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761B1 - 모션 퍼펫 - Google Patents

모션 퍼펫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761B1
KR102089761B1 KR1020190048251A KR20190048251A KR102089761B1 KR 102089761 B1 KR102089761 B1 KR 102089761B1 KR 1020190048251 A KR1020190048251 A KR 1020190048251A KR 20190048251 A KR20190048251 A KR 20190048251A KR 102089761 B1 KR102089761 B1 KR 102089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puppet
eye
frame
elastic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광호
Original Assignee
(주)메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세 filed Critical (주)메세
Priority to KR1020190048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4Dolls into which the fingers of the hand can be inserted, e.g. hand-pupp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02Clockwork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38Dolls' eyes
    • A63H3/40Dolls' eyes movable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퍼펫은, 외관을 형성하는 퍼펫 외피, 상기 퍼펫 외피의 내부에 배치되고 모션 퍼펫의 골격을 형성하는 퍼펫 프레임, 상기 퍼펫 프레임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선회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고 상기 퍼펫 외피에 형성된 피벗운동부의 골격을 형성하는 양측 모션부, 상기 퍼펫 프레임의 전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퍼펫 외피에 형성된 안구홀에 배치된 안구 모션부, 상기 안구 모션부와 상기 퍼펫 프레임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제1 조작력에 의해 상기 안구 모션부의 모션을 조절하는 제1 모션 조절부, 및 상기 양측 모션부와 상기 퍼펫 프레임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제2 조작력에 의해 상기 양측 모션부의 모션을 조절하는 제2 모션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션 퍼펫{MOTION PUPPET}
본 발명은 모션 퍼펫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다양한 모션으로 간편하게 동작시킬 수 있고, 개인 방송 등에서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는 모션 퍼펫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펫은 꼭두각시 인형의 한 종류로서, 인형사(puppeteer)의 조작에 의해 애니메이트되고 움직이도록 디자인된 인형이다. 참고로, 꼭두각시 인형의 다른 종류인 마리오네트(marionette)는 퍼펫과 마찬가지로 인형사의 조작에 의해 동작하지만, 퍼펫과 다르게 줄이나 실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퍼펫은 동물이나 인간 등을 표현하는 형상으로 제조하되, 인형사의 손에 의해 직접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한다. 대표적으로, 퍼펫은 사람의 손에 의해 각종 동작을 직접 조종하는 양말 인형이나 손인형 등이 있다. 통상의 양말 인형이나 손인형은 인형을 손과 손가락에 끼워서 조종하는 형태이다. 예를 들면, 손인형의 경우에는, 인형의 머리 부분에 집게손가락을 끼우고, 인형의 왼 팔은 엄지손가락으로 조종하며, 인형의 오른 팔은 가운데손가락으로 조종한다.
통상적으로, 퍼펫이나 마리오네트와 같은 꼭두각시 인형은 인형극에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놀이 문화의 하나로 개인이 소장하여 아이들이나 친구들과의 놀이에 활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조종이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외형이 친근한 다양한 종류의 퍼펫이 제작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10-2019-0007188호(발명의 명칭: 스판 재질형 손인형, 공개일: 2019.01.22)에는, 손인형의 내피 재질이 스판 재질로 이루어진 스판 재질형 손인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한국공개특허 10-2019-0007188호(발명의 명칭: 스판 재질형 손인형, 공개일: 2019.01.22)의 스판 재질형 손인형은, 손인형의 내피가 스판 재질로 이루어져 손이나 손가락을 손인형의 내부에 끼워 넣기가 용이하고 손인형을 원활하게 동작시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유튜브와 인터넷 방송 등의 성장에 따라 개인 방송이 널리 확대되는 추세이다. 개인 방송의 경우에는, 여러 사람들이 전문적으로 분업화하여 방송을 함께 만들기 보다는, 한 명의 개인이 콘텐츠의 선정과 제작, 방송의 연출과 진행, 방송 화면의 제작 및 시청자와의 대화 등을 모두 수행하고 있다.
개인 방송 중에서 1명이 진행하는 일인 개인 방송은, 진행자 혼자서 계속 말을 하는 구도이기 때문에 방송의 콘텐츠를 전달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로 인하여, 최근에는 개인 방송의 진행자가 일반 인형이나 퍼펫을 활용하여 대화 형식으로 방송을 진행하는 것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특히, 퍼펫의 경우에는 다양한 모션으로 조종이 가능하므로, 개인 방송의 진행 상황에 따라 퍼펫의 모션을 적절하게 조종하면 방송의 콘텐츠와 재미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퍼펫을 활용한 개인 방송이 최근에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이다.
하지만, 기존에 사용되는 퍼펫은, 양말 인형과 같이 모션이 너무 단순하거나, 손 인형과 같이 손가락들을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불편한 방식으로 조종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로 인해서, 최근에는 퍼펫의 모션이 풍부하면서 퍼펫의 모션 조작은 간단한 퍼펫의 필요성이 더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안구 및 피벗운동부(날개, 귀 또는 팔)의 모션을 간편하게 동작시킬 수 있는 모션 퍼펫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션의 작동 구조를 매우 콤팩트하고 단순하게 형성할 수 있는 모션 퍼펫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는 퍼펫 외피, 상기 퍼펫 외피의 내부에 배치되고 모션 퍼펫의 골격을 형성하는 퍼펫 프레임, 상기 퍼펫 프레임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선회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고 상기 퍼펫 외피에 형성된 피벗운동부의 골격을 형성하는 양측 모션부, 상기 퍼펫 프레임의 전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퍼펫 외피에 형성된 안구홀에 배치된 안구 모션부, 상기 안구 모션부와 상기 퍼펫 프레임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제1 조작력에 의해 상기 안구 모션부의 모션을 조절하는 제1 모션 조절부, 및 상기 양측 모션부와 상기 퍼펫 프레임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제2 조작력에 의해 상기 양측 모션부의 모션을 조절하는 제2 모션 조절부를 포함하는 모션 퍼펫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구 모션부는, 상기 안구홀에 일부분이 노출되게 배치된 볼 형상의 안구 부재, 및 상기 안구 부재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안구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퍼펫 프레임의 전면부에 상기 제1 회전 방향 또는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안구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션 조절부는, 상기 안구 부재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는 제1 회전 방향으로 상기 안구 회전축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제1 조작력에 의해 상기 안구 부재를 하측으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 방향으로 상기 안구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안구홀은 상기 퍼펫 외피의 전면부에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구 부재는 상기 안구홀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안구 회전축은 상기 안구 부재들의 중심부를 단수개가 관통하도록 상기 안구 부재들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모션 조절부는, 상기 퍼펫 프레임과 상기 안구 회전축에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안구 회전축을 상기 제1 회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안구 회전축에 상기 제2 회전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일단부가 감긴 형상으로 연결된 제1 탄성 밴드, 상기 안구 회전축에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일단부가 감긴 형상으로 연결된 제2 탄성 밴드, 및 상기 제2 탄성 밴드의 타단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1 조작력에 의해 상기 안구 회전축을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퍼펫 프레임의 하부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는 상기 퍼펫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퍼펫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제2 탄성 밴드의 타단부를 상기 제1 조작부에 연결하도록 상기 제2 탄성 밴드가 관통되게 배치되는 제1 관통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모션 조절부는, 상기 제1 조작부와 상기 제1 관통홀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탄성 밴드의 제1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탄성 밴드에 의해 상기 안구 회전축이 상기 제1 회전 방향으로 제1 설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제1 관통홀부에 걸림되는 제1 스토퍼 부재, 및 상기 안구 회전축과 상기 제1 관통홀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탄성 밴드의 제2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조작력에 의해 상기 안구 회전축이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제2 설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제1 관통홀부에 걸림되는 제2 스토퍼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측 모션부는, 상기 퍼펫 프레임의 좌측부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 모션 부재, 및 상기 퍼펫 프레임의 우측부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 모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션 조절부는, 상기 좌측 모션 부재와 상기 우측 모션 부재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제1 선회 방향으로 상기 좌측 모션 부재와 상기 우측 모션 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제2 조작력에 의해 상기 좌측 모션 부재와 상기 우측 모션 부재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제2 선회 방향으로 상기 좌측 모션 부재와 상기 우측 모션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모션 조절부는, 상기 좌측 모션 부재와 상기 우측 모션 부재를 상기 제1 선회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좌측 모션 부재와 상기 우측 모션 부재의 전면부를 상기 퍼펫 프레임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제3 탄성 밴드, 상기 좌측 모션 부재와 상기 우측 모션 부재의 후면부에 일단부가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모션 와이어, 및 상기 한 쌍의 모션 와이어의 타단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조작력에 의해 상기 좌측 모션 부재와 상기 우측 모션 부재를 상기 제2 선회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퍼펫 프레임의 하부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작부는 상기 퍼펫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퍼펫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한 쌍의 모션 와이어의 타단부를 상기 제2 조작부에 연결하도록 상기 한 쌍의 모션 와이어가 관통되게 배치되는 제2 관통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퍼펫 프레임에는 상기 제2 관통홀부를 덮는 위치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관통된 좌우 개방 통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좌우 개방 통로의 내부에는 상기 제3 탄성 밴드와 상기 한 쌍의 모션 와이어가 수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퍼펫 프레임에는 상기 퍼펫 외피를 원하는 형상으로 지지하여 상기 퍼펫 프레임을 향한 상기 퍼펫 외피의 눌림이나 처짐을 방지하는 외피 지지용 로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피 지지용 로드의 일단부는 상기 퍼펫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외피 지지용 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모션 퍼펫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길게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퍼펫은, 상기 퍼펫 프레임의 하부에 손잡이 형상으로 마련된 조작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 조작력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1 모션 조절부와 상기 제2 모션 조절부의 조작부는, 상기 조작 손잡이를 파지한 손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조작 손잡이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퍼펫은, 조작 손잡이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제1,2 모션 조절부를 조작하여 안구 모션부 및 양측 모션부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모션 퍼펫을 한 손만으로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고, 모션 퍼펫의 안구와 피벗운동부(날개, 귀 또는 팔)의 모션을 간편하게 정확하게 조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퍼펫은, 안구 모션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1 모션 조절부의 제1 조작부 또는 양측 모션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2 모션 조절부의 제2 조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간편하게 조작하여 모션 퍼펫을 다양한 모션으로 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최근에 확대되고 있는 개인 방송에서 진행자가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진행자와 모션 퍼펫의 커뮤니케이션 상황을 방송 진행에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퍼펫은, 제1 모션 조절부와 제2 모션 조절부의 작동 구조를 매우 콤팩트하고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모션 퍼펫을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퍼펫은, 퍼펫 프레임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되지 않는 부위에 외피 지지용 로드를 마련한 구조이므로, 기존과 같이 퍼펫 프레임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되지 않는 퍼펫 외피의 특정 부위에 충전제를 다량으로 넣어 지지하는 방식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외피 지지용 로드가 퍼펫 외피를 원하는 형태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외피 지지용 로드를 배치하는 간단한 구조 변경만으로 모션 퍼펫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량의 충전제 사용에 따른 비용 부담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퍼펫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션 퍼펫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1과 도 2에 도시된 모션 퍼펫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제1 모션 조절부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4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제2 모션 조절부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퍼펫(100)이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션 퍼펫(100)을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1과 도 2에 도시된 모션 퍼펫(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제1 모션 조절부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4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제2 모션 조절부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퍼펫(100)은 퍼펫 외피(110), 퍼펫 프레임(120), 양측 모션부(130), 안구 모션부(140), 제1 모션 조절부(150), 제2 모션 조절부(160), 및 조작 손잡이(1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모션 퍼펫(100)이 부엉이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동물이나 인물 또는 창작 캐릭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모션 퍼펫(100)은 강아지, 고양이, 원숭이, 어린아이, 산타클로스, 미키마우스, 헬로키티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모션 퍼펫(100)이 부엉이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양측 모션부(130)가 날개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션 퍼펫(100)의 설계 조건 및 형상에 따라 팔이나 다리, 날개 또는 귀처럼 일정한 각도의 범위 내에서 왕복 선회운동을 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피벗운동부는 팔, 다리, 날개 또는 귀를 포함하며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선회운동을 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퍼펫 외피(110)는 모션 퍼펫(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즉, 퍼펫 외피(110)는 부엉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모션 퍼펫(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퍼펫 외피(110)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손을 넣을 수 있는 개구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모션 퍼펫(100)의 사용자는, 개구부(111)에 한 손을 넣어 모션 퍼펫(100)의 조작 손잡이(170)를 파지할 수 있고, 한 손으로 조작 손잡이(170)를 파지한 상태에서 제1 모션 조절부(150)와 제2 모션 조절부(160)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퍼펫 외피(110)는 외피 본체(112) 및 외피 충전제(114)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 본체(112)는 모션 퍼펫(100)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부엉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피 본체(112)의 전면부에는 안구 모션부(140)를 배치하기 위한 안구홀(116)이 형성될 수 있고, 외피 본체(112)의 양측면부에는 양측 모션부(130)를 배치하기 위한 피벗운동부(118)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외피 충전제(114)는 외피 본체(112)의 내부 공간을 충전하는 부재로서, 솜이나 스펀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외피 충전제(114)가 스펀지 소재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외피 충전제(114)는 외피 본체(112)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모션 퍼펫(100)의 외피 본체(112)와 내부 구조물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외피 충전제(114)의 전면부에는 외피 본체(112)의 안구홀(116)과 대응되는 위치에 안구 모션부(140)를 배치하기 위한 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외피 충전제(114)의 양측면부에는 양측 모션부(130)를 관통되게 배치하기 위한 홀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퍼펫 프레임(120)은 모션 퍼펫(100)의 골격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퍼펫 외피(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퍼펫 프레임(120)은 나무 소재, 플라스틱 소재, 종이 소재 또는 금속 소재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퍼펫 프레임(120)이 나무 합판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퍼펫 프레임(120)은 하부 프레임(122), 상부 프레임(124), 측부 프레임(126), 및 안구 프레임(128)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22)은 퍼펫 프레임(120)의 하부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모션 퍼펫(100)의 하부 내측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22)은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패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하부 프레임(122)은 모션 퍼펫(100)의 바디 형상을 형성하도록 타원형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 프레임(122)에는 후술하는 제1 관통홀부(122a) 및 제2 관통홀부(122b)가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4)은 퍼펫 프레임(120)의 상부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모션 퍼펫(100)의 상부 내측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4)은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패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 프레임(122)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부 프레임(124)은 모션 퍼펫(100)의 머리 형상을 형성하도록 반원형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프레임(124)에는 후술하는 제1 밴드 고정홀부(124a)가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측부 프레임(126)은 퍼펫 프레임(120)의 측면부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모션 퍼펫(100)의 양측면부 내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측부 프레임(126)은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패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 프레임(122)과 상부 프레임(124)의 양측면부를 덮는 형상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측부 프레임(126)은 양측 모션부(1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측부 프레임(126)이 하부 프레임(122)과 상부 프레임(124)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되, 하부 프레임(122)과 상부 프레임(124)의 연결 부위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안구 프레임(128)은 안구 모션부(1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로서, 모션 퍼펫(100)의 전면부 내측에 한 쌍이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안구 프레임(128)은 소정의 높이를 갖는 패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 프레임(122)의 상면 좌측과 상면 우측에 서로 마주보는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안구 프레임(128)에는 후술하는 안구 모션부(140)의 안구 회전축(144)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안구 프레임(128)이 안구 모션부(140)의 안구 부재(142)보다 외각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퍼펫 프레임(120)에는 퍼펫 외피(110)를 원하는 형상으로 지지하기 위한 외피 지지용 로드(125)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퍼펫 외피(110) 중에는 퍼펫 프레임(120)에 의해 지지되지 못하는 불안정 지지 부위가 존재할 수 있으며, 외피 지지용 로드(125)는 퍼펫 외피(110)의 불안정 지지 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외피 지지용 로드(125)에 의해서 퍼펫 외피(110)의 불안정 지지 부위가 원하는 형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퍼펫 외피(110)의 불안정 지지 부위가 퍼펫 프레임(120)을 향해 눌림되거나 아래쪽으로 처치는 현상도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피 지지용 로드(125)는 상부 프레임(124)의 상단부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외피 지지용 로드(125)의 일단부는 상부 프레임(124)에 고정될 수 있고, 외피 지지용 로드(125)의 타단부는 모션 퍼펫(100)의 머리에 대응되는 형상을 따라 전방을 향해 소정의 곡률로 돌출될 수 있다.
실제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 지지용 로드(125)가 없는 경우에는 외피 충전제(110')가 상부 프레임(124) 쪽으로 밀려 들어오기 때문에 모션 퍼펫(100)이 부엉이의 두상 전면부를 정상적으로 형성할 수 없지만, 외피 지지용 로드(125)가 형성된 경우에는 외피 충전제(110)가 외피 지지용 로드(125)에 의해 정상적인 위치에 존재하기 때문에 모션 퍼펫(100)이 부엉이의 두상 전면부를 정상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퍼펫 프레임(120)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관통된 좌우 개방 통로(127)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좌우 개방 통로(127)는 후술하는 제2 관통홀부(122b)와 연통되게 연결되도록 제2 관통홀부(122b)를 덮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좌우 개방 통로(127)의 내부에는 한 쌍의 모션 와이어(164)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우 개방 통로(127)는, 하부 프레임(122)과 상부 프레임(124)의 연결 부위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양측부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좌우 개방 통로(127)는 상부 프레임(124)의 후면과 하부 프레임(122)의 상면에 통로 형성 패널(129)을 경사지게 배치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양측 모션부(130)는 퍼펫 외피(110)에 형성된 피벗운동부(118)의 골격을 형성하는 부재로서, 퍼펫 프레임(120)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선회 가능하게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양측 모션부(130)는 퍼펫 프레임(120)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퍼펫 프레임(120)과 같이 패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측 모션부(130)는 좌측 모션 부재(132) 및 우측 모션 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모션 부재(132)는 퍼펫 프레임(120)의 좌측부에 배치된 측부 프레임(126)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우측 모션 부재(134)는 퍼펫 프레임(120)의 우측부에 배치된 측부 프레임(126)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좌측 모션 부재(132)와 우측 모션 부재(134)는 측부 프레임(126)에 힌지 연결 구조와 같은 다양한 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유연성과 강인성을 갖는 합성 섬유로 제작된 면 테이프로 접착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좌측 모션 부재(132)와 우측 모션 부재(134)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제3 탄성 밴드(162)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제3 밴드 고정홀부(136)가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좌측 모션 부재(132)와 우측 모션 부재(134)의 타측에는 후술하는 모션 와이어(164)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홀부(138)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안구 모션부(140)는 모션 퍼펫(100)의 안구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퍼펫 외피(110)에 형성된 안구홀(116)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안구 모션부(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안구홀(116)에서 안구의 눈동자가 나타나거나 사라지는 모션으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구 모션부(140)는 안구 부재(142) 및 안구 회전축(144)을 포함할 수 있다.
안구 부재(142)는 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구홀(116)에 일부분이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안구홀(116)은 퍼펫 외피(110)의 전면부에 좌우 방향으로 2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안구 부재(142)도 2개의 안구홀(116)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안구 부재(142)가 안구홀(116)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안구 회전축(144)은 2개의 안구 부재(142)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2개의 안구 부재(14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안구 회전축(144)은 안구 부재(142)들의 중심부를 단수개가 관통하도록 안구 부재(142)들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안구 회전축(144)의 양단부는 퍼펫 프레임(120)의 안구 프레임(128)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안구 회전축(144)은 제1 회전 방향(R1) 또는 제2 회전 방향(R2)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회전 방향(R1)은 안구홀(116)에서 안구 부재(142)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이고, 제2 회전 방향(R2)은 안구홀(116)에서 안구 부재(142)를 하측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1 모션 조절부(150)는 사용자의 제1 조작력(F1)에 의해 안구 모션부(140)의 모션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제1 모션 조절부(150)는 안구 모션부(140)와 퍼펫 프레임(120)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모션 조절부(150)는, 안구 부재(142)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는 제1 회전 방향(R1)으로 안구 회전축(144)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제1 조작력(F1)에 의해 안구 부재(142)를 하측으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 방향(R2)으로 안구 회전축(144)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모션 조절부(150)는, 제1 탄성 밴드(152), 제2 탄성 밴드(154), 및 제1 조작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 밴드(152)는 안구 회전축(144)을 제1 회전 방향(R1)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부재로서, 퍼펫 프레임(120)의 상부 프레임(124)의 제1 밴드 고정홀부(124a) 및 안구 모션부(140)의 안구 회전축(14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탄성 밴드(152)는,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납작한 띠 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탄성 밴드(152)의 일단부는 안구 회전축(144)에 제2 회전 방향(R2)을 따라 감긴 형상으로 탄성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탄성 밴드(152)의 제1 탄성력(T1)은 제1 회전 방향(R1)으로 안구 회전축(144)을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탄성 밴드(152)는 납작한 띠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제1 탄성 밴드(152)의 일단부는 안구 회전축(144)의 외주면에 두루말이 구조로 권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탄성 밴드(152)의 타단부는 제1 밴드 고정홀부(124a)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탄성 밴드(152)의 타단부에는 제1 밴드 고정홀부(124a)에 걸려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탄성 밴드(152)의 고정부는, 제1 탄성 밴드(152)의 타단부에 체결된 스토퍼 부재로 형성되거나, 제1 탄성 밴드(152)의 타단부를 묶어 결속한 밴드 결속부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1 탄성 밴드(152)의 타단부를 제1 밴드 고정홀부(124a)에 체결한 체결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탄성 밴드(152)의 고정부가 스토퍼 부재인 것으로 설명한다.
제2 탄성 밴드(154)는 제1 조작부(156)의 제1 조작력(F1)을 안구 회전축(144)에 전달하는 부재로서, 안구 모션부(140)의 안구 회전축(144) 및 제1 조작부(156)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탄성 밴드(154)는, 제1 탄성 밴드(152)와 마찬가지로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납작한 띠 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탄성 밴드(154)의 일단부는 안구 회전축(144)에 제1 회전 방향(R1)을 따라 감긴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탄성 밴드(154)의 제2 탄성력(미도시)은 제1 조작부(156)에 작용되는 제1 조작력(F1)의 존재 유무에 따라 제2 회전 방향(R2)으로 안구 회전축(144)을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때, 제2 탄성 밴드(154)는 제1 탄성 밴드(152)와 마찬가지로 납작한 띠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제2 탄성 밴드(154)의 일단부는 안구 회전축(144)의 외주면에 두루말이 구조로 권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탄성 밴드(154)의 타단부는 제1 조작부(156)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탄성 밴드(152)의 타단부에는 제1 탄성 밴드(152)와 마찬가지로 제1 조작부(156)에 형성된 홀부에 걸려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퍼펫 프레임(120)의 하부 프레임(122)에는 제2 탄성 밴드(154)의 타단부가 관통되게 배치되는 제1 관통홀부(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안구 회전축(144)이 하부 프레임(122)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 조작부(156)가 하부 프레임(122)의 하측에 배치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탄성 밴드(154)의 양단부가 제1 관통홀부(122a)를 통해서 안구 회전축(144)과 제1 조작부(156)에 연결할 수 있다.
제1 조작부(156)는 사용자의 제1 조작력(F1)을 입력 받는 부재로서, 제1 조작력(F1)을 이용하여 안구 회전축(144)을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조작부(156)는, 조작 손잡이(170)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부 프레임(122)의 하면부에 조작 손잡이(170)와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조작부(156)의 일측은 제2 탄성 밴드(154)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조작부(156)의 타측은 하부 프레임(122)의 하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조작부(156)와 하부 프레임(122)의 연결 구조는 측부 프레임(126)과 양측 모션부(130)의 연결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모션 조절부(150)는 제1 스토퍼 부재(158) 및 제2 스토퍼 부재(1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 부재(158)는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되는 안구 회전축(144)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부재로서, 제1 관통홀부(122a)에 걸림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탄성 밴드(154)의 제1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탄성 밴드(154)의 제1 위치는 제1 조작부(156)와 제1 관통홀부(122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탄성 밴드(152)에 의해 안구 회전축(144)이 제1 회전 방향(R1)을 향해 제1 설정 각도로 회전되면, 제1 스토퍼 부재(158)가 제1 관통홀부(122a)에 걸림되어 안구 회전축(144)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제2 스토퍼 부재(159)는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되는 안구 회전축(144)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부재로서, 제1 관통홀부(122a)에 걸림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탄성 밴드(154)의 제2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탄성 밴드(154)의 제2 위치는 안구 회전축(144)과 제1 관통홀부(122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탄성 밴드(152)에 의해 안구 회전축(144)이 제2 회전 방향(R2)을 향해 제2 설정 각도로 회전되면, 제2 스토퍼 부재(159)가 제1 관통홀부(122a)에 걸림되어 안구 회전축(144)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2 모션 조절부(160)는 사용자의 제2 조작력(F2)에 의해 양측 모션부(130)의 모션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제2 모션 조절부(160)는 양측 모션부(130)와 퍼펫 프레임(120)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모션 조절부(160)는, 좌측 모션 부재(132)와 우측 모션 부재(134)를 전방으로 선회시키는 제1 선회 방향(C1)으로 좌측 모션 부재(132)와 우측 모션 부재(134)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제2 조작력(F2)에 의해 좌측 모션 부재(132)와 우측 모션 부재(134)를 후방으로 선회시키는 제2 선회 방향(C2)으로 좌측 모션 부재(132)와 우측 모션 부재(13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모션 조절부(160)는, 제3 탄성 밴드(162), 모션 와이어(164), 및 제2 조작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탄성 밴드(162)는 좌측 모션 부재(132)와 우측 모션 부재(134)를 제1 선회 방향(C1)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부재로서, 좌측 모션 부재(132)와 우측 모션 부재(134)의 전면부를 퍼펫 프레임(120)의 측부 프레임(126)에 탄성적으로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3 탄성 밴드(162)는 좌측 모션 부재(132)와 우측 모션 부재(134)를 전방으로 당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조로 양측 모션부(130)와 퍼펫 프레임(120)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3 탄성 밴드(162)는, 제1 탄성 밴드(152)와 마찬가지로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납작한 띠 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탄성 밴드(162)는, 좌측 모션 부재(132)의 전면부와 퍼펫 프레임(120)의 좌측에 배치된 측부 프레임(126)에 연결될 수 있고, 우측 모션 부재(134)의 전면부와 퍼펫 프레임(120)의 우측에 배치된 측부 프레임(126)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3 탄성 밴드(162)의 일단부는 좌측 모션 부재(132)와 우측 모션 부재(134)의 전면부에 형성된 제3 밴드 고정홀부(136)에 탄성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탄성 밴드(162)의 타단부는 측부 프레임(126)에 형성된 홀부에 탄성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탄성 밴드(162)의 양단부에는 제1 탄성 밴드(152)의 고정부와 마찬가지로 제3 밴드 고정홀부(136)과 측부 프레임(126)의 홀부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3 탄성 밴드(162)의 제3 탄성력(T3)은 좌측 모션 부재(132)와 우측 모션 부재(134)를 제1 선회 방향(C1)으로 선회시키는 방향으로 좌측 모션 부재(132)와 우측 모션 부재(134)에 각각 작용될 수 있다.
모션 와이어(164)는 제2 조작부(166)의 제2 조작력(F2)을 좌측 모션 부재(132)와 우측 모션 부재(134)에 전달하는 부재로서, 좌측 모션 부재(132)와 제2 조작부(166)에 연결될 수 있고, 우측 모션 부재(134)와 제2 조작부(166)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모션 와이어(164)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모션 와이어(164)는 강인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금속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 소재, 가죽 소재 또는 직물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모션 와이어(164)는, 좌측 모션 부재(132)와 제2 조작부(166)에 연결된 제1 모션 와이어, 및 우측 모션 부재(134)와 제2 조작부(166)에 연결된 제2 모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2 모션 와이어는 퍼펫 프레임(120)에 형성된 좌우 개방 통로(127)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모션 와이어(164)는 제2 조작부(166)의 제2 조작력(F2)에 의해서 좌측 모션 부재(132)와 우측 모션 부재(134)를 제2 선회 방향(C2)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2 모션 와이어의 일단부는 좌측 모션 부재(132)와 우측 모션 부재(134)의 후면부에 형성된 와이어 고정홀부(138)에 연결될 수 있고, 제1,2 모션 와이어의 타단부는 제2 조작부(166)에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제1,2 모션 와이어의 양단부에는 와이어 고정홀부(138)과 제2 조작부(166)의 홀부에 걸려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퍼펫 프레임(120)의 하부 프레임(122)에는 한 쌍의 모션 와이어(164)가 관통되게 배치되는 제2 관통홀부(122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좌우 개방 통로(127)가 하부 프레임(122)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2 조작부(166)가 하부 프레임(122)의 하측에 배치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모션 와이어(164)의 타단부가 제2 관통홀부(122b)를 통해서 제2 조작부(166)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조작부(166)는 사용자의 제2 조작력(F2)을 입력 받는 부재로서, 제2 조작력(F2)을 이용하여 좌측 모션 부재(132)와 우측 모션 부재(134)를 제2 선회 방향(C2)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조작부(166)는, 제1 조작부(156)와 마찬가지로 조작 손잡이(170)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부 프레임(122)의 하면부에 조작 손잡이(170)와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조작부(166)의 일측은 한 쌍의 모션 와이어(164)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조작부(166)의 타측은 하부 프레임(122)의 하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조작부(166)와 하부 프레임(122)의 연결 구조도 측부 프레임(126)과 양측 모션부(130)의 연결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작 손잡이(170)는 퍼펫 프레임(120)의 하부 프레임(122)의 하부에 손잡이 형상으로 마련된 구성이다. 조작 손잡이(170)는 사용자의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1 조작부(156)와 제2 조작부(166)를 원활하게 조작하도록 제1 조작부(156)와 제2 조작부(166)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 손잡이(170)과 제1,2 조작부(156, 166)은 조작 손잡이(170)를 파지한 손의 손가락 길이보다 작은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조작 손잡이(170)는 퍼펫 외피(110)의 개구부(111)를 향해 봉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퍼펫(100)의 모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모션 퍼펫(10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퍼펫 외피(110)의 개구부(111)에 손을 넣어 조작 손잡이(170)를 파지한다. 그리고, 조작 손잡이(170)를 파지한 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제1 모션 조절부(150)의 제1 조작부(156) 및 제2 모션 조절부(160)의 제2 조작부(166)를 원하는 시점에 적절하게 조작한다.
사용자가 한 손의 손가락으로 제1 조작부(156)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안구 모션부(140)를 동작시켜 모션 퍼펫(100)의 안구 동작을 조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한 손의 손가락으로 제2 조작부(166)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양측 모션부(130)를 동작시켜 모션 퍼펫(100)의 피벗운동부 동작을 간편하게 조종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5와 도 6를 참조하여 모션 퍼펫(100)의 눈동자 동작을 조종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즉, 제1 모션 조절부(150)의 조작에 의한 안구 모션부(140)의 동작 조종 과정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션 조절부(150)의 제1 조작부(156)에 제1 조작력(F1)을 작용하지 않으면, 제1 탄성 밴드(152)의 제1 탄성력(T1)에 의해서 안구 회전축(144)이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제2 탄성 밴드(154)의 제1 위치에 배치된 제1 스토퍼 부재(158)가 제1 관통홀부(122a)의 하부에 걸려 고정되면, 안구 회전축(144)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때, 안구 부재(142)의 눈동자는 퍼펫 외피(110)의 안구홀(116)에 배치된 상태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션 조절부(150)의 제1 조작부(156)에 제1 조작력(F1)을 작용하면, 제1 조작부(156)의 회전에 의해서 제2 탄성 밴드(154)가 제1 조작부(156) 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제2 탄성 밴드(154)에 의해서 안구 회전축(144)이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된다. 이때, 사용자는 제1 탄성 밴드(152)의 제1 탄성력(T1)보다 큰 힘의 제1 조작력(F1)을 제1 조작부(156)에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제2 탄성 밴드(154)의 제2 위치에 배치된 제2 스토퍼 부재(159)가 제1 관통홀부(122a)의 상부에 걸려 고정되면, 안구 회전축(144)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때, 안구 부재(142)의 눈동자는 퍼펫 외피(110)의 안구홀(116)에서 하측으로 회전되어 안구홀(116)에 가려진 상태이다.
한편, 제1 조작부(156)에 작용된 제1 조작력(F1)을 제거하면, 제1 탄성 밴드(152)의 제1 탄성력(T1)에 의해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게 반복적으로 동작된다.
아래에서는 도 7와 도 8을 참조하여 모션 퍼펫(100)의 피벗운동부 동작을 조종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즉, 제2 모션 조절부(160)의 조작에 의한 양측 모션부(130)의 동작 조종 과정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모션 조절부(160)의 제2 조작부(166)에 제2 조작력(F2)을 작용하지 않으면, 제3 탄성 밴드(162)의 제3 탄성력(T3)에 의해서 양측 모션부(130)의 좌측 모션 부재(132)와 우측 모션 부재(134)가 제1 선회 방향(C1)으로 선회된다.
이때, 좌측 모션 부재(132)와 우측 모션 부재(134)는 제3 탄성 밴드(162)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이므로, 모션 퍼펫(100)의 피벗운동부도 전방을 향해 회전된 상태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모션 조절부(160)의 제2 조작부(166)에 제2 조작력(F2)을 작용하면, 제2 조작부(166)의 회전에 의해서 한 쌍의 모션 와이어(164)가 제2 조작부(166) 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한 쌍의 모션 와이어(164)에 의해서 좌측 모션 부재(132)와 우측 모션 부재(134)가 제2 선회 방향(C2)으로 선회된다. 이때, 사용자는 좌측 모션 부재(132)와 우측 모션 부재(134)에 각각 배치된 제3 탄성 밴드(162)의 제3 탄성력(T3)의 총합보다 큰 힘의 제2 조작력(F2)을 제2 조작부(166)에 제공해야 한다.
이때, 좌측 모션 부재(132)와 우측 모션 부재(134)는 한 쌍의 모션 와이어(164)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이므로, 모션 퍼펫(100)의 피벗운동부도 후방을 향해 회전된 상태이다.
한편, 제2 조작부(166)에 작용된 제2 조작력(F2)을 제거하면, 제3 탄성 밴드(162)의 제3 탄성력(T3)에 의해서 도 7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자세로 다시 복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모션 퍼펫
110, 110': 퍼펫 외피
120: 퍼펫 프레임
130: 양측 모션부
140: 안구 모션부
150: 제1 모션 조절부
152: 제1 탄성 밴드
154: 제2 탄성 밴드
156: 제1 조작부
160: 제2 모션 조절부
162: 제3 탄성 밴드
164: 모션 와이어
166: 제2 조작부
170: 조작 손잡이

Claims (12)

  1. 외관을 형성하는 퍼펫 외피; 상기 퍼펫 외피의 내부에 배치되고, 모션 퍼펫의 골격을 형성하는 퍼펫 프레임; 상기 퍼펫 프레임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선회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고, 상기 퍼펫 외피에 형성된 피벗운동부의 골격을 형성하는 양측 모션부; 상기 퍼펫 프레임의 전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퍼펫 외피에 형성된 안구홀에 배치된 안구 모션부; 상기 안구 모션부와 상기 퍼펫 프레임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제1 조작력에 의해 상기 안구 모션부의 모션을 조절하는 제1 모션 조절부; 및 상기 양측 모션부와 상기 퍼펫 프레임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제2 조작력에 의해 상기 양측 모션부의 모션을 조절하는 제2 모션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측 모션부는, 상기 퍼펫 프레임의 좌측부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 모션 부재; 및 상기 퍼펫 프레임의 우측부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 모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모션 조절부는, 상기 좌측 모션 부재와 상기 우측 모션 부재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제1 선회 방향으로 상기 좌측 모션 부재와 상기 우측 모션 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제2 조작력에 의해 상기 좌측 모션 부재와 상기 우측 모션 부재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제2 선회 방향으로 상기 좌측 모션 부재와 상기 우측 모션 부재를 회전시키며,
    상기 제2 모션 조절부는, 상기 좌측 모션 부재와 상기 우측 모션 부재를 상기 제1 선회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좌측 모션 부재와 상기 우측 모션 부재의 전면부를 상기 퍼펫 프레임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제3 탄성 밴드; 상기 좌측 모션 부재와 상기 우측 모션 부재의 후면부에 일단부가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모션 와이어; 및 상기 한 쌍의 모션 와이어의 타단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조작력에 의해 상기 좌측 모션 부재와 상기 우측 모션 부재를 상기 제2 선회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퍼펫 프레임의 하부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퍼펫.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 모션부는, 상기 안구홀에 일부분이 노출되게 배치된 볼 형상의 안구 부재; 및 상기 안구 부재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안구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퍼펫 프레임의 전면부에 제1 회전 방향 또는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안구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션 조절부는, 상기 안구 부재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는 제1 회전 방향으로 상기 안구 회전축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제1 조작력에 의해 상기 안구 부재를 하측으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 방향으로 상기 안구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퍼펫.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홀은 상기 퍼펫 외피의 전면부에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구 부재는 상기 안구홀들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안구 회전축은 상기 안구 부재들의 중심부를 단수개가 관통하도록 상기 안구 부재들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퍼펫.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션 조절부는,
    상기 퍼펫 프레임과 상기 안구 회전축에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안구 회전축을 상기 제1 회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안구 회전축에 상기 제2 회전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일단부가 감긴 형상으로 연결된 제1 탄성 밴드;
    상기 안구 회전축에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일단부가 감긴 형상으로 연결된 제2 탄성 밴드; 및
    상기 제2 탄성 밴드의 타단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1 조작력에 의해 상기 안구 회전축을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퍼펫 프레임의 하부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조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퍼펫.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부는 상기 퍼펫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퍼펫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제2 탄성 밴드의 타단부를 상기 제1 조작부에 연결하도록 상기 제2 탄성 밴드가 관통되게 배치되는 제1 관통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퍼펫.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션 조절부는,
    상기 제1 조작부와 상기 제1 관통홀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탄성 밴드의 제1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탄성 밴드에 의해 상기 안구 회전축이 상기 제1 회전 방향으로 제1 설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제1 관통홀부에 걸림되는 제1 스토퍼 부재; 및
    상기 안구 회전축과 상기 제1 관통홀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탄성 밴드의 제2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조작력에 의해 상기 안구 회전축이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제2 설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제1 관통홀부에 걸림되는 제2 스토퍼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퍼펫.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작부는 상기 퍼펫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퍼펫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한 쌍의 모션 와이어의 타단부를 상기 제2 조작부에 연결하도록 상기 한 쌍의 모션 와이어가 관통되게 배치되는 제2 관통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퍼펫.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퍼펫 프레임에는 상기 제2 관통홀부를 덮는 위치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관통된 좌우 개방 통로가 마련되고,
    상기 좌우 개방 통로의 내부에는 상기 제3 탄성 밴드와 상기 한 쌍의 모션 와이어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퍼펫.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퍼펫 프레임에는 상기 퍼펫 외피를 원하는 형상으로 지지하여 상기 퍼펫 프레임을 향한 상기 퍼펫 외피의 눌림이나 처짐을 방지하는 외피 지지용 로드가 마련되며,
    상기 외피 지지용 로드의 일단부는 상기 퍼펫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외피 지지용 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모션 퍼펫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길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퍼펫.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퍼펫 프레임의 하부에 손잡이 형상으로 마련된 조작 손잡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2 조작력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1 모션 조절부와 상기 제2 모션 조절부의 조작부는, 상기 조작 손잡이를 파지한 손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조작 손잡이에 근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퍼펫.
KR1020190048251A 2019-04-25 2019-04-25 모션 퍼펫 KR102089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251A KR102089761B1 (ko) 2019-04-25 2019-04-25 모션 퍼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251A KR102089761B1 (ko) 2019-04-25 2019-04-25 모션 퍼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761B1 true KR102089761B1 (ko) 2020-03-16

Family

ID=69948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251A KR102089761B1 (ko) 2019-04-25 2019-04-25 모션 퍼펫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7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588U (ja) * 1991-09-27 1993-04-20 株式会社バンダイ 手動操作玩具
US20040087246A1 (en) * 2002-11-06 2004-05-06 Folkmanis, Inc. Dynamic eye simulation mechanism
JP2012170776A (ja) * 2011-02-24 2012-09-10 Hirobo Ltd 遠隔操縦式ヘリコプタの操縦練習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588U (ja) * 1991-09-27 1993-04-20 株式会社バンダイ 手動操作玩具
US20040087246A1 (en) * 2002-11-06 2004-05-06 Folkmanis, Inc. Dynamic eye simulation mechanism
JP2012170776A (ja) * 2011-02-24 2012-09-10 Hirobo Ltd 遠隔操縦式ヘリコプタの操縦練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1275A (en) Animated doll with members controlled by weighted, swiveled, slidably mounted interior rod
US4372077A (en) Combined book, flannelboard and hand puppet
US4488315A (en) Combination scarf and puppet
US6685533B1 (en) Reproducible doll
US20050233675A1 (en) Animated multi-persona toy
JP6303051B1 (ja) 人形玩具
US7731560B2 (en) Motorized interactive figure
US72349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plush to an artificial eye
US3758982A (en) Activity doll
US2633670A (en) Hand puppet
US4033071A (en) Sucking doll with cheekflexing means operated by turning bottle
US5178574A (en) Article having a movable fold member for alteration of a feature
US1489385A (en) Figure toy
JP2019005542A (ja) 人形玩具
KR102089761B1 (ko) 모션 퍼펫
US7641535B2 (en) Artificial eye assemblies
US4333642A (en) Toy
US20030092348A1 (en) Talking stick horse
US5478269A (en) Toy figure having grasping claw
US3835582A (en) Marionette assembly with manipulating glove
US3099894A (en) Stuffed animated toy animal
US4276715A (en) Puppet
US6409572B1 (en) Big mouth doll
KR102417979B1 (ko) 모션 퍼펫
KR200176490Y1 (ko) 인형 및 그 조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