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159B1 - 도킹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도킹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159B1
KR102091159B1 KR1020130075845A KR20130075845A KR102091159B1 KR 102091159 B1 KR102091159 B1 KR 102091159B1 KR 1020130075845 A KR1020130075845 A KR 1020130075845A KR 20130075845 A KR20130075845 A KR 20130075845A KR 102091159 B1 KR102091159 B1 KR 102091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king station
mobile terminal
docking
module
dock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8972A (ko
Inventor
이경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5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159B1/ko
Publication of KR20150008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지지하는 도킹 모듈을 포함하는 도킹 스테이션에 있어서, 상기 도킹 모듈은 이동 단말기와 체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멤버 및 상기 제1 멤버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멤버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2 멤버를 포함하여, 다양한 기종의 이동 단말기와 호환됨과 동시에 도킹 스테이션에 결합된 이동 단말기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킹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와 결합되는 도킹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최근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기 용이해야 하기 때문에 소형화되는 추세이고, 한정된 크기의 단말기에서 상기와 같이 기능들을 최적화시키기에는 한계가 따른다.
특히, 보다 좋은 음향으로 음악을 감상하거나 보다 큰 영상으로 동영상을 감상하기 위해선 더 큰 출력 모듈(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등)이 장착되어야 하는데 이를 이동 단말기에 장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 도킹 스테이션(휴대폰 도킹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공개특허 10-2012-0063412 등 참조).
하지만, 이동 단말기는 제조사에 따라 충전 단자나 USB jack 등 인터페이스부의 형상이 제각각으로 제작되어 이동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도킹 스테이션을 이용하여야 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기종의 이동 단말기와 호환될 수 있는 도킹 스테이션의 구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안착된 이동 단말기가 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으며, 임의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도킹 모듈을 구비하는 도킹 스테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킹 스테이션은 이동 단말기를 지지하는 도킹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도킹 모듈은 이동 단말기와 체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멤버 및 상기 제1 멤버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멤버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2 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멤버의 하면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멤버는 상기 홈에 맞물리도록 상기 제1 멤버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제1 멤버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높이만큼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멤버는 상기 제2 멤버에 안착되는 몸체 및 상기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멤버는 상기 몸체의 외주에 접하고 상기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 멤버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도킹 스테이션 몸체에 결합되는 샤프트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도킹 스테이션은 이동 단말기와 체결되는 결합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다양한 기종의 이동 단말기와 호환될 수 있다. 또한, 도킹 모듈의 회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어 도킹 스테이션에 결합된 이동 단말기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이동 단말기가 결합된 상태의 도킹 스테이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킹 모듈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Ⅳ-Ⅳ를 통해 들여다 본 도킹 모듈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이동 단말기가 결합된 상태의 도킹 스테이션(200)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200)의 평면도이다.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따른 구성은 이동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면 상기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킹 스테이션(200)은 이동 단말기와 기계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구현된다. 도킹 스테이션 몸체(201)에는 스피커나 디스플레이와 같은 출력 모듈이 장착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스피커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향하는 방향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영상 정보를 확인하며 음악을 들을 수 있다. 하지만, 스피커의 위치는 어느 일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스피커는 정면 및 측면에 각각 장착되어 여러 방향에서 같은 음량 및 음질로 음악을 들을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는 도킹 스테이션(200)이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어 각지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킹 스테이션 몸체(201)는 원통형 또는 구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 몸체(201)가 원통형 또는 구형을 이룰 경우 스피커는 몸체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몸체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 몸체(201)에는 손으로 돌려서 음향을 조절하는 스위치들 및 터치를 감지하여 여러가지 모드를 조정하는 터치 스위치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200) 몸체의 뒷면에는 이동 단말기를 받치는 지지부재(202)가 장착될 수 있다. 지지부재(202)는 지지부재 틀(203)에 인입되어 있다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틀 밖으로 인출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재(202)는 도킹 모듈(300)의 동작에 반응하여 동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킹 모듈(300)에는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되고 이동 단말기가 도킹 모듈(300)에 장착되면 지지부재(202)가 틀 밖으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안착된 이동 단말기를 회전시키기 위해 도킹 모듈(300)을 외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지지부재(202)는 다시 틀 안쪽으로 인입된다.
도킹 스테이션(200)의 일면에는 도킹 모듈(300)이 장착된다. 도킹 모듈(300)은 상기 일면과 작은 틈을 가지고 이격되어 상기 일면과 상대 회전한다. 도킹 모듈(300)에는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와 체결되는 결합부가 존재한다. 결합부는 도킹 스테이션(200)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고, 도킹 모듈(300)이 회전할 때 회전축을 이룬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킹 모듈(300)은 이동 단말기가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이 제한된다. 즉, 이동 단말기가 도킹 모듈(300)에 안착된 상태에서 도킹 모듈(300)은 잠금 상태가 되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살짝 들어올려 도킹 모듈(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야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도킹 모듈(300)의 세부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킹 모듈(300)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킹 모듈(300)은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제1 멤버(311) 및 제2 멤버(321)를 포함한다.
제1 멤버(311)는 제2 멤버(321)에 안착되어 상대 회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돌기(313)와,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부 등을 포함한다.
몸체는 원통 형상 또는 원판 형상을 이룬다. 몸체의 하측부는 일부가 제2 멤버(321)의 안쪽으로 인입되어 안착된다. 즉, 제2 멤버(321)의 상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몸체의 측면에는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돌기(313)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걸림돌기(313)는 부채꼴 형상으로 돌출된다. 걸림돌기(313)는 제2 멤버(321)의 제한돌기(323)와 동일 원주상에 배치된다. 제한돌기(323)에 의하여 걸림돌기(313)가 특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며 USB 잭이 한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여 케이블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몸체에는 이동 단말기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존재한다. 결합부는 USB 잭 또는 충전 케이블 등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단자(34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결합부는 몸체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일면에 상기 결합단자(340)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돌출벽(312)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의 하면은 제3 멤버(331)와 결합될 수 있다. 제3 멤버(331)의 하면에는 케이블이 통과하는 홈이 존재한다. 제1 멤버(311)와 제3 멤버(331) 사이에는 제2 멤버(321)가 배치된다. 제1 멤버(311)와 제3 멤버(331) 사이의 공간은 제2 멤버(321)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2 멤버(321)가 상기 공간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몸체의 측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샤프트(322)가 형성된다. 샤프트(322)는 도킹 스테이션(200) 몸체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킹 스테이션(200) 몸체 내부에는 상기 샤프트(322)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샤프트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322)는 샤프트 홈에 안착된 상태로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샤프트(322)와 도킹 스테이션(200)이 결합되어 도킹 모듈(300)이 틸트(tilt)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이동 단말기가 도킹 스테이션(200) 몸체에 안착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Ⅳ-Ⅳ를 통해 들여다 본 도킹 모듈(300)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도킹 모듈(300)의 내부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 멤버(311)의 몸체는 제2 멤버(321)에 안착된다. 제1 멤버(311)와 제2 멤버(321)의 접촉면에는 제1 멤버(311)의 임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돌기와 홈이 형성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2 멤버(321)의 상면에 제1 부재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323)가 존재하고, 제1 멤버(311)의 하면에 상기 돌기와 맞물리는 홈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멤버(311)의 하면에 제2 멤버(321)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제2 멤버(321)의 상면에 제1 멤버(311)의 돌기와 맞물리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에서 제1 멤버(311)를 향한다는 표현이나 제2 멤버(321)를 향한다는 표현은 돌출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선으로 비스듬히 돌출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2 멤버(321)의 상면은 걸림돌기(313)와 접하여 상대이동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에서 높이 방향(도 4에선 아래방향)으로 단차를 갖고 형성되는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멤버(311)의 몸체는 제2면에 접하고 걸림돌기(313)는 제1면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제2면에는 임의 이동을 방지하는 돌기가 형성되고, 제1면에는 한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한돌기(323)가 형성된다.
제3 멤버(331)는 제1 멤버(311)의 하면에 결합되며, 제3 멤버(331)와 제1 멤버(311) 사이에 제2 멤버(321)가 배치된다. 제1 멤버(311)와 제3 멤버(331) 사이에는 제2 멤버(321)의 두께보다 큰 공간이 형성되어 제2 멤버(321)가 제1 멤버(311)와 제2 멤버(321)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멤버(321)의 하부에는 탄성부재(352)가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352)는 제2 멤버(321)와 제3 멤버(331) 사이에 배치되어 제2 멤버(321)와 제3 멤버(331) 사이를 이격시킨다. 제3 멤버(331)는 제1 멤버(311)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탄성부재(352)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멤버(311)는 제2 멤버(321)와 밀착된다. 즉,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제1 멤버(311)는 제2 멤버(321)에 밀착되어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잠금 상태란 제1 멤버(311)와 제2 멤버(321)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돌기와 홈이 서로 맞물려 제1 멤버(311)가 임의로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사용자는 제1 멤버(311)를 들어올려 잠금상태를 해제시킨 후 제1 멤버(3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결합되었을 경우 단말기를 살짝 들어올려 도킹 모듈(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 단말기를 회전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352)에 의한 탄성력은 연결단자(340)와 이동 단말기 간의 체결력보다 작게 설정된다.
제2 멤버(321)와 탄성부재(352) 사이에는 링이 배치될 수 있다. 링은 탄성부재(352)의 일단이 제2 멤버(321)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즉, 탄성부재(352)의 일단이 제2 멤버(321)의 하단을 파고 들어 제2 멤버(321)와 결합되는 등 제2 멤버(32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킹 모듈(300)의 성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도킹 스테이션(200)은 이동 단말기와 체결되는 결합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다양한 기종의 이동 단말기와 호환될 수 있다. 또한, 도킹 모듈(300)의 회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어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된 이동 단말기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미디어 기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5)

  1. 이동 단말기를 지지하는 도킹 모듈을 포함하는 도킹 스테이션에 있어서,
    상기 도킹 모듈은,
    이동 단말기와 체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멤버; 및
    상기 제1 멤버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멤버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2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멤버의 하면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멤버는 상기 홈에 맞물리도록 상기 제1 멤버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멤버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높이만큼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스테이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멤버는,
    상기 제2 멤버에 안착되는 몸체; 및
    상기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멤버는,
    상기 몸체의 외주에 접하고 상기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스테이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멤버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도킹 스테이션 몸체에 결합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스테이션.
KR1020130075845A 2013-06-28 2013-06-28 도킹 스테이션 KR102091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845A KR102091159B1 (ko) 2013-06-28 2013-06-28 도킹 스테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845A KR102091159B1 (ko) 2013-06-28 2013-06-28 도킹 스테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972A KR20150008972A (ko) 2015-01-26
KR102091159B1 true KR102091159B1 (ko) 2020-03-19

Family

ID=52572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845A KR102091159B1 (ko) 2013-06-28 2013-06-28 도킹 스테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159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9426A (ko) * 2006-08-28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도킹 스테이션과 이를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972A (ko) 201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56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도킹 스테이션
US9785198B2 (en) Hinge configura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US9201453B2 (en) Self-retracting connector for docking device
US8593798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8300389B2 (en) Module for expanding function of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CN108604109B (zh) 具有支起功能的电子设备
US849460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488408B1 (ko) 자성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070174645A1 (en) Multimedia video and audio player
US8634196B2 (en) Lock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20090107827A1 (en) Electrical volume control using contacts on rotatable connector, and method
CN101184383A (zh) 包括具有用户接口元件的铰链组件的便携式电子设备
US9356408B1 (en) Extensible ports for electronic devices
WO2007111078A1 (ja) 卓上充電器ホルダ
US20160062395A1 (en) Multi-screen display device
KR102604966B1 (ko) 이동 단말기
CN109564448B (zh) 具有活动铰链的带铰链设备
JP6643742B2 (ja) 情報処理装置
US8319755B2 (en) Stylus
KR101731375B1 (ko) 이동 단말기
US20190215393A1 (en) Communication device
US8305364B2 (en) Stylus functioning as joystick and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same
US10615395B2 (en) Battery cap with cut-out sections
EP2395411A2 (en) Computer system and docking station thereof
KR102091159B1 (ko) 도킹 스테이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