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062B1 - 신체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신체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062B1
KR102093062B1 KR1020190031667A KR20190031667A KR102093062B1 KR 102093062 B1 KR102093062 B1 KR 102093062B1 KR 1020190031667 A KR1020190031667 A KR 1020190031667A KR 20190031667 A KR20190031667 A KR 20190031667A KR 102093062 B1 KR102093062 B1 KR 102093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apparatus
handle
nozzle
presen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훈식
Original Assignee
박훈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훈식 filed Critical 박훈식
Priority to KR1020190031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욕이나 샤워 후에 사용자의 발과 다리 등 신체의 물기를 제거하는 신체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송풍구가 형성되는 바디와, 공간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송풍구를 통해 바람을 송풍하는 송풍팬과, 바디에 송풍구와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되며 복수 개의 통풍구가 형성되는 발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신체 건조장치{Body drying equipment}
본 발명은 신체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욕이나 샤워 후에 사용자의 발과 다리 등 신체의 물기를 제거하는 신체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목욕이나 샤워 후에 젖은 몸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수건이 사용된다. 그러나, 수건을 사용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것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타인이 사용한 수건을 사용하는 경우 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물기를 제거한 후에 수건을 다시 세탁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대중 목욕탕이나 스포츠 센터, 찜질방 등의 다중이용시설에서는 대량의 수건이 필요하여 비경제적이었고, 가정에서 여러 사람이 반복하여 사용하거나 세척 및 건조가 미진하여 수건의 세탁과정이 불충분했을 경우에는 여전히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건은 세탁시 세척은 물론, 건조시 햇볕에 말려야 하며, 말린 수건을 접어서 저장해야 하는 등 사용이 불편하고, 장시간 사용하거나 세탁을 반복하는 경우, 점차로 수건의 조직이 헐거워지거나 낡아져서 결국 버려야 하는 소모품인 것으로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중 목욕탕이나 스포츠 센터, 찜질방 등의 다중이용시설에는 헤어 드라이어나 선풍기 등 머리나 신체를 말릴 수 있는 별도의 건조장치를 설치해두고 있다.
그러나, 헤어 드라이어는 주로 젖은 모발을 말리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를 이용하여 신체를 건조시키는 것은 비위생적이고, 선풍기는 보통 욕실이나 휴게실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모발 건조에는 적합하나, 신체 특히 발바닥을 포함한 하반신 건조에는 부적당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발바닥과 하반신을 포함한 신체를 쉽고 편리하게 건조할 수 있는 신체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송풍구가 형성되는 바디;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송풍구를 통해 바람을 송풍하는 송풍팬; 및 상기 바디에 상기 송풍구와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되며 복수 개의 통풍구가 형성되는 발판을 포함하는 신체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송풍구에 신축 가능하게 하단이 결합되는 플렉시블 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상단에 형성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의 일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발판의 일측에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걸림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발판은, 상기 바디의 상부에 이격하여 나란히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바와, 상기 한 쌍의 지지바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는 블록 형상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상향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은 상기 송풍구의 상부에 이격하여 상기 돌출부의 상측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 건조장치에 의하면, 발판에 발바닥을 지지한 후 송풍구에서 토출되는 바람으로 발바닥을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체 건조장치에 의하면, 플렉시블 호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신체의 부위를 집중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체 건조장치는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도 1의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장치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장치(100)는, 내부에 공간부(201)가 형성되고 일측에 송풍구(202)가 형성되는 바디(200)와, 송풍구(202)와 이격하여 바디(200)에 설치되는 발판(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바디(200)는 예컨대 플라스틱 등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발판(300)은 녹이 잘 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디(200)와 발판(300)의 재질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바디(200)는 육면체 블록 형상의 베이스부(210)와, 베이스부(210)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상향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210)의 상측면 중앙에는 내부의 공간부(201)와 연통하도록 송풍구(202)가 형성되며, 베이스부(210)의 일 측면 또는 양쪽 측면에 내부의 공간부(201)와 연통하도록 흡입구(203)가 형성된다.
흡입구(203)에는 외부의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해 복수 개의 미세통공(204)이 형성된다. 또한, 흡입구(203)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갈수록 점점 폭이 좁아지는 나팔관 형상의 흡입안내관(205)이 흡입구(203)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며, 이 흡입안내관(205)은 후술하는 스크롤 하우징(600)과 연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바디(20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모터(500)의 ON/OFF 작동을 위한 전원버튼(230)이 구비된다. 도면에는 돌출부(220)의 상측면에 전원버튼(230)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돌출부(220)의 전면 또는 베이스부(210)의 상측면이나 측면 등 전원버튼(230)의 형성 위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발판(300)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 특히 발바닥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바디(200)의 송풍구(202) 상측에 이격하여 형성된다.
일 예로서, 발판(300)은 바디(20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나란히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바(310)와, 한 쌍의 지지바(310)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연결바(320)를 포함하여 사다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지지바(310)의 일단은 돌출부(220)의 상측면에 결합되며, 타단은 절곡되어 베이스부(210)의 상측면에 결합된다. 더욱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각각의 지지바(310)는 돌출부(220)의 상측면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향 연장되는 제1 결합부(311)와, 제1 결합부(311)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송풍구(202)의 상부를 지나는 연장부(312)와, 연장부(312)의 끝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베이스부(210)의 상측면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313)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311)의 끝단은 베이스부(210)를 향해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연장부(312)의 끝단과 제2 결합부(313)도 라운드지게 연결된다.
한 쌍의 연장부(312)는 베이스부(210)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하며, 한 쌍의 연장부(312) 사이에 연장부(3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연결바(320)가 한 쌍의 연장부(312)를 상호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즉, 한 쌍의 연장부(312)와 복수 개의 연결바(320)는 사다리 형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발바닥 등 특정 신체 부위를 복수 개의 연결바(320) 위에 올려놓을 수 있으며, 송풍구(202)에서 토출된 바람은 연결바(32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연결바(320) 위에 올려진 신체 부위를 건조시킬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도 1의 단면도로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구(202)의 내측, 즉 베이스부(210) 내부의 공간부(201)에 송풍팬(400)과, 이 송풍팬(400)을 구동하는 모터(500)가 함께 설치된다. 일 예로서, 송풍구(202)의 내측에 BLDC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와, BLDC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시로코 팬 등의 원심형 팬이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500)와 송풍팬(400)의 규격이나 종류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모터(500) 구동에 의해 송풍팬(400)이 회전하면 흡입구(203)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공간부(201)로 유입되며,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송풍구(20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사용자는 이렇게 토출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신체를 건조시킬 수 있다.
흡입구(203)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흡입구(203)와 수직한 송풍구(202) 방향으로 고속 이송되도록, 베이스부(210) 내부의 공간부(201)에 스크롤 하우징(6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스크롤 하우징(600)의 일측에 모터(500)가 구비되고, 모터(500)의 구동축에 결합된 송풍팬(400)의 외측을 감싸도록 스크롤 하우징(600)이 결합되며, 스크롤 하우징(600) 내부의 유로는 입구측이 흡입안내관(205)을 통해 흡입구(203)와 연통하고, 출구측은 송풍구(202)와 연통하게 된다.
한편, 베이스부(210) 상측의 송풍구(202)에 플렉시블 호스(700)의 하단이 결합된다. 플렉시블 호스(700)는 신축 가능한 주름관 형태로서, 길이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주름이 펴지면서 길이가 늘어나고, 외력을 제거하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려는 성질을 갖고 있다.
플렉시블 호스(700)의 상단에는 플렉시블 호스(700)의 직경보다 작은 폭의 토출구(711)를 갖는 노즐(710)이 형성되며, 노즐(71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바(bar) 형태의 손잡이(72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잡이(720)를 잡고 플렉시블 호스(700)를 당겨서 원하는 신체 부위에 노즐(710)의 토출구(711)를 가까이 가져갈 수 있으며, 특정 신체 부위를 집중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손잡이(720)는 노즐(710)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721)와, 지지부(721)의 끝단에서 수직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부(7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721)는 노즐(710)의 외주면 일측에 노즐(71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가 노즐(710)의 일측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722)는 하단이 지지부(721)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의 편의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722)를 지지부(721)와 평행하게 90° 각도로 꺾어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손잡이부(722)의 일측에는 발판(300)의 일측에 손잡이(720)를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원호 형태의 걸림고리(723)가 돌출 형성된다. 사용자는 이 걸림고리(723)를 발판(300)의 지지바(310)에 걸어둘 수 있으며, 이때 플렉시블 호스(700)는 베이스부(210)와 발판(300) 사이의 공간에 수납되고, 손잡이(720)는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지지바(310)의 일측에 수직하게 걸려있게 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발을 발판(300) 위에 올려놓고, 플렉시블 호스(700)의 노즐(710)에서 토출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발바닥 부위를 건조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는 사용자가 손잡이(720)를 파지한 상태로 플렉시블 호스(700)를 잡아당겨서 건조시키기를 원하는 신체 부위에 노즐(710)의 토출구(711)를 가까이 가져가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플렉시블 호스(700)를 늘여서 원하는 신체 부위, 특히 하반신의 특정 부위에 바람을 집중적으로 쐬어서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손잡이(720)의 손잡이부(722)가 지지부(72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사용에 편리한 각도로 손잡이부(722)를 회전시켜 노즐(710)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신체 건조장치 200 : 바디
202 : 송풍구 203 : 흡입구
210 : 베이스부 220 : 돌출부
230 : 전원버튼 300 : 발판
310 : 지지바 320 : 연결바
400 : 송풍팬 500 : 모터
600 : 스크롤 하우징 700 : 플렉시블 호스
710 : 노즐 720 : 손잡이
723 : 걸림고리

Claims (6)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송풍구가 형성되는 바디;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송풍구를 통해 바람을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바디에 상기 송풍구와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되며 복수 개의 통풍구가 형성되는 발판;
    상기 송풍구에 신축 가능하게 하단이 결합되는 플렉시블 호스;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상단에 형성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의 일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는 상기 노즐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끝단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발판의 일측에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형태의 걸림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바디의 상부에 이격하여 나란히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바와, 상기 한 쌍의 지지바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건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블록 형상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상향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은 상기 송풍구의 상부에 이격하여 상기 돌출부의 상측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건조장치.
KR1020190031667A 2019-03-20 2019-03-20 신체 건조장치 KR102093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667A KR102093062B1 (ko) 2019-03-20 2019-03-20 신체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667A KR102093062B1 (ko) 2019-03-20 2019-03-20 신체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062B1 true KR102093062B1 (ko) 2020-03-24

Family

ID=70004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667A KR102093062B1 (ko) 2019-03-20 2019-03-20 신체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0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716B1 (ko) 2022-10-20 2023-09-11 김명숙 바디 드라이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408Y1 (ko) * 2001-10-19 2002-02-04 김동근 발건조기
KR200339415Y1 (ko) * 2003-10-21 2004-01-24 조경제 위생드라이어
KR20110009441U (ko) * 2010-03-30 2011-10-06 홍인표 가정용 주부 습진 방지용 손 건조기 및 행주 건조기
KR101187772B1 (ko) * 2005-03-25 2012-10-05 주식회사 부강샘스 공기청정기 겸용 모발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408Y1 (ko) * 2001-10-19 2002-02-04 김동근 발건조기
KR200339415Y1 (ko) * 2003-10-21 2004-01-24 조경제 위생드라이어
KR101187772B1 (ko) * 2005-03-25 2012-10-05 주식회사 부강샘스 공기청정기 겸용 모발건조기
KR20110009441U (ko) * 2010-03-30 2011-10-06 홍인표 가정용 주부 습진 방지용 손 건조기 및 행주 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716B1 (ko) 2022-10-20 2023-09-11 김명숙 바디 드라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2770B2 (en) Bathroom base cabinet unit having drying function and foot holding function
KR101524503B1 (ko)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KR102093062B1 (ko) 신체 건조장치
KR20180003263U (ko) 헤어와 바디 겸용 드라이기
KR20200037035A (ko) 신발 위생처리장치
KR102316395B1 (ko) 신발 세척장치
KR20150043792A (ko) 신발내부세척기능이 구비된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KR101533103B1 (ko) 다용도 드라이어
JP6765290B2 (ja) 靴乾燥装置
CN206603022U (zh) 一种宠物清洁烘干一体机
JP2007037538A (ja) 犬用洗浄装置
KR20070000496U (ko) 발건조용 욕실문지방.
KR102269447B1 (ko) 건조장치
KR100602587B1 (ko) 바디 드라이어
US20160169553A1 (en) Bathroom heater and body dryer
JP6692106B2 (ja) 靴乾燥装置
JP6694202B2 (ja) 靴乾燥装置
KR200344643Y1 (ko) 바디 드라이어
KR101019217B1 (ko) 샤워식 냉온풍기
TWM572932U (zh) 可攜式的吹風裝置
JP2020103964A (ja) 乾燥装置
KR200180434Y1 (ko) 손 건조기
JPH11346589A (ja) ペット洗浄装置
KR102353108B1 (ko) 풋 기능을 겸한 바디 드라이어
KR19990007080U (ko) 신발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