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020B1 - 원격제어모듈(LoRaWAN and IoT)을 구비한 수도(온수)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도(온수)계량 검침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제어모듈(LoRaWAN and IoT)을 구비한 수도(온수)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도(온수)계량 검침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020B1
KR102090020B1 KR1020190077808A KR20190077808A KR102090020B1 KR 102090020 B1 KR102090020 B1 KR 102090020B1 KR 1020190077808 A KR1020190077808 A KR 1020190077808A KR 20190077808 A KR20190077808 A KR 20190077808A KR 102090020 B1 KR102090020 B1 KR 102090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t water
server
metering
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기
Original Assignee
최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기 filed Critical 최용기
Priority to KR1020190077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020B1/ko
Priority to KR1020200019378A priority patent/KR102306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020B1/ko
Priority to PCT/KR2020/008400 priority patent/WO202026303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1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2Arrangement of flow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0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 G01F1/07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with magnetic or electromagnetic coupling to the indicating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1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 G01F15/063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using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5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with transmission devices, e.g. mechanic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2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 G01D4/004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to a fixed lo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053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nd axial ad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6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transmitting utility meters data, i.e. transmission of data from the reader of the utility me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제어모듈(LoRaWAN & IoT)을 구비한 수도(온수)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도(온수)계량 검침 및 제어방법(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a) 계량관로를 흐르는 유체의 양이 측정되고, 그 측정값은 전기적신호로 변환되는 단계; (b) 전기적신호로 변환된 측정데이터가 서버로 송신되는 단계; (c) 서버에 수신된 유체 양이 검침되는 단계; (d) 금융기관으로부터 사용자의 수도(온수)사용 요금연체여부가 서버에 수신되는 단계; (e) 사용자의 수도(온수)요금이 연체되면, 개폐수단의 구동을 통해 계량관로가 폐쇄되는 단계 및 (f) 금융기관으로부터 연체비용이 수납된 것으로 서버에 수신되면, 자동 프로그램의 시스템제어에 의한 개폐수단의 구동을 통해 폐쇄된 계량관로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f)단계에서, 금융기관의 연체비용 수납확인이 관리자의 업무시간 이외에 확인될 경우, 상기 서버가 인덕션 모듈의 수신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계량관로를 즉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온수)계량 검침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원격제어모듈(LoRaWAN and IoT)을 구비한 수도(온수)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도(온수)계량 검침 및 제어방법{A cool and a hot water meter with remote control module and a telemetering and a control method using a same}
본 발명은 원격제어모듈(LoRaWAN & IoT)을 구비한 수도(온수)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도(온수) 계량 검침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검침의 효율성을 높이고, 단수 및 해제 조치의 편의성을 높인 원격제어모듈(LoRaWAN & IoT)을 구비한 수도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도(온수) 계량 검침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역난방이나 중앙난방을 통하여 온수를 공급받는 각 가정이나 여러 수요처에서 사용하는 온수의 양은 수도(온수)계량기를 통해 측정되며, 검침원은 정기적으로 수요처를 방문하여 상기 수도(온수)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파악하거나, DC-PLC방법 통신선을 이용하여 관리사무소에 전달되어 관리자가 기록한다.
이후 관리자는 검침한 데이터를 요금으로 산출하여 각 가정마다 수도(온수)사용량에 따른 비용을 청구한다.
이와 같이 검침원이 각 수요처를 일일이 방문하여 수도(온수)사용량을 검침하는 일련의 과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검침원이 일일이 돌아다니면서 수도(온수)계량기의 데이터를 확인해야하므로, 종래의 수도(온수)사용검침은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수도(온수)계량기가 옥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검침원이 옥내에 직접 들어가야 하는데, 이러한 검침원의 내방은 여성이나 노약자가 부담을 느낄 수 있으며, 검침원 방문 시 고객이 부재중일 경우에는 검침원이 재방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검침원의 실수에 따른 오검침의 경우에는 사용자 또는 국가의 손실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도(온수)사용요금에 대한 장기 연체자의 경우, 관리처 직원은 연체자의 동의를 받은 후 수요처에 들어가 온수계량기의 인입부에 설치된 밸브를 수동으로 봉인하여 수도(온수)사용을 강제적으로 금하는 단수조치를 취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단수조치는 관리자 직원이 직접 내방하여 사용자를 대면해야 하므로, 사용자와 직원 간에 불편함이 초래되며 직원이 밸브를 수동으로 봉인하더라도 사용자가 이를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연체자가 연체요금을 수납하면 관리처 직원은 수요처를 재방문하여 봉인을 해제시키는 등 일련의 과정을 수행해야하는데, 이는 관리자 직원의 피로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단수 해제조치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의 민원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관리처 직원의 업무시간 이외에 연체요금 수납이 이루어질 경우 단수 해제조치는 더욱 지연될 수 있는바 사용자의 민원이 가중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234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도(온수)계량기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가 관리자에 무선으로 송신되어 수도(온수)계량검침을 위한 맨아워를 절감하고, 무선 원격제어를 통해 연체자에 대한 단수/해제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원격제어모듈(LoRaWAN & IoT)을 구비한 온수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도(온수) 계량 검침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계량관로를 흐르는 유체의 양이 측정되고, 그 측정값은 전기적신호로 변환되는 단계; (b) 전기적신호로 변환된 측정데이터가 서버로 송신되는 단계; (c) 서버에 수신된 유체 양이 검침되는 단계; (d) 금융기관으로부터 사용자의 수도(온수)사용 요금연체여부가 서버에 수신되는 단계; (e) 사용자의 수도(온수)요금이 연체되면, 개폐수단의 구동을 통해 계량관로가 폐쇄되는 단계 및 (f) 금융기관으로부터 연체비용이 수납된 것으로 서버에 수신되면, 자동 프로그램의 시스템제어에 의한 개폐수단의 구동을 통해 폐쇄된 계량관로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f)단계에서, 금융기관의 연체비용 수납확인이 관리자의 업무시간 이외에 확인될 경우, 상기 서버가 인덕션 모듈의 수신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계량관로를 즉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온수)계량 검침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모듈(LoRaWAN & IoT)을 구비한 수도(온수)계량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계적으로 계량된 수도(온수)사용량은 전기신호로 변환되고, 전기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는 송신부를 통해 서버에 전송됨으로써 관리자는 서버에 접속하여 각 수요처의 수도(온수)사용량을 용이하게 검침할 수 있다.
즉, 검침원이 각 수요처를 일일이 방문할 필요가 없으므로, 본 발명의 원격제어모듈(LoRaWAN & IoT)을 구비한 수도(온수)계량기는 수도(온수)검침을 위한 맨아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둘째, 관리자가 연체자의 수도(온수)관로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연체자의 수도(온수)사용을 위한 단수 및 해제조치를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금융기관으로부터 연체자의 미납요금 수납이 서버에 수신되면, 관리자의 제어 없이도 연체자의 수도(온수)관로를 자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관리자의 업무시간 외에도 단수 및 해제조치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수도(온수)계량기의 배출관로에 체크밸브가 설치됨으로써, 체크밸브는 단수조치에 따른 배출관로가 폐색되었을 때 물이 수도(온수)계량기 측으로 역류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모듈(LoRaWAN & IoT)을 구비한 수도(온수)계량기는 단수조치가 급작스럽게 발생하더라도 수도(온수)계량기 부품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모듈(LoRaWAN & IoT)을 구비한 수도(온수)계량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모듈(LoRaWAN & IoT)을 구비한 수도(온수)계량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모듈(LoRaWAN & IoT)을 구비한 수도(온수)계량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모듈(LoRaWAN & IoT)을 구비한 수도(온수)계량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모듈(LoRaWAN & IoT)을 구비한 수도(온수)계량기를 이용해 원격으로 검침 및 단수/해제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모듈(LoRaWAN & IoT)을 구비한 수도(온수)계량기(이하, '수도(온수)계량기'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수도(온수)계량기는 수도(온수)사용량에 대한 기계적 측정값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서버에 송신함으로써, 검침원의 내방 없이 관리처에서 관리자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검침할 수 있다. 수도(온수)계량기는 원격제어를 통해 연체자의 관로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연체자에 대한 단수/해제 조치를 내방 없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수도(온수)계량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기어셈블리(100)와, 계량관로(200)와, 디스플레이 모듈(300)과, 인덕션 모듈(400)과, 개폐수단(500)을 포함한다.
계량기어셈블리(100)는 계량관로(200)를 흘러나가는 유체의 양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계량기어셈블리(100)는 계량관로(200)를 지나는 유체의 양에 따라 회전속도가 가변되는 회전부재(110)를 포함한다. 회전부재(110)는 계량관로(200)에 설치되며, 계량기어셈블리(100)는 회전부재(110)와 맞물려 결합되는 기어(미도시)를 포함하며, 회전부재(110)의 회전에 의한 기어회전수를 카운트하여 유체의 양을 측정한다. 회전부재(110)는 임펠러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계량관로(200)는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 수요처로 공급되는 배관라인 상에 설치되며, 물 수요처로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계량기어셈블리(100)에 설치된다. 즉, 수도(온수)계량기는 계량관로(200)를 흐르는 유체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물 수요처의 물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계량관로(200)의 일측은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로(210)를 형성하고 계량관로(200)의 타측은 물이 배출되는 배출관로(220)를 형성한다. 유입관로(210) 및 배출관로(220)에는 연결관(230)이 연결되어 기존 배관라인과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회전부재(110) 즉, 임펠러는 유입관로(210)와 배출관로(220)사이에 설치되며, 임펠러(110)가 설치된 부위의 계량관로(200)는 상방으로 개구된다. 계량기어셈블리(100)는 계량관로(200)의 개구된 부위에 결합되며, 계량기어셈블리(100)의 기어와 임펠러(110)는 계량관로(200)의 개구된 부위를 통해 서로 맞물려 결합된다.
디스플레이 모듈(300)은 임펠러(110)의 회전에 따라 측정된 카운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300)은 임펠러(110)의 회전수를 카운트하여 측정된 기계적 측정값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화하는 것이다. 측정된 데이터는 계량기어셈블리(100)의 계기창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인덕션 모듈(400)을 통해 서버(S)에 전송될 수 있다.
인덕션 모듈(400)은 유체의 사용량을 원격제어하기 위하여 필요한 통신을 유도하는 장치로서, 무선원격검침을 위해서는 AMI통신 모듈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인덕션 모듈(400)은 디스플레이 모듈(300)을 통해 변환된 데이터를 서버(S)에 송신하거나, 서버(S)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인덕션 모듈(400)은 후술하는 개폐수단(500)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인덕션 모듈(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부(410)와, 수신부(420)와,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송신부(410)는 디스플레이 모듈(300)을 통해 변환된 유량측정 데이터를 서버(S)에 송신하며, 안테나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2 및 도 3 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 수신부(420)는 제어부(430)를 제어하기 위해 서버(S)의 데이터 및 관리자의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구성이다. 제어부(430)는 수신부(420)를 통해 후술하는 개폐수단(500)을 구동하는 제어명령을 수행한다. 즉, 관리자를 통해 수신부(420)에 명령이 수신되거나, 서버(S)의 데이터가 수신부(420)에 수신되면 제어부(430)는 수신부(420)와 신호를 송수신하면서 개폐수단(500)을 구동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개폐수단(500)은 계량관로(20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며, 계량관로(200) 중 배출관로(220)에 설치된다. 개폐수단(5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계량관로(200) 즉, 유체가 흐르는 관로를 개폐시키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수도(온수)사용요금이 연체된 경우 관리자는 개폐수단(500)을 통해 계량관로(200)를 폐쇄하여 단수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개폐수단(500)의 개폐작용은 원격제어 되도록 마련된다. 개폐수단(5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어셈블리(510)와, 고정시트(520)와, 회전축(530)과, 볼 밸브(540)와, 씰링부재(550)와, 조인트(5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어셈블리(510)는 볼밸브(54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며, 인덕션 모듈(400)의 제어부(43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모터어셈블리(510)는 전동모터를 포함하며, 전동모터는 건전지(B)를 통해 전원이 공급된다. 고정시트(520)는 모터어셈블리(510)를 계량기어셈블리(100)에 고정시키는 구성이며, 전동모터 구동시 모터어셈블리(510)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축(530)은 전동모터의 회전동력을 볼밸브(540)에 전달하며, 상기 전동모터에 축 결합된다. 볼밸브(540)는 계량관로(200)를 개폐시키는 부재로서, 회전축(530)에 고정된다. 볼밸브(540)는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계량관로(200)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이다.
씰링부재(550)는 계량관로(200)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구성으로서, 제1씰링부재(551)와, 제2씰링부재(552)와, 제3씰링부재(553)와, 제4씰링부재(554)로 제공된다. 제1씰링부재(551)는 모터어셈블리(510)와 계랑관로(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유체가 계량관로(200)의 외부 또는 모터어셈블리(510)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씰링부재(552)는 계량관로(200)와 볼밸브(540) 사이에 설치되며, 볼밸브(540)가 계량관로(200)를 폐쇄하였을 때 계량관로(200) 상의 유체가 계량관로(200)의 유입관로(210) 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3씰링부재(553)는 볼밸브(540)와 제2씰링부재(552) 사이에 개재되어 볼밸브(540)와 계량관로(200)간 기밀 유지력을 극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조인트(560)는 계량관로(200) 내부에 장착되는 볼밸브(540) 및 씰링부재(550) 등 각 부속장치를 계량관로(200) 내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계량관로(200)에는 체크밸브(600)가 설치된다. 체크밸브(600)는 볼밸브(540)가 계량관로(200)를 폐쇄하였을 때 계량관로(200) 상의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계량관로(200) 내의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연체 등의 이유로 계량관로(200)가 폐쇄되거나 물 공급이 급작스럽게 중단되면, 계량관로(200) 내에 역류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역류발생은 임펠러(110)가 역회전되면서 계량기어셈블리(100)의 각 부품들을 손상시켜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는바, 체크밸브(600)는 이러한 역류현상을 방지하여 부품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체크밸브(600)는 계량관로(200)의 배출관로(220)측에 설치되며, 볼밸브(540)의 일측에 설치된다. 볼밸브(540)의 일측이라 함은 볼밸브(540)를 통해 물이 흘러나간 위치를 말하며, 이러한 구성의 배열은 체크밸브(600)와 배출관로(220) 사이에 볼밸브(540)가 설치된 형국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수도(온수)계량기를 이용한 검침과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배관라인을 따라 유체(수돗물)가 흐르고, 유체는 각 수요처의 계량관로(200)를 통해 각 수전(水栓)으로 공급된다. 이때, 유체는 계량관로(200)를 지나면서 임펠러(110)를 회전시키고, 임펠러(1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임펠러(110)와 맞물려 있는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유체사용량 측정이 이루어진다.(S100) 이와 같이 기어 회전수에 의해 측정된 기계적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300)을 통해 전기적신호로 변환되며 전기적신호는 계량기어셈블리(100)의 계기창을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전기적신호로 변환된 측정데이터는 인덕션 모듈(400)의 송신부(안테나)(410)를 통해 서버(S)로 전송된다.(S110) 서버(S)로 전송된 데이터는 수시로 업데이트 되어 서버(S)의 저장부에 저장되며, 관리자 및 사용자는 서버(S)접속을 통해 사용량을 검침한다.(S120) 관리자 뿐만 아니라 사용자도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서버(S)에 접속하여 본인의 사용량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정기적인 검침날짜가 되면 관리자는 사용자에게 청구서를 발송한다. 이러한 청구서 발송은 관리자가 제어할 수도 있으며, 서버(S)가 온라인으로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발송할 수도 있다.
정기적인 검침날짜가 도래하면, 관리자는 사용자의 사용요금 수납여부를 확인하는데, 서버(S)는 금융기관(F)을 통해 사용자의 수납여부 정보를 제공받고 관리자는 서버(S)접속을 통해 사용자의 수납여부를 파악한다.(S130)
관리자가 사용자의 수납이 장기간 연체되었는지를 판단하고(S140) 사용자의 수납이 장기간 연체된 것으로 파악되면, 관리자는 법령에 따라 단수조치를 수행한다. 서버(S)를 통해 사용자의 연체정보가 관리자에게 제공되면, 관리자는 인덕션 모듈(400)을 통해 계량관로(200)를 폐쇄하여 유체흐름을 차단시킨다.(S150) 상세하게는, 관리자는 인덕션 모듈(400)의 수신부(420)에 계량관로(200) 폐쇄신호를 보내면, 수신부(420)는 제어부(430)로 하여금 모터어셈블리(510)의 전동모터를 구동하여 볼밸브(540)를 회전시킴으로써 계량관로(200)가 폐쇄되는 것이다.
계량관로(200)가 폐쇄되면서 계량관로(200)의 배출관로(220)측에서는 유체가 유입관로(210)를 향해 역류가 발생할 수 있는데, 체크밸브(600)가 유입관로(210)측으로의 역류를 차단함으로써 계량관로(200) 내부의 부품이 손상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연체자의 사용요금 수납이 이루어지면, 관리자는 서버(S)를 통해 제공된 수납정보를 파악하여(S140) 단수조치를 해제시킨다. 이를 위해, 관리자는 수신부(420)에 계량관로(200) 개방신호를 보내면, 수신부(420)는 제어부(430)로 하여금 모터어셈블리(510)의 전동모터를 구동하여 볼밸브(540)를 회전시킴으로써 계량관로(200)가 개방되는 것이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 등의 보급에 따라, 연체요금에 대한 수납은 시간에 관계없이 수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자는 업무시간 외에 수납된 연체요금에 대해서는 단수 해제조치를 위한 즉각 대응이 어려우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단수조치의 해제를 즉각 요구할 수 있는바,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의 민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금융기관(F)으로부터 연체자의 수납 정보가 서버에 전달되면 서버(S)로 하여금 수납정보시간을 파악하여 관리자의 업무시간 여부를 재차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160) 이를 위해 서버(S)에 수납시간정보를 설정해 놓는다.
연체자의 수납정보가 서버(S)에 수신될 때, 관리자의 업무시간 이외이면, 서버(S)는 직접 인덕션 모듈(400)의 수신부(420)에 계량관로(200) 개방신호를 낸다. 수신부(420)는 제어부(430)로 하여금 모터어셈블리(410)의 전동모터를 구동하여 볼밸브(540)를 회전시킴으로써 계량관로(200)가 즉시 개방되는 것이다.(S180)
연체자의 수납정보가 서버(S)에 수신될 때, 관리자의 업무시간이면, 관리자의 제어를 통해(S175) 계량관로(200)를 개방시킨다.(S180) 물론, 관리자의 업무시간에 연체자의 수납정보가 수신되더라도, 설정을 통해 서버(S)가 계량관로(200) 개방신호를 보내도록 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모듈(LoRaWAN & IoT)을 구비한 수도(온수)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도(온수) 계량 검침 및 제어방법은 수도(온수)사용 측정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수도(온수)검침에 대한 편의성을 높이고, 수도(온수)검침작업 관련한 맨아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수도(온수)사용 요금연체에 따른 단수 및 해제 조치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자는 사용자의 수납조치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민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계량기 어셈블리 110 : 회전부재(임펠러)
200 : 계량관로 210 : 유입관로
220 : 배출관 230 : 연결관
300 : 디스플레이 모듈 400 : 인덕션 모듈
410 : 송신부 420 : 수신부
430 : 제어부 500 : 개폐수단
510 : 모터 어셈블리 520 : 고정시트
530 : 회전축 540 : 볼 밸브
550 : 씰링부재 551 : 제1씰링부재
552 : 제2씰링부재 553 : 제3씰링부재
554 : 제4씰링부재 560 : 조인트
600 : 체크밸브 B : 건전지
F : 금융기관 S : 서버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a) 계량관로를 흐르는 유체의 양이 측정되고, 그 측정값은 전기적신호로 변환되는 단계;
    (b) 전기적신호로 변환된 측정데이터가 서버로 송신되는 단계;
    (c) 서버에 수신된 유체 양이 검침되는 단계;
    (d) 금융기관으로부터 사용자의 수도(온수)사용 요금연체여부가 서버에 수신되는 단계;
    (e) 사용자의 수도(온수)요금이 연체되면, 개폐수단의 구동을 통해 계량관로가 폐쇄되는 단계 및
    (f) 금융기관으로부터 연체비용이 수납된 것으로 서버에 수신되면, 자동 프로그램의 시스템제어에 의한 개폐수단의 구동을 통해 폐쇄된 계량관로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f)단계에서, 금융기관의 연체비용 수납확인이 관리자의 업무시간 이외에 확인될 경우, 상기 서버가 인덕션 모듈의 수신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계량관로를 즉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온수)계량 검침 및 제어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90077808A 2019-06-28 2019-06-28 원격제어모듈(LoRaWAN and IoT)을 구비한 수도(온수)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도(온수)계량 검침 및 제어방법 KR102090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808A KR102090020B1 (ko) 2019-06-28 2019-06-28 원격제어모듈(LoRaWAN and IoT)을 구비한 수도(온수)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도(온수)계량 검침 및 제어방법
KR1020200019378A KR102306259B1 (ko) 2019-06-28 2020-02-18 원격제어모듈(LoRaWAN and IoT)을 구비한 수도(온수)계량 시스템
PCT/KR2020/008400 WO2020263036A1 (en) 2019-06-28 2020-06-26 Cold/hot water meter with remote control module (lorawan and iot) and telemetering and controlling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808A KR102090020B1 (ko) 2019-06-28 2019-06-28 원격제어모듈(LoRaWAN and IoT)을 구비한 수도(온수)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도(온수)계량 검침 및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378A Division KR102306259B1 (ko) 2019-06-28 2020-02-18 원격제어모듈(LoRaWAN and IoT)을 구비한 수도(온수)계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020B1 true KR102090020B1 (ko) 2020-03-17

Family

ID=70003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808A KR102090020B1 (ko) 2019-06-28 2019-06-28 원격제어모듈(LoRaWAN and IoT)을 구비한 수도(온수)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도(온수)계량 검침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0020B1 (ko)
WO (1) WO202026303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3036A1 (en) * 2019-06-28 2020-12-30 Yong Kee Choi Cold/hot water meter with remote control module (lorawan and iot) and telemetering and controlling method using same
KR102608707B1 (ko) * 2022-10-26 2023-12-01 주식회사 지구루 긴급 원격 개폐 기능을 위한 가스 ami 관리 방법, 스마트 가스 미터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50946B (zh) * 2023-03-29 2023-06-16 东莞先知大数据有限公司 一种水务用户催收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706Y1 (ko) * 2006-06-20 2006-09-13 한국아이치 주식회사 플레이트 체크 방식의 역류방지용 계량기 밸브 구조
KR20100128921A (ko) * 2009-05-29 2010-12-08 탁승호 디지털 수도미터 및 이를 갖는 원격 수도검침 시스템
KR20160143970A (ko) * 2015-06-05 2016-12-15 대성계전(주) 원격 검침 시스템 및 원격 검침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4649A (ja) * 1993-09-14 1995-03-31 Kitz Corp 定流量機能と変流量機能を同時に持つ流量制御ユニット
WO2014100496A1 (en) * 2012-12-19 2014-06-26 Capstone Metering Llc Water meter systems and methods
KR102090020B1 (ko) * 2019-06-28 2020-03-17 최용기 원격제어모듈(LoRaWAN and IoT)을 구비한 수도(온수)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도(온수)계량 검침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706Y1 (ko) * 2006-06-20 2006-09-13 한국아이치 주식회사 플레이트 체크 방식의 역류방지용 계량기 밸브 구조
KR20100128921A (ko) * 2009-05-29 2010-12-08 탁승호 디지털 수도미터 및 이를 갖는 원격 수도검침 시스템
KR20160143970A (ko) * 2015-06-05 2016-12-15 대성계전(주) 원격 검침 시스템 및 원격 검침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3036A1 (en) * 2019-06-28 2020-12-30 Yong Kee Choi Cold/hot water meter with remote control module (lorawan and iot) and telemetering and controlling method using same
KR102608707B1 (ko) * 2022-10-26 2023-12-01 주식회사 지구루 긴급 원격 개폐 기능을 위한 가스 ami 관리 방법, 스마트 가스 미터 및 시스템
WO2024090607A1 (ko) * 2022-10-26 2024-05-02 주식회사 지구루 긴급 원격 개폐 기능을 위한 가스 ami 관리 방법, 스마트 가스 미터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63036A1 (en)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0020B1 (ko) 원격제어모듈(LoRaWAN and IoT)을 구비한 수도(온수)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도(온수)계량 검침 및 제어방법
US7508318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ecording and billing for individual fixture and unit water usage in a multi-unit structure
JP5252718B2 (ja) 流体遮断装置
US10526772B2 (en) Automatic shut off valve
US10676901B2 (en) Interactive water monitoring system
US20110035063A1 (en) Water Management System
US20160161940A1 (en) Intelligent water emergency system
JP2014509733A (ja) 流体流測定方法および装置
US20230273629A1 (en) Remotely controllable water meter and related monitor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KR102306259B1 (ko) 원격제어모듈(LoRaWAN and IoT)을 구비한 수도(온수)계량 시스템
JP5070851B2 (ja) ガス遮断装置
CN109442568B (zh) 一种远程恒温供热控制系统
KR20180089615A (ko) 수도설비 부착용 동파방지장치
CN214667044U (zh) 一种无线阀控超声波水表
RU275314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чета расхода воды
JP2008102067A (ja) ガス遮断装置
CA2841432C (en) Automatic shut off valve
EP4034718B1 (en) System for restricting and monitoring potable water flow, suitably for water utility providers, and procedure for its use
US11746508B2 (en) Control valve
EA042746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чета расхода воды
JP2009288092A (ja) ガス使用量計量システム及びガスメータ
RU2554317C1 (ru) Счетчик потребления холодной (горячей) воды с адаптивной системой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я
KR20040099221A (ko) 마그네틱 카드를 이용한 수도요금 선불식 상수도 시스템
JP2008262588A (ja) 無線検針装置
RU54055U1 (ru) Устройство учета расхода вод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