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277B1 -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277B1
KR102092277B1 KR1020180056359A KR20180056359A KR102092277B1 KR 102092277 B1 KR102092277 B1 KR 102092277B1 KR 1020180056359 A KR1020180056359 A KR 1020180056359A KR 20180056359 A KR20180056359 A KR 20180056359A KR 102092277 B1 KR102092277 B1 KR 102092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user
indicator
digital content
owner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1683A (ko
Inventor
박현민
이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터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터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터플
Priority to KR1020180056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277B1/ko
Priority to US17/055,904 priority patent/US11816091B2/en
Priority to PCT/KR2019/005815 priority patent/WO2019221501A1/ko
Publication of KR20190131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06F16/2365Ensuring data consistency and integ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중앙 서버가 수행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은,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중앙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제1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트랜스퍼 체인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인증부가 제1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트랜스퍼 체인에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1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식별자를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digital content transfer}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콘텐트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콘텐트 서비스들이 생겨남에 따라 사용자들은 여러 접근 매체 또는 접근 경로를 통해 디지털 콘텐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하는 사업자들은 자신의 디지털 콘텐트가 사용자들에게 배포 및 전달되는 과정을 추적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트랜스퍼 체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트의 전달을 추적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은, 중앙 서버가 수행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으로서,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중앙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제1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트랜스퍼 체인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인증부가 제1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트랜스퍼 체인에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1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식별자를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소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부가 상기 제2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소유 요청에 따라 상기 트랜스퍼 체인의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2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를 상기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를 상기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 노드가 없는 경우에 한하여 또는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전용 소유권자가 해제된 경우에 한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전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전달 요청에 따라 상기 트랜스퍼 체인의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2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소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부가 상기 제2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소유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를 상기 트랜스퍼 체인의 상기 제2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전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전달 요청에 따라 상기 트랜스퍼 체인의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1 전달 지시자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달 지시자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 노드가 없는 경우에 한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전달 지시자에 기초한 소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부가 상기 제2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소유 요청에 따라 상기 트랜스퍼 체인의 상기 제1 전달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2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를 상기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를 상기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달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 노드가 없는 경우에 한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제2 전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제2 전달 요청에 따라 상기 트랜스퍼 체인의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2 전달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2 전달 지시자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전달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제3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전달 지시자에 기초한 제2 소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부가 상기 제3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제2 소유 요청에 따라 상기 트랜스퍼 체인의 상기 제2 전달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전달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3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3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여 상기 제3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고, 상기 제3 사용자의 식별자를 상기 제3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에 매체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매체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를 상기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한 추가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한 추가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가 설정한 암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연락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한 승인을 받는 단계; 또는
사전에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를 이용해 상기 제2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사용자로부터 소유 지시자 또는 전달 지시자에 기초한 UI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UI 제공 요청의 기초가 된 소유 지시자 또는 전달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액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액션 기능은, 상기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콘텐트 전달 기능 및 콘텐트의 제공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액션 기능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부가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 상기 선택된 액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사용자로부터 소유 지시자 또는 전달 지시자에 기초한 콘텐트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부가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게 상기 콘텐트 제공 요청의 기초가 된 소유 지시자 또는 전달 지시자(이하 '기초 지시자'라 함)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식별자와 함께 상기 기초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한 결과를 상기 기초 지시자에 대응되는 트랜스퍼 체인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콘텐트 제공 요청에 관한 매체 정보를 상기 기초 지시자에 대응되는 트랜스퍼 체인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기초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트가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대하여 제공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공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초 지시자에 대응되는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 노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증된 사용자가 상기 기초 지시자에 대응되는 트랜스퍼 노드에 사용자 식별자가 기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또는 상기 기초 지시자에 대응되는 트랜스퍼 노드의 콘텐트 접근 속성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게 기초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추가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게 상기 기초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식별자와 함께 상기 기초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제공 요청을 디지털 콘텐트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는 수량 속성을 가지며,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는 수량 속성을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분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분할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를 수량 속성을 가지는 제2 디지털 콘텐트와 제3 디지털 콘텐트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를 수량 속성을 가지는 제2 디지털 콘텐트와 제3 디지털 콘텐트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4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고, 상기 트랜스퍼 체인의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4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식별자, 상기 제2 디지털 콘텐트의 수량 속성, 및 상기 제4 소유 지시자를 상기 제4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5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고, 상기 트랜스퍼 체인의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5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식별자, 상기 제3 디지털 콘텐트의 수량 속성, 및 상기 제5 소유 지시자를 상기 제5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를 수량 속성을 가지는 제2 디지털 콘텐트와 제3 디지털 콘텐트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 노드가 없는 경우에 한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량 속성을 가지는 디지털 콘텐트들의 결합은 금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지털 콘텐트 전달을 추적하는 중앙 서버로서, 제1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 및 상기 중앙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제1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트랜스퍼 체인을 생성하고, 상기 트랜스퍼 체인에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1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식별자를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랜스퍼 체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트를 전달하고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정보를 구성함으로써 디지털 콘텐트의 전달 경로 및 전파 과정을 추적하고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앙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앙 서버가 수행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의 기본적인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장치와 방법을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시스템(100)은 중앙 서버(110) 및 사용자 단말(120)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20)은 컴퓨터나 스마트 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120-1, 120-1, ? , 120-N)일 수 있으며, 해당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 단말과 해당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특별히 구별하여 기재하지 않기로 한다.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시스템(100)은 추가적으로 디지털 콘텐트 제공 서버(130) 및/또는 로그인 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서버(110)는 사용자 간 디지털 콘텐트가 전달되고 사용자에게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되는 과정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사용자 간 디지털 콘텐트가 전달된다는 것은 해당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소유권 또는 사용권이 전달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디지털 콘텐트는 중앙 서버(110)가 직접 제공하거나, 별도의 디지털 콘텐트 제공 서버(13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 주체 등이 서로 다른 경우 복수의 디지털 콘텐트 제공 서버들이 포함될 수 있다. 디지털 콘텐트는 디지털 미디어, 전자책, 게임 아이템, 디지털 가입(subscription), 할인권, 전자 쿠폰, 기프트 코드, 배송권, 상품 구매 웹페이지, 암호 화폐 등 디지털 형태로 이루어진 다양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로그인 서버(140)는 로그인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버이다. 로그인 서비스란 자신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서비스(즉, 다른 서버)에 로그인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대표적인 예로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소셜 로그인 서비스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의 로그인 서비스는 소셜 로그인 서비스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앙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앙 서버(110)은 사용자 인증부(111) 및 트렌스퍼 체인 관리부(112)를 포함한다. 중앙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앙 서버가 수행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의 기본적인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112)는 중앙 서버(110)의 데이터베이스에 제1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트랜스퍼 체인(transfer chain)을 생성할 수 있다(S310).
사용자 인증부(111)는 제1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S320).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제1 사용자는 중앙 서버(110)에 직접 로그인하거나, 별도의 로그인 서버(140)를 통해 로그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각 단계는 특별사정 없는 한 반드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S320 단계는 S310 단계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고, S330 단계의 수행 도중에 수행될 수도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트랜스퍼 체인에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1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여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고, 제1 사용자의 인증을 통해 획득된 제1 사용자의 식별자를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한다(S330). 여기서 제1 소유 지시자는 제1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소유권을 나타내는 지시자로서, URL, QR 코드, 암호화된 코드 등의 온라인/오프라인 결과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소유 지시자는 사용자 식별자, 브라우저 핑거프린트, 매체 정보, 발급 머신 정보, 발급 시간 등을 조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제1 소유 지시자에 포함되어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되거나, 별도로 기록될 수 있다. 매체 정보에 대하여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제1 소유 지시자와 관련하여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686183호에 개시된 발명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트랜스퍼 노드에 제1 소유 지시자 및 제1 사용자의 식별자가 기록되는 것은, 제1 사용자가 제1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소유권자임을 나타낸다. 소유 지시자를 통한 콘텐트의 소유는 반드시 배타적인 소유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콘텐트에 접근할 수 있거나 해당 콘텐트를 획득(예: 구매)할 수 있는 등 특정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콘텐트에 대한 소유권자는 복수일 수도 있고, 한 명으로 제한될 수도 있다. 하나의 콘텐트에 대한 소유권자가 한 명으로 제한되는 경우, 해당 콘텐트의 소유권자를 전용 소유권자라고 한다.
제1 사용자는 제1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최초의 소유권자일 수도 있고, 다른 소유권자로부터 소유권을 전달 받은 사람일 수도 있다. 사용자 간 소유권 전달은 뒤에서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로 소유권이 전달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소유 지시자의 기록과 제1 사용자의 식별자의 기록은 함께 수행되거나, 시간적으로 이격되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1 사용자가 로그인된 상태에서 제1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여 제1 사용자의 식별자와 함께 트랜스퍼 체인에 기록할 수도 있고, 제1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여 트랜스퍼 체인에 기록한 후, 이를 제1 사용자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하고, 제1 소유 지시자를 전달 받은 제1 사용자가 이에 기초하여 소유권 등록을 요청하면 비로소 제1 사용자의 식별자를 트랜스퍼 체인에 기록할 수도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콘텐트에 대한 소유권을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지시자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이를 전달 받은 제1 사용자가 소유권 등록을 요청하면 제1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여 제1 사용자의 식별자와 함께 트랜스퍼 체인에 기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소유권 전달을 위한 지시자를 전달 지시자라 하며, 이는 뒤에서 제3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중앙 서버(110)는 제1 소유 지시자를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중앙 서버(110)는 제1 사용자에게 제1 소유 지시자를 직접 제공할 수도 있고, 제3자, 예를 들면 디지털 콘텐트 제공 서버(130)나 다른 사용자를 통해 제1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이하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로 소유권이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120-2)는 제1 소유 지시자를 전달받을 수 있다(S410).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사용자(120-2)는 제1 소유 지시자를 제1 사용자(120-1)로부터 전달 받거나, 중앙 서버(110)로부터 직접 전달받거나, 기타 다른 장치를 통해 전달 받을 수 있다. 제1 사용자나 중앙 서버(100) 등은 제1 소유 지시자를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메신저, SNS, 이메일, 문자 메시지, 게시판, QR 코드 스캔, 스마트 스피커, 근거리 통신, 광 통신, 음파 통신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는 제1 소유 지시자를 이용해 중앙 서버(110)로부터 콘텐트 전달 등에 관한 UI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는 제1 소유 지시자인 URL을 클릭하거나 제1 소유 지시자인 QR 코드를 스캔하여 중앙 서버(110)가 제공하는 웹페이지, 챗봇, 음성 인터페이스(예: 스마트 스피커를 통한 인터페이스)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중앙 서버(110)로부터 획득한 UI에는 소유권 등록 기능, 콘텐트 전달 기능, 콘텐트 제공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소유권 등록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자신의 식별자를 기록하거나, 콘텐트 전달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제1 소유 지시자를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콘텐트 제공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제1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콘텐트 전달 기능을 선택한 경우 콘텐트 전달 방법(전술한 제1 소유 지시자의 전달 방법)을 선택하는 UI가 제공될 수 있다. 콘텐트 전달 방법은 전술한 메신저, SNS, 이메일 등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라인, 밴드 등의 특정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120-2)는 중앙 서버(110)로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소유 요청을 송신하고, 중앙 서버(110)의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112)가 이를 수신할 수 있다(S420). 일 실시예에서, 중앙 서버(110)로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소유 요청을 송신하는 것은 단순히 제1 소유 지시자를 실행하는 것, 예를 들어 제1 소유 지시자인 URL을 클릭하거나, 제1 소유 지시자인 QR 코드를 스캔하는 것 등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앙 서버(110)로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하여 소유 요청을 송신하는 것은 제1 소유 지시자를 이용하여 획득한 UI, 예를 들면 제1 소유 지시자인 URL을 클릭하여 연결된 웹페이지 등에서 소유권 등록 기능을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111)는 제2 사용자를 인증한다(S430).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증은 중앙 서버(110) 또는 로그인 서버(140)에 로그인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단계와의 순서와 무관하게 언제든 수행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소유 요청을 받았을 때 해당 사용자가 로그인돼 있지 않다면 사용자 인증부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2 사용자의 소유 요청에 따라 트랜스퍼 체인의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2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여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고, 제2 사용자의 식별자를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할 수 있다(S440). 제2 소유 지시자는 제1 소유 지시자와 구별되는 것이다. 소유 지시자들은 단순히 서로 다른 고유값일 수도 있고, 사용자 식별자, 브라우저 핑거프린트, 매체 정보, 발급 머신 정보, 발급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함으로써 서로 구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는 제2 소유 지시자에 포함되어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되거나, 별도로 기록될 수 있다. 중앙 서버(110)는 생성된 제2 소유 지시자를 제2 사용자에게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콘텐트를 전달받은 각 사용자에 대해 인증을 수행하여 사용자 식별자를 트랜스퍼 체인에 기록하고, 각 사용자마다 별도의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각 사용자마다 고유한 소유 지시자를 할당함으로써 콘텐트의 전달 및 사용 과정을 정확히 추적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하였듯이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트랜스퍼 체인에 매체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매체 정보는 콘텐트가 전달되는 매체(예: 페이스북)에 관한 정보이다. 일 실시예에서,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1 사용자가 제1 소유 지시자를 이용하여 획득한 UI에서 제1 소유 지시자의 전달 방법을 선택하도록 하여 매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HTTP 레퍼러 등 다른 방법을 이용해 매체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매체 정보 기록을 통해 콘텐트가 전달되는 매체 전파 지도 등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카톡을 통해 콘텐트를 공유했는데 이를 획득한 지인들이 페이스북에 콘텐트 공유를 많이 올리고, 페이스북에 공유된 URL에서 ROI 액션(예: 구매)이 많이 일어나는 경우, 이 상품에 대한 사용자 A의 네트워크는 카카오톡이 아니라 페이스북에 유효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등이 가능해진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1 사용자가 콘텐트를 전달하는 데에 사용한 매체의 정보와 제2 사용자가 콘텐트에 대한 소유권을 등록하는 데에 사용한 매체의 정보를 별도로 트랜스퍼 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매체 A를 통해 공유한 제1 전달 지시자가 전전하여 매체 B를 통해 제2 사용자에게 도달한 경우, 제1 사용자가 콘텐트를 공유하는 데에 사용한 매체와 제2 사용자가 콘텐트에 대한 소유권을 등록하는 데에 사용한 매체를 별도로 기록하여 매체 전파 과정을 더 정확히 추적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 노드가 없는 경우에 한하여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소유 요청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소유 지시자에 기초하여 다른 사람이 소유권을 등록한 경우 본 소유 지시자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거나, 후술하듯이 소유 지시자를 전달 지시자로 변경한 경우 더 이상 본 소유 지시자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등이 가능하다. 이는 특히 소유권자가 전용소유권자인 경우에 유용하며, 이중 사용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된 전달 속성에 기초하여 소유 요청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달 속성은 새로운 사용자가 소유권을 등록할 수 있는지 여부, 소유권을 등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트랜스퍼 체인의 생성 시에 전달 속성이 설정되어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소유권자가 해당 노드의 전달 속성을 변경할 수도 있다. 소유권자가 새로운 사용자가 소유권을 등록할 수 있도록 전달 속성을 설정한 경우에 한하여 소유 요청이 처리되는 경우, 소유권자의 명시적 전달 행위에 의해서만 콘텐트가 전달되는 것이므로 제3자의 무단 복제 등에 의한 콘텐트의 탈취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디지털 콘텐트의 트랜스퍼 체인에 전용 소유권 속성이 설정돼 있는 경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1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전용 소유권자가 해제된 경우에 한하여 소유 요청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2 사용자의 소유 요청 시에 제2 사용자에 대한 추가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인증 절차는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추가적인 인증 정보를 설정하여 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2 사용자로부터 제1 사용자가 설정한 암호를 입력받아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설정한 암호 정보는 해당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1 사용자에게 제2 사용자가 소유권을 등록하려 한다는 사실을 알리고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에 대한 승인을 받을 수 있다. 이때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ARS, 문자 메시지, 챗봇 알림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1 사용자에게 연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가 미리 콘텐트를 전달할 제2 사용자를 지정할 수 있다. 즉,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사전에 제1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제2 사용자의 식별자, 예를 들면 SNS 아이디, 전화번호 등을 이용해 제2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소유 요청을 수신할 때마다 새로운 소유 트랜스퍼 노드 및 새로운 소유 지시자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제2 사용자로부터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소유 요청을 수신하여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한 후 제3 사용자로부터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제2 소유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부는 제3 사용자를 인증하고,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수신된 제2 소유 요청에 따라 트랜스퍼 체인의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3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추가로 생성하고,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3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여 제3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고, 제3 사용자의 식별자를 제3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할 수 있다. 제3 소유 지시자는 제1 소유 지시자 및 제2 소유 지시자와 구별되는 것이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이하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120-1)는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전달 요청을 중앙 서버(110)로 송신하고, 중앙 서버(110)의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이를 수신할 수 있다(S510).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는 제1 소유 지시자를 이용하여 획득한 UI에서 콘텐트 전달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전달 요청을 중앙 서버(110)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콘텐트 전달 기능을 선택한 경우 콘텐트 전달 방법(아래에서 설명하는 제2 소유 지시자의 전달 방법)을 선택하는 UI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단순히 제1 소유 지시자를 실행함으로써 중앙 서버(110)로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전달 요청을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제1 소유 지시자인 URL을 클릭하면 중앙 서버의 API 호출로 미리 동의 받은 권한에 따라 제1 사용자의 친구들에게 자동으로 콘텐트 전달 메시지가 발송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수신한 전달 요청에 따라 트랜스퍼 체인의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2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여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할 수 있다(S520). 발급 시간 정보, 매체 정보 등이 제2 소유 지시자에 포함되어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되거나, 별도로 기록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 노드가 없는 경우에 한하여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전달 요청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된 전달 속성에 기초하여 전달 요청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중앙 서버(110)는 생성된 제2 소유 지시자를 제2 사용자(120-2)에게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서버(110)는 제2 소유 지시자를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고(S530), 제1 사용자는 이를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S540).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는 제1 소유 지시자를 이용하여 획득한 UI에서 콘텐트 전달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중앙 서버(110)는 선택된 방법에 따라 제2 소유 지시자를 제2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하거나 제1 사용자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는 제2 소유 지시자를 이용하여 획득한 UI에서 콘텐트 전달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제2 소유 지시자를 수신한 제2 사용자(120-2)는 중앙 서버(110)로 제2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소유 요청을 송신하고, 중앙 서버(110)의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112)가 이를 수신할 수 있다(S550). 중앙 서버(110)로 제2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소유 요청을 송신하는 것은 단순히 제2 소유 지시자를 실행하는 것이거나, 제2 소유 지시자를 이용하여 획득한 UI에서 소유권 등록 기능을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111)는 제2 사용자를 인증한다(S430).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수신한 소유 요청에 따라 트랜스퍼 체인의 제2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제2 사용자의 식별자를 기록할 수 있다(S560).
이와 같이 소유권자의 전달 요청을 통해 새로운 사용자가 소유권을 등록하게 되는 경우, 소유권자의 명시적 전달 행위에 의해서만 콘텐트가 전달되는 것이므로 제3자의 무단 복제 등에 의한 콘텐트의 탈취를 방지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소유권 등록에 관한 시간 정보, 매체 정보 등을 기록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2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 노드가 없는 경우에 한하여 제2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소유 요청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2 사용자의 소유 요청 시에 제2 사용자에 대한 추가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전달 요청을 수신할 때마다 새로운 소유 트랜스퍼 노드 및 새로운 소유 지시자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전달 요청을 수신하여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한 후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제2 전달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제2 전달 요청에 따라 트랜스퍼 체인의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3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추가로 생성하고,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3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여 제3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할 수 있다. 제3 소유 지시자는 제1 소유 지시자 및 제2 소유 지시자와 구별되는 것이다. 중앙 서버(110)는 생성된 제3 소유 지시자를 제3 사용자에게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제3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3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제2 소유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부는 제3 사용자를 인증하고,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수신된 제2 소유 요청에 따라 제3 사용자의 식별자를 트랜스퍼 체인의 상기 제3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제3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이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상이한 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120-1)는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전달 요청을 중앙 서버(110)로 송신하고, 중앙 서버(110)의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이를 수신 할 수 있다(S610).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는 제1 소유 지시자를 이용하여 획득한 UI에서 콘텐트 전달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전달 요청을 중앙 서버(110)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콘텐트 전달 기능을 선택한 경우 콘텐트 전달 방법(아래에서 설명하는 제1 전달 지시자의 전달 방법)을 선택하는 UI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단순히 제1 소유 지시자를 실행함으로써 중앙 서버(110)로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전달 요청을 송신할 수도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수신한 전달 요청에 따라 트랜스퍼 체인의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1 전달 지시자를 생성하여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할 수 있다(S620). 여기서 전달 지시자는 소유 지시자와 같이 QR 코드, URL, 암호화된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686183호에 개시된 발명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달 지시자 역시 단순한 고유값이거나, 사용자 식별자, 브라우저 핑거프린트, 매체 정보, 발급 머신 정보, 발급 시간 등을 조합해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전달 지시자 또는 소유 지시자가 생성될 때마다 각각 새로운 값으로 생성될 수 있다. 즉, 제1 전달 지시자는 제1 소유 지시자 및 제2 소유 지시자와 구별되는 것이다. 발급 시간 정보, 매체 정보 등이 제1 전달 지시자에 포함되어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되거나, 별도로 기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1 사용자가 제1 소유 지시자를 이용하여 획득한 UI에서 제1 전달 지시자의 전달 방법을 선택하도록 하여 매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1 사용자의 식별자를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 노드가 없는 경우에 한하여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전달 요청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된 전달 속성에 기초하여 전달 요청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중앙 서버(110)는 생성된 제1 전달 지시자를 제2 사용자(120-2)에게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서버(110)는 제1 전달 지시자를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고(S630), 제1 사용자는 이를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S640).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는 제1 소유 지시자를 이용하여 획득한 UI에서 콘텐트 전달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는 제1 전달 지시자를 이용하여 획득한 UI에서 콘텐트 전달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제1 전달 지시자를 수신한 제2 사용자(120-2)는 중앙 서버(110)로 제1 전달 지시자에 기초한 소유 요청을 송신하고, 중앙 서버(110)의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112)가 이를 수신할 수 있다(S650). 중앙 서버(110)로 제1 전달 지시자에 기초한 소유 요청을 송신하는 것은 단순히 제1 전달 지시자를 실행하는 것이거나, 제1 전달 지시자를 이용하여 획득한 UI에서 소유권 등록 기능을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111)는 제2 사용자를 인증한다(S430).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수신한 소유 요청에 따라 트랜스퍼 체인의 제1 전달 지시자에 대응되는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2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여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고, 제2 사용자의 식별자를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할 수 있다(S660). 발급 시간 정보, 매체 정보 등이 제2 소유 지시자에 포함되어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되거나, 별도로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HTTP 레퍼러 등을 이용해 제2 사용자가 이용한 매체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유권자의 전달 요청을 통해 새로운 사용자가 소유권을 등록하게 되는 경우, 소유권자의 명시적 전달 행위에 의해서만 콘텐트가 전달되는 것이므로 제3자의 무단 복제 등에 의한 콘텐트의 탈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소유 지시자와 전달 지시자를 분리하는 경우, 소유 지시자는 해당 소유권자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전달 지시자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두 지시자의 기능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소유권자에게 전달되는 전달 지시자와 해당 소유권자가 소유권을 등록하였을 때 얻게 되는 소유 지시자가 상이하므로, 해당 소유권자 외의 제3자가 해당 소유 지시자를 얻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원 소유권자의 전달 요청에 의해 생성된 지시자가 원 소유권자에게 전달된 후 새로운 소유권자에게 전달되는 경우, 제2 실시예에서는 원 소유권자가 새로운 소유권자의 소유 지시자를 알게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원 소유권자가 새로운 소유권자의 소유 지시자를 알 수 없게 된다.
전술하였듯이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 및/또는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매체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와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각각 매체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 제1 사용자가 콘텐트를 공유하는 데에 사용한 매체와 제2 사용자가 콘텐트에 대한 소유권을 등록하는 데에 사용한 매체를 별도로 기록하여 매체 전파 과정을 더 정확히 추적할 수 있게 된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1 전달 지시자에 대응되는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 노드가 없는 경우에 한하여 소유 요청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1 전달 지시자에 대응되는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의 전달 속성에 기초하여 소유 요청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2 사용자의 소유 요청 시에 제2 사용자에 대한 추가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전달 요청을 수신할 때마다 새로운 전달 트랜스퍼 노드 및 새로운 전달 지시자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전달 요청을 수신하여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한 후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제2 전달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제2 전달 요청에 따라 트랜스퍼 체인의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2 전달 트랜스퍼 노드를 추가로 생성하고,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2 전달 지시자를 생성하여 제2 전달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할 수 있다. 제2 전달 지시자는 제1 소유 지시자 및 제1 전달 지시자와 구별되는 것이다. 중앙 서버(110)는 생성된 제2 전달 지시자를 제3 사용자에게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제3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전달 지시자에 기초한 제2 소유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부는 제3 사용자를 인증하고,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수신된 제2 소유 요청에 따라 트랜스퍼 체인의 제2 전달 지시자에 대응되는 제2 전달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3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3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여 제3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고, 제3 사용자의 식별자를 제3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할 수 있다. 제3 소유 지시자는 다른 소유/전달 지시자와 구별되는 것이다.
이하 중앙 서버(110)가 사용자에게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사용자(120)로부터 소유 지시자 또는 전달 지시자에 기초한 콘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임의의 사용자를 말하며,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또는 제3 사용자일 수 있다. 콘텐트 제공 요청의 기초가 된 소유 지시자 또는 전달 지시자(이하, '기초 지시자'라 함)는 임의의 지시자를 말하며,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제1 소유 지시자, 제2 소유 지시자, 제3 소유 지시자, 제1 전달 지시자, 또는 제2 전달 지시자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콘텐트 제공 요청은 소유 지시자에만 기초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는 기초 지시자를 이용하여 획득한 UI에서 콘텐트 제공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기초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전달 요청을 중앙 서버(110)로 송신할 수 있다.
중앙 서버(110)의 사용자 인증부는 사용자를 인증한다. 사용자 인증이 순서와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음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인증된 사용자에게 기초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한다. 디지털 콘텐트 제공은 사용자의 상품 구매를 의미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인증된 사용자의 식별자와 함께 기초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한 결과를 기초 지시자에 대응되는 트랜스퍼 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이로써 디지털 콘텐트의 전달 이력뿐만 아니라 제공 이력까지 추적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기초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트가 상품 구매 웹페이지인 경우, 해당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 정보, 구매 시각, 구매 종류, 할인 종류 등이 트랜스퍼 체인에 기록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한 결과와 함께 브라우저 핑거프린트, 매체 정보, 제공 머신 정보, 제공 시간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기초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트가, 인증된 사용자에 대하여 제공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기초 지시자에 대응되는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 노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초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판단 결과, 하위 노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기초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인증된 사용자가 기초 지시자에 대응되는 트랜스퍼 노드에 사용자 식별자가 기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초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기초 지시자에 대응되는 트랜스퍼 노드의 콘텐트 접근 속성을 확인하여, 기초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콘텐트 접근 속성은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 전용 사용권의 설정 여부, 누구나(트랜스퍼 노드에 기록된 사용자가 아니더라도)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 디지털 콘텐트가 이미 제공되었는지 여부,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횟수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소유 지시자뿐만 아니라 전달 지시자도 콘텐트 접근 여부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지털 콘텐트가 인증된 사용자에 대하여 제공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인증된 사용자에게 기초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중앙 서버(110)는 인증된 사용자에게 디지털 콘텐트를 직접 제공하거나, 제3자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인증된 사용자의 식별자와 함께 기초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제공 요청을 CP(Content Provider) 사의 디지털 콘텐트 제공 서버(13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CP사의 웹페이지로 리다이렉트될 수 있다. 사용자가 리다이렉트된 웹페이지에서 액션(예: 구매)를 마치면 디지털 콘텐트 제공 서버(130)는 그 결과를 중앙 서버(110)로 전달하고, 중앙 서버(110)는 이를 트랜스퍼 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한 디지털 콘텐트 제공 서버(130)는 해당 사용자에게 기초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콘텐트 제공 서버(130)는 디지털 콘텐트를 직접 사용자(120)에게 제공할 수도 있고, 중앙 서버(110) 등 다른 장치를 통해 사용자(12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중앙 서버(110)와 디지털 콘텐트 제공 서버(130)는 인증된 사용자에게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해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2015-0134592호에 개시된 발명을 이용하여 사용자 계정을 동기화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콘텐트 제공을 위해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추가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인증 절차는 기초 지시자에 대응하는 트랜스퍼 노드에 추가적인 인증 정보를 설정하여 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중앙 서버(110)는 사용자에게 콘텐트 전달 등에 관한 UI를 제공할 있다. 즉,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사용자로부터 소유 지시자 또는 전달 지시자에 기초한 UI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사용자에게 UI 제공 요청의 기초가 된 소유 지시자 또는 전달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액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액션 기능은 소유권 등록 기능, 콘텐트 전달 기능, 콘텐트 제공 기능, 콘텐트 분할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UI 제공 요청은 단순히 소유 지시자 또는 전달 지시자를 실행하는 것, 예를 들어 지시자인 URL을 클릭하거나 지시자인 QR 코드를 스캔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가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액션 기능을 선택하면,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사용자로부터 액션 기능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인증부가 사용자를 인증하고,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 선택된 액션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증이 순서와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수량 속성을 가지는 디지털 콘텐트의 분할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 디지털 콘텐트가 수량 속성을 가지는 경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1 디지털 콘텐트의 수량 속성을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한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분할 요청을 수신한다. 제1 사용자가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분할 요청을 송신하는 것은 제1 소유 지시자를 이용하여 획득한 UI에서 콘텐트 분할 기능을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 노드가 없는 경우에 한하여 분할 요청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분할 요청에 따라 제1 디지털 콘텐트를 수량 속성을 가지는 복수 개의 디지털 콘텐트로 분할한다. 예를 들어,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50의 수량 속성을 갖는 제1 디지털 콘텐트를 20의 수량 속성을 갖는 제2 디지털 콘텐트와 30의 수량 속성을 갖는 제3 디지털 콘텐트로 분할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2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4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고, 트랜스퍼 체인의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4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1 사용자의 식별자, 제2 디지털 콘텐트의 수량 속성, 및 제4 소유 지시자를 제4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3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5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고, 트랜스퍼 체인의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5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는 제1 사용자의 식별자, 제3 디지털 콘텐트의 수량 속성, 및 제5 소유 지시자를 제5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할 수 있다.
중앙 서버(110)는 제4 소유 지시자 및 제5 소유 지시자를 제1 사용자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수량 속성을 가지는 디지털 콘텐트의 분리 방법은 암호 화폐 등에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전용 소유권 속성과 함께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수량 속성을 가지는 디지털 콘텐트의 분리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량 속성을 가지는 디지털 콘텐트들의 결합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른 추적 경로를 지닌 디지털 콘텐트들이 결합되어 하나의 디지털 콘텐트가 되면 디지털 콘텐트의 전달 과정을 완전하게 추적할 수 없게 되므로 디지털 콘텐트의 결합은 금지할 수 있다. 디지털 콘텐트의 결합을 금지하면 모든 디지털 콘텐트의 수량의 전달과정을 완전하게 추적할 수 있게 되므로, 이른바 돈세탁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 체인은 트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소유 요청 또는 전달 요청에 따라 새로운 소유 트랜스퍼 노드 또는 전달 트랜스퍼 노드가 생성된다. 이때 생성된 소유 트랜스퍼 노드 또는 전달 트랜스퍼 노드는 바로 상위 트랜스퍼 노드를 부모 노드로 지정하고 자신을 상위 노드에 대한 자식 노드로 지정하여 트리 형태의 트랜스퍼 체인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가 트랜스퍼 체인의 최상위 노드가 되고, 제2 사용자의 소유 요청에 따라 생성된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 또는 제1 사용자의 전달 요청에 따라 생성된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는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부모 노드로 가지는 자식 노드로서 트랜스퍼 체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은 트랜스퍼 체인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디지털 콘텐트를 전달하고 제공하는 모든 과정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다. 따라서 트랜스퍼 체인을 구성하는 노드들의 연결 관계를 분석하면 디지털 콘텐트의 전달 과정이나 전달 경로를 효과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이러한 트랜스퍼 체인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은 온라인 마케팅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트랜스퍼 체인으로 디지털 콘텐트를 추적하면 해당 디지털 콘텐트의 전파 속도(전파된 사람의 수/시간), 전파 가속도(전파속도가 점점 빨라지는지, 얼마나 빨라지는지) 등을 계산할 수 있으므로 해당 디지털 콘텐트의 전파 정도를 분석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콘텐트가 특정 상품의 구매와 같은 ROI(Return On Investment)와 관련되는 경우, 전환율을 구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콘텐트가 수량 속성을 가지는 경우, 디지털 콘텐트의 분리 과정도 트랜스퍼 노드들의 추적을 통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이러한 트랜스퍼 체인 또는 트랜스퍼 체인의 분석 결과를 도식화하여 보여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은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치고 트랜스퍼 노드에 인증 결과를 기록하기 때문에, 디지털 콘텐트의 복제를 통한 탈취 문제점 및 디지털 콘텐트의 이중 사용의 문제점 등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트랜스퍼 체인은 중앙 서버의 데이터베이이스에 저장되므로 처리 속도가 빠르고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 광학적 판독 매체 등 모든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시지의 데이터 포맷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비록 본 명세서에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각 단계는 반드시 기재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 선택적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형태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9)

  1. 중앙 서버가 수행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으로서,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중앙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제1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트랜스퍼 체인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인증부가 제1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트랜스퍼 체인에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1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식별자를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소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부가 상기 제2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소유 요청에 따라 상기 트랜스퍼 체인의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2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를 상기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를 상기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 노드가 없는 경우에 한하여 또는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전용 소유권자가 해제된 경우에 한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전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전달 요청에 따라 상기 트랜스퍼 체인의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2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소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부가 상기 제2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소유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를 상기 트랜스퍼 체인의 상기 제2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전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전달 요청에 따라 상기 트랜스퍼 체인의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1 전달 지시자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달 지시자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 노드가 없는 경우에 한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전달 지시자에 기초한 소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부가 상기 제2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소유 요청에 따라 상기 트랜스퍼 체인의 상기 제1 전달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2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를 상기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를 상기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달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 노드가 없는 경우에 한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제2 전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제2 전달 요청에 따라 상기 트랜스퍼 체인의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2 전달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2 전달 지시자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전달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제3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전달 지시자에 기초한 제2 소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부가 상기 제3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제2 소유 요청에 따라 상기 트랜스퍼 체인의 상기 제2 전달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전달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3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3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여 상기 제3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고, 상기 제3 사용자의 식별자를 상기 제3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달 트랜스퍼 노드에 매체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13. 제2항, 제4항, 제5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매체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14. 제2항, 제5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를 상기 제2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한 추가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한 추가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가 설정한 암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연락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한 승인을 받는 단계; 또는
    사전에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를 이용해 상기 제2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16.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사용자로부터 소유 지시자 또는 전달 지시자에 기초한 UI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UI 제공 요청의 기초가 된 소유 지시자 또는 전달 지시자(이하 '기초 지시자'라 함)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액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액션 기능은,
    상기 기초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콘텐트 전달 기능 및 콘텐트 제공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초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액션 기능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부가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 상기 선택된 액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19.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사용자로부터 소유 지시자 또는 전달 지시자에 기초한 콘텐트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부가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게 상기 콘텐트 제공 요청의 기초가 된 소유 지시자 또는 전달 지시자(이하 '기초 지시자'라 함)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식별자와 함께 상기 기초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한 결과를 상기 기초 지시자에 대응되는 트랜스퍼 체인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콘텐트 제공 요청에 관한 매체 정보를 상기 기초 지시자에 대응되는 트랜스퍼 체인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기초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트가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대하여 제공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공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초 지시자에 대응되는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 노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증된 사용자가 상기 기초 지시자에 대응되는 트랜스퍼 노드에 사용자 식별자가 기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또는
    상기 기초 지시자에 대응되는 트랜스퍼 노드의 콘텐트 접근 속성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게 기초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추가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게 상기 기초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식별자와 함께 상기 기초 지시자가 가리키는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제공 요청을 디지털 콘텐트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는 수량 속성을 가지며,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는 수량 속성을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기초한 분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가 상기 분할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를 수량 속성을 가지는 제2 디지털 콘텐트와 제3 디지털 콘텐트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를 수량 속성을 가지는 제2 디지털 콘텐트와 제3 디지털 콘텐트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4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고, 상기 트랜스퍼 체인의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4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식별자, 상기 제2 디지털 콘텐트의 수량 속성, 및 상기 제4 소유 지시자를 상기 제4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5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고, 상기 트랜스퍼 체인의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에 제5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식별자, 상기 제3 디지털 콘텐트의 수량 속성, 및 상기 제5 소유 지시자를 상기 제5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를 수량 속성을 가지는 제2 디지털 콘텐트와 제3 디지털 콘텐트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유 지시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의 하위 노드가 없는 경우에 한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수량 속성을 가지는 디지털 콘텐트들의 결합은 금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28. 디지털 콘텐트 전달을 추적하는 중앙 서버로서,
    제1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 및
    상기 중앙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제1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트랜스퍼 체인을 생성하고, 상기 트랜스퍼 체인에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디지털 콘텐트를 가리키는 제1 소유 지시자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식별자를 상기 제1 소유 트랜스퍼 노드에 기록하는 트랜스퍼 체인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서버.
  29. 제1항 내지 제12항 및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80056359A 2018-05-17 2018-05-17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및 장치 KR102092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359A KR102092277B1 (ko) 2018-05-17 2018-05-17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및 장치
US17/055,904 US11816091B2 (en) 2018-05-17 2019-05-15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digital content transfer
PCT/KR2019/005815 WO2019221501A1 (ko) 2018-05-17 2019-05-15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359A KR102092277B1 (ko) 2018-05-17 2018-05-17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683A KR20190131683A (ko) 2019-11-27
KR102092277B1 true KR102092277B1 (ko) 2020-03-23

Family

ID=68540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359A KR102092277B1 (ko) 2018-05-17 2018-05-17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16091B2 (ko)
KR (1) KR102092277B1 (ko)
WO (1) WO20192215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04103A1 (en) * 2021-10-01 2023-04-06 American Express Travel Related Services Company, Inc. Custodial systems for non-fungible token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33129A1 (en) * 2006-03-06 2009-05-21 Lg Electronics Inc. Data transferring method
EP1992138A4 (en) 2006-03-06 2014-12-31 Lg Electronics Inc DATA TRANSFER CONTROL METHOD, METHOD FOR CONTINUOUS TRANSMISSION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CONTENT PROCESSING INFORMATION AND CONTENT TRANSMISSION SYSTEM
KR20090005668A (ko) 2007-07-09 2009-01-14 주식회사 태그스토리 멀티미디어 데이터 배포 경로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56739B1 (ko) * 2010-10-25 2012-06-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유아이 및 사용자 맞춤형 건강 콘텐츠를 제공하는 아이피티브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18605A (ko) * 2011-04-19 2012-10-2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369504B1 (ko) * 2011-12-21 2014-03-04 주식회사 보고지티 콘텐츠 분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080957A (ko) * 2013-12-31 2015-07-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컨텐츠 중심 네트워크에서 프리픽스 트리를 이용하여 예측된 컨텐츠 인기도에 기초하여 캐싱하는 방법
US10402792B2 (en) * 2015-08-13 2019-09-03 The Toronto-Dominion Bank Systems and method for tracking enterprise events using hybrid public-private blockchain ledgers
KR101981203B1 (ko) 2015-09-23 2019-05-22 주식회사 엔터플 사용자 계정 동기화를 이용한 디지털 상품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86183B1 (ko) 2016-03-03 2016-12-14 주식회사 엔터플 Url 쿠폰을 이용한 디지털 상품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9089654A1 (en) * 2017-10-30 2019-05-09 Pricewaterhousecoopers Llp Implementation of continuous real-time validation of distributed data storage systems
US10701054B2 (en) * 2018-01-31 2020-06-30 Salesforce.Com,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lementing super community and community sidechains with consent management for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 in a cloud based computing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683A (ko) 2019-11-27
US20210191920A1 (en) 2021-06-24
US11816091B2 (en) 2023-11-14
WO2019221501A1 (ko)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930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
TWI573084B (zh) 用於虛擬身份管理者的計算系統及方法
RU2440681C2 (ru) Аспекты управления цифровыми правами однорангового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цифрового контента
US20090210937A1 (en) Captcha advertising
Preibusch et al. Shopping for privacy: Purchase details leaked to PayPal
CN104838386B (zh) 使用人物角色的用户认证和授权
CN106097023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04052731A (zh) 基于别名的社交媒体身份验证方法和系统
KR20170129706A (ko)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을 통한 판매자와의 사용자 통신
CN116432247A (zh) 一种基于区块链的侵权存证方法及设备
WO2005022428A1 (ja) 属性情報提供サーバ、属性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1015789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display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erminal and server
WO20131754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tracking, and rewarding word of mouth propagation
US202300556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Token Interactions
CN109583891A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EP3815021A1 (en) Attention token digital asset rewards
KR102092277B1 (ko) 디지털 콘텐트 전달 추적 방법 및 장치
US11556959B2 (en) Internet data usage control system
JP7442602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端末
CN116057920A (zh) 连接到区块链网络
US20230401595A1 (en) Blockchain-based reward system
KR102298668B1 (ko) 영상/상품 매칭 판매의 마케터 활동 관리 방법
CN113821733A (zh) 用于验证与实体相关联的内容的真实性的方法和系统
Elliott Contact details
KR20150113264A (ko) 금융 상품 관리 시스템 및 금융 상품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