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621B1 - 바 휨 교정용 지그 - Google Patents

바 휨 교정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621B1
KR102093621B1 KR1020180041131A KR20180041131A KR102093621B1 KR 102093621 B1 KR102093621 B1 KR 102093621B1 KR 1020180041131 A KR1020180041131 A KR 1020180041131A KR 20180041131 A KR20180041131 A KR 20180041131A KR 102093621 B1 KR102093621 B1 KR 102093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jig
open area
area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026A (ko
Inventor
박영춘
박청훈
Original Assignee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1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621B1/ko
Publication of KR20190118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16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of specific articles made from metal rods, tubes, or profiles, e.g. crankshafts, by specially adapted methods 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 휨 교정용 지그는, 바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제1 측에 수직방향인 제2 측 상의 일부 영역에 상기 바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개방부를 구비한 내부 지그와 상기 내부 지그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노출된 상기 바의 일부를 고정시키는 외부 지그와 상기 내부 지그의 상기 제1 측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내부 지그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 휨 교정용 지그{JIG FOR CORRECTION OF BENDING BAR}
본 발명은 바(Bar) 휨 교정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바 타입의 금속 구조물의 휨을 교정하는 지그에 관한 것이다.
금속부재의 휨 보정을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금속부재의 휨 발생 부분을 교정하기 위하여, 휨 발생 평면을 가압하여 휨을 교정하는 휨 개선 지그가 제공되고 있다. 이 같은 휨 개선 지그는, 유압을 적용하여 가압 수준을 조절하므로, 압력 분배 구조를 갖춰야 하므로, 지그 구성이 복잡해지고, 개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휨 개선 지그는 평면 구조의 소정의 면적 영역에 발생한 휨 만을 개선할 수 있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즉,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 타입의 구조물 또는 라운드 타입의 입체 형상을 갖는 금속 구조물에 대하여 휨이 발생한 경우, 종래의 휨 개선 지그를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바 타입의 구조물의 휨을 교정하기 위해, 절단기로 바 타입의 휨 발생 영역 부분을 분리해 낸 후, 휨 제거를 위한 용접을 다시 수행해야 하는 불편이 발생하며, 이 같은 추가 공정은 생산성 저하를 초래한다. 그럼에도, 복잡한 구성없이 간편하게, 바 타입의 구조물의 휨을 교정하는 지그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바 휨 교정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 타입의 구조물의 휨 발생 영역을 수용함으로써 휨 교정을 수행하는 내부 지그를 포함하는 교정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수직 구조인 바 타입의 구조물도 수용 가능하도록, 상단의 일부 영역이 개방된 내부 지그를 포함하는 교정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바 타입의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한 외부 지그를 포함하는 교정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 휨 교정용 지그는, 바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제1 측에 수직방향인 제2 측 상의 일부 영역에 상기 바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개방부를 구비한 내부 지그와 상기 내부 지그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노출된 상기 바의 일부를 고정시키는 외부 지그와 상기 내부 지그의 상기 제1 측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내부 지그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지그는, 상기 바의 일부를 외부로 통과시킴에 따라, 상기 바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 개방영역과 상기 외부로 통과된 상기 바의 일부가 상기 제1 개방영역을 통해 노출된 채 상기 외부 지그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 개방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개방영역에서 수직방향으로 개방된 제2 개방영역과 상기 외부 지그가 회전된 후, 상기 노출된 상기 바의 일부를 소정의 영역 내에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개방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개방영역에서 수직방향으로 개방된 제3 개방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지그는, 상기 내부 지그의 외면을 따라, 상기 제2 개방 영역의 길이만큼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개방영역은, 상기 노출된 상기 바의 일부와 접촉이 발생하는 일측에 마모방지용 탄성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는, 구부러진 구조로서 소정의 굽은 각도를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1 축의 바 및 제2 축의 바로 구분되고, 상기 노출된 상기 바의 일부는 상기 제1 축의 바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축의 바가 상기 소정의 영역 내에 위치한 후, 상기 지지대에 가해진 힘에 응답하여, 상기 바의 휨 발생 영역의 휨을 교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대의 길이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가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 타입의 구조물의 휨을 교정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각도를 갖고 굽어진 바 타입의 구조물을 수용하여, 구조물에 발생한 휨을 교정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이 같은 장치를 이용하면, 굽어진 바 타입의 구조물의 일 축이 선박이나 건물의 천장 또는 측벽에 설치되고, 다른 축이 특정 객체를 지지하는 경우 발생하는 구조물의 휨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 휨 교정용 지그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바 타입의 구조물의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 휨 교정용 지그의 내부 지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 휨 교정용 지그의 외부 지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 휨 교정용 지그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휨 교정용 지그(100)는, 내부 지그(200), 외부 지그(300) 및 지지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지그(200)는 바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제1 측에 수직방향인 제2 측 상의 일부 영역에 바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개방부를 구비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내부 지그(200)의 개방된 일측에 삽입되는 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바 타입의 구조물(10)의 예시이다. 도2 의 바 타입의 구조물은 예를 들어, 전등걸이일 수 있다. 이하, 바 타입의 구조물이 전등걸이(10)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등걸이(10)는 설치되는 벽면 또는 타 구조물에 부착되는 설치 기둥(11) 및 바(13)를 포함하고, 바(13)는, 전등을 걸기 위한 고리가 걸리는 지지 바(15)와 고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 바(17)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바(15)는 설치 기둥(11)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이탈방지 바(17)는 지지 바(15)로부터 연장되어, 지지 바(15)의 말단에 소정의 각도를 갖고 구부러진 바이다. 즉, 하나의 바가 굽은 각도를 따라 제1 축의 바와 제2 축의 바로 구분된다. 특히, 도 1에서, 지지 바(15)가 내부 지그(200)의 제1 측(220)에 삽입되고, 지지 바(15)로부터 연장되고,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진 이탈방지 바(17)가 내부 지그(200)의 개방부(225) 및 외부 지그(300)를 통과하고 있는 경우가 예로써 도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바(13)는, 제1 축의 바와 이에 연결된 제2 축의 바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때, 제1 축의 바는 제1 길이를 갖고, 제2 축의 바는 제2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축의 바는, 상기 지지 바(15)일 수 있고, 제1 축의 바는 이탈방지 바(17)일 수 있다. 지지 바(15)는 전등을 걸기 위한 고리가 걸리는데 전등 무게로 인하여, 휨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고리가 전등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결되어 걸려있는 경우, 2개의 고리가 걸린 위치가 지지 바(15)의 중간으로부터 동일한 거리가 아닌 경우, 지지 바(15)의 휨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등 지지력이 약해지고, 특정 위치로 전등이 치우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같은 경우, 어느 한쪽의 고리가 지지 바(1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 바(17)가 지지 바(15)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갖고 굽어져 형성되어 있다. 전등이 치우쳐 이탈방지 바(17)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이탈방지 바(17) 역시 휨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심각한 안전 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바(13)의 휨 교정 작업이 필요하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휨 교정용 지그(100)를 활용한 휨 교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 휨 교정용 지그의 내부 지그(200)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내부 지그(200)는 개방된 제1 측(220)을 통해 바(13)를 수용할 수 있다. 바(13)가 굽어진 형태인 경우, 제1 길이를 갖는 제1 축의 바(17)가 삽입되도록, 일측(220)의 하단 영역에 수용홈(227)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지그(200)는 개방된 제1 측(220)에 수직방향인 제2 측 상의 일부 영역에 바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개방부(225)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내부 지그의 상단 영역에 소정의 개방부(22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서, 특히, 개방부(225)가 직사각형 슬라이스식의 홀(hole)인 경우가 예시되었다.
바(13)의 제2 축의 바(17)를 포함하는 일부 영역이 개방부(225)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일부 영역은, 내부 지그(200)의 외면을 감싸있는 외부 지그(3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휨 교정 대상 영역이 설정된다.
휨 교정 대상 영역은, 예를 들어, 노출된 일부 영역에서 연장된 제1 축의 바(15) 영역이 휨 교정 대상 영역일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지그(200)에 삽입된 바(13)의 영역 중, 개방부(225)에 의해 노출되지 않은 영역의 휨이 교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노출된 일부 영역에 포함된 제2 축의 바(17) 영역 자체가 휨 교정 대상 영역일 수도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휨 교정용 지그(100)는 내부 지그(200)의 개방된 제1 측과 반대 방향으로 내부 지그(200)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지지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400)에 사용자 또는 외부 기기로부터 가해진 힘에 응답하여, 바(13)의 휨 발생 영역의 휨이 교정될 수 있다. 상기 가해진 힘은 지렛대 원리에 따른 힘일 수 있다. 즉, 지지대(400)에 윗방향 또는 아랫방향으로 힘이 가해짐에 따라, 개방부(225)에 의해 노출되지 않은 휨 교정 대상 영역의 휨이 교정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굽어진 제2 축의 바(17) 자체의 휨이 교정될 수도 있다.
바(13)는 특정 길이를 갖기 때문에, 휨이 발생한 영역의 휨을 교정하기 위해, 개방부(225) 역시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밖에 없다. 개방부(225)가 소정 길이를 갖는 경우, 지지대(400)에 힘이 가해지는 동안, 바(13)의 노출된 일부 영역이 고정되지 않고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휨 교정 대상 영역 역시 고정되지 않아 휨 교정 작업에 어려움이 따른다. 휨 교정 작업을 위해 휨 교정 대상 영역을 고정할 필요하 있으며, 이를 위해, 휨 교정용 지그는 외부 지그(3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 휨 교정용 지그의 외부 지그(300)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외부 지그(300)는, 바(13)의 일부를 외부로 통과시킴에 따라, 바(13)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 개방영역(3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방영역(310)은, 내부 지그(200)의 개방부(225)를 통해 노출된 바(13)의 일부 영역이 내부 지그(200)뿐만 아니라, 외부 지그(300) 역시 통과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 개방영역(310)은 개방부(225)에 포함되는 직사각형으로, 개방부(225)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외부 지그(300)는 제1 개방영역(310)을 통해 노출된 채 외부 지그(300)를 회전시키도록, 제1 개방영역(310)에서 연장되고 제1 개방영역(310)에서 수직방향으로 개방된 제2 개방영역(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지그(300)는 원통형의 내부 지그(200)를 감싸는 원통형 구조로서, 내부 지그(200)의 내경보다 긴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지그(30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내부 지그(200)를 둘러 싼 채로 회전이 가능하다.
외부 지그(300)가 제1 개방영역(310)만을 포함하는 경우, 내부 지그(200)에 노출된 바(13)의 일부 영역은, 개방부(225)의 면적 내에서만 이동 가능하다.
반면, 외부 지그(300)가 개방부(225) 및 제1 개방영역(310)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제2 개방영역(330)을 구비하는 경우, 바(13)의 노출된 일부 영역의 이동성이 증가된다. 즉, 노출된 일부 영역은 제2 개방영역(330)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즉, 외부 지그(300)는 내부 지그(200)의 외면을 따라, 제2 개방 영역(330)의 길이만큼 회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노출된 일부 영역이 실제 회전하는 것은 아니며, 외부 지그(300)가 회전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상기 노출된 일부 영역으로 제1 개방영역(310)의 말단에서 제2 개방영역(330)의 공간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지그(300)가 회전된 후, 노출된 상기 바(13)의 일부를 소정의 영역 내에 위치시키기 위해, 외부 지그(300)는 제2 개방영역(330)에서 연장되고 제2 개방영역(330)에서 수직방향으로 개방된 제3 개방영역(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개방영역(320)은 제2 개방영역(330)의 말단에서 시작되며, 제1 개방영역(310) 대비 좁은 면적을 갖는다. 상기 좁은 면적에 해당하는 소정의 면적 내에 바(13)의 노출된 일부 영역이 위치하게 됨으로써, 휨 교정 대상 영역을 고정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소정의 영역 내에 바(13)의 노출된 위치가 고정된 후, 상기 지지대에 가해진 힘에 응답하여, 바(13)의 휨 발생 영역의 휨이 교정될 수 있다.
제3 개방영역은 제1 개방영역 보다 좁으며, 이와 같은 면적차이가 휨 교정 대상 영역의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바(13)의 노출된 일부와 제1 개방영역(310), 제2 개방영역(330) 및 제3 개방영역(320)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 접촉 발생 영역에 마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마모 발생 예측 영역에 마모방지용 탄성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 소재, 스프링 등의 탄성력을 구비한 부재가 제1 개방영역(310), 제2 개방영역(330) 및 제3 개방영역(320)의 각 변을 포함하는 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대(400)는, 지지대(400)의 길이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가변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400)는 지지대(400)를 구성하는 제1 모듈이 제2 모듈에 삽입되어 길이가 감소되었다가, 제2 모듈에 수용되어 있는 제1 모듈이 외부로 배출되며 길이가 증가될 수 있으며, 이를 지원하는 가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 타입의 구조물(10) 및 바 휨 교정용 지그(100)의 각 구성요소의 길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바 휨 교정용 지그
200 내부 지그
300 외부 지그
400 지지대
10 바 타입의 구조물
11 설치 기둥
13 바
15 지지 바
17 이탈방지 바
225 개방부
227 수용홈
310 제1 개방영역
330 제2 개방영역
320 제3 개방영역

Claims (7)

  1. 휨 교정용 지그에 있어서,
    바(Bar)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제1 측에 수직방향인 제2 측 상의 일부 영역에 상기 바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개방부를 구비한 내부 지그;
    상기 내부 지그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노출된 상기 바의 일부를 고정시키는 외부 지그로서,
    상기 바의 일부를 외부로 통과시킴에 따라, 상기 바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 개방영역과 상기 외부로 통과된 상기 바의 일부가 상기 제1 개방영역을 통해 노출된 채 상기 외부 지그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 개방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개방영역에서 수직방향으로 개방된 제2 개방영역과 상기 외부 지그가 회전된 후, 상기 노출된 상기 바의 일부를 소정의 영역 내에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개방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개방영역에서 수직방향으로 개방된 제3 개방영역을 포함하는 외부 지그; 및
    상기 내부 지그의 상기 제1 측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내부 지그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바 휨 교정용 지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지그는,
    상기 내부 지그의 외면을 따라, 상기 제2 개방 영역의 길이만큼 회전하는,
    바 휨 교정용 지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방영역은,
    상기 노출된 상기 바의 일부와 접촉이 발생하는 일측에 마모방지용 탄성부재가 부착된,
    바 휨 교정용 지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는,
    구부러진 구조로서, 굽은 각도를 따라 제1 축의 바 및 제2 축의 바로 구분되고,
    상기 노출된 상기 바의 일부는 상기 제1 축의 바인,
    바 휨 교정용 지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의 바가 상기 소정의 영역 내에 위치한 후, 상기 지지대에 가해진 힘에 응답하여, 상기 바의 휨 발생 영역의 휨을 교정하는,
    바 휨 교정용 지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대의 길이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가변부를 구비한,
    바 휨 교정용 지그.
KR1020180041131A 2018-04-09 2018-04-09 바 휨 교정용 지그 KR102093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131A KR102093621B1 (ko) 2018-04-09 2018-04-09 바 휨 교정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131A KR102093621B1 (ko) 2018-04-09 2018-04-09 바 휨 교정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026A KR20190118026A (ko) 2019-10-17
KR102093621B1 true KR102093621B1 (ko) 2020-03-26

Family

ID=6842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131A KR102093621B1 (ko) 2018-04-09 2018-04-09 바 휨 교정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6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388Y1 (ko) 2004-04-14 2004-07-06 이윤숙 비계 파이프 교정장치
JP2009090375A (ja) 2008-12-15 2009-04-30 Daido Machinery Ltd 矯正機
KR101199616B1 (ko) * 2009-12-15 2012-11-08 김석원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비계파이프 및 클램프 수선을 위한 교정장치
JP2017513716A (ja) 2014-04-26 2017-06-01 ウィルソン トゥール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動的クランプ及びそのための工具ホル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552B1 (ko) * 2010-04-20 2012-03-05 김경희 우산 및 양산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388Y1 (ko) 2004-04-14 2004-07-06 이윤숙 비계 파이프 교정장치
JP2009090375A (ja) 2008-12-15 2009-04-30 Daido Machinery Ltd 矯正機
KR101199616B1 (ko) * 2009-12-15 2012-11-08 김석원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비계파이프 및 클램프 수선을 위한 교정장치
JP2017513716A (ja) 2014-04-26 2017-06-01 ウィルソン トゥール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動的クランプ及びそのための工具ホル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026A (ko)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4388B2 (ja) 機器を取り付ける取付装置、及び取付方法、取外方法
USRE34603E (en) Electrical junction box for support of a hanging appliance
US20060071499A1 (en) Load support apparatus of driving room for construction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041654B1 (en) Adjustable lighting finishing structure
US10816170B2 (en) Interface for cover plate
US7401950B2 (en) Assembly for vertically positioning a lamp-shade
KR102093621B1 (ko) 바 휨 교정용 지그
KR101931809B1 (ko) 레이스 웨이 지지장치
US9663176B1 (en) Strut fixing device
KR101088052B1 (ko) 가구용 받침대
JP2002310127A (ja) 吊りボルト支持具
KR102356108B1 (ko) 통신케이블 지지장치
JP2007303061A (ja) 吊り下げ支持具
US6966678B2 (en) Foldable ceiling lamp
US20070047241A1 (en) Apparatus for securing a trim frame to a recessed housing member and a method of making thereof
KR20150056812A (ko) 체인 섀클
JP2018187208A (ja) カーテンランナ
KR101242716B1 (ko) 분리형 차선 규제봉 어셈블리
JP6853035B2 (ja) 脱落抑止具
KR101996459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구조
KR101956200B1 (ko) 와이어 하네스 지그장치
KR102199449B1 (ko) 조명기구 고정장치
JP4746937B2 (ja) 長尺状体の吊下固定部材
KR20020007229A (ko) 맨홀뚜껑의 고정구조
KR200481912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볼 헤드용 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