의 높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설치용 스탠드에 설치되는 스캐너는 차량을 향하도록 초점 조절이 이루어져 있으며, 설치용 스탠드의 하부와 상부에 설치된 스캐너를 포함하여 차량의 하부 및 상부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게 한다.
차량 형상판독기는 차량 스캐너에서 제공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출입 차량의 측면 형상에 따른 차량 종류를 분류하는 것으로, 소독액을 분사해야 할 차량의 전장 및 길이에 따른 높이, 도어의 높이를 파악하여 최적의 분사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차량 형상판독기는 데이터 처리부 및 영상 분석부의 기능이 탑재된 반도체 프로세스 칩이나 컴퓨팅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술한 차량 스캐너의 설치용 스탠드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데이터 처리부에서는 차량 스캐너에서 제공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입 차량을 제외한 배경 등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 과정을 거치고, 차량 이미지만을 추출하여 영상 분석부에 제공한다.
영상 분석부에서는 노이즈 필터링을 거쳐 추출된 차량 이미지를 분석하여 소독액 분사에 필요한 차량 형상을 추출한다. 차량 형상에는 전장 길이, 차체 높이, 적재 공간 여부 및 도어 위치 등이 있다.
차량 형상 분석을 위해 미리 구축된 정보 저장장치로부터 현존하는 차량 모델에 대한 형상 정보를 제공받아 비교하거나,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기술을 이용하거나 혹은 형상을 구성하는 외곽선 정보 자체로부터 유추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차량 형상판독기에서 적어도 승용차, SUV, 적재 공간이 폐쇄되어 있는 트럭 및 적재 공간이 개방되어 있는 트럭을 구분하고, 이를 통해 선택적으로 제2분사기를 제어한다.
차량 종류 중 SUV는 통상 승용차보다 차체가 높아서 소독액 분사 높이가 더 높아야 하고, 나아가 승용차나 SUV보다는 트럭의 차체 최상단이 높아서 소독액 분사 높이는 더 높아야 한다.
또한, 우사, 돈사, 양계장, 도축장, 사료공장 등에 출입하는 사료차, 가축 운반차 및 약품차 등은 주로 트럭(혹은 탑차)이 사용되고, 이때 차량 적재 공간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여 이들 특징 역시 구분한다.
예컨대, 적재 공간이 개방된 트럭은 폐쇄된 것보다 더 많은 소독액을 더 넓게 분사할 필요가 있다. 적재 공간을 개방하고 그 대신 펜스만을 설치한 경우에는 펜스 틈새로 노출된 가축에 소독액을 분사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제1분사기 및 제2분사기는 차량의 측면에서 차량을 향해 소독액을 분사하는 것으로, 그 중 제1분사기는 소독을 위해 대기중인 모든 형상의 차량을 향해 소독액을 분사한다.
제2분사기는 제1분사기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분사기와 한 쌍을 이룬다. 또한, 제2분사기는 차량의 측면 형상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된 후 제1 분사기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부분이 있는 차량의 경우에만 단속적으로 소독액을 분사한다.
도 3의 (a) 및 (b)와 같이, 제1분사기는 높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다수개의 제1분사노즐을 포함하며, 다수개의 제1분사노즐은 소독액 공급탱크의 소독액을 소독액펌프에 의해서 고압으로 소독액공급관을 거쳐 공급받아 분사한다.
예컨대, 제1분사기는 기둥 형상의 제1스탠드에 설치되며, 제1스탠드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제1분사노즐들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분사노즐은 차량소독액공급관의 제1라인에 공통 연결된다.
또한, 차량소독액공급관의 유입단은 차량소독액 공급탱크에 연결되고, 차량소독액 공급탱크내에 구비된 펌프에 의해서 고압으로 차량소독액 공급관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제1분사기의 제1분사노즐(160)을 거쳐서 분사된다.
제2분사기는 높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다수개의 제2분사노즐들을 포함하되, 선택에 따라 상측면에 배치된 제2분사노즐은 각각 전자제어밸브를 통해 선택적으로 분사되도록 제어된다. 예컨대, 제2분사기는 상기 제1스탠드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유압실린더(175)에 의해서 인출 가능한 제2스탠드에 제2분사노즐(170)이 설치된다.
또한, 제2분사노즐은 차량소독액 공급탱크로부터 배출된 차량소독액을 공급하는 제2라인에 각각 병렬 연결되는데, 병렬 연결을 위해 제2라인으로부터 분기된 다수의 분기 라인 및 상기 분기 라인에 설치된 전자제어밸브를 통해 제2분사노즐이 연결된다.
또한, 제1스탠드에 끼워진 제2스탠드가 상하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일 예로 실린더가 설치되는데, 이때 실린더 몸체는 제1스탠드에 고정 설치되고 실린더 로드는 제2스탠드에 연결되어 제2스탠드를 승하강시킨다.
위와 같이 제2분사기를 승하강 가능하게 조립하면, 도 3의 (a)와 같이 제1분사기로는 승용차나 SUV와 같이 차체가 낮은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에는 제1분사기로만 소독액을 분사한다. 이러한 이유로 제1스탠드는 승용차나 SUV의 차체 높이와 유사하거나 그보다 다소 높은 길이를 갖는다.
반면, 도 3의 (b)와 같이, 승용차나 SUV보다 상대적으로 차체가 더 높은 트럭 타입의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에는 제1분사기로만으로는 차량 전체에 소독액을 분사할 수 없으므로, 제2분사기를 상부로 인출하여 높이를 조절하고 차량의 상부 높이에 대해서도 소독액이 분사되게 한다.
제2분사기의 승강 높이는 상술한 차량 형상판독기의 제어하에 이루어지는데, 차량 형상판독기는 차체 높이 뿐만 아니라 적재부가 개방되었는지도 판단하므로 제2분사기의 승강 높이 이외에 분사시간(분사량)이나 개방이 필요한 제2분사노즐 개수 등 다양한 제어를 한다.
도 2로 다시 돌아가, 위에서 설명한 제1분사기 및 제2분사기는 차량의 전장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이격 설치되어 있다. 즉, 제1분사기 및 제2분사기는 각각 차량 진행을 방향을 따라 차량의 전장을 고려하여 충분한 갯수로 설치된다.
이때, 높이가 고정된 제1분사기를 제외하고, 제1분사기에 각각 승하강 가능하게 조립된 다수개의 제2분사기는 차량의 측면 형상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높이가 조절된 상태로 소독액을 분사한다.
승용차의 경우 통상 차량 전장 중 본넷과 트렁크를 제외한 중간 부분이 가장 차체가 높고, SUV의 경우에는 차체의 후방부가 가장 높다. 또한, 트럭의 경우도 통상 차체 후방부가 높으나 적재부 형상이나 타입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차량 형상판독기의 차량형상 판독결과에 따라서 일렬로 배치된 다수개의 제2분사기들의 승강 높이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출입 차량의 차체형상에 따라 제2분사기의 승강 높이가 서로 다르도록 조절된다.
다만, 제1분사기 및 제2분사기를 구성하는 분사노즐 중 최상단의 분사노즐은 차량의 상단 즉, 루프까지 소독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차량을 바라보는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차량소독액탱크(180)는 소독액을 저장하였다가 차량소독액공급관을 통해서 제1분사기 및 제2분사기에 각각 소독액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차량소독액공급관의 출수측은 상기 제1라인을 통해 제1분사기에 연결되고, 제2라인을 통해서는 제2분사기에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차량미스트 분무기를 더 포함한다. 그 중 차량미스트분무기는 운전석 등 차량내부를 소독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차량소독액공급관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소독액 미스트(mist)를 분무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부분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미스트분무기는 다수개의 제1분사기 중 전방에 설치된 것의 제1스탠드들 사이 공간에 설치되고, 적어도 차량 도어 근처까지 접근할 수 있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한편 차량의 운전자가 통과하는 대인 소독실(192);을 더 포함하되, 상기 대인소독실은 운전자가 들어가는 신체소독챔버, 상기 신체소독챔버의 하부에는 신체의 체중을 인식하는 신체인식부, 상기 신체소독액을 미스트분무하는 신체소독액 미스트분무기;를 구비하고, 상기 신체소독챔버 내부에는 신체의 흉부 이상과 이하를 구분하는 차단판이 구비되고, 인체소독액 미스트가 흉부 위로 즉, 얼굴 등으로 미치지 않도록 상체보호가이드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신체소독챔버의 내면에서는 미스트분무기가 오직 신체의 흉부 이하에만 분무된다. 상기 대인소독수단은 차량에서 하차한 운전자나 방문자가 입실하여 소독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대인스탠드를 구비하며, 상기 대인스탠드에는 인체의 하중을 감지하여 신체의 하체와 흉부아래로 인체소독액을 미스트분무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대인소독실은 차량 진입로의 옆에 독립된 공간의 부스를 설치하여 제공되며, 운전자 등은 차량방역 후 대인소독실에 들어가 신체소독액 미스트분무기로 소독을 한다.
그 외 수집로는 바닥면에 경사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제1분사기 및 제2분사기로부터 분사된 소독액을 수집하고, 필터는 회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소독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일 예로 수집로의 하류측에는 소독액을 모아 이송하는 회수관이 설치되어 정수필터까지 연결되고, 회수관은 정수필터를 통과한 소독액, 즉 정화된 물은 세차수탱크로 보내져서 보관되며 세차수로 재사용하게 된다. 차량 하부세차수단에서 재사용을 마친 소독액은 화학처리를 마친 후에 하수관거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맞춤형 거점 소독 설비는 다른 실시예로써 수평 이송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와 같이, 수평이송장치는 설비를 수평 왕복 이동시키는 것으로 출입 차량의 형상 및 길이 등에 따라 제1분사기 및 그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분사기의 위치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트럭 적재부에 가축을 실은 경우에는 가축의 배설물에서 떨어지는 오염물질들에 대한 소독이 집중적으로 필요하므로, 제1분사기 및 제2분사기의 배치 밀도를 높이도록 수평이송장치는 제1분사기 및 제2분사기의 위치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제1분사기 및 제2분사기는 한 쌍 이루어 분사기 세트를 구성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분사기 세트는 복수개가 구비된다.
또한, 다수개의 분사기 세트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수평이송장치에 설치되어 출입 차량의 형상에 따라 위치가 조절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기 세트 단부에 구비된 것을 포함하여 그 내측의 것까지 2개가 수평 이동 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LM 가이드나 레일 등으로 구성된 수평이송장치(197) 위에 설치된 제1분사기 및 제2분사기의 분사기 세트는 일측의 구동 모터(197b)에 의해 작동되면서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작동은 상술한 차량 형상 판독기가 차량 형상을 판독한 결과에 따라 전송한 제어 신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맞춤형 거점 소독 설비는 차폐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a) 내지 (c)와 같이, 차폐 장치(198)는 그에 마주보는 제1 분사기(160) 및 제2 분사기(170)에서 분사된 소독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최종적으로는 바닥면의 수집로(193)에 모이도록 하는 차단벽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차폐 장치(198)는 서로 인접한 상기 분사기 세트(160, 170) 사이에 설치되어 분사기 세트(160, 170)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소독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차폐 장치(198)는 일 예로 차폐판(198a) 및 보강 프레임(198c)을 포함하는데, 그 중 차폐판(198a)은 지면에 대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접힘선(198b)들을 기준으로 세로 방향으로 접히며, 분사기 세트(160, 170) 중 제2 분사기의 인출 높이 만큼의 높이를 갖는다. 접힘선(198b)을 갖는 차폐장치는 상기 분사기세트가 수평이동장치를 따라서 이동함으로 인해서 생기는 분사기세트 사이의 간격변화에 대응하여 차폐판(198a)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한다.
보강 프레임(198c)은 차폐판(198a)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분사기 세트(160, 170) 중 고정된 상태에 있는 제1 분사기(160)에 결합 수단(198d)을 통해 고정된다. 따라서, 분사된 소독액이 차폐판(198a)에 부딪힌 후 수집로(193)를 향해 안내되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차폐판(198a)의 하단에는 수집로(193)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분사기(170)에는 별도의 보강 차폐판(199)을 더 설치함으로써 제2 분사기(170)와 함께 승하강되면서 차단벽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거점방역설비는 실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겨울철 적절한 온도유지를 위하여 내부에서 열기를 공급해야 한다. 이에 따라서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서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기에 의해서 발산되는 열은 덕트(미도시) 및 팬(182)을 이용하여 소독실 실내로 유입시켜서 공급한다.
또한, 공기압축기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세차수 공급관 및 차량소독액 공급관에 각각 공급되되,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즉, 세차수 및 차량소독액은 각각의 공급관을 통해서 세차노즐 및 차량소독액 분사노즐로 각각 공급되는데, 이때 세차수공급관 및 차량소독액 공급관에 남아 있는 잔류 액체성분이 남아서 겨울철 동파를 야기시키므로, 세차수와 차량소독액이 공급관 내에 남아 있지 않도록 완전소진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압축공기가 세차수공급관 및 차량소독액공급관에 각각 공급된다. 이때 세차수탱크와 차량소독액탱크로 압축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밸브(SV1, SV2)가 구비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110: 진입 차단기
120: 번호판 인식기
130: 차량 저부 소독기
140: 차량 촬영기
150: 차량 형상 판독기
160: 제1 분사기
170: 제2 분사기
180: 차량소독액탱크
191: 미스트분무기
192: 대인 소독실
193: 수집로
194: 정화필터
195: 회수관
196: 세차수탱크
197: 수평이송장치
198: 차폐장치

Claims (7)

  1. 거점 방역설비의 진입로에 설치되며, 차량의 진입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진입차단기(110)와;
    상기 진입차단기를 통과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고 차량 번호를 추출하여 출입 시간과 함께 DB(121)에 기록하는 번호판 인식수단(120);
    진입로 바닥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ㄷ 자형으로 구성되고, 차량의 하부와 차륜에 세차수를 분사하는 차량 하부세차수단(130);
    상기 차량 하부세차수단을 통과하여 이동 중인 차량을 온풍으로 건조하는 차량건조수단(131);
    상기 차량건조수단을 통과한 차량의 일측방향 또는 양측방향에 설치되어 차량의 측면을 촬영하는 차량 스캐너(140)와 상기 차량 스캐너에서 제공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측면 형상을 분석하는 차량 형상판독기(150);
    상기 차량의 전장을 고려하여 차량소독액탱크(180)으로부터 공급되는 차량소독액을 대기중인 차량을 향해 분사하는 차량소독수단;를 구비하되,
    상기 차량소독수단은,
    차량의 전장에 걸쳐서 차량소독액을 분사할 수 있는 복수개의 분사기 세트(160, 170)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사기 세트는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스탠드에 복수개의 제1분사노즐이 구비된 제1분사기(160)와, 상기 제1스탠드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유압실린더(175)에 의해 인출되는 제2스탠드에 복수개의 제2분사노즐이 구비된 제2분사기(170)로 구성되어,
    상기 제1분사기와 상기 제2분사기가 독립적으로 작동되고 차량의 높이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차량소독액을 분사할 수 있되,
    상기 복수의 제2분사노즐은 각각의 제2분사노즐이 전자제어밸브가 구비되어서 차량의 높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되어 차량소독액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맞춤형 거점 소독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기(160)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되, 상기 제1분사기(160) 사이에는 차량소독액을 미스트분무하는 미스트분무기(140a)를 더 구비하여, 상기 미스트분무기(140a)를 통하여 차량의 실내에 차량소독액을 미스트분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미스트분무기(140a)는 상기 차량형상판독기(150)로부터 판독된 차량의 도어 위치에 따라서 분무위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맞춤형 거점 소독 설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소독액탱크(180)의 소독액은 소독액공급펌프를 통해서 차량소독액공급관(180a)으로 공급되되, 상기 차량소독액공급관(180a)은 차량소독액탱크(180)에 인접한 위치에서 압축공기공급관(181a)과 연결되고, 세차수공급관(130a)은 세차수탱크에 인접한 위치에 압축공기공급관(181b)과 연결되어 차량소독액공급관(180a) 또는 세차수공급관(130a)에 압축공기를 작용시켜 잔류하는 차량소독액 또는 세차수를 완전 소진하되, 차량소독액공급관(180a)과 세차수공급관(130a)의 연결부위에 역류방지밸브(SV1,SV2)가 구비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경우에 압축공기가 차량소독액공급관과 세차수탱크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맞춤형 거점 소독 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바닥면에 횡방향 경사와 종방향 경사로를 구비하여, 상기 제1분사기 및 제2 분사기로부터 분사된 소독액을 수집하는 수집로(193);
    상기 수집로를 통해 수집되는 소독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화학적처리를 통해서 소독액을 정화수로 만드는 정화필터(194); 및
    상기 정화필터를 통과한 정화수를 세차수탱크(196)로 수집 보관하도록 연결되는 회수관(195);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세차수탱크(196)로 회수 수집된 정화수는 차량의 하부세차에 재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맞춤형 거점 소독 설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차량의 양측 방향에 수평이송장치(197)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평이송장치(197)는 LM가이드와 상기 LM가이드의 일측에 구비된 구동모터(197b)를 포함하고, 상기 LM가이드 상에 상기 분사기 세트(160, 170)가 설치되어, 상기 차량형상판독기(150)의 차량형상 판독신호에 따라 상기 분사기 세트(160, 170)의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맞춤형 거점 소독 설비.

  7. 제5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상기 분사기 세트(160, 170) 사이에는 상기 분사기 세트(160, 170)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소독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 장치(198)가 설치되되,
    상기 차폐 장치(198)는,
    지면에 대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접힘선(198b)들을 기준으로 세로 방향으로 접히며, 상기 분사기 세트(160, 170) 중 상기 제2 분사기의 인출 높이 만큼의 높이를 갖는 차폐판(198a); 및
    상기 차폐판(198a)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분사기 세트(160, 170) 중 고정된 상태에 있는 제1 분사기(160)에 결합 수단(198d)을 통해 고정되는 보강 프레임(198c);을 포함하여, 상기 분사된 소독액이 상기 수집로(193)를 향해 안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맞춤형 거점 소독 설비.
KR1020190166898A 2019-12-13 2019-12-13 차량 맞춤형 거점방역설비 KR102095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898A KR102095193B1 (ko) 2019-12-13 2019-12-13 차량 맞춤형 거점방역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898A KR102095193B1 (ko) 2019-12-13 2019-12-13 차량 맞춤형 거점방역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193B1 true KR102095193B1 (ko) 2020-04-01

Family

ID=70276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898A KR102095193B1 (ko) 2019-12-13 2019-12-13 차량 맞춤형 거점방역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1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3350A (zh) * 2018-04-27 2018-11-09 谭令华 一种汽车用车牌表面清洗设备
CN115006558A (zh) * 2022-07-01 2022-09-06 河南城建学院 共享单车消毒装置
KR20220169495A (ko) * 2021-06-18 2022-12-28 주식회사 티엠시 미세분무 기능을 가지는 거점식 스마트 방제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001B1 (ko) * 2017-05-26 2017-11-23 김인규 차량 방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방역방법
KR101868603B1 (ko) * 2017-01-19 2018-06-18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랙크식 창고 자동 소화 살수 시스템
KR101948086B1 (ko) 2018-08-16 2019-02-14 (주)아성온 거점식 차량 소독설비
KR101951285B1 (ko) * 2018-04-23 2019-02-22 (주)아성온 거점식 차량 살균 소독 시설
KR102026809B1 (ko) * 2019-01-21 2019-11-15 신기택 거점식 축산차량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독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603B1 (ko) * 2017-01-19 2018-06-18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랙크식 창고 자동 소화 살수 시스템
KR101801001B1 (ko) * 2017-05-26 2017-11-23 김인규 차량 방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방역방법
KR101951285B1 (ko) * 2018-04-23 2019-02-22 (주)아성온 거점식 차량 살균 소독 시설
KR101948086B1 (ko) 2018-08-16 2019-02-14 (주)아성온 거점식 차량 소독설비
KR102026809B1 (ko) * 2019-01-21 2019-11-15 신기택 거점식 축산차량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독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3350A (zh) * 2018-04-27 2018-11-09 谭令华 一种汽车用车牌表面清洗设备
KR20220169495A (ko) * 2021-06-18 2022-12-28 주식회사 티엠시 미세분무 기능을 가지는 거점식 스마트 방제 시스템
KR102574728B1 (ko) 2021-06-18 2023-09-06 (주)티엠시 미세분무 기능을 가지는 거점식 스마트 방제 시스템
CN115006558A (zh) * 2022-07-01 2022-09-06 河南城建学院 共享单车消毒装置
CN115006558B (zh) * 2022-07-01 2024-04-12 河南城建学院 共享单车消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5193B1 (ko) 차량 맞춤형 거점방역설비
KR101951285B1 (ko) 거점식 차량 살균 소독 시설
KR101597162B1 (ko) 농장 출입용 차량의 밀폐식 거점 자동소독장치
KR102026809B1 (ko) 거점식 축산차량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독방법
KR101948086B1 (ko) 거점식 차량 소독설비
JP4148889B2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のための移動清掃洗浄設備
KR20190123202A (ko) 거점식 차량 살균 소독 시설
KR101202696B1 (ko) 무인 차량 방역 및 소독, 방제장치
KR101642500B1 (ko) 스마트 무균살균 시스템
CN111867695A (zh) 用于对游乐园设备进行卫生处理的系统和方法
ES2923763T3 (es) Herramienta para canalizar el líquido proyectado y/o inyectado por equipos para el uso de productos fitosanitarios
CN103228127A (zh) 用于保护光学检测装置不受污染的方法和设备
KR101367331B1 (ko) 에어분사기능이 구비된 차량진출입구
KR20170142706A (ko) 무인 자동차 방역 살균세척기
KR101801001B1 (ko) 차량 방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방역방법
CN111587794A (zh) 追踪式清粪系统及方法
JP2012165784A (ja) 車両消毒装置
JP5791694B2 (ja) 車両消毒装置
WO2021062469A1 (en) A sanitising system
KR101911752B1 (ko) 거점식 차량 소독 관리시스템
KR200339684Y1 (ko) 차량방역기
KR102504094B1 (ko) 차량 방역 시스템
KR102588686B1 (ko) 빌딩형 스마트 가축 사육장
KR102574728B1 (ko) 미세분무 기능을 가지는 거점식 스마트 방제 시스템
KR102245376B1 (ko) 출구식 분사 소독기 및 차량 소독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