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314B1 -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동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동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314B1
KR102091314B1 KR1020180016117A KR20180016117A KR102091314B1 KR 102091314 B1 KR102091314 B1 KR 102091314B1 KR 1020180016117 A KR1020180016117 A KR 1020180016117A KR 20180016117 A KR20180016117 A KR 20180016117A KR 102091314 B1 KR102091314 B1 KR 102091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earable device
management
image
acquisi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541A (ko
Inventor
엄애선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6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3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영상 획득부,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식품 중요 관리점(Critical Control Point)과 관련된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상기 출력된 중요 관리점과 관련된 화면에 대응하는 제스쳐(gesture)를 입력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동 프로그램{Wearable Device for Managing Foo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Operating Program thereof}
본 발명은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동 프로그램에 관련된 것이다.
안전관리인증기준(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s) 또는 HACCP은 생산-제조-유통의 전과정에서 식품의 위생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해요소를 분석하고, 이러한 위해 요소를 제거하거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단계에 중요관리점을 설정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식품의 안전을 관리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위해요소 분석이란 “어떤 위해를 미리 예측하여 그 위해요인을 사전에 파악하는 것”을 의미하며, 중요 관리점이란 “반드시 필수적으로 관리하여야 할 항목”이란 뜻을 내포하고 있다.
국내 HACCP 제도는 의무적용 중심으로 지속적인 확대를 해왔으며, 식품안전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시스템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국내 식품업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소규모 업체에서는 기술·인력 부족으로 인해 여전히 HACCP 도입·운영과 CCP관리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HACCP 가공장에서는 위생관리를 위해 CCP를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CCP모니터링 담당자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시행되어야 하지만, CCP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해 관리가 잘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CCP 관리의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동 프로그램을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효율적인 CCP(중요 관리점) 관리 환경을 제공하는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식품 위생 관리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현장에서 적용이 용이한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영상 획득부,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식품 중요 관리점(Critical Control Point)과 관련된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상기 출력된 중요 관리점과 관련된 화면에 대응하는 제스쳐(gesture)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스쳐는 비-접촉식 입력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중요 관리점과 관련된 화면은, 중요 관리점 선택 메뉴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요 관리점 선택 메뉴 중 가열에 대한 중요 관리점이 선택된 경우,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 조건을,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 조건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처리 조건과 관련된 증빙 영상을,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상기 처리 조건과 관련된 증빙 영상을 입력 받지 않은 경우, 다음 단계로의 진행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중요 관리점과 관련된 화면은, 중요 관리점 선택 메뉴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요 관리점 선택 메뉴 중 금속 검출에 대한 중요 관리점이 선택된 경우,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정상 작동 여부에 대한 테스트 증빙 영상 및 시료의 금속 검출 결과와 관련된 증빙 영상을,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상기 증빙 영상을 입력 받지 않은 경우, 다음 단계로의 진행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중요 관리점과 관련된 화면은, 보고서 작성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고서 작성 메뉴가 선택된 경우, 작성 일자, 중요 관리점 판정 결과,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획득된 중요 관리점 증빙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식품 중요 관리점과 관련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상기 출력된 화면에 대응하는 제스쳐를 비-접촉식으로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중요 관리점과 관련된 화면이 가열에 대한 중요 관리점인 경우,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에 대한 증빙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빙 영상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다음 단계로의 진행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중요 관리점과 관련된 화면이 금속 검출에 대한 중요 관리점인 경우,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정상 작동 여부에 대한 테스트 증빙 영상 및 시료의 금속 검출 결과와 관련된 증빙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빙 영상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다음 단계로의 진행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동 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식품 중요 관리점과 관련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상기 출력된 화면에 대응하는 제스쳐를 비-접촉식으로 입력받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영상 획득부,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식품 중요 관리점(Critical Control Point)과 관련된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상기 출력된 중요 관리점과 관련된 화면에 대응하는 제스쳐(gesture)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스쳐는 비-접촉식 입력 신호일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에 의한 교차 오염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식품 관리 안정성이 제고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CCP 관리 시 증빙 영상(예를 들어, 증빙 정지 영상 및/또는 증빙 동영상)을 강제적으로 입력하게 하고 증빙 영상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다음 단계로의 진행이 차단될 수 있다. 증빙 영상 입력이 강제되기 때문에 CCP 관리의 정확성이 제고될 수 있고, 증빙 영상을 포함하는 보고서가 자동 생성될 수 있다. 나아가 관리자 입장에서는 작업자의 CCP 관리가 원활히 수행되고 있는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가열 CCP 활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금속 검출 CCP 활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크기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자의 글래스에 착용되는 모듈 형식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하우징(110), 영상 획득부(120), 디스플레이(130), 통신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작업자의 안경(GL)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각 구성이 실장되는 골격을 제공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의 일 측에는 키 입력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영상 획득부(120)는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영상 획득부(120)는 중요 관리점과 관련된 영상 예를 들어,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영상 획득부(120)는 예를 들어, CCD(Charge-Coupled Devic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획득부(120)는 작업자의 제스쳐(gesture)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 획득부(120)는 작업자의 손의 움직임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획득부(120)가 획득한 작업자의 제스쳐는 입력 신호로 기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손을 왼쪽으로 스트로크(stroke)하는 경우, 뒤로 가기 또는 감소의 입력 신호가 생성될 수 있고, 작업자가 손을 오른쪽으로 스트로크 하는 경우, 앞으로 가기 또는 증가의 입력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손가락 또는 손바닥을 접었다 펴는 경우, 촬영 또는 선택의 입력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30)는 작업자의 눈을 향하여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130)는 식품 중요 관리점(Critical Control Point)과 관련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130)는 중요 관리점 선택 메뉴 화면, 가열에 대한 중요 관리점 화면, 금속 검출에 대한 중요 관리점 화면, 보고서 작성과 관련된 화면, 이탈과 관련된 제어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30)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플렉서블 표시 장치, 투명 표시 장치, 일렉트로크로믹(Electrochromic) 표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관리 단말과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모듈, 원거리 통신 모듈, 사물 인터넷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식품 중요 관리점과 관련된 화면을 출력하고(단계 S110), 상기 영상 획득부(120)를 통하여 상기 출력된 중요 관리점과 관련된 화면에 대응하는 제스쳐(gesture)를 입력받을 수 있다(단계 S120).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쳐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스쳐는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비-접촉식으로 입력되는 입력 신호라는 점에서 HACCP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최근 HACCP 인증을 거친 식품 조차도 안정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HACCP 작업장에서의 교차 오염(cross contamination)에 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즉, 작업자가 HACCP를 관리하는 중 기기를 직접 접촉하고 이후 식품을 직접 만지는 과정에서 교차 오염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작업자의 제스쳐를 입력 신호로 활용하기 때문에 교차 오염에 따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구성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가열 CCP 활용 예가 설명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가열 CCP 활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 영상 획득부(120)를 통하여 자신의 신분증 예를 들어, QR 코드를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작업자는 제스쳐를 통하여 QR 코드를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작업자를 인증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CCP 선택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P 선택 메뉴 화면은 가열 CCP 선택 아이콘(I1), 금속 검출 CCP 선택 아이콘(I2), 보고서 작성 선택 아이콘(I3)을 포함할 수 있고, 좌측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으로 가기 아이콘과 다음으로 가기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손가락의 제스쳐를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가열 CCP 선택 아이콘(I1)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상기 영상 획득부(120)를 통하여 가열 CCP 선택 아이콘(I1)을 선택하는 제스쳐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가열 CCP 관리에 대한 다음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특정 식품 예를 들어, 콩, 순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작업자가 가열 CCP 선택 아이콘(I1)을 선택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제 가열 CCP 모니터링을 시작한다는 안내 메시지(G)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화면에서 작업자가 Next 아이콘을 제스쳐로 선택하는 경우, 다음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가열에 대한 중요 관리점이 선택된 경우,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 조건을, 상기 영상 획득부(120)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 조건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처리 조건과 관련된 증빙 영상을, 상기 영상 획득부(120)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만약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영상 획득부(120)를 통하여 상기 처리 조건과 관련된 증빙 영상을 입력 받지 않은 경우, 다음 단계로의 진행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기 가열 온도 측정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30)는 한계 기준을 포함하는 안내 메시지(G)와 가열 온도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I)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제스쳐를 활용하여, 성형기의 온도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95도를 제스쳐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왼쪽 스트로크를 통하여 온도를 내리거나 오른쪽 스트로크를 통하여 온도를 높이거나, 그래스트(grasp) 제스쳐를 통하여 특정 온도를 입력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작업자가 선택한 특정 식품에 대응하는 한계 기준을 가이드로써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한계 기준에 부합하도록 가열 온도를 제어하고 이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CCP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기 가열 온도에 대한 증빙 영상을 입력받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작업자는 도 5(b)에 P라고 표시된 프레임에 맞추어 성형기의 온도 계기판을 촬영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영상 획득부(120)를 제스쳐로 조작하여 성형기의 온도 계기판을 촬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성형기 가열 온도에 대한 증빙 영상이 입력되기 전까지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Next 아이콘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제어부는 성형기 가열 온도에 대한 증빙 영상이 입력되기 전에는 다음 단계로의 진행을 차단할 수 있다. 이후 성형기 가열 온도에 대한 증빙 영상이 입력되는 경우, Next 아이콘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로써, 증빙 영상이 누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가열 온도 및 가열 온도에 대한 증빙 영상이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기 가열 시간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30)는 한계 기준을 포함하는 안내 메시지(G)와 가열 시간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I)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제스쳐를 활용하여, 가열 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분 15초를 제스쳐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작업자가 선택한 특정 식품에 대응하는 한계 기준을 가이드로써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CCP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시간에 대한 증빙 영상을 입력받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작업자는 도 6(b)에 P라고 표시된 프레임에 맞추어 성형기의 가열 시간 계기판을 촬영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영상 획득부(120)를 제스쳐로 조작하여 성형기의 계기판을 촬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가열 시간에 대한 증빙 영상이 입력되기 전까지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Next 아이콘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제어부는 가열 시간에 대한 증빙 영상이 입력되기 전에는 다음 단계로의 진행을 차단할 수 있다. 이후 가열 시간에 대한 증빙 영상이 입력되는 경우, Next 아이콘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로써, 증빙 영상이 누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절차에 따라 가열 CCP를 관리한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가열 CCP 판정 결과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정 결과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관리 단말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입력된 처리 조건 및 그에 대한 증빙 영상도 함께 전송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다음 가열 CCP 모니터링 스케쥴 안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가열 CCP 활용 예를 설명하였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금속 검출 CCP 활용 예가 설명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금속 검출 CCP 활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인증 절차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CCP 선택 메뉴에서 금속 검출 CCP 선택 아이콘(I2)이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제 금속 검출 CCP 모니터링을 시작하는지 안내 메시지(G)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요 관리점 선택 메뉴 중 금속 검출에 대한 중요 관리점이 선택된 경우, 상기 영상 획득부(120)를 통하여 정상 작동 여부에 대한 테스트 증빙 영상 및 시료의 금속 검출 결과와 관련된 증빙 영상을, 상기 영상 획득부(120)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만약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영상 획득부(120)를 통하여 상기 증빙 영상을 입력 받지 않은 경우, 다음 단계로의 진행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Fe 금속 검출기가 이상 없이 작동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금속 검출기에 Fe 2.0mm 테스트 피스를 올리고 테스트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금속 검출기 자체의 오류를 배제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e 2.0mm 테스트 피스 검사 결과에 대한 증빙 영상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증빙 영상 입력 전에는 Next 아이콘이 비활성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증빙 영상 입력 전에는 다음 단계로의 진행이 차단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제스쳐를 통하여 상기 영상 획득부(120)를 구동하여 테스트 피스(t) 검사 결과를 촬영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로써, 증빙 영상이 누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금속 검출기 자체의 이상이 없는 경우, 시료 내에 금속이 포함되었는지 실제 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검사 결과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I)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제스쳐 입력을 통하여 검사 결과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검사 결과에 대한 증빙 영상을 입력받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증빙 영상이 입력되기 전에는 Next 아이콘이 비활성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제스쳐를 통하여 상기 영상 획득부(120)를 구동하여 시료(s) 검사 결과를 촬영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로써, 증빙 영상이 누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다음 금속 검출 CCP 모니터링 스케쥴 안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Fe 금속 검출 절차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방법은 Fe 뿐 아니라 Sus 등 다양한 금속 검출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가열 CCP 관리 및 금속 검출 CCP 관리를 설명하였다. CCP 관리 이후, 상기 제어부는 보고서 작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도 3에 도시된 화면에서 보고서 작성 아이콘(I3)을 선택하는 경우 보고서 작성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작성 일자, 중요 관리점 판정 결과,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획득된 중요 관리점 증빙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작성된 보고서를 통신부를 통하여 관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적인 디지털 자료화가 가능하고 작업 관리의 편의성이 제고되고 관리자가 작업자의 작업 수행 완성도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CCP 관리 판정 결과가 부적합인 경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안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CCP 판정 결과가 부적합인 경우, 가열 온도 또는 가열 시간이 미달인지, 가열 온도 또는 가열 시간이 초과인지, 기계적 고장 때문인지에 따라 맞춤형 해결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금속 검출 CCP 판정 결과가 부적합인 경우, 금속 검출기의 작동 이상인지 및 금속 검출 센서의 감도 이상인지에 따라 맞춤형 해결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문제되는 사항을 해소하고 재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방법은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 예들이 제어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영상 획득부;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중요 관리점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식품 중요 관리점(Critical Control Point)과 관련된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상기 출력된 중요 관리점과 관련된 화면에 대응하는 제스쳐(gesture)를 입력받으며, 상기 중요 관리점 선택 메뉴 중 상기 제스쳐를 통해 선택된 중요 관리점과 관련된 증빙 영상을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입력받는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는 비-접촉식 입력 신호인,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요 관리점 선택 메뉴 중 가열에 대한 중요 관리점이 선택된 경우,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 조건을,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입력받는,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 조건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처리 조건과 관련된 증빙 영상을,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입력받는,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상기 처리 조건과 관련된 증빙 영상을 입력 받지 않은 경우, 다음 단계로의 진행을 차단하는,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요 관리점 선택 메뉴 중 금속 검출에 대한 중요 관리점이 선택된 경우,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정상 작동 여부에 대한 테스트 증빙 영상 및 시료의 금속 검출 결과와 관련된 증빙 영상을,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입력받는,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상기 증빙 영상을 입력 받지 않은 경우, 다음 단계로의 진행을 차단하는,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 관리점과 관련된 화면은, 보고서 작성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고서 작성 메뉴가 선택된 경우, 작성 일자, 중요 관리점 판정 결과,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획득된 중요 관리점 증빙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9.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식품 중요 관리점과 관련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상기 출력된 화면에 대응하는 제스쳐를 비-접촉식으로 입력받는 단계; 및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상기 식품 중요 관리점과 관련된 화면 중 상기 제스쳐를 통해 선택된 중요 관리점과 관련된 증빙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증빙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식품 중요 관리점과 관련된 화면이 가열에 대한 중요 관리점인 경우,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에 대한 증빙 영상을 입력받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증빙 영상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다음 단계로의 진행을 차단하는,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증빙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식품 중요 관리점과 관련된 화면이 금속 검출에 대한 중요 관리점인 경우,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정상 작동 여부에 대한 테스트 증빙 영상 및 시료의 금속 검출 결과와 관련된 증빙 영상을 입력받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증빙 영상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다음 단계로의 진행을 차단하는,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12.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식품 중요 관리점과 관련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상기 출력된 화면에 대응하는 제스쳐를 비-접촉식으로 입력받는 단계; 및
    영상 획득부를 통하여, 상기 식품 중요 관리점과 관련된 화면 중 상기 제스쳐를 통해 선택된 중요 관리점과 관련된 증빙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를 실행시키고,
    상기 증빙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에서, 상기 증빙 영상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다음 단계로의 진행을 차단하도록 매체에 저장된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동 프로그램.
KR1020180016117A 2018-02-09 2018-02-09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동 프로그램 KR102091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117A KR102091314B1 (ko) 2018-02-09 2018-02-09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동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117A KR102091314B1 (ko) 2018-02-09 2018-02-09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동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541A KR20190096541A (ko) 2019-08-20
KR102091314B1 true KR102091314B1 (ko) 2020-03-19

Family

ID=6780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117A KR102091314B1 (ko) 2018-02-09 2018-02-09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동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3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62564B (zh) * 2023-04-04 2023-09-08 重庆海辉星科技有限公司 酒店公共卫生视频监管结果的生成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3366A (ja) * 2002-12-27 2004-07-29 Tribiox Laboratories:Kk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JP2016186728A (ja) * 2015-03-27 2016-10-27 Necソリューションイノベータ株式会社 非接触型入力システム及び光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306A (ko) * 2015-05-12 2016-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피드백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3366A (ja) * 2002-12-27 2004-07-29 Tribiox Laboratories:Kk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JP2016186728A (ja) * 2015-03-27 2016-10-27 Necソリューションイノベータ株式会社 非接触型入力システム及び光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541A (ko) 201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9182B2 (ja) 確認業務支援システム、サーバ装置、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ウェアラブル端末、確認業務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997444B2 (en) Use of human input recognition to prevent contamination
US114499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bined automatic and manual inspection
JP6783651B2 (ja) 医療用デバイスの処方を管理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6735655B2 (ja) 電子検査室ジャーナルへの入力情報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
KR101968850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기록 매체
US9551597B2 (en) Measurement system with image capture capabilities
KR102091314B1 (ko)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식품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동 프로그램
JP5371674B2 (ja) 試験装置
US11682113B2 (en) Multi-camera visual inspection appliance and method of use
KR101964805B1 (ko) 머신 비전을 위한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5699387A (zh) 电子产品外观缺陷检测系统
TWI498844B (zh) 工程工具
US20190303114A1 (en) Program creating apparatus, program creat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11416064B2 (en) Alerts with augmented reality
JP4813071B2 (ja) マクロ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マクロ画像表示方法
JP2020101880A (ja) 検査管理システム
CN104459516A (zh) 一种用于smt首件检测的测试方法
KR20150014570A (ko) 모바일 기반 공장설비 점검시스템의 운용방법
JP6367736B2 (ja) 検査支援装置
KR101572927B1 (ko) 검사공정에서의 원격 모니터링 방법
JP2021105804A (ja) 検査管理システム
JP2012003384A (ja) 運転操作履歴監視装置
JP2023077057A (ja) 外観検査装置及び外観検査方法
JP2014164455A (ja) 保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