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173B1 - 드론 촬영영상으로 실시간 5g를 이용한 교량의 안전진단방법 - Google Patents

드론 촬영영상으로 실시간 5g를 이용한 교량의 안전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173B1
KR102092173B1 KR1020190130496A KR20190130496A KR102092173B1 KR 102092173 B1 KR102092173 B1 KR 102092173B1 KR 1020190130496 A KR1020190130496 A KR 1020190130496A KR 20190130496 A KR20190130496 A KR 20190130496A KR 102092173 B1 KR102092173 B1 KR 102092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bridge
image
wireless charging
charg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도엔지니어링
조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도엔지니어링, 조영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130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33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amage, crack or w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B64C2201/1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 촬영영상으로 실시간 5G를 이용한 교량의 안전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에 탑재된 높은 해상도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교량 상태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무선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고 판독함으로써 교량의 안전성 여부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하여 교량의 안전진단에 소요되던 인력낭비와 비용을 줄이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하면서 신속한 안전진단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드론 촬영영상으로 실시간 5G를 이용한 교량의 안전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론 촬영영상으로 실시간 5G를 이용한 교량의 안전진단방법{Safe diagnosis method of bridge using real time 5G with drone image}
본 발명은 드론 촬영영상으로 실시간 5G를 이용한 교량의 안전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에 탑재된 높은 해상도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교량 상태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무선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고 판독함으로써 교량의 안전성(균열, 크랙) 여부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하여 교량의 안전진단에 소요되던 인력낭비와 비용을 줄이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하면서 신속한 안전진단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드론 촬영영상으로 실시간 5G를 이용한 교량의 안전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장대 교량 등의 대형구조물은 별도의 정형화된 계측방법이 없기 때문에 안전진단에 애로사항이 많다.
때문에, 대부분 전자파측정계를 이용하여 정밀 삼변측량을 실시하여 교량의 수평변형을 측정하고, 정밀 수준측량에 의해 높이 변형을 측정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실시간으로 계속하여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정해진 주기마다 현장에 나가서 직접 측정하여 변형량(주로 크랙, 균열)을 조사해야 하므로 실질적으로 교량의 안전을 진단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였고, 연속적인 모니터링에 의한 교량의 변형을 조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갖는다.
또한, 교량은 지반의 변동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교량의 안전(크랙, 균열, 탈락)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지반상태도 확인해야 한다.
보통, 지반상태 검사는 GPS를 이용하여 지리적 위치, 해발 높이를 확인하고, 연약지반이나 기타 특정 지반에 GPS 기준망과 상시 통신할 수 있는 감지장치를 매설하여 위치별 지반침하 여부와 그 정도를 확인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교량의 안전진단은 GPS와 전자파측정계를 병행하고 있지만, 전자파측정계를 통해 측정상 불편함과 한계성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975937호(2019.04.30.) '지피에스(GPS)를 이용한 교량 상태 자동진단 계측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드론에 탑재된 높은 해상도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교량 상태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무선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고 판독함으로써 교량의 안전성 여부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하여 교량의 안전진단에 소요되던 인력낭비와 비용을 줄이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하면서 신속한 안전진단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드론 촬영영상으로 실시간 5G를 이용한 교량의 안전진단방법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피티지 카메라 및 5G 통신기술에 기반한 무선통신모듈을 갖춘 드론(100)과, 드론(100)에 탑재되는 초음파퇴치기(200) 및 써치라이트(300)와, 드론 배터리 방전시 충전을 위한 무선충전패드(400)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100)에는 컨트롤러(110)를 비롯한 자동충전부(120), 루트설정부(130) 및 퇴치수단구동부(140)가 탑재되어 프로그래밍된 시퀀스에 따라 컨트롤러(110)의 제어하에 동작되는 드론 촬영영상으로 실시간 5G를 이용한 교량의 안전진단방법으로서,
드론(100)에 탑재된 피티지 카메라를 통해 교량의 진단부위를 촬영하고 영상을 취득하는 단계; 취득된 영상을 모션 제이피지 비디오 압축방식으로 압축하여 처리서버(600)로 무선송신하는 단계; 압축 영상을 수신한 처리서버(600)가 압축을 해제한 후 흑백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흑백영상으로부터 케니 에지검출법을 이용하여 윤곽선을 검출하는 단계; 추출된 에지 정보로부터 교량의 균열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통해 교량의 안전진단을 수행하되,
상기 무선충전패드(400)는 충전기본체(510)에 설치되고; 상기 충전기본체(510)의 상면 중심에는 고정블럭(520)이 일정높이 돌출되며; 상기 고정블럭(520)의 상단 4면 중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는 상기 무선충전패드(400)의 일단이 힌지 고정되어 폴딩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무선충전패드(400)의 일부에는 스토퍼(410)가 돌출되어 드론(100)의 랜딩기어(104)에 고정된 스키드(106)가 안착된 후 걸리게 하여 드론본체(102)의 하면 중심에 설치된 단자접속용 플러그(108)가 상기 고정블럭(520)의 상면 중심에 정확하게 센터링되도록 유도하며; 상기 고정블럭(520)의 내부 양측에는 폴딩실린더(530)가 각각 경사배치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폴딩실린더(530)에는 실린더로드(540)가 각각 결합 설치되어 상기 폴딩실린더(53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로드(540)가 출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로드(540)의 각 단부는 각각 무선충전패드(400)의 하단면에 힌지방식으로 링크되고; 상기 고정블럭(520)의 상면 중심에는 전기 통전용 소켓(550)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촬영영상으로 실시간 5G를 이용한 교량의 안전진단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론에 탑재된 높은 해상도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교량 상태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무선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고 판독함으로써 교량의 안전성 여부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하여 교량의 안전진단에 소요되던 인력낭비와 비용을 줄이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하면서 신속한 안전진단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촬영영상으로 실시간 5G를 이용한 교량의 안전진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드론의 구성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촬영영상으로 실시간 5G를 이용한 교량의 안전진단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에 탑재되는 조류 퇴치수단중 초음파발진기와 써치라이트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구현시 조류 퇴치를 위한 구성예를 보인 예시적인 구성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구현에 사용되는 드론의 유선 충전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특히, 본 발명은 5G 이동통신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보다 높은 전송속도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5G 이동통신 기술에서는 초광대역 통신 서비스(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고신뢰성 및 저지연 통신 서비스(u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대규모 기기간 통신 서비스(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로 구분되는 새로운 무선접속기술(new RAT, 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바탕으로 지금까지 구축된 여러 무선 접속 기술들을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수용할 수 있는 유연한 네트워크 구조를 요구하며, 이를 위해 코어 네트워크의 가상화 기술과 기능 분산화 기술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트래픽 처리 부하를 경감시키고 이종 네트워크 간의 접속 및 융합에 대처할 수 있는 네트워크로 발전하고 있는 기술이다.
또한, 서로 다른 특성이 있는 다양한 단말을 대상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 슬라이스 기술이 제시되고 있어 물리적인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각 서비스가 요구하는 사항을 슬라이스 단위로 제공함으로써 서비스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때문에, 5G 이동통신에서는 고속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이동통신 기반하에 무선통신이 가능한 소형 무인비행체인 드론을 이용하여 드론이 촬영한 대용량의 영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즉시 고속 전송가능한 5G 통신기술을 통해 통신함으로써 신속하게 영상분석 및 판독이 가능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도 1 및 도 2의 예시와 같이, 본 발명은 피티지 카메라를 탑재한 소형 무인비행체인 드론(100)을 포함한다.
이때, 피티지(Pan/Tilt/Zoom) 카메라는 수평방향(Pan)의 경우 ±170°범위로 빠른 속도를 지원함으로써 비행중 원하는 교량의 검사부위를 촬영할 수 있고, 또한 수직방향(Tilt)의 경우는 30∼90° 범위로 빠르게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카메라이다.
특히, 상기 드론(100)은 5G를 이용하여 고용량의 데이터를 실시간 고속 송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무선통신모듈은 촬영된 영상을 선명한 상태로 전송할 수 있도록 모션 제이피지 비디오 압축을 수행하며, 5G 통신기술에 따라 초고속으로 전송되고, 해상도는 4CIF/2CIF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드론(100)을 이용하여 교량의 안전진단을 위해 먼저, 드론(100)에 탑재된 피티지 카메라를 통해 교량의 진단부위를 촬영하고 영상을 취득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어, 취득된 영상을 모션 제이피지 비디오 압축방식으로 압축하여 처리서버(600)로 무선송신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후, 압축 영상을 수신한 처리서버(600)가 압축을 해제한 후 흑백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에서, 흑백영상으로 변환하는 이유는 교량의 손상부위(크랙 등)를 검출하기에 컬러영상은 데이터 처리량이 너무 많아 어렵기 때문에 처리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촬영된 컬러영상을 흑백영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컬러정보를 명도 정보로 바꾸는 것이 필요하며, 컬러정보를 명도값으로 바꾸는 방법은 다양한 공지된 방법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법에 따름이 바람직하다.
이어, 변환된 흑백영상으로부터 케니 에지검출법을 이용하여 윤곽선을 검출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에서, 에지 추출(edge extraction)을 통해 윤곽선을 추출해야 하는 이유는 교량의 균열(손상)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에지 추출이란 에지에 해당하는 화소를 찾는 과정이며, 에지를 추출할 때 노이즈도 함께 제거하여 정확도를 높이게 된다. 그리고, 에지란 영상의 물체와 물체 또는 물체와 배경사이의 테두리에서 발생하는데 이미지 안에 있는 객체의 경계를 가리킨다.
에지를 이용한 검출기법은 많은 연산이 불필요하고 입력되어지는 영상 주변의 배경과 경계인 에지에서의 밝기 변화로 보통 식별한다. 에지 정보는 프리윗(Prewitt) 연산자나 로버트(Roberts) 연산자 또는 소벨(Sobel) 연산자와 같은 1차 미분함수나, 라플라시안 연산자와 같은 2차 미분 함수 또는 그 밖의 많은 방법들이 검출에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널리 알려져 있는 케니 에지(Canny edge)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하도록 한다.
이후, 추출된 에지 정보로부터 교량의 균열여부를 확인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속처리가 가능한 5G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고용량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 송수신한 후 교량의 균열여부 등 진단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사람이 직접 방문하여 진단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안전사고, 고비용, 과다한 시간 낭비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드론(100)이 안전진단을 위해 교량쪽으로 비행할 때 교각 혹은 교량 난간이나 가드레일 등에 조류(갈매기 포함)가 존재함으로 인해 드론(100)의 비행을 방해하고, 충돌 등에 의해 드론(100) 파손의 문제, 조류 등의 교란으로 인한 정확한 영상취득 불가 등의 문제를 사전에 일소하기 위해 조류 퇴치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드론(100)에는 도 3의 (a)와 같은 초음파퇴치기(200)와, 도 3의 (b)와 같은 써치라이트(300)가 탑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초음파퇴치기(200)는 조류가 싫어하는 초음파를 발진시켜 조류가 촬영지역으로 접근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써치라이트(300)는 조류가 촬영지역으로 날아들지 못하도록 진단 부위 주변을 주기적으로 비춰 조류가 쉽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사전에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드론(100)이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장시간 비행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에,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일정 배터리레벨이 되었을 때 자동충전 장소로 귀환하여 자동충전 후 다시 설정된 루트로 비행할 수 있도록 무선충전패드(400, 도 5 참조)도 포함한다.
아울러, 도 4의 예시와 같이 상기 드론(100)에는 컨트롤러(110)를 비롯한 자동충전부(120), 루트설정부(130) 및 퇴치수단구동부(140)가 탑재되고, 이들은 전용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시퀀스 제어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GPS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장치가 탑재되며, 무선충전패드(400)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통신수단도 탑재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영상취득 단계 이전에 드론(100) 비행시 조류 퇴치수단 발진단계가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류 퇴치수단 발진단계는 타임설정 스텝, 루트설정 스텝, 퇴치수단 구동설정 스텝, 자동비행 스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타임설정 스텝은 시간을 설정하여 정해진 시간동안 드론(100)이 진단대상 교량 주변을 비행하면서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임무 수행을 설정하는 스텝이다.
그리고, 루트설정 스텝은 주변 지형지물 및 장애물을 피해 진단대상 교량 주변을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도록 비행경로를 설정하고, 대상지역에 도착하였을 때 퇴치임무 수행을 위한 비행경로까지 설정하는 스텝으로서, 루트설정부(130)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컨트롤러(110)는 루트설정부(130)에서 설정된 비행경로를 따라 GPS 및 고도계(altimeter)를 이용하여 자동 비행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퇴치수단 구동설정 스텝은 퇴치수단구동부(140)를 통해 퇴치수단인 초음파퇴치기(200) 또는 써치라이트(300)를 어떤 주기에 맞춰 어떻게 구동시킬 것인지를 설정하는 스텝이다.
아울러, 자동비행 스텝은 설정값에 따라 프로그램이 실행되면서 조건에 맞춰 대상지역을 비행함과 동시에 대상지역 도착시 일정 에어리어 내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비행하면서 조류 퇴치작업을 수행하는 스텝이며, 자동비행이 완료되면 본격적인 교량 진단을 위해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인 앞서 설명한 진단방법이 수행된다.
한편, 영상취득 도중 컨트롤러(110)의 지속적인 검출과정에서 배터리의 전압레벨이 일정 전압레벨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자동충전부(120)에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충전모드로 전환되면서 복귀충전단계가 수행된다.
즉, 영상취득 단계와 영상전송 단계 사이에서 복취충전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복귀충전단계는 자동충전부(120)에 설정된 루트를 따라 무선충전패드(400)를 향해 복귀 비행을 하게 되며, 무선충전패드(400)와 일정반경에 이르렀을 때 무선충전패드(400)와 무선통신하여 정확히 위치 안착과 동시에 무선충전을 수행하며, 무선충전이 완료되면 다시 프로그램의 실행 명령에 따라 퇴치임무가 안 끝났으면 다시 퇴치임무를 수행하러 비행하게 되며, 퇴치임무가 끝난 경우라면 복귀된 상태로 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특별한 관리인원없이도 자동으로 조류 퇴치 임무를 수행하고, 필요한 경우 자동복귀 후 충전하며, 안전하게 교량을 진단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는 도 5와 같이 유선충전유닛(500)을 더 포함한다.
이것은 무선충전패드(400)를 통한 충전시간이 유선충전에 비해 느리기 때문에 신속한 충전이 필요한 경우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때문에, 유선충전유닛(500)을 더 갖출 경우, 무선충전패드(400)는 도 5와 같이 개량될 수 있다.
도 5에 따르면, 충전기본체(510)의 상면 중심에는 고정블럭(520)이 일정높이 돌출되고, 상기 고정블럭(520)의 상단 4면 중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는 무선충전패드(400)의 일단이 힌지 고정되어 폴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무선충전패드(400)에는 상기 고정블럭(520) 내부를 통해 배선된 전기선에 의해 무선충전할 수 있는 코일시스템이 갖추어져 있는 바, 이는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무선충전패드(400)의 일부에는 스토퍼(410)가 돌출되는데, 상기 스토퍼(410)는 드론(100)의 랜딩기어(104)에 고정된 스키드(106)가 안착된 후 걸림으로써 드론본체(102)의 하면 중심에 설치된 단자접속용 플러그(108)가 상기 고정블럭(520)의 상면 중심에 정확하게 센터링되도록 하여 준다.
즉, 상기 무선충전패드(400)는 하방향으로 폴딩가능하기 때문에 하방향으로 경사배치되게 되면 스키드(106)가 미끄러져 내려가게 되는데 양쪽이 미끄러져 내려가다가 스토퍼(410)에 걸려 멈추게 되면 그때 플러그(108)는 자동 센터링된 상태가 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블럭(520)의 내부 양측에는 폴딩실린더(530)가 각각 경사배치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폴딩실린더(530)에는 실린더로드(540)가 각각 결합 설치되어 상기 폴딩실린더(53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로드(540)가 출몰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로드(540)의 각 단부는 각각 무선충전패드(400)의 하단면에 힌지방식으로 링크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블럭(520)의 상면 중심에는 전기 통전용 소켓(550)이 돌출되고, 이 소켓(550)에는 전기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유선 충전이 필요한 경우(미리 세팅 설정할 수 있음), 드론본체(102)가 착륙하여 스키드(106)가 무선충전패드(400)에 안착되면, 폴딩릴린더(530)가 동작하여 무선충전패드(400)를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서서히 접는다.
그러면, 드론본체(102)는 플러그(108)가 센터링된 상태로 서서히 하강하게 되고, 어느 정도 하강했을 때 플러그(108)가 소켓(550) 속으로 들어가면서 서로 접속되어 통전이 이루어진다.
통전이 이루어지면, 이를 신호로 받아 폴딩실린더(530)의 구동은 정지되고 유선충전을 진행한다.
유선충전이 완료되면, 상술한 역순으로 동작하여 플러그(108)를 소켓(550)에서 분리하고, 유해동물 퇴치작업을 더 수행해야 할 경우 프로그램 설정대로 다시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충전 방식 외에 유선충전 방식을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시간 단축에 따른 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특장점이 있다.
100: 드론 200: 초음파퇴치기
300: 써치라이트 400: 무선충전패드
500: 유선충전유닛 600: 처리서버

Claims (1)

  1. 피티지 카메라 및 5G 통신기술에 기반한 무선통신모듈을 갖춘 드론(100)과, 드론(100)에 탑재되는 초음파퇴치기(200) 및 써치라이트(300)와, 드론 배터리 방전시 충전을 위한 무선충전패드(400)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100)에는 컨트롤러(110)를 비롯한 자동충전부(120), 루트설정부(130) 및 퇴치수단구동부(140)가 탑재되어 프로그래밍된 시퀀스에 따라 컨트롤러(110)의 제어하에 동작되는 드론 촬영영상으로 실시간 5G를 이용한 교량의 안전진단방법으로서,
    드론(100)에 탑재된 피티지 카메라를 통해 교량의 진단부위를 촬영하고 영상을 취득하는 단계; 취득된 영상을 모션 제이피지 비디오 압축방식으로 압축하여 처리서버(600)로 무선송신하는 단계; 압축 영상을 수신한 처리서버(600)가 압축을 해제한 후 흑백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흑백영상으로부터 케니 에지검출법을 이용하여 윤곽선을 검출하는 단계; 추출된 에지 정보로부터 교량의 균열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통해 교량의 안전진단을 수행하되,
    상기 무선충전패드(400)는 충전기본체(510)에 설치되고; 상기 충전기본체(510)의 상면 중심에는 고정블럭(520)이 일정높이 돌출되며; 상기 고정블럭(520)의 상단 4면 중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는 상기 무선충전패드(400)의 일단이 힌지 고정되어 폴딩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무선충전패드(400)의 일부에는 스토퍼(410)가 돌출되어 드론(100)의 랜딩기어(104)에 고정된 스키드(106)가 안착된 후 걸리게 하여 드론본체(102)의 하면 중심에 설치된 단자접속용 플러그(108)가 상기 고정블럭(520)의 상면 중심에 정확하게 센터링되도록 유도하며; 상기 고정블럭(520)의 내부 양측에는 폴딩실린더(530)가 각각 경사배치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폴딩실린더(530)에는 실린더로드(540)가 각각 결합 설치되어 상기 폴딩실린더(53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로드(540)가 출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로드(540)의 각 단부는 각각 무선충전패드(400)의 하단면에 힌지방식으로 링크되고; 상기 고정블럭(520)의 상면 중심에는 전기 통전용 소켓(550)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촬영영상으로 실시간 5G를 이용한 교량의 안전진단방법.
KR1020190130496A 2019-10-21 2019-10-21 드론 촬영영상으로 실시간 5g를 이용한 교량의 안전진단방법 KR102092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496A KR102092173B1 (ko) 2019-10-21 2019-10-21 드론 촬영영상으로 실시간 5g를 이용한 교량의 안전진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496A KR102092173B1 (ko) 2019-10-21 2019-10-21 드론 촬영영상으로 실시간 5g를 이용한 교량의 안전진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173B1 true KR102092173B1 (ko) 2020-03-24

Family

ID=70004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496A KR102092173B1 (ko) 2019-10-21 2019-10-21 드론 촬영영상으로 실시간 5g를 이용한 교량의 안전진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1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461A (ko) 2020-12-29 2022-07-06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전력 고효율 영상압축전송 모듈 장치
KR102467853B1 (ko) 2021-09-08 2022-11-16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구조물의 크랙 측정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이를 이용하여 크랙 측정 및 관리용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713B1 (ko) * 2015-12-24 2017-05-08 양준혁 드론 충전 시스템
KR101796258B1 (ko) * 2015-04-21 2017-11-13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비전 기반의 구조물 안정성 검사 방법
KR101906140B1 (ko) * 2016-10-17 2018-10-11 주식회사 골드텔 조류 퇴치를 위한 드론 운항시스템
KR101975937B1 (ko) 2018-12-31 2019-05-08 (주)태광설계공사 지피에스(gps)를 이용한 교량 상태 자동진단 계측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258B1 (ko) * 2015-04-21 2017-11-13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비전 기반의 구조물 안정성 검사 방법
KR101732713B1 (ko) * 2015-12-24 2017-05-08 양준혁 드론 충전 시스템
KR101906140B1 (ko) * 2016-10-17 2018-10-11 주식회사 골드텔 조류 퇴치를 위한 드론 운항시스템
KR101975937B1 (ko) 2018-12-31 2019-05-08 (주)태광설계공사 지피에스(gps)를 이용한 교량 상태 자동진단 계측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461A (ko) 2020-12-29 2022-07-06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전력 고효율 영상압축전송 모듈 장치
KR102467853B1 (ko) 2021-09-08 2022-11-16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구조물의 크랙 측정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이를 이용하여 크랙 측정 및 관리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11597B (zh) 一种缺陷绝缘子的无人机巡检方法与系统
CN102435173B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隧道病害快速调查系统及调查方法
KR102092173B1 (ko) 드론 촬영영상으로 실시간 5g를 이용한 교량의 안전진단방법
CN108957240A (zh) 电网故障远程定位方法及系统
CN109176513B (zh) 一种智能巡检机器人的巡检方法及巡检系统
CN113791641A (zh) 一种基于飞行器的设施检测方法及控制设备
CN111311967A (zh) 基于无人机的电力线路巡检系统及方法
CN113428374B (zh) 桥梁结构检测数据收集方法和无人机系统
CN113759961A (zh) 基于无人机ai巡检控制的输电线路全景巡检方法及系统
CN110944150A (zh) 一种电力专用的防外破智能识别方法
KR20180108176A (ko) 공항 이동지역 이물질 수거 시스템
US11989870B2 (en) Method and assembly for detecting objects on systems
CN112549040A (zh) 压板状态巡检机器人
CN106027955A (zh) 一种用于辅助飞机检查与远程故障诊断的图像采集系统
CN106320173B (zh) 车载无人机桥梁日常安全检测系统及检测方法
KR101800297B1 (ko) 비행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외곽 균열 탐지 시스템
KR102210571B1 (ko) Gps 좌표와 이동통신시스템을 이용한 교량과 터널의 안전진단 원격감시 경보방법
CN213518003U (zh) 用于机场道面的巡检机器人以及巡检系统
KR102575000B1 (ko) 플랜트 크랙 진단을 위한 인공지능 드론 플랫폼 시스템
CN212695608U (zh) 一种架空输电线路巡检作业系统及飞行作业平台
CN109186557A (zh) 一种无人机3d扫描成像系统
CN210591922U (zh) 适于轨道的检测车和轨道检测系统
CN112461136A (zh) 桥梁裂缝检测系统
CN115050191B (zh) 图像收集系统以及图像收集方法
CN105426824B (zh) 基于航拍图像的隐患目标分析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