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032B1 -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1032B1 KR102091032B1 KR1020190099385A KR20190099385A KR102091032B1 KR 102091032 B1 KR102091032 B1 KR 102091032B1 KR 1020190099385 A KR1020190099385 A KR 1020190099385A KR 20190099385 A KR20190099385 A KR 20190099385A KR 102091032 B1 KR102091032 B1 KR 1020910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fluid
- module
- link
- fib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2040 relaxa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5
- 241001113556 Elod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2—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with cartridges made from a mass of loose granular or fibrous material
-
- B01D29/0027—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7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오염물질이 포함된 유체가 유입되며, 중력에 의해 하강하는 오염물질을 섬유여재를 이용해 여과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 설치되며, 유체 내의 부유물질량을 측정하는 측정모듈과, 상기 측정모듈로부터 부유물질량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부유물질량을 기초로 연산함으로써 BOD 값을 예측하는 연산모듈을 포함하는 센싱부; 및 상기 여과부를 세척하고, 상기 BOD 값에 따라 세척정도가 조절되는 세척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모듈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공간으로 적외선을 조사하여 유체 내의 부유물질량을 측정하는 센서와, 상기 유입공간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변위를 감지하는 자이로센서부와, 상기 변위의 값을 상기 센서에 위치적으로 보상해 주는 액추에이터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거모듈은, 상기 유입공간에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회전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섬유여재는, 유체가 통과하는 방향에 따라 굵기가 감소 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의 오염정도에 따라 섬유사의 세척정도가 조절됨으로써, 세척이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의 오염정도에 따라 섬유사의 세척정도가 조절됨으로써, 세척이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란, 오염수가 중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타공판에 압착시킨 섬유여재 다발을 통과하게 되는 과정으로 오염수에 포함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의 운전은 여과공정과 역세공정으로 나누어진다. 여과공정에서는 오염수에 포함되는 오염물질이 중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섬유여재 다발을 통과함에 따라 여과가 실시된다. 역세 공정에서는 오염수가 설정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섬유여재가 이완됨과 동시에 역세공기가 분사됨으로써 상승격렬수류가 형성되어 섬유 유동에 의한 강한 전단력으로 역세가 실시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의 역세 공정은 오염수의 오염정도에 관계없이 기설정된 주기로 반복적으로 실시된다. 이러한 고정된 역세 과정의 반복 실시에 따르면, 장마철 등 오염수의 오염정도가 매우 낮은 경우에도 동일하게 역세과정이 반복되므로 공정이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입되는 유체의 오염정도에 따라 세척정도가 조절되는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오염물질이 포함된 유체가 유입되며, 중력에 의해 하강하는 오염물질을 섬유여재를 이용해 여과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 설치되며, 유체 내의 부유물질량을 측정하는 측정모듈과, 상기 측정모듈로부터 부유물질량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부유물질량을 기초로 연산함으로써 BOD 값을 예측하는 연산모듈을 포함하는 센싱부; 및 상기 여과부를 세척하고, 상기 BOD 값에 따라 세척정도가 조절되는 세척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모듈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공간으로 적외선을 조사하여 유체 내의 부유물질량을 측정하는 센서와, 상기 유입공간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변위를 감지하는 자이로센서부와, 상기 변위의 값을 상기 센서에 위치적으로 보상해 주는 액추에이터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거모듈은, 상기 유입공간에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회전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섬유여재는, 유체가 통과하는 방향에 따라 굵기가 감소 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여과부에 설치되며, 상기 섬유여재의 상측 및 하측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섬유여재를 이완시키는 링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내부에 설치되어 오염물질을 제거하되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는 여과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모듈은, 상기 섬유여재로 마련되는 섬유부와, 상기 섬유부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1플레이트부와, 상기 섬유부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제2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상측 및 하측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에 연결되며 직선운동함으로써 상기 제1링크를 회동시켜 상기 제1링크가 상기 제1플레이트부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부를 가압하게 하는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를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모듈은, 유체에서 상기 부유물질량의 거동에 따라 변화되는 패턴을 기초로 상기 BOD 값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BOD 값에 따라 회전력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의 오염정도에 따라 섬유사의 세척정도가 조절됨으로써, 세척이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섬유사의 상부 및 하부가 함께 이완됨으로써 역세척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에서 오염원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BOD 값을 확인하기 위해 복잡한 과정을 거칠 필요없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적외선 타입의 부유물질량 측정을 이용하여 BOD 값을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수원의 오염원을 빠른 시간 내에 확인 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수원에 적절한 조치를 적시에 취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의 오염정도에 따라 섬유사의 이완정도를 달리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섬유사를 세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의 구성간 전기적인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의 링크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의 센싱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의 구성간 전기적인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의 링크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의 센싱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지금부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의 구성간 전기적인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의 링크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의 센싱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100)는 여과부(110)와, 센싱부(120)와, 세척부(130)와, 링크부(140)를 포함한다.
여과부(110)는 오염물질이 포함된 유체가 유입되며, 중력에 의해 하강하는 오염물질을 섬유여재를 이용해 여과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센싱부(120)가 내부에 배치되고, 세척부(130) 및 링크부(140)가 설치된다.
여과부(110)는 보다 상세하게, 베이스부(111)와, 여과모듈(112)을 포함한다.
베이스부(111)는 여과부(110)의 외형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수를 공급하는 파이프에 연통되며, 후술하는 여과모듈(112)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한편, 베이스부(111)에는 잔류수 및 역세공정시 발생되는 역세수를 배제하기 위한 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여과모듈(112)은 유체내 포함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여과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베이스부(111) 내부에 설치되되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러한 여과모듈(112)은 보다 상세하게, 섬유부(112a)와, 제1플레이트부(112b)와, 제2플레이트부(112c)를 포함한다.
섬유부(112a)는 섬유여재로 마련되어 유체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베이스부(111) 내부에 배치되되, 제1플레이트부(112b)와 제2플레이트부(112c)에 의해 일측면 및 타측면이 각각 마감된다. 한편, 섬유여재는 유체가 통과하는 방향을 따라 굵기가 감소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섬유부(112a)에 따르면, 섬유여재의 굵기에 따라, 심층여과가 실시되므로 여과 지속시간이 증대되는 동시에 여재폐색으로 인한 수두손실 증가가 최소화 되는 효과가 있다.
제1플레이트부(112b)는 평판형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섬유부(112a)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제1플레이트부(112b)에는 후술하는 링크부(140)가 설치될 수 있고, 링크부(140)의 작동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섬유부(112a)를 이완시킬 수 있다.
제2플레이트부(112c)는 상술한 제1플레이트부(112b)와 마찬가지로 평판형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섬유부(112a)의 타측면에 설치된다. 제2플레이트부(112c)에는 후술하는 링크부(140)가 설치될 수 있고, 링크부(140)의 작동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섬유부(112a)를 이완시킬 수 있다.
센싱부(120)는 유체 내의 오염물질, 즉, 부유물질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부유물질량을 기초로 BOD 값을 예측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베이스부(111)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센싱부(120)는 보다 정확한 부유물질량의 측정을 위해서 오염물질이 적층되기 시작하는 지점인 베이스부(111)의 하측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싱부(120)는, 보다 상세하게, 유체 내의 부유물질량을 측정하는 측정모듈(121)과, 측정모듈(121)로부터 부유물질량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부유물질량을 기초로 연산함으로써 BOD 값을 예측하는 연산모듈(122)을 포함한다.
측정모듈(121)은 유체 내의 부유물질량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유체에 접촉될수 있도록 상술한 베이스부(111) 내부에 배치되며, 후술하는 연산모듈(122)에 연결되어 측정한 부유물질량에 대한 정보를 연산모듈(122)로 전달한다.
부유물질량(SS, Suspended Solids)은 입경 2mm 이하의 물질의 양(㎎/ℓ 또는 ppm)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서 부유물은 물에 용해되지 않고 수중에 현탁되어 있는 유기물 및 유기물을 함유하는 고형물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 부유물은 유체 시료를 공극이 0.1% 인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시킬 때 여과되지 않는 현탁물질을 의미한다.
부유물질량은 유체 시료를 여과시켜서 고형물을 포집하고 건조시킨 후, 그 전후의 무게차에 의해서 고형물의 농도를 구하고 mg/ℓ 또는 ppm의 단위로 나타냄으로써 측정되는데, 최근에 부유물질량은 적외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도 측정이 가능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모듈(121)는 보다 상세하게 본체(121a)와 센서(121b)와 제거모듈(121c)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21a)는 유체가 유입되는 공간인 유입공간(g)을 일단에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후술하는 센서(121b)와 제거모듈(121c)이 설치되며, 센서(121b)에서 생성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후술하는 연산모듈(122)로 전달하는 회로 등이 내부에 설치된다.
유체의 강한 흐름에 따라 본체(121a)에 가진이 발생되는 경우 본체(121a)에 설치된 센서(121b)도 함께 진동되어 부유물질량 측정에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21a)에는 본체(121a)의 흔들림, 진동을 감지하여 물리적으로 진동 값을 센서(121b)에 보상해 주는 장치(자이로센서 및 액추에이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121b)는 유입공간(g)으로 적외선으로 조사하여 유체 내의 부유물질량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베이스부(111)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연산모듈(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한 부유물질량을 연산모듈(122)로 전달한다.
센서(121b)는 보다 상세하게, 유입공간(g)으로 적외선을 조사한 다음 반사되는 적외선을 수광하는 과정에서 유입공간(g)내에 유동되는 유체에 포함되는 오염물질, 즉, 부유물에 의해 적외선이 변화되는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부유물질량을 측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센서(121b)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유체 내 부유물질량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센서(121b)에 따르면 시간에 흐름에 따른 부유물질량에 대한 함수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제거모듈(121c)은 유입공간에 수초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센서(121b)의 센싱을 장애가되는 경우, 수초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수초 등을 제거하는 블레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는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는데, 센서(121b)에서 센싱상황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가 수초 등이 유입공간에 유입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센서(121b)에서 발생되는 알람신호에 의해 블레이드는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후, 블레이드는 모터의 동작에 의해서 회전되는데, 회전에 의해 수초 등이 제거되면, 센서(121b)에서 발생되는 확인신호에 의해 블레이드는 정지하고, 상측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동작하는 제거모듈(121c)에 따르면, 여과부(110) 내에서 부유물질량을 측정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수초 등의 이물질 유입에 의한 센서(121b)의 센싱 오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연산모듈(122)는 측정모듈(121)로부터 부유물질량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부유물질량을 기초로 연산함으로써 BOD 값을 예측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센서(121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예측된 BOD 값을 외부로 표시한다.
부유물질량의 거동은 BOD의 거동과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것으로 연구된 바 있다. 따라서 부유물질량의 거동을 알 수 있는 경우에는 BOD에 대한 거동도 유사한 형태로 예측할 수 있다.
연산모듈(122)은 유체에서 부유물질량의 거동에 따라 변화되는 패턴을 기초로 상기 BOD 값을 예측할 수 있다. 센서(121b)에서 측정되는 실시간 부유물질량 값에 따르면, 시간에 흐름에 따른 부유물질량에 대한 함수값이 도출될 수 있는데, 이러한 함수값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부유물질량의 거동에 해당되는 바, 이 함수값에 유체의 특성 및 여과부(110) 내부의 상태에 대한 가중치를 반영하면, 현재 유체의 BOD 값에 대한 함수값, 즉, 거동이 예측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연산모듈(122)의 예측 연산에 따르면, BOD 값을 확인하기 위해 복잡한 과정을 거칠 필요없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적외선 타입의 부유물질량의 측정을 이용하여 BOD 값을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다.
한편, 연산모듈(122)은 후술하는 세척부(130) 및 링크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연산된 BOD 값을 세척부(130) 및 링크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연산모듈(122)의 전기적인 연결에 의하면, 후술하는 세척부(130)가 BOD 값을 이용하여, 섬유사의 세척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 지며, 후술하는 링크부(140)가 BOD 값을 이용하여 섬유사의 이완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 지는 효과가 있다.
세척부(130)는 상술한 여과부(110)를 세척하도록 본체(121a)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BOD 값에 따라 세척정도가 조절된다.
세척부(130)는 보다 상세하게, 상술한 섬유부(112a)를 구성하는 섬유여재를 세척하는 것으로서 섬유부(112a)의 상측에 설치되어 역세척수를 분사하는 액체노즐(131)과, 섬유부(112a)의 하측에 설치되어 기체를 분사하는 기체노즐(132)과, 상술한 액체노즐(131) 및 기체노즐(13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3)를 포함한다. 제어부(133)는 상술한 연산모듈(122)에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연산모듈(122)로부터 BOD 값을 전달받아, BOD 값에 따라 액체노즐(131)과 기체노즐(132)의 작동 정도(작동 시간, 작동 세기 등)를 조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노즐(131)과, 기체노즐(132)과 제어부(133)를 포함하는 세척부(130)에 따르면, 유체의 오염정도에 따라 섬유사의 세척정도가 조절됨으로써, 세척이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링크부(140)는 섬유여재의 상측 및 하측에 외력을 인가하여 섬유여재를 이완시키는 것으로서, 여과부(110)에 설치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140)는, 보다 상세하게, 제1링크(141)와, 제2링크(142)와, 구동모듈(143)을 포함한다.
제1링크(141)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일단부가 제1플레이트부(112b)의 상측 및 하측 또는 제2플레이트부(112c)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타단부는 후술하는 제2링크(142)에 연결된다. 제2링크(142)는 상술한 제1링크(141)에 연결되며 직선운동함으로써 제1링크(141)를 회동시켜 제1링크(141)가 제1플레이트부(112b) 또는 제2플레이트부(112c)를 가압하게 하는 것으로서, 일단부가 제1링크(141)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후술하는 구동모듈(143)에 연결된다. 구동모듈(143)은 제2링크(142)를 구동하는 것으로서, 모터, 기어 등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링크(141)와 제2링크(142)와 구동모듈(143)을 포함하는 링크부(140)에 따르면, 섬유사의 세척시, 섬유사의 상부 및 하부가 함께 이완, 수축될 수 있어 역세척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구동모듈(143)은 상술한 연산모듈(122)에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연산모듈(122)로부터 BOD 값을 전달받아, BOD 값에 따라 회전력을 조절한다. 이러한 구동모듈(143)에 따르면, 유체의 오염정도에 따라 섬유사의 이완정도가 조절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섬유사가 세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여과부(110)와, 센싱부(120)와, 세척부(130)와, 링크부(14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100)에 따르면, 유체의 오염정도에 따라 섬유사의 세척정도가 조절됨으로써, 세척이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100)에 따르면, 섬유사의 상부 및 하부가 함께 이완됨으로써 역세척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100)에 따르면,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에서 오염원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100)에 따르면, BOD 값을 확인하기 위해 복잡한 과정을 거칠 필요없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적외선 타입의 부유물질량 측정을 이용하여 BOD 값을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수원의 오염원을 빠른 시간 내에 확인 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수원에 적절한 조치를 적시에 취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
110 : 여과부
111 : 베이스부
112 : 여과모듈
112a : 섬유부
112b : 제1플레이트부
112c : 제2플레이트부
120 : 센싱부
121 : 측정모듈
121a : 본체
121b : 센서
121c : 제거모듈
122 : 연산모듈
130 : 세척부
131 : 액체노즐
132 : 기체노즐
133 : 제어부
140 : 링크부
141 : 제1링크
142 : 제2링크
143 : 구동모듈
g : 유입공간
110 : 여과부
111 : 베이스부
112 : 여과모듈
112a : 섬유부
112b : 제1플레이트부
112c : 제2플레이트부
120 : 센싱부
121 : 측정모듈
121a : 본체
121b : 센서
121c : 제거모듈
122 : 연산모듈
130 : 세척부
131 : 액체노즐
132 : 기체노즐
133 : 제어부
140 : 링크부
141 : 제1링크
142 : 제2링크
143 : 구동모듈
g : 유입공간
Claims (5)
- 오염물질이 포함된 유체가 유입되며, 중력에 의해 하강하는 오염물질을 섬유여재를 이용해 여과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 설치되며, 유체 내의 부유물질량을 측정하는 측정모듈과, 상기 측정모듈로부터 부유물질량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부유물질량을 기초로 연산함으로써 BOD 값을 예측하는 연산모듈을 포함하는 센싱부; 및
상기 여과부를 세척하고, 상기 BOD 값에 따라 세척정도가 조절되는 세척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모듈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공간으로 적외선을 조사하여 유체 내의 부유물질량을 측정하는 센서와, 상기 유입공간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변위를 감지하는 자이로센서부와, 상기 변위의 값을 상기 센서에 위치적으로 보상해 주는 액추에이터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거모듈은,
상기 유입공간에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회전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섬유여재는,
유체가 통과하는 방향에 따라 굵기가 감소 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에 설치되며, 상기 섬유여재의 상측 및 하측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섬유여재를 이완시키는 링크부를 더 포함하는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내부에 설치되어 오염물질을 제거하되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는 여과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모듈은,
상기 섬유여재로 마련되는 섬유부와, 상기 섬유부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1플레이트부와, 상기 섬유부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제2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상측 및 하측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에 연결되며 직선운동함으로써 상기 제1링크를 회동시켜 상기 제1링크가 상기 제1플레이트부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부를 가압하게 하는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를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산모듈은,
유체에서 상기 부유물질량의 거동에 따라 변화되는 패턴을 기초로 상기 BOD 값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BOD 값에 따라 회전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9385A KR102091032B1 (ko) | 2019-08-14 | 2019-08-14 |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9385A KR102091032B1 (ko) | 2019-08-14 | 2019-08-14 |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1032B1 true KR102091032B1 (ko) | 2020-03-19 |
Family
ID=69957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9385A KR102091032B1 (ko) | 2019-08-14 | 2019-08-14 |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103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6332B1 (ko) * | 2020-12-31 | 2021-06-18 | 김정환 | 중량법 연속자동 부유물질 측정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5654B1 (ko) * | 2002-02-04 | 2004-11-06 | 주식회사 팬지아이십일 | 부유물질 농도 분석기와 소프트웨어 센서기술을 이용한수처리시설 방류수 유기물질농도 예측시스템 |
KR100476851B1 (ko) * | 2004-05-18 | 2005-03-17 | (주)성신엔지니어링 | 중력식 섬유여과기 |
KR101059410B1 (ko) * | 2010-11-15 | 2011-08-29 | 김미란 | 스크린을 이용한 섬유 여과장치 |
JP2015233236A (ja) * | 2014-06-10 | 2015-12-24 | 三浦工業株式会社 | 河川水濾過装置の遠隔管理制御システム |
-
2019
- 2019-08-14 KR KR1020190099385A patent/KR10209103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5654B1 (ko) * | 2002-02-04 | 2004-11-06 | 주식회사 팬지아이십일 | 부유물질 농도 분석기와 소프트웨어 센서기술을 이용한수처리시설 방류수 유기물질농도 예측시스템 |
KR100476851B1 (ko) * | 2004-05-18 | 2005-03-17 | (주)성신엔지니어링 | 중력식 섬유여과기 |
KR101059410B1 (ko) * | 2010-11-15 | 2011-08-29 | 김미란 | 스크린을 이용한 섬유 여과장치 |
JP2015233236A (ja) * | 2014-06-10 | 2015-12-24 | 三浦工業株式会社 | 河川水濾過装置の遠隔管理制御システム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6332B1 (ko) * | 2020-12-31 | 2021-06-18 | 김정환 | 중량법 연속자동 부유물질 측정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748829B9 (en) | Gravity type fiber filter | |
US632889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rtical and horizontal basket centrifuges | |
Amirtharajah | Optimum backwashing of filters with air scour: a review | |
EP3429719B1 (en) | Improved method for cleaning filtration system media | |
KR100775977B1 (ko) | 고액분리 여과장치 | |
KR102091032B1 (ko) | 중력식 부유물 여과 장치 | |
JP2007130532A (ja) | 温度応答性膜、温度応答性膜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膜ろ過システム | |
CN101341389A (zh) | 用于测试滤膜完整性的方法和装置 | |
JP2013512771A (ja) | 水平棒支持式空隙制御型繊維ろ材フィルターおよび水平棒支持式繊維ろ過装置 | |
US5328598A (en) | Device for filtering contaminated water with means to monitor residual contamination | |
KR102079637B1 (ko) | 중력식 부유물 여과 시스템 | |
CN111573782B (zh) | 水处理设备膜污染控制方法和装置 | |
CN116008466A (zh) | 模块化钻井液常规性能检测系统及测试方法 | |
KR102090598B1 (ko) | 역세척 효율이 향상되는 섬유여과형 오염 저감 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 |
KR101418006B1 (ko) | 막세척지수 측정장치 | |
KR102079635B1 (ko) | 역세척 효율이 향상되는 섬유여과형 오염 저감 장치 | |
CN107670392A (zh) | 一种调偏张紧集成的带式压滤分离系统 | |
FI123096B (fi) | Suodatinasennelma näytteenottoa varten | |
KR20150039965A (ko) |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진방법 | |
KR101155063B1 (ko) | 원심 분리형 필터링 장치 | |
CN206045535U (zh) | 过滤器 | |
CN107670387A (zh) | 一种带有脱水轮系的压滤系统 | |
JP2006192343A (ja) | 洗壜機用濾過装置の運転方法及び洗壜機用濾過装置 | |
KR101226048B1 (ko) | 여과포가 부착된 규조토 드럼을 이용한 여과장치 | |
EP1256384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rtical and horizontal basket centrifug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