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899B1 - 유동인구계수장치 및 유동인구분석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동인구계수장치 및 유동인구분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899B1
KR102094899B1 KR1020180051147A KR20180051147A KR102094899B1 KR 102094899 B1 KR102094899 B1 KR 102094899B1 KR 1020180051147 A KR1020180051147 A KR 1020180051147A KR 20180051147 A KR20180051147 A KR 20180051147A KR 102094899 B1 KR102094899 B1 KR 102094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population
wireless communication
population
unique identificatio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8129A (ko
Inventor
이종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앰지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앰지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앰지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90018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정확한 유동인구를 계수할 수 있는 유동인구계수장치 및 유동인구분석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유동인구계수장치는 동 단말기와 무선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인식된 이동 단말기들의 고유식별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고유식별코드의 개수를 근거로 미리 설정된 단위시간당 유동인구수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 유동인구계수 방법에 비해 보다 정확한 유동인구계수가 가능하다. 나아가, 해당 지역의 단순 통과인구와 방문 인구를 보다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반복적으로 해당 지역을 방문하는 인구를 제외하여 실질적인 유동인구계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유동인구계수장치 및 유동인구분석시스템 {APPARATUS FOR COUNTING FLOATING POPULATION AND SYSTEM FOR ANALYSING FLOATING POPULATION}
본 발명은 유동인구를 측정 또는 계수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동인구분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동인구라 함은 특정 지역의 방문 또는 통과를 목적으로, 당해 특정 지역을 도보 또는 차량 등으로 이동하는 인구로 정의할 수 있다.
유동인구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유동인구 측정방법으로는, 특정 지역의 유동인구를 직접 카운트 하여 측정하는 방법과 특정 지역의 유동인구를 운송수단 이력을 통하여 측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특정 지역의 유동인구를 직접 카운트하여 측정하는 방법은, 유동인구를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자가 특정 지역 내 동일한 장소에서 오랜 시간 동안 머무르며, 그 특정 지역을 방문 또는 통과 하는 유동 인구 수를 수동 카운터기 등을 이용하여 일일이 측정하는 방법이나, 측정자가 특정 지역 내 동일한 장소에서 오랜 시간 동안 머물러야 하므로 불편함이 따른다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특정 지역의 유동인구를 운송수단 이력을 통하여 측정하는 방법은 특정 지역 내 시간별 운송수단 사용자 수를 측정하되, 그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방문 또는 통과하는 유동 인구 수를 산정하는 방법이며, 운송수단의 예로는 지하철, 버스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지역의 유동인구를 운송수단 이력을 통하여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경우, 특정 지역 내에서 운송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도보를 이용하는 유동인구에 대해서는 측정할 수 없어, 측정된 유동인구 수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4865호
본 명세서는 정확한 유동인구를 계수할 수 있는 유동인구계수장치가 이를 이용하여 지역의 유동인구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유동인구분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상기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유동인구계수장치는, 이동 단말기와 무선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인식된 이동 단말기들의 고유식별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고유식별코드의 개수를 근거로 미리 설정된 단위시간당 유동인구수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는 각 이동 단말기가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인식된 시간(이하 '시작시간')과 더 이상 인식되지 않는 시간(이하 '종료시간')을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이동 단말기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머무른 시간(이하 '머문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각 이동 단말기의 머문시간이 미리 설정한 기준 시간 이상인 이동 단말기의 개수를 근거로 상기 유동인구수 중 방문인구수를 산출하고, 상기 각 이동 단말기의 머문시간이 미리 설정한 기준 시간 미만인 이동 단말기의 개수를 근거로 상기 유동인구수 중 통과인구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는 산출제외 이동단말기의 고유식별코드 리스트(이하 '산출제외리스트')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동 단말기들의 고유식별코드에서 상기 산출제외리스트에 해당하는 고유식별코드를 제외하고 상기 단위시간당 유동인구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유동인구계수장치는, 센싱범위 내 사람을 인식하는 인체인식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인식센서를 통해 상기 단위시간당 센싱인구수를 산출하고, 상기 센싱인구수를 상기 유동인구수로 나누어 유동인구 집중도를 더 산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유동인구계수장치는, 복수의 유동인구계수장치; 및 상기 복수의 유동인구계수장치에 포함된 저장부에 저장된 이동 단말기들의 고유식별코드를 수신하는 수집서버;를 포함하는 유동인구분석시스템의 일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유동인구계수장치 및 상기 수집서버는 상기 고유식별코드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유동인구분석시스템의 각 유동인구계수장치는 이동 단말기가 무선통신모듈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인식된 시간(이하 '시작시간')을 더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집서버는 상기 복수의 유동인구계수장치에서 수신된 고유식별코드 중 동일한 고유식별코드가 있을 때, 각 유동인구분석장치에서 해당 고유식별코드의 시작시간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이동방향을 산출할 있다.
한편, 상기 수집서버는, 복수의 유동인구계수장치에서 수신된 고유식별코드 중 동일한 고유식별코드가 있을 때 상기 고유식별코드가 식별된 유동인구분석장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 이력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동인구계수장치는, 상기 수집서버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고유식별코드를 가진 이동 단말기에게 방문 확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종래 유동인구계수 방법에 비해 보다 정확한 유동인구계수가 가능하다. 나아가, 해당 지역의 단순 통과인구와 방문 인구를 보다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반복적으로 해당 지역을 방문하는 인구를 제외하여 실질적인 유동인구계수가 가능하다.
본 명세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유동인구계수장치를 통해 유동인구의 이동성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관심지역의 유동인구 집중도를 함께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유동인구가 관심지역으로 유입되지 못하는 원인을 분석할 수 있는 근거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로 이미지나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유동인구를 관심지역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인구계수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인구계수장치를 사용한 통계 자료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인구분석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이동 단말기의 이동방향 산출에 대한 참고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이하 '당업자')에게 본 명세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인구계수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인구계수장치(100)는 무선통신모듈(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은 이동 단말기(180)와 무선통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은 이동 단말기(180)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은 상기 이동 단말기(180)에 대한 엑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로서의 역할을 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80)가 인터넷 망과 접속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80)는 인터넷 망과 접속을 시도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와 접속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브라우저(browser),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80)가 복수일 경우, 복수의 이동 단말기(180)는 단말기마다 구별할 수 있는 고유의 mac address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180)는 고정형 단말기이거나 이동형 단말기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이동 단말기(180)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스마트폰(Smart Phone),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상술한 예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은 상기 이동 단말기(180)와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은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모듈이나 이동통신 모듈일 수 있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TM),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모듈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은 상기 이동 단말기(18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연결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을 포함한 유동인구계수장치(100)는 상기 이동 단말기(180)와 상호 간에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80)는 고유식별코드(예: MAC address)를 가진다.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은 이동 단말기(180)와 무선통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각 이동 단말기(180)의 고유식별코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인식된 이동 단말기들의 고유식별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고유식별코드의 개수를 근거로 미리 설정된 단위시간당 유동인구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30)는 이동 단말기(180)의 고유식별코드를 근거로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이 통신 가능한 범위 내 통신 가능한 복수의 이동 단말기(180)를 개별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사람마다 이동 단말기(180)를 1개씩 가지고 다닌다고 가정했을 때, 상기 이동 단말기(180)의 개수를 유동 인구로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기(180)의 개수를 단위시간당 유동인구수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단위시간은 10분, 30분, 1시간, 3시간, 6시간, 1일, 1주일, 1달 등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인구계수장치를 사용한 통계 자료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위시간은 1시간으로 설정되어 유동인구수를 산출하였으며, 월요일-수요일-금요일 각각 산출된 유동인구수를 중첩하여 그래프로 표현하였다. 도 2를 확인하면, 오전 8시-9시에 유동인구가 많고, 오후 6시-7시에 유동인구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지역은 출퇴근 인원이 많은 지역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산출된 유동인구를 통해서 상권분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유동인구에는 유동인구계수장치가 설치된 지역을 실제 방문한 인구와 해당 지역을 단순히 지나가는 인구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권분석에 있어서 단순히 통과하는 인구보다 실제 방문한 인구에 대한 통계가 보다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여 산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저장부(120)는 각 이동 단말기가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인식된 시간(이하 '시작시간')과 더 이상 인식되지 않는 시간(이하 '종료시간')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은 주기적으로 무선 통신 범위에 이동 단말기(180)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은 직전 주기에서 없던 이동 단말기(180)가 인식되면 그 시간을 해당 이동 단말기(180)의 시작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은 매 주기마다 상기 이동 단말기(180)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어느 순간 이동 단말기(180)가 무선 통신 범위를 벗어났을 때,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은 이동 단말기(180)가 사라진 것을 인식한 시간을 종료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예시는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당업자가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대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각 이동 단말기(180)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머무른 시간(이하 '머문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각 이동 단말기(180)의 머문시간이 미리 설정한 기준 시간 이상인 이동 단말기의 개수를 근거로 상기 유동인구수 중 방문인구수를 산출하고, 상기 각 이동 단말기(180)의 머문시간이 미리 설정한 기준 시간 미만인 이동 단말기의 개수를 근거로 상기 유동인구수 중 통과인구수를 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어느 이동 단말기(180)가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머문 시간이 짧은 경우, 빠르게 해당 지역을 지나간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이동 단말기(180)를 가진 사람은 그 지역을 단순히 통과하는 인구로 산출하는 것이다. 반면, 어느 이동 단말기(180)가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머문 시간이 긴 경우, 해당 지역을 단순히 지나간 것이 아니라 머물렀다 간 유추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이동 단말기(180)를 가진 사람은 그 지역에 목적을 가지고 방문한 인구로 산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통과인구와 방문인구를 구별하면, 방문인구를 바탕으로 보다 정확한 상권분석이 가능하다.
한편, 특정 상권에는 고객만 방문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상권의 직원이 출퇴근 또는 근무를 위해 방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권분석을 위해 유동인구를 산출할 때 반복적으로 인식되는 이동 단말기(180)는 제외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유동인구수산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저장부(120)는 산출제외 이동단말기의 고유식별코드 리스트(이하 '산출제외리스트')를 더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동 단말기들의 고유식별코드에서 상기 산출제외리스트에 해당하는 고유식별코드를 제외하고 상기 단위시간당 유동인구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출제외리스트는 관리자 등에 의해서 직접 저장될 수 있다. 즉, 직원 등과 같이 반복적으로 출퇴근하는 사람의 이동 단말기가 가진 고유식별변호를 수집하여 직접 저장부(120)에 입력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저장부(120)에 서로 다른 날에 저장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적으로 저장된 고유식별코드를 산출제외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근로자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출근하였다고 가정하겠다. 이 때, 상기 근로자의 이동 단말기의 고유식별코드는 서로 다른 날에 반복적으로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될 것이다.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가 10번이라고 더 가정할 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근로자가 출근을 시작한 2주후부터 상기 근로자의 이동 단말기가 가진 고유식별코드를 산출제외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유동인구계수장치(100)는 센싱범위 내 사람을 인식하는 인체인식센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인체인식센서(140)를 통해 상기 단위시간당 센싱인구수를 산출하고, 상기 센싱인구수를 상기 유동인구수로 나누어 유동인구 집중도를 더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인체인식센서(140)는 상기 유동인구계수장치(100)가 설치된 상점의 출입구 등에 부착되어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이나 사람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상기 인체인식센서(140)는 발열체인 인체로부터 나오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수단이거나, 전방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처리하여 인체를 인식 및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인체인식센서(140)가 인체를 인식할 수 있는 범위는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이 상기 이동 단말기(180)와 통신 가능한 범위보다 좁을 수 있다. 즉, 상점 주변에 분포한 유동인구과 상점 앞을 지나가는 유동인구를 구분하여 인구를 계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센싱인구수를 상기 유동인구수로 나누어 관심지역의 유동인구 집중도를 더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관심지역은 상기 인체인식센서(140)가 인체를 인식할 수 있는 범위에 대응하는 지역을 가리킬 수 있고, 유동인구 집중도는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이 이동 단말기(180)를 인식할 수 있는 범위 내 유동인구수 대비 관심지역의 유동인구수 비율을 가리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80)에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유동인구계수장치(100)가 특정 상점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유동인구계수장치(100)는 설치된 상점과 관련된 홍보물로서 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180)에 전송함으로써, 상점 주변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180)를 광고매체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180)를 소지한 유동인구에 대하여 해당 상점 내로 유입하게끔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동인구계수장치(100)는 상기 이동 단말기(180)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의 수신하여 먼저 광고 등을 시청한 후에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도록 설정이 되어있을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인구분석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인구분석시스템(300)은 복수의 유동인구계수장치(100) 및 수집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동인구계수장치(100)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수집서버(200)는 상기 복수의 유동인구계수장치에 포함된 저장부에 저장된 이동 단말기들의 고유식별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동인구계수장치(100) 및 상기 수집서버(200) 각각은 상기 고유식별코드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50)는 복수의 유동인구계수장치(100)와 상기 수집서버(200)가 교유식별코드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비록,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의 역할과 구분을 위해서 별도의 구성으로서 통신부(150)를 표현하지만,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이 상기 통신부(150)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유동인구분석시스템(300)은 복수의 유동인구계수장치(100)를 사용하여 상점 주변 분석 뿐만 아니라 상권 분석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서버(200)는 유동인구계수장치(100)를 이용하여, 유동인구계수장치(10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한 거리별 유동인구의 밀도 등을 근거로 상권분석(1차상권, 2차상권, 3차상권, 기생상권, 몰엔몰, 집단상가)에 필요한 유동인구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수집서버(2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부동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부동산중개서버(미도시)로부터 부동산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수신하여 상권 정보(시군구분석, 상세분석, 업종밀집분석, 경쟁사 입점현황, 입점배경, 추가출점 및 퇴점계획)나 자가매장정보(입점이력, 상권평가, 운영인력경험치, 점포평가, 입점완료 후 매출연관관계, 목표설정, 상대평가 지표관리, 지표별 목표관리 및 포인트 제공)를 수집/분석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수집서버(200)는 유동인구계수장치(100)를 통해 산출된 유동인구 정보를 시간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상권통계(업력통계, 매출통계, 임대시세, 상권분석통계, 매장 유동인구 자동계수 통계, 시간/요일/일/주간/월간 (매출발생시간), 천인발생 요인)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이외에, 상기 수집서버(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인구계수장치를 이용하여, 무선통신모듈(110)을 이용 상점 주변 유동인구/방문/방문시간/이탈 등을 통계화, 기온/계절/사회이슈 등의 환경변화 및 매장 이벤트/디스플레이 변경 등 프로모션에 따른 통계 지표 변화 수치를 제공, 마케팅 활용이 가능하며, 와이파이 공유 기능을 이용, 유동인구 대상 상점 행사, 홍보영상 송출 등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유동인구계수장치를 활용하여 공간적 관점에서 분석 대상 영역이 확대되는 효과 외에도 시간적 관점에서 유동인구의 이동 방향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어느 이동 단말기가 제1 유동인구계수장치에 인식된 시간과 제2 유동인구계수장치에 인식된 시간을 비교하면, 해당 이동 단말기를 가진 사람이 제1 유동인구계수장치에서 제2 유동인구계수장치로 이동하는지 아니면, 제2 유동인구계수장치에서 제1 유동인구계수장치로 이동하는지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유동인구계수장치(100)는 이동 단말기가 무선통신모듈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인식된 시간(이하 '시작시간')을 더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기 수집서버(200)는 상기 복수의 유동인구계수장치에서 수신된 고유식별코드 중 동일한 고유식별코드가 있을 때, 각 유동인구분석장치에서 해당 고유식별코드의 시작시간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이동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도 4는 이동 단말기의 이동방향 산출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두 개의 유동인구계수장치 및 이동 단말기를 소지한 3명의 사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두 대의 유동인구계수장치를 각각 제1 유동인구계수장치(100)와 제2 유동인구계수장치(100)라 명명하겠다. 각 유동인구계수장치를 중심으로 점선으로 표현된 동심원은 각 무선통신모듈의 통신 범위를 나타낸다. 상기 3명의 사람은 모두 동일인으로서, 시간에 따라 이동한 것을 나타낸다. 상기 사람은 가장 먼저 180a에 위치하였으며, 이후 차례대로 180b, 180c위치로 이동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먼저 180a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유동인구계수장치(100a)와 제2 유동인구계수장치(100b) 모두 무선통신모듈의 통신 범위 밖에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제1 유동인구계수장치(100)와 제2 유동인구계수장치(100)에 인식되지 않는다.
다음 180b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유동인구계수장치(100)의 통신 범위 내에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유동인구계수장치(100)는 시작시간을 상기 수집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제2 유동인구계수장치(100)의 통신 범위 밖에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제2 유동인구계수장치(100)에 인식되지 않는다.
이후 180c에 위치할 때, 상기 제2 유동인구계수장치(100)의 통신 범위 내에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유동인구계수장치(100)는 시작시간을 상기 수집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동인구계수장치(100)와 제2 유동인구계수장치(100)로부터 동일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시작시간을 수신한 수집서버(200)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가진 사람이 상기 제1 유동인구계수장치(100)에서 제2 유동인구계수장치(100)의 방향으로 이동한 것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수집서버는 상기 제1 유동인구계수장치(100)와 제2 유동인구계수장치(100)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정보 역시 가지고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방향을 지도상에 표현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가 180c에 위치할 때,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제1 유동인구계수장치(100)의 통신 범위와 제2 유동인구계수장치의 통신 범위 내에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유동인구계수장치(100)의 통신 범위를 완벽하게 벗어난 후에 제2 유동인구계수장치(100)의 통신 범위 내로 이동한 것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보다 복잡한 산출 알고리즘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작시간을 이용하여 이동방향을 산출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간단한 구현 방법이 될 수 있다.
한편, 각 유동인구계수장치(100)는 이동 단말기가 무선통신모듈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더 이상 인식되지 않는 시간(이하 '종료시간')을 더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집서버(200)는 상기 복수의 유동인구계수장치에서 수신된 고유식별코드 중 동일한 고유식별코드가 있을 때, 해당 고유식별코드의 상기 시작시간 중 가장 빠른 시간과 상기 종료시간 중 가장 느린 시간을 이용하여 복수의 유동인구계수장치가 설치된 지역 내 머무른 시간(이하 '지역내존재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집서버(200)는 상기 해당 고유식별코드를 가진 이동 단말기의 지역내존재시간이 미리 설정한 지역 기준 시간 이상일 때 지역방문자로 판단하고, 상기 해당 고유식별코드를 가진 이동 단말기의 지역내존재시간이 미리 설정한 지역 기준 시간 미만일 때 지역통과자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집서버(200)는 상기 복수의 유동인구계수장치에서 수신된 고유식별코드 중 동일한 고유식별코드가 있을 때, 상기 고유식별코드가 식별된 유동인구분석장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 이력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유동인구분석시스템이 설치된 지역 상권에서 이벤트를 진행하는 상황을 가정해보겠다. 이벤트는 지역 상권에 정해진 구역을 모두 방문할 경우 경품, 포인트 등을 주는 이벤트(이른바 '방문 스탬프 찍기 이벤트')라고 가정해보겠다. 이 경우, 본 명세서에 따른 유동인구계수장치 각각은 특정 이동 단말기가 통신범위 내에 위치한 것을 통해 특정 사용자가 해당 구역에 방문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활용하여 이동 단말기를 소지한 특정 사용자가 상권 내 미리 정해진 여러 구역을 모두 방문하였는지 추적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복수의 유동인구계수장치는 자신의 통신범위 내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에 대한 고유식별코드를 상기 수집서버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수집서버는 수신한 고유식별코드 중 동일한 고유식별코드가 있을 때, 상기 고유식별코드가 식별된 유동인구분석장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 이력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실시간으로 해당 지역에 방문한 것을 확인시켜줄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동인구계수장치는 상기 수집서버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고유식별코드를 가진 이동 단말기에게 방문 확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집서버에서 해당 이동 단말기가 특정 지역에 방문한 것을 확인 후, 실시간으로 해당 지역에 있는 유동인구계수장치를 통해 이동 단말기에 방문 인식된 것을 확인시켜주는 것이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누적된 방문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저장 매체로서,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유동인구계수장치
110 : 무선통신모듈
120 : 저장부
130 : 제어부
140 : 인체인식센서
150 : 통신부
180 : 이동 단말기
200 : 수집서버
300 : 유동인구분석시스템

Claims (9)

  1. 이동 단말기와 무선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인식된 이동 단말기들의 고유식별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고유식별코드의 개수를 근거로 미리 설정된 단위시간당 유동인구수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각 이동 단말기가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인식된 시간(이하 '시작시간')과 더 이상 인식되지 않는 시간(이하 '종료시간')을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이동 단말기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머무른 시간(이하 '머문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각 이동 단말기의 머문시간이 미리 설정한 기준 시간 이상인 이동 단말기의 개수를 근거로 상기 유동인구수 중 방문인구수를 산출하고,
    상기 각 이동 단말기의 머문시간이 미리 설정한 기준 시간 미만인 이동 단말기의 개수를 근거로 상기 유동인구수 중 통과인구수를 산출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반복적으로 인식되는 이동 단말기들의 고유식별코드 리스트인 산출제외 이동단말기의 고유식별코드 리스트(이하 '산출제외리스트')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동 단말기들의 고유식별코드에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반복적으로 인식되는 이동 단말기들의 고유식별코드 리스트인 상기 산출제외리스트에 해당하는 고유식별코드를 제외하고 상기 단위시간당 유동인구수를 산출하며, 상기 저장부에 서로 다른 날에 저장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적으로 저장된 고유식별코드를 상기 산출제외리스트에 추가하며,
    센싱범위 내 사람을 인식하는 인체인식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인식센서를 통해 단위시간당 센싱인구수를 산출하고, 상기 센싱인구수를 상기 유동인구수로 나누어 상기 인체인식센서가 인체를 인식할 수 있는 범위에 대응하는 지역을 나타내는 관심지역의 유동인구 집중도를 더 산출하며,
    상기 유동인구 집중도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이동 단말기를 인식할 수 있는 범위 내 유동인구수 대비 관심지역의 유동인구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인구계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인구계수장치.
  6. 청구항 1 및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복수의 유동인구계수장치; 및
    상기 복수의 유동인구계수장치에 포함된 저장부에 저장된 이동 단말기들의 고유식별코드를 수신하는 수집서버;를 포함하는 유동인구분석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유동인구계수장치 및 상기 수집서버는, 상기 고유식별코드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인구분석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각 유동인구계수장치는, 이동 단말기가 무선통신모듈의 무선 통신 범위 내에 인식된 시간(이하 '시작시간')을 더 전송하고,
    상기 수집서버는, 상기 복수의 유동인구계수장치에서 수신된 고유식별코드 중 동일한 고유식별코드가 있을 때, 각 유동인구분석장치에서 해당 고유식별코드의 시작시간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이동방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인구분석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집서버는, 상기 복수의 유동인구계수장치에서 수신된 고유식별코드 중 동일한 고유식별코드가 있을 때, 상기 고유식별코드가 식별된 유동인구분석장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 이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인구분석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동인구계수장치는, 상기 수집서버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고유식별코드를 가진 이동 단말기에게 방문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인구분석시스템.
KR1020180051147A 2017-08-10 2018-05-03 유동인구계수장치 및 유동인구분석시스템 KR102094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01581 2017-08-10
KR1020170101581 2017-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129A KR20190018129A (ko) 2019-02-21
KR102094899B1 true KR102094899B1 (ko) 2020-04-24

Family

ID=65585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147A KR102094899B1 (ko) 2017-08-10 2018-05-03 유동인구계수장치 및 유동인구분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8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5227A (ko) * 2020-12-15 2022-06-22 (주)티플러스네트워크 사물인터넷 기반 유동인구 전자설문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34883A (ko) 2022-03-15 2023-09-22 (주)제로웹 단위계측범위 자동설정형 유동인구 계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956B1 (ko) * 2020-09-03 2022-04-04 (주) 스코인포 지역 단위 유동 인구에 기반한 지역 활성화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472791B1 (ko) * 2020-11-12 2022-12-02 주식회사 랩피스 위험 상황 예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2471612B1 (ko) * 2021-02-16 2022-11-2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0283A (ja) * 2009-02-27 2010-09-09 Softbank Bb Corp 流動性人口推定システム、流動性人口推定方法及び流動性人口推定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934B1 (ko) * 2007-04-10 2009-01-12 하재상 인공지능형 가로등 제어장치
KR20140056828A (ko) * 2012-11-01 2014-05-12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유동 인구 분석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474865B1 (ko) 2013-04-19 2014-12-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엑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유동인구 측정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0283A (ja) * 2009-02-27 2010-09-09 Softbank Bb Corp 流動性人口推定システム、流動性人口推定方法及び流動性人口推定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5227A (ko) * 2020-12-15 2022-06-22 (주)티플러스네트워크 사물인터넷 기반 유동인구 전자설문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557382B1 (ko) * 2020-12-15 2023-07-20 주식회사 글로벌이엔씨 사물인터넷 기반 유동인구 전자설문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34883A (ko) 2022-03-15 2023-09-22 (주)제로웹 단위계측범위 자동설정형 유동인구 계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129A (ko) 201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899B1 (ko) 유동인구계수장치 및 유동인구분석시스템
US10867312B2 (en) City parking services with area based loyalty programs
US11182700B2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tracking, and validating transit journeys
KR102053901B1 (ko) 일정 관리 방법, 일정 관리 서버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
CA2843287C (en) Method of using virtual gantries to optimize the charging performance of in-vehicle parking systems
US101589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location and movement mapping, tracking and analytics
Qi et al. A vehicle-based edge computing platform for transit and human mobility analytics
EP3142090A1 (en) Posi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CA2939301A1 (en) Location-based directed product and service suggestions
JP580271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照合方法
Kostakos et al. Towards proximity-based passenger sensing on public transport buses
KR101721041B1 (ko) 관심 지점을 이용한 이동 패턴 분석 시스템 및 방법
US20150262197A1 (en) Trajectory based context inference
US20130260788A1 (en) Determining a travel time of an entity
US20140045517A1 (en) System for determination of real-time queue times by correlating map data and mobile users' location data
JP2013210870A (ja) 動線情報計測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
KR20160029896A (ko) 비콘 신호 인식에 기반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Liu et al. Destination estimation for bus passengers based on data fusion
KR102297430B1 (ko) 단말과 서버,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323253B1 (ko) 마케팅 방법 및 시스템
JP2012018574A (ja) 曝露量推定システム及び曝露量推定方法
KR102094900B1 (ko) 쇼윈도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CA31020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product solution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O2020045459A1 (ja) データ分析装置、データ分析システム、データ分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131454A (zh) 火车出行用户信息推送的方法、装置及服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