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574B1 -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slab structur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slab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574B1
KR102089574B1 KR1020190092548A KR20190092548A KR102089574B1 KR 102089574 B1 KR102089574 B1 KR 102089574B1 KR 1020190092548 A KR1020190092548 A KR 1020190092548A KR 20190092548 A KR20190092548 A KR 20190092548A KR 102089574 B1 KR102089574 B1 KR 102089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muscle
rod
slab structu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5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상규
Original Assignee
조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규 filed Critical 조상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5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a slab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nstruction method of a slab structure including a steel plate and a spac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construction method of a slab structure, which can prominently reduce construction periods and construction costs.

Description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SLAB STRUCTURE}Construction method of slab structure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SLAB STRUCTURE}

본 발명은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철 플레이트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a slab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struction method of a slab structure including a steel plate and a spacer.

건축물에서 슬래브는 사람이 거주하고 생활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수평부재이다. 층 사이를 이루는 슬래브는 상층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하층의 천장을 형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건축 공사나 토목 구조물 공사 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축조를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 시 거푸집이 필요하고, 슬래브, 보 등의 수평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의 아래에 받침용 지지대인 동바리가 필요하다.In a building, a slab is a horizontal member that is essential for people to live and live. The slab between the layers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layer and the ceiling of the lower layer. In general, formwork is required when pouring concrete for build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which is commonly used in construction or civil structures. need.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종래 거푸집 공사에서는, 동바리 위에 동바리 배열 방향에 따라 복수개의 멍에를 배열 고정시킨 후 상기 멍에의 상면에 장선을 직각방향으로 설치한 다음 이 장선 위에 합판을 결합시킴으로 거푸집이 완성되고. 그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ures 1a and 1b, in the conventional formwork, a plurality of yokes arranged in a fixed direction on the copper bar after arranging and installing the jois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yoke at right angles, and then the formwork by joining plywood on the joists Being completed. Concrete is poured on the top surface.

이와 같이 설치된 거푸집은, 콘크리트 양생 후 해체시켜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도 인력의 소요가 많고 폐자재 발생에 따른 자재의 낭비와 환경문제 그리고 폐기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The formwork installed in this way must be dismantled after curing the concrete. In this process, it takes a lot of manpower, and there has been a problem of waste of materials and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the generation of waste materials, and the cost of disposal.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푸집의 대용으로 철근을 트러스 형식으로 기조립하여 일체화된 데크 플레이트가 개발된 바 있으며, 이로 인하여 철근 배근을 줄이고 시공성 향상 및 노동력 절감에 따른 공기단축이 가능하게 되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an integrated deck plate has been developed by pre-assembling the reinforcing bar in the form of a truss as a substitute for formwork, thereby reducing the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ing bar and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shortening the air by reducing labor.

그러나 철근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할 경우에도 슬래브의 자중을 줄이고 슬래브 상하층간의 층간소음을 저감하는 등의 추가적인 개선 사항들은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시공이 간단하면서도 경제성이 높은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even when using a reinforced truss type deck plate, additional improvements still exist, such as reducing the slab self-weight and reducing the inter-layer nois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slab.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lab structure having a simple construction and high economical efficiency.

등록특허공보 제10-1171974호 (등록일자: 2012.08.01)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71974 (Registration date: 2012.08.0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은 시공이 용이한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of a slab structure that is easy to construct.

또한, 본 발명은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of a slab structur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ar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normal engineer')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could b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o perform the characteristic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수직돌출부 및 상기 수직돌출부의 양 측으로 수평하게 돌출하는 수평돌출부를 포함하는 돌출부를 복수 개 포함하는 강철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강철 플레이트의 상기 돌출부 사이에 하부 주근을 배근하는 단계; 상기 하부 주근과 직교하도록 하부 배력근을 배근하는 단계; 상기 하부 배력근 상에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스페이서 복합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스페이서 복합체 상에 상부 주근 및 상기 상부 주근과 직교하는 상부 배력근을 포함하는 상부근을 배근하는 단계; 상기 돌출부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근에 결합되도록 고정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lab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isposing a steel plate includ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cluding vertical protrusions projecting from a surface and horizontal protrusions projecting horizontally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protrusions; Reinforcing a lower main root between the protrusions of the steel plate; Reinforcing the lower back muscles to be orthogonal to the lower main roots; Placing a spacer complex including a spacer on the lower back muscle; Reinforcing an upper muscle including an upper main muscle and an upper back muscle that is orthogonal to the upper main muscle on the spacer complex; Installing a fixing device mounted on the protrusion and coupled to the upper muscle; And pouring concre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주근 및 하부 배력근이 직교하는 지점을 철선으로 묶는 단계; 또는 상기 상부 주근 및 상부 배력근이 직교하는 지점을 철선으로 묶는 단계;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bundling the orthogonal point of the lower main and lower back muscles with a wire; Or tying the points at which the upper main and upper back muscles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with an iron wire; It further includes any one 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 복합체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평행하게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및 제2 하부로드; 상기 제1 및 제2 하부로드 사이에 각 제1 하부로드 및 제2 하부로드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스페이서;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로드; 상기 제1 하부로드, 상부로드 및 제2 하부로드를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 중 각 스페이서의 양 측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r composite further includes a support, and the support includes: first and second lower rods spaced apart in parallel; A plurality of spacer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ower rod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f the first lower rod and the second lower rod; An upper rod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spacers;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connecting the first lower rod, the upper rod, and the second lower rod, and bent to surround both sides of each spacer among the plurality of spac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로드는 상부 주근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 주근과 접촉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rod contacts the upper plinth to support the upper plin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스페이서 및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를 일체로 형성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스페이서 복합체를 형성하는 스페이서 복합체 형성단계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spacer composite forming step of forming a spacer composite including a plurality of spacers and a support body integrally forming the plurality of spacers.

바람직하게, 상기 스페이서 복합체 형성단계는, 평행하게 이격하여 한 쌍의 하부로드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하부로드 사이에 상기 하부로드와 접하도록 복수의 스페이서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하는 단계; 상기 스페이서의 상부에 상기 하부로드와 평행하도록 상부로드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스페이서를 감싸도록 상기 한 쌍의 하부로드 중 어느 하나, 상부로드 및 상기 한 쌍의 하부로드 중 다른 하나에 순차적으로 결합하도록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step of forming the spacer composite comprises disposing a pair of lower rods spaced in parallel; Arranging a plurality of spacer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contact the lower rod between the lower rods; Placing an upper rod parallel to the lower ro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r; And joining the connecting member to sequentially couple to one of the pair of lower rods, the upper rod and the other of the pair of lower rods so as to surround the spac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장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근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 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돌출부에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장부의 타 측으로부터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만곡하여 연장하는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1 경사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만곡 형성되고, 상기 수평돌출부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제1 끼움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device, an extension; A coupl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formed to be coupled with the upper muscle; And a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formed to be mounted on the horizontal protrusion,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extends from the other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by b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part; And a first fitting portion formed curv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rotrusion.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은 시공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lab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easy constru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struction method of a slab structur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a는 종래 합판 거푸집을 사용하여 시공된 슬래브의 평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b는 도 1a의 전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의 강철 플레이트 형성 단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의 하부근 배근단계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의 스페이서 복합체 설치단계를 도시하고,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의 스페이서 복합체 형성단계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의 상부근 배근단계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의 고정장치를 장착하는 단계를 도시하고,
도 8은 본 발명의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의 고정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도시하고,
도 10은 도 9a의 고정장치가 슬래브 구조체에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도 11은 도 9a의 고정장치가 슬래브 구조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도시하고,
도 13은 도 12의 고정장치가 슬래브 구조체에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도 14는 도 12a의 고정장치가 슬래브 구조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15a 및 1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도시하고,
도 16a는 도 15a의 고정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6b는 도 15a의 고정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6c는 도 16b의 구현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7은 도 15a의 고정장치를 슬래브 구조체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도 18은 도 15a의 고정장치가 슬래브 구조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19a는 본 발명의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슬래브 구조체의 평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9b는 도 19a의 전면도를 도시한다.
1A shows a plan view in cross section of a slab constructed using conventional plywood formwork,
1B shows the front view of FIG. 1A,
Figure 2 shows the steel plate forming step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lab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lower roots reinforcement step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lab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spacer composite installation step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lab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D show a spacer composite formation step of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lab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plan view,
Figure 6 shows the upper muscle reinforcement step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lab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step of mounting the fixing device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lab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xing device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lab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9a and 9b show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shows a process in which the fixing device of FIG. 9A is mounted on a slab structure,
FIG. 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xing device of FIG. 9A is mounted on a slab structure,
12a and 12b show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shows a process in which the fixing device of FIG. 12 is mounted to the slab structure,
14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xing device of FIG. 12A is mounted on a slab structure,
15a and 15b show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A shows an embodiment of the fixing device of FIG. 15A as viewed from below,
16B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device of FIG. 15A as viewed from below,
16C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 16B,
Figure 17 shows the process of mounting the fixing device of Figure 15a to the slab structure,
FIG. 18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xing device of FIG. 15A is mounted on a slab structure,
19A shows a plane cross-sectional view of a slab structu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lab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19B shows a front view of FIG. 19A.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pecific structure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 /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may be present in the middle. something to do.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or “directly in contact with”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for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also be interpreted.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Meanwhile,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in which the mention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 / or element is present. Or do not exclude addition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은 강철 플레이트(D)에 돌출부(P)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강철 플레이트(D)는 철판을 절곡하여 철판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철판으로부터 돌출부(P)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강철 플레이트(D)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는 수직돌출부(VP) 및 수직돌출부(VP)에서 각각 양측으로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연장하는 수평돌출부(HP)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2,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lab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forming a protrusion (P) on the steel plate (D). The steel plate (D) is configured to bend the iron plat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ron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protrusion (P) from the iron plat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vertical protrusion (VP) and a vertical protrusion (HP) extending substantially horizontally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protrusion (VP), respectively, which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steel plate (D).

이와 같이 마련된 강철 플레이트(D)는 인장 철근 기능을 수행하므로 인장 철근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항복강도 400MPa의 고강도 철근인 HD(High Tensile Deformed bar 또는 High Yield Deformed Bar) 철근 10mm 내지 16mm 철근의 기능을 수행한다. Since the steel plate D provided as described above performs a tensile rebar function, it has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tensile rebar. More specifically, the high-strength rebar with a yield strength of 400 MPa performs the function of a high-tensile deformed bar (HD) or high- Yield Deformed Bar (HD) rebar 10 mm to 16 mm.

또한, 강철 플레이트(D)는 공장 생산이 가능하므로 품질이 일관되고 우수하며, 생산 속도가 빠른 이점이 있다. 즉, 모듈화 된 제품으로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비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강철 플레이트(D)의 길이는 3m 내지 15m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teel plate (D) is capable of factory production, the quality is consistent and excellent, and the production speed is fast. That is, since it can be produced as a modular product,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production costs. The length of such a steel plate (D) may be manufactured to have 3m to 15m.

또한, 강철 플레이트(D)는 경제성이 우수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공이 단순하여 시공 속도가 빠르므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철근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용면에서 기존 합판 거푸집(도 1a 내지 1b) 대비 50 내지 70 퍼센트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Further, the steel plate D is excellent in economic efficiency. More specifically, since the construction is simple and the construction speed is high, it is possible to reduce labor, and since it does not require a reinforcing bar, material costs can be re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t can be reduced by 50 to 70 percent compared to the existing plywood formwork (FIGS. 1A to 1B).

또한, 콘크리트 양생 후 강철 플레이트(D)는 강철 및 콘크리트의 합성구조로 구성되므로 처짐, 휨 모멘트, 전단력 등에 저항하는 여분의 구조안정성이 확보되고, 연성효과와 연쇄 붕괴 방지 등의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fter curing the concrete, the steel plate (D) is composed of a composite structure of steel and concrete, thus securing extra structural stability against deflection, bending moment, and shear force, and has advantages such as ductility effect and prevention of chain collaps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은 하부근(20)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강철 플레이트(D)에 형성되는 돌출부(P)와 나란한 방향으로 하부 주근(22)을 배치하고, 강철 플레이트(D)에 형성되는 돌출부(P)와 수직한 방향으로 하부 배력근(24)을 배치한다. 하부 배력근(24)은 돌출부(P)와 접하도록 구성되고, 하부 주근(22)은 강철 플레이트(D)의 돌출부(P)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As shown in Figure 3,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lab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disposing the lower root 20. The lower main root 22 is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rotrusion P formed in the steel plate D, and the lower back muscle 24 i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trusion P formed in the steel plate D. do. The lower back muscle 24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projection P, and the lower main root 22 is disposed between the projections P of the steel plate D.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은, 하부 주근(22) 및 하부 배력근(24)이 배치된 후, 하부 주근(22) 및 하부 배력근(24)이 교차하는 지점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부 주근(22) 및 하부 배력근(24)을 결합하기 위한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주근(22)과 하부 배력근(24)이 만나는 지점을 가는 철선을 통해 묶어 고정시킬 수 있다.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lab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combining the points where the lower main root 22 and the lower back muscle 24 cross after the lower main root 22 and the lower back muscle 24 are disposed. do.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method for combining the lower main root 22 and the lower back muscle 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int where the lower main muscle 22 and the lower back muscle 24 meet can be tied and fixed through a thin iron wire.

도 4를 참조하면, 하부 주근(22) 및 하부 배력근(24)을 결합하여 고정시킨 뒤, 하부근(20) 상에 스페이서 복합체(30)를 배치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스페이서 복합체(30)는 복수의 스페이서(32) 및 복수의 스페이서(32)를 지지하는 지지체(34)를 포함한다. 스페이서(32)는 플라스틱 재질의 내부가 빈 중공체로서, 이를 콘크리트 슬래브 속에 매설 시 스페이서(32)의 부피만큼 콘크리트 투입량이 감소되고, 진동 및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고, 슬래브 구조체를 경량화 할 수 있다. 스페이서(32)는 지지체(34)에 의해 복수의 스페이서(32)가 하나의 스페이서 복합체(30)를 구성한다. 이로 인해 스페이서(32)의 운반이 편리하고, 시공상 편의성이 향상된다. Referring to FIG. 4, after combining and fixing the lower main root 22 and the lower back muscle 24, the step of disposing the spacer complex 30 on the lower muscle 20 is performed. The spacer composite 30 includes a plurality of spacers 32 and a support 34 supporting the plurality of spacers 32. The spacer 32 is an empty hollow body of a plastic material, and when it is buried in a concrete slab, the amount of concrete input is reduced by the volume of the spacer 32, an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vibration and noise from being transmitted. Light weight can be achieved. In the spacer 32, a plurality of spacers 32 constitute one spacer composite 30 by the support 34. This facilitates the transport of the spacer 32 and improves the convenience in construction.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스페이서 복합체(30)는 스페이서(32) 및 지지체(34)를 포함하고, 지지체(34)는 하부로드(342), 상부로드(344) 및 연결부재(346)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r composite 30 includes a spacer 32 and a support 34, and the support 34 has a lower rod 342, an upper rod 344 and a connecting member 346 It includes.

한 쌍의 하부로드(342)는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 쌍의 하부로드(342) 상에는 한 쌍의 하부로드(342) 각각과 양 측이 접하도록 스페이서(30)가 배치된다. 스페이서(30)를 감싸도록 연결부재(346)가 배치되고, 연결부재(346)의 양 단은 한 쌍의 하부로드(342) 각각에 연결된다. 연결부재(346)는 하나의 스페이서(30)에, 바람직하게, 두 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30)는, 바람직하게, 타원체로 형성된다. 이 때, 두 개 이상이 타원체의 양 측을 고정하게 되면 스페이서(30)는 하부로드(342), 연결부재(346) 및 상부로드(344)에 의해 고정되어 탈착이 불가능하게 배치된다. 상부로드(344)는 각 연결부재(346)를 연결하도록 스페이서 복합체(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The pair of lower rods 342 are spaced apart and arranged in parallel. On the pair of lower rods 342, a spacer 30 is disposed such that each of the pair of lower rods 342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nnecting member 346 is disposed to surround the spacer 30, and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346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pair of lower rods 342. The connecting member 346 may be disposed on one spacer 30, preferably, two or more. The spacer 30 is preferably formed of an ellipsoid. At this time, when two or more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ellipsoid, the spacer 30 is fixed by the lower rod 342, the connecting member 346, and the upper rod 344, so that it is not detachable. The upper rod 344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acer composite 30 to connect each connecting member 346.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체(30)를 포함하여, 속이 빈 중공체인 스페이서가 상부에 놓이는 상부근의 무게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근(40)은 지지체(34)의 연결부재(346)에 의해 지지되므로 배근의 편의성이 높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support 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ollow spacer, which is a hollow hollow, from being damaged by the weight of the upper muscle placed on the upper part. In addition, since the upper muscle 40 is supported by the connecting member 346 of the support 34, the convenience of back muscles is high.

도 5a 내지 5d를 참조하여, 스페이서 복합체(30)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평행하게 이격하여 한 쌍의 하부로드(342)를 배치한다. 다음, 한 쌍의 하부로드(342) 사이에 하부로드(342)와 접하도록 복수의 스페이서(32)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한다. 스페이서(32)의 상부에 하부로드(342)와 평행하도록 상부로드(344)를 배치한다. 스페이서(32)를 감싸도록 한 쌍의 하부로드(342) 중 어느 하나, 상부로드(344) 및 한 쌍의 하부로드(344) 중 다른 하나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46)를 형성한다. 이 때, 스페이서(32)는 연결부재(346) 내측에서 탈착되지 않고, 연결부재(346)와는 일정 간격 간극이 형성되어 연결부재(346) 또는 상부로드(344)의 무게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A to 5D, the spacer composite 30 may be formed through the following steps. First, a pair of lower rods 342 are spaced apart in parallel. Next, a plurality of spacers 32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contact the lower rod 342 between the pair of lower rods 342. The upper rod 344 is disposed on the spacer 32 to be parallel to the lower rod 342. To surround the spacer 32, a connection member 346 that sequentially connects any one of the pair of lower rods 342, the other of the upper rod 344 and the lower rod 344, is formed. At this time, the spacer 32 is not detached from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346, and a gap is formed with the connecting member 346 to prevent damage due to the weight of the connecting member 346 or the upper rod 344 can do.

스페이서 복합체(30)는 강철 플레이트(D)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부근(20) 상에 놓여 지지된다. 즉, 돌출부(P)를 따라 배치되게 되고, 하부로드(342)는 하부근(20)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The spacer composite 30 is dispos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late D, and is placed and supported on the lower muscle 20. That is, it is arranged along the protrusion P, and the lower rod 342 is arranged to contact the lower root 20.

도 6을 참조하면, 스페이서 복합체(30)를 배치한 뒤, 상부근(40)을 설치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부근(40)은 상부 주근(42) 및 상부 배력근(44)을 포함한다. 하부근(20)과 마찬가지로, 상부 주근(42) 및 상부 배력근(44)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스페이서 복합체(30)의 상부로드(344)에 의해 상부근(40)이 수평방향에 대해 평행을 유지하며 상부근(40)이 편리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fter the spacer complex 30 is disposed, a step of installing the upper muscle 40 is performed. The upper muscle 40 includes an upper main muscle 42 and an upper back muscle 44. Like the lower muscle 20, the upper main muscle 42 and the upper back muscle 44 are arranged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are placed to contact each other at a crossing point. The upper muscle 40 is maintained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upper rod 344 of the spacer composite 30, and the upper muscle 40 can be conveniently and stably disposed.

하부근(20) 설치 단계에서와 마찬가지로, 상부 주근(42) 및 상부 배력근(44)을 서로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상부 주근(42) 및 상부 배력근(44)도 하부근(20)과, 마찬가지로, 상부 주근(42)과 상부 배력근(44)이 교차하는 지점마다 가는 철선을 묶어 고정시킬 수 있다. As in the step of installing the lower muscle 20, the step of fixing the upper main muscle 42 and the upper back muscle 44 relative to each other may be further performed. The upper main root 42 and the upper back muscle 44, like the lower muscle 20, can be fixed by tying a thin iron wire at each point where the upper main root 42 and the upper back muscle 44 intersect.

도 7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근(40)의 설치 후에 고정장치가 장착된다. 고정장치는 스페이서 복합체(30)의 부상 방지를 위하여 장착된다. 스페이서(3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즉, 내부가 빈 구성요소로서, 콘크리트에 비해 훨씬 가볍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 시 부력에 의해 스페이서 복합체(30) 자체가 부상할 수 있다. 즉, 고정장치의 장착을 통해 콘크리트 타설 시 스페이서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스페이서 복합체(30)의 지지체(34)에 의해 슬래브 구조체 내에서 스페이서(32)의 부상은 다소 방지될 수 있으나, 지지체(34) 자체가 슬래브 구조체 내에서 이동하거나 부상할 수 있다. 고정장치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될 수 있다. 7 to 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upper root 40, the fixing device is mounted. The fixing device is mounted to prevent injury of the spacer composite 30. The spacer 32 has a space formed therein, that is, the inside is an empty component, and is much lighter than concrete, so that the spacer composite 30 itself may float by buoyancy when pouring concrete.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acer from being injured when the concrete is placed through the installation of the fixing device. The supporter 34 of the spacer composite 30 can prevent the floating of the spacer 32 within the slab structure somewhat, but the supporter 34 itself may move or float within the slab structure. The fixing device can be mounted to prevent this.

고정장치가 장착된 뒤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After the fixing device is mounted, concrete is pour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고정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장치는 상부근(40)과 강철 플레이트(D)를 서로 고정시키는 장치를 이용하여 고정을 도모할 수 있다. Hereinafter,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xing device can be fixed by using a device for fixing the upper muscle 40 and the steel plate (D) to each other.

도 9a 및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고정장치(1)는 연장부(2), 결합부(4) 및 장착부(6)를 포함한다. 9A and 9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device 1 includes an extension part 2, a coupling part 4, and a mounting part 6.

연장부(2)는 슬래브 구조체 내에 배치되고, 슬래브 구조체의 두께에 적합하도록 그 길이가 조절되어 형성된다. 도면에는 연장부(2)의 형상이 원통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형상이 원통형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기둥 등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기둥, 타원의 단면을 갖는 타원기둥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The extension 2 is disposed in the slab structure, and is formed by adjusting its length to suit the thickness of the slab structure. In the drawing, the shape of the extension 2 is shown in a cylindrical shape, but the shape is not limited to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composed of a column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such as a square column, or an elliptical column having an elliptical cross section. .

연장부(2)의 일 측에는 결합부(4)가 형성되고, 연장부(2)의 타 측에는 장착부(6)가 형성된다. The coupling portion 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2, and the mounting portion 6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2.

결합부(4)는 슬래브 구조체의 상부근(4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결합부(4)가 형성된 측의 연장부(2)의 단부는 만곡하여 연장부(2)에 다시 부착된다. 즉, 결합부(4)가 형성된 측의 연장부(2)에는 고리(12)가 형성된다. 결합부(4)는 고리(12)에 삽입되는 굽힘가능한 선재일 수 있다. 결합부(4)는 하나의 가닥의 선재일 수 있고, 둘 이상 가닥의 선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결합부(4)는 상부근에 감거나 묶을 수 있게 상부근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가요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결합부(4)의 재질은 연성이 큰 금속일 수 있다. The engaging portion 4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muscle 40 of the slab structure. To this e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2 on the side where the coupling portion 4 is formed is curved and attached to the extension portion 2 again. That is, the ring 12 is formed on the extension portion 2 on the side where the coupling portion 4 is formed. The coupling portion 4 may be a bendable wire inserted into the ring 12. The coupling portion 4 may be a single-stranded wire or may include two or more strands. The coupling portion 4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it can be easily fastened to the upper muscle so as to be wound or tied to the upper muscle. For example, the material of the coupling portion 4 may be a metal having high ductility.

장착부(6)는 제1 경사부(16) 및 제1 끼움부(26)를 포함한다. The mounting portion 6 includes a first inclined portion 16 and a first fitting portion 26.

제1 경사부(16)는 연장부(2)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한다. 제1 경사부(16)는 연장부(2)에서 일정 각도로 만곡하여 연장할 수 있다. 연장부(2)와 제1 경사부(16)는 같은 평면에 놓이도록 형성되나, 같은 평면 상에서 제1 경사부(16)는 연장부(2)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한다. The first inclined portion 16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extended portion 2. The first inclined portion 16 may extend by bending at an angle from the extended portion 2. The extension portion 2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16 are formed to lie on the same plane, but on the same plane, the first inclined portion 16 extends while forming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portion 2.

제1 끼움부(26)는 제1 경사부(16)로부터 연장한다. 제1 끼움부(26)는 제1 경사부(16)로부터 일정 각도로 굽힘 되어 연장한다. 연장부(2)와 제1 경사부(16)의 사잇각은 둔각이고,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60°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일 수 있다. The first fitting portion 26 extends from the first inclined portion 16. The first fitting portion 26 is bent from the first inclined portion 16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extends. The angle between the extension part 2 and the first inclined part 16 is an obtuse angle, preferably 130 ° to 160 °, and more preferably 150 °.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1 끼움부(26)는 연장부(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제1 끼움부(26)는 제1 경사부(16)와 예각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이다. 아래에서 설명할 바와 같이,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1 경사부(16) 및 제1 끼움부(26)는 강철 플레이트(D)의 돌출부(P)와 결합 시,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tting portion 26 may be form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tting portion 26 forms an acute angle with the first inclined portion 16, preferably 40 ° to 70 °, and more preferably 60 °. As will be described below, the first inclined portion 16 and the first fitting portion 26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combined with the protrusion P of the steel plate D, facilitates mounting and securely fixed To be able to.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고정장치(1)가 장착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가 슬래브 구조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슬래브 구조체를 향해 고정장치(1)를 삽입한다. 제1 끼움부(26)가 수평돌출부(HP)의 하측 부분에 이를 때까지 슬래브 구조체를 향해, 즉, 하방으로 고정장치(1)를 삽입한 뒤, 고정장치(1)가 수평돌출부(HP)에 다다르면 상방으로 고정장치(1)를 당긴다. 이와 같이 고정장치(1)를 당기면, 수평돌출부(HP)에 고정장치(1)가 걸리게 된다. 결합부(4)를 상부근(40)에 묶으면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1)의 고정이 완료된다. 10 shows a process in which the fix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nd FIG. 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x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lab structure. Doing. The fixing device 1 is inserted toward the slab structure. After the first fitting portion 26 reaches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rotrusion HP, that is, after inserting the fixing device 1 toward the slab structure, that is, the fixing device 1 is the horizontal protrusion (HP) When it reaches, the fixing device 1 is pulled upward. When the fixing device 1 is pulled in this way, the fixing device 1 is hung on the horizontal protrusion HP. When the engaging portion 4 is tied to the upper root 40, the fixing of the slab structure fixing device 1 is completed.

도 12a 및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고정장치(10)는 연장부(2), 결합부(4) 및 장착부(60)을 포함한다. 장착부(60)는 제1 경사부(62), 제1 끼움부(64), 제2 경사부(66) 및 제2 끼움부(68)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 및 결합부(4)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12A and 12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device 10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2, a coupling portion 4 and a mounting portion 60. The mounting portion 60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portion 62, a first fitting portion 64, a second inclined portion 66 and a second fitting portion 68. Since the extension portion 2 and the coupling portion 4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is.

본 구현예에서의 제1 경사부(62) 및 제1 끼움부(64)는 전술한 구현예에서의 제1 경사부(16) 및 제1 끼움부(26)에 대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되며, 아래에서는 차이점에 대해서만 기술하기로 한다. The first inclined portion 62 and the first fitting portion 64 in this embodiment are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16 and the first fitting portion 26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elow, only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제2 경사부(66)는 제1 경사부(62)와 마찬가지로 연장부(2)로부터 연장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경사부(66)는 연장부(2)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이루면서 연장할 수 있다. 즉, 연장부(2)가 두 가닥으로 분기되어 제1 경사부(62) 및 제2 경사부(66)를 구성할 수 있다. The second inclined portion 66 extends from the extended portion 2 like the first inclined portion 62, and more specifically, while the second inclined portion 66 forms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extended portion 2 It can be extended. That is, the extension portion 2 is branched into two strands to constitute the first inclined portion 62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66.

제2 경사부(66)는 연장부(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제1 경사부(62)와 대칭되도록 연장한다. 예를 들어, 제2 경사부(66)는, 제1 경사부(62)와 연장부(10)가 이루는 각과 방향은 상이하나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한다. 제1 경사부(62)의 연장방향과 대칭되는 방향으로, 즉, 서로가 마주볼 수 있도록 연장하여 구성된다. 제1 경사부(62) 및 제2 경사부(66)의 사잇각은 예각을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10°내지 2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20°일 수 있다. The second inclined portion 66 extends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inclined portion 62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ded portion 2. For example, the second inclined portion 66 has an angle and a direction formed by the first inclined portion 62 and the extended portion 10 are different, but extends while forming the same angle. It is configured to extend in a direction symmetric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62, that is, to face each other. The angle of incidence between the first inclined portion 62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66 forms an acute angle, preferably 10 ° to 25 °, and more preferably, approximately 20 °.

제2 끼움부(68)는 제2 경사부(66)로부터 연장한다. 제2 끼움부(68)는 제2 경사부(66)로부터 일정 각도 만곡하여 연장한다. 제2 끼움부(68)는 제1 끼움부(64)와 마주보도록 구성된다. 즉, 연장부(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제1 끼움부(64) 및 제2 끼움부(68)는 대칭하도록 구성된다. The second fitting portion 68 extends from the second inclined portion 66. The second fitting portion 68 extends by bending a certain angle from the second inclined portion 66. The second fitting portion 68 is configured to face the first fitting portion 64. That is, the first fitting portion 64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68 are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10.

제1 경사부(62) 및 제1 끼움부(64) 간의 각도는 예각일 수 있고, 제2 경사부(66) 및 제2 끼움부(68) 간의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제1 경사부(62) 및 제1 끼움부(64) 간의 각도 또는 제2 경사부(66) 및 제2 끼움부(68) 간의 각도가 작을수록 강철 플레이트(D)의 수평돌출부(HP)에 장착되는 것이 용이하나 서로 간의 각 각도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수평돌출부(HP)에 장착이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돌출부(HP)에의 장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1 경사부(62) 및 제1 끼움부(64) 간의 각도 또는 제2 경사부(66) 및 제2 끼움부(68) 간의 각도는 대략 5°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이다.The angle between the first inclined portion 62 and the first fitting portion 64 may be an acute angle, and the angle between the second inclined portion 66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68 may be an acute angle. As the angle between the first inclined portion 62 and the first fitting portion 64 or the angle between the second inclined portion 66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68 is smaller, the horizontal protrusion (HP) of the steel plate (D) It is easy to mount, but it is difficult to mount it on the horizontal protrusion (HP) when each angle between them is too sm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inclined portion 62 and the first fitting portion 64 or the second inclined portion 66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68 so as to be smoothly mounted on the horizontal protrusion HP The angle is preferably approximately 5 ° to 40 °, and more preferably 20 ° to 30 °.

도 13에는 고정장치(10)가 슬래브 구조체에 삽입되어 강철 플레이트(D)의 돌출부(P)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되어 있고, 도 14는 고정장치(10)의 장착이 완료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고정장치(10)를 강철 플레이트(D)의 돌출부(P)를 향해 삽입한다. 고정장치(10)를 삽입하면, 제1 끼움부(64) 및 제2 끼움부(68)가 수평돌출부(HP)에 닿게 되고, 이보다 더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제1 경사부(62) 및 제1 끼움부(64) 그리고 제2 경사부(66) 및 제2 끼움부(68)가 외측으로 벌어지고, 수평돌출부(HP)를 지나면 양 측으로 벌어졌던 제1 경사부(62) 및 제1 끼움부(64) 그리고 제2 경사부(66) 및 제2 끼움부(68)가 다시 내 측으로 서로를 향해 오므라든다. 이렇게 되면 고정장치(10)를 위로 당겨도 수평돌출부(HP)로부터 탈착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합부(4)를 상부근(40)에 체결시킴으로써 장착이 완료된다. 13 shows the process in which the fixing device 10 is inserted into the slab structure and coupled with the protrusions P of the steel plate D, and FIG. 14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xing device 10 is mounted. . The fixing device 10 is inserted toward the protrusion P of the steel plate D. When the fixing device 10 is inserted, the first fitting portion 64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68 come into contact with the horizontal projecting portion HP, and when moved further downward, the first inclined portion 62 and the first The fitting part 64 and the second inclined part 66 and the second fitting part 68 are opened outwards, and when the horizontal protrusion part HP is passed, the first inclined part 62 and the first fitting part (2) 64) Then, the second inclined portion 66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68 are retracted toward each other toward the inner side. In this case, it can be confirmed that even if the fixing device 10 is pulled upward, it is not detached from the horizontal protrusion HP. Mounting is completed by fastening the engaging portion 4 to the upper root 40.

도 15a 및 1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고정장치(100)는 연장부(2), 결합부(4) 및 장착부(600)를 포함한다. 장착부(600)는 제1 경사부(602), 제1 끼움부(604), 제2 경사부(606), 제2 끼움부(608), 제1 안정화부(610) 및 제2 안정화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 및 결합부(4)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15A and 15B, the fix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nsion part 2, a coupling part 4, and a mounting part 600. The mounting portion 600 includes a first inclined portion 602, a first fitting portion 604, a second inclined portion 606, a second fitting portion 608, a first stabilizing portion 610, and a second stabilizing portion ( 612). Since the extension portion 2 and the coupling portion 4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is.

또한, 제1 경사부(602), 제1 끼움부(604), 제2 경사부(606) 및 제2 끼움부(608)에 대하여는 위의 구현예에서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되므로 이와 중복되는 설명은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inclined portion 602, the first fitting portion 604, the second inclined portion 606,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608, the description in the above embodiment is applied as it is, so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제1 안정화부(610) 및 제2 안정화부(612)는 제1 끼움부(604) 및 제2 끼움부(608) 각각으로부터 연장하고, 제1 끼움부(604) 및 제2 끼움부(608)로부터 일정 각도로 만곡하여 연장한다. 제1 안정화부(610)는 제1 끼움부(604)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는 부분이고, 제2 안정화부(612)는 제2 끼움부(608)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된다. The first stabilization part 610 and the second stabilization part 612 extend from the first fitting part 604 and the second fitting part 608, respectively, and the first fitting part 604 and the second fitting part 608 ) And extends by bending at a certain angle. The first stabilizing portion 610 is a portion that extends from the first fitting portion 604, and the second stabilizing portion 612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second fitting portion 608.

도 1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례에 따르면, 제1 안정화부(610) 및 제2 안정화부(612)의 연장방향은, 각각, 제1 끼움부(604) 및 제2 끼움부(608)와 동일한 평면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제1 안정화부(610) 및 제2 안정화부(612)의 연장방향은, 각각, 제1 끼움부(604) 및 제2 끼움부(608)와 다른 평면상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도 15a를 재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안정화부(610)는 종이에서 나오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안정화부(612)는 종이에서 들어가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또는, 제1 안정화부(610)는 종이에서 들어가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안정화부(612)는 종이에서 나오는 방향으로 연장한다(도 16c 참조).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강철 플레이트(D)의 돌출부(P)로의 장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A,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directions of the first stabilizing portion 610 and the second stabilizing portion 612 are respectively, the first fitting portion 604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608. ).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16B, the extension directions of the first stabilization part 610 and the second stabilization part 612 are respectively the first fitting part 604 and the second fitting part 608. And other planes. That is, referring to FIG. 15A again, the first stabilization part 610 extends in the direction from the paper, and the second stabilization part 612 extends in the direction from the paper. Alternatively, the first stabilization portion 610 extends in the direction of entering from the paper, and the second stabilization portion 612 extends in the direction from the paper (see FIG. 16C). When formed in this way, the mounting of the steel plate (D) to the protrusion (P) can be made more robust.

본 발명의 일 례에 따르면, 제1 안정화부(610) 및 제2 안정화부(612)는, 각각, 제1 경사부(602) 및 제2 경사부(606)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안정화부(610)는 제1 경사부(602)에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경사부(602)와 일정 간극을 형성하며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안정화부(612)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제2 안정화부(612)는 제2 경사부(606)에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제2 경사부(606)와 일정 간극을 형성하며 접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제1 경사부(602), 제1 끼움부(604) 및 제1 안정화부(610)는 대략 삼각형의 관통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제2 경사부(606), 제2 끼움부(608) 및 제2 안정화부(612)는 대략 삼각형의 관통면을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abilizing portion 610 and the second stabilizing portion 612 may extend in directions proximate to the first inclined portion 602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606, respectively. have. The first stabilizing portion 610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first inclined portion 602 or may be formed so as to form a certain gap with the first inclined portion 602 and not to contact it. Similarly in the case of the second stabilizing portion 612, the second stabilizing portion 612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second inclined portion 606, and forms a certain gap with the second inclined portion 606 and does not contact it. It may be configured not to. That is, the first inclined portion 602, the first fitting portion 604, and the first stabilizing portion 610 may form a substantially triangular through surface. Similarly, the second inclined portion 606, the second fitting portion 608, and the second stabilizing portion 612 may form an approximately triangular through surface.

도 17에는 고정장치(100)가 슬래브 구조체에 장착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고, 도 18은 고정장치(100)가 슬래브 구조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다. 고정장치(100)를 슬래브 구조체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제1 끼움부(604) 및 제2 끼움부(608)가 수평돌출부(HP)에 접촉하면서 양 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하방력을 더 가하게 되면 수평돌출부(HP)를 지나 수직돌출부(VP) 측으로 안착하게 되며 고정이 완료된다.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100)는 제1 안정화부(610) 및 제2 안정화부(612)가 수평돌출부(HP)의 하측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17 shows a process in which the fixing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slab structure, and FIG. 18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xing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slab structure. When the fixing device 100 is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slab structure, the first fitting part 604 and the second fitting part 608 are opened on both sides while contacting the horizontal protrusion HP, and when further downward force is applied, horizontal After passing through the protrusion HP, it is seated toward the vertical protrusion VP and fixing is completed. The slab structure fixing device 1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stabilization unit 610 and the second stabilization unit 612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rotrusion HP, and thus can be fixed more firmly.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장치(1, 10, 100)을 슬래브 구조체 내로 삽입하여 당김으로써 강철 플레이트(D)에 바로 장착이 되므로 장착의 편의성이 높다. 즉, 본 발명은 간단한 방식으로 쉽게 장착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xing devices 1, 10, and 100 are inserted into the slab structure and pulled, they are directly mounted on the steel plate D, so that the convenience of mounting is high.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unted in a simple manner,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and speed of ope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끼움부(26, 64), 제2 끼움부(68), 제1 안정화부(610) 및 제2 안정화부(612)는 표면조도가 다른 부분들보다 더 높도록, 즉, 더 거칠게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tting portions 26 and 64, the second fitting portion 68, the first stabilizing portion 610 and the second stabilizing portion 612 have a higher surface roughness than other portions. It can be formed to be higher, i.e., rougher.

제1 끼움부(26)는 표면조도가 높도록 표면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1 끼움부(26)는 샌드 페이퍼 등을 이용하여 표면 거칠기가 높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제1 끼움부(26)의 표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제1 끼움부(26)의 표면에는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그루브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제1 끼움부(26)는, 아래 설명할 바와 같이, 돌출부(P)를 포함하는 강철 플레이트(D)에 접촉하여 고정되는 부분이므로 강철 플레이트(D)와의 밀착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위와 같이 설명한 방식으로 표면 거칠기가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있어서 제1 끼움부(64) 및 제2 끼움부(68)도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표면 거칠기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안정화부(610) 및 제2 안정화부(612)도 마찬가지로 위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표면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The first fitting portion 26 may be subjected to a surface treatment so that the surface roughness is high.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tting portion 26 may be configured to have a high surface roughness using sandpaper or the lik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fitting portion 26.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rooves that are recessed from the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fitting portion 26. Since the first fitting portion 26 is a portion that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steel plate D including the protrusions P, as described below,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ecure the adhesive force with the steel plate D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roughness is formed high.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tting portion 64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68 may also have high surface roughness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abilization unit 610 and the second stabilization unit 612 may also be surface-treat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도 19a 및 1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슬래브 구조체는, 도 1a 및 1b에 도시된 종래 방식에 비하여, 장선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요구되는 동바리 및 멍에의 수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므로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폐기자재의 배출도 감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19A and 19B, the slab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lab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shown in FIGS. 1A and 1B, not only does not require a joist, but also the number of copper and yoke required Since i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 and also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discharge of waste material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D: 강철 플레이트 P: 돌출부
VP: 수직돌출부 HP: 수평돌출부
20: 하부근
22: 하부 주근 24: 하부 배력근
30: 스페이서 복합체
32: 스페이서 34: 지지체
342: 하부로드 344: 상부로드
346: 연결부재
40: 상부근
42: 상부 주근 44: 상부 배력근
1, 10, 100: 고정장치
2: 연장부 4: 결합부
6, 60, 600: 장착부 12: 고리
16: 제1 경사부 26: 제1 끼움부
62: 제1 경사부 64: 제1 끼움부
66: 제2 경사부 68: 제2 끼움부
602: 제1 경사부 604: 제1 끼움부
606: 제2 경사부 608: 제2 끼움부
610: 제1 안정화부 612: 제2 안정화부
D: steel plate P: protrusion
VP: Vertical protrusion HP: Horizontal protrusion
20: lower root
22: lower main root 24: lower back muscle
30: spacer complex
32: spacer 34: support
342: lower rod 344: upper rod
346: connecting member
40: upper root
42: upper main root 44: upper back muscle
1, 10, 100: Fixture
2: Extension part 4: Coupling part
6, 60, 600: Mounting part 12: Hook
16: First slope 26: First fitting
62: first inclined portion 64: first fitting portion
66: second inclined portion 68: second fitting portion
602: first inclined portion 604: first fitting portion
606: second inclined portion 608: second fitting portion
610: first stabilization unit 612: second stabilization unit

Claims (7)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수직돌출부 및 상기 수직돌출부의 양 측으로 수평하게 돌출하는 수평돌출부를 포함하는 돌출부를 복수 개 포함하는 강철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강철 플레이트의 상기 돌출부 사이에 하부 주근을 배근하는 단계;
상기 하부 주근과 직교하도록 하부 배력근을 배근하는 단계;
상기 하부 배력근 상에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스페이서 복합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스페이서 복합체 상에 상부 주근 및 상기 상부 주근과 직교하는 상부 배력근을 포함하는 상부근을 배근하는 단계;
상기 돌출부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근에 결합되도록 고정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장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근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 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돌출부에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장부의 타 측으로부터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만곡하여 연장하는 제1 경사부;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경사부와 대칭하도록 상기 연장부로부터 만곡하여 연장하는 제2 경사부;
상기 제1 경사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만곡 형성되는 제1 끼움부;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끼움부와 대칭되도록 상기 제2 경사부로부터 만곡 형성되는 제2 끼움부;
상기 제1 끼움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만곡하여 제1 경사부를 향해 연장하는 제1 안정화부; 및
상기 제2 끼움부로부터 일정 각도 만곡하여 제2 경사부를 향해 연장하는 제2 안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부, 제2 경사부, 제1 끼움부 및 제2 끼움부는 제1 평면 상에서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안정화부 및 제2 안정화부는 상기 제1 평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 평면 상에서 연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안정화부는 제2 평면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안정화부는 제2 평면 상에서 제1 방향과는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
Placing a steel plate includ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cluding vertical protrusions projecting from a surface and horizontal protrusions projecting horizontally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protrusions;
Reinforcing a lower main root between the protrusions of the steel plate;
Reinforcing the lower back muscles to be orthogonal to the lower main roots;
Placing a spacer complex including a spacer on the lower back muscle;
Reinforcing an upper muscle including an upper main muscle and an upper back muscle perpendicular to the upper main muscle on the spacer complex;
Installing a fixing device mounted on the protrusion and coupled to the upper muscle; And
The step of pouring the concrete; includes,
The fixing device,
Extensions;
A coupl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formed to be coupled with the upper muscle; And
Includes;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is formed to be mounted to the horizontal projection;
The mounting portion,
A first inclin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A second inclined portion curved and extended from the extended portion to be symmetric to the first inclined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ded portion;
A first fitting portion curved at an angle from the first inclined portion;
A second fitting part curved from the second inclined part so as to be symmetric with the first fitting part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part;
A first stabilizing part that curves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irst fitting part and extends toward the first inclined part; And
It includes; a second stabilizing portion that curves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second fitting portion and extends towar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The first inclined portion, the second inclined portion, the first fitting portion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are formed to extend on a first plane,
The first stabilizing portion and the second stabilizing portion are configured to extend on a second plane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plane,
The first stabilizing portion extends in a first direction on a second plane, and the second stabilizing portion is configured to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on the second pla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주근 및 하부 배력근이 직교하는 지점을 철선으로 묶는 단계; 또는 상기 상부 주근 및 상부 배력근이 직교하는 지점을 철선으로 묶는 단계;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bundling a point orthogonal to the lower main and lower back muscles with a wire; Or tying the points at which the upper main and upper back muscles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with an iron wire; Construction method of a slab structure that further comprises any one o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복합체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평행하게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및 제2 하부로드;
상기 제1 및 제2 하부로드 사이에 각 제1 하부로드 및 제2 하부로드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스페이서;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로드;
상기 제1 하부로드, 상부로드 및 제2 하부로드를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 중 각 스페이서의 양 측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인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acer composite further comprises a support, the support,
First and second lower rods spaced apart in parallel;
A plurality of spacers disposed to contact each of the first lower rod and the second lower ro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ower rods;
An upper rod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spacers;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connecting the first lower rod, the upper rod and the second lower rod, and bent to surround both sides of each spacer among the plurality of spacers;
Construction method of the slab structure comprising a.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로드는 상부 주근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 주근과 접촉하는 것인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pper ro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linth to support the upper plinth.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스페이서 및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를 일체로 형성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스페이서 복합체를 형성하는 스페이서 복합체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pacer composite forming step of forming a spacer composite including a plurality of spacers and a support body integrally forming the plurality of spacer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복합체 형성단계는,
평행하게 이격하여 한 쌍의 하부로드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하부로드 사이에 상기 하부로드와 접하도록 복수의 스페이서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하는 단계;
상기 스페이서의 상부에 상기 하부로드와 평행하도록 상부로드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스페이서를 감싸도록 상기 한 쌍의 하부로드 중 어느 하나, 상부로드 및 상기 한 쌍의 하부로드 중 다른 하나에 순차적으로 결합하도록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spacer complex forming step,
Placing a pair of lower rods spaced apart in parallel;
Arranging a plurality of spacer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contact the lower rod between the lower rods;
Placing an upper rod parallel to the lower ro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r;
Coupling a connecting member to sequentially engage one of the pair of lower rods, the upper rod and the other of the pair of lower rods so as to surround the spacer;
Construction method of the slab structure comprising a.
삭제delete
KR1020190092548A 2019-06-12 2019-07-30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slab structure KR10208957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216 2019-06-12
KR20190069216 2019-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574B1 true KR102089574B1 (en) 2020-03-17

Family

ID=700039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958A KR102089575B1 (en) 2019-06-12 2019-07-26 Slab structure holding device
KR1020190092548A KR102089574B1 (en) 2019-06-12 2019-07-30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slab structur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958A KR102089575B1 (en) 2019-06-12 2019-07-26 Slab structure hold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08957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900B1 (en) * 2006-12-06 2007-11-28 노영곤 Hollow member for the deck plate using the same a hollow form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KR100936593B1 (en) * 2009-07-24 2010-01-13 (주)에스큐브 Light weight assembly for hollow and light slab using the same
KR20110052013A (en) * 2009-11-12 2011-05-18 조상규 Convex type spacer inserted in slab and method using it
KR101171974B1 (en) 2012-02-15 2012-08-07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Deck plate - column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90037615A (en) * 2017-09-29 2019-04-08 김영학 Iron bar Fix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843Y1 (en) * 2004-11-23 2005-03-11 (주)대하강업 Spacer
KR100778072B1 (en) 2007-06-28 2007-11-23 조상규 Spacer for decreasing concrete amount used
KR200485078Y1 (en) * 2014-06-05 2017-11-27 이재혁 Dice supporting wire anch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900B1 (en) * 2006-12-06 2007-11-28 노영곤 Hollow member for the deck plate using the same a hollow form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KR100936593B1 (en) * 2009-07-24 2010-01-13 (주)에스큐브 Light weight assembly for hollow and light slab using the same
KR20110052013A (en) * 2009-11-12 2011-05-18 조상규 Convex type spacer inserted in slab and method using it
KR101171974B1 (en) 2012-02-15 2012-08-07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Deck plate - column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90037615A (en) * 2017-09-29 2019-04-08 김영학 Iron bar Fix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575B1 (en)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6557B1 (en)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for reducing story height and flatplate structure
JP2006328631A (en) Building floor structure system
KR101085085B1 (en) Steel composite beam using formed steel
JP2016204996A (en) Fixation structure of oblique cable
KR100689963B1 (en) Spacer
JP3952449B2 (en) Bridge superstructure
JP6535704B2 (en) Column-beam frame
KR102089574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slab structure
KR101854160B1 (en) Concrete Precast Slab
KR101740598B1 (en) Steel girder having hollow cap beam reinforcement material
JP5658966B2 (en) Composite beam, composite beam joint structure, and composite beam joint method
KR101808058B1 (en) Coupling beam of coupled shear wall to increase strength of the anchorage
JP2014190116A (en)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slab
KR20140110491A (en) Half precast concrete column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ddle-type ties and dual hoops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JP6508866B2 (en) Column-beam frame
KR101198116B1 (en) Steel grirder for bridge
KR101736594B1 (en) Connecting sturcture between column and beam
KR20150048993A (en) Device for preventing buoyance in hollow concrete slab
JP6346847B2 (en) Anchor cable fixing structure
KR101186825B1 (en) Reinforcement apparatus of steel reinforced concrete beam with a hole
KR20180011528A (en) Prestressed Hybrid Composite Girder Utilizing Truss Action
KR101765389B1 (en) Light weight precast beam with void implementing archi mechanism
KR20200098226A (en)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using i type steel band
KR20150033221A (en) Prestressed Concrete Girder
JP6352092B2 (en) Junc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