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745B1 -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745B1
KR102091745B1 KR1020190101149A KR20190101149A KR102091745B1 KR 102091745 B1 KR102091745 B1 KR 102091745B1 KR 1020190101149 A KR1020190101149 A KR 1020190101149A KR 20190101149 A KR20190101149 A KR 20190101149A KR 102091745 B1 KR102091745 B1 KR 102091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lighting device
dissipation holes
lens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희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신이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신이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신이앤비
Priority to KR1020190101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8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the elements having apertures, ducts or channels, e.g. heat radiation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F21V29/50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of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조사 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의 확산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부가 내부에 형성된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방열 구멍 및 상기 다수의 제1 방열 구멍을 커버하도록 상기 렌즈부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제1 방열 구멍을 통한 기체의 출입은 허용하되 액체의 출입은 차단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 장치{Lighting Device with Improved Heat Radiation Function}
본 출원은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명 장치는 내부에 구비된 LED와 같은 광원이 발광하여 주변 영역에 빛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LED 조명 장치는 발열이 많기 때문에 LED가 설치된 PCB 기판의 배면에는 방열판이 구비된다.
방열판은 금속, 플라스틱의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의 공기와 맞닿는 면적이 최대화되는 구조로 설계되어 PCB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공기 중으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하지만, 방열판을 통한 열 방출은 열 전도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열을 방출하는 데 시간이 다소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무게 자체도 상당하여 조명 장치의 소형화를 이루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조명 장치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신속히 배출하는 것은 성능에 직결되는 바, 방열판을 통한 열을 배출하는 것만이 아닌 광원 전면부를 통해서도 신속하게 열을 배출할 수 있는 조명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어 왔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621246호 (2016.05.16)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932064호 (2018.12.24)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판 상에 설치된 다수의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신속히 배출하기 위해, 광원에서 발생하는 광의 확산을 조절하는 렌즈부에 다수의 방열 구멍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조명 장치의 전면으로도 열을 배출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조사 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의 확산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부가 내부에 형성된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방열 구멍 및 상기 다수의 제1 방열 구멍을 커버하도록 상기 렌즈부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제1 방열 구멍을 통한 기체의 출입은 허용하되 액체의 출입은 차단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렌즈부의 상부 하단으로부터 상기 광원이 설치된 기판을 향할수록 그 직경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프레임, 상기 렌즈부와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는 조사 구멍 및 상기 조사 구멍에 설치되는 투명 재질의 조절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방열 구멍은 상기 렌즈부의 상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방열 구멍은 상기 렌즈부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렌즈부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1 방열 구멍은 상기 연장부의 상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커버를 관통하는 다수의 제2 방열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렌즈부의 상기 연장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의 하단은 상기 기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배면에 설치되는 방열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전면을 커버하며, 다수의 제3 방열 구멍이 관통 형성된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가 상기 다수의 제3 방열 구멍에 더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을 관통하는 다수의 제4 방열 구멍이 더 형성되며, 상기 필터가 상기 다수의 제4 방열 구멍에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본 출원에 따르면, 기판 배면에 설치된 방열판만을 이용하여 열을 방출하였던 종래 조명 장치에 비해, 기판 전면에 형성된 방열 구멍을 통해서도 열을 배출할 수 있음에 따라 신속한 방열이 가능하여, 조명 장치의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방열 구멍은 기체의 출입은 허용하나 액체의 출입은 차단하는 재질의 필터에 의해 커버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에 의해 조명 장치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또한, 필터를 보호하는 커버로 인해 필터 자체의 수명도 증가하게 된다.
또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확산을 조절하는 렌즈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고, 지지부를 통해 열이 더 배출됨에 따라 방열 기능이 더 향상된다.
또한, 광원의 전면부뿐만 아니라 배면에 설치되는 방열판에도 다수의 방열 구멍이 관통 형성되어, 보다 원활한 유체 흐름을 유발함에 따라 신속한 방열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출원의 제1 실시예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제3 실시예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제4 실시예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제5 실시예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제6 실시예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제6 실시예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13 및 14는 도 1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 13은 제6 실시예 조명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14는 제6 실시예 조명 장치에서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제1 실시예 조명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제1 실시예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 조명 장치는 기판(10)과, 기판(10) 상에 소정의 배열로 설치되는 다수의 광원(11)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11)은 백열등, 형광등, 수온등, 메탈할라이트등, 나트륨등, LED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광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광원(11)이 기판(10)상에서 이루는 소정의 배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광원(11)이 서로 행과 열을 이루며 일정하게 배열되는 바둑판 배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기판(10)의 배면에는 방열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으며, 방열판(미도시) 플라스틱 또는 금속의 재질로 형성되되, 외부 공기와의 면적이 최대화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판(미도시)이 형성됨에 따라, 광원(11)에서 발생한 열은 기판(10)을 통해 방열판(미도시)으로 전도되고 방열판(미도시)과 외부 공기의 접촉에 의해 열이 외부 공기로 배출된다.
기판(10) 상에는 기판(10)과 다수의 광원(11)을 커버하는 상판(P)이 설치되며, 상판(P)에는 각각의 광원(11)에 대응하는 다수의 렌즈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렌즈부(20)에는 광원(11)에서 조사되는 광의 확산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21)는 프레임(22), 조사 구멍(23) 및 조절 렌즈(2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2)은 렌즈부(20)의 상부 하단으로부터 기판(10)을 향할수록 그 직경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부분이다.
조사 구멍(23)은 프레임(22)의 중심부에서 프레임(22)을 관통하는 부분으로, 광원(11)과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광원(11)에서 조사되는 광이 조사 구멍(23)을 통해 외부로 제공될 수 있다.
조절 렌즈(24)는 조사 구멍(23)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광원(11)에서 조사되는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절 렌즈(24)의 재질, 형상에 따라 광의 확산 정도가 변화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조명 장치는 상판(P)에서 렌즈부(2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다수의 제1 방열 구멍(3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제1 방열 구멍(30)은 필터(4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는데, 필터(40)는 기체의 출입은 허용하되, 액체의 출입은 차단하는 재질의 필터일 수 있으며, 일 예로 PTFE로 이루어진 필터일 수 있다.
즉, 광원(11)을 통해 외부에 광이 제공되고, 광원(11) 발광을 통해 발생한 열은 기판(10)과 상판(P) 사이의 공간에 머무르게 되는데, 열을 함유한 공기는 다수의 제1 방열 구멍(30)과 필터(4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다시 필터(40)와 제1 방열 구멍(30)을 통해 유입될 수 있어 조명 장치 내부의 열을 신속히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터(40)에 의해 액체의 출입은 차단되므로 외부로부터 수분 등이 유입되어 조명 장치 내부로 침투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제2 실시예 조명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제1 실시예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 조명 장치에서 렌즈부(20)가 형성되지 않은 상판(P)의 부분에 다수의 제1 방열 구멍(30) 및 필터(40)가 형성되어 광원(11)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제1 방열 구멍(30)과 필터(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반면, 제2 실시예 조명 장치는 렌즈부(20)에 다수의 제1 방열 구멍(30)이 형성되고, 이 제1 방열 구멍(30)을 통해 열이 배출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제1 실시예와 다르게 제1 방열 구멍(30)과 광원(11) 사이의 거리가 더 짧아 보다 신속한 열 방출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 조명 장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2 실시예 조명 장치는 기판(10)과, 기판(10) 상에 소정의 배열로 설치되는 다수의 광원(11)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11)에서 조사되는 광의 조사 경로 상에는 렌즈부(20)가 설치될 수 있다. 렌즈부(20)의 개수는 광원(11)의 개수와 동일하며, 광원(11) 하나마다 렌즈부(20)가 하나씩 기판(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렌즈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 상에서 광원(11)의 노출 부분을 완전히 커버하도록 기판(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광원(11)에서 발생하는 광이 오로지 렌즈부(20)의 조사 구멍(23)을 통해서만 공급될 수 있다.
렌즈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나, 삼각 기둥, 사각 기둥 등의 다각 기둥의 형상이거나, 타원 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렌즈부(20)에는 광원(11)에서 조사되는 광의 확산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21)는 프레임(22), 조사 구멍(23) 및 조절 렌즈(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 조명 장치에서는 렌즈부(20)의 상측면에 다수의 제1 방열 구멍(30)이 관통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방열 구멍(30)은 렌즈부(20) 상측면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제1 방열 구멍(30)은 필터(40)에 의해 모두 커버될 수 있는데, 필터(40)는 기체의 출입은 허용하되, 액체의 출입은 차단하는 재질로 이루어져 광원(11)에서 발생하는 열을 함유한 렌즈부(20)와 기판(10) 사이의 공간에 머무르는 공기가 다수의 제1 방열 구멍(30)과 필터(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조명 장치와 마찬가지로 필터(40)에 의해 액체의 출입은 차단되므로 외부로부터 수분 등이 유입되어 조명 장치 내부로 침투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제3 실시예 조명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제3 실시예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 조명 장치에서 렌즈부(20)의 상측면에 다수의 제1 방열 구멍(30)이 형성되는 반면, 제3 실시예 조명 장치에서는 렌즈부(2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다수의 제1 방열 구멍(30)이 형성되고, 필터(40)는 다수의 제1 방열 구멍(30)을 커버하도록 렌즈부(20)의 측면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필터(40)의 보호를 위한 커버(50)를 더 포함하는 점만이 상이한 바, 제2 실시예 조명 장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수의 제1 방열 구멍(30)은 렌즈부(20)의 측면 일 지점에서 그 둘레를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필터(40)는 렌즈부(20) 측면에 형성된 제1 방열 구멍(30)을 커버하도록 렌즈부(20)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조명 장치는 외부 충격에 의해 필터(40)가 분리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렌즈부(2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50)로 인해 필터(40)의 외부 공기와 접촉이 최소화되고, 따라서 필터(40)의 오염 문제가 최소화될 수 있어 필터(40)의 수명이 증가하게 된다.
커버(50)의 일측, 바람직하게 하단에는 서로에 대해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커버(50)를 관통하는 제2 방열 구멍(5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실시예 조명 장치에서는 광원(11)에서 발생하는 열을 함유한 공기가 렌즈부(20) 측면에 관통 형성된 제1 방열 구멍(30)과 필터(40)를 통과하고, 필터(40)를 커버하는 커버(50)의 제2 방열 구멍(51)을 통해 외부 공기로 배출된다.
도 6 및 7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제4 실시예 조명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제4 실시예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3 실시예 조명 장치와 비교하였을 때, 렌즈부(20) 하단부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5)가 더 형성되고, 연장부(25)의 상측면에 다수의 제1 방열 구멍(30)이 그 둘레를 따라 관통 형성된다는 점만이 상이한 바, 제3 실시예 조명 장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4 실시예 조명 장치에서는 렌즈부(20)의 하단부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5)가 더 형성된다.
다수의 제1 방열 구멍(30)은 연장부(25)의 상측면 둘레를 따라 관통 형성되며, 필터(40)는 다수의 제1 방열 구멍(30)을 커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실시예 조명 장치와 동일한 커버(50)가 설치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필터(40)가 분리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제4 실시예 조명 장치에서는 광원(11)에서 발생하는 열을 함유한 공기가 연장부(25) 상측면에 관통 형성된 제1 방열 구멍(30)과 필터(40)를 통과하고, 필터(40)를 커버하는 커버(50)의 제2 방열 구멍(51)을 통해 외부 공기로 배출된다.
도 8 및 9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제5 실시예 조명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제5 실시예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9은 도 8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4 실시예 조명 장치와 비교하였을 때 연장부(25)가 렌즈부(20) 상측 측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향해 외측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제1 방열 구멍(30)을 통하여서만 열이 방출되는 것이 아닌, 각 렌즈부(20)를 지지하는 지지부(60)를 통해서도 열이 방출될 수 있다는 점이 상이하며, 제4 실시예 조명 장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수의 제1 방열 구멍(30)은 렌즈부(20)의 상측 측면에 그 둘레를 따라 관통 형성되고, 필터(40)는 다수의 제1 방열 구멍(30)을 커버하도록 렌즈부(20) 상측 측면에 설치된다.
제5 실시예 조명 장치에서는 렌즈부(20)의 상단부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5)가 더 형성된다.
다수의 제1 방열 구멍(30)은 연장부(25)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부(25)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필터(40)는 다수의 제1 방열 구멍(30)을 커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50)가 설치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필터(40)가 분리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5 실시예 조명 장치에서는 렌즈부(20)들 사이에 지지부(6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60)는 렌즈부(20)가 기판(1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렌즈부(20)를 지지하게 되며, 따라서 렌즈부(20) 하단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H)이 형성되는데, 지지부(60)는 구멍(H)과 외기와의 접촉이 차단되도록 렌즈부(20)에 밀착된다.
지지부(60)의 재질은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 플라스틱 재질이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25)의 하단과 지지부(60) 사이에는 고무 재질의 패킹부(70)가 형성되어 렌즈부(20)와 지지부(6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틈을 밀봉하게 된다.
즉, 제5 실시예 조명 장치에서는 광원(11)에서 발생하는 열을 함유한 공기가 연장부(25)를 관통하는 제1 방열 구멍(30)과 필터(40)를 통과하고, 필터(40)를 커버하는 커버(50)의 제2 방열 구멍(51)을 통해 외부 공기로 배출된다.
또한, 렌즈부(50) 하단에 형성된 구멍(H)과 지지부(60)가 접촉되어 있고, 지지부(60)의 일부는 외부 공기에 노출되어 있어, 기판(10) 배면에 형성된 방열부(미도시)와 동일한 원리로 열 전도를 통해 열을 배출하게 된다.
도 11 내지 14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제6 실시예 조명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본 출원의 제6 실시예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출원의 제6 실시예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 사시도이며, 도 13 및 14는 도 1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 13은 제6 실시예 조명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14는 제6 실시예 조명 장치에서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제6 실시예 조명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다르게 광원의 전면부뿐만 아니라 후면부에까지 방열 구멍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제6 실시예 조명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6 실시예 조명 장치(100)는 기판(110), 커버(120) 및 방열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에는 다수의 광원(110)이 설치될 수 있다. 광원(110)은 전술한 제1 내지 제5 실시예의 광원(11)과 동일한 것, 그리고 동일한 배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기판(110)의 전면에는 커버(1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120)의 가장자리 부분은 기판(110)과 접촉하되, 가장자리 부분의 안쪽 부분은 기판(110)에 대해 소정 거리 이격된 형태일 수 있다.
즉, 커버(120)는 커버(120)의 가장자리 부분이 기판(110)에 결합되고, 이를 위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부(125)가 형성되며, 가장자리 부분의 안쪽 부분은 가장자리 부분에 대해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기판(110)과 커버(120) 사이에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120)에는 다수의 제3 방열 구멍(124)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제3 방열 구멍(124)은, 일 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0)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일 지점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3 방열 구멍(124)은 제1 관통부(121) 및 제2 관통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체의 출입은 허용하되, 액체의 출입은 차단하는 재질로 형성된 필터(123)가 제3 방열 구멍(124)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관통부(121)는 제3 방열 구멍(124)의 기판(110)을 향한 내측 부분에 해당하는 구멍이고, 제2 관통부(122)는 외측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제2 관통부(122)의 직경은 제1 관통부(121)의 직경보다 커서, 제1 관통부(121)가 필터(123) 설치의 걸림턱으로 작용하게 된다.
방열판(130)은 기판(110)의 후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110)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외기와의 접촉에 의해 전달받은 열을 방출하는 부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방열판(130)은 기판(110)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의 몸체(131)및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몸체(131)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 방열부(132) 및 몸체(131)의 중심에 위치하며 몸체(131)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원판 방열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방열부(132)와 원판 방열부(138)는 몸체(131)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외기와의 접촉 면적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평면형 방열판과 비교하였을 때 신속한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돌출 방열부(132)에는 제4 방열 구멍(137)이 관통 형성된다. 제4 방열 구멍(137)의 관통 형성 위치는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방열부(132)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방열 구멍(137)은 제3 관통부(134) 및 제4 관통부(135a, 135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체의 출입은 허용하되, 액체의 출입은 차단하는 재질로 형성된 필터(136)가 제4 방열 구멍(137)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관통부(134)는 제4 방열 구멍(137)의 중앙부에 해당하고, 제3 관통부(134)를 사이로 제4 관통부(135a, 135b)가 상하로 배치된다. 제4 관통부(135a, 135b), 특히 하측에 배치된 제4 관통부(135b)의 직경은 제3 관통부(134)의 직경보다 커서, 제3 관통부(134)가 필터(137) 설치의 걸림턱으로 작용하게 된다.
제6 실시예 방열 장치(100)는 광원(111)의 전면부에 해당하는 커버(120)에 제3 방열 구멍(124)이 관통 형성되고, 광원(111)의 후면부에 해당하는 방열판(130)에 제4 방열 구멍(137)이 관통 형성된다.
방열 과정이 신속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원활한 유체 흐름이 필수적이다. 제6 실시예 방열 장치(100)는 전면과 후면에 방열 구멍이 형성됨으로써, 예를 들어 방열판(130)에 형성된 제4 방열 구멍(137)을 통해 찬 공기가 유입되어 기판(110)과 커버(120) 사이의 공간(S)에 유입되어, 공간(S)에 머물러 있는 뜨거운 공기를 냉각시키고, 공간(S) 내의 뜨거운 공기는 커버(120)에 형성된 제3 방열 구멍(12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도 14의 f1). 또한, 커버(120)에 형성된 제3 방열 구멍(124)을 통해 찬 공기가 유입되어, 공간(S)에 머물러 있는 뜨거운 공기를 냉각시키고, 공간(S) 내의 뜨거운 공기는 방열판(130)에 형성된 제4 방열 구멍(13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도 14의 f2).
제6 실시예 조명 장치에 부가된 커버(120), 커버(120)에 형성된 다수의 제3 방열 구멍(124), 방열판(130) 및 방열판(130)에 형성된 다수의 제4 방열 구멍(137)의 구성은 제1 내지 제5 실시예 조명 장치의 구성과 결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제6 실시예 조명 장치와, 제1 내지 제5 실시예 조명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조명 장치의 구성이 결합됨으로써 렌즈부에 형성된 다수의 방열 구멍과 함께 방열 기능을 하여 보다 신속한 열 배출이 일어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출원에 따르면, 기판 배면에 설치된 방열판만을 이용하여 열을 방출하였던 종래 조명 장치에 비해, 기판 전면에 형성된 방열 구멍을 통해서도 열을 배출할 수 있음에 따라 신속한 방열이 가능하여, 조명 장치의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방열 구멍은 기체의 출입은 허용하나 액체의 출입은 차단하는 재질의 필터에 의해 커버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에 의해 조명 장치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또한, 필터를 보호하는 커버로 인해 필터 자체의 수명도 증가하게 된다.
또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확산을 조절하는 렌즈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고, 지지부를 통해 열이 더 배출됨에 따라 방열 기능이 더 향상된다.
또한, 광원의 전면부뿐만 아니라 배면에 설치되는 방열판에도 다수의 방열 구멍이 관통 형성되어, 보다 원활한 유체 흐름을 유발함에 따라 신속한 방열이 가능하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출원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기판
11: 광원
20: 렌즈부
21: 조절부
22: 프레임
23: 조사 구멍
24: 조절 렌즈
25: 연장부
30: 제1 방열 구멍
40: 필터
50: 커버
51: 제2 방열 구멍
60: 지지부
70: 패킹부
110: 기판
111: 광원
120: 커버
121: 제1 관통부
122: 제2 관통부
123: 필터
124: 제3 방열 구멍
125: 결합부
130: 방열판
131: 몸체
132: 돌출 방열부
134: 제3 관통부
135a, 135b: 제4 관통부
136: 필터
137: 제4 방열 구멍
138: 원판 방열부

Claims (10)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조사 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의 확산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부가 내부에 형성된 렌즈부;
    상기 광원이 설치된 상기 기판의 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되며, 상기 렌즈부가 상기 기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렌즈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렌즈부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방열 구멍; 및
    상기 다수의 제1 방열 구멍을 커버하도록 상기 렌즈부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제1 방열 구멍을 통한 기체의 출입은 허용하되 액체의 출입은 차단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렌즈부의 상부 하단으로부터 상기 광원이 설치된 기판을 향할수록 그 직경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프레임;
    상기 렌즈부와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는 조사 구멍; 및
    상기 조사 구멍에 설치되는 투명 재질의 조절 렌즈;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방열 구멍은 상기 렌즈부의 상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조명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방열 구멍은 상기 렌즈부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조명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렌즈부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1 방열 구멍은 상기 연장부의 상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조명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커버를 관통하는 다수의 제2 방열 구멍이 형성되는,
    조명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렌즈부의 상기 연장부를 지지하는,
    조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배면에 설치되는 방열판;을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전면을 커버하며, 다수의 제3 방열 구멍이 관통 형성된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가 상기 다수의 제3 방열 구멍에 더 설치되는,
    조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을 관통하는 다수의 제4 방열 구멍이 더 형성되며,
    상기 필터가 상기 다수의 제4 방열 구멍에 더 설치되는,
    조명 장치.
KR1020190101149A 2019-08-19 2019-08-19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 장치 KR102091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149A KR102091745B1 (ko) 2019-08-19 2019-08-19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149A KR102091745B1 (ko) 2019-08-19 2019-08-19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745B1 true KR102091745B1 (ko) 2020-03-20

Family

ID=69958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149A KR102091745B1 (ko) 2019-08-19 2019-08-19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74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5683A (ja) * 2010-02-24 2010-07-29 Sharp Corp レンズ体、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KR20100114789A (ko) * 2009-04-16 2010-10-26 (주)대영오앤이 방열수단을 구비한 엘이디 조명장치
KR200462820Y1 (ko) * 2011-08-09 2012-10-02 케이피씨(주) Led 조명기구
KR101621246B1 (ko) 2014-11-27 2016-05-16 이엔이엘이디 주식회사 방수 및 방열효율을 높인 led 조명등기구
KR101826260B1 (ko) * 2017-06-05 2018-02-06 이비테크(주) 개선된 led 조명 등기구
KR101932064B1 (ko) 2011-08-11 2018-12-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KR20190049196A (ko) * 2017-11-01 2019-05-09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방수형 벤트홀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모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4789A (ko) * 2009-04-16 2010-10-26 (주)대영오앤이 방열수단을 구비한 엘이디 조명장치
JP2010165683A (ja) * 2010-02-24 2010-07-29 Sharp Corp レンズ体、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KR200462820Y1 (ko) * 2011-08-09 2012-10-02 케이피씨(주) Led 조명기구
KR101932064B1 (ko) 2011-08-11 2018-12-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KR101621246B1 (ko) 2014-11-27 2016-05-16 이엔이엘이디 주식회사 방수 및 방열효율을 높인 led 조명등기구
KR101826260B1 (ko) * 2017-06-05 2018-02-06 이비테크(주) 개선된 led 조명 등기구
KR20190049196A (ko) * 2017-11-01 2019-05-09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방수형 벤트홀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0130662A (ru) Сид светильники для широкомасштабного архитектурного освещения
JP6539665B2 (ja) スポーツ照明器具
KR101931642B1 (ko) 자연대류형 방열구조를 갖는 led조명기구
JP6293504B2 (ja) 照明装置
JP6586306B2 (ja) Led照明器具
KR102091745B1 (ko) 방열 기능이 향상된 조명 장치
KR101378662B1 (ko) 대류현상을 이용한 방열구조를 갖는 엘이디 등기구
KR20160118777A (ko) 조명장치
KR101613780B1 (ko) 엘이디 스포트 조명장치
JP2014186805A (ja) 照明器具
JP2014130757A (ja) 照明器具
JP2016162597A (ja) 照明装置
JP6287431B2 (ja) 車両用灯具
JP6536101B2 (ja) 車両用灯具
JP5417085B2 (ja) Led照明装置
KR20190066654A (ko) 다수개 엘이디기판이 연결되어 조사가 확산되는 엘이디가로등
JP6849943B2 (ja) 照明装置
KR101298734B1 (ko) 엘이디 조명등
KR101705750B1 (ko) Led 회전식 등명기의 방열 조립구조
JP6569866B2 (ja) 照明器具
KR101976793B1 (ko) 반도체 조명 장치
KR101423311B1 (ko) 가로등
KR20130096436A (ko) 실내 led 조명장치
JP6892627B2 (ja) 照明装置
KR102149130B1 (ko) 엘이디 조명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