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036B1 - 원격 검침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검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036B1
KR102092036B1 KR1020180075329A KR20180075329A KR102092036B1 KR 102092036 B1 KR102092036 B1 KR 102092036B1 KR 1020180075329 A KR1020180075329 A KR 1020180075329A KR 20180075329 A KR20180075329 A KR 20180075329A KR 102092036 B1 KR102092036 B1 KR 102092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tering
identification
cod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145A (ko
Inventor
김도완
Original Assignee
김도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완 filed Critical 김도완
Priority to KR1020180075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0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 Y04S20/3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은,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부를 포함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가정에 공급하며, 상기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사용량을 계량하여 상기 전력 사용량을 포함하는 계량 정보를 생성하는 계량 정보 전송 장치; 상기 계량 정보를 관리하는 계량 정보 관리 서버;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읽고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계량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인증을 받고, 상기 계량 정보 전송 장치로부터 계량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계량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 검침 시스템{A Remote Meter Reading System}
본 발명은 원격 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QR 코드 및 증강 현실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를 활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센서 역할을 하는 기계식 또는 전자식 계량기를 검침원이 직접 방문하여 확인하는 검침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통신 기능이 없는 계량기는 검침을 위해 검침원이 번거롭게 직접 방문해야 한다는 문제점 외에도 실시간 확인이 되지 않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기존 유무선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통신 기능을 부가한 검침 방법도 있었지만, 제품 단가의 상승 및 통신비용 부가 등으로 경제성이 매우 부족하고, 배터리 방전 문제 또는 별도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시설 투자가 필요하는 등의 추가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아파트 등의 공동 주택 단지의 경우, 전력 사용량을 공동 주택 단지의 관리 주체가 수집하여 한국 전력에 전체 사용 금액만 통보하고, 한국 전력의 경우, 전력 사용 금액이 일치할 경우에는 전체 금액으로 과금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누진세 적용시 아파트 관리 주체는 전체 금액으로 누진세 미적용된 금액으로 한국 전력에 요금 납부를 한 후, 아파트 관리 주체가 각 아파트 거주자에게는 누진세를 적용하여 전기요금을 회수하고 있다. 이 경우, 차액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지만, 전력 사용자에게는 이러한 차액 발생이 고지되지 않으며, 전력 공급 업체 입장에서는 수입이 감소하기 때문에 전력 사용자에게 요금을 절감시켜줄 여력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전력 공급업체의 수입 증가를 위하여 각 개별 아파트 가구를 검침하기 위해서는 큰 비용 증가가 따를 것이며, 새로운 IOT 장비를 구입하여 원격 검침을 하기 위해서는 통신/전원 시설 등의 시설 투자가 크게 증가 할 수 있어서, 큰 설치 비용의 지불 없이 원격 검침을 실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QR 코드 및 증강 현실 유저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전력 검침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증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기존의 PLC(Power Line Communication)나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검침 장치와 달리 저렴한 비용으로 전력 사용자의 검침 정보를 원격으로 검침할 수 있는 원격 검침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계량기 정보가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개인 정보 보호의 관점에서도 매우 유용하다.
또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기존의 아파트 검침과는 달리, 전력 사용자와 전력 공급자를 직접 연결하는 검침 시스템으로 투명한 요금 결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전력 공급자의 수익 증가가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요금을 인하할 수 있는 여력이 전력 공급자에게 생기게 된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은,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부를 포함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가정에 공급하며, 상기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사용량을 계량하여 상기 전력 사용량을 포함하는 계량 정보를 생성하는 계량 정보 전송 장치; 상기 계량 정보를 관리하는 계량 정보 관리 서버;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읽고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계량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인증을 받고, 상기 계량 정보 전송 장치로부터 계량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계량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계량 정보 전송 장치는, 상기 가정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계량하는 계량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계량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계량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인증 받은 단말인지 확인하여 상기 통신부로 하여금 인증 받은 휴대 단말에만 상기 계량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식별부는, 시간에 따라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OTP; 상기 비밀번호에 기초하여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업데이트 하는 식별 부호 생성부; 및 상기 업데이트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량 정보 전송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는 NFC 태그 또는 비컨 신호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식별부는, 시간에 따라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OTP; 및 상기 비밀번호에 기초하여 식별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식별 부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식별부는 상기 업데이트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NFC 태그 또는 비컨 신호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은, QR 코드를 포함하는 식별부를 포함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가정에 공급하며, 상기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사용량을 계량하며 디스플레이가 없는 계량 정보 전송 장치; 상기 계량 정보를 관리하는 계량 정보 관리 서버; 및 상기 QR 코드를 읽고 상기 QR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계량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인증을 받고, 상기 계량 정보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전력 사용량을 수신하여 상기 전력 사용량을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은, 시간에 따라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OTP; 상기 비밀번호에 기초하여 QR 코드를 생성 및 업데이트 하는 식별 부호 생성부; 및 상기 생성 및 업데이트된 QR 코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가정에 공급하며, 상기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사용량을 계량하는 계량 정보 전송 장치; 상기 계량 정보를 관리하는 계량 정보 관리 서버; 및 상기 생성 및 업데이트된 QR 코드를 읽고 상기 생성 및 업데이트된 QR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계량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인증을 받고, 상기 계량 정보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전력 사용량을 수신하여 상기 전력 사용량을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은, 시간에 따라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OTP; 상기 비밀번호에 기초하여 NFC 태그 또는 비컨 신호를 생성 및 업데이트 하는 식별 부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가정에 공급하며, 상기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사용량을 계량하며 디스플레이가 없는 계량 정보 전송 장치; 상기 계량 정보를 관리하는 계량 정보 관리 서버; 및 상기 생성 및 업데이트된 NFC 태그 또는 비컨 신호를 읽고 상기 생성 및 업데이트된 NFC 태그 또는 비컨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계량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인증을 받고, 상기 계량 정보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전력 사용량을 수신하여 상기 전력 사용량을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에 따르면, 기존의 PLC(Power Line Communication)나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검침 장치와 달리 저렴한 비용으로 전력 사용자의 검침 정보를 원격으로 검침할 수 있다. 또한, 계량기 정보가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개인 정보 보호의 관점에서도 매우 유용하다. 또한, 기존의 아파트 검침과는 달리, 전력 사용자와 전력 공급자를 직접 연결하는 검침 시스템으로 투명한 요금 결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전력 공급자의 수익 증가가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요금을 인하할 수 있는 여력이 전력 공급자에게 생기게 된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량정보 송신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증강 현실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실시예에 따른 계량정보 송신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은 계량 정보 전송 장치(100), 휴대 단말(200) 및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은 계량 정보 전송 장치(100), 휴대 단말(200) 및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를 포함한다.
이 경우, 계량 정보 전송 장치(100)는 분전반(50)을 통해 전력 공급업체(7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각 가정에 공급하며, 공급되는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계량한다. 또한, 계량 정보 전송 장치(100)는 계량된 정보를 인증 받은 휴대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계량 정보 전송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는다. 계량 정보의 표시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휴대 단말(200)의 표시 화면을 활용한다.
휴대 단말(200)은 증강현실, 가상현실 등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실시간 검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200)은 계량 정보 전송 장치(100)로부터 계량 정보를 전송 받아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로 계량 정보를 전송한다.
본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200)은 휴대 단말 장치 내에 검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또는 검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휴대폰, 태블릿 PC, PDA 등의 컴퓨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개인용 휴대 정보 기기들 및 이러한 개인용 휴대 정보 기기들 상에서 실행되는 검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 경우, 도 2에 따르면, 휴대 단말(200)은 예컨대 계량부(120), 통신부(130) 및 식별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계량부(120)는 가정으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종래의 전자식 계량 장치, 전력 측정 센서 등을 활용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휴대 단말(200)과의 통신을 담당하며, WiFi, NFC, 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휴대 단말(200)로 계량 정보 등을 송신할 수 있다.
식별부(140)는 휴대 단말(200)이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으로부터 인증 받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부(140)는 계량기에 관한 정보(전력 사용자, 계량기 설치 위치 등)를 포함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일 수 있다. 또는 식별부(140)는 NFC 등에서 활용이 가능한 NFC 태그 또는 블루투스에서 읽을 수 있는 비컨(Beacon) 등이 될 수 있다.
인증부(150)는 휴대 단말(200)이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로부터 인증 받은 클라이언트인지를 확인하며, 예컨대, 휴대 단말(200)이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로부터 인증키를 받는 경우에 통신부(130)를 통하여 휴대 단말(200)에 계량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300)는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LTE, LoRa, WiSUN, NB-IoT 등의 사물인터넷 망 등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와 휴대 단말(200)을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한편,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는 예컨대, MDMS(Meter Data Management System) 등의 계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일 수 있으며, 검침을 위하여 휴대 단말(200)을 인증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200)로부터 송신된 계량 정보(검침 정보)를 저장 및 활용하여 각 사용자에게 과금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의 상세한 동작을 설명한다.
최초에 휴대 단말(200)의 사용자는 휴대 단말(200)을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에 등록시킨다.(단계 S510) 이 후 동작에서 등록된 휴대 단말(200)은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로부터 인증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등록될 수 있는 사용자는 전력을 사용하는 가정의 거주자 또는 검침을 수행하는 검침원일 수 있다.
검침 시점이 되면,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는 대상 휴대 단말(200)에 검침 안내 정보를 통보할 수 있다.(단계 S520) 예를 들어,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는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GCM(Google Cloud Message) 등의 모바일 앱의 푸시 알림 서비스(Push Notification Service)을 이용하여, 검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한 휴대 단말(200)에 통보할 수 있다. 또는 Http 기반의 웹 푸시 알림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보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보를 받게 되면, 도 4와 같이 휴대 단말(200)의 사용자는 계량 정보 전송 장치(100)의 식별부(140)의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을 촬영하여 계량기에 관한 정보(식별 코드)를 휴대 단말(200)에서 읽을 수 있다.(단계 S530) 또는 휴대 단말(200)은 식별부(140)인 NFC 태그 또는 비컨으로부터 계량기에 관한 정보를 읽을 수 있다.
휴대 단말(200)은 획득한 식별코드를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에 전송하여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에 인증을 요청한다. 이 때,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는 휴대 단말(200)이 등록된 단말인지, 해당 계량 정보 전송 장치(100)에 대한 검침 권한을 가지고 있는 단말인지를 확인한 후, 휴대 단말(200)을 인증한다. 예를 들어,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는 인증키를 휴대 단말(200)에 전송하여 휴대 단말(200)을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200)은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계량 정보 관리 장치(100)의 통신부(13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S540) 이 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증이 되기 전에는 상태 표시등(160)은 붉은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200)은 지문 인식, 홍채 인식, 얼굴 인식 등의 별도 인증 수단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200)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휴대 단말(200)은 도 5와 같이, 계량 정보 전송 장치(100)로부터 계량 정보를 수신하고 증강 현실 유저 인터페이스(240)를 통하여 계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단계 S550) 이 경우, 수신되는 계량 정보는 사용 전력량이나 사용 통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계량 정보 전송 장치(100)을 통하여 수신하는 계량 정보 외에도 현재 과금된 전력량 및 전력 요금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상태 표시등(16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녹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인증 전/후를 기준으로 상태 표시등(160)의 색이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휴대 단말(200)에 표시된 버튼(250)을 클릭하여 계량 정보를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560)
이 경우, 휴대 단말(200)은 정기 결제일 도래시, 앞서 설명한 지문 인식, 홍채 인식 및 얼굴 인식 등 사용자가 지정한 사용자 확인 인증 절차를 거쳐 전력 요금을 전자 통합 결제사(PG)를 통해 결제하고 결제 정보를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은 전력 과금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PLC(Power Line Communication)나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검침 장치와 달리 저렴한 비용으로 전력 사용자의 검침 정보를 원격으로 검침할 수 있다. 또한, 계량기 정보가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개인 정보 보호의 관점에서도 매우 유용하다. 또한, 기존의 아파트 검침과는 달리, 전력 사용자와 전력 공급자를 직접 연결하는 검침 시스템으로 투명한 요금 결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전력 공급자의 수익 증가가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요금을 인하할 수 있는 여력이 전력 공급자에게 생기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계량 정보 전송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계량 정보 전송 장치(100)는 계량부(120), 통신부(130), OTP(One Time Password, 143), 식별 부호 생성부(145) 및 디스플레이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계량부(120)는 가정으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종래의 전자식 계량 장치, 전력 측정 센서 등을 활용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휴대 단말(200)과의 통신을 담당하며, WiFi, NFC, 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휴대 단말(200)로 계량 정보 등을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OTP(143)가 시간별로 난수를 발생시켜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계속하여 바코드 또는 QR 코드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 개인 정보 보안에는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OTP(143)를 활용하여 시간별로 다른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OTP(143)의 고유 번호는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에 등록되어 있으므로,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는 가정에 설치되어 있는 OTP(143)의 비밀 번호를 알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200)의 인증이 가능하다.
한편, 식별 부호 생성부(145)는 OTP(143)에서 생성한 비밀번호에 기초하여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의 식별 부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OTP(143)에서 생성한 비밀번호에 기초하여, NFC 태그를 생성하거나, 또는 비컨에서 송신하는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47)는 바람직하게는 간단히 상기 식별 부호 생성부에서 생성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표시할 수 있는 흑백 액정 표시 장치 일 수 있다. 또는 저전력인 E-ink 등의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47)는 식별 부호 생성부(145)에서 생성한 식별 부호를 업데이트하여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
단, 식별 부호가 NFC 태그 또는 비컨 신호인 경우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부(147)가 필요 없이 통신부(130)를 통해 계량기에 관한 정보를 비밀번호와 함께 업데이트 하여 휴대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도 6의 실시예에서는 OTP(143), 식별부호 생성부(145), 디스플레이부(147)가 도 2의 실시예의 식별부(140)의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인증부(150)는 휴대 단말(200)이 획득한 계량기에 관한 정보를 활용하여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로부터 인증 받은 클라이언트인지를 확인하며, 예컨대, 휴대 단말(200)이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로부터 인증키를 받는 경우에 통신부(130)를 통하여 휴대 단말(200)에 계량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PLC(Power Line Communication)나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검침 장치와 달리 저렴한 비용으로 전력 사용자의 검침 정보를 원격으로 검침할 수 있다. 또한, 계량기 정보가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개인 정보 보호의 관점에서도 매우 유용하다. 또한, 기존의 아파트 검침과는 달리, 전력 사용자와 전력 공급자를 직접 연결하는 검침 시스템으로 투명한 요금 결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전력 공급자의 수익 증가가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요금을 인하할 수 있는 여력이 전력 공급자에게 생기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계량기에 관한 정보가 계속하여 업데이트되어 변경됨으로서, 외부에 QR 코드가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도 개인 정보 보호가 한 층 더 강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은 계량 정보 전송 장치(100), 휴대 단말(200) 및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은 계량 정보 전송 장치(100), 휴대 단말(200) 및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를 포함한다.
이 경우, 계량 정보 전송 장치(100)는 분전반(50)을 통해 전력 공급업체(7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각 가정에 공급하며, 공급되는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계량한다. 또한, 계량 정보 전송 장치(100)는 계량된 정보를 인증 받은 휴대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계량 정보 전송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는다. 계량 정보의 표시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휴대 단말(200)의 표시 화면을 활용한다.
휴대 단말(200)은 증강현실, 가상현실 등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실시간 검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200)은 계량 정보 전송 장치(100)로부터 계량 정보를 전송 받아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로 계량 정보를 전송한다.
본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200)은 휴대 단말 장치 내에 검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또는 검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휴대폰, 태블릿 PC, PDA 등의 컴퓨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개인용 휴대 정보 기기들 및 이러한 개인용 휴대 정보 기기들 상에서 실행되는 검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 경우, 도 2에 따르면, 휴대 단말(200)은 예컨대 계량부(120), 통신부(130) 및 식별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계량부(120)는 가정으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종래의 전자식 계량 장치, 전력 측정 센서 등을 활용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휴대 단말(200)과의 통신을 담당하며, WiFi, NFC, 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휴대 단말(200)로 계량 정보 등을 송신할 수 있다.
식별부(140)는 휴대 단말(200)이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으로부터 인증 받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부(140)는 계량기에 관한 정보(전력 사용자, 계량기 설치 위치 등)를 포함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일 수 있다. 또는 식별부(140)는 NFC 등에서 활용이 가능한 NFC 태그 또는 블루투스에서 읽을 수 있는 비컨(Beacon) 등이 될 수 있다.
인증부(150)는 휴대 단말(200)이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로부터 인증 받은 클라이언트인지를 확인하며, 예컨대, 휴대 단말(200)이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로부터 인증키를 받는 경우에 통신부(130)를 통하여 휴대 단말(200)에 계량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300)는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LTE, LoRa, WiSUN, NB-IoT 등의 사물인터넷 망 등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와 휴대 단말(200)을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한편,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는 예컨대, MDMS(Meter Data Management System) 등의 계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일 수 있으며, 검침을 위하여 휴대 단말(200)을 인증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200)로부터 송신된 계량 정보(검침 정보)를 저장 및 활용하여 각 사용자에게 과금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의 상세한 동작을 설명한다.
최초에 휴대 단말(200)의 사용자는 휴대 단말(200)을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에 등록시킨다.(단계 S510) 이 후 동작에서 등록된 휴대 단말(200)은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로부터 인증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등록될 수 있는 사용자는 전력을 사용하는 가정의 거주자 또는 검침을 수행하는 검침원일 수 있다.
검침 시점이 되면,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는 대상 휴대 단말(200)에 검침 안내 정보를 통보할 수 있다.(단계 S520) 예를 들어,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는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GCM(Google Cloud Message) 등의 모바일 앱의 푸시 알림 서비스(Push Notification Service)을 이용하여, 검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한 휴대 단말(200)에 통보할 수 있다. 또는 Http 기반의 웹 푸시 알림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보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보를 받게 되면, 도 4와 같이 휴대 단말(200)의 사용자는 계량 정보 전송 장치(100)의 식별부(140)의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을 촬영하여 계량기에 관한 정보(식별 코드)를 휴대 단말(200)에서 읽을 수 있다.(단계 S530) 또는 휴대 단말(200)은 식별부(140)인 NFC 태그 또는 비컨으로부터 계량기에 관한 정보를 읽을 수 있다.
휴대 단말(200)은 획득한 식별코드를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에 전송하여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에 인증을 요청한다. 이 때,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는 휴대 단말(200)이 등록된 단말인지, 해당 계량 정보 전송 장치(100)에 대한 검침 권한을 가지고 있는 단말인지를 확인한 후, 휴대 단말(200)을 인증한다. 예를 들어,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는 인증키를 휴대 단말(200)에 전송하여 휴대 단말(200)을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200)은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계량 정보 관리 장치(100)의 통신부(13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S540) 이 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증이 되기 전에는 상태 표시등(160)은 붉은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200)은 지문 인식, 홍채 인식, 얼굴 인식 등의 별도 인증 수단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200)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휴대 단말(200)은 도 5와 같이, 계량 정보 전송 장치(100)로부터 계량 정보를 수신하고 증강 현실 유저 인터페이스(240)를 통하여 계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단계 S550) 이 경우, 수신되는 계량 정보는 사용 전력량이나 사용 통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계량 정보 전송 장치(100)을 통하여 수신하는 계량 정보 외에도 현재 과금된 전력량 및 전력 요금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상태 표시등(16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녹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인증 전/후를 기준으로 상태 표시등(160)의 색이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휴대 단말(200)에 표시된 버튼(250)을 클릭하여 계량 정보를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560)
이 경우, 휴대 단말(200)은 정기 결제일 도래시, 앞서 설명한 지문 인식, 홍채 인식 및 얼굴 인식 등 사용자가 지정한 사용자 확인 인증 절차를 거쳐 전력 요금을 전자 통합 결제사(PG)를 통해 결제하고 결제 정보를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은 전력 과금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PLC(Power Line Communication)나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검침 장치와 달리 저렴한 비용으로 전력 사용자의 검침 정보를 원격으로 검침할 수 있다. 또한, 계량기 정보가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개인 정보 보호의 관점에서도 매우 유용하다. 또한, 기존의 아파트 검침과는 달리, 전력 사용자와 전력 공급자를 직접 연결하는 검침 시스템으로 투명한 요금 결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전력 공급자의 수익 증가가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요금을 인하할 수 있는 여력이 전력 공급자에게 생기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계량 정보 전송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계량 정보 전송 장치(100)는 계량부(120), 통신부(130), OTP(One Time Password, 143), 식별 부호 생성부(145) 및 디스플레이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계량부(120)는 가정으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종래의 전자식 계량 장치, 전력 측정 센서 등을 활용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휴대 단말(200)과의 통신을 담당하며, WiFi, NFC, 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휴대 단말(200)로 계량 정보 등을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OTP(143)가 시간별로 난수를 발생시켜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계속하여 바코드 또는 QR 코드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 개인 정보 보안에는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OTP(143)를 활용하여 시간별로 다른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OTP(143)의 고유 번호는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에 등록되어 있으므로,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는 가정에 설치되어 있는 OTP(143)의 비밀 번호를 알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200)의 인증이 가능하다.
한편, 식별 부호 생성부(145)는 OTP(143)에서 생성한 비밀번호에 기초하여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의 식별 부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OTP(143)에서 생성한 비밀번호에 기초하여, NFC 태그를 생성하거나, 또는 비컨에서 송신하는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47)는 바람직하게는 간단히 상기 식별 부호 생성부에서 생성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표시할 수 있는 흑백 액정 표시 장치 일 수 있다. 또는 저전력인 E-ink 등의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47)는 식별 부호 생성부(145)에서 생성한 식별 부호를 업데이트하여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
단, 식별 부호가 NFC 태그 또는 비컨 신호인 경우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부(147)가 필요 없이 통신부(130)를 통해 계량기에 관한 정보를 비밀번호와 함께 업데이트 하여 휴대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도 6의 실시예에서는 OTP(143), 식별부호 생성부(145), 디스플레이부(147)가 도 2의 실시예의 식별부(140)의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인증부(150)는 휴대 단말(200)이 획득한 계량기에 관한 정보를 활용하여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로부터 인증 받은 클라이언트인지를 확인하며, 예컨대, 휴대 단말(200)이 계량 정보 관리 서버(400)로부터 인증키를 받는 경우에 통신부(130)를 통하여 휴대 단말(200)에 계량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PLC(Power Line Communication)나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검침 장치와 달리 저렴한 비용으로 전력 사용자의 검침 정보를 원격으로 검침할 수 있다. 또한, 계량기 정보가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개인 정보 보호의 관점에서도 매우 유용하다. 또한, 기존의 아파트 검침과는 달리, 전력 사용자와 전력 공급자를 직접 연결하는 검침 시스템으로 투명한 요금 결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전력 공급자의 수익 증가가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요금을 인하할 수 있는 여력이 전력 공급자에게 생기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계량기에 관한 정보가 계속하여 업데이트되어 변경됨으로서, 외부에 QR 코드가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도 개인 정보 보호가 한 층 더 강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계량 정보 전송 장치
120: 계량부
130: 통신부
140: 식별부
150: 인증부
200: 휴대 단말
300: 네트워크
400: 계량 정보 관리 서버

Claims (10)

  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부를 포함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가정에 공급하며, 상기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사용량을 계량하여 상기 전력 사용량을 포함하는 계량 정보를 생성하는 계량 정보 전송 장치;
    상기 계량 정보를 관리하는 계량 정보 관리 서버;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읽고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계량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인증을 받고, 상기 계량 정보 전송 장치로부터 계량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계량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식별 정보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이며,
    상기 식별부는, 시간에 따라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OTP; 상기 비밀번호에 기초하여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업데이트 하는 식별 부호 생성부; 및 상기 업데이트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정보 전송 장치는,
    상기 가정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계량하는 계량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상기 계량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계량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인증 받은 단말인지 확인하여 상기 통신부로 하여금 인증 받은 휴대 단말에만 상기 계량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정보 전송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는,
    원격 검침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NFC 태그 또는 비컨 신호인,
    원격 검침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시간에 따라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OTP; 및
    상기 비밀번호에 기초하여 식별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식별 부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식별부는 상기 업데이트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NFC 태그 또는 비컨 신호를 업데이트 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
  8. QR 코드를 포함하는 식별부를 포함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가정에 공급하며, 상기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사용량을 계량하며 디스플레이가 없는 계량 정보 전송 장치;
    계량 정보를 관리하는 계량 정보 관리 서버; 및
    상기 QR 코드를 읽고 상기 QR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계량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인증을 받고, 상기 계량 정보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전력 사용량을 수신하여 상기 전력 사용량을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식별부는, 시간에 따라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OTP; 상기 비밀번호에 기초하여 QR 코드를 업데이트 하는 식별 부호 생성부; 및 상기 업데이트된 QR 코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
  9. 시간에 따라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OTP; 상기 비밀번호에 기초하여 QR 코드를 생성 및 업데이트 하는 식별 부호 생성부; 및 상기 생성 및 업데이트된 QR 코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가정에 공급하며, 상기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사용량을 계량하는 계량 정보 전송 장치;
    계량 정보를 관리하는 계량 정보 관리 서버; 및
    상기 생성 및 업데이트된 QR 코드를 읽고 상기 생성 및 업데이트된 QR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계량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인증을 받고, 상기 계량 정보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전력 사용량을 수신하여 상기 전력 사용량을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
  10. 시간에 따라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OTP; 상기 비밀번호에 기초하여 NFC 태그 또는 비컨 신호를 생성 및 업데이트 하는 식별 부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가정에 공급하며, 상기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사용량을 계량하며 디스플레이가 없는 계량 정보 전송 장치;
    계량 정보를 관리하는 계량 정보 관리 서버; 및
    상기 생성 및 업데이트된 NFC 태그 또는 비컨 신호를 읽고 상기 생성 및 업데이트된 NFC 태그 또는 비컨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계량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인증을 받고, 상기 계량 정보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전력 사용량을 수신하여 상기 전력 사용량을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180075329A 2018-06-29 2018-06-29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92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329A KR102092036B1 (ko) 2018-06-29 2018-06-29 원격 검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329A KR102092036B1 (ko) 2018-06-29 2018-06-29 원격 검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45A KR20200002145A (ko) 2020-01-08
KR102092036B1 true KR102092036B1 (ko) 2020-03-23

Family

ID=6915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329A KR102092036B1 (ko) 2018-06-29 2018-06-29 원격 검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0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8665A (ko) * 2022-06-08 2023-12-15 주식회사 에스아이티테크놀로지 저전력 전력량계 원격검침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6206A (ja) 2008-01-28 2009-08-0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二次元コードを利用した計量器の検針システム
KR101182050B1 (ko) * 2011-07-21 2012-09-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력 관리 단말기 및 전력 관리 장치
KR101703999B1 (ko) * 2015-09-21 2017-02-07 신한배 원격 검침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249B1 (ko) * 2011-07-11 2014-01-08 (주)리얼시큐 Qr코드를 이용한 otp 인증방법 및 장치
KR101691540B1 (ko) * 2014-05-16 2016-12-30 주식회사 솔라시아 전력량 검침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6206A (ja) 2008-01-28 2009-08-0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二次元コードを利用した計量器の検針システム
KR101182050B1 (ko) * 2011-07-21 2012-09-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력 관리 단말기 및 전력 관리 장치
KR101703999B1 (ko) * 2015-09-21 2017-02-07 신한배 원격 검침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45A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7939C2 (ru) Платформа обеспечения для межмашинных устройств
US10564661B2 (en) Power control device, power management device and power management system
KR101233792B1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방법
CN102204214A (zh) 促进安全通信
CN104767733A (zh) 基于智能手机的充电桩授权系统及授权方法
KR20110100598A (ko) 스마트 그리드 상의 가입자 인증기반의 전력거래장치
JP2013045456A (ja) 電動車両の充電時の金融取引を行うときに使用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20015268A (ko) 온실 가스 배출량 또는 삭감량의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CN104933562A (zh) 一种快递费免密支付方法及系统
KR101900609B1 (ko) 전력수요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수요관리시스템
CN109064599A (zh) 权限认证方法及装置
CN105144250B (zh) 用于数字票据检验的方法和设备
KR102092036B1 (ko) 원격 검침 시스템
KR20170021470A (ko) 전자식 전력량계를 이용한 선불형 전력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6873A (ko) 스마트 홈 제어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홈 서비스 방법, 시스템 및 서비스 서버
KR20130010638A (ko) 전력 요금 결제 시스템, 전력 요금 결제 시스템을 위한 전력량 계량 장치,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71921A (ko) 선불형 전자식 전력량계 및 그 동작 방법
KR101065595B1 (ko) 전자 인증 카드에 기반하여 과금하는 전력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2787464A2 (en) Data managing apparatus, meter apparatus and data managing method
JP2006209589A (ja) 認証用住居情報取得システム
KR101389608B1 (ko) 무선단말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JP7233310B2 (ja) 測量装置の共同利用システムおよび測量装置の共同利用方法
CN105447608B (zh) Psam管理方法、系统、psam管理器、车辆收费管理方法及系统
KR20170060622A (ko) 선불식 전기요금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KR101703999B1 (ko) 원격 검침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