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782B1 - 관거시설의 하수관 배관장치 - Google Patents

관거시설의 하수관 배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782B1
KR102094782B1 KR1020190004675A KR20190004675A KR102094782B1 KR 102094782 B1 KR102094782 B1 KR 102094782B1 KR 1020190004675 A KR1020190004675 A KR 1020190004675A KR 20190004675 A KR20190004675 A KR 20190004675A KR 102094782 B1 KR102094782 B1 KR 102094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wage
adapter
main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강원
김택수
Original Assignee
오강원
김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강원, 김택수 filed Critical 오강원
Priority to KR1020190004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7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2Arrangement of sewer pipe-lines o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거시설의 하수관 배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유입 하수관으로부터 배출되는 하수속의 각종 오물이 비산되어 메인관로 내부에 부착된 상태로 악취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경우를 방지하여 쾌적한 도시 환경을 유도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하수를 집수하여 처리지역 까지 이동되도록 연결되며, 지하에 일정 깊이로 매설되는 메인관로(10)와, 주택을 포함한 건축물로부터 버려지는 각종 하수를 메인관로(10)의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그 출구가 메인관로(10)의 내측 상부로 끼워 접속되는 유입하수관(20)과, 상기 유입하수관(20)의 끝단부에 끼워 설치되며 끼움관(31)의 위치로 배출홀(32)이 메인관로(10)의 바닥면을 향해 뚫어지는 어댑터(30)와, 상기 어댑터(30)의 배출홀(32)을 통해 낙하되는 오염 하수를 메인관로(10)의 바닥면 위치까지 이동된 후 배출되도록 낙하위치를 유도하는 유도관(40)과, 상기 어댑터(30)의 끼움관(31)과 유도관(40)을 연결하는 접속관(5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30)에는 메인관로(10)에 앵커볼트(1)로 체결 고정되도록 고정홀(61)들이 뚫어지는 고정판(60)이 저면으로 고정 부착되며, 이 고정판(60)과 메인관로(10) 사이에는 일측으로 경사면(72)이 형성되고 앵커볼트(1)가 관통되도록 구멍(71)들이 뚫어지는 패드(7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어댑터(30)의 배출홀(32)은 상부측 입구는 장타원 형상으로, 출구는 끼움관(31)의 내경을 따라 원형으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유도관(40)의 출구는 2개의 엘보(41)들 사이로 하부측 출구를 향해 경사지는 경사관(42)이 연결되어 배출 하수가 부드럽게 메인관로(10)의 바닥면 근접위치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거시설의 하수관 배관장치{sewer line piping system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본 발명은 관거시설의 하수관 배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유입 하수관으로부터 배출되는 하수속의 각종 오물이 비산되어 메인관로 내부에 부착된 상태로 악취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경우를 방지하여 쾌적한 도시 환경을 유도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관거시설은 주택이나 상업지역 및 공업지역 등에서 배출되는 오수나 우수를 메인관로에 모아서 처리장 또는 방류수역 까지 흘려보내는 역할의 시설들을 일컫는다.
즉, 기반공사시 주로 콘크리트로 된 메인관로를 거푸집을 이용해 현장에서 직접 타설하거나, 제조업체에서 공급되는 메인관로를 지하 일정 깊이로 연결시킨 후 각 가정이나 건물에서부터 버려지는 하수가 유입하수관을 통해 메인관로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수관 접속작업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메인관로의 내측 상부로 출구측 끝단부가 진입된 상태로 마감되어 있다.
하수관을 통해 버려지는 오수는 각종 찌꺼기나 쓰레기를 포함한 고형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하수관의 출구에서 메인관로의 바닥으로 낙하되는 과정에서 고형물이 오수와 함께 튀면서 메인관로의 벽면에 지속적으로 부착된다.
이때 수분은 메인관로의 벽면을 따라 일부 흘러 내리면서 배출되기도 하지만, 고형물은 대부분 벽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오염물질로 된 고형물은 하수의 원활한 배출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악취의 원인이 된다.
메인관로는 대부분 주택을 포함한 각종 건축물에 근접하여 설치되므로 이 메인관로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지속적인 발생되면서 주거 환경을 크게 해치거나, 민원의 원인이 되는 등의 사회적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356711호(2014년01월22일 등록) 국내 등록특허 제10-706161호(2007년04월04일 등록)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1-058222호(2011년03월24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유입하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를 최대한 메인관로 바닥면 위치까지 유도하여 고형물이 튀어서 벽면에 부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관거시설의 하수관 배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형물의 부착을 방지하여 악취 발생의 원인을 제거하여 쾌적한 주거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관거시설의 하수관 배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악취 발생을 통한 주택 또는 각종 건축물의 민원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관거시설의 하수관 배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 설치상태가 견고하고 유도관의 방향을 메인관로의 오수를 포함한 하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유도하여 하수의 흐름을 항상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관거시설의 하수관 배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수를 집수하여 처리지역 까지 이동되도록 연결되며, 지하에 일정 깊이로 매설되는 메인관로(10)와,
주택을 포함한 건축물로부터 버려지는 각종 하수를 메인관로(10)의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그 출구가 메인관로(10)의 내측 상부로 끼워 접속되는 유입하수관(20)과,
상기 유입하수관(20)의 끝단부에 끼워 설치되며 끼움관(31)의 위치로 배출홀(32)이 메인관로(10)의 바닥면을 향해 뚫어지는 어댑터(30)와,
상기 어댑터(30)의 배출홀(32)을 통해 낙하되는 오염 하수를 메인관로(10)의 바닥면 위치까지 이동된 후 배출되도록 낙하위치를 유도하는 유도관(40)과,
상기 어댑터(30)의 끼움관(31)과 유도관(40)을 연결하는 접속관(5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30)에는 메인관로(10)에 앵커볼트(1)로 체결 고정되도록 고정홀(61)들이 뚫어지는 고정판(60)이 저면으로 고정 부착되며,
이 고정판(60)과 메인관로(10) 사이에는 일측으로 경사면(72)이 형성되고 앵커볼트(1)가 관통되도록 구멍(71)들이 뚫어지는 패드(7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어댑터(30)의 배출홀(32)은 상부측 입구는 장타원 형상으로, 출구는 끼움관(31)의 내경을 따라 원형으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유도관(40)의 출구는 2개의 엘보(41)들 사이로 하부측 출구를 향해 경사지는 경사관(42)이 연결되어 배출 하수가 부드럽게 메인관로(10)의 바닥면 근접위치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고형물을 포함한 하수가 어댑터와 유도관의 안내로 메인관로의 바닥면에 최대한 근접한 상태로 부드럽게 낙하되며, 유도관의 방향을 메인관로의 오수를 포함한 하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유도하여 하수의 흐름을 항싱 원활히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오수나 고형물이 튀거나 비산되어 메인관로의 벽면에 부착되는 현상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어, 부착 고형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 발생을 방지하여 주변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악취로 인한 민원의 가능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하수관과 메인관로의 연결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도하수관과 메인관로의 배관 연결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3의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관거시설의 하수관 배관장치는, 메인관로(10)에 각 주택이나 공용 시설물로부터 버려지는 하수를 유입하수관(20)을 통해 집수될 때, 오염 하수의 낙하 위치를 메인관로(10)의 바닥면에 최대한 근접시킨 후 부드럽게 배출되도록 하여 하수나 고형물이 튀거나 비산되어 메인관로(10)의 벽면에 부착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관로(10)는 주로 사각 단면으로 내부에 하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비교적 큰 통로를 갖는 단면구조로 각종 하수를 집수하여 처리지역 까지 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 메인관로(10)는 지하에 일정 깊이로 매설된다.
유입하수관(20)은 주로 속이 빈 원통형의 파이프 구조로 주택을 포함한 건축물로부터 버려지는 각종 하수를 메인관로(10)의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배관된다.
유입하수관(20)의 출구 위치는 메인관로(10)의 내측으로 끼워진 상태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내부공간의 상부로 위치되므로, 메인관로(1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당한 높이가 유지되도록 접속된다.
본 발명에서는 유입하수관(20)으로부터 유입되는 하수가 어댑터(30)와 유도관(40)을 통해 메인관로(10)의 바닥면에 근접된 위치에서 배출되도록 하여 하수와 오염 고형물이 튀거나 비산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유입하수관(20)의 끝단부에는 어댑터(30)가 일정 깊이로 끼워 장착된다.
어댑터(30)는 대략 반원형의 단면구조로 배출홀(32)이 끼움관(31)의 위치로 메인관로(10)의 바닥면을 향해 뚫어져 있다.
이 어댑터(30)는 유입하수관(20)의 내경에 끼워 설치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고정판(60)에 의해 메인관로(10)에 고정 부착된다.
어댑터(30)가 유입하수관(20)의 출구 위치로 끼워져 있으므로 각종 오염물질이 포함된 하수는 어댑터(30)를 타고 이동된 후 끝단부의 내측에 하부를 향해 끼움관(31)의 위치로 뚫어지는 배출홀(32)을 통해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 어댑터(30)의 배출홀(32)을 통해 낙하되는 오염 하수는 유도관(40)의 안내로 메인관로(10)의 바닥면 위치까지 이동된다.
유도관(40)의 길이는 배관이 완전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그 출구 위치가 메인관로(10)의 바닥면에 닿지는 않고 근접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 길이 설정하게 된다.
이 유도관(40)은 어댑터(30)의 끼움관(31) 사이에서 접속관(50)을 통해 각각 끼워 접속된다.
상기 접속관(50)은 속이 빈 짧은 길이의 관형태로 상부에는 어댑터(30)의 끼움관(31)이, 또 하부 위치로는 유도관(40)의 상부가 각각 이탈이 방지되도록 빡빡하게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어댑터(30)의 하부에는 메인관로(10)에 앵커볼트(1)로 체결 고정되도록 고정홀(61)들이 뚫어지는 고정판(60)이 저면으로 고정 부착되고, 상기 고정판(60)은 도3 또는 도6에 표현된 바와 같이 유입하수관(20)의 내면에 밀착되는 부분이 유입하수관(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보다 길게 하기 위하여 단면상 어댑터(30)의 배출홀(32)에 근접되는 위치에 부착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어댑터(20)만을 놓고 보면, 유입하수관(20)의 내면에 밀착된 어댑터(30) 부분쪽으로 무게중심을 이루게 됨으로써 유입하수관(20)의 내면과 접하는 어댑터(20)의 외면이 밀착을 이루게 되며, 또한 무게중심이 유입하수관(20)의 내면 즉 바닥면에 밀착되는 어댑터(30) 부분쪽으로 있으므로 작업자가 유입하수관(20)에 어댑터(30)를 걸쳐 놓고 앵커볼트(1)를 이용하여 고정판(60)을 메인관로(10)의 내측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판(60)과 메인관로(10) 사이에는 일측으로 경사면(72)이 형성되고 앵커볼트(1)가 관통되도록 구멍(71)들이 뚫어지는 패드(70)가 개재된다.
패드(70)에 형성되는 경사면(72)은 고정판(60)에 앵커볼트(1)들에 의해 체결될 때 최대한 밀착되도록 조여지게 하면, 결과적으로 패드(70)의 하단부가 압축되는 만큼 반발력이 발생되며 이러한 반발력은 유입하수관(20)의 내면에 밀착된 어댑터(30)의 선단부에 가해지게 되면서 어댑터(30)의 선단부(도면상 좌측단부)는 유입하수관(20)의 내면인 바닥면과 강하게 밀착된다.(도 3 또는 도 6 참조)
따라서, 유입하수관(20)과 어댑터(3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 틈새로 하수가 이동되는 경우를 방지하고, 어댑터(30)의 상부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어댑터(30)의 일측 수직하방향으로 뚫어진 배출홀(32)은 상부측 입구는 도면상 장타원 형상으로 표현하였으나 원형 형상을 이룰 수도 있으며, 배출홀(32)의 하부측 출구는 끼움관(31)의 내경을 따라 원형을 이루는 상광하협의 형상 즉 단면상 호퍼형상인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어댑터(30)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는 하수가 배출홀(32) 위치에서 최대한 유도관(4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예로서 장마철과 같은 경우 많은 양이 우수(雨水)가 혼합되는 경우에만 불가피하게 하수의 양이 매우 많아지는 경우에는 배출홀(32)의 위치를 지나쳐서 끝단부 위치에서 낙하되도록 한다.
또, 상기 유도관(40)의 하단부측 출구는 2개의 엘보(41)들 사이로 하부측 출구를 향해 경사지는 경사관(42)이 연결되어 배출 하수가 부드럽게 메인관로(10)의 바닥면 근접위치로 낙하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 경사관(42)의 경사 방향은 메인관로(10)의 내부 공간을 통해 하수가 이동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엘보(41)는 각각 45도로 경사지게 성형된 것을 선택하므로써, 가장 끝단부에 접속되는 엘보(41)의 출구는 메인관로(10)의 바닥면 바로 상부에 위치된다.(도 4)
따라서, 이 유도관(40)을 통해 낙하되는 배출 하수가 엘보(41)들과 경사관(42) 위치에서 부드럽게 방향이 전한되면서 메인관로(10)의 바닥면에 근접되게 낙하 유도되므로, 고형물을 포함한 하수가 튀거나 비산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악취 원인을 제거하는 결과로 주거 환경을 개선하고 민원 발생의 원인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메인관로 20 - 유입하수관
30 - 어댑터 31 - 끼움관
32 - 배출홀 40 - 유도관
41 - 엘보 42 - 경사관
50 - 접속관 60 - 고정판
70 - 패드

Claims (5)

  1. 하수를 집수하여 처리지역 까지 이동되도록 연결되며, 지하에 일정 깊이로 매설되는 메인관로(10)와,
    주택을 포함한 건축물로부터 버려지는 각종 하수를 메인관로(10)의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그 출구가 메인관로(10)의 내측 상부로 끼워 접속되는 유입하수관(20)과,
    상기 유입하수관(20)의 끝단부에 끼워 설치되며 끼움관(31)의 위치로 배출홀(32)이 메인관로(10)의 바닥면을 향해 뚫어지는 어댑터(30)와,
    상기 어댑터(30)의 배출홀(32)을 통해 낙하되는 오염 하수를 메인관로(10)의 바닥면 위치까지 이동된 후 배출되도록 낙하위치를 유도하는 유도관(40)과,
    상기 어댑터(30)의 끼움관(31)과 유도관(40)을 연결하는 접속관(5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30)에는 메인관로(10)에 앵커볼트(1)로 체결 고정되도록 고정홀(61)들이 뚫어지는 고정판(60)이 저면으로 고정 부착되며,
    이 고정판(60)과 메인관로(10) 사이에는 일측으로 경사면(72)이 형성되고 앵커볼트(1)가 관통되도록 구멍(71)들이 뚫어지는 패드(7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어댑터(30)의 배출홀(32)은 상부측 입구는 장타원 형상으로, 출구는 끼움관(31)의 내경을 따라 원형으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유도관(40)의 출구는 2개의 엘보(41)들 사이로 하부측 출구를 향해 경사지는 경사관(42)이 연결되어 배출 하수가 부드럽게 메인관로(10)의 바닥면 근접위치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거시설의 하수관 배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04675A 2019-01-14 2019-01-14 관거시설의 하수관 배관장치 KR102094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675A KR102094782B1 (ko) 2019-01-14 2019-01-14 관거시설의 하수관 배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675A KR102094782B1 (ko) 2019-01-14 2019-01-14 관거시설의 하수관 배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782B1 true KR102094782B1 (ko) 2020-03-30

Family

ID=7000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675A KR102094782B1 (ko) 2019-01-14 2019-01-14 관거시설의 하수관 배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7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6891A (ja) * 2000-11-09 2002-05-22 Sekisui Chem Co Ltd 下水用縦管
KR100706161B1 (ko) 2006-10-13 2007-04-13 주식회사 삼안 합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
JP2011058222A (ja) 2009-09-09 2011-03-24 Kubota-Ci Co 合流式下水道用内副管装置
KR101356711B1 (ko) 2012-04-20 2014-02-04 서일공영 주식회사 집수정의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6891A (ja) * 2000-11-09 2002-05-22 Sekisui Chem Co Ltd 下水用縦管
KR100706161B1 (ko) 2006-10-13 2007-04-13 주식회사 삼안 합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
JP2011058222A (ja) 2009-09-09 2011-03-24 Kubota-Ci Co 合流式下水道用内副管装置
KR101356711B1 (ko) 2012-04-20 2014-02-04 서일공영 주식회사 집수정의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1358B2 (ja) 厨芥排水の搬送システム
KR102094782B1 (ko) 관거시설의 하수관 배관장치
CN106687651B (zh) 碎料捕集器
US20170370079A1 (en) Safety Clean-out Cap
US20110283949A1 (en) Pet waste disposal system and method
JP3213600U (ja) 下水道取付け管の洗浄型ベントサイフォン構造
JP4833789B2 (ja) 排水ヘッダとそれを用いた排水装置
US3564619A (en) Faucet flushing excrement bowl
KR101562940B1 (ko) 유속을 빠르게 하는 유선형 트랩을 갖는 오수받이
JP2017025592A (ja) 管路圧力調整装置
ES2227449T3 (es) Sifon de doble via.
US20210207357A1 (en) Overflow pipe system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US20060283502A1 (en) Air gap fitting
JP4611662B2 (ja) 真空弁ユニット
KR200369779Y1 (ko) 트랩을 이용한 하수관로의 악취역류차단 및 해충유입 방지장치
JP2002201689A (ja) 排水管継手のアダプタ
KR101185887B1 (ko) 함체형 맨홀
CN202248232U (zh) 浴室排水汇流装置结构
KR20020027859A (ko) 하수구 맨홀용 냄새방지장치
TWM511513U (zh) 排水總存
KR101152292B1 (ko) 배수 트랩
RU28364U1 (ru) Канализационная рампа
KR870003112Y1 (ko) 배 수 구
Bachmann et al. I Res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