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221B1 - 전기화학발광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화학발광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221B1
KR102091221B1 KR1020180069966A KR20180069966A KR102091221B1 KR 102091221 B1 KR102091221 B1 KR 102091221B1 KR 1020180069966 A KR1020180069966 A KR 1020180069966A KR 20180069966 A KR20180069966 A KR 20180069966A KR 102091221 B1 KR102091221 B1 KR 102091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d
aqueous solution
electrochemiluminescence
nanocluster
glutathi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2814A (ko
Inventor
김주훈
송재규
김준명
정성현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69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221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2Use of particular materials as binders,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5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copper, silver or g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20/00Nanooptics, e.g. quantum optics or photonic crys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금 나노클러스터의 표면에 상기 글루타티온이 결합된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중 영가(zero valent) 금의 함량은 30중량% 이상이고, 상기 복합체는 근적외선 영역에서 전기화학발광 특성을 가지는 전기화학발광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화학발광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 및 그 제조방법{AN AQUEOUS SOLUTION OF GOLD NANOCLUSTER HAVING ELECTROCHEMILUMINESCE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화학발광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적외선 영역에서 전기화학발광 특성을 가지는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화학발광(electrochemiluminescence, ECL)은 광발광(photoluminescence, PL)과 화학발광(chemiluminescence, CL)과 같은 다른 발광 특성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므로 근본적인 메커니즘 및 적용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기화학발광의 우수한 특성, 예를 들어, 백그라운드 노이즈가 거의 없고, 시공간 제어성이 우수하며, 견고하고 경제적인 특성은 광범위한 분석 응용 분야, 특히, 바이오 분석 및 바이오 이미징 분야에서 구현되어 왔다.
또한, 전기화학발광의 응용 분야를 넓히기 위해, 양자점, 탄소 도트 및 금속 나노클러스터를 포함하는 나노물질 기반의 전기화학발광 시스템이 연구되었다. 지금까지 연구된 나노물질 기반의 전기화학발광 시스템 중 금 나노클러스터(nano nanocluster, NCs)는 낮은 생물학적 독성, 조정 가능하고 단분산된 광학적/전기화학적 특성 및 높은 안정성 등의 유리한 특성으로 인해 전기화학발광체로 각광받았다.
또한, 근적외선(near-IR) 영역에서의 전기화학발광은 근적외선 영역에서 조직 흡수 및 생물학적 백그라운드 발광이 최소화되므로, 특히, 바이오 센싱 및 바이오 이미징 분야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관련하여, 유기티올레이트로 안정화된 유기용해성 금 나노클러스터로부터 생성된 근적외선 전기화학발광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유기티올레이트로 안정화된 금 나노클러스터의 근적외선 전기화학발광은 근적외선 영역에서의 강한 광발광과 연관된다. 최근 높은 양자 효율의 근적외선 광발광을 가지는 수용성 리포산으로 안정화된 금 나노클러스터가 근적외선 전기화학발광 특성을 가진다고 보고된 바 있다. 다만, 최근까지 금 나노클러스터의 근적외선 전기화학발광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금 나노클로스터의 근적외선 전기화학발광에 대한 근본적인 연구가 더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글루타티온(glutathione)으로 안정화된 금 나노클러스터(gold nanocluster)의 전기화학발광이 근적외선 영역에서 발생하는 현상과,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의 근적외선 전기화학발광의 근원을 규명함으로써 근적외선 영역에서 전기화학발광 특성이 두드러지는 금 나노클러스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종래 글루타티온을 기반으로 제조된 금 나노클러스터 복합체가 나타내는 가시광 영역대의 광발광을 활용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근적외선 전기화학발광을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금 나노클러스터의 표면에 상기 글루타티온이 결합된 복합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있어서,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중 영가(zero valent) 금의 함량은 30중량% 이상이고, 상기 복합체는 근적외선 영역에서 전기화학발광 특성을 가지는 전기화학발광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의 전기화학발광 스펙트럼은 근적외선 영역에서 단일의 피크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영역의 파장은 750~1,000n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a) 금 염 및 글루타티온을 물에 용해시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혼합물에 환원제를 첨가하여 영가(zero valent) 금의 함량이 80중량% 이상인 금 나노클러스터의 표면에 상기 글루타티온이 결합된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체는 근적외선 영역에서 전기화학발광 특성을 가지는 전기화학발광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는 NaBH4 수용액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 중 NaBH4의 농도는 10mM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의 전기화학발광 스펙트럼은 근적외선 영역에서 단일의 피크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영역의 파장은 750~1,000n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금 나노클러스터의 표면에 상기 글루타티온이 결합된 복합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있어서,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중 영가(zero valent) 금의 함량, 즉,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의 원자가 상태(valence state)를 일정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가 수용액에서 안정하게 분산된 상태로 근적외선 영역에서 우수한 전기화학발광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는 생체조직 투과력이 우수한 근적외선 영역의 전기화학발광 특성을 가지므로 생체조직 이미징 등의 의료진단 분야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비교예에 따른 글루타티온으로 안정화된 금 나노클러스터의 TEM 이미지, 크기 분포 및 광발광 스펙트럼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비교예에 따른 글루타티온으로 안정화된 금 나노클러스터의 전기화학발광-포텐셜 곡선 및 전기화학발광 스펙트럼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글루타티온으로 안정화된 금 나노클러스터의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스펙트럼 및 전기화학발광 스펙트럼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글루타티온으로 안정화된 금 나노클러스터의 전기화학발광 스펙트럼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글루타티온으로 안정화된 금 나노클러스터의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스펙트럼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금 나노클러스터의 표면에 상기 글루타티온이 결합된 복합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있어서,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중 영가(zero valent) 금의 함량은 30중량% 이상이고, 상기 복합체는 근적외선 영역에서 전기화학발광 특성을 가지는 전기화학발광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금 나노클러스터"는 영가 또는 다가의 복수의 금 원자가 상호 응집된 상태로 존재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는 수용액 중에서 단분산된 상태로 존재하며, 상기 수용액은 근적외선 영역에서 전기화학발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가시광 영역에서 광발광 특성을 가지는 금 나노클러스터는 근적외선 영역에서 전기화학발광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복합체는 양극 공반응물과 함께 산화환원 경로를 통해 근적외선 영역에서 전기화학발광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복합체의 전기화학발광 스펙트럼은 약 750~1,000nm, 바람직하게는, 약 800nm의 파장에서 강한 단일의 피크를 가질 수 있다. 반면, 상기 복합체의 광발광은 약 610nm의 가시광 영역에서 최대 피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양극 공반응물은 트리메틸아민(TMA), 트리에틸아민(TEA), 트리프로필아민(TPrA), 2-(다이메틸아미노)에탄올(DMAE), 2-(다이에틸아미노)에탄올(DEAE), 2-(다이부틸아미노)에탄올(DBAE), N,N-다이에틸에틸렌다이아민(DEDA)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틸아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의 원자가 상태는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의 전기화학발광 강도와 파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의 약 610nm에서의 강한 광발광 피크는 응집유도발광(Aggregation induced emission, AIE) 경로에 의한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중 1가 금-글루타티온 복합체에 기인한 것일 수 있고, 약 800nm에서의 강한 전기화학발광 피크는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중 영가 금-글루타티온 복합체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중 영가 금의 함량은 3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 유리하게는, 90중량%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a) 금 염 및 글루타티온을 물에 용해시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혼합물에 환원제를 첨가하여 영가(zero valent) 금의 함량이 80중량% 이상인 금 나노클러스터의 표면에 상기 글루타티온이 결합된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체는 근적외선 영역에서 전기화학발광 특성을 가지는 전기화학발광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환원제는 NaBH4 수용액일 수 있고,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 중 NaBH4의 농도는 10mM 이상, 바람직하게는, 13m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6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수요액 중 상기 NaBH4의 농도가 10mM 미만이면 상기 복합체의 전기화학발광 스펙트럼이 근적외선 영역에서 강한 피크뿐만 아니라 약 610nm에서 약한 피크(숄더 피크)도 가지므로 상기 NaBH4의 농도를 10mM 이상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NaBH4의 농도가 13mM 이상이면 약 610nm에서의 약한 피크가 실질적으로 완전히 소멸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비교예
20mM HAuCl4 수용액 2mL 및 100mM L-글루타티온 0.6mL를 초순수 17.4mL에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1분 간 격렬히 교반하여 혼합물을 생성하였고, 상기 혼합물을 70℃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글루타티온으로 안정화된 금 나노클러스터가 수중에 분산된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중 영가 금의 함량은 27중량%이다.
실시예 1
20mM HAuCl4 수용액 2mL 및 100mM L-글루타티온 0.6mL를 초순수 17.4mL에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1분 간 격렬히 교반하여 혼합물을 생성하였고, 상기 혼합물을 70℃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글루타티온으로 안정화된 금 나노클러스터가 수중에 분산된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중 영가 금의 함량은 27중량%이다.
상기 수용액 15mL에 0.55M NaBH4 수용액 300μL를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격렬히 교반한 후 추가로 상온에서 6일 동안 에이징하여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중 영가 금을 추가로 환원시켜 영가 금의 함량이 약 31중량%이고, NaBH4의 농도가 11mM인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20mM HAuCl4 수용액 2mL 및 100mM L-글루타티온 0.6mL를 초순수 17.4mL에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1분 간 격렬히 교반하여 혼합물을 생성하였고, 상기 혼합물을 70℃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글루타티온으로 안정화된 금 나노클러스터가 수중에 분산된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중 영가 금의 함량은 27중량%이다.
상기 수용액 15mL에 0.6M NaBH4 수용액 300μL를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격렬히 교반한 후 추가로 상온에서 6일 동안 에이징하여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중 영가 금을 추가로 환원시켜 영가 금의 함량이 약 42중량%이고, NaBH4의 농도가 12mM인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20mM HAuCl4 수용액 2mL 및 100mM L-글루타티온 0.6mL를 초순수 17.4mL에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1분 간 격렬히 교반하여 혼합물을 생성하였고, 상기 혼합물을 70℃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글루타티온으로 안정화된 금 나노클러스터가 수중에 분산된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중 영가 금의 함량은 27중량%이다.
상기 수용액 15mL에 0.65M NaBH4 수용액 300μL를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격렬히 교반한 후 추가로 상온에서 6일 동안 에이징하여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중 영가 금을 추가로 환원시켜 영가 금의 함량이 약 62중량%이고, NaBH4의 농도가 13mM인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20mM HAuCl4 수용액 2mL 및 100mM L-글루타티온 0.6mL를 초순수 17.4mL에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1분 간 격렬히 교반하여 혼합물을 생성하였고, 상기 혼합물을 70℃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글루타티온으로 안정화된 금 나노클러스터가 수중에 분산된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중 영가 금의 함량은 27중량%이다.
상기 수용액 15mL에 0.8M NaBH4 수용액 300μL를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격렬히 교반한 후 추가로 상온에서 6일 동안 에이징하여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중 영가 금을 추가로 환원시켜 영가 금의 함량이 약 94중량%이고, NaBH4의 농도가 16mM인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도 1은 상기 비교예에 따른 글루타티온으로 안정화된 금 나노클러스터의 TEM 이미지, 크기 분포 및 광발광 스펙트럼이다.
도 1A을 참고하면, 상기 비교예에서 제조된 금 나노클러스터는 수중에 양호하게 분산되어 크기 측면에서 단분산된 상태이다.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의 입도는 2nm 미만, 바람직하게는, 1.2±0.1nm이다.
도 1B를 참고하면, 상기 비교예에서 제조된 금 나노클러스터는 약 610nm에서 강한 피크가, 약 790nm에서 약한 피크가 나타난다. 약 610nm에서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의 강한 광발광 피크는 응집유도발광(Aggregation induced emission, AIE) 경로에 의한 나노클러스터 표면에서 존재하는 1가 금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험예 2
도 2 내지 도 4는 상기 비교예에 따른 글루타티온으로 안정화된 금 나노클러스터의 전기화학발광-포텐셜 곡선 및 전기화학발광 스펙트럼이다. 상기 비교예에서 제조된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의 전기화학발광 특성은 전해질인 0.1M KNO3의 존재하에서 측정되었다.
도 2A의 전기화학발광-포텐셜 곡선을 참고하면, 상기 비교예에서 제조된 금 나노클러스터는 양극 공반응물인 트리에틸아민(TEA)의 존재하에서 강한 양극(anodic) 전기화학발광 특성을 가진다. 또한, 도 3을 참고하면, 음극 공반응물인 H2O2 또는 S2O8 2-를 이용하여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의 음극(cathodic) 전기화학발광 특성을 관찰하였으나, S2O8 2-의 존재하에서는 약한 전기화학발광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의 양극 전기화학발광 특성을 다양한 양극 공반응물 존재하에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고하면, 양극 공반응물로 트리메틸아민(TMA), 트리에틸아민(TEA), 트리프로필아민(TPrA), 2-(다이메틸아미노)에탄올(DMAE), 2-(다이에틸아미노)에탄올(DEAE), 2-(다이부틸아미노)에탄올(DBAE) 및 N,N-다이에틸에틸렌다이아민(DEDA)이 사용되었고, 이 중 TEA가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 2B는 0.1M KNO3를 함유하는 물에서 0.5M TEA로 1.30V의 전위에서 얻어진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의 양극 전기화학발광 스펙트럼이다(스캔 속도: 25mV s-1). 도 2B를 참고하면,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의 광발광 스펙트럼과는 달리, 전기화학발광 스펙트럼은 약 800nm에서 강한 근적외선 발광 피크를 나타내고, 약 620nm에서 약한 피크를 나타낸다.
또한, 스풀링 전기화학발광 분광기를 추가로 적용하여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의 피크 파장과 전기화학발광 강도의 변화를 인가된 전위의 함수로 추적하였고, 그 결과를 도 2C에 나타내었다. 도 2C는 10 mV s-1의 스캔 속도에서 0.00V~1.60V까지의 전위 주사 동안 5 초 간격으로 얻어진 스풀링 전기화학발광 스펙트럼이다. 도 2C를 참고하면, 개시 발광은 약 800nm의 피크 파장에서 0.75V의 전위에서 관찰되었다. 더 많은 양의 전위를 인가하면 전기화학발광 강도가 증가하여 1.20V에서 최대값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전기화학발광 스펙트럼은 약 800nm를 중심으로 하나의 단일 피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약 620nm의 피크 파장에서 0.90V의 전위에서 다른 약한 피크가 개시되었다. 즉,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는 0.75V의 전위에서 시작하여 약 800nm에 중심을 둔 강한 근적외선 전기화학발광 피크를 가지며, 인가된 전위가 더 많은 양의 전위로 확장됨에 따라 약 620nm에서 약한 전기화학발광 피크를 가진다.
도 1B 및 도 4를 통해, 상기 비교예에서 제조된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의 광발광 특성과 전기화학발광 특성은 상반됨을 알 수 있다.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의 강한 근적외선 전기화학발광 피크 파장은 약한 광발광 피크 파장과 거의 일치하므로, 약 800nm에서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의 강한 근적외선 전기화학발광은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중 영가 금-글루타티온 복합체에서 유래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또한, 약 620nm에서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의 약한 근적외선 전기화학발광은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의 표면에서 약 610nm에서의 광발광에 관여하는 1가 금-글루타티온 복합체에서 유래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중 영가 금-글루타티온 복합체의 전기화학적 산화 전위가 1가 금-글루타티온 복합체에 비해 더 낮기 때문에, 약 800nm에서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의 근적외선 전기화학발광을 위한 개시 전위가 약 620nm에서의 그것에 비해 더 낮다는 점을 확인한 바, 이러한 가정은 매우 타당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험예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글루타티온으로 안정화된 금 나노클러스터의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스펙트럼 및 전기화학발광 스펙트럼이다(Au(4f5/2), Au(4f7/2)). 도 5에서, i 및 ii는 각각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에 대한 스펙트럼이고, iii은 Cd2+ 다가 양이온으로 양이온 유도응집된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에 대한 스펙트럼이다. 상기 양이온 유도응집은 금 나노클러스터-글루타티온 복합체에서 특정 다가 양이온과 1가 카르복실 음이온 사이의 정전기적 및 배위 상호작용의 높은 친화성을 이용하여 복합체 내부 또는 복합체 간 가교에 따른 것이다.
도 5A를 참고하면, 환원제에 의해 금 나노클러스터 중 영가 금의 함량이 증가한 실시예 4의 금 나노클러스터는 비교예 및 양이온 유도응집된 금 나노클로스터에 비해 결합에너지가 낮다. 이는 실시예 4의 금 나노클러스터가 전자를 잃기 쉽고, 이에 따라 근적외선 영역에서의 전기화학발광 특성이 비교예 및 양이온 유도응집된 금 나노클러스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도 5B를 참고하면, 실시예 4의 금 나노클러스터의 전기화학발광 스펙트럼은 약 800nm에서 단일의 강한 근적외선 전기화학발광 피크를 나타내고 약 620nm에서는 어떠한 피크도 나타내지 않는다. 반면, 양이온 유도응집된 금 나노클러스터는 무시가능한 강도의 근적외선 전기화학발광을 나타내는 가운데 약 620nm에서 약한 피크(숄더 피크)를 가진다.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4의 금 나노클러스터의 800nm 에서의 강한 근적외선 전기화학발광은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표면의 영가 금-글루타티온 복합체에 기인한 것인 반면에,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중 1가 금-글루타티온 복합체는 620nm에서의 약한 전기화학발광에 관여함을 알 수 있다. 즉, 금 나노클러스터의 원자가 상태가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의 전기화학발광 강도 뿐만 아니라 전기화학발광 파장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글루타티온으로 안정화된 금 나노클러스터의 전기화학발광 스펙트럼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 중 환원제인 NaBH4의 농도가 11mM에서 16mM로 증가함에 따라 약 620nm에서 약한 피크(숄더 피크)가 점차 약화되고, 특히, 13mM 이상인 경우 상기 약한 피크가 완전히 소멸되었다. 또한,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 중 NaBH4의 농도가 11mM에서 16mM로 증가함에 따라 약 800nm에서 근적외선 전기화학발광 피크가 점차 강화됨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글루타티온으로 안정화된 금 나노클러스터의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스펙트럼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 중 환원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금 나노클러스터 중 영가 금의 함량이 증가하고, 결합에너지가 감소하였다. 특히, 금 나노클러스터 중 영가 금의 함량이 가장 많은 실시예 4의 금 나노클러스터는 실시예 1~3, 비교예 및 양이온 유도응집된 금 나노클로스터에 비해 결합에너지가 낮다. 이는 실시예 4의 금 나노클러스터가 전자를 잃기 쉽고, 이에 따라 근적외선 영역에서의 전기화학발광 특성이 비교예 및 양이온 유도응집된 금 나노클러스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금 나노클러스터의 표면에 글루타티온이 결합된 복합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은 환원제를 포함하고,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중 영가(zero valent) 금의 함량은 30중량% 이상이고,
    상기 복합체는 근적외선 영역에서 전기화학발광 특성을 가지고,
    상기 복합체의 전기화학발광 스펙트럼은 근적외선 영역에서 단일의 피크를 가지고,
    상기 근적외선 영역의 파장은 750~1,000㎚인 전기화학발광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
  2. 삭제
  3. 삭제
  4. 전기화학발광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금 염 및 글루타티온을 물에 용해시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혼합물에 환원제를 첨가하여 영가(zero valent) 금의 함량이 80중량% 이상인 금 나노클러스터의 표면에 상기 글루타티온이 결합된 복합체를 형성한 후 에이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액은 환원제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체는 근적외선 영역에서 전기화학발광 특성을 가지고,
    상기 복합체의 전기화학발광 스펙트럼은 근적외선 영역에서 단일의 피크를 가지고,
    상기 근적외선 영역의 파장은 750~1,000㎚인 전기화학발광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는 NaBH4 수용액인 전기화학발광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 중 NaBH4의 농도는 10mM 이상인 전기화학발광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80069966A 2018-06-19 2018-06-19 전기화학발광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 및 그 제조방법 KR102091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966A KR102091221B1 (ko) 2018-06-19 2018-06-19 전기화학발광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966A KR102091221B1 (ko) 2018-06-19 2018-06-19 전기화학발광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814A KR20190142814A (ko) 2019-12-30
KR102091221B1 true KR102091221B1 (ko) 2020-03-19

Family

ID=6910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966A KR102091221B1 (ko) 2018-06-19 2018-06-19 전기화학발광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2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7132B (zh) * 2020-09-23 2021-07-09 山东大学 一种光谱型的近红外电化学发光免疫传感器的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7642A (ja) 2003-09-22 2005-04-14 Tanaka Kikinzoku Kogyo Kk 貴金属−金属酸化物複合クラスター
WO2018036078A1 (zh) 2016-08-23 2018-03-01 红婴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配位子键结的金纳米团簇的溶液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295B1 (ko) * 2015-05-15 2017-11-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 특성이 뛰어난 금 클러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45153B1 (ko) * 2016-05-12 2018-04-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발광 금 나노 클러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7642A (ja) 2003-09-22 2005-04-14 Tanaka Kikinzoku Kogyo Kk 貴金属−金属酸化物複合クラスター
WO2018036078A1 (zh) 2016-08-23 2018-03-01 红婴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配位子键结的金纳米团簇的溶液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814A (ko) 201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Near-infrared aggregation-induced enhanced electrochemiluminescence from tetraphenylethylene nanocrystals: a new generation of ECL emitters
CN111849467B (zh) 红外ii区荧光金纳米团簇及其制备和应用
Cao et al. Quantum dots with highly efficient, stable, and multicolor electrochemiluminescence
Yan et al. Facile synthesis of water-soluble WS2 quantum dots for turn-on fluorescent measurement of lipoic acid
Li et al. Ultra-small fluorescent inorganic nanoparticles for bioimaging
Liu et al. Carbon quantum dots directly generated from electrochemical oxidation of graphite electrodes in alkaline alcohols and the applications for specific ferric ion detection and cell imaging
Liu et al. Boron nitride quantum dots with solvent‐regulated blue/green photoluminescence and electrochemiluminescent behavior for versatile applications
Roy et al. Photoluminescent carbon nanodots: synthesi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alytical applications
Aldeek et al. Growth of highly fluorescent polyethylene glycol-and zwitterion-functionalized gold nanoclusters
Tsukasaki et al. Synthesis and optical properties of emission-tunable PbS/CdS core–shell quantum dots for in vivo fluorescence imaging in the second near-infrared window
Moon et al. Facile and purification-free synthesis of nitrogenated amphiphilic graphitic carbon dots
Mao et al. Study on the fluorescence characteristics of carbon dots
Kameyama et al. Crystal phase-controlled synthesis of rod-shaped AgInTe 2 nanocrystals for in vivo imaging in the near-infrared wavelength region
KR101623349B1 (ko) 이온성 액체로 캡핑된 양자점 및 이의 제조방법
Yang et al. Ag2Te quantum dots with compact surface coatings of multivalent polymers: ambient one-pot aqueous synthesis and the second near-infrared bioimaging
Huang et al. Recent advances in the synthesis, properties, and biological applications of platinum nanoclusters
Wang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elf-assembled CdHgTe/gelatin nanospheres as stable near infrared fluorescent probes in vivo
Sharma et al. Synthesis of fluorescent molybdenum nanoclusters at ambient temperature and their application in biological imaging
Yin et al. Recent progress in signal enhancement of nanomaterials-based electrochemiluminescence systems
Kumar et al. A review on plant derived carbon quantum dots for bio-imaging
Santiago-González et al. Synthesis of water-soluble gold clusters in nanosomes displaying robust photoluminescence with very large Stokes shift
An et al. The preparation of CuInS2-ZnS-glutathione quantum dots and their application on the sensitive determination of cytochrome c and imaging of HeLa cells
KR102091221B1 (ko) 전기화학발광 금 나노클러스터 수용액 및 그 제조방법
Bhandari et al. Chemical reactions involving the surface of metal chalcogenide quantum dots
US9846161B2 (en) Water soluble nanocrystalline quantum dots capable of near infrared emis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