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650B1 -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ace of terminal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ace of terminal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650B1
KR102091650B1 KR1020180031319A KR20180031319A KR102091650B1 KR 102091650 B1 KR102091650 B1 KR 102091650B1 KR 1020180031319 A KR1020180031319 A KR 1020180031319A KR 20180031319 A KR20180031319 A KR 20180031319A KR 102091650 B1 KR102091650 B1 KR 102091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ervice
terminal device
user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3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9805A (en
Inventor
이의환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1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650B1/en
Publication of KR20190109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8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6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은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의 종류를 구별하여,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 또는 상기 제2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으로 각각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한 각각의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n interface of a terminal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where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terface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executing a first service and a second service; Distinguishing the type of input received from the user and recognizing the first input for the first service or the second input for the second service, respectively; And controlling the first service or the second service in response to each recognized first input or second input.

Description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ace of terminal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Method for controlling interface of terminal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ing same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ace of terminal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본 출원은 실행 중인 복수의 서비스에 대한 개별적인 제어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interface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n interface capable of individual control input to a plurality of running services and a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최근에 이동단말기는 동시에 두 가지 기능 또는 메뉴를 실행시킬 수 있는 멀티 태스킹(multi-tasking) 기능을 지원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멀티 태스킹 기능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음악 파일을 청취하는 도중에 메시지를 작성하여 송신하거나 사진 앨범을 검색할 수 있다. Recently, the mobile terminal supports a multi-tasking function that can execute two functions or menus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the user can compose and send a message or search for a photo album while listening to a music fil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multi-tasking function.

다만, 멀티 태스킹을 이용하여 복수의 서비스를 실행하는 경우, 제1 서비스는 이동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나머지 제2 서비스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서비스를 실행하는 도중에 제2 서비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고자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제2 서비스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전환하고, 제2 서비스에 대한 제어가 완료되면 다시 제2 서비스를 백그라운드로 전환하여 제1 서비스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서비스의 실행 중에 제2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번거로운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However, when a plurality of services are executed using multi-tasking, the first servic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remaining second services may be executed in the background. The user may wish to perform control of the second service while executing the first service, in which case the user switches the second service running in the background to be output on the display unit, and control of the second service is completed. When the second service is switched to the background again, the first servic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at is, in order to control the second service during the execution of the first service,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repeatedly performing a cumbersome operation.

특히, 제1 서비스가 내비게이션 서비스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차량을 운전 중일 수 있으며, 운전 중에 제2 서비스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시선이 분산되어 사고발생의 위험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first service is a navigation service, a user may be driving a vehicle, and when controlling the second service while driving, problems such as an increased risk of accidents may occur due to scattered user's eyes.

본 출원은, 실행 중인 복수의 서비스에 대한 개별적인 제어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n interface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that provides an interface capable of individual control input to a plurality of services being executed, and a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본 출원은, 제1 서비스의 실행 중에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제2 서비스에 대한 입력을 인가할 수 있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n interface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capable of applying an input to a second service running in the background while the first service is running, and a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본 출원은, 사용자가 단말장치를 보지 않는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입력을 정확하게 구별하여 인가할 수 있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tended to provide an interface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which can accurately distinguish and authorize an input for each service even when a user does not view th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은, 복수의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의 종류를 구별하여,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 또는 상기 제2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으로 각각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한 각각의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n interface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executing a first service and a second service in an interface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executing a plurality of services; Distinguishing the type of input received from the user and recognizing the first input for the first service or the second input for the second service, respectively; And controlling the first service or the second service in response to each recognized first input or second inp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는, 터치패널을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실행 중인 서비스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며, 상기 터치패널과 결합하여 터치스크린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터치입력의 종류를 구별하여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 또는 제2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각각의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having a touch panel to receive a touch input applied from a user; A display unit that visually outputs a running service and combines with the touch panel to implement a touch screen; And while the first service and the second service are being executed, the type of the touch input is distinguished and recognized as a first input for the first service or a second input for the second service, and each recognized first input. Or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service or the second service in response to the second input.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not all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sted in the solution means of the above-mentioned subject. Various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dvantages and effects thereof may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의하면, 실행 중인 복수의 서비스에 대한 개별적인 제어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interface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an interface capable of individually controlling input to a plurality of running services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의하면, 제1 서비스의 실행 중에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제2 서비스에 대한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interface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an input to a second service running in the background may be applied while the first service is runn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인가하는 간단한 터치입력을 각각 대응하는 서비스에 대한 입력으로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interface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mple touch input applied by a user can be recognized by being distinguished as an input to a corresponding ser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는 단말장치를 보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입력을 정확하게 구별하여 인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interface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easily distinguish and apply inputs to each service easily even without looking at the terminal device.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an interface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that executes a plurality of ser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ffect that a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can achieve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another effect not mentioned Thes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가 실행하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비게이션 서비스 및 음원 재생 서비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확인 제스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navigation system for a navigation service executed by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navigation service and a sound source reproduc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first and second inputs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firmation gesture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terface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s" and "parts"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only considering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themselves. That is, the term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FPGA or ASIC, and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wealth'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par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attributes, procedures, Includ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components and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modification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단말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복수의 서비스들을 동시에 실행하는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을 지원할 수 있다. 단말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단말기일 수 있으며, 이동단말기에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단말장치는 앱 스토어(App store) 또는 플레이 스토어(Play store) 등에 접속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거나, 타 기기(미도시)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The terminal device may provide various services according to a user's input, and may support multi-tasking, which simultaneously executes a plurality of ser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erminal device may b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and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a service may be downloaded and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terminal device may access the App store or Play store to download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or download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other device (not shown).

여기서, 이동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내비게이션 단말,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Here,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avigation terminal, a laptop computer, a terminal for digital broadcasting, 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slate PC, and a tablet. It may include a PC (tablet PC), ultrabook (ultrabook), wearable device (wearable device, for example, a watch-type terminal (smartwatch), glass-type terminal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and the like.

단말장치가 복수의 서비스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제1 서비스가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등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서 실행되고, 나머지 제2 서비스 등은 별도로 표시되지 않은 상태로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서비스를 실행하는 도중에 제2 서비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고자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종래에는 사용자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제2 서비스를 포어그라운드로 전환하여 제2 서비스에 대한 제어입력을 인가하였다. 이후, 제2 서비스에 대한 제어가 완료되면 다시 제2 서비스를 백그라운드로 전환하고 제1 서비스를 포어 그라운드로 복귀시켰다. When the terminal device executes a plurality of services, the first service is executed in the foreground, such a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device, and the remaining second services, etc., are not displayed separately. Can be run on The user may wish to perform control of the second service while executing the first service. In this case,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user switches the second service running in the background to the foreground to input control for the second service. Approved. Thereafter, when control of the second service is completed, the second service is switched back to the background and the first service is returned to the foreground.

즉, 단말장치는 복수의 서비스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으나, 제1 서비스의 실행 중에 제2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번거로운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단말장치가 이동단말기 등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나 입력장치의 종류 등이 제한되므로, 복수의 서비스를 동시에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That is, the terminal device may execute a plurality of services at the same time, but it is inconvenient to perform a cumbersome operation in order to control the second service during the execution of the first service. In particular, when the terminal device is a mobile terminal or the like,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or the type of the input device is limited, and thus it is difficult to provide an interface that simultaneously controls a plurality of service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는 복수의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면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를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interface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services, and by using thi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Hereinafter,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100)는 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통신부(130), 메모리(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put unit 110, a display unit 120, a communication unit 130, a memory 140, and a control unit 150.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10)는 터치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가하는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발화하는 음성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부(110)에서 획득한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an input applied from a user. Here,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touch panel or the like, and may receive a touch input applied by a user using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icrophone may be further included to detect a voice spoken by the user. Data obtained from the input unit 11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by a user's control command.

디스플레이부(120)는 단말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20)는 단말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등 서비스의 실행화면 정보와,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정보,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120 may visually display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terminal device 100. That is, 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 service such as an application driven by the terminal device 100, user interface (UI) information,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입력부(110)에 구비된 터치패널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단말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부(110)로 기능하는 동시에, 단말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120)로 기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스피커(미도시) 등을 더 포함하여, 단말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음성이나 음향 등의 소리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20 may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touch panel provided in the input unit 110 or may be integrally formed to implement a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n input unit 110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0 and a user, and at the same time, function as a display unit 120 that provides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0 and a user. .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provid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terminal device 100 to the user through sound such as voice or sound, including a speaker (not shown).

통신부(13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다른 단말장치나 서버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통신부(130) 내에 이동 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위치정보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connect to a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o communicate with other terminal devices or server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etc. may b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130.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인접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Wideband CDMA (W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etc. can transmit and receive radio signals to and from neighboring base stations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등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Near Field (NFC)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and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y can be used to support short-range communication.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for example,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위치정보 모듈은 단말장치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 등이 있다. 즉, 단말장치(100)는 GPS 모듈을 활용하여 GPS 위성(1)이 보내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is a module for obtaining a location of a terminal device, and typical examples thereof includ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or a Wireless Fidelity (WiFi) module. That is, the terminal device 100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by the GPS satellite 1 by utilizing the GPS module, and use it to obtain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메모리(140)는 단말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단말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단말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및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140 may store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terminal device 100. The memory 340 may store applications and applications that provide a number of services driven by the terminal device 100 or data and commands fo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메모리(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등의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The memory 140 include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solid state disk type, an SDD type (Silicon Disk Drive type), and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 Card-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EPMROM) It can be implemented with storage media such as -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and optical disk.

제어부(150)는 단말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메모리(14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여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복수의 서비스를 동시에 실행하는 멀티태스킹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어부(150)는 차량의 경로 안내를 수행하는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실행하는 동시에, 음원을 출력하는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음원 재생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가 실행하는 복수의 서비스는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각각의 서비스일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서로 다른 서비스일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stored in the memory 140. The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to provide a service corresponding to each application to the user. The controller 150 may support multitasking that simultaneously executes a plurality of services. For example, the controller 150 may execute a navigation service using a navigation application that performs route guidance of a vehicle, and at the same time, execute a sound source reproduction service using a sound source reproduction application that outputs a sound source. Here, the plurality of services executed by the controller 150 may be respective services provided by different applications, but may be different services provided by one applica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제어부(150)가 복수의 서비스를 동시에 실행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이 복수의 서비스 중 어느 서비스에 대한 입력인지를 각각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가 제1 서비스와 제2 서비스를 동시에 실행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의 종류를 구별하여, 제1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과, 제2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을 구별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제1 입력과 제2 입력의 입력방식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When the controller 150 executes a plurality of services at the same time, the controller 150 can distinguish and recognize which of the plurality of services the input received from the user is. 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150 executes the first service and the second service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unit 150 distinguishes the type of input received from the us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ervices are input to the first service. It can distinguish the second input for. At this time, the input method of each of the first input and the second input may be set in advance.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인가하는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터치입력이 일반적인 탭(tab), 드래그(drag), 스와이프(swipe), 핀치 인(pinch in), 핀치 아웃(pinch out) 등인 경우에는 제1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내의 동일한 위치를 설정시간 이상 터치하는 롱 탭(long tap) 입력 등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롱 탭 입력의 경우,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설정시간 이상 터치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제2 입력을 의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롱 탭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제2 서비스에 대한 입력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50 may receive a touch input applied by the user to the touch screen, and the touch input is a general tab, drag, swipe, pinch in, In the case of a pinch out, it can be recognized as a first input. On the other hand, when a user applies a long tap input or the like that touches the same location in the touch scree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it can be recognized as a second input. In the case of a long tap input, since the user must intentionally maintain the touch at the same location for a set time or longer,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user intends the second input. Therefore, when the long tap input is applie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input is for the second service running in the background.

다만, 롱 탭 입력만으로는 제2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제어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제어부(150)는 롱 탭 입력과 연계하여 인가되는 입력을 포함하여 제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는 롱 탭 입력을 완성한 후, 좌측으로 드래그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롱 탭 입력 후 좌측으로의 드래그를 포함하여 제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롱 탭 입력 이후 인가하는 각각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는 롱 탭 입력 후 드래그를 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입력 등이 연계되어 인가될 수 있다. However, since it may be difficult to control various services for the second service using only the long tap input, the controller 150 may recognize the second input including an input applied in connection with the long tap input. For example, after completing the long tap input, the user may drag to the left, and the controller 150 may recognize the second input by including the long tap input and dragging to the left. The user may be preset to perform different control according to each drag direction applied after the long tap input. Here, the case of dragging after inputting a long tap is exemplif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inputs, etc. may be applied in connection.

한편, 제2 입력은 롱 탭 입력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1 입력과 구별되는 입력으로, 사용자가 제2 서비스에 대한 입력을 의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활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터치 스크린을 설정압력 이상의 압력으로 터치하는 포스터치(force touch)의 경우,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설정압력 이상을 인가하여야 하므로, 제2 입력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두 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멀티터치나, 사용자가 드래그를 이용하여 원형이나 삼각형 등 특정한 형상을 그리는 입력도 제2 입력으로 활용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input may be set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o the long tap input. That is, as an input distinct from the first input, any one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be seen that the user intends to input the second servi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orce touch that touches the touch screen with a pressur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pressure, the user must intentionally apply more than the set pressure, so it can be used as a second input. In addition, a multi-touch touching the touch screen with two fingers or an input for a user to draw a specific shape such as a circle or triangle using drag may be used as the second input.

추가적으로, 제어부(150)는 제2 입력으로 판별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2 입력에 해당함을 알릴 수 있다. 예를들어, 롱 탭 입력시 설정시간 동안 터치를 유지한 경우나, 포스터치 입력시 설정압력 이상의 압력이 인가된 경우 등에는, 단말장치(100)가 애니메이션이나 음향, 진동 등을 출력하여 제2 입력에 해당하는 요건을 만족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롱 탭 입력시, 사용자가 터치를 유지한 유지시간과 설정시간을 나타내는 게이지 바(gauge bar)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언제까지 터치를 유지해야하는지를 표시해줄 수 있다. Additionally,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second input, the control unit 150 may inform the user that the second input corresponds. For example, when a touch is maintained for a set time when inputting a long tap, or when a pressure greater than a set pressure is applied when inputting a poster value, the terminal device 100 outputs animation, sound, vibration, etc. It can be notified that the requirements for input are satisf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long tap is input, a gauge bar indicating a holding time and a setting time that the user maintains a touch may be output to indicate to the user how long the touch should be maintained.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150)가 터치스크린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위치를 구별하여, 제1 입력과 제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에는 제1 입력영역과 제2 입력영역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제1 입력영역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제1 입력으로 인식하고, 제2 입력영역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제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50 may recognize a location where a touch input is applied to the touch screen, and recognize the location as a first input and a second input. Specifically, the touch screen may have a first input area and a second input area set in advance, and the controller 150 recognizes the touch input applied to the first input area as a first input, and the second input area. The applied touch input may be recognized as a second input.

여기서, 제1 입력영역은 터치스크린의 일부(예를 들어 좌측 하단의 버튼 또는 하단의 일 측면에 방사형 영역 등)로 설정하고, 제2 입력영역은 제1 입력영역을 제외한 터치스크린의 나머지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입력영역을 아이콘이나 이미지 또는 색상 등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영역이 제1 입력영역에 해당함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the first input area is set as a part of the touch screen (for example, a button at the bottom left or a radial area at one side at the bottom), and the second input area is the remaining area of the touch screen excluding the first input area. Can be set.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e first input area as an icon, image, color, etc., to indicate to the user that the corresponding area corresponds to the first input area.

예를들어, 음성인식서비스와 같이 터치스크린에 대한 입력이 많이 필요하지 않는 서비스를 제1 서비스로 설정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입력영역을 대응시킬 수 있다. 반면에, 빈번하게 입력을 인가하는 서비스의 경우에는, 제2 서비스로 설정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제2 입력영역을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력영역과 제2 입력영역은, 터치스크린을 상하 또는 좌우로 분리하여 구분하거나, 각각 터치스크린 상의 소정의 영역에 형성되도록 하는 등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제1 입력영역과 제2 입력영역을 복수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제1 입력영역과 제2 입력영역을 구별할 수 있다. For example, a service that does not require a lot of input to the touch screen, such as a voice recognition service, may be set as a first service to correspond to the first input area formed in a relatively small area.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ervice that frequently authorizes input, it can be set as a second service to utilize a relatively wide second input area. Here, the first input area and the second input area may be divided by dividing the touch screen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or by forming them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touch screen, respectively, and the first input area and the second input area. It is also possible to set a plurality of input areas. In addition, the first input region and the second input region can be distinguished in various ways.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터치입력을 인가하는 타이밍에 따라, 제어부(150)가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을 구별하여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제1 서비스가 음성인식 서비스인 경우, 사용자는 음성명령을 발화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단말장치는 음성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의 실행여부를 확인하는 음성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의 터치스크린 상에는 내비게이션 서비스 등 제2 서비스가 디스플레이되어 실행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제어부(150)는 터치스크린에 인가하는 터치입력을 제2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음성안내가 출력된 때로부터 설정되는 소정의 제한시간 동안에는, 터치스크린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제1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50 may distinguish and recognize the first input and the second input according to a timing at which the user applie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creen. For example, when the first service is a voice recognition service, the user may utter and input a voice command, and the terminal device may output a voice guidance confirming whether or not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voice command is executed. At this time, a second service such as a navigation service may be displayed and execut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device. In this case, in general, the controller 150 may recognize the touch inp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as the second input for the second service. However, during a predetermined time limit set from when the voice guidance is output, the user's touch inp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may be recognized as the first input to the first service.

즉,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의 실행여부를 확인하는 음성안내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해당 제어의 실행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승인여부를 우선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제2 서비스에 불구하고, 음성안내가 출력된 후 일정한 제한시간 동안에는 터치입력을 제1 입력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when a voice guidance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o execute the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user's voice command is output, it is necessary to first confirm whether or not the user is authorized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control. Therefore, despite the second service being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touch input as the first input for a certain time limit after the voice guidance is output.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각각의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타이밍에 따라, 제1 입력과 제2 입력을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various ways, the first input and the second input may be distinguished and recognized according to the timing at which each touch input is applied.

이후, 제어부(150)는 인식한 각각의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제2 서비스에 대하여도 편리하게 제어입력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번거롭게 제1 서비스와 제2 서비스를 백그라운드로 전환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first service or the second service, respectively, in response to each recognized first input or second input. That is, since the user can conveniently apply the control input to the second service running in the background, it is convenient to perform control for each service without the hassle of switching the first service and the second service to the background. can do.

한편, 단말장치(100)가 실행하는 복수의 서비스들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차량의 주행경로를 알려주는 내비게이션 서비스와, 음악, 팟캐스트(pod cast), 오디오북 등의 음원을 재생하는 음원 재생 서비스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서비스로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2 서비스로 음원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services executed by the terminal device 100 may exist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 navigation service informing a driving route of a vehicle, and music, podcast, audiobook, and other sound sources. There may be a sound source playback service to play. Hereinafter,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which a navigation service is provided as a first service and a sound source reproduction service is provided as a second service.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가 실행하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navigation system for a navigation service executed by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말장치(100)는 차량에 대한 주행경로를 안내해주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서비스는 미리 설정된 경로탐색 알고리즘에 따라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탐색을 수행할 수 있으며, 탐색된 경로를 지도 상에 매핑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후, GPS 위성(1) 등을 포함하는 GPS 시스템(Global Position System)을 통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를 확인한 후,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는 경로 안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내비게이션 서비스 이외에, 음원 재생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서비스와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The terminal device 100 may provide a navigation service that guides a driving route for the vehicle. The navigation service may perform route search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according to a preset route search algorithm, and display the searched route by mapping on the map. Thereafter, after confirming the current vehicle position through a GPS (Global Position System) including a GPS satellite 1, a route guidanc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vehicle may be visually or audibly output to inform the user. 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100 may provide various services such as a sound source reproduction service in addition to the navigation service, and may simultaneously provide the navigation service.

단말장치(100)는 차량의 주행경로를 안내하기 위해 구현되는 전용의 장치이거나, 차량 내에 매립되는 매립형 장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GPS 수신기 등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도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단말장치(100)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에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해당 어플리에이션을 실행하여 이동 단말기가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단말기에 음원 재생을 위한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a dedicated device implemented to guide the driving route of the vehicle, or may be a buried device embedded in the vehicl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PC including a GPS receiver may also operate as the terminal device 100 such as providing a navigation service. That is, a navigation application for providing a route guidance service to a mobile terminal can be downloaded and installed, and the application can be executed to enable the mobile terminal to provide a navigation service. Here, it is also possible to download and install a sound source playback application for sound source playback on the mobile terminal.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말장치(100)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열거된 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공지의 전화 네트워크, 공지의 유선 또는 무선 텔레비전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2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wired network and a wireless network, specifically,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nd a wide area network (WAN). It may include a network.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known World Wide Web (WWW). However, th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listed networks, and may include a known wireless data network, a known telephone network, a known wired or wireless television network, and the like.

단말장치(1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실시간 교통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에 저장된 지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서비스 서버(200)가 경로탐색을 수행하고, 단말장치(100)는 서비스 서버(200)가 제공하는 주행경로에 따라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목적지 등의 정보를 입력받아 서비스 서버(200)로 경로탐색을 요청하고, 서비스 서버(200)는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주행경로를 탐색하여 단말장치(100)에 주행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The terminal device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service server 2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provide a navigation service u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200. For example, the terminal device 100 may receive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erver 200, and may search for a driving route using the received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In addition, the map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updated using the map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20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ervice server 200 may perform route search, and the terminal device 100 may provide a route guidance service according to the driving route provided by the service server 200. That is, the terminal device 100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user, such as a place of departure and a destination, requests a route search to the service server 200, and the service server 200 searches for a driving rout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then searches for a terminal device A driving route may be provided to 100.

서비스 서버(200)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등을 단말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단말장치(100)로 지도정보, 실시간 교통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지도정보에는 업데이트된 도로나 건물, 시설물 등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실시간 교통정보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도로의 정체여부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단말장치(100)는 서비스 서버(200)가 제공하는 지도정보, 교통정보 등을 활용하여, 주행경로를 탐색하여 최적의 주행경로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말장치(100)의 경로 탐색 요청에 대응하여, 서비스 서버(200)가 미리 결정된 경로탐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출발지와 목적지 간의 주행경로를 탐색할 수 있으며, 탐색된 주행경로에 관한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service server 200 may provide the terminal device 100 with information required for providing a navigation service. The service server 200 may provide map information,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etc. to the terminal device 1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map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n updated road, building, facility, etc., and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road is congested in real time. 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0 may derive an optimal driving route by searching for a driving route using map information and traffic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rvice server 200.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response to a route search request of the terminal device 100, the service server 200 may search for a driving route between the origin and the destination using a predetermined route search algorithm, and the searched driving route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provided.

실시예에 따라서는, 서비스 서버(200)가 복수개 존재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서비스 서버(200)는 내비게이션 서비스 이외에 다양한 서비스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서비스 서버(200)는 단말장치(100)로 음원 스트리밍을 제공하여, 단말장치(100)가 음원 재생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게임, 디지털북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서비스 서버(200)가 제공하는 각각의 서비스를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plurality of service servers 200 may exist, and each service server 200 may provide various services to the terminal device 100 in addition to the navigation service. For example, the service server 200 may provide sound source streaming to the terminal device 100 so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executes a sound source playback service, and in addition, provides various services such as games and digital books. You can. The terminal device 100 may execute each service provided by the service server 200 and provide it to the user.

한편,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단말장치(100)로부터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사용자의 주행경로 등 주행정보가 표시되는 지도영역(m)과, 예상도착시간, 도착지까지 남은 거리 등의 상태정보(s)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0)가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는 음성인식기능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음성인식기능의 활성화를 위한 음성인식 아이콘(v)이 미리 설정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음성인식 아이콘(v)은 좌측 하단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20)를 보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음성인식 아이콘(v)을 터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부(120) 내의 특정 영역을 음성인식 기능을 활성화하는 영역으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음성인식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a),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a navigation service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a map area m in which driving information such as a user's driving route is displayed, and status information s such as an estimated arrival time and a distance remaining to the destination. In addition, the navig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to provide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the voice recognition icon (v) for activation of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at a preset location. have. Here, the voice recognition icon (v) is located in the lower left corn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touch the voice recognition icon (v) even without looking at the display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specific area in the display unit 120 may be set as an area for activating the speech recognition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activate the speech recognition function.

사용자는 단말장치(100)로부터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받는 동시에, 음원 재생 서비스를 추가로 더 제공받고자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음원 재생 서비스를 추가로 실행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음성인식기능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도3(a)의 음성인식 아이콘(v)을 터치하여 단말장치(100)의 음성인식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도3(b)와 같이 음성인식기능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애니메이션(a)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애니메이션(a)을 통하여 음성인식기능이 활성화되었음을 확인한 후, 애니메이션(a)이 표시된 상태에서 음성을 발화하여 음원 재생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의 입력부(110)에는 마이크로폰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실행요청에 대응하여 음원 재생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도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원 재생 서비스에서 현재 실행 중인 음원의 제목, 가수 등을 나타내는 음원재생정보(p)가 표시되고, 단말장치(100)의 스피커를 통하여 해당 음원이 출력될 수 있다. 이후 음원재생정보(p)는 상태정보(s)로 대체되어 표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음원 재생 서비스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될 수 있다.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 navigation service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and at the same time, may further want to receive a sound source reproduction service. In this case, the user may additionally execute a sound source reproduction service using various methods,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utilize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That is, the user may activate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by touching the voice recognition icon v of FIG. 3 (a).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b), an animation a indicating activation of the speech recognition function may be output. After confirming that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is activated through the animation (a), the user may request to execute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service by uttering the voice while the animation (a) is displayed. Since the input unit 110 of the terminal device 100 is equipped with a microphon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 user's voice by utilizing this, and execute a sound source reproduction service in response to a user's execution request.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c), sound source playback information p indicating the title, singer, etc. of the sound source currently being executed in the sound source playback service is displayed, an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of the terminal device 100. Can be output. Thereafter, the sound source playback information p may be replaced with status information s and not displayed, and the sound source playback service may be executed in the background.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롱 탭 입력 또는 포스터치 입력 등을 이용하여 음원 재생 서비스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내비게이션 서비스의 실행 중에 롱 탭 입력 또는 포스터치 입력을 인가하면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들이 방사형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목록 중에서 음원 재생 서비스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방식으로 음원 재생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Although not illustrated, it is also possible for a user to execute a sound source reproduction service using a long tap input or a poster value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example, if a long tap input or a poster value input is applied while the navigation service is being executed, frequently used services may be displayed radially, and a sound source playback service may be executed by dragging in the direction of the sound source playback service from the list.

한편, 사용자는 내비게이션 서비스와 음원 재생 서비스를 동시에 실행한 상태에서, 내비게이션 서비스가 제공하는 주행경로를 확인하고자 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장치(100)에 입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단말장치(100)는 사용자가 인가하는 입력이 내비게이션 서비스에 대한 입력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입력이 제1 서비스인 내비게이션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인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드래그하거나, 핀치 아웃(pinch out)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지도(m)의 표시지역을 변경하거나 지도에 대한 줌 인 등 내비게이션 서비스에 대한 입력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현재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실행 중인 내비게이션 서비스에 대하여는 일반적인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드래그, 핀치 아웃 이외에, 탭, 핀치 인, 스와이프 등의 입력은 내비게이션 서비스에 대한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may want to check the driving route provided by the navigation service while simultaneously executing the navigation service and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service. In this case, the input may be appli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terminal device 100 may check whether the input authorized by the user is input to the navigation service. Here, when the user's input is the first input to the first service, the navigation service,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put may be performed. 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 4, when the user drags or performs pinch out, the user changes the display area of the map m or inputs to a navigation service such as zooming in on the map. It can be determined by. That is, the navigation service currently being executed in the display unit 120 may be controlled in response to a general touch input. For example, in addition to drag and pinch-out, inputs such as tap, pinch-in, and swipe can be recognized as inputs to the navigation service.

반면에, 사용자는 내비게이션 서비스와 음원 재생 서비스를 동시에 실행하는 중에, 출력되는 음원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백그라운드에서 동작 중인 제2 서비스인 음원 재생 서비스에 대한 제어이므로, 사용자는 롱 탭 입력 등 제2 입력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부(110)에 터치를 인가하면 링 형상의 게이지 바에 사용자가 터치를 유지한 유지시간을 나타내는 게이지가 점차 차오를 수 있다. 여기서, 설정시간은 게이지가 전체 링 형상의 게이지 바를 전부 채울때까지의 소요되는 시간에 해당한다. 유지시간이 설정시간에 도달하면,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게이지 바 내부의 원이 전부 채워진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음향이나 진동 등을 출력하여 설정시간의 완료를 표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may want to change the output sound source while simultaneously executing the navigation service and the sound source playback service. In this case, since it is a control for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service, which is a second service operating in the background, the user needs to perform a second input such as a long tap input.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a), when a user applies a touch to the input unit 110, a gauge indicating a retention time that the user maintains a touch on the ring-shaped gauge bar may gradually rise. Here, the set time corresponds to the time required for the gauge to fill all the gauge bars of the entire ring shape. When the holding time reaches the set time, as shown in Fig. 5 (b), the circle inside the gauge bar of the ring shape may be displayed as a full shape. At this time, the terminal device 100 may output completion of the set time by outputting sound or vibration.

이후, 도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롱 탭과 연계하여 우측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단말장치(100)는 연계된 입력을 포함하여 제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롱 탭 입력을 통하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음원 재생 서비스에 대한 입력임을 확인하고, 이후 우측으로의 드래그를 통하여 "다음곡 재생"에 대한 요청임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롱 탭 입력 이후에 연계되어 인가되는 각각의 입력에 따라 음원 재생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롱탭 입력 이후, 좌측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이전곡 재생", 위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음량 증가", 아래로 드래그하는 경우는 "음량 감소" 등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외에도, 롱탭 입력 이후 연계되는 다양한 입력을 이용하여 음원 재생 서비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5 (c), the user may apply an input dragging to the right in connection with the long tap, and the terminal device 100 may recognize the second input including the associated input. have. That 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input is for the sound source playback service running in the background through the long tap input, and then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request is for "playing the next song" by dragging to the right. Here, after the long tap input, various controls for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service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each input applied in association. For example, after a long tap input, it may be recognized as "playing the previous song" when dragging to the left, "increase volume" when dragging upward, or "decrease volume" when dragging downwar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control of a sound source reproduction service using various inputs that are linked after a long tap input.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서비스 또는 음원 재생 서비스 등에 대한 입력을 인가하는 경우,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0)는 각각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의 실행여부를 확인하는 팝업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들어, 내비게이션 서비스에서 경유지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팝업 메시지를 통하여, 사용자의 의사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도6에서는 팝업 메시지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말장치(100)가 출력하는 음성안내를 통하여 경유지의 추가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팝업 메시지의 경우, 사용자가 팝업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말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로 시선을 옮겨야하므로, 주행 중인 사용자의 시선이 분산되는 등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장치(100)는 팝업 메시지를 대신하여 음성안내로 사용자의 의사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청각을 이용하여 팝업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주행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Additionally, when a user applies an input to a navigation service or a sound source playback service, as illustrated in FIG. 6, the terminal device 100 outputs a pop-up message confirming whether or not control is executed corresponding to each input. You can. For example, when adding a waypoint in the navigation service, a user's intention can be clearly identified through a pop-up message. Here, FIG. 6 illustrates a case of confirming by using a pop-up message, bu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waypoint is added through the voice guidance output by the terminal device 100. That is, in the case of the pop-up message, since the user needs to move the gaze to the display unit 120 of the terminal device 100 to check the content of the pop-up message, safety problems such as distraction of the driving user may occur. . 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0 may allow the user's intention to be confirmed by voice guidance instead of a pop-up message. In this case, since the user can confirm the content of the pop-up message using hearing, the influence on the user's driving can be minimized.

이후, 단말장치(100)는 팝업 메시지 또는 음성안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확인 제스처를 입력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에 한하여 경유지 추가 등의 실행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차량을 운전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단말장치(100)를 보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확인 제스처를 입력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단말장치(100)의 내비게이션 서비스가 출력 중인 터치스크린의 전체 영역을 입력가능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입력가능영역 내에 확인 제스처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확인 제스처의 경우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에 사용자가 연속으로 두번 탭을 인가하는 더블 탭을 입력하거나, 도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체크 표시 등 특정 형상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확인 제스처가 입력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외에도,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동시에 터치하는 멀티터치나 롱탭 입력, 포스터치 입력 등을 확인 제스처로 활용할 수 있다.Thereafter, the terminal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nputs the confirmation gesture in response to a pop-up message or voice guidance, and may determine whether to add a stopover or the like when the confirmation gesture is input. Here, since the user is driving the vehicle, it is necessary to enable the user to easily input the confirmation gesture even without looking at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ly, here, the entire area of the touch screen being output by the navigation service of 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set as an inputable area, an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confirmation gesture is input in the inputable area. In the case of the confirmation gesture, it can be set in various ways, and as shown in Fig. 6 (b), the user inputs a double tap to continuously apply the double tap on the touch screen, or the user as shown in Fig. 6 (c). When a specific shape such as a check mark is applied to the touch screen, it may be regarded that a confirmation gesture is input. In addition, multi-touch, long-tap input, poster input, etc., which are simultaneously touched using two fingers, can be used as a confirmation gesture.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terface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은, 서비스 실행단계(S10), 입력인식단계(S20) 및 서비스 제어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an interface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rvice execution step (S10), an input recognition step (S20), and a service control step (S30).

이하,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n interface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서비스 실행단계(S10)에서는, 단말장치가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단말장치는 복수의 서비스를 동시에 실행하는 멀티태스킹을 지원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2개 이상의 서비스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단말장치는 제1 서비스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활성화할 수 있으며, 제2 서비스는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실행될 수 있다. 단말장치가 실행하는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는 다양한게 설정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서비스가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2 서비스가 음원 재생 서비스일 수 있다. In the service execution step (S10), the terminal device may simultaneously execute the first service and the second service. The terminal device may support multitasking that simultaneously executes a plurality of services, and may execute two or more services simultaneous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terminal device may activate the first service by displaying it on the display unit, and the second service may be executed in the background. The first service and the second service executed by the terminal device may be set in various ways,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first service may be a navigation service and the second service may be a sound source reproduction service.

한편, 제1 서비스의 실행 중에 제2 서비스를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실시예에 따라서는,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제2 서비스에 대한 실행요청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단말장치는 제1 서비스의 실행 중에 음성인식을 통하여 제2 서비스에 대한 실행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실행요청에 대응하여 제2 서비스를 추가로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음성인식 아이콘에 사용자가 터치입력을 인가하면, 단말장치는 음성인식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음성인식기능을 이용하여 제2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으며, 단말장치(100)는 실행 요청에 대응하여 제2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a second service is to be executed while the first service is being executed,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an execution request for the second service us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at is, the terminal device may receive an execution request for the second service through voice recognition during execution of the first service, and additionally execute the second service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request. Specifically, when the user applies a touch input to the voice recognition ic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e terminal device may activate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Thereafter, the user may request the execution of the second service using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the terminal device 100 may execute the second service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request.

입력인식단계(S2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입력을 제1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과, 제2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으로 각각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각각의 터치 입력을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으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제1 입력과 제2 입력의 입력방식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In the input recognition step (S20),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type of input received from the user. That is, the user's input can be recognized by distinguishing the first input to the first service and the second input to the second service. Specifically, a touch input may be received from a user using a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terminal device, and each touch input may be determined as a first input or a second input using the touch screen. Here, the input method of each of the first input and the second input may be set in advance.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탭(tab), 드래그(drag), 스와이프(swipe), 핀치 인(pinch in), 핀치 아웃(pinch out) 등의 터치입력은 제1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현재 제1 서비스가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 등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제1 서비스에 대한 입력을 인가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터치 입력의 경우에는 제1 입력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제1 서비스가 내비게이션 서비스인 경우에는, 터치 스크린 내에 인가되는 탭, 드래그, 스와이프, 핀치 인 또는 핀치 아웃을 내비게이션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Specifically, a general tab, drag, swipe, pinch in, or pinch out touch input may be recognized as a first input. Since the first service is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device, in general, the user can be expected to apply the input to the first service. Therefore, in the case of a general touch input, it can be determined as the first input. That is, when the first service is a navigation service, a tap, drag, swipe, pinch-in, or pinch-o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may be recognized as a first input to the navigation service.

반면에,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제2 서비스에 대한 입력을 인가하는 것은 일반적인 경우가 아니므로, 사용자가 실제 제2 서비스에 대한 입력을 의도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예를들어, 롱 탭 입력이나 포스터치 입력은, 사용자가 동일한 위치에 설정시간 이상 터치를 유지하거나, 터치스크린에 설정압력 이상의 압력을 인가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제2 서비스에 대한 제어입력을 인가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단말장치(100)는 터치스크린에 롱 탭 입력이나 포스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제2 입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2 입력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입력인식단계(S20)에서는 이들을 각각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 특히, 제2 서비스가 음원 재생 서비스인 경우에는, 터치 스크린 내에 인가되는 롱 탭 입력이나 포스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음원 재생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it is not a general case to authorize the input to the second service running in the background,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user intends to input the actual second service. For example, the long tap input or the poster value input means that the user maintains a touch for a set time or more at the same location or applies pressure over a set pressure to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user wants to apply a control input for the second service. It can be seen as having an intention to. Accordingly, when the long tap input or the poster value input is applied to the touch screen, the terminal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the second input is applied. In addition, the second input may be set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input recognition step (S20) may recognize each of them separately. In particular, when the second service is a sound source playback service, when a long tap input or a poster value inp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is applied, it can be recognized as a second input to the sound source playback service.

다만, 롱 탭 입력이나 포스터치 입력만으로는 제2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제어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입력인식단계(S20)에서는 롱 탭 입력 또는 포스터치 입력과 연계하여 인가되는 입력을 더 포함하여 제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는 롱 탭 입력을 완성한 후, 좌측으로 드래그할 수 있으며, 단말장치는 롱 탭 입력 후 좌측으로의 드래그를 포함하여 제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롱 탭 입력이나 포스터치 입력을 통하여 해당 입력이 제2 입력에 관한 것임을 나타내고, 이후 롱 탭 입력 또는 포스터치 입력과 연계하여 인가되는 입력을 통하여 제2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제어 명령을 인가할 수 있다. However, since it may be difficult to control various services for the second service only by inputting the long tap or the poster value, the input recognition step (S20) further includes an input applied in connection with the long tap input or the poster value input to the second input. Can be recognized. For example, the user can drag to the left after completing the long tap input, and the terminal device can recognize the second input including dragging to the left after inputting the long tap. That is, it indicates that the input is related to the second input through the long tap input or the poster value input, and then can apply a specific control command for the second service through the input applied in connection with the long tap input or the poster value input. have.

추가적으로, 입력인식단계(S20)에서는 터치스크린의 전체 영역이 입력가능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입력가능영역 내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으로부터, 사용자가 인가하는 롱 탭 입력이나 포스터치 입력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비스가 내비게이션 서비스인 경우, 사용자는 차량을 운전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장치를 보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을 입력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터치스크린 중 어디를 이용하더라도 입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input recognition step (S20), the entire area of the touch screen may be set as an inputtable area. That is, a long tap input or a poster value input applied by a user may be recognized from a touch input applied in the inputtable area. Here, when the first service is a navigation service, the user may be driving a vehic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it possible to input the first input or the second input easily even when the user does not look at the terminal device. Therefore, here, by allowing input to be applied to any of the touch screens, the user can easily perform control of the first service or the second service.

실시예에 따라서는 입력인식단계(S20)에서, 터치스크린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위치를 구별하여, 제1 입력과 제2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에는 제1 입력영역과 제2 입력영역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1 입력영역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제1 입력으로 인식하고, 제2 입력영역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제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력영역은 터치스크린 하단의 일 측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정하고, 제2 입력영역은 제1 입력영역을 제외한 터치스크린의 나머지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입력영역을 아이콘이나 이미지 또는 색상 등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영역이 제1 입력영역에 해당함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n the input recognition step (S20), it is also possible to distinguish the location where the touch input is applied to the touch screen and recognize the first input and the second input. Specifically, a first input area and a second input area may be preset on the touch screen, and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first input area is recognized as a first input, and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second input area is recognized. It can be recognized as the second input. Here, the first input area is set to be formed radially on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touch screen, and the second input area can be set to the remaining areas of the touch screen except for the first input area.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e first input area as an icon, image, color, etc., to indicate to the user that the corresponding area corresponds to the first input area.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서는, 입력인식단계(S20)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터치입력을 인가하는 타이밍에 따라,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을 구별하여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제1 서비스가 음성인식 서비스인 경우, 사용자는 음성명령을 발화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단말장치는 음성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의 실행여부를 확인하는 음성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의 터치스크린 상에는 내비게이션 서비스 등 제2 서비스가 디스플레이되어 실행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에 인가하는 터치입력을 제2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음성안내가 출력된 때로부터 설정되는 소정의 제한시간 동안에는, 터치스크린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제1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Furthermor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distinguish and recognize the first input and the second input according to the timing at which the user applies the touch input to the touch screen in the input recognition step (S20). For example, when the first service is a voice recognition service, the user may utter and input a voice command, and the terminal device may output a voice guidance confirming whether or not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voice command is executed. At this time, a second service such as a navigation service may be displayed and execut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device. In this case, the touch inp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may be recognized as the second input for the second service. However, during a predetermined time limit set from when the voice guidance is output, the user's touch inp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may be recognized as the first input to the first service.

즉,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의 실행여부를 확인하는 음성안내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해당 제어의 실행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승인여부를 우선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제2 서비스에 불구하고, 음성안내가 출력된 후 일정한 제한시간 동안에는 터치입력을 제1 입력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when a voice guidance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o execute the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user's voice command is output, it is necessary to first confirm whether or not the user is authorized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control. Therefore, despite the second service being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touch input as the first input for a certain time limit after the voice guidance is output.

서비스 제어단계(S30)에서는, 단말장치가 인식한 각각의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 서비스가 내비게이션 서비스인 경우에는 제1 입력에 대응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가 제공하는 지도의 표시지역을 변경하거나 줌 인(zoon-in) 또는 줌 아웃(zoom-out)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비스가 음원 재생 서비스인 경우에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음원 재생 서비스가 제공하는 음원의 재생순서나 음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제2 서비스에 대하여 편리하게 제어입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번거롭게 제1 서비스와 제2 서비스를 포어그라운드와 백그라운드로 전환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n the service control step S30, the first service or the second service may be controlled in response to each of the first input or the second input recognized by the terminal device. For example, when the first service is a navigation service, a display area of a map provided by the navigation service may be changed or zoom-in or zoom-out in response to the first input. have. In addition, when the first service is a sound source playback service, in response to the second input, a playback order or volume of sound sources provided by the sound source playback service may be adjusted. Through this, the user can conveniently apply the control input to the second service running in the background, and without the hassle of switching the first service and the second service to the foreground and background, conveniently for each service. Control can be performed.

한편, 서비스 제어단계(S30)에서는,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의 실행여부를 확인하는 팝업 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실제 제어를 실행하기 전에 사용자의 의사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장치는 팝업 메시지 또는 음성안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확인 제스처를 입력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제어의 실행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확인 제스처는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터치스크린에 사용자가 연속으로 두번 탭을 인가하는 더블 탭을 입력하거나,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체크 표시 등 특정 형상을 인가하는 경우에, 확인 제스처가 입력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외에도,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동시에 터치하는 멀티터치나 롱탭 입력, 포스터치 입력 등이 인가되는 경우를 확인 제스처가 입력된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ervice control step S30, a pop-up message or a voice message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put or the second input is executed may be output. That is, before executing the actual control, the user may be asked to confirm to clarify the user's intention. In this case, the terminal device can confirm whether the user inputs the confirmation gesture in response to the pop-up message or the voice guidance, and can determine whether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control only when the confirmation gesture is input. The confirmation gesture may be set in various ways, and in some embodiments, when a user inputs a double tap to continuously apply two taps to the touch screen, or when a user applies a specific shape such as a check mark to the touch screen, it is confirmed. It can be seen that the gesture is input. In addition, when a multi-touch, a long tap input, a poster value input, etc., which are simultaneously touched using two fingers is applied, a confirmation gesture may be set as input.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a computer that continuously stores executable programs or may be temporarily stored for execution or download.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various recording means or storage means in the form of a single or several hardware combinations, and is not limited to a medium directly connected to a computer system, but may be distributed on a network. Examples of the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nd program instructions including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In addition, examples of other media include an application store for distributing applications, a site for distributing or distributing various software, and a recording medium or storage medium managed by a server.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but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apparent that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stituted,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GPS 위성 100: 단말장치
110: 입력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통신부 140: 메모리
150: 제어부 200: 서비스 서버
S10: 서비스 실행단계 S20: 입력인식단계
S30: 서비스 제어단계
1: GPS satellite 100: Terminal device
110: input unit 120: display unit
130: communication unit 140: memory
150: control unit 200: service server
S10: Service execution step S20: Input recognition step
S30: Service control step

Claims (17)

복수의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의 종류를 구별하여,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 또는 상기 제2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으로 각각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한 각각의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한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따른 제어를 실행하기 전에, 상기 제어의 실행여부를 확인하는 팝업 메시지 또는 음성안내를 출력하고, 상기 팝업 메시지 또는 음성안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확인 제스처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In the interface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for executing a plurality of services,
Executing a first service and a second service;
Distinguishing the type of input received from the user and recognizing the first input for the first service or the second input for the second service, respectively; And
And controlling the first service or the second service in response to each recognized first input or second input.
The controlling step
Before executing the control according to the recognized first input or second input, a pop-up message or voice guidance for confirming whether the control is executed is output, and a user's confirmation gesture corresponding to the pop-up message or voice guidance is input. If it is authorized, the interface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control for the first service or the second ser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에 구비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인가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된 터치 스크린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입력의 종류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recognizing
Using a touch screen provided on the terminal device, a user receives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terface of a terminal device, wherein the type of the input is classifi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ouch screen to which the touch input is appl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에 구비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인가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내의 동일한 위치를 설정시간 이상 터치하는 롱 탭(long tap) 입력이나, 상기 터치 스크린을 설정압력 이상의 압력으로 터치하는 포스 터치(force touch)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2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recognizing
Using a touch screen provided on the terminal device, a user receives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When a long tap input that touches the same location in the touch scree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a force touch input that touches the touch screen at a pressure equal to or higher than a set pressure is applied, it is recognized as the second input. Interface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복수의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의 종류를 구별하여,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 또는 상기 제2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으로 각각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한 각각의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에 구비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인가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내의 동일한 위치를 설정시간 이상 터치하는 롱 탭(long tap) 입력이나, 상기 터치 스크린을 설정압력 이상의 압력으로 터치하는 포스 터치(force touch)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2 입력으로 인식하며,
상기 롱 탭 입력시, 사용자가 터치를 유지한 유지시간과 상기 설정시간을 나타내는 게이지 바(gauge bar)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In the interface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for executing a plurality of services,
Executing a first service and a second service;
Distinguishing the type of input received from the user and recognizing the first input for the first service or the second input for the second service, respectively; And
And controlling the first service or the second service in response to each recognized first input or second input.
The step of recognizing
Using a touch screen provided on the terminal device, a user receives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When a long tap input that touches the same location in the touch scree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a force touch input that touches the touch screen at a pressure equal to or higher than a set pressure is applied, it is recognized as the second input. ,
When inputting the long tap, the interface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 gauge bar indicating the holding time and the setting time for the user to keep the touch.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롱 탭 입력이나 포스 터치 입력이 인가된 후, 사용자가 상기 롱 탭 입력이나 포스 터치 입력과 연계하여 인가되는 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입력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p of recognizing
After the long tap input or the force touch input is applied, a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recognizes the second input using an input applied in connection with the long tap input or the force touch in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서비스의 실행 중에, 음성인식기능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서비스에 대한 실행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실행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서비스를 추가로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executing
During the execution of the first service, if an execution request for the second service is received from a user through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further executing the second service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request;
Interface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음성인식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음성인식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tep of executing
In response to a user's touch input to the voice recognition ic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device, the interface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activate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제스처는
단말장치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에 사용자가 인가하는 터치입력으로, 연속으로 두번 탭을 인가하는 더블 탭,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동시에 터치하는 멀티터치, 또는 드래그를 이용하여 그리는 특정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firmation gesture
The touch input provided by the user on the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terminal device includes a double tap for applying two taps in succession, multi-touch simultaneously using two fingers, or a specific shape drawn by dragging. Interface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비스는 내비게이션 서비스이고, 상기 제2 서비스는 음원 재생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rvice is a navigation service, and the second service is a sound source reproduction ser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내에 인가되는 탭, 드래그, 스와이프, 핀치 인 또는 핀치 아웃을 상기 내비게이션 서비스에 대한 상기 제1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내에 인가되는 롱 탭 입력이나 포스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음원 재생 서비스에 대한 상기 제2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ep of recognizing
Using the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terminal device, the tap, drag, swipe, pinch in or pinch out applied in the touch screen is recognized as the first input to the navigation service,
When a long tap input or a poster value inp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is applied, the interface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cognized as the second input to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ser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 내에 설정된 제1 입력영역 및 제2 입력영역에 인가되는 각각의 터치입력을 구별하여, 상기 제1 입력 및 제2 입력으로 각각 인식하고, 상기 제1 입력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 하단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입력영역은 상기 제1 입력영역을 제외한 상기 터치 스크린의 나머지 영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p of recognizing
Each touch input applied to the first input region and the second input region set in the touch screen is distinguished and recognized as the first input and the second input, respectively, and the first input region is one of the bottom of the touch screen. Is formed on the side,
The second input area is an interface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the remaining areas of the touch screen except for the first input area.
복수의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의 종류를 구별하여,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 또는 상기 제2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으로 각각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한 각각의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에 구비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인가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 입력을 인가하는 타이밍에 따라, 상기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을 각각 구별하여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In the interface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for executing a plurality of services,
Executing a first service and a second service;
Distinguishing the type of input received from the user and recognizing the first input for the first service or the second input for the second service, respectively; And
And controlling the first service or the second service in response to each recognized first input or second input.
The step of recognizing
Using a touch screen provided on the terminal device, a user receives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terface of a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inputs are distinguished and recognized according to a timing at which a user applie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cree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요구하는 안내를 사용자에게 요청하고, 상기 안내가 요청 된 후 일정한 시간 동안의 상기 입력은 상기 입력을 요청한 서비스에 대한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tep of recognizing
The first service or the second service requests a user requesting guidance from the user, and the inpu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guidance is requested is recognized as the input to the requested ser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terface of a terminal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서비스가 음성인식 서비스이고,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의 실행여부를 확인하는 음성안내가 출력되면, 제한시간 내에 상기 터치스크린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상기 제1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tep of recognizing
When the first service is a voice recognition service, and a voice guidance confirming whether or not control is performed corresponding to a voice command uttered by a user is output,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within a time limit is recognized as the first input. Interface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7항,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to execute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terface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9 to 15.
터치패널을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실행 중인 서비스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며, 상기 터치패널과 결합하여 터치스크린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터치입력의 종류를 구별하여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 또는 제2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각각의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 입력을 인가하는 타이밍에 따라, 상기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을 각각 구별하여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An input unit having a touch panel and receiving a touch input applied from a user;
A display unit that visually outputs a running service and combines with the touch panel to implement a touch screen; And
While the first service and the second service are being executed, the type of the touch input is distinguished and recognized as the first input for the first service or the second input for the second service, and each recognized first input or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service or the second service in response to the second input,
The input unit
A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input and the second input are distinguished and recognized according to a timing at which a user applie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creen.
KR1020180031319A 2018-03-19 2018-03-19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ace of terminal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KR1020916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319A KR102091650B1 (en) 2018-03-19 2018-03-19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ace of terminal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319A KR102091650B1 (en) 2018-03-19 2018-03-19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ace of terminal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754A Division KR102221822B1 (en) 2020-03-16 2020-03-16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ace of terminal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805A KR20190109805A (en) 2019-09-27
KR102091650B1 true KR102091650B1 (en) 2020-04-23

Family

ID=68097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319A KR102091650B1 (en) 2018-03-19 2018-03-19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ace of terminal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65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639A (en) 2020-08-21 2022-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EP4099142A4 (en) 2021-04-19 2023-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30023266A (en) * 2021-08-10 2023-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creen panel
US11829557B2 (en) 2021-08-10 202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ouch screen panel to change input typ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711B1 (en) * 2010-07-14 201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105340A (en) * 2013-02-22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ulti tasking in a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805A (en) 201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5585B2 (en) Vehicle infotainment apparatus using widge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573097B2 (en) Location-based features for commute assistant
CN106062514B (en) Interaction between a portable device and a vehicle head unit
KR10209165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ace of terminal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KR202200315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xt aware service in a user device
CN103677627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window in touch device
US20170185373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ode conversion method and sound system for controlling volume of speaker thereof
US201201799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icon through grouping
KR201500261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object using a electronic device
WO2018034265A1 (en) Naviga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KR10196895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service using the same
KR20150026991A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present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210129575A (en) Vehicle infotainment apparatus using widge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384054B1 (en) Electronic equipment and its control method for playing music during running add-on
KR101580852B1 (en) Method for configuring user interface of car head unit dynamically by using smart terminal, and head uni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KR10222182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ace of terminal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TWI742421B (en) User interface integration method and vehicle-mounted device
JP5814332B2 (en) Application control program,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KR20150108591A (en) Method for controlling wearable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US12139015B2 (en) Vehicle infotainment apparatus using widge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0018764B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KR101471619B1 (en)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6028952A (en) Application control program, method, device, and record medium
KR20160052910A (en) Method of Connection of Navigation Program after Recognition of Geographical Address in Smartphone
JP2020125999A (en) Navigation device, method for navigation,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