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123B1 - 쿠션조정이 가능한 에어쿠션 신발 - Google Patents

쿠션조정이 가능한 에어쿠션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123B1
KR102094123B1 KR1020190042348A KR20190042348A KR102094123B1 KR 102094123 B1 KR102094123 B1 KR 102094123B1 KR 1020190042348 A KR1020190042348 A KR 1020190042348A KR 20190042348 A KR20190042348 A KR 20190042348A KR 102094123 B1 KR102094123 B1 KR 102094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ole
cushion
insole
air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
Original Assignee
김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 filed Critical 김국
Priority to KR1020190042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8Heel stiffener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압이 저하되었을 경우에 공기압을 보충함으로써 적절한 완충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쿠션조정이 가능한 에어쿠션 신발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인솔과 밑창으로 구성되는 신발창; 상기 신발창에 결합되는 것으로 발을 감싸는 갑피; 상기 인솔과 밑창 사이에 개입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기주입구를 갖는 에어포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쿠션조정이 가능한 에어쿠션 신발{Shoes Having Air Cusion}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개인별로 최적화된 쿠션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에어(또는 가스) 압력을 조절하여 적절한 완충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쿠션조정이 가능한 에어쿠션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 밑창은 충격흡수를 위하여 쿠션소재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운동화 또는 캐쥬얼화에는 보행이나 런닝시 충격흡수를 통해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더 강력한 완충작용을 위한 쿠션소재가 설치되어 있다.
쿠션소재로 널이 사용되는 것이 우레탄, 고무 내지 그와 유사한 소재에 의한 발포체이다. 그리고 쿠션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하여 밑창에 에어쿠션을 설치한 운동화도 제안되어 왔다.
에어쿠션은 공기가 충전되어 있는 에어포켓 형태로 밑창(outsole)에 설치되며, 뒤꿈치 쪽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충격이 뒤꿈치에 많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쿠션은 오랜 사용시 에어포켓으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 완충기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공기가 빠져나가는 경우에는 쿠션작용이 현저하게 저하되므로 일반적인 쿠션소재보다 충격흡수를 더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관련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5-0014257호가 있다. 이는 뛰어난 완충력으로 착용자에게 착용감이 우수한 신발밑창을 제안한다. 이 종래기술은 한쌍의 독립된 에어쿠션을 신발밑창의 후방부에 내삽후 결합하는 것으로서, 밑창의 후방부에 내측 일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의 중심에 기둥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의 외측에는 두개의 개방구가 형성되되, 중앙에 형성되는 구획띠에 의해 두개의 개방구를 구획되며, 각각의 개방구에 한쌍의 에어쿠션을 내삽한 후 결합하여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종래에는 에어쿠션이 무력화되는 것에 대비하여 공간 중간에 기둥부를 설치함으로써 기둥부가 에어쿠션을 보조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둥부에 의해 에어쿠션의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 기둥부가 공기압축공간에서 저항체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에는 특정 모델의 신발에는 모두 동일한 정도의 공기압이 충전되어 있다. 사용자의 몸무게나 신발의 구체적 용도(예를 들어, 생활용, 달리기 운동용, 워킹용 등)에 따라 쿠션 정도가 다르게 설정될 필요도 있다. 그러나 이는 극히 개인적인 사항이어서 종래의 신발에는 이러한 요구를 적용할 수는 없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5-0014257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0-0017916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은 쿠션조정이 가능한 에어쿠션 신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이나 신발의 구체적인 용도에 따라서 쿠션 정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나아가 에어쿠션의 완충기능이 반감될 때 공기압을 보충함으로써 원래 상태로 쿠션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쿠션조정이 가능한 에어쿠션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인솔과 밑창으로 구성되는 신발창; 상기 신발창에 결합되는 것으로 발을 감싸는 갑피;
상기 인솔과 밑창 사이에 개입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기주입구를 갖는 에어포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조정이 가능한 에어쿠션 신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에어포켓은 뒤꿈치 쪽에 인솔과 밑창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주입구는 면방향이 신발의 전방을 향하여 나있는 신발의 뒷굽의 측면 상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에어포켓은 상판, 하판 및 신축성을 가진 것으로서 상단은 상판에 고정되고 하단은 하판에 고정되는 신축성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과 하판은 강성을 가진 소재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에어포켓의 하판이 상기 밑창의 뒤꿈치 부분에 있는 뒷굽일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신발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이나 신발의 구체적인 용도에 따라서 쿠션 정도, 즉 신발창의 공기압을 조정할 수 있는 신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잦은 사용 또는 오랜 사용으로 공기압이 감소된 경우에 공기주입구를 통해 공기를 재차 주입함으로써 적정한 공기압을 유지시킴으로써 완충작용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쿠션조정이 가능한 에어쿠션 신발이 제공된다.
이렇게 특정 개인에게 알맞은 쿠션을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하게 함으로써 운동할 때 부상을 방지하고 오랜 착용에도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쿠션조정이 가능한 에어쿠션 신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쿠션조정이 가능한 에어쿠션 신발의 저부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쿠션조정이 가능한 에어쿠션 신발의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쿠션조정이 가능한 에어쿠션 신발의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쿠션조정이 가능한 에어쿠션 신발의 공기주입구의 설치상태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동시에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신발은 발을 감싸는 갑피(10)와 발바닥을 보호하기 위한 창으로 구성된다. 창은 발바닥에 면접촉하는 안창(insole)과 지면과 접촉하는 밑창(20, outsole)과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중창(21, midsole)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창(21)은 보통 완충작용을 위하여 설치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생략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인솔과 밑창(20) 사이에 에어포켓(30)이 개입 설치된다. 에어포켓(30)은 공기주입구(31)를 갖는다. 공기주입구(31)는 자전거 바퀴, 축구공 또는 차량 바퀴에서와 같이 공기압을 조정하고자 할 때 공기를 주입하거나 빼는 통로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주입구(31)는 자전거 바퀴 등과 유사한 원리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공기를 주입하거나 뺄 때 펌프(40)와 같은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에어포켓(3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뒤꿈치 쪽에 인솔과 밑창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공기주입구(31)는 면방향이 신발의 전방을 향하여 나있는 신발의 뒷굽의 측면(23) 상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신발의 뒷굽과 앞쪽 사이, 즉 발의 아치 부분에 해당하는 곳은 일반적으로 소정의 공간(22)이 마련되어 있는데, 공기주입구(31)는 주입구멍(30a)이 신발의 앞쪽을 향하도록 이 곳에 마련되는 것이다. 이 공간(22)에 설치되는 공기주입구(31)는 지면과 닿지 않은 부분이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잘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포켓(30)은 강성소재인 상판 및 하판과, 신축성을 가진 것으로서 상단은 상기 상판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하판에 고정되는 신축성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판과 하판은 신발의 뒷굽과 평면 형태가 같게 되어 있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판이 하판에 대하여 뒤틀림 없이 수직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 가이드수단은 실린더에 끼워진 피스톤처럼 실린더의 연장방향을 따라서만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에어포켓(30)의 하판이 상기 밑창의 뒤꿈치 부분에 있는 뒷굽, 즉 밑창이 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에어포켓(30)이 신발의 창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제안한다. 에어포켓(30)은 밑창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중창의 기능을 수행한다. 공기주입구(31)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뒷꿈치와 앞꿈치 사이의 오목한 공간에 설치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공기주입구(31)의 설치를 위하여 에어포켓(30)의 일측판에는 공기주입구안착부(32)가 마련된다. 공기주입구안착부(32)에는 공기의 주입을 위한 공기주입홀(34)이 구멍의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에어포켓(30)의 형태가 도시된 것처럼 신발의 밑창처럼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에어포켓(30)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는 간격유지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간격유지수단은 상단은 상판의 저면에 접착되고 하단은 하판의 상면에 접착 고정되는 메쉬망일 수 있다. 메쉬망은 다수의 구멍이 뚫려있는 것으로서 가요성을 갖도록 직물과 같은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상판과 하판 사이의 간격이 더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메쉬망의 설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상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고 11자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에어포켓(30)의 압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압력게이지가 펌프(40)에 더 마련될 수 있다. 압력게이지는 단지 색상으로 압력을 표시할 수도 있고 간단한 숫자로 압력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압력게이지는 선택적 사항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신발 착용자의 몸무게, 신발의 용도, 신발 사이즈 기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에어포켓(30)의 공기압력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매장에서는 신발 구매자의 신체적 특성에 따라 에어포켓(30)의 압력을 조정해서 판매할 수 있을 것이다. 매장에는 몸무게에 따라 적절한 공기압력이 얼마인지에 관한 데이터가 비치되어 있으며, 판매자는 이 데이터를 기준으로 공기압을 조절해주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소비자는 자신의 신체적인 특성이나 필요에 맞는 쿠션을 가진 신발을 가질 수 있어어 좋을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일단 압력이 조정된 다음에는 공기주입구(31)를 영구적으로 밀봉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공기의 누설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된 공기압은 공기가 아닌 특정 가스(gas)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갑피 20 : 밑창
21 : 중창 23 : 측면
30 : 에어포켓 31 : 공기주입구
32 : 공기주입구안착부 40 : 펌프

Claims (5)

  1. 인솔과 밑창으로 구성되는 신발창; 상기 신발창에 결합되는 것으로 발을 감싸는 갑피;
    상기 인솔과 밑창 사이에 개입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기주입구를 갖는 에어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포켓은 뒤꿈치 쪽에 인솔과 밑창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주입구는 뒷꿈치와 앞꿈치 사이의 오목한 공간에 설치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고;
    상기 에어포켓은 강성소재인 상판 및 하판과, 상단은 상기 상판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하판에 고정되는 신축성 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조정이 가능한 에어쿠션 신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포켓이 신발의 창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포켓의 공기주입구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거나 빼는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압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압력게이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조정이 가능한 에어쿠션 신발.
  5. 인솔과 밑창으로 구성되는 신발창; 상기 신발창에 결합되는 것으로 발을 감싸는 갑피;
    상기 인솔과 밑창 사이에 개입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기주입구를 갖는 에어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포켓은,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 및 하판이 상기 밑창의 뒤꿈치 부분에 있는 뒷굽이고;
    상기 상판이 상기 하판에 대하여 뒤틀림 없이 수직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수단은 실린더에 끼워진 피스톤으로, 실린더의 연장방향을 따라서만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조정이 가능한 에어쿠션 신발.

KR1020190042348A 2019-04-11 2019-04-11 쿠션조정이 가능한 에어쿠션 신발 KR102094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348A KR102094123B1 (ko) 2019-04-11 2019-04-11 쿠션조정이 가능한 에어쿠션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348A KR102094123B1 (ko) 2019-04-11 2019-04-11 쿠션조정이 가능한 에어쿠션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123B1 true KR102094123B1 (ko) 2020-03-26

Family

ID=69958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348A KR102094123B1 (ko) 2019-04-11 2019-04-11 쿠션조정이 가능한 에어쿠션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1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7916A (ko) 1989-05-20 1990-12-20 김정상 아황산 금 나트륨(SGS : Sodium Gold Sulfite)의 제조방법
KR20090107478A (ko) * 2009-09-23 2009-10-13 태 주 하 앞 굽과 뒷굽의 압력이 조절되는 공기 내입부를 형성한 신발의 바닥 창
KR101046741B1 (ko) * 2010-05-20 2011-07-06 승원주 신발용 에어백 및 제조 방법
KR20150014257A (ko) 2013-07-29 2015-02-06 유정임 냉매팩을 사용하는 에어락 김치발효숙성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7916A (ko) 1989-05-20 1990-12-20 김정상 아황산 금 나트륨(SGS : Sodium Gold Sulfite)의 제조방법
KR20090107478A (ko) * 2009-09-23 2009-10-13 태 주 하 앞 굽과 뒷굽의 압력이 조절되는 공기 내입부를 형성한 신발의 바닥 창
KR101046741B1 (ko) * 2010-05-20 2011-07-06 승원주 신발용 에어백 및 제조 방법
KR20150014257A (ko) 2013-07-29 2015-02-06 유정임 냉매팩을 사용하는 에어락 김치발효숙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2601B2 (en) Footwear with flexible cage and wedge
CA2488274C (en) Outsole
US7467484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midsole having multiple layers
US6665958B2 (en) Protective cage for footwear bladder
US8732984B2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triangle shock absorbing space
CA2779278C (en) Hollow sole for footwea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030226283A1 (en) Outsole
US9386821B2 (en) Sole
KR101067892B1 (ko) 이종 경도에 의한 다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KR101216763B1 (ko) 건강 신발
US20130318828A1 (en) Two-part sole for footwear
US7757409B2 (en) Cushioning member
KR102094123B1 (ko) 쿠션조정이 가능한 에어쿠션 신발
EP3389426B1 (en) Anti-sprain shock-absorbing balance air-cushion shoe
KR200442659Y1 (ko) 신발의 완충장치 구조
KR101298196B1 (ko) 보행 안정성을 강화시킨 기능성 신발창.
JP2010148790A (ja) エアクッション入り靴底
KR101075787B1 (ko) 충격분산기능과 구름보행기능을 가지는 신발중창
KR101063735B1 (ko) 헬스 워킹 샌들
KR20130113695A (ko) 쿠션터널을 구비한 신발창
CN105411095A (zh) 吸震助力鞋底
KR101823551B1 (ko) 신발용 아웃솔
KR102030530B1 (ko) 복원력이 향상된 미드솔
KR102025587B1 (ko) 투명 서라운드 쿠션을 포함하는 신발물품
KR102001997B1 (ko) 기능성 신발 밑창을 구비하는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