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649B1 -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bench - Google Patents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ben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649B1
KR102089649B1 KR1020190132842A KR20190132842A KR102089649B1 KR 102089649 B1 KR102089649 B1 KR 102089649B1 KR 1020190132842 A KR1020190132842 A KR 1020190132842A KR 20190132842 A KR20190132842 A KR 20190132842A KR 102089649 B1 KR102089649 B1 KR 102089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ariable frame
floor
bound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8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봉상
Original Assignee
유봉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봉상 filed Critical 유봉상
Priority to KR1020190132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6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6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0Platforms with lifting and low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2Railings extensible or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table capable of multi-directional expansion, which may be configured by including: a base frame unit which is installed vertically; a first side surface variable frame which is hinge-coupled at both ends of the base frame unit; a vertical bar which is hinge-coupled to the first side surface variable frame; a second side surface variable frame which is hinge-coupled to the vertical bar; a door frame which is hinge-coupled to the second side surface variable frame; a floor frame unit horizontally fixed in the front of the base frame unit and forming a width smaller than a width of the base frame unit; a first floor variable frame which is hinge-coupled to both end units of the floor frame unit; a second floor variable frame which is hinge-coupled to the front of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and a third floor variable frame which is hinge-coupled to the front of the floor frame unit.

Description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bench}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bench

본 발명은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4개의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은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table capable of multi-directional expans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worktable capable of multi-directional expansion with high utilization by being able to be modified in four forms.

고층의 물건이나 사람을 운반하기 위해 고가 사다리차나 고소 작업차에 장착되는 작업대는 그 작업 반경을 늘리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 예로써, 한국등록특허 제10-1123630호 '농업기계용 고소작업대' 등이 개시되어 있다.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ncrease the working radius of a work platform mounted on an elevated ladder car or aerial work vehicle to carry high-rise objects or people. As an example,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23630 'A aerial platform for agricultural machinery' is disclo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확장형 고소작업대는, 주로 폭이나, 길이 중 하나의 확장 형태로만 변형이 가능하며, 또한 넓어진 면적에 대해 구조적 불안전성을 지녀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extended aerial platform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it can mainly be deformed into one of an extended form of width or length, and also has structural instability over a large area to ensure safety.

이에 따라, 확장형 작업대에 있어서 다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하여 활용도를 높이며, 더욱이 확장 상태에서도 구조적 안정성을 지니는 작업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xpand in a multi-direction in the expandable worktabl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and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worktable having structural stability even in the expanded stat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4개의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으면서도, 변형이 용이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지닌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has an object to provide a worktable that can be modified in four forms and has high utilization, easy deformation, and multi-directional extension with structural stability.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양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1 측면 가변프레임; 제1 측면 가변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수직바; 상기 수직바에 힌지 결합되는 제2 측면 가변프레임; 제2 측면 가변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전방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바닥 프레임부; 상기 바닥 프레임부 양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1 바닥 가변프레임; 상기 제1 바닥 가변프레임의 전방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2 바닥 가변프레임 및 상기 바닥 프레임부 전방에 힌지 결합되는 제3 바닥 가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Multi-directional expansion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base frame portion vertically installed; A first side variable frame hinged to both ends of the base frame portion; A vertical bar hinged to 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A second side variable frame hinged to the vertical bar; A door frame hinged to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A bottom frame part horizontally fixed in front of the base frame part; A first floor variable frame hinged to both ends of the floor frame portion; A second floor variable frame hinged to the front of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and a third floor variable frame hinged to the front of the floor frame portion may be included.

여기서, 상기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는, 상기 제1 측면 가변프레임은 베이스 프레임부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직각 회동하여 측면을 이루고, 상기 제2 측면 가변프레임은 제1 측면 가변프레임과 수평을 이루는 상태의 수직바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직각 회동하여 정면 측부를 이루며, 상기 도어 프레임은 제2 측면 가변프레임과 수평을 이루어 정면 중앙부를 이루고, 상기 제1 바닥 가변프레임은 바닥 프레임부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직각 회동하여 직립되고, 상기 제3 바닥 가변프레임은 바닥 프레임부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직각 회동하여 직립되고, 상기 제2 바닥 가변 프레임은 제1 바닥 가변프레임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직각 회동하여 직립되되, 상기 제1 바닥 가변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결속되고, 제1 측면 가변프레임은 상기 제1 바닥 가변프레임에 결속되며, 상기 제2 바닥 가변프레임은 상기 바닥 프레임부와 제2 측면 가변프레임에 각각 결속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끼리 결속되는, 제1 변형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Here, in the multi-directional extendable worktable, 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forms a side surface by rotating the hinge at a right angle to the base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is horizontal to 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The hinge is rotated at right angles to the vertical bar of the state to form a front side, the door frame is leveled with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to form a front central portion, and the first bottom variable frame is a hinge to the bottom frame portion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is turned upright by rotating the hinge at right angles to the bottom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is rotated at right angles to the hinge about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Upright,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is bound to the base frame portion, and 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is the first floor A first deformable structure, which is bound to the variable frame, is coupled to the bottom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and the door frames are respectively bound to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또한, 상기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는, 상기 제1 변형구조에서, 상기 수직바가 제1 측면 가변프레임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직각 회동하며, 상기 제2 측면 가변프레임은 수직바를 축으로 제1 측면 가변프레임과 접철되도록 회동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은 제2 측면 가변프레임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후방으로 직각 회동하며, 상기 제3 바닥 가변프레임은 상기 바닥 프레임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하고, 상기 제2 바닥 가변프레임은 상기 제1 바닥 가변프레임과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하되,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결속되며, 상기 제2 바닥 가변프레임은 상기 제3 바닥 가변프레임에 결속되는, 제2 변형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ulti-directional extendable worktable, in the first deformed structure, the vertical bar rotates at a right angle to the hinge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and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has a first side with the vertical bar as an axis. It is rotated so as to fold with the variable frame, the door frame is rotated at a right angle to the rear of the base fram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hinge on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and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is rotated to be horizontal with the bottom frame portion. ,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is rotated to be horizontal with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the door frame is bound to the base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is bound to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Can form a second deformable structure,

또한, 상기 바닥 프레임부와 제3 바닥 가변프레임 하단에는 각각 바닥 프레임부와 제3 바닥 가변프레임이 수평을 이룰 시에 서로 맞대어지는 지지 리브가 마련되어 자중에 의한 꺾임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bottom of the bottom frame portion and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support ribs that are mated to each other when the bottom frame portion and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are horizontal can be provided to prevent bending due to their own weight.

또한, 상기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는, 상기 제2 변형구조에서, 상기 제1 측면 가변프레임 및 수직바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되고, 상기 제2 측면 가변프레임이 상기 수직바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회동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이 상기 제2 측면 가변프레임에 대해 접철되도록 회동되고, 상기 제1 바닥 가변프레임이 상기 바닥 프레임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하며, 상기 제2 바닥 가변프레임이 상기 제1 바닥 가변프레임과 수직을 이루도록 회동하고, 상기 제3 바닥 가변프레임이 상기 바닥 프레임부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회동하되,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제2 측면 가변프레임에 결속되며, 상기 제2 바닥 가변프레임과 제3 바닥 가변프레임이 결속되고 상기 제2 바닥 가변프레임은 상기 제2 측면 가변프레임에 결속되며 상기 제1 측면 가변프레임은 상기 제1 바닥 가변프레임에 결속되는, 제3 변형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directional extendable worktable, in the second deformable structure, 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and the vertical bar are rotated so as to be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is It is rotated to form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bar, the door frame is rotated to fold against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is rotated to be horizontal with the bottom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floor variable The frame is rotat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and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is pivotally hinged to the bottom frame portion, and the door frame is bound to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and the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and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are bound, and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is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It is bound to said first side being a variable frame may form a third modified structure, which is bound to the first floor, a variable frame.

또한, 상기 바닥 프레임부와 제1 바닥 가변프레임 하단에는 각각 바닥 프레임부와 제1 바닥 가변프레임이 수평을 이룰 시에 서로 맞대어지는 지지 리브가 마련되어 자중에 의한 꺾임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bottom of the bottom frame portion and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support rib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bottom frame portion and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are horizontal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ent due to their own weight.

또한, 상기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는, 상기 제3 변형구조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이 상기 제2 측면 가변프레임에 대해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하며, 상기 제3 바닥 가변프레임이 상기 바닥 프레임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하고, 상기 제2 바닥 가변프레임이 상기 제1 바닥 가변프레임에 대해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하되, 상기 제2 측면 가변프레임은 상기 제1 바닥 가변프레임에 결속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제2 바닥 가변프레임에 결속되는, 제4 변형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directional extendable worktable, in the third deformation structure, the door frame rotates to be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and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is level with the bottom frame portion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is rotated to be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is bound to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and the door frame is the second floor A fourth deforming structure, which is bound to the variable frame, can be formed.

또한, 또한, 상기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는, 상기 제4 변형구조에서, 상기 제2 바닥 가변프레임과 제3 바닥 가변프레임을 가로질러 상기 양측 도어 프레임 사이로 설치되는 안전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directional extendable worktable may further include a safety door installed between the two side door frames across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and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in the fourth modified structure.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는, 4개의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으면서도, 변형이 용이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지닌 장점이 있다.The worktable capable of multi-directional expa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being modified in four forms, and thus has high utilization, easy deformation, and has structural st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연결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일 구성인 베이스 프레임부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일 구성인 제1 측면 가변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일 구성인 수직바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일 구성인 제2 측면 가변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일 구성인 도어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일 구성인 바닥 프레임부의 상면 및 하면 사시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일 구성인 제1 바닥 가변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을 수직 상태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일 구성인 제2 바닥 가변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을 수직 상태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일 구성인 제3 바닥 가변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을 수직 상태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제1 변형구조 사시도이며,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제1 변형구조 저면 사시도이고, 도 11c는 제1 변형구조의 결속부분 상세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제2 변형구조 사시도이며,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제2 변형구조 저면 사시도이고, 도 12c는 제2 변형구조의 결속부분 상세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제3 변형구조 사시도이며,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제3 변형구조 저면 사시도이고, 도 13c는 제3 변형구조의 결속부분 상세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제4 변형구조 사시도이며,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제4 변형구조 저면 사시도이고, 도 14c는 제4 변형구조의 결속부분 상세도이다.
도 15a는 도 14a의 작업대에 안전 도어를 설치한 상태의 전면 사시도이며, 도 15b는 도 15a의 안전 도어 중 일부를 분리한 상태의 후면 사시도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worktable capable of multi-directional expa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and 2 (b)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a base frame portion which is a configuration of a worktable capable of multi-directional expa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a first side variable frame which is a configuration of a worktable capable of multi-directional expa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a vertical bar, which is a configuration of a worktable capable of multi-directional expa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a second side variable frame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a worktable capable of multi-directional expa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and (b)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a door frame, which is a configuration of a worktable capable of multi-directional expa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perspective views of upper and lower surfaces of a bottom frame that is a component of a worktable capable of multi-directional expa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 and 8 (b) are view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which is a configuration of a worktable capable of multi-directional expa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vertical state.
9 (a) and 9 (b) are view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which is a configuration of a worktable capable of multi-directional expa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vertical state.
10 (a) and 10 (b) are view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which is a configuration of a worktable capable of multi-directional expa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vertical state.
1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deformable structure of a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B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deformable structure of a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c is a detailed view of the binding portion of the first deformable structure.
1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deformable structure of a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deformable structure of a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c is a detailed view of the binding portion of the second deformable structure.
1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deformable structure of a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B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deformable structure of a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c is a detailed view of the binding portion of the third deformable structure.
1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deformable structure of a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B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deformable structure of a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c is a detailed view of the binding portion of the fourth deformation structure.
15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door installed on the work table of FIG. 14A, and FIG. 15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safety door of FIG. 15A separated.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conversions may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in meaning to themselves, and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denote the same compon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include", "have" or "have"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nd understood to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도 1 내지 도 1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worktable capable of multi-directional ex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5B.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연결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일 구성인 베이스 프레임부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일 구성인 제1 측면 가변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 and (b) are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ta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configuration is a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 of a base frame portion, and FIGS. 3A and 3B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a first side variable frame that is a configuration of a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일 구성인 수직바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며,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일 구성인 제2 측면 가변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고,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일 구성인 도어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다.4 (a) and (b)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a vertical bar, which is a configuration of a worktable capable of multi-directional expa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a) and (b) are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side variable frame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a multi-directional extension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A and 6B are multi-directional extens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 of a door frame which is one component of a work table.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일 구성인 바닥 프레임부의 상면 및 하면 사시도이며,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일 구성인 제1 바닥 가변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을 수직 상태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일 구성인 제2 바닥 가변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을 수직 상태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10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일 구성인 제3 바닥 가변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을 수직 상태에서 바라본 도면이다.7 (a) and (b) is a top and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frame portion, which is one component of a worktable capable of multi-directional expa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a) and (b) are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multi-directional extension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viewed in a vertical state, and FIGS. 9A and 9B 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worktable capable of multi-directional expansion, in a vertical state, and FIGS. 10 (a) and 10 (b) are multi-directional expansion possible This is a view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work table, in a vertical state.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100)는, 베이스 프레임부(110), 제1 측면 가변프레임(120), 수직바(130), 제2 측면 가변프레임(140), 도어 프레임(150), 바닥 프레임부(160),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 제3 바닥 가변프레임(1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o 10, the multi-directional extension worktab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rame portion 110, a first side variable frame 120, a vertical bar 130, and 2 side variable frame 140, door frame 150, floor frame portion 160,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170,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180, including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190 Can be configured.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부(110)는 작업대(100)의 후면을 형성하는 고정 프레임으로써 복수의 수평바(111) 및 수직바(112)와 플레이트(113)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후술할 바닥 프레임부(160)와 수직으로 일체화되어 작업대(100)의 베이스를 이룰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se frame part 110 is a fixed frame forming the rear surface of the work table 100 and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111 and vertical bars 112 and plates 113, and a floor frame to be described later. The unit 160 may be vertically integrated to form a base of the work table 100.

베이스 프레임부(110)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이격되는 3개의 수평바(111a 내지 111c)와 5개의 수직바(112a 내지 112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3개 중 중간의 수평바(111b) 단부에는 고정핀(114a)이 장착되는 고정핀 장착부(114)와 제1 고정핀 삽입공(115)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베이스 프레임부(110)를 구성하는 수직바(111)와 수평바(112)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써,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수는 변형될 수 있다. The base frame part 110 may preferably include three horizontal bars 111a to 111c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ive vertical bars 112a to 112e, and the middle horizontal bar 111b among the three A fixing pin mounting portion 114 and a first fixing pin insertion hole 115 in which the fixing pin 114a is mounted may be provided at an end. However, the number of the vertical bars 111 and the horizontal bars 112 constituting the base frame part 110 is exemplary,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and the number may be modified.

또한, 가장 외측에 위치한 수직바(112a, 112e)에는 제1 걸림편 삽입홈(116)이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ocking piece insertion groove 116 may be provided at the outermost vertical bars 112a and 112e.

고정핀(114a)과 제1 고정핀 삽입공(115), 제1 걸림편 삽입홈(116)의 사용은 작업대의 변형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후술하기로 한다.The use of the fixing pin 114a, the first fixing pin insertion hole 115, and the first locking piece insertion groove 116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section describing deformation of the worktable.

아울러,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부(110)는 작업대(100)의 후면을 형성하기 위해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frame portion 110 may be installed vertically to form the rear surface of the work table 100.

제1 측면 가변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부(110) 양단에 힌지 결합되는 프레임으로써, 2개가 마련되며 힌지를 축으로 회동하며 작업대(100)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다.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120 is a frame that is hinged to both ends of the base frame part 110, and is provided with two pieces, and the hinge is rotated on an axis to deform the shape of the work table 100.

제1 측면 가변프레임(120)은 3개의 수평바(121a 내지 121c), 3개의 수직바(122a 내지 122c), 플레이트(123)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간에 위치한 수평바(121b)에는 수평으로 걸림편이 인입/인출되는 제1 결속부재(124)가 장착되고, 전방에 위치한 수직바(122a)의 하단에는 수직으로 걸림편이 인입/인출되는 제2 결속부재(125)가 장착될 수 있으며, 하부에 위치한 수평바(121c)에는 플레이트형의 제1 받침편(126)이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120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ree horizontal bars (121a to 121c), three vertical bars (122a to 122c), and a plate 123, and the horizontal bar (121b) located in the middle The first binding member 124 to which the locking piece is horizontally inserted / extracted is mounted, and the second binding member 125 to which the locking piece is vertically inserted / extracted may be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bar 122a located at the front side. , A plate-shaped first support piece 126 may be provided on the horizontal bar 121c located at the bottom.

제1 및 제2 결속부재(124, 125), 제1 받침편(126)의 사용은 작업대의 변형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후술하기로 한다.The use of the first and second binding members 124 and 125 and the first support piece 126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section describing the deformation of the worktable.

수직바(130)는 제1 측면 가변프레임(120)에 힌지 결합되는 바로써, 2개가 마련되며 상술한 측면 가변프레임이나 후술할 측면 가변프레임들의 회동 방향 조절에 사용되고, 변형 폭이나 길이를 맞추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 vertical bar 130 is a bar that is hinged to 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120, and is provided with two pieces, and is used to adjust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above-described side variable frames or side variable frames to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match the deformation width or length. Can be used.

제2 측면 가변프레임(140)은 수직바(130)에 힌지 결합되는 프레임으로써, 2개가 마련되며 힌지를 축으로 회동하며 작업대(100)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다.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140 is a frame that is hinged to the vertical bar 130, and is provided with two and rotates the hinge as an axis to deform the shape of the work table 100.

제2 측면 가변프레임(140)은 3개의 수평바(141a 내지 141c), 3개의 수직바(142a 내지 142c), 플레이트(143)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간에 위치한 수평바(141b)에는 제2 고정핀 삽입공(144)과 제2 걸림편 삽입홈(145)이 형성되고, 전방에 위치한 수직바(142a)에는 제3 고정핀 삽입공(146)이 형성되며, 하부에 위치한 수평바(141c)에는 제4 고정핀 삽입공(147)이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부의 위치한 수평바(141c)에는 'ㄴ'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제2 받침편(148)이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140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ree horizontal bars 141a to 141c, three vertical bars 142a to 142c, and a plate 143, and the horizontal bar 141b located in the middle The second fixing pin insertion hole 144 and the second locking piece insertion groove 145 are formed, and the third fixing pin insertion hole 146 is formed in the vertical bar 142a located in the front, and the horizontal bar located in the lower part. A fourth fixing pin insertion hole 147 may be provided in one or more of the (141c), and a second supporting piece 148 that is bent in a 'b' shape may be provided in the horizontal bar 141c located at the bottom. You can.

제2 내지 제4 고정핀 삽입공(144, 146, 147)과, 제2 걸림편 삽입홈(145), 제2 받침편(148)의 사용은 작업대의 변형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후술하기로 한다.The use of the second to fourth fixing pin insertion holes 144, 146, and 147, the second locking piece insertion grooves 145, and the second supporting piece 148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section explaining the deformation of the worktable. .

도어 프레임(150)은 제2 측면 가변프레임(140)에 힌지 결합되는 프레임으로써, 2개가 마련되며 힌지를 축으로 회동하며 작업대(100)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다.The door frame 150 is a frame that is hinged to the second lateral variable frame 140, and is provided with two and rotates the hinge as an axis to deform the shape of the work table 100.

도어 프레임(150)은 3개의 수평바(151a 내지 151c), 2개의 수직바(152a, 152b), 플레이트(153)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간에 위치한 수평바(151b)에는 제5 고정핀 삽입공(154)이 마련될 수 있으며, 하부에 위치한 수평바(151c)에는 제6 고정핀 삽입공(155)이 마련될 수 있고, 하부에 위치한 수평바(151c)에는 'ㄴ'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제3 받침편(156)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전방에 위치한 수직바(152a)에는 잠금장치(157)가 마련될 수 있다.The door frame 150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ree horizontal bars 151a to 151c, two vertical bars 152a and 152b, and a plate 153, and the fifth fixed to the horizontal bar 151b located in the middle. A pin insertion hole 154 may be provided, and a sixth fixing pin insertion hole 155 may be provided in the horizontal bar 151c located at the bottom, and a 'b' shape may be provided at the horizontal bar 151c located at the bottom. A third support piece 156 that is bent to be formed may be provided, and a locking device 157 may be provided in the vertical bar 152a located in the front.

여기서, 제5 고정핀 삽입공(154)은 바람직하게는 장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5 및 제6 고정핀 삽입공(154, 155), 제3 받침편(156), 잠금장치(157)의 사용은 작업대(100)의 변형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후술하기로 한다.Here, the fifth fixing pin insertion hole 154 may be preferably formed in a long hole shap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and the fifth and sixth fixing pin insertion holes 154, 155, and the third supporting piece 156 ), The use of the locking device 157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deformation of the work table (100).

바닥 프레임부(160)는 베이스 프레임부(110) 전방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바닥 프레임부(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부(100)와 수직을 이루어 작업대(100)의 베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The bottom frame part 160 may be fixedly installed in front of the base frame part 110. At this time, the bottom frame portion 160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base frame portion 100 as described above to form the base of the work table 100.

여기서, 바닥 프레임부(160)는 측방으로의 길이 즉, 너비가 베이스 프레임부(110)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제1 측면 가변프레임(120)의 회동 공간을 마련하기 위함이다.Here, the bottom frame portion 160 may form a length in the lateral direction, that is,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ase frame portion 110. This is to provide a rotation space of 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120 described above.

또한, 바닥 프레임부(160)는 하면 전방 양측에 전방으로 길이를 형성하는 제1 지지 리브(161)를 마련할 수 있으며, 하면 양측방에 측방으로 길이를 형성하는 제2 지지 리브(162)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면 전방 양측에는 제3 걸림편 삽입홈(163)이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frame portion 16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support rib (161) that forms a length forwar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and a second support rib (162) that forms a length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Can be prepared. In addition, a third locking piece insertion groove 163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제1 지지 리브(161)와 제2 지지 리브(162)는 전단이 평면일 수 있으며, 제1 지지 리브(161)와 제2 지지 리브(162), 제3 걸림편 삽입홈(163)의 사용은 작업대(100)의 변형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후술하기로 한다.The first support rib 161 and the second support rib 162 may have a flat front end, and use of the first support rib 161, the second support rib 162, and the third locking piece insertion groove 163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deformation of the work table 100.

아울러, 바닥 프레임부(160) 중심에는 붐대 등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판(164)이 마련되어 붐대를 구비하는 사다리차 등에 결합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upling plate 164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frame portion 160 for coupling with a boom, etc., and thus can be combined with a ladder car having a boom.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은 바닥 프레임부(160) 양단에 힌지 결합되는 프레임으로써, 2개가 마련되며 힌지를 축으로 회동하며 작업대(100)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다.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170 is a frame that is hinged to both ends of the floor frame part 160, and is provided with two pieces, and the hinge is pivoted on the shaft to deform the shape of the work table 100.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의 기준으로 3개의 수평바(171a 내지 171c)와 4개의 수직바(172a 내지 172d), 플레이트(173)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개수는 한정적이지 않는다.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은 수평바(171)와 수직바(172)를 격자를 형성 후, 그 위에 플레이트(173)를 적재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170 is a combination of three horizontal bars 171a to 171c, four vertical bars 172a to 172d, and a plate 173 as a reference when vertically erected as shown in FIG. 8. It may be composed of,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17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horizontal bar 171 and a vertical bar 172 are formed in a grid, and then a plate 173 is loaded thereon.

또한,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의 기준으로 상단 수평바(171a)의 후단에 수평으로 걸림편이 인입/인출되는 제3 결속부재(174)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단 수평바(171a)에는 상단 수평바(171a)를 관통하는 제7 고정핀 삽입공(175)이 마련될 수 있고, 후방에 위치된 수직바(172d)에는 제8 고정핀 삽입공(176)이 마련될 수 있으며, 수직바(172) 중 하나에는 제4 걸림편 삽입홈(177)이 마련될 수 있고, 수직바(172)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제2 지지 리브(162)와 상응하여 작용하는 제3 지지 리브(178)가 마련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173) 상면에는 제5 걸림편 삽입홈(179)이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170 may be mounted with a third binding member 174 to which the locking piece is horizontally drawn in / out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horizontal bar 171a as a standard when vertically erected. A seventh fixing pin insertion hole 175 penetrating the upper horizontal bar 171a may be provided in the horizontal bar 171a, and an eighth fixing pin insertion hole 176 may be provided in the vertical bar 172d located at the rear. It may be provided, one of the vertical bar 172 may be provided with a fourth locking piece insertion groove 177, one or more of the vertical bar 172 acts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support rib 162 A third support rib 178 may be provided, and a fifth locking piece insertion groove 179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73.

제3 결속부재(174), 제7 및 제8 고정핀 삽입공(175, 176), 제4 걸림편 삽입홈(177), 제3 지지 리브(178) 및 제5 걸림편 삽입홈(179)의 사용은 작업대(100)의 변형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후술하기로 한다.3rd binding member 174, 7th and 8th fixing pin insertion holes 175 and 176, 4th locking piece insertion groove 177, 3rd support rib 178 and 5th locking piece insertion groove 179 The use of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deformation of the work table 100.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은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의 전방으로 힌지 결합되는 프레임으로써, 2개가 마련되며 힌지를 축으로 회동하며 작업대(100)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다.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180 is a frame that is hinged to the front of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170, and is provided with two and rotates the hinge as an axis to deform the shape of the work table 100.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의 기준으로 5개의 수평바(181a 내지 181e)와 2개의 수직바(182a, 182b), 플레이트(183)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개수는 한정적이지 않는다.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은 수평바(181)와 수직바(182)를 격자를 형성 후, 그 위에 플레이트(183)를 적재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180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five horizontal bars 181a to 181e, two vertical bars 182a and 182b, and a plate 183 as a standard when vertically erected. Is not limited.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18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horizontal bar 181 and a vertical bar 182 are formed in a grid, and then a plate 183 is loaded thereon.

또한,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의 기준으로 상단 수평바(181a)에 제9 및 제10 고정핀 삽입공(184, 185)을 형성하며, 중단 수평바(181c)에 제11 고정핀 삽입공(186)을 형성하고, 전방 수직바(182a)에 걸쇠(187)를 마련하고, 맨 하단 수평바(181e)에 수직으로 걸림편이 인입/인출되는 제4 결속부재(188)가 마련되며, 전방 수직바(182a)에 벽면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충돌방지봉(189)을 마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180 forms the ninth and tenth fixing pin insertion holes 184 and 185 on the upper horizontal bar 181a as a reference when the vertically erected, middle horizontal bar 181c Forming the eleventh fixing pin insertion hole (186) in the, the fourth binding member (which is provided with a latch 187 on the front vertical bar (182a), vertically the locking piece is drawn in / out on the bottom horizontal bar (181e) ( 188) is provided, and a first collision preventing rod 189 for preventing collision with a wall surface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vertical bar 182a.

제9 내지 제11 고정핀 삽입공(184 내지 186), 걸쇠(187), 제4 결속부재(188)의 사용은 작업대(100)의 변형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후술하기로 한다.The use of the ninth to eleventh fixing pin insertion holes 184 to 186, the clasp 187, and the fourth binding member 188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section describing the deformation of the work table 100.

제3 바닥 가변프레임(190)은 바닥 프레임부(180) 전방에 힌지 결합되는 프레임으로써, 2개가 마련되며 힌지를 축으로 회동하며 작업대(100)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다.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190 is a frame that is hinged to the front of the bottom frame portion 180, and is provided with two, pivoting the hinge on an axis to deform the shape of the work table 100.

제3 바닥 가변프레임(190)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의 기준으로 3개의 수평바(191a 내지 191c)와 7개의 수직바(192a 내지 192g), 플레이트(193)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개수는 한정적이지 않는다. 제3 바닥 가변프레임(190)은 수평바(191)와 수직바(192)를 격자를 형성 후, 그 위에 플레이트(193)를 적재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190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ree horizontal bars 191a to 191c, seven vertical bars 192a to 192g, and a plate 193 as a standard when vertically erected. Is not limited.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19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horizontal bar 191 and a vertical bar 192 are formed in a grid, and then a plate 193 is loaded thereon.

또한, 제3 바닥 가변프레임(190)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의 기준으로 맨 외측 수직바(192a, 192g)에 측방으로 관통하는 제6 및 제7 걸림편 삽입홈(194, 195)이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수직바(192)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제1 지지 리브(161)와 상응하여 작용하는 제4 지지 리브(196)가 마련될 수 있고, 플레이트(193) 상면 양측방에는 제8 걸림편 삽입홈(197)이 마련될 수 있고, 플레이트(193)에는 제12 고정핀 삽입공(198)이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며, 상단 수평바(191a)에 벽면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충돌방지봉(199)을 마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190 is provided with sixth and seventh locking piece insertion grooves 194 and 195 penetrating laterally to the outermost vertical bars 192a and 192g as a standard when vertically erected. A fourth support rib 196 may be provided on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bars 192 to correspond to the first support rib 161, and the eighth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93. A locking piece insertion groove 197 may be provided, and the plate 193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twelfth fixing pin insertion holes 198, and the upper horizontal bar 191a may b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with the wall surface. 2 can be provided with a collision prevention rod (199).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는, 제1 내지 제4 변형구조(100a 내지 100d)의 4가지 형태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The multi-directional extension workt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modified in four forms of the first to fourth deformation structures 100a to 100d.

이는, 도 11a 내지 도 15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A to 15B.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면은 내부 구조를 보다 상세히 표현하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부(110), 제1 및 제2 측면 가변프레임(120, 140), 도어 프레임(150)의 각 플레이트(113, 123, 143, 153)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described below, each of the plates 113 and 123 of the base frame portion 110, the first and second side variable frames 120 and 140, and the door frame 150 is described in order to express the internal structure in more detail. 143, 153).

그러나, 이는 구조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거하여 도시하는 것일 뿐, 도 1 내지 도 10을 통하여 상술하였듯이 각 프레임에는 플레이트가 내포되어 있는 것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However, this is only to be removed and illustrated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and as described above through FIGS. 1 to 10, it should be noted that each frame includes a plate.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제1 변형구조 사시도이며,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제1 변형구조 저면 사시도이고, 도 11c는 제1 변형구조의 결속부분 상세도이다.1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deformable structure of a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B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deformable structure of a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c is a detailed view of the binding portion of the first deformable structure.

먼저,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제1 변형구조(100a)는 제1 측면 가변프레임(120)이 베이스 프레임부(110)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직각 회동하여 측면을 이루고, 제2 측면 가변프레임(140)은 제1 측면 가변프레임(120)과 수평을 이루는 상태의 수직바(130)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직각 회동하여 정면 측부를 이루며, 도어 프레임(150)은 제2 측면 가변프레임(140)과 수평을 이루어 정면 중앙부를 이룰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11A to 11C, the first deformable structure 100a forms a side surface by rotating 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120 at right angles to the base frame portion 110 at the hinge axis. The variable frame 140 forms a front side by rotating the hinge at right angles to the vertical bar 130 in a horizontal state with 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120, and the door frame 150 forms a second side variable frame. Leveled with 140, it can form the front center.

또한, 제1 변형구조(100a)는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이 바닥 프레임부(160)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직각 회동하여 직립되고, 제3 바닥 가변프레임(190)은 바닥 프레임부(160)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직각 회동하여 직립되고,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은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직각 회동하여 직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eformable structure 100a is erected by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170 being rotated at right angles to the hinge with respect to the floor frame portion 160, and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190 is a bottom frame portion ( The hinge is perpendicular to the hinge axis with respect to 160), and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180 can be erected by rotating the hinge with the hinge at right angle to the axis of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170.

또한, 제1 변형구조(100a)는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이 베이스 프레임부(110)에 결속되고, 제1 측면 가변프레임(120)은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에 결속되며,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은 바닥 프레임부(160)와 제2 측면 가변프레임(140)에 각각 결속되고 도어 프레임(150)끼리 결속되는 구조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deformable structure 100a,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170 is bound to the base frame portion 110, and 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120 is bound to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170,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180 may be structured to be bound to the bottom frame portion 160 and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140, and the door frame 150 to be bound to each other.

여기서, 제1 변형구조(100a)는 제3 결속부재(174)의 걸림편이 제1 걸림편 삽입홈(116)으로 인출되어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이 베이스 프레임부(110)에 결속(A 부분)될 수 있고, 제1 결속부재(124)의 걸림편이 제4 걸림편 삽입홈(177)으로 인출되어 제1 측면 가변프레임(120)이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에 결속(B 부분)될 수 있으며, 제4 결속부재(188)가 제3 걸림편 삽임홈(163)으로 인출되고 걸쇠(187)가 제2 걸림편 삽입홈(145)에 걸려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이 바닥 프레임부(160)와 제2 측면 가변프레임(140)에 각각 결속(C 및 D 부분) 될 수 있고, 도어 프레임(150)은 잠금장치(157)를 통해 서로 결속(E 부분)될 수 있다.Here, in the first deformable structure 100a, the engaging piece of the third binding member 174 is pulled out into the first engaging piece insertion groove 116 so that the first bottom variable frame 170 is bound to the base frame part 110 ( Part A), the engaging piece of the first binding member 124 is withdrawn to the fourth engaging piece insertion groove 177 so that 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120 is bound to the first bottom variable frame 170 (B Part), the fourth binding member 188 is pulled out into the third locking piece insertion groove 163 and the clasp 187 is caught in the second locking piece insertion groove 145, and the second bottom variable frame 180 The bottom frame part 160 and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140 may be bound to each other (C and D parts), and the door frame 150 may be bound to each other (E part) through a locking device 157. have.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제2 변형구조 사시도이며,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제2 변형구조 저면 사시도이고, 도 12c는 제2 변형구조의 결속부분 상세도이다.1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deformable structure of a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deformable structure of a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c is a detailed view of the binding portion of the second deformable structure.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제2 변형구조(100b)는 제1 변형구조(100a)에서 수직바(130)가 제1 측면 가변프레임(120)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직각 회동하며, 제2 측면 가변프레임(140)은 수직바(130)를 축으로 제1 측면 가변프레임(120)과 접철되도록 회동되고, 도어 프레임(150)은 제2 측면 가변프레임(140)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베이스 프레임부(110) 후방으로 직각 회동할 수 있다.12A to 12C, in the second deformable structure 100b, the vertical bar 130 in the first deformed structure 100a rotates at a right angle to the hinge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120 at an axis, and 2 side variable frame 140 is rotated so as to fold with 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120 on the vertical bar 130 as an axis, and the door frame 150 is axially hinged to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140. The base frame 110 may be rotated at a right angle to the rear.

또한, 제2 변형구조(100b)는 제3 바닥 가변프레임(190)이 바닥 프레임부(160)와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하고,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은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과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deformable structure 100b is rotated so that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190 is level with the floor frame part 160, and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180 is provided with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170. It can be rotated to level.

또한, 제2 변형구조(100b)는 도어 프레임(150)이 베이스 프레임부(110)에 결속되며,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은 제3 바닥 가변프레임(190)에 결속될 수 있다.Also, in the second deformable structure 100b, the door frame 150 is bound to the base frame portion 110, and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180 can be bound to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190.

여기서, 제2 변형구조(100b)는 제1 고정핀 삽입공(115)과 제5 고정핀 삽입공(154)이 맞대어진 상태로 고정핀(미도시)이 삽입 체결되어 도어 프레임(150)과 베이스 프레임부(110)가 결속(F 부분)될 수 있으며, 제4 결속부재(188)의 걸림편이 제8 걸림편 삽입홈(197)으로 인출되어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과 제3 바닥 가변프레임(190)이 결속(G 부분)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deformable structure (100b) is the first fixing pin insertion hole 115 and the fifth fixing pin insertion hole 154, the fixing pin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and the door frame 150 and The base frame portion 110 may be bound (F portion), and the engaging piece of the fourth engaging member 188 is pulled out through the eighth engaging piece insertion groove 197, and the second bottom variable frame 180 and the third bottom The variable frame 190 may be bound (part G).

또한, 제2 변형구조(100b)는 제1 지지 리브(161)와 제4 지지 리브(196)가 맞대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제3 바닥 가변프레임(190)이 자중 등의 무게에 의해 하측으로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deformable structure 100b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upport ribs 161 and the fourth support ribs 196 face each other, so that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190 is bent downward by the weight of its own weight. Can be prevented.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제3 변형구조 사시도이며,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제3 변형구조 저면 사시도이고, 도 13c는 제3 변형구조의 결속부분 상세도이다.1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deformable structure of a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B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deformable structure of a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c is a detailed view of the binding portion of the third deformable structure.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면, 제3 변형구조(100c)는 제2 변형구조(100b)에서 제1 측면 가변프레임(120) 및 수직바(130)가 베이스 프레임부(110)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되고, 제2 측면 가변프레임(140)이 수직바(130)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회동되며, 도어 프레임(150)이 상기 제2 측면 가변프레임(140)에 대해 접철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13A to 13C, in the third deformable structure 100c, 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120 and the vertical bar 130 in the second deformed structure 100b hinge to the base frame portion 110 It is rotated to be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axis,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140 is rotated to form a right angle to the vertical bar 130, and the door frame 150 is rotated to be fold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140 Can be.

또한, 제3 변형구조(100c)는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이 바닥 프레임부(160)와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하며,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이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과 수직을 이루도록 회동하고, 제3 바닥 가변프레임(190)이 바닥 프레임부(160)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회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deformable structure 100c rotates so that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170 is level with the floor frame part 160, and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180 is coupled with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170. It is rotated to form a vertical, and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190 can be rotated about the bottom frame portion 160 in the hinge axis.

또한, 제3 변형구조(100c)는 도어 프레임(150)이 제2 측면 가변프레임(140)에 결속되며,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과 제3 바닥 가변프레임(190)이 결속되고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은 제2 측면 가변프레임(140)에 결속될 수 있으며, 제1 측면 가변프레임(120)은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에 결속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ird deformable structure 100c, the door frame 150 is bound to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140,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180 and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190 are bound and the second The floor variable frame 180 may be bound to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140, and 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120 may be bound to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170.

여기서, 제3 변형구조(100c)는 제5 고정핀 삽입공(154)과 제2 고정핀 삽입공(144)에 맞대어진 상태로 고정핀(미도시)이 삽입 체결되어 도어 프레임(150)과 제2 측면 가변프레임(140)이 결속(H 부분)되며, 제4 결속부재(188)의 걸림편이 제6 걸림편 삽입홈(194)으로 인출되어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과 제3 바닥 가변프레임(190)이 결속(I 부분)될 수 있고, 제9 고정핀 삽입공(184)과 제3 고정핀 삽입공(146)이 맞대어진 상태로 고정핀(미도시)이 삽입 체결되어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과 제2 측면 가변프레임(140)이 결속(J 부분)될 수 있으며, 제2 결속부재(125)의 걸림편이 제5 걸림편 삽입홈(179)으로 인출되어 제1 측면 가변프레임(120)과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이 결속(K 부분)될 수 있다.Here, the third deformable structure (100c) is a fastening pin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state in contact with the fifth fixing pin insertion hole 154 and the second fixing pin insertion hole 144, the door frame 150 and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140 is bound (H portion), and the engaging piece of the fourth engaging member 188 is pulled out through the sixth engaging piece insertion groove 194, so that the second bottom variable frame 180 and the third bottom The variable frame 190 can be bound (part I), and the fixing pin (not shown) is inserted and fastened with the ninth fixing pin insertion hole 184 and the third fixing pin insertion hole 146 facing each other. 2 The bottom variable frame 180 and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140 may be bound (J portion), and the engaging piece of the second engaging member 125 is pulled out into the fifth engaging piece insertion groove 179 to be the first. The side variable frame 120 and the first bottom variable frame 170 may be bound (K portion).

또한, 제3 변형구조(100c)는 제2 지지 리브(162)와 제3 지지 리브(178)가 맞대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이 자중 등의 무게에 의해 하측으로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deformable structure 100c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upport ribs 162 and the third support ribs 178 face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170 is bent downward by the weight of its own weight or the like. Can be prevented.

또한, 제3 변형구조(100c)는 제1 받침편(126)이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의 하단을 받치어 제2 및 제3 지지 리브(162, 178)와 더불어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이 자중 등의 무게에 의해 하측으로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ird deformable structure 100c, the first support piece 126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170 to form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together with the second and third support ribs 162 and 178.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170 from being bent downward due to the weight of the self-weight.

이때, 제1 받침편(126)은 제8 고정핀 삽입공(176)과 맞대어진 상태로 고정핀(미도시)이 삽입 체결되어 제1 측면 가변프레임(120)과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이 결속(L 부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supporting piece 126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in (not shown) in a state in which the eighth fixing pin insertion hole 176 is engaged, so that 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120 and the first bottom variable frame 170 ) Can be bound (part L).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제4 변형구조 사시도이며,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의 제4 변형구조 저면 사시도이고, 도 14c는 제4 변형구조의 결속부분 상세도이다.1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deformable structure of a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B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deformable structure of a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c is a detailed view of the binding portion of the fourth deformation structure.

도 14a 내지 도 14c를 참조하면, 제4 변형구조(100d)는 제3 변형구조(100c)에서 도어 프레임(150)이 제2 측면 가변프레임(140)에 대해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할 수 있다.14A to 14C, the fourth deforming structure 100d may rotate so that the door frame 150 is horizontal to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140 in the third deforming structure 100c.

또한, 제4 변형구조(100d)는 제3 바닥 가변프레임(190)이 바닥 프레임부(160)와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하고,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이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에 대해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urth deformable structure 100d rotates so that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190 is level with the floor frame part 160, and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180 is attached to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170. It can be rotated horizontally.

또한, 제2 측면 가변프레임(140)은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에 결속되고, 도어 프레임(150)은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에 결속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140 may be bound to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170, and the door frame 150 may be bound to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180.

여기서, 제4 고정핀 삽입공(147)과 제7 고정핀 삽입공(175)이 맞대어진 상태로 고정핀(미도시)이 삽입 체결되어 제2 측면 가변프레임(140)과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이 결속(M 부분)될 수 있으며, 제6 고정핀 삽입공(155)과 제10 고정핀 삽입공(185)이 맞대어진 상태로 고정핀(미도시)이 삽입 체결되어 도어 프레임(150)과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이 결속(N 부분)될 수 있다.Here, the fourth fixing pin insertion hole 147 and the seventh fixing pin insertion hole 175 are in a state where the fixing pin (not shown) is inserted and fastened, so that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140 and the first bottom variable frame (170) can be bound (M portion), the sixth fixing pin insertion hole 155 and the tenth fixing pin insertion hole 185, the fixing pin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fastened door frame ( 150) and the second bottom variable frame 180 may be bound (N portion).

또한, 제4 변형구조(100d)는 제3 변형구조(100c)와 마찬가지로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과 제3 바닥 가변프레임(190)이 결속될 수 있는데, 이때 제4 변형구조(100d)는 구조 상 제4 결속부재(188)의 걸림편이 제7 걸림편 삽입홈(195)으로 인출되어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과 제3 바닥 가변프레임(190)이 결속(O 부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ourth deformable structure 100d, as in the third deformable structure 100c, the second deformable frame 180 and the third deformable frame 190 may be bound, at this time, the fourth deformable structure 100d. In the structure, the locking piece of the fourth binding member 188 is pulled out into the seventh locking piece insertion groove 195 so that the second bottom variable frame 180 and the third bottom variable frame 190 can be bound (O part). have.

즉, 제3 변형구조(100c)와 제4 변형구조(100d)는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과 제3 바닥 가변프레임(190)이 결속되는 것은 동일하나, 제4 결속부재(188)의 걸림편이 인출되는 위치가 다를 수 있다.That is, the third deformation structure (100c) and the fourth deformation structure (100d) is the same as the second bottom variable frame 180 and the third bottom variable frame 190 are bound, but the fourth binding member 188 The position at which the locking piece is withdrawn may be different.

또한, 제4 변형구조(100d)는 제2 받침편(148)이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의 하단을 받치고(P 부분) 제3 받침편(156)이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의 하단을 받치도록 형성(Q 부분)되어 제1 바닥 가변프레임(170)과 제2 측면 가변프레임(140)의 결속력과,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과 도어 프레임(150)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고, 제1 및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이 자중 등의 무게에 의해 하측으로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ourth deformable structure 100d, the second support piece 148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170 (P part), and the third support piece 156 has a second floor variable frame 180. It is forme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Q portion)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of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170 and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140 and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180 and the binding force of the door frame 15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floor variable frames 180 from being bent downward due to weight of the self-weight.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는, 제4 변형구조(100d)에 있어서 개방된 전방을 차단하는 안전 도어(200)를 설치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ulti-directional extension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rease safety by installing a safety door 200 that blocks an open front in the fourth deformable structure 100d.

도 15a는 도 14a의 작업대에 안전 도어를 설치한 상태의 전면 사시도이며, 도 15b는 도 15a의 안전 도어 중 일부를 분리한 상태의 후면 사시도이다.15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door installed on the work table of FIG. 14A, and FIG. 15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safety door of FIG. 15A separated.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안전 도어(200)는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과 제3 바닥 가변프레임(190)을 가로질러 도어 프레임(150) 사이로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써,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3 고정핀 삽입공(201)이 형성될 수 있다.15A and 15B, the safety door 200 is a frame installed between the door frame 150 across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180 and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190,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bottom. Accordingly, a plurality of thirteenth fixing pin insertion holes 201 may be formed.

여기서, 제13 고정핀 삽입공(201)은 제11 고정핀 삽입공(186) 및 제12 고정핀 삽입공(198)에 각각 맞대어진 상태로 고정핀(미도시)이 삽입 체결되어 안전 도어(200)가 제2 바닥 가변프레임(180)과 제3 바닥 가변프레임(190)에 각각 결속될 수 있다.Here, the thirteenth fixing pin inserting hole 201 is inserted into a fixing pin (not shown) in a state in which the 11th fixing pin inserting hole 186 and the twelfth fixing pin inserting hole 198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safety door ( 200) may be bound to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180 and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190, respectively.

아울러, 안전 도어(200)는 일측에 승하강 되는 개폐도어(202)를 함께 마련하여 작업자의 출입이 원활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afety door 20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door 202 that is raised and lowered on one side to smoothly enter and exit the work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는, 상기와 같은 제1 내지 제4 변형구조(100d)로 변형이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The multi-directional expansion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highly usable as it can be modified with the first to fourth deformation structures 100d as described above.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is not limiting.

100 : 작업대 110 : 베이스 프레임부
115 : 제1 고정핀 삽입공 116 : 제1 걸림편 삽입홈
120 : 제1 측면 가변프레임 124 : 제1 결속부재
125 : 제2 결속부재 126 : 제1 받침편
130 : 수직바 140 : 제2 측면 가변프레임
144 : 제2 고정핀 삽입공 145 : 제2 걸림편 삽입홈
146 : 제3 고정핀 삽입공 147 : 제4 고정핀 삽입공
148 : 제2 받침편 150 : 도어 프레임
154 : 제5 고정핀 삽입공 155 : 제6 고정핀 삽입공
156 : 제3 받침편 157 : 잠금장치
160 : 바닥 프레임부 161 : 제1 지지 리브
162 : 제2 지지 리브 163 : 제3 걸림편 삽입홈
164 : 결합판 170 : 제1 바닥 가변프레임
174 : 제3 결속부재 175 : 제7 고정핀 삽입공
176 : 제8 고정핀 삽입공 177 : 제4 걸림편 삽입홈
178 : 제3 지지 리브 179 : 제5 걸림편 삽입홈
180 : 제2 바닥 가변프레임 184 : 제9 고정핀 삽입공
185 : 제10 고정핀 삽입공 186 : 제11 고정핀 삽입공
187 : 걸쇠 188 : 제4 결속부재
189 : 제1 충돌방지봉 190 : 제3 바닥 가변프레임
194 : 제6 걸림편 삽입홈 195 : 제7 걸림편 삽입홈
196 : 제4 지지 리브 197 : 제8 걸림편 삽입홈
198 : 제12 고정핀 삽입공 199 : 제2 충돌방지봉
200 : 안전 도어 201 : 제13 고정핀 삽입공
202 : 개폐도어
100: worktable 110: base frame portion
115: first fixing pin insertion hole 116: first locking piece insertion groove
120: 1st side variable frame 124: 1st binding member
125: second binding member 126: first support piece
130: vertical bar 140: second side variable frame
144: second fixing pin insertion hole 145: second locking piece insertion groove
146: third fixing pin insertion hole 147: fourth fixing pin insertion hole
148: second base piece 150: door frame
154: fifth fixing pin insertion hole 155: sixth fixing pin insertion hole
156: third support piece 157: locking device
160: bottom frame portion 161: first support rib
162: 2nd support rib 163: 3rd locking piece insertion groove
164: Combined plate 170: First floor variable frame
174: third binding member 175: seventh fixing pin insertion hole
176: 8th fixing pin insertion hole 177: 4th locking piece insertion groove
178: 3rd support rib 179: 5th locking piece insertion groove
180: 2nd floor variable frame 184: 9th fixing pin insertion hole
185: 10th fixing pin insertion hole 186: 11th fixing pin insertion hole
187: latch 188: fourth binding member
189: 1st collision prevention rod 190: 3rd floor variable frame
194: 6th engaging piece insertion groove 195: 7th engaging piece insertion groove
196: 4th support rib 197: 8th engaging piece insertion groove
198: 12th fixing pin insertion hole 199: 2nd collision prevention rod
200: safety door 201: 13th fixing pin insertion hole
202: open / close door

Claims (8)

수직으로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양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1 측면 가변프레임;
제1 측면 가변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수직바;
상기 수직바에 힌지 결합되는 제2 측면 가변프레임;
제2 측면 가변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전방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바닥 프레임부;
상기 바닥 프레임부 양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1 바닥 가변프레임;
상기 제1 바닥 가변프레임의 전방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2 바닥 가변프레임 및
상기 바닥 프레임부 전방에 힌지 결합되는 제3 바닥 가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 가변프레임은 베이스 프레임부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직각 회동하여 측면을 이루고, 상기 제2 측면 가변프레임은 제1 측면 가변프레임과 수평을 이루는 상태의 수직바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직각 회동하여 정면 측부를 이루며, 상기 도어 프레임은 제2 측면 가변프레임과 수평을 이루어 정면 중앙부를 이루고,
상기 제1 바닥 가변프레임은 바닥 프레임부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직각 회동하여 직립되고, 상기 제3 바닥 가변프레임은 바닥 프레임부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직각 회동하여 직립되고, 상기 제2 바닥 가변 프레임은 제1 바닥 가변프레임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직각 회동하여 직립되되,
상기 제1 바닥 가변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결속되고, 제1 측면 가변프레임은 상기 제1 바닥 가변프레임에 결속되며, 상기 제2 바닥 가변프레임은 상기 바닥 프레임부와 제2 측면 가변프레임에 각각 결속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끼리 결속되는,
제1 변형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
A base frame part installed vertically;
A first side variable frame hinged to both ends of the base frame portion;
A vertical bar hinged to 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A second side variable frame hinged to the vertical bar;
A door frame hinged to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A bottom frame part horizontally fixed in front of the base frame part;
A first floor variable frame hinged to both ends of the floor frame portion;
A second floor variable frame hinged to the front of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and
And a third bottom variable frame hinged to the front of the bottom frame part,
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forms a side surface by rotating the hinge at right angles to the base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rotates at right angles to the hinge with respect to a vertical bar horizontal to 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By forming the front side, the door frame is leveled with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to form the front center,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is erected by rotating the hinge at right angles to the axis of the bottom frame portion, and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is erected by rotating the hinge at right angles to the axis of the floor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is erected. Is erected by rotating the hinge at right angles to the axis of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is bound to the base frame portion, 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is bound to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and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bottom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And the door frames are bound together,
A worktable capable of multi-directional expan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first deformable structur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형구조에서,
상기 수직바가 제1 측면 가변프레임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직각 회동하며, 상기 제2 측면 가변프레임은 수직바를 축으로 제1 측면 가변프레임과 접철되도록 회동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은 제2 측면 가변프레임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후방으로 직각 회동하며,
상기 제3 바닥 가변프레임은 상기 바닥 프레임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하고, 상기 제2 바닥 가변프레임은 상기 제1 바닥 가변프레임과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하되,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결속되며, 상기 제2 바닥 가변프레임은 상기 제3 바닥 가변프레임에 결속되는,
제2 변형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irst deformation structure,
The vertical bar rotates at a right angle to the hinge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is rotated to fold with 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about the vertical bar, and the door frame is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With respect to the hinge relative to the axis and rotates perpendicular to the rear of the base frame,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is rotated to be horizontal with the floor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is rotated to be horizontal with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The door frame is bound to the base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is bound to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A worktable capable of multi-directional expansion, characterized by forming a second deformation structur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프레임부와 제3 바닥 가변프레임 하단에는 각각 바닥 프레임부와 제3 바닥 가변프레임이 수평을 이룰 시에 서로 맞대어지는 지지 리브가 마련되어 자중에 의한 꺾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
The method of claim 3,
The bottom frame portion and the bottom of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are provided with support rib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bottom frame portion and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are leveled, so that multi-directional expansion is possible, which prevents bending by self-weight. bench.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형구조에서,
상기 제1 측면 가변프레임 및 수직바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되고, 상기 제2 측면 가변프레임이 상기 수직바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회동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이 상기 제2 측면 가변프레임에 대해 접철되도록 회동되고,
상기 제1 바닥 가변프레임이 상기 바닥 프레임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하며, 상기 제2 바닥 가변프레임이 상기 제1 바닥 가변프레임과 수직을 이루도록 회동하고, 상기 제3 바닥 가변프레임이 상기 바닥 프레임부에 대해 힌지를 축으로 회동하되,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제2 측면 가변프레임에 결속되며, 상기 제2 바닥 가변프레임과 제3 바닥 가변프레임이 결속되고 상기 제2 바닥 가변프레임은 상기 제2 측면 가변프레임에 결속되고, 상기 제1 측면 가변프레임은 상기 제1 바닥 가변프레임에 결속되는,
제3 변형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second deformation structure,
The first side variable frame and the vertical bar are rotated so as to be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hinge on the base frame portion,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is rotated to form a right angle to the vertical bar, and the door frame is the second side It is rotated to fold against the variable frame,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is rotated to be horizontal with the floor frame portion,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is rotat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and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is to the floor frame portion Rotate the hinge about the axis,
The door frame is bound to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and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are bound, and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is bound to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and the first side The variable frame is bound to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A worktable capable of multi-directional expansion, characterized by forming a third deformable structur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프레임부와 제1 바닥 가변프레임 하단에는 각각 바닥 프레임부와 제1 바닥 가변프레임이 수평을 이룰 시에 서로 맞대어지는 지지 리브가 마련되어 자중에 의한 꺾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
The method of claim 5,
The bottom frame portion and the bottom of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are provided with support rib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bottom frame portion and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are horizontal, so that multi-directional expansion is possible. bench.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변형구조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이 상기 제2 측면 가변프레임에 대해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하며,
상기 제3 바닥 가변프레임이 상기 바닥 프레임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하고, 상기 제2 바닥 가변프레임이 상기 제1 바닥 가변프레임에 대해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하되,
상기 제2 측면 가변프레임은 상기 제1 바닥 가변프레임에 결속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제2 바닥 가변프레임에 결속되는,
제4 변형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third deformation structure,
The door frame is rotated to be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is rotated to be horizontal with the floor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is rotated to be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The second side variable frame is bound to the first floor variable frame, and the door frame is bound to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A worktable capable of multi-directional expansion, characterized in that a fourth deformation structure is form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변형구조에서,
상기 제2 바닥 가변프레임과 제3 바닥 가변프레임을 가로질러 상기 양측 도어 프레임 사이로 설치되는 안전 도어를 더 포함하는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fourth deformation structure,
A multi-directional extension worktable further comprising a safety door installed between the two side door frames across the second floor variable frame and the third floor variable frame.
KR1020190132842A 2019-10-24 2019-10-24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bench KR1020896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842A KR102089649B1 (en) 2019-10-24 2019-10-24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ben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842A KR102089649B1 (en) 2019-10-24 2019-10-24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ben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649B1 true KR102089649B1 (en) 2020-03-16

Family

ID=69948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842A KR102089649B1 (en) 2019-10-24 2019-10-24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ben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64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990B1 (en) * 2020-04-06 2020-11-27 한성웰텍 (주) a complaint counter that can be connected in all direct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327B1 (en) * 2012-07-11 2013-08-02 박환성 A scaffold for horizontal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motor vehicles scaffold
KR20140008595A (en) * 2012-07-09 2014-01-22 대한중공업(주) Foldable bucket for crane
KR101615107B1 (en) * 2015-10-16 2016-04-25 주식회사 금명특장 Do aboard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8595A (en) * 2012-07-09 2014-01-22 대한중공업(주) Foldable bucket for crane
KR101281327B1 (en) * 2012-07-11 2013-08-02 박환성 A scaffold for horizontal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motor vehicles scaffold
KR101615107B1 (en) * 2015-10-16 2016-04-25 주식회사 금명특장 Do aboard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990B1 (en) * 2020-04-06 2020-11-27 한성웰텍 (주) a complaint counter that can be connected in all direc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7780B2 (en) System for assembling a load-bearing support structure, and structure assembled with such a system
US10012000B2 (en) Collapsible work platform
KR200432482Y1 (en) The assembly scaffolding
KR102089649B1 (en) Multi-directional expandable workbench
EP2229080B1 (en) Suspension device comprising a profiled vertical prop and a primary support that can be hooked thereto
CN1329606C (en) Collapsible scaffolding tower
JP6839496B2 (en) Gable skirting board for scaffolding
JP3595548B2 (en) Assembled rack
DE102009001060A1 (en) Object display stand base support with a hinged polyhedral box
KR100821668B1 (en) A foldup scaffold
CN113529965A (en) Plate hinged body and folding box type house comprising same
EP3286095B1 (en) Display container
DE202009001247U1 (en) Device for hanging articles or for holding a shelf
KR200260737Y1 (en) Handy foldable ladder
KR102312868B1 (en) Cross Outsider Ladder
JP2512016Y2 (en) Mobile folding scaffolding
KR20210120667A (en) Ladder device
KR102312867B1 (en) Cross insider Ladder
KR102196714B1 (en) Folding legs for table
CN110192061A (en) Foldable support compon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312869B1 (en) Ladder device
US20210324681A1 (en) Folding Ladder System
JPH078720Y2 (en) Work stage
JPH0710295U (en) Foldable tent frame
JP2018178390A (en) Folding workbe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