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788B1 - Image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788B1
KR102091788B1 KR1020190008028A KR20190008028A KR102091788B1 KR 102091788 B1 KR102091788 B1 KR 102091788B1 KR 1020190008028 A KR1020190008028 A KR 1020190008028A KR 20190008028 A KR20190008028 A KR 20190008028A KR 102091788 B1 KR102091788 B1 KR 102091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mage
unit
dat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0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정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테크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테크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테크넷
Priority to KR1020190008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78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7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2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varifocal lenses or 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arrays of controllable light sources; using moving apertures or moving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which reflects different images projected from a pair of display units through a pair of half mirrors (or semi-transmissive mirror) to have users watch different floating images (or illusion) on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such that users can speak face to face and the device can be used for educational, promotional, consulting, and exhibiting purposes and in a promotion even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motions and/or facial expressions of a first user in one side to analyze motion and/or facial expression patter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and watches preset characters and/or sentence data corresponding to the motion and/or facial expression patter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analyzed in other side through an illusion display scree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voices of the first user in one side to analyze a language according to the voice of the first user, translates the analyzed language of the first user into a preset language by a second user to convert the same into characters and/or sentence information data, and then makes the second user watch the language translated and converted characters and/or sentence information data through an illusion display screen.

Description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IMAGE DISPLAY APPARATUS}Video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투영되는 서로 다른 영상을 한 쌍의 하프미러(Half Mirror)(또는 반투과 미러)를 통해 반사시켜 서로 대향되는 양 측면에서 서로 다른 사용자가 서로 다른 플로팅 영상(또는 허상)을 볼 수 있도록 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both sides opposite to each other by reflecting different images projected from a pair of display units through a pair of half mirrors (or transflective mirrors). It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that allows different users to view different floating images (or virtual images).

일반적으로, 정보통신 기술과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에 따라 3차원 입체 영상과 같이 좀 더 현실감 있는 영상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수요는 비약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요구에 맞추어 다양한 입체 영상 기술이 제안되어 왔으며, 이러한 기술로 가상현실을 이용한 기술,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기술 등이 있다.In general,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display technology, a demand for a more realistic image such as a 3D stereoscopic image is increasing, and a demand for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will increase rapidly. Various stereoscopic image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to meet these demands, and there are technologies using virtual reality and technologies for realizing stereoscopic images using holography technology.

상기 가상현실을 이용한 기술은 이용자가 고글 형태의 장치를 착용하고 컴퓨터그래픽을 이용한 가상의 영상을 보는 방식이 대표적인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이용자가 가상의 영상을 보기 위해 별도의 장치를 착용해야 하므로, 이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The technology using the virtual reality is a typical method in which a user wears a goggle type device and views a virtual image using computer graphics. However,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that the user cannot conveniently use a separate device in order to view the virtual image.

다른 방법으로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공간에 홀로그램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이 있다. 홀로그램은 기록매질에 참조광과 정보를 기록하고자 하는 물체로부터 반사된 광, 즉 물체광을 입사시켜 참조광과 물체광의 간섭패턴을 기록함으로써 만들어진다.Another method is to implement a hologram image in space using holography technology. The hologram is made by recording the interference pattern between the reference light and the object light by inject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object to be recorded with the reference light and information onto the recording medium, that is, the object light.

데니스 게이버(Dennis Garbor)가 홀로그램을 처음 발명한 이후 현재까지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E, Leith 등이 개발한 투 빔 투과 홀로그램(Two beam transmission hologram)과 Denisyuk 등이 개발한 원 빔 반사 홀로그램(One beam reflection hologram), 그리고 N. Phillips 등이 발전시킨 에지릿 홀로그램(Edge-lit hologram) 등이 있다.Since Dennis Garbor first invented the hologram, the most common methods to date have been the two beam transmission hologram developed by E, Leith, etc., and the one beam developed by Denisyuk, etc. reflection hologram, and Edge-lit hologram developed by N. Phillips et al.

상기 투과형 홀로그램은 기록 시 참조광과 물체광을 기록매질에 대해 같은 방향으로 입사시키며, 재생 시에는 참조광이 기록매질에 기록된 홀로그램을 투과하도록 하여 참조광과 반대방향에서 홀로그램이 재생되도록 한다.The transmissive hologram causes the reference light and the object light to enter the recording medium in the same direction during recording, and during reproduction, the reference light transmits the hologram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so that the hologram is reproduc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eference light.

상기 반사형 홀로그램은 기록 시 참조광과 물체광을 기록매질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입사시키며, 재생 시에는 참조광이 홀로그램을 반사하도록 하여 참조광과 같은 방향에서 홀로그램이 재생되도록 한다.In the reflective hologram, the reference light and the object light are incid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ecording medium during recording, and the reference light reflects the hologram during reproduction so that the hologram is reproduc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eference light.

종래의 홀로그램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아직까지 기술적으로 문제점들이 많이 있어서, 최근에는 시청자가 홀로그램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반사막을 이용하여 영상을 반사 합성하여 3차원으로 보이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되었다.In order to reproduce the conventional hologram, there are still many technical problems, and recently, a technique of reflecting and synthesizing an image using a reflective film so that a viewer can recognize it as a hologram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홀로그램은 제작된 홀로그램 크기만큼의 입체영상만을 관측할 수 있었기 때문에 큰 입체영상을 관측하려면 홀로그램의 크기도 크게 제작하여야 한다. 따라서 홀로그램의 크기에 비례하여 관측할 수 있는 입체영상의 크기도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hologram of this method can observe only a stereoscopic image as much as the size of the manufactured hologram. Therefore, in order to observe a large stereoscopic image, the size of the hologram must be made large. Therefore, the size of the stereoscopic image that can be observed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hologram was also limited.

또한, 반사막을 이용한 영상의 반사 합성만으로는 사실감 있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realizing a realistic stereoscopic image only by reflection synthesis of an image using a reflective film.

한편, 최근에는 단순한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에서 벗어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여 교육용, 홍보용, 상담용, 프로모션 행사, 전시용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re is a need for a video display device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education, promotion, counseling, promotional events, and exhibitions, by using a variety of functions, rather than a device that displays only a simple image.

한국 등록특허 제10-1349972호(2014.01.03.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49972 (registered on Jan. 3, 2014) 한국 등록특허 제10-1102610호(2011.12.28.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02610 (registered on December 28, 201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투영되는 서로 다른 영상을 한 쌍의 하프미러(Half Mirror)(또는 반투과 미러)를 통해 반사시켜 서로 대향되는 양 측면에서 서로 다른 사용자가 서로 다른 플로팅 영상(또는 허상)을 볼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서로 얼굴을 마주보면서 이야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용, 홍보용, 상담용, 프로모션 행사, 전시용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flect different images projected from a pair of display units through a pair of half mirrors (or transflective mirrors). It is provided so that different users can see different floating images (or virtual images) on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so they can talk face-to-face and can be varied for educational, promotional, counseling, promotional events, and exhibitions. It is to provide a video display device to be utiliz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느 한 측면에서 제1 사용자의 움직임 및/또는 표정을 인식하여 제1 사용자의 움직임 및/또는 표정 패턴정보를 분석함과 아울러 다른 한 측면에서 분석된 제1 사용자의 움직임 및/또는 표정 패턴정보와 대응되는 기 설정된 문자 및/또는 문장 정보데이터를 허상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nalyze the motion and / or facial expression patter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by recognizing the motion and / or facial expression of the first user in one aspect, as well as the motion of the first user analyzed in the other aspect, and It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that allows preset text and / or sentence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facial expression pattern information to be viewed through a virtual display scree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느 한 측면에서 제1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제1 사용자의 음성에 따른 언어를 분석함과 아울러 분석된 제1 사용자의 언어를 제2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언어로 번역하여 문자 및/또는 문장 정보데이터로 변환한 후, 다른 한 측면에서 제2 사용자가 언어번역 및 변환된 문자 및/또는 문장 정보데이터를 허상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ognize the voice of the first user in one aspect, analyze the language according to the voice of the first user, and translate the analyzed first user's language into a language preset by the second user. To convert the text and / or sentence information data, and in another aspect, to provide a video display device that allows a second user to view the language translation and converted text and / or sentence information data through a virtual display screen. hav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면 및 배면이 관통되거나 투명창이 제공되고, 내부에 영상이 투영되는 투영 공간이 구비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 전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투영 공간으로 제1 영상을 투영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 배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투영 공간으로 제2 영상을 투영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의 사이에 상단이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부의 하부 전면측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서 투영되는 제1 영상이 상기 본체부의 전면측으로 반사되도록 상기 투영 공간에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서 제1 영상이 투영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 하프미러;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의 사이에 상단이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부의 하부 배면측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서 투영되는 제2 영상이 상기 본체부의 배면측으로 반사되도록 상기 투영 공간에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서 제2 영상이 투영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하프미러; 및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하프미러의 일부 반사 기능을 통해 상기 제1 하프미러의 배면 방향의 투영 공간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1 영상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제2 사용자가 상기 제2 하프미러의 일부 반사 기능을 통해 상기 제2 하프미러의 배면 방향의 투영 공간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2 영상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or provided with a projection space for projecting an image therein; A first display unit disposed on an upper front side of the body unit and projecting a first image into the projection space; A second display unit disposed on an upper rear side of the body unit and projecting a second image into the projection space; The upper end is coup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and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front side of the main unit, and the first image projected from the first display unit is reflected in the projection space so as to be refl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main unit. A first half mirror inclined in an upward / downward direction based o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image is projected in the first display unit; The upper end is coup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and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rear surface of the main unit, and the second image projected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is reflect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unit. A second half mirror disposed obliquely in an up / down direction based o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image is projected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isplay unit so that the first user can view the first image formed as a virtual image in the projection space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first half mirror through the partial reflection function of the first half mirror. 2 An image including a control unit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second display unit so that a user can view a second image formed as a virtual image in a projection space in a rear direction of the second half mirror through a partial reflection function of the second half mirror It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투영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Here, the main body portion, the upper frame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are mounted; A lower fram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below the upper frame to form the projection space; And a support frame connecting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저면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각각 장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may be mount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rame.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하프미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지지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upport frame may be supported to connect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nd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alf mirrors.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에서 투영되는 제1 및 제2 영상은, 2차원(2D) 영상, 3차원(3D) 영상 또는 홀로그램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images proje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2D (2D) image, a 3D (3D) image, or a hologram image.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1 및 제2 영상이 서로 다른 영상으로 투영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images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are projected as different images.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의 상부 전면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 영상획득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a first image acquisition unit mount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unit to acquire image data of the first user may be further included.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획득부로부터 획득된 제1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표정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표정 패턴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제1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표정 패턴정보에 따라 이와 대응되는 기 설정된 문자 또는 문장 정보데이터를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2 하프미러의 일부 반사 기능을 통해 상기 제2 하프미러의 배면 방향의 투영 공간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2 영상과 함께 볼 수 있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image data of the first user obtained from the first image acquisition unit and analyzes the movement or expression of the first user based on the image data, thereby obtaining the motion or expression patter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After extracting, the second user may receive preset text or sentence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movement or expression patter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hrough the partial reflection function of the second half mirror.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isplay unit may be controlled to be viewed together with a second image formed as a virtual image in a projection space in the rear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의 상부 배면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 영상획득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a second image acquisition unit mounted on an upp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unit to acquire image data of the second user may be further included.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상획득부로부터 획득된 제2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표정을 분석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표정 패턴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제2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표정 패턴정보에 따라 이와 대응되는 기 설정된 문자 또는 문장 정보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하프미러의 일부 반사 기능을 통해 상기 제1 하프미러의 배면 방향의 투영 공간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1 영상과 함께 볼 수 있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second user's image data obtained from the second image acquisition unit, and analyzes the second user's motion or facial expression based on the second user's motion or facial expression pattern information. After extracting, the first user may receive predetermined text or sentence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second user's movement or facial expression pattern information through the partial reflection function of the first half mirror. The operation of the first display unit may be controlled to be viewed together with the first image formed as a virtual image in the projection space in the rear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의 상부 또는 하부 전면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 음성획득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a first voice acquisition unit mounted on the upper or low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unit to acquire the voice data of the first user may be further included.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음성획득부로부터 획득된 제1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음성에 따른 언어를 분석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언어로 번역한 후, 상기 번역된 언어의 문자 또는 문장 정보데이터를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2 하프미러의 일부 반사 기능을 통해 상기 제2 하프미러의 배면 방향의 투영 공간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2 영상과 함께 볼 수 있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voice data of the first user obtained from the first voice acquisition unit, analyzes the language according to the voice of the first user based on the voice data of the first user, and is configured by the first or second user. After translating into the set language, the second user may make text or sentence information data of the translated language into a virtual image in the projection space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second half mirror through a partial reflection function of the second half mirror. 2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isplay unit can be controlled to be viewed together with the image.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의 상부 또는 하부 배면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 음성획득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a second audio acquisition unit mounted on the upper or low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unit to acquire audio data of the second user may be further included.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음성획득부로부터 획득된 제2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사용자의 음성에 따른 언어를 분석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언어로 번역한 후, 상기 번역된 언어의 문자 또는 문장 정보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하프미러의 일부 반사 기능을 통해 상기 제1 하프미러의 배면 방향의 투영 공간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1 영상과 함께 볼 수 있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voice data of the second user obtained from the second voice acquisition unit and analyzes the language according to the voice of the second user based on the received voice data, so that the After translating into the set language, the first user may make text or sentence information data of the translated language into a virtual image in a projection space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first half mirror through a partial reflection function of the first half mirror. The operation of the first display unit can be controlled to be viewed together with one image.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의 상부 또는 하부 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음성 정보데이터 또는 기 설정된 문자/문장 정보데이터를 제1 또는 제2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it is mounted on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voice signal to allow the first or second user to audibly recognize external voice information data or preset text / phrase information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may be further included.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의 상부 또는 하부 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투영 공간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1 또는 제2 영상에 적어도 하나의 색을 가진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출력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an illumination output unit mounted on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main body unit and irradiating illumination having at least one color to the first or second image formed as a virtual image in the projection spa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have.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a data communication unit mounted inside the main unit and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a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출력되어 상기 투영 공간으로 투영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may receive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unit and output the image data on the screen of the first or second display unit based on the received image data to control the projection to be projected into the projection space.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어부의 복수의 제어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특정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통신부로 출력할 수 있다.Preferably, a specific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and output to the data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control functions of the control unit through a specific application service pre-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투영되는 서로 다른 영상을 한 쌍의 하프미러(Half Mirror)(또는 반투과 미러)를 통해 반사시켜 서로 대향되는 양 측면에서 서로 다른 사용자가 서로 다른 플로팅 영상(또는 허상)을 볼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서로 얼굴을 마주보면서 이야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허상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볼 수 있으며, 교육용, 홍보용, 상담용, 프로모션 행사, 전시용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oth sides opposite to each other by reflecting different images projected from a pair of display units through a pair of half mirrors (or half-transmission mirrors) In order to allow different users to view different floating images (or virtual images), they can not only talk face to face, but also view different virtual display screens, for education, promotion, consultation, and promotion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for events and exhibition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어느 한 측면에서 제1 사용자의 움직임 및/또는 표정을 인식하여 제1 사용자의 움직임 및/또는 표정 패턴정보를 분석함과 아울러 다른 한 측면에서 분석된 제1 사용자의 움직임 및/또는 표정 패턴정보와 대응되는 기 설정된 문자 및/또는 문장 정보데이터를 허상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ion and / or facial expression of the first user is recognized in one aspect, and the motion and / or facial expression patter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is analyzed, and the motion of the first user analyzed in the other aspect. And / o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predetermined character and / or sentence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facial expression pattern information can be viewed through a virtual display scree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어느 한 측면에서 제1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제1 사용자의 음성에 따른 언어를 분석함과 아울러 분석된 제1 사용자의 언어를 제2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언어로 번역하여 문자 및/또는 문장 정보데이터로 변환한 후, 다른 한 측면에서 제2 사용자가 언어번역 및 변환된 문자 및/또는 문장 정보데이터를 허상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aspect, the voice of the first user is recognized to analyze the language according to the voice of the first user, and the analyzed language of the first user is translated into a language preset by the second user. Thus, after converting the text and / or sentence information data, in another aspect, the second user has the advantage of viewing the text and / or sentence information data translated and converted through the virtual display scree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을 경량화 및 단순화시켜 설치 하중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저렴한 제작비용에 따른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 can be reduced in weight and simplification to minimize installation load burden, easy maintenance, and secure price competitiveness according to low production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제1 하프미러의 배면 방향의 투영 공간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1 영상을 제1 사용자측의 정면 및 사시에서 실제로 보여지는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제2 하프미러의 배면 방향의 투영 공간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2 영상을 제2 사용자측의 정면 및 사시에서 실제로 보여지는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제1 및 제2 하프미러를 통해 투영 공간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1 및 제2 영상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for explain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show that a first image formed as an virtual image in a projection space in a rear direction of a first half mirror applied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seen from the front and perspective of the first user It is a picture.
6A and 6B show that a second image formed as a virtual image in a projection space in a rear direction of a second half mirror applied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seen from the front and perspective of the second user It is a pict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first and second images formed as a virtual image in a projection space through first and second half mirrors applied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veral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overal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selected from th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appearance of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some terms ar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ir mean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applicable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terms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simply the names of the term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 certain part of the specification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stead of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emplifi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Combinations of each block in the accompanying block diagrams and steps in the flow charts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xecution engines), which are executed by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processor. Since it can be mounted, the instructions executed through a processor of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create a means to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also be stored in computer read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that can be orien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functionality in a particular way, so that computer read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The instructions stored in it are also possible to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s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a series of operation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process executed by the computer to generate a computer or other program. It is also possible for instructions to perform possi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provide step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ach block or each step can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and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referred to in blocks or steps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possible for functions to occur out of sequence. For exampl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blocks or steps ar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as necessa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제1 하프미러의 배면 방향의 투영 공간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1 영상을 제1 사용자측의 정면 및 사시에서 실제로 보여지는 것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제2 하프미러의 배면 방향의 투영 공간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2 영상을 제2 사용자측의 정면 및 사시에서 실제로 보여지는 것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제1 및 제2 하프미러를 통해 투영 공간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1 및 제2 영상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view for describ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4 is a side view for describ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icture showing that the first image formed as a virtual image in the projection space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first half mirror appli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is actually seen from the front and perspective of the first user, and FIGS. 6A and 6B a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image formed as a virtual image in the projection space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second half mirror appli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xample is front and rear of the second user side. It is a picture showing what is actually shown in, and FIG. 7 illustrates the principle of the first and second images that are virtually formed in the projection spac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alf mirrors appli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user terminal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크게 본체부(100), 제1 디스플레이부(200a), 제2 디스플레이부(200b), 제1 하프미러(300a), 제2 하프미러(300b), 제어부(400), 및 전원공급부(5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영상획득부(600a), 제2 영상획득부(600b), 제1 음성획득부(700a), 제2 음성획득부(700b), 음성출력부(800), 조명출력부(900), 데이터 통신부(95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1 to 9,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 first display 200a, a second display 200b, and a first half mirror ( 300a), a second half mirror 300b, a control unit 400, and a power supply unit 500. In additi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mage acquisition unit 600a, a second image acquisition unit 600b, a first audio acquisition unit 700a, a second audio acquisition unit 700b, It may further include a voice output unit 800, a lighting output unit 900, a data communication unit 950,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1 to 9 are not essential,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more components or less components.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체부(100)는 전체적인 몸체로 이루어지는 바, 전면 및 배면이 관통되거나 투명창(미도시)이 제공되고, 그 내부에 영상이 투영되는 투영 공간(105)이 구비되어 있다.The body portion 100 is made of an entire body, and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space 105 through whic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penetrated or a transparent window (not shown) is provided, and an image is projected therein.

이러한 본체부(100)는 일정두께의 판 형상을 가지며 제1 디스플레이부(200a) 및 제2 디스플레이부(200b)가 장착되는 상부 프레임(110)과, 일정두께의 판 형상을 가지며 상부 프레임(110)의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투영 공간(105)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120)과, 상부 프레임(120) 및 하부 프레임(120)을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main body 100 has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upper frame 110 in which the first display unit 200a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b are mounted, and the upper frame 110 having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 Is formed to include a lower frame 120 which i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projection space 105, and a support frame 130 connecting the upper frame 120 and the lower frame 120.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부(200a) 및 제2 디스플레이부(200b)는 상부 프레임(110)의 저면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각각 장착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display unit 200a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b are preferably mount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rame 110.

즉, 제1 디스플레이부(200a) 및 제2 디스플레이부(200b)는 상부 프레임(110)의 저면에 결합되거나, 상부 프레임(110)의 저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상부 프레임(110)의 내부에 안착되어 하방을 향해 제1 및 제2 영상이 각각 출력되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first display unit 200a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b ar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rame 110 or seated inside the upper frame 110 in a form that penetrates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rame 110. It is preferably mount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images are output to the downward direction.

그리고, 지지 프레임(130)은 상부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120)을 연결함과 아울러 제1 하프미러(300a) 및 제2 하프미러(300b)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지지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13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connect the upper frame 110 and the lower frame 120 and suppor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irst half mirror 300a and the second half mirror 300b. .

제1 디스플레이부(200a)는 본체부(100)의 상부 전면측 즉, 상부 프레임(110)의 전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투영 공간(105)으로 제1 영상을 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display unit 200a is dispos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frame 110, and the first image is transmitted to the projection space 10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0. Performs the function of projecting.

제2 디스플레이부(200b)는 본체부(100)의 상부 배면측 즉, 상부 프레임(110)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투영 공간(105)으로 제2 영상을 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cond display unit 200b is dispos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the rear side of the upper frame 110, and the secon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projection space 10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0. Performs the function of projecting.

이때, 제1 디스플레이부(200a) 및 제2 디스플레이부(200b)에서 투영되는 제1 및 제2 영상은 예컨대, 2차원(2D) 영상, 3차원(3D) 영상 및/또는 홀로그램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images projected from the first display unit 200a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b may b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2D (2D) image, a 3D (3D) image, and / or a hologram image. It is preferably made of a video.

한편, 제1 디스플레이부(200a) 및 제2 디스플레이부(200b)는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Light Emitting Diode, LE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PDP), 표면 얼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LCoS), 표면 전도형 전자방출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TDEL), 양자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숫자, 문자, 도형, 이미지, 영상 등을 디스플레이(Display)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display unit 200a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b includ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LED), and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Flexible Display, Plasma Display Panel (PDP), Surface Alternating Lighting (ALiS), Digital Light Source Processing ( DLP), silicon liquid crystal (LCoS), surface conduction electron emitting device display (SED), field emission display (FED), laser TV (quantum dot laser, liquid crystal laser), photoelectric liquid display (FLD), interferometric modulator display ( iMoD), thick film dielectric electrical (TDEL), quantum dot display (QD-LED), telescopic pixel display (TPD), organic light emitting transistor (OLET), laser fluorescent display (LPD) ,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ologram display and a 3D displ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it can display numbers, characters, figures, images, images, etc. You can.

제1 하프미러(300a)는 거울의 양면 중 빛의 일부는 반사시키고 빛의 일부는 투과시키는 거울로서, 반투명 거울 또는 투 웨이 미러(2 Way Mirror)의 명칭으로 대체될 수 있다.The first half mirror 300a is a mirror that reflects a portion of light and transmits a portion of light on both sides of the mirror, and may be replaced by a name of a semi-transparent mirror or a two-way mirror.

즉, 제1 하프미러(300a)는 밝은 빛은 더욱 밝게 방출하고 어두운 빛은 더욱 어둡게 흡수함으로써 허상을 투영하는 바, 이러한 특성을 위하여 투명판의 표면에 필름을 부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투명판은 예컨대, 반사유리 혹은 아크릴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필름을 부착함으로써 영상이 투영 공간(105)에 투영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first half mirror 300a projects a virtual image by emitting bright light more brightly and absorbing dark light more darkly. For this characteristic, it is preferable to attach a film to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te. At this time, the transparent plate is made of, for example, reflective glass or acrylic, and allows the image to be projected onto the projection space 105 by attaching a film to the surface.

이러한 제1 하프미러(300a)의 상단은 제1 디스플레이부(200a) 및 제2 디스플레이부(200b)의 사이에 결합되어 있고, 제1 하프미러(300a)의 하단은 본체부(100)의 하부 전면측 즉, 하부 프레임(120)의 전면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1 디스플레이부(200a)에서 투영되는 제1 영상이 본체부(100)의 전면측으로 반사되도록 투영 공간(105)에 제1 디스플레이부(200a)에서 제1 영상이 투영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The upper end of the first half mirror 300a is coupled between the first display unit 200a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b,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half mirror 300a is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The first display in the projection space 105 is coupled to the front side, that is, the front side of the lower frame 120, and the first image projected from the first display unit 200a is refl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main unit 100. It is preferred that the first image is projected in the inclined direction in the up / down direction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image is projected.

이때, 제1 하프미러(300a)는 상부 프레임(110)의 저면 또는 하부 프레임(120)의 상면을 기준으로 약 30도 내지 60도(더욱 바람직하게, 약 45도) 정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first half mirror 300a is dispos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of about 30 degrees to 60 degrees (more preferably, about 45 degrees) ba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rame 110 or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20. desirable.

이와 같이 제1 하프미러(300a)가 제1 디스플레이부(200a)에서 제1 영상이 투영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부(200a)에서 제1 영상이 투영되는 방향과 수직으로 제1 하프미러(300a)의 배면 방향의 투영 공간(105)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1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half mirror 300a is inclined in the up / down direction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image is projected on the first display unit 200a, so as shown in FIG. In the display unit 200a, the first image formed as a virtual image in the projection space 105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first half mirror 300a may be viewed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image is projected.

제2 하프미러(300b)는 전술한 제1 하프미러(300a)와 마찬가지로 거울의 양면 중 빛의 일부는 반사시키고 빛의 일부는 투과시키는 거울로서, 반투명 거울 또는 투 웨이 미러(2 Way Mirror)의 명칭으로 대체될 수 있다.The second half mirror 300b is a mirror that reflects a part of the light and transmits a part of the light on both sides of the mirror, similar to the first half mirror 300a described above, which is a translucent mirror or a two-way mirror. It can be replaced with a name.

즉, 제2 하프미러(300b)는 밝은 빛은 더욱 밝게 방출하고 어두운 빛은 더욱 어둡게 흡수함으로써 허상을 투영하는 바, 이러한 특성을 위하여 투명판의 표면에 필름을 부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투명판은 예컨대, 반사유리 혹은 아크릴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필름을 부착함으로써 영상이 투영 공간(105)에 투영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second half mirror 300b projects a virtual image by emitting bright light more brightly and absorbing dark light more darkly. For this characteristic, it is preferable to attach a film to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te. At this time, the transparent plate is made of, for example, reflective glass or acrylic, and allows the image to be projected onto the projection space 105 by attaching a film to the surface.

이러한 제2 하프미러(300b)의 상단은 제1 디스플레이부(200a) 및 제2 디스플레이부(200b)의 사이에 결합되어 있고, 제2 하프미러(300b)의 하단은 본체부(100)의 하부 배면측 즉, 하부 프레임(120)의 배면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부(200b)에서 투영되는 제2 영상이 본체부(100)의 배면측으로 반사되도록 투영 공간(105)에 제2 디스플레이부(200b)에서 제2 영상이 투영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The upper end of the second half mirror 300b is coupled between the first display unit 200a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b,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half mirror 300b is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The second display in the projection space 105 is coupled to the rear side, that is, the rear side of the lower frame 120, and the second image projected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200b is refl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image is disposed obliquely in the up / down direction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image is projected.

이때, 제2 하프미러(300b)는 상부 프레임(110)의 저면 또는 하부 프레임(120)의 상면을 기준으로 약 30도 내지 60도(더욱 바람직하게, 약 45도) 정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second half mirror 300b is dispos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of about 30 degrees to 60 degrees (more preferably, about 45 degrees) ba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rame 110 or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20. desirable.

이와 같이 제2 하프미러(300b)가 제2 디스플레이부(200b)에서 제2 영상이 투영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사용자는 제2 디스플레이부(200b)에서 제2 영상이 투영되는 방향과 수직으로 제2 하프미러(300b)의 배면 방향의 투영 공간(105)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2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half mirror 300b is disposed to be inclined in the up / down direction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image is projected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200b. In the display unit 200b, a second image formed as a virtual image in the projection space 105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second half mirror 300b may be viewed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image is projected.

그리고, 제어부(4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바, 특히 제1 사용자가 제1 하프미러(300a)의 일부 반사 기능을 통해 제1 하프미러(300a)의 배면 방향의 투영 공간(105)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1 영상을 볼 수 있도록 제1 디스플레이부(200a)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first user may use the first half mirror 300a through a partial reflection function of the first half mirror 300a. )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isplay unit 200a so that the first image formed as a virtual image in the projection space 105 in the rear direction is viewed.

또한, 제어부(400)는 제2 사용자가 제2 하프미러(300b)의 일부 반사 기능을 통해 제2 하프미러(300b)의 배면 방향의 투영 공간(105)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2 영상을 볼 수 있도록 제2 디스플레이부(200b)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may view a second image formed as a virtual image in the projection space 105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second half mirror 300b by the second user through a partial reflection function of the second half mirror 300b. So that it performs a function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isplay unit 200b.

또한, 제어부(400)는 제1 디스플레이부(200a) 및 제2 디스플레이부(200b)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서로 다른 영상으로 투영 공간(105)에 투영되도록 제1 디스플레이부(200a) 및 제2 디스플레이부(200b)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the first display unit 200a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b,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respectively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to be projected on the projection space 105 as different images A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200a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00b may be performed.

또한, 제어부(400)는 제1 영상획득부(600a)로부터 획득된 제1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제1 사용자의 움직임 및/또는 표정을 분석하여 제1 사용자의 움직임 및/또는 표정 패턴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제1 사용자의 움직임 및/또는 표정 패턴정보에 따라 이와 대응되는 기 설정된 문자 및/또는 문장 정보데이터를 제2 사용자가 제2 하프미러(300b)의 일부 반사 기능을 통해 제2 하프미러(300b)의 배면 방향의 투영 공간(105)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2 영상과 함께 볼 수 있도록 제2 디스플레이부(200b)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receives the image data of the first user obtained from the first image acquisition unit 600a and analyzes the movement and / or facial expression of the first user based on the image data of the first user, and / or After extracting the facial expression pattern information, the second user partially reflects the predetermined text and / or sentence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movement and / or facial expression patter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in the second half mirror 300b. Through the func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isplay unit 200b so that it can be viewed together with the second image formed as a virtual image in the projection space 105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second half mirror 300b.

또한, 제어부(400)는 제2 영상획득부(600b)로부터 획득된 제2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제2 사용자의 움직임 및/또는 표정을 분석하여 제2 사용자의 움직임 및/또는 표정 패턴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제2 사용자의 움직임 및/또는 표정 패턴정보에 따라 이와 대응되는 기 설정된 문자 및/또는 문장 정보데이터를 제1 사용자가 제1 하프미러(300a)의 일부 반사 기능을 통해 제1 하프미러(300a)의 배면 방향의 투영 공간(105)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1 영상과 함께 볼 수 있도록 제1 디스플레이부(200a)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receives the second user's image data obtained from the second image acquisition unit 600b, and analyzes the second user's movement and / or facial expression based on the second user's movement and / or After extracting facial expression pattern information, a first user partially reflects predetermined text and / or sentence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second user's movement and / or facial expression patter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tracted second user's motion and / or facial expression pattern information Through the func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isplay unit 200a to be viewed together with the first image formed as a virtual image in the projection space 105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first half mirror 300a.

또한, 제어부(400)는 제1 음성획득부(700a)로부터 획득된 제1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제1 사용자의 음성에 따른 언어를 분석하여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언어로 번역한 후, 상기 번역된 언어의 문자 및/또는 문장 정보데이터를 제2 사용자가 제2 하프미러(300b)의 일부 반사 기능을 통해 제2 하프미러(300b)의 배면 방향의 투영 공간(105)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2 영상과 함께 볼 수 있도록 제2 디스플레이부(200b)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receives the voice data of the first user obtained from the first voice acquisition unit 700a, and analyzes the language according to the voice of the first user based on the received voice data by the first user or the second user After translating into the preset language, the second user projects the text and / or sentence information data of the translated language through the partial reflection function of the second half mirror 300b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second half mirror 300b.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isplay unit 200b may be performed so that the space 105 can be viewed together with the second image formed as a virtual image.

또한, 제어부(400)는 제2 음성획득부(700b)로부터 획득된 제2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제2 사용자의 음성에 따른 언어를 분석하여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언어로 번역한 후, 상기 번역된 언어의 문자 및/또는 문장 정보데이터를 제1 사용자가 제1 하프미러(300a)의 일부 반사 기능을 통해 제1 하프미러(300a)의 배면 방향의 투영 공간(105)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1 영상과 함께 볼 수 있도록 제1 디스플레이부(300a)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receives the voice data of the second user obtained from the second voice acquisition unit 700b, and analyzes the language according to the voice of the second user based on this, by the first user or the second user After translating into a preset language, the text and / or sentence information data of the translated language is first projected by a first user through a partial reflection function of the first half mirror 300a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first half mirror 300a. The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isplay unit 300a may be performed so that the space 105 can be viewed together with the first image formed as a virtual image.

또한, 제어부(400)는 데이터 통신부(95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제1 디스플레이부(200a) 및/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200b)의 화면에 출력되어 투영 공간(105)으로 투영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receives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unit 950, and based on the received image data on the screen of the first display unit 200a and / or the second display unit 200b A function of controlling to be output and projected to the projection space 105 may be performed.

또한, 제어부(400)는 데이터 통신부(95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에 설치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관련 특정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특정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부들 즉, 제1 디스플레이부(200a), 제2 디스플레이부(200b), 전원공급부(500), 제1 영상획득부(600a), 제2 영상획득부(600b), 제1 음성획득부(700a), 제2 음성획득부(700b), 음성출력부(800), 조명출력부(900) 및/또는 데이터 통신부(95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전체적인 제어를 위한 다양한 제어설정 정보들(예컨대, 번역될 언어, 문자, 문장 정보 등)의 설정, 변경, 수정 및/또는 삭제 등을 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receives a specific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a specific application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video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unit 950, based on this, each unit, that is, the first display unit ( 200a), second display unit 200b, power supply unit 500, first image acquisition unit 600a, second image acquisition unit 600b, first audio acquisition unit 700a, second audio acquisition unit ( 700b), voice control unit 800, lighting output unit 900 and / or data control unit 950 controls various operations or various control setting information (eg, language to be translated, text, for control)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controlling such that setting, change, modification and / or deletion of sentence information, etc.) can be performed.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can be implemented in a computer- or similar device-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4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 It can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In some cases, such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400.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고, 제어부(4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he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by software applications written in the appropriate programming language. In addi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a storage unit (not shown) and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400.

이때, 상기 저장부는 제어부(40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orage unit may store and maintain at least one program code executed through the control unit 400 and at least one data set in which the program code is used.

이러한 상기 저장부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may include, for example, a flash memory type, hard disk type, multimedia card micro type,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It may include a readable storage medium of at least one of a magnetic disk and an optical disk.

전원공급부(500)는 전술한 각 부들 즉, 제1 디스플레이부(200a), 제2 디스플레이부(200b), 제어부(400), 제1 영상획득부(600a), 제2 영상획득부(600b), 제1 음성획득부(700a), 제2 음성획득부(700b), 음성출력부(800), 조명출력부(900) 및/또는 데이터 통신부(950) 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계속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상용 교류(AC) 전원(예컨대, AC 220V)을 직류(DC) 및/또는 교류(AC) 전원으로 변환되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통상의 휴대용 배터리로(Battery) 구현할 수도 있다.The power supply unit 500 includes the above-described units, that is, the first display unit 200a, the second display unit 200b, the control unit 400, the first image acquisition unit 600a, and the second image acquisition unit 600b. , First voice acquisition unit 700a, second voice acquisition unit 700b, voice output unit 800, lighting output unit 900 and / or data communication unit 950, etc. Bar, it is preferable to implement a commercial AC (AC) power source (for example, AC 220V) to be converted to direct current (DC) and / or alternating current (AC) power for continuous power supp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usually portable. It can also be implemented with a battery.

또한, 전원공급부(500)에는 외부의 전원 충격으로부터 부품을 보호하고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 관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관리부는 ESD(Electro Static Damage) 보호기, 전원 감지기, 정류기 및 전원 차단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500 may include a power management unit (not shown) that performs a function of protecting a component from external power shock and outputting a constant voltage. The power management unit may include an ESD (Electro Static Damage) protector, a power detector, a rectifier, and a power breaker.

여기서, 상기 ESD 보호기는 정전기 또는 급격한 전원 충격으로부터 전장 부품을 보호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원 감지기는 허용 전압 범위 외의 전압이 유입될 경우 상기 전원 차단기에 차단신호를 보내고, 허용 전압 범위 내에서 전압 변화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 신호를 상기 정류기에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정류기는 입력 전압의 변동을 최소하여 일정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감지기의 신호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의 정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원 차단기는 상기 전원 감지기로부터 전달되는 차단 신호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한다.Here, the ESD protector is configured to protect the electric components from static electricity or sudden power shock. The power detector is configured to send a cut-off signal to the power breaker when a voltage outside the allowable voltage range flows, and transmit a boost or step-down signal to the rectifier according to a voltage change within the allowable voltage range. The rectifier is configured to perform a step-up or step-down rectifica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power sensor so that a constant voltage is supplied by minimizing the variation of the input voltage. The power breaker is configured to cut off power supplied from a battery according to a cutof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wer detector.

제1 영상획득부(600a)는 본체부(100)의 상부 전면측 즉, 상부 프레임(110)의 전면측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1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image acquisition unit 600a is mount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the front side of the upper frame 110, and performs a function of acquiring image data of the first user.

제2 영상획득부(600b)는 본체부(100)의 상부 배면측 즉, 상부 프레임(110)의 배면측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2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cond image acquisition unit 600b is mount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the rear side of the upper frame 110, and performs a function of acquiring image data of the second user.

이러한 제1 영상획득부(600a) 및 제2 영상획득부(600b)는 어두운 곳에서도 촬영이 가능한 적외선(IR) 카메라 또는 CCD 카메라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특정 영역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예컨대, CCTV 등)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The first image acquisition unit 600a and the second image acquisition unit 600b are preferably made of an infrared (IR) camera or a CCD camera that can be photographed even in a dark plac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y device that can shoot (for example, CCTV) can be used.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 영상획득부(600a) 및 제2 영상획득부(600b)에는 통상적으로 이미지 센서(Image Sensor)와, 이미지 신호처리기(Image Signal Processor, ISP)와, 백 엔드 칩(Back_End Chip) 등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image acquisition unit 600a and the second image acquisition unit 600b typically include an image sensor, an image signal processor (ISP), and a back end. And a chip (Back_End Chip).

상기 이미지 센서는 렌즈로부터 입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촬상 신호를 가공되지 않은 Bayer RGB 포맷 데이터로 출력한다. 상기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는 상기 Bayer RGB 포맷 데이터를 RGB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에서 요구되는 YUV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image sensor outputs an imaging signal formed by light incident from the lens as raw Bayer RGB format data. The image signal processor (ISP) converts the Bayer RGB format data into RGB format data, and converts the Bayer RGB format data into YUV format data required in the screen output of the display device and outputs the converted data.

상기 백 엔드 칩은 상기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로부터 출력된 YUV 포맷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 이러한 백 엔드 칩으로는 모바일 스위칭 모뎀(Mobile Switching Modem, MSM) 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DSP)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미지 신호처리기(ISP) 및/또는 백 엔드 칩은 제어부(40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back-end chip is responsible for controlling the camera module including processing the YUV format data output from the image signal processor (ISP) and outputting an image captured through a screen of a display device. A mobile switching modem (MSM) or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may be used. Meanwhile, the image signal processor (ISP) and / or the back end chip may be configured by being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400.

즉, 제1 영상획득부(600a) 및 제2 영상획득부(600b)를 이용하여 촬영을 하면, 렌즈로부터 입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촬상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가 가공되지 않은 Bayer RGB 포맷 데이터를 IIC(Inter Integrated Circuit) 방식의 통신을 이용하여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는 이를 실제의 RGB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RGB 포맷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에서 요구되는 즉, 이미지 처리를 위한 백 엔드 칩에서 요구되는 YUV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여 IIC(Inter Integrated Circuit) 방식의 통신을 이용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백 엔드 칩은 수신된 YUV 포맷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한다.That is, when shooting using the first image acquisition unit 600a and the second image acquisition unit 600b, Bayer RGB format data in which the image sensor is not processed according to an imaging signal formed by light incident from the lens Is output using IIC (Inter Integrated Circuit) type communication, and the received image signal processor (ISP) converts it into actual RGB format data, that is, the image required for display screen output, that is, the image It converts to YUV format data required by the back-end chip for processing and outputs it using IIC (Inter Integrated Circuit) communication. Then, the back-end chip processes the received YUV format data and outputs an image captured through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제1 음성획득부(700a)는 본체부(100)의 상부 및/또는 하부 전면측 즉, 상부 플레임(110) 및/또는 하부 프레임(120) 전면측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1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voice acquisition unit 700a is mounted on the upper and / or low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the upper frame 110 and / or the lower frame 120, and the first user's voice data It performs the function of acquiring.

제2 음성획득부(700b)는 본체부(100)의 상부 및/또는 하부 배면측 즉, 상부 플레임(110) 및/또는 하부 프레임(120) 배면측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2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cond voice acquisition unit 700b is mounted on the upper and / or low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the upper flame 110 and / or the lower frame 120, and the second user's voice data. It performs the function of acquiring.

이러한 제1 음성획득부(700a) 및 제2 음성획득부(700b)는 통상의 마이크(Microphone)로 구현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한 무선 마이크를 이용할 수도 있다.The first voice acquisition unit 700a and the second voice acquisition unit 700b are preferably implemented as a conventional microphon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 wireless microphone using radio frequency may be used.

음성출력부(800)는 본체부(100)의 상부 및/또는 하부 측 즉, 상부 프레임(110) 및/또는 하부 프레임(120)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음성 정보데이터 및/또는 기 설정된 문자 및/또는 문장 정보데이터 등을 제1 및/또는 제2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voice output unit 800 is mounted on the upper and / or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the upper frame 110 and / or the lower frame 120,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400. It performs a function of outputting a voice signal so that the first and / or second user can recognize information data and / or preset text and / or sentence information data.

즉, 음성출력부(800)는 유선이나 데이터 통신부(950)를 통해 수신된 외부의 음성 데이터나 저장수단(미도시)에 미리 설정 및 저장된 음성 데이터 등을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the voice output unit 800 may be used to allow the user to audibly recognize external voice data received through a wired or data communication unit 950 or voice data previously set and stored in a storage means (not shown). It performs the function of outputting a signal.

이러한 음성출력부(800)는 통상의 스피커(Speaker)로 구현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통해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음성 증폭회로를 비롯한 연결 잭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voice output unit 800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normal speak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as a connection jack including a voice amplification circuit so that a user can listen through earphones or headphones. .

조명출력부(900)는 본체부(100)의 상부 및/또는 하부 측 즉, 상부 프레임(110) 및/또는 하부 프레임(120)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투영 공간(105)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1 영상 및/또는 제2 영상에 적어도 하나의 색을 가진 조명을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lighting output unit 900 is mounted on the upper and / or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the upper frame 110 and / or the lower frame 120,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0. The function of irradiating illumination having at least one color to the first image and / or the second image formed as a virtual image in 105) is performed.

이러한 조명출력부(900)는 통상의 RGB LED 색조명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확보함으로써 허상으로 맺히는 제1 영상 및/또는 제2 영상을 더욱 돋보이게 하며, 색조명을 통해 화려한 연출이 가능하게 한다.The lighting output unit 900 makes the first image and / or the second image formed as a virtual image stand out more by using a normal RGB LED color name to ensure visibility, and enables a colorful presentation through the color name.

그리고, 데이터 통신부(95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2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data communication unit 950 is mounted inside the main unit 100 and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user terminal 20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0.

이러한 데이터 통신부(950)는 예컨대,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저전력 무선통신(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등의 무선 인터넷 통신 방식을 이용하거나 예컨대, 비콘(Beacon),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IR)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The data communication unit 950 includes, for example, Wireless LAN (WLAN) (Wi-Fi),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nd Wireless Personal Communicatio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method or the like, for example, Beacon (Beacon), ZigBee (ZigBee), Bluetooth (Bluetooth), UWB (Ultra Wideband),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IR) communication, etc. It is preferable to be implemented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wired and /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한편, 통신망(10)은 예컨대, 이더넷(Ethernet) 또는 이동 통신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일 수도 있으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n Ethernet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may be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a high-speed period network of a larg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large-capacity, long-distance voice and data services, and the Internet or high-speed multimedia. It may be a next-generation wireless network including Wi-Fi, Wibro, Wimax, and the like for providing services.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사용자 단말(20)이 데이터 통신부(95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The Internet is a TCP / IP protocol and various services existing in the upper layer, namely,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ile Transfer Protocol (FTP), Domain Name System (DNS),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MTP), Refers to a worldwide open computer network structure that provides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Network File Service (NFS), and Network Information Service (NIS), and allows the user terminal 20 to be connected to the data communication unit 950. Provide an environment that enables Meanwhile, the Internet may be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or may be a core network integrated with a wired public network,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portable Internet.

만약, 통신망(1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10)은 사용자 단말(20)과 데이터 통신부(950)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f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i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be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 example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for example,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Meanwhile, although the WCDMA network is taken as an example, it may be a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3G LTE network, a 4G network, a 5G network, or an IP network based on other IPs.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serves to mutually transmit signals and data between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data communication unit 950.

그리고, 사용자 단말(20)에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관련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관련 특정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제어부(400)의 복수의 제어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기능을 수행하거나 다양한 제어설정 정보들(예컨대, 번역될 언어, 문자, 문장 정보 등)의 설정, 변경, 수정 및/또는 삭제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특정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데이터 통신부(950)로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 specific application related to control of the video display device is pre-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 and at least one control function of a plurality of control functions of the control unit 400 is controlled through a specific application service related to control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 specific control signal to be output to the data communication unit 950 so as to perform or set, change, modify, and / or delete various control setting information (eg, language to be translated, text, sentence information, etc.) can do.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사용자 단말(20)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개인용 PC, 노트북 PC, 팜(Palm) PC,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데이터 통신부(95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of a smart phone, a smart pad, or a smart note communicating through a wireless Internet or a portable Internet of the user terminal 20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terminal device, in addition to a personal PC, notebook PC, Palm (Palm) PC, mobile game machine (Mobile play-station),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hone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tablet PC, iPad (iPad) All of the wired / wireless home appliances / communication devices having a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the data communication unit 950, etc. may be comprehensively referred to.

이러한 사용자 단말(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모듈(21), A/V(Audio/Video) 입력모듈(22), 사용자 입력모듈(23), 센싱모듈(24), 출력모듈(25), 저장모듈(26), 인터페이스 모듈(27), 단말 제어모듈(28) 및 전원모듈(2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사용자 단말(20)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9, the user terminal 2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 an audio / video (A / V) input module 22, a user input module 23, a sensing module 24, and outputs. It may include a module 25, a storage module 26, an interface module 27, a terminal control module 28, and a power module 29.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9 are not essential, the user terminal 20 may have more components or fewer components.

이하, 사용자 단말(2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of the user terminal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무선 통신모듈(21)은 사용자 단말(20)과 데이터 통신부(95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모듈(21)은 방송 수신 모듈(21a), 이동 통신 모듈(21b), 무선 인터넷 모듈(21c), 근거리 통신 모듈(21d) 및 위치 정보 모듈(21e)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data communication unit 950.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 may include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21a,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b, a wireless Internet module 21c,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1d,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21e.

방송 수신 모듈(21a)은 다양한 방송채널(예컨대, 위성채널, 지상파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서버로부터 방송신호(예컨대, TV 방송신호, 라디오 방송신호, 데이터 방송신호 등) 및/또는 방송관련 정보를 수신한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21a broadcasts broadcast signals (eg, TV broadcast signals, radio broadcast signals, data broadcast signals, etc.) and / or broadcasts from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s through various broadcast channels (eg, satellite channels, terrestrial channels, etc.). Receive relevant information.

이동 통신 모듈(21b)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b transmits and receives wireless signals to and from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무선 인터넷 모듈(21c)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사용자 단말(2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컨대, WLAN(Wi-Fi), Wibro, Wimax, HSDPA, LT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21c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 in or external to the user terminal 20. For example, WLAN (Wi-Fi), Wibro, Wimax, HSDPA, LTE, etc. may be used as 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근거리 통신 모듈(21d)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또는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1d is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Bluetooth communication, ZigBee communication, UWB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ommunication, or infrared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 Communication can be used.

위치 정보 모듈(21e)은 사용자 단말(2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21e is a module for confirming or obtain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 and may obtain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 using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or the like.

한편, 단말 제어모듈(28)의 제어에 따라 전술한 무선 통신모듈(21) 및/또는 유선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저장모듈(26)에 저장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부(95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module 28, the data communication unit 950 using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26 through the above-describe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 and / or wired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V 입력모듈(22)은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카메라부(22a)와 마이크부(22b)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22a)는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부(22b)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데이터로 처리한다.The A / V input module 22 is a module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basically may include a camera unit 22a and a microphone unit 22b. The camera unit 22a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shooting mode. The microphone unit 22b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or a voice recognition mod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사용자 입력모듈(23)은 사용자 단말(2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모듈로서, 특히 출력모듈(25)의 디스플레이부(25a)를 통해 표시되는 데이터 관리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컨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입력되는 터치 패널(정압/정전) 형식이거나 별도의 입력 장치(예컨대, 키 패드 돔 스위치,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The user input module 23 is a module that generates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 and in particular for any one of the data management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25a of the output module 25 Performs a function of inputting a selection signal, for example, using a touch panel (static pressure / electrostatic) type input by a user's touch or using a separate input device (eg, keypad dome switch, jog wheel, jog switch, etc.) Can be entered.

센싱모듈(24)은 사용자 단말(20)의 개폐 상태, 사용자 단말(2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사용자 단말(20)의 방위, 사용자 단말(2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2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단말 제어모듈(28)에 전달되어, 단말 제어모듈(28)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The sensing module 24 is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user terminal 20,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er contact, the user's touch action on a specific part, the orientation of the user terminal 20, the user terminal 20 The current state of the user terminal 20, such as acceleration / deceleration, is sensed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 The sens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control module 28, so that the terminal control module 28 may be a basis fo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출력모듈(25)은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부(25a), 음향출력부(25b), 알람부(25c) 및 햅틱부(25d)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module 25 is a module for generating output related to vision, hearing, or tactile sense, and basically includes a display unit 25a, an audio output unit 25b, an alarm unit 25c, and a haptic unit 25d. You can.

디스플레이부(25a)는 사용자 단말(2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사용자 단말(20)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및/또는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25a is for display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user terminal 20.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20 is in a call mode,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a call is displayed. In the case of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 or UI or GUI is displayed.

음향출력부(25b)는 예컨대, 콜 신호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방송수신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모듈(21)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모듈(26)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The audio output unit 25b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 or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26 in, for example,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a broadcast reception mode. .

알람부(25c)는 사용자 단말(2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The alarm unit 25c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user terminal 20. Examples of events generated in the user terminal 20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and touch input.

햅틱부(25d)는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부(25d)가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부(25d)가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The haptic portion 25d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Vibration is a typical example of the tactile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portion 25d.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portion 25d can be controlled.

저장모듈(26)은 단말 제어모듈(28)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The storage module 26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control module 28, and may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message, still image, video, etc.).

또한, 저장모듈(26)은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module 26 may store data related to various patterns of vibration and sound output when a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and may store a control-related application program of the video display device.

또한, 저장모듈(26)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관련 정보의 형성을 위한 소스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관련 데이터가 영상 및 소리로 구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에 대한 관련데이터 생성의 진행 과정 및 결과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module 26 may store source data for forming control-related informa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the control-related data of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video and sound, and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progress and results of the creation of related data for the control of can also be stored.

이러한 저장모듈(26)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module 26 is a flash memory type, hard disk type, multimedia card micro type,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etc.), RAM (RAM), SRAM, ROM (ROM), EEPROM, PROM , A storage medium of at least one of a magnetic memory, a magnetic disk, and an optical disk.

인터페이스 모듈(27)은 사용자 단말(2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 모듈(27)은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자 단말(2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사용자 단말(2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module 27 serves as a passag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20. The interface module 27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and transmits it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user terminal 20 or allows data inside the user terminal 20 to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단말 제어모듈(28)은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화상통화, 각종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The terminal control module 28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 and performs, for example,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 video calls, and execution of various applications.

즉, 단말 제어모듈(28)은 저장모듈(26)에 저장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관련 데이터의 생성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the terminal control module 28 controls the application program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video display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26 to be executed, and the control related data of the video display device through execution of the control related application program of the video display device. It performs the function of requesting creation of and controlling to receive data related to control of the video display device.

또한, 단말 제어모듈(28)은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관련 데이터의 생성 과정에서 영상, 음성 또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 요소들을 디스플레이부(25a) 및 다른 출력장치(예컨대, 음향출력부(25b), 알람부(25c), 햅틱부(25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 module 28 through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video display device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control-related data of the video display device desired by the user auxiliary elements including at least one of video, audio or sound It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o be output through at least one of the display unit 25a and other output devices (eg, sound output unit 25b, alarm unit 25c, haptic unit 25d).

또한, 단말 제어모듈(28)은 배터리부(29a)의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값을 저장모듈(26)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모듈(26)은 모니터링 된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 같은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뿐만 아니라 배터리 사양정보(제품 코드, 정격 등)도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 module 28 may constantly monitor the charging current and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unit 29a and temporarily store the monitoring values in the storage module 26.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rage module 26 stores battery specification information (product code, rating, etc.) as well as battery charging status information such as monitored charging current and charging voltage.

전원모듈(29)은 단말 제어모듈(28)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모듈(29)은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부(29a)의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충전단자(미도시)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다.The power module 29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module 28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The power supply module 29 operates by supplying power of the built-in battery unit 29a to each component, and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battery using a charging terminal (not shown).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can be implemented in a computer- or similar device-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단말 제어모듈(28)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 It can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In some cases, such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the terminal control module 28.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모듈(26)에 저장되고, 단말 제어모듈(28)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he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by software applications written in the appropriate programming language. In addition, the software code is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26 and can be executed by the terminal control module 28.

만약, 사용자 단말(20)이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스마트폰은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폰(Phone)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f, when the user terminal 20 is made of a smart phone, the smart phone can be freely used and deleted by downloading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desired by the user, unlike a general mobile phone (aka feature phone). As a phone based on the open operating system, not only functions such as voice / video calls and internet data communication that are commonly used, but also all mobile phones equipped with mobile office functions or all voice-free internet phones Or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as 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tablet PC (Tablet PC).

이러한 스마트폰은 다양한 개방형 운영체제를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형 운영체제로는 예컨대, 노키아(NOKIA)사의 심비안, 림스(RIMS)사의 블랙베리, 애플(Apple)사의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즈 모바일, 구글(Google)사의 안드로이드, 삼성전자의 바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uch a smart phone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equipped with various open operating systems, and the open operating system includes, for example, Symbian of Nokia (NOKIA), Blackberry of RIMS, Apple's iPhone, and Microsoft. (MS) 's Windows Mobile, Google's Android, Samsung Electronics' Sea, etc.

이와 같이 스마트폰은 개방형 운영체제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제를 가진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a smart phone uses an open operating system, unlike a mobile phone having a closed operating system, a user can arbitrarily install and manage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즉, 전술한 상기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제어부, 메모리부, 화면출력부, 키입력부, 사운드 출력부, 사운드 입력부, 카메라부, 무선망 통신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등을 구비한다.That is, the aforementioned smart phone basically includes a control unit, a memory unit, a screen output unit, a key input unit, a sound output unit, a sound input unit, a camera unit,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do.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스마트폰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The control unit is a generic term for a functional configuration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a smartphone, and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and an execution memory, and is connected to each functional configuration unit provided in the smartphone through a bus.

이러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martphone by loading and calculating at least one program code provided in the smartphone through the processor into the execution memory, and passing the result to the at least one functional component through the bus. .

상기 메모리부는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기본적으로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스마트폰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다.The memory unit is a generic term for a non-volatile memory provided in a smartphone, and stores and maintains at least one program code executed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at least one data set used by the program code. The memory unit basically stores a system program code and a system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smartphone, a communication program code and communication data set for pro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smartphone, and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code and application data set. In addition, the program code and data set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stored in the memory unit.

상기 화면 출력부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The screen output unit is composed of a screen output devic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device) and an output module for driving the same,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a bus to calculate calculation results corresponding to screen output among various calculation results of the control unit Output to the screen output device.

상기 키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The key input unit is composed of a key input device (or a touch screen device interworking with the screen output unit) having at least one key button and an input module for driving the same. Enter a command to command, or input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The sound output unit is composed of a speaker that outputs a sound signal and a sound module that drives the speaker,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a bus to output a calcul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sound output among various calculation results of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speaker. . The sound module decodes sound data to be output through a speaker and converts the sound data into a sound signal.

상기 사운드 입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The sound input unit is composed of a microphone that receives a sound signal and a sound module that drives the microphone, and transmits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to the control unit. The sound module encodes and encodes a sound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상기 카메라부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is composed of an optical unit and a CCD (Charge Coupled Device) and a camera module driving the same, and acquires bitmap data input to the CCD through the optical unit. The bitmap data may include both image data and video data of a still image.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is a generic term for a communication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cludes at least one antenna, an RF module, a baseband module, and a signal processing module that transmit and receive radio frequency signals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Connected to a bus, the result of calculation corresponding to wireless communication among various calculation results of the control unit is transmit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r data is receiv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Maintain the procedures of communication, handoff, and so on.

또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In additio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configuration that performs at least one of access, location registration, call processing, call connection, data communication, and handoff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CDMA / WCDMA standard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portable Internet communication configuration that performs at least one of access, location registration, data communication, and handoff according to the IEEE 802.16 standard. It is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figuration provided by the communication module.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공중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과 통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composed of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connects a communication session by using a radio frequency signal as a communication medium within a certain distance, preferably RFID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Wi-Fi communication, air of ISO 180000 series standar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be integrated with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이와 같이 구성된 스마트폰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하며, 스마트폰 이외에도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스마트폰은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과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가지는 노트북 PC, 태블릿 PC, 그 외에도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phon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fers to a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y device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a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in addition to the smart phone may be applied to any device. That is, the smart phone may include at least one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being carried and moved in addition to a notebook PC, a tablet PC having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function and a network connection function.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mplemented by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Possible and this also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본체부,
200a : 제1 디스플레이부,
200b : 제2 디스플레이부,
300a : 제1 하프미러,
300b : 제2 하프미러,
400 : 제어부,
500 : 전원공급부,
600a : 제1 영상획득부,
600b : 제2 영상획득부,
700a : 제1 음성획득부,
700b : 제2 음성획득부,
800 : 음성출력부,
900 : 조명출력부,
950 : 데이터 통신부
100: body portion,
200a: first display unit,
200b: second display unit,
300a: first half mirror,
300b: second half mirror,
400: control unit,
500: power supply,
600a: first image acquisition unit,
600b: second image acquisition unit,
700a: first voice acquisition unit,
700b: second voice acquisition unit,
800: audio output unit,
900: lighting output unit,
950: Data Communication Department

Claims (14)

전면 및 배면이 관통되거나 투명창이 제공되고, 내부에 영상이 투영되는 투영 공간이 구비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 전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투영 공간으로 제1 영상을 투영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 배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투영 공간으로 제2 영상을 투영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의 사이에 상단이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부의 하부 전면측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서 투영되는 제1 영상이 상기 본체부의 전면측으로 반사되도록 상기 투영 공간에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서 제1 영상이 투영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 하프미러;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의 사이에 상단이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부의 하부 배면측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서 투영되는 제2 영상이 상기 본체부의 배면측으로 반사되도록 상기 투영 공간에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서 제2 영상이 투영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하프미러; 및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하프미러의 일부 반사 기능을 통해 상기 제1 하프미러의 배면 방향의 투영 공간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1 영상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제2 사용자가 상기 제2 하프미러의 일부 반사 기능을 통해 상기 제2 하프미러의 배면 방향의 투영 공간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2 영상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A body part having a projection space through whic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penetrated or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and an image is projected therein;
A first display unit disposed on an upper front side of the body unit and projecting a first image into the projection space;
A second display unit disposed on an upper rear side of the body unit and projecting a second image into the projection space;
The upper end is coup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and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front side of the main unit, and the first image projected from the first display unit is reflected in the projection space so as to be refl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main unit. A first half mirror inclined in an upward / downward direction based o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image is projected in the first display unit;
The upper end is coup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and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rear surface of the main unit, and the second image projected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is reflect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unit. A second half mirror disposed obliquely in an up / down direction based o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image is projected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And
In addition to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isplay unit so that the first user can view the first image formed as a virtual image in the projection space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first half mirror through the partial reflection function of the first half mirror, as well as the second An image display including a control unit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second display unit to allow a user to view a second image formed as a virtual image in a projection space in a rear direction of the second half mirror through a partial reflection function of the second half mirror.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투영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portion, the upper frame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ortion is mounted;
A lower fram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below the upper frame to form the projection space; And
And a support frame connecting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저면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the ima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ach mount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ram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하프미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upport frame connects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nd suppor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alf mirro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에서 투영되는 제1 및 제2 영상은, 2차원(2D) 영상, 3차원(3D) 영상 또는 홀로그램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images proje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ar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2D (2D) image, a 3D (3D) image, or a hologram imag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1 및 제2 영상이 서로 다른 영상으로 투영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images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are projected as different imag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 전면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 영상획득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획득부로부터 획득된 제1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표정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표정 패턴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제1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표정 패턴정보에 따라 이와 대응되는 기 설정된 문자 또는 문장 정보데이터를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2 하프미러의 일부 반사 기능을 통해 상기 제2 하프미러의 배면 방향의 투영 공간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2 영상과 함께 볼 수 있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s mount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body portion, the first image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the image data of the first user is further included,
After receiving the image data of the first user obtained from the first image acquisition unit,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movement or expression of the first user based on this, extracts the movement or expression patter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According to the extracted motion or facial expression patter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he second user may receive preset text or sentence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second user through the partial reflection function of the second half mirror. An image display apparatu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isplay unit to be viewed together with a second image formed as a virtual image in a projection spac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 배면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 영상획득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상획득부로부터 획득된 제2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표정을 분석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표정 패턴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제2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표정 패턴정보에 따라 이와 대응되는 기 설정된 문자 또는 문장 정보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하프미러의 일부 반사 기능을 통해 상기 제1 하프미러의 배면 방향의 투영 공간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1 영상과 함께 볼 수 있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It is mount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body portion, the second image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user is further included,
After receiving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user obtained from the second image acquisition unit,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movement or expression of the second user based on this, extracts the movement or expression pattern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According to the extracted movement or facial expression pattern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the first user may receive predetermined text or sentence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second user through the partial reflection function of the first half mirror to the rear direction of the first half mirror. An image display apparatu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first display unit to be viewed together with a first image formed as a virtual image in a projection sp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 또는 하부 전면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 음성획득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음성획득부로부터 획득된 제1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음성에 따른 언어를 분석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언어로 번역한 후, 상기 번역된 언어의 문자 또는 문장 정보데이터를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2 하프미러의 일부 반사 기능을 통해 상기 제2 하프미러의 배면 방향의 투영 공간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2 영상과 함께 볼 수 있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voice acquisition unit mounted on the upper or low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unit to acquire the voice data of the first user is further included.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first user's voice data obtained from the first voice acquisition unit, analyzes the language according to the first user's voice based on the voice data, and uses the first user's or second user's language After translation, a second image in which the second user makes a virtual image of text or sentence information data of the translated language in a projection space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second half mirror through a partial reflection function of the second half mirror Video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isplay unit for viewing together.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 또는 하부 배면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 음성획득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음성획득부로부터 획득된 제2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사용자의 음성에 따른 언어를 분석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언어로 번역한 후, 상기 번역된 언어의 문자 또는 문장 정보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하프미러의 일부 반사 기능을 통해 상기 제1 하프미러의 배면 방향의 투영 공간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1 영상과 함께 볼 수 있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Is mounted on the upper or low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second voice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the voice data of the second user is further included,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voice data of the second user obtained from the second voice acquisition unit, analyzes the language according to the voice of the second user based on the voice data, and uses the voice data set by the first or second user. After translation, the first image in which the text or sentence information data of the translated language is virtually formed in the projection space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first half mirror through the partial reflection function of the first half mirror Video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display unit for viewing togeth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 또는 하부 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음성 정보데이터 또는 기 설정된 문자/문장 정보데이터를 제1 또는 제2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s mounted on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main body, and outputs a voice signal so that a first or second user can audibly recognize external voice information data or preset text / phrase information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Video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dio output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 또는 하부 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투영 공간에 허상으로 맺히는 제1 또는 제2 영상에 적어도 하나의 색을 가진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출력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s mounted on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ighting output unit for irradiating illumination with at least one color to the first or second image formed as a virtual image in the projection spa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Video display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출력되어 상기 투영 공간으로 투영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s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further includes a dat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a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unit, and outputs it to the screen of the first or second display unit based on the image data, thereby controlling to be projected into the projection space.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어부의 복수의 제어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특정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통신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A video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 specific control signal and outputting it to the data communication unit so as to perform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control functions of the control unit through a specific application service pre-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KR1020190008028A 2019-01-22 2019-01-22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0917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028A KR102091788B1 (en) 2019-01-22 2019-01-22 Image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028A KR102091788B1 (en) 2019-01-22 2019-01-22 Image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788B1 true KR102091788B1 (en) 2020-03-20

Family

ID=69958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028A KR102091788B1 (en) 2019-01-22 2019-01-22 Image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78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610B1 (en) 2010-11-26 2012-01-04 하준영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KR20120054507A (en) * 2010-11-19 2012-05-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KR20130078494A (en) * 2011-12-30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KR101349972B1 (en) 2011-09-16 2014-01-16 전준호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hologram of statue
KR20160123644A (en) * 2015-04-16 2016-10-26 (주) 사름 Smart mirror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image
KR20160143623A (en) * 2016-12-05 2016-12-14 주식회사 쓰리디팩토리 layered Hologram System using Auto-stereoscopic 3D imag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4507A (en) * 2010-11-19 2012-05-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KR101102610B1 (en) 2010-11-26 2012-01-04 하준영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KR101349972B1 (en) 2011-09-16 2014-01-16 전준호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hologram of statue
KR20130078494A (en) * 2011-12-30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KR20160123644A (en) * 2015-04-16 2016-10-26 (주) 사름 Smart mirror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image
KR20160143623A (en) * 2016-12-05 2016-12-14 주식회사 쓰리디팩토리 layered Hologram System using Auto-stereoscopic 3D im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69464B (en) Image display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device, computer program, and image display system
JP6492451B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 program
US9097966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for projecting an image
CN104423583A (en) Head mounted display, method of controlling head mounted display, image display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103913841A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127606A (en) Mobile terminal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US9135891B2 (en) Image projection module, mobile device including image projection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37840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2654644A (en) Multifunctional projection glasses and system using same
KR102056727B1 (en) Image advertising intermediation service system using image security apparatus
KR102091788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70115186A (en) POV(Point of View) Globe using LED after-image
KR20150141083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44231B1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AN IMAGE THEREOF
CN209859042U (en) Wearable control device and virtual/augmented reality system
KR20180006580A (en) Smart clothes displaying pattern and color according to surrounding environ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7019370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JP6500382B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 program
KR102163513B1 (en) Virtual reality display system
KR102185632B1 (en) Virtual reality display system
JP2018018315A (en) Display system, display unit,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102481234B1 (en) Video education system for disaster and safety accident response training based on virtual reality
US20140329208A1 (en) Computer-implemented communication assistant for the hearing-impaired
KR101817863B1 (en) Smart umbrell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40111873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