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445B1 - Baby Pillow - Google Patents

Baby Pil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445B1
KR102090445B1 KR1020200024901A KR20200024901A KR102090445B1 KR 102090445 B1 KR102090445 B1 KR 102090445B1 KR 1020200024901 A KR1020200024901 A KR 1020200024901A KR 20200024901 A KR20200024901 A KR 20200024901A KR 102090445 B1 KR102090445 B1 KR 102090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infant
auxiliary supports
auxiliary
pi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9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24199A (en
Inventor
이명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리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리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리빙
Priority to KR1020200024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445B1/en
Publication of KR20200024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1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4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시 유아의 머리 및/또는 몸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편안하고 안전한 수면 자세를 유지시킬 수 있는 베개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일정 길이를 갖는 본체: 및 소정 높이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양 측부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제1 및 제2 보조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보조 지지체의 내부에는 이동 가능한 입자의 내부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보조 지지체의 내부 재료는 천연 재료이고, 상기 본체의 양 측부는, 상기 본체의 아래 면인 제1 면의 양 측부이고,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본체에 유아의 머리가 위치될 경우 유아의 발이 향하는 면이고, 상기 각각의 보조 지지체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면의 양 측부 각각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고, 상기 각각의 보조 지지체의 말단부 사이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각각의 보조 지지체는 상기 본체의 상면과 필요시에 접하도록 상기 제1 면을 기준으로 회전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illow capable of restraining the movement of the head and / or body of an infant during sleep to maintain a comfortable and safe sleeping postur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auxiliary supports detachab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of each of the auxiliary supports The interior material of the movable particles can be accommodated therein, the internal material of each of the auxiliary supports is a natural material, and both sides of the body are both sides of the first surface, which is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first surface is a surface facing the infant's feet when the head of the infant is positioned on the main body, and each auxiliary support is provided on each side of each side of the firs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It has a length in an orthogonal direction, and is kept open between the distal ends of each auxiliary support, and each auxiliary suppor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f necessary. So as to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Description

유아용 베개{Baby Pillow}Baby Pillow {Baby Pillow}

본 발명은 유아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면중 유아 신체의 좌우 움직임이나 팔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덮는 이불을 고정함으로서 별도의 속싸개를 사용하지 않고도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유아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for infants, and in particular to a pillow for infants configured to have a good night's sleep without using a separate inner wrap by limiting the bedding to limit or cover the movement of the infant's body during sleep or arm movement.

베개는 취침시 머리를 받쳐주는 수면 도구이며,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직선 형상을 갖고 있다. Pillows are sleeping tools that support your head when you go to bed, and generally have a straight shape with a certain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유아는 수면 중에 자기 자신의 팔의 움직임이나 몸의 움직임이 심할 경우 수면에서 깨어나는 경우가 빈번하며, 깊은 수면에 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fants often wake up from sleep when their own arm movements or body movements are severe during sleep,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y cannot get into deep sleep.

본 발명은 베개가 갖고 있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면시 유아의 팔의 움직임을 고정함으로써 팔이 허우적거리는 것과 신체의 움직임을 막아주어 편안하고 안전한 수면 자세를 유지시킬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illow, by providing a pillow that can maintain a comfortable and safe sleeping posture by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arms and body movements by fixing the movement of the infant's arm during sleep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유아의 팔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허용하는 경우에도 이불을 지그시 눌러주어 유아의 움직임을 저지하면서도 고정된 팔에 대한 답답함을 해소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solve the tightness of the fixed arm while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infant by pressing the bed comfortably, even when the movement of the infant's arm is freely allowed.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일정 길이를 갖는 본체: 및 소정 높이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양 측부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제1 및 제2 보조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보조 지지체의 내부에는 이동 가능한 입자의 내부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보조 지지체의 내부 재료는 천연 재료이고, 상기 본체의 양 측부는, 상기 본체의 아래 면인 제1 면의 양 측부이고,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본체에 유아의 머리가 위치될 경우 유아의 발이 향하는 면이고, 상기 각각의 보조 지지체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면의 양 측부 각각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고, 상기 각각의 보조 지지체의 말단부 사이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각각의 보조 지지체는 상기 본체의 상면과 필요시에 접하도록 상기 제1 면을 기준으로 회전된다(도 2 참조).Th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dy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height, and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auxiliary supports detachab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the interior of each auxiliary support The inner material of the movable particles can be accommodated, the inner material of each auxiliary support is a natural material, and both sides of the body are both sides of the first surface, which is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The first surface is a surface facing the infant's feet when the infant's head is positioned on the main body, and each auxiliary support is provided on each of both sides of the firs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It has a length in one direction, and is kept open between the distal ends of each auxiliary support, and each auxiliary suppor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f necessary It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so as to (see Fig. 2).

여기서, 본체 및 보조 지지체는 서로 대응 결합하는 연결 수단이 각각 장착되어 있어 보조 지지체가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Here, the main body and the auxiliary support are respectively equipped with connecting mea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auxiliary support can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바람직하게는, 보조 지지체 내에 들어 있는 내부 재료는 쌀, 좁쌀, 콩과 같은 것이다. Preferably, the inner material contained in the auxiliary support is rice, millet, soybean.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베개는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보조 지지체가 유아의 팔 또는 이불을 지지함으로써 수면 중에 유아의 과도한 움직임을 억제하고 이불을 지그시 눌러주어 안정감을 줌으로써 올바른 수면 자세를 유지시킬 수 있다.In the infant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support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supports the infant's arm or quilt to suppress excessive movement of the infant during sleep and presses the quilt to keep the correct sleeping posture. You can.

또한, 보조 지지체에 좁쌀과 같은, 유동 가능한 내부 재료가 채워져 있어 눌려지는 경우에도 손쉽게 내부 재료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 후에 간단한 방법으로 사용 전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ary support is filled with a flowable inner material, such as millet, so that even when pressed, the inner material can be uniformly dispersed, and thus can be restored to its pre-use state by a simple method after us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평면도.
1 is a plan view of a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pill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평면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베개(10)는 본체(11) 및 본체(11)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보조 지지체(12 및 13)를 포함한다.1 is a plan view of a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ow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body 11 and one or more auxiliary supports 12 and 13 attached to the body 11 .

본체(11)는 그 내부에 일반적인 베개에서 이용하고 있는 내부 재료, 예를 들어 솜, 라텍스, 메모리 폼, 압축 공기 등이 수용되어 있어 일정한 높이를 갖고 있다. 본체(11)는 또한 다양한 형상 및 모양 중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으나, 도 1에서는 유아를 위하여 동물의 형상 및 모양을 갖는 본체(11)를 도시하고 있다.The main body 11 has a certain height because the inner material, for example, cotton, latex, memory foam, compressed air, etc., used in a general pillow is accommodated therein. The body 11 may also have any one of a variety of shapes and shapes, but FIG. 1 shows the body 11 having an animal shape and shape for an infant.

본 실시예에 따른 베개(10)의 구성 요소인 보조 지지체(12 및 13)는, 유아가 베고 있을 때 유아의 목과 어깨에 대응하는 본체(11)의 제1 면(11a)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보조 지지체(12 및 13)는 본체(11)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며, 그 내부에는 내부 재료가 수용되어 있어 소정의 높이를 갖고 있다. The auxiliary supports 12 and 13, which are components of the pillow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surface 11a of the body 11 corresponding to the infant's neck and shoulders when the infant is being cut. It is done. The auxiliary supports 12 and 13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 and internal materials are accommodated therein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보조 지지체(12 및 13)에 사용된 내부 재료로 본체(11)의 내부 재료와 동일한 재료, 즉 솜, 라텍스, 메모리 폼, 압축 공기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수면 중인 유아의 몸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사용 후에 사용 전의 형태로 복원시키고자 하는 보조 지지체(12 및 13)의 목적 및 기능을 고려할 때, 보조 지지체(12 및 13)에 이용된 내부 재료로서 위에서 언급된 재료의 강도보다 큰 강도를 가지면서 반복적으로 눌려진 후에도 사용 전의 형상으로 복귀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입자 재료를 이용하는 바람직하다. 특히 유아가 어린이 또는 유아인 경우에 어린이와 유아의 건강에 유해하지 않은 재료를 선택해야 하며,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재료로서는 쌀, 좁쌀, 콩 등과 같은 천연 재료가 바람직하다.As the inner material used for the auxiliary supports 12 and 13, the same material as the inner material of the body 11, that is, cotton, latex, memory foam, compressed air may be used. However, considering the purpose and function of the auxiliary supports 12 and 13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leeping infant's body and restore it to its pre-use form after use, as an internal material used for the auxiliary supports 12 and 13 It is preferred to use a movable particle material that has a strength greater than that of the materials mentioned above and can be returned to its shape prior to use even after being repeatedly pressed. In particular, when the infant is a child or an infant, materials that are not harmful to the health of the child and the infant should be selected, and natural materials such as rice, millet, and soybeans are preferable as materials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보조 지지체(12 및 13)가 본체(11)의 제1 면(11a)의 양 측부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즉, 본체(11)의 제1 면(11a)의 양 측부에는 연결 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고정적으로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2개의 보조 지지체(12 및 13)의 길이 방향 일단에는 본체(11)의 연결 수단과 대응 결합하는 연결 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각각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wo auxiliary supports 12 and 13 are detachab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surface 11a of the body 11. That is, connecting means (not shown) are fixed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surface 11a of the main body 11, and the main body 11 is provid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wo auxiliary supports 12 and 13, respectively. The connecting means (not shown) for mating with the connecting means of each are fixedly attached.

여기서, 본체(11)와 보조 지지체(12 및 13)에 부착된 연결 수단은 공지된 연결 수단, 예를 들어 지퍼, 벨크로 테이프, 스냅 단추(일명, 똑딱이 단추)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의 간략화를 위하여 본체(11)와 보조 지지체(12 및 13)에 부착된 연결 수단은 도시하지 않았으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되지 않을지라도 본 기술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연결 수단의 구성 및 기능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connecting means attached to the main body 11 and the auxiliary supports 12 and 13 may be any of known connecting means, for example, zippers, velcro tapes, snap buttons (aka, tick button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n addition, for simplification of the drawings, connecting means attached to the main body 11 and the auxiliary supports 12 and 13 are not shown, and those who have knowledge in the ar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nd not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will be easy to understand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connecting means.

이와 같은 본체(11)의 제1 면(11a)의 양 측부에 부착된 연결 수단과 2개의 보조 지지체(12 및 13)의 일단에 부착된 연결 수단을 각각 체결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베개(10)가 구성된다.When the connecting mean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surface 11a of the main body 11 and the connecting means attached to one end of the two auxiliary supports 12 and 13 are fastened,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 Pillow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유아(특히, 어린이 또는 유아)가 도 1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 베개(10)를 사용할 때, 머리는 본체(11) 위에 위치되는 반면에 몸(상체)은 2개의 보조 지지체 (12 및 13) 사이의 공간에 위치, 즉 유아의 양 어깨와 양 팔이 2개의 보조 지지체(12 및 13)의 내측과 각각 접촉, 대응하게 된다. 따라서 유아가 몸을 뒤척이는 경우에도 각 보조 지지체(12 및 13)가 몸을 지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베개(10)는 유아의 몸이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When an infant (especially a child or an infant) uses the pillow 10 having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the head is positioned over the body 11 while the body (upper body) has two auxiliary supports 12 and 13 The position in the space therebetween, that is, both shoulders and arms of the infant are in contact with and correspond to the inner sides of the two auxiliary supports 12 and 13, respectively. Therefore, even when the infant turns over, each of the auxiliary supports 12 and 13 can support the body, and as a result, the pillow 10 can suppress the infant's body from moving left and right.

여기서, 유아에 의하여 각 보조 지지체(12 및 13)는 어느 한 쪽으로 눌려질 수 있으며, 이때에는 보조 지지체(12 및 13)는 그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다. 그러나, 각 보조 지지체(12 및 13)에는 그 내부 공간에서 움직일 수 있는 내부 재료(좁쌀, 쌀 또는 콩 등)가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11)에 부착된 상태에서 보조 지지체(12 및 13)를 흔들거나, 또는 본체(11)에서 보조 지지체(12 및 13)를 분리하고 보조 지지체(12 및 13)를 흔듦으로써 내부 재료는 보조 지지체(12 및 13) 내에서 균일하게 분산된다. 따라서 보조 지지체(12 및 13)는 사용 전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Here, each of the auxiliary supports 12 and 13 may be pressed by one of the infants, and at this time, the auxiliary supports 12 and 13 are difficult to perform their functions. However, since each of the auxiliary supports 12 and 13 contains an internal material (millet, rice or soybean, etc.) that can move in its internal space, the auxiliary supports 12 and 13 are attached to the body 11 while being attached to the body 11. The inner material is uniformly dispersed within the auxiliary supports 12 and 13 by shaking or separating the auxiliary supports 12 and 13 from the body 11 and shaking the auxiliary supports 12 and 13. Therefore, the auxiliary supports 12 and 13 can be restored to the state before use.

한편, 도 1에서는 본체(11)의 제1 면(11a)의 양 측에 연결 수단을 통하여 2개의 보조 지지체(12 및 13)가 각각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어느 하나의 보조 지지체(11 또는 12)만이 본체(11)의 제1 면(11a)의 일측에 부착될 수 있다.Meanwhile, in FIG. 1, two auxiliary supports 12 and 13 are detachab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surface 11a of the main body 11 through connection means, however, if necessary, Only one auxiliary support 11 or 12 may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irst surface 11a of the body 11.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개(20)의 평면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베개(20) 역시 본체(21) 및 본체(21)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하나 이상의 보조 지지체(22 및 23)를 포함한다. 2 is a plan view of a pillow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ow 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lso one or more auxiliary supports 22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21 and the body 21 And 23).

본 실시예에 따른 베개(20)를 구성하는 본체(21) 및 보조 지지체(22 및 23)의 형상, 내부 재료 그리고 본체(21)와 보조 지지체(22 및 23)를 연결하는 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베개(10)를 구성하는 본체(11) 및 보조 지지체(12 및 13)의 형상, 내부 재료 그리고 본체(11)와 보조 지지체(22 및 23)를 연결하는 수단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shape of the main body 21 and the auxiliary supports 22 and 23 constituting the pillow 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inner material, and the means for connecting the main body 21 and the auxiliary supports 22 and 23 are shown in FIG. 1. The shape of the body 11 and the auxiliary supports 12 and 13 constituting the illustrated pillow 10, the inner material and the means for connecting the body 11 and the auxiliary supports 22 and 23 are substantially the sam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에 도시된 베개(10)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베개(20)의 가장 큰 특징은 본체(21)에서의 보조 지지체(22 및 23)의 부착 위치이다. Compared to the pillow 10 shown in FIG. 1, the biggest feature of the pillow 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auxiliary supports 22 and 23 in the body 21.

본 실시예에 따른 베개(20)의 구성 요소인 보조 지지체(22 및 23)는, 본체(21)의 양 측면(21a 및 21b)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보조 지지체(22 및 23)는 본체(21)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내부 재료가 수용되어 있어 소정의 높이를 갖고 있다. The auxiliary supports 22 and 23, which are components of the pillow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detachably attached to both side surfaces 21a and 21b of the body 21. The auxiliary supports 22 and 23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21, and internal materials are accommodated therein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의 양 측면(21a 및 21b)에는 2개의 보조 지지체(22 및 23)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즉, 본체(21)의 양 측면(21a 및 21b)에는 연결 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2개의 보조 지지체(22 및 23)의 측면에는 본체(21)의 연결 수단과 대응 결합하는 연결 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각각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다.2, two auxiliary supports 22 and 23 are detachably attached to both side surfaces 21a and 21b of the body 21. As shown in FIG. That is, connecting means (not shown) are fixedly attached to both side surfaces 21a and 21b of the main body 21, and correspond to connecting means of the main body 21 on the side surfaces of the two auxiliary supports 22 and 23. Connecting means (not shown) to be coupled are fixedly attached to each.

이와 같은 본체(21)의 양 측면(21a 및 21b)에 부착된 연결 수단과 2개의 보조 지지체(22 및 23)의 일측에 부착된 연결 수단을 각각 체결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베개(20)가 구성된다.When the connecting means attached to both sides 21a and 21b of the main body 21 and the connecting mean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two auxiliary supports 22 and 23 are respectively fastened,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Pillow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유아(특히, 어린이 또는 유아)가 도 2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 베개(20)를 사용할 때, 머리는 본체(21) 위에 위치됨과 동시에 2개의 보조 지지체(22 및 23) 사이의 공간에 위치함으로써 유아의 머리를 각 보조 지지체(22 및 23)가 지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베개(20)는 유아의 머리가 좌우로 과도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an infant (especially a child or an infant) uses the pillow 20 having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2, the head is placed on the body 21 and at the same time it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two auxiliary supports 22 and 23 Each auxiliary support 22 and 23 can support the infant's head, and as a result, the pillow 20 can prevent the infant's head from moving excessively from side to side.

도 1에 도시된 구조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 보조 지지체(22 및 23)는 한쪽으로 눌려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때문에 본체(21)를 부착된 상태에서 보조 지지체(22 및 23)를 흔들거나, 또는 본체(21)에서 보조 지지체(22 및 23)를 분리한 후 보조 지지체(22 및 23)를 흔듦으로써 내부 재료는 보조 지지체(22 및 22) 내에서 균일하게 분산된다. 따라서 보조 지지체((22 및 23)는 사용 전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 1, each of the auxiliary supports 22 and 23 can be pressed to one side, and in this case, the auxiliary supports 22 and 23 while the body 21 is attached The inner material is uniformly dispersed within the auxiliary supports 22 and 22 by shaking or shaking the auxiliary supports 22 and 23 after separating the auxiliary supports 22 and 23 from the body 21. Thus, the auxiliary supports 22 and 23 can be restored to their pre-use form.

한편, 도 2에서는 본체(21)의 양 측면(21a 및, 21b)에 연결 수단을 통하여 2개의 보조 지지체(22 및 23)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도 1의 보조 지지체가 회전되어 본체(21)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일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FIG. 2, although the two auxiliary supports 22 and 23 are detachably attached to both side surfaces 21a and 21b of the main body 21 through a connecting means, as shown in FIG. The auxiliary support may be rotated to show a stat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

당업자가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도록 앞서의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특징을 설명하였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 내의 실시예 및 예의 동일한 목적을 수행 및/또는 동일한 이점을 이루기 위하여 다른 구성 요소 및 구조를 설계 또는 변형하기 위한 기본으로서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는 이러한 등가적인 구성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점 그리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 내에서 다양한 변경, 대체 및 변화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또한 인식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has outlined features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dily utilized as a basis for designing or modifying other components and structures in order to achieve the same purpose and / or achieve the same advantages of the examples and examples in this specific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lso recognize that such equivalent arrangements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at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pecifica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10 및 20 : 베개
11 및 21: 본체
11a : 제1면
21a 및 21b: 본체 측면
12, 13 및 22, 23: 보조 지지체
10 and 20: pillow
11 and 21: main body
11a: front page
21a and 21b: body side
12, 13 and 22, 23: auxiliary support

Claims (1)

일정 길이를 갖는 본체: 및
소정 높이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양 측부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제1 및 제2 보조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보조 지지체의 내부에는 이동 가능한 입자의 내부 재료가 수용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보조 지지체의 내부 재료는 천연 재료이고,
상기 본체의 양 측부는,
상기 본체의 아래 면인 제1 면의 양 측부이고,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본체에 유아의 머리가 위치될 경우 유아의 발이 향하는 면이고,
상기 각각의 보조 지지체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면의 양 측부 각각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고,
상기 각각의 보조 지지체의 말단부 사이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각각의 보조 지지체는,
상기 본체의 상면과 필요시에 접하도록 상기 제1 면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유아용 베개.
Body having a certain length: and
It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auxiliary supports detachab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The interior material of the movable particles is accommodated in each of the auxiliary supports,
The inner material of each auxiliary support is a natural material,
Both sides of the body,
Both sides of the first surface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The first surface of the body,
When the head of the infant is located on the main body, the infant's foot faces,
Each of the auxiliary support,
It is provided on each of both sides of the firs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s a length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Between the distal ends of each of the auxiliary support is kept open,
Each of the auxiliary support,
Rotated relative to the first surface so as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when necessary
Baby pillow.
KR1020200024901A 2020-02-28 2020-02-28 Baby Pillow KR1020904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901A KR102090445B1 (en) 2020-02-28 2020-02-28 Baby Pil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901A KR102090445B1 (en) 2020-02-28 2020-02-28 Baby Pillow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897A Division KR20180091779A (en) 2018-06-22 2018-06-22 Baby Pillo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199A KR20200024199A (en) 2020-03-06
KR102090445B1 true KR102090445B1 (en) 2020-03-17

Family

ID=6980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901A KR102090445B1 (en) 2020-02-28 2020-02-28 Baby Pill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44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009B1 (en) 2020-08-31 2021-05-17 오도향 Pillow For The Infa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3001B1 (en) * 2007-06-18 2009-04-07 Leach Jamie S Multi-purpose pillow with attached blanket
KR101021404B1 (en) * 2008-08-04 2011-03-14 (주)마디공학 A folded type pillow
KR20130009107A (en) * 2011-07-14 2013-01-23 변효성 Baby bedclothes
KR20140005410U (en) * 2013-04-10 2014-10-20 변효성 Fillow for bab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009B1 (en) 2020-08-31 2021-05-17 오도향 Pillow For The Inf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199A (en) 202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39423B1 (en) Infant bedding article
WO2010083117A2 (en) Reconfigurable support pillow system
KR102090445B1 (en) Baby Pillow
KR20140005410U (en) Fillow for baby
EP3238578B1 (en) Functional mat for assisting deep sleep of infant
KR20180091779A (en) Baby Pillow
KR101606378B1 (en) Pillow for baby
US20230043656A1 (en) Support structure and baby carriage
KR200377121Y1 (en) Pillow of infant
KR101635775B1 (en) Infant mat as sleeping assistant
KR200235477Y1 (en) Multi functional cushion pad
US20160135612A1 (en) Bed sheet with three-dimensional shaped contours
WO2000038611A2 (en) Multi-functional cushion
KR101748317B1 (en) A baby cushion-pillow
KR101649980B1 (en) Functional pillow with neck support pillow portion
JP2008043354A (en) Cushion apparatus for lying down
JP2005110800A (en) Posture holding structure for babies
CN219845081U (en) Quilt with cover
KR102646673B1 (en) Cushion module and inner wrap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KR102488474B1 (en) Bedding for newborn baby
KR101299401B1 (en) Multi function pillow for supporting cervical vertebrae
KR200260863Y1 (en) Two layers
JPH0636783Y2 (en) Water bed sheets
KR20170111790A (en) A versatile cushion
KR200368923Y1 (en) The mat for ba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