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555B1 -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방법 및 그 보정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방법 및 그 보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555B1
KR102089555B1 KR1020180169912A KR20180169912A KR102089555B1 KR 102089555 B1 KR102089555 B1 KR 102089555B1 KR 1020180169912 A KR1020180169912 A KR 1020180169912A KR 20180169912 A KR20180169912 A KR 20180169912A KR 102089555 B1 KR102089555 B1 KR 102089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measurement value
comparison measurement
visual comparison
vis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복
양성훈
이영규
황상욱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80169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20/00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 G04R20/02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the radio signal being sent by a satellite, e.g. G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4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 G01S19/29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carrier including Doppler, related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5/00Setting, i.e. correcting or changing, the time-indication
    • G04G5/002Setting, i.e. correcting or changing, the time-indication brought into action by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1Systems using a satellite or space-based relay
    • H04B7/18513Transmission in a satellite or space-based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제1시각비교측정치를 미리 설정된 시간범위에 대해서 수신하는 측정치수신단계; 상기 수신된 제1시각비교측정치에서 불연속시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불연속시점검출단계; 양방향 시각전송기(two-way time transfer apparatus)에 의해 측정된 제2시각비교측정치를 상기 검출된 불연속시점에 대해서 분석하는 양방향측정치분석단계; 및상기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시각비교측정치를 보정하는 반송파측정치보정단계를 포함하는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방법 및 그 보정시스템 {Method for compensating time comparison value measured by time transfer using carrier wave based on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방법 및 그 보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위성항법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에 의해 측정된 시각비교측정치가 정밀도는 높지만 정확도가 다소 떨어지는 점을 보상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s System)와 같은 시스템을 통해서 구현되는 시각비교기술은 우주과학뿐만 아니라, 기초과학, 측량, 운송, 통신, 지진예측과 같은 실생활과 관련된 기술분야에서도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서로 다른 두 지역간의 시각비교를 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동축선로, 자유공간, 광섬유와 같은 전달 매체에 의한 전파지연시간의 정확한 측정이다. 단방향 측정 방법의 일환으로 지구국의 시각신호를 수신하여 이용하여 이용자시계와 비교하는 방법이 있다. 다만, 지상파 시각비교의 경우 지구국에서 이용자까지의 전피층과 지면사이의 신호의 다중반사로 전파지연 시간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비해, 위성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위성의 위치, 전리층, 대기권의 상태에 따라 전파지연시간이 달라지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단방향 방법은 전파지연시간을 얼마나 정확히 교정하는지에 따라 시각비교의 정확도가 좌우된다.
종래에는 항법위성이용 동시관측법을 이용하여 두 지점간의 시각을 비교하였다. 항법위성이용 동시관측법은 공통의 위성신호를 이용자가 두 지구국에서 수신하여 시각을 비교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러한 동시측정법은 공통되는 위성으로부터 위성신호를 동시에 수신하기 때문에, 지연시간에 의한 오차가 최소화되는 반면, 비교하고자 하는 두 지구국간의 기선거리가 멀어질수록 동시에 관측되는 위성의 수가 줄어들게 되고, 동시에 관측되는 위성 자체가 아예 사라지면 시각전송이 불가능하게 되는 한계가 있다. 그 외에도, 동시에 관측되는 위성이 있더라도, 낮은 위성양각을 갖게 되어, 대류층 지연과 같은 전송지연의 영향이 심해져서, 시각전송의 정밀도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알려진 다른 방법으로서, 항법위성이용 전체관측법이 있다. 항법위성이용 전체관측법에 따르면, 시각비교를 수행하는 두 지구국에서 각각 관측되는 모든 위성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의 시스템시각에 대하여 시각차이를 먼저 구하고, GNSS 시스템시각과 각 지구국간의 시각차이를 차분함으로써, 지구국간 기선거리에 관계없이 시각전송이 가능하다. 항법위성이용 전체관측법은 전술한 항법위성이용 동시관측법과 달리 동시에 관측하는 것이 아니므로 동시에 관측되는 위성이 사라져서 시각전송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낮은 위성양각에 따른 시각전송의 정밀도 저하현상이 해소되어 고정밀 시각 전송에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 다만, 항법위성이용 전체관측법만으로는, 그 시각정보에 대한 분해능을 향상시키지 못해서, 수 ㎲정도의 정밀도를 갖는 데에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수 ㎱까지의 정밀도를 얻지는 못한다.
그 외에, 항법위성을 기반으로 반송파(carrier wave)를 이용하여 시각을 전송하는 장치(이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를 통해 시각비교를 하는 방법이 있다.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를 이용하는 방법은 측정차 오차 보정 성능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후처리 방식으로 수행되며, 다중경로나 이온층 변화와 같은 전파환경과, 장비의 온도과 같은 운영환경에 의해 코드 측정치의 잡음이 발생되고, 불연속시점이 무작위로 발생하여, 시각전송 정밀도는 어느 정도 이상의 수준으로 확보되는 반면, 시각전송 정확도는 담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5709호 (2009.01.14 공개)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8-122290호 (2008.05.29 공개)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0392호 (2007.11.29 공고발행) 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3563호 (2014.02.27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각전송 정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위상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방법 및 그 보정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제1시각비교측정치를 미리 설정된 시간범위에 대해서 수신하는 측정치수신단계; 상기 수신된 제1시각비교측정치에서 불연속시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불연속시점검출단계; 양방향 시각전송기(two-way time transfer)에 의해 측정된 제2시각비교측정치를 상기 검출된 불연속시점에 대해서 분석하는 양방향측정치분석단계; 및 상기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시각비교측정치를 보정하는 반송파측정치보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제1시각비교측정치를 미리 설정된 시간범위에 대해서 수신하는 측정치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1시각비교측정치에서 불연속시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불연속시점검출부; 양방향 시각전송기(two-way time transfer)에 의해 측정된 제2시각비교측정치를 상기 검출된 불연속시점에 대해서 분석하는 모델연산부; 및 상기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시각비교측정치를 보정하는 결합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방법을 구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위상 모호성에 의해서 장기적으로 시각비교값을 측정하는 데에 발생되는 정확도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시스템의 일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결합처리부가 제1시각비교측정치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결합처리부가 제1시각비교측정치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일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제1시각비교측정치가 보정되기 전과 후의 주파수비교성능 및 시각비교성능을 기준으로 하여 출력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방법의 일 예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시스템의 일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시스템(10)은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100) 및 양방향 시각전송기(19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시스템(10)을 보정시스템(10)으로 약칭하기로 한다.
도 1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100)는 반송파(carrier wave)를 이용하여 시각(time)을 전송(transfer)하는 장치로서, 측정치수신부(110), 불연속시점검출부(130), 모델연산부(150) 및 결합처리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100)는 측정치수신부(110), 불연속시점검출부(130), 모델연산부(150) 및 결합처리부(17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측정치수신부(110), 불연속시점검출부(130), 모델연산부(150) 및 결합처리부(170)는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100) 및 양방향 시각전송기(190)에 포함되지 않으면서, 보정시스템(10)에 독립적인 모듈로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정시스템(10)에 포함되는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100), 측정치수신부(110), 불연속시점검출부(130), 모델연산부(150), 결합처리부(170) 및 양방향 시각전송기(1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100), 측정치수신부(110), 불연속시점검출부(130), 모델연산부(150), 결합처리부(170) 및 양방향 시각전송기(19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측정치수신부(110)는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100)의 제1시각비교측정치를 미리 설정된 시간범위에 대해서 수신한다. 여기서, 제1시각비교측정치는 후술하는 제2시각비교측정치와 대응되도록 라벨링된 데이터로서,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100)에 의해 측정된 시각비교측정치를 의미한다. 시각비교측정치는 지구 상의 서로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지구국간의 시각격차를 의미하고, 단위는 ns(나노초)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시간범위는 측정치수신부(110)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시간적인 범위로서, 일정한 시간동안의 수정 율리우스 통일(MJD: Modified Juliian Date)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시간범위는 MJD 57920 내지 MJD 57925 일 수 있다.
측정치수신부(110)는 수신하는 제1시각비교측정치는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100)가 시각비교수치를 측정한 후에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된 정보일 수도 있고,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100)가 시각비교수치를 측정하고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서 전달하는 정보일 수도 있다.
불연속시점검출부(130)는 제1시각비교측정치에서 불연속시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제1시각비교측정치는 고정된 한 시점이 아니라 미리 설정된 시간범위에 대한 값이며, 특정한 시점에 대해서 하나의 시각비교값이 대응되므로, 연속적인 그래프(continuous graph)로 표현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것과 같이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100)의 정확도에 영향을 주는 잡음이 발생되는 경우, 제1시각비교측정치에서 불연속시점이 존재할 수도 있다. 여기서, 불연속시점이 존재한다는 의미는, 특정한 시점에서 두 개 이상의 시각비교측정치가 대응되거나, 특정한 시점에서의 시각비교측정치가 누락된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MJD 57920 에서의 한국표준시인 UTC(KRIS)와 대만표준시인 UTC(TL)와의 시각비교측정치가 측정되지 않았을 경우, 불연속시점검출부(130)는 MJD 57920을 불연속시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MJD 57920 에서의 한국표준시인 UTC(KRIS)와 일본표준시인 UTC(NICT)와의 시각비교측정치가 -1.25ns 또는 -1.75ns인 경우, MJD 57920 시점에서의 시각비교측정치가 복수 개 존재하여, 불연속시점검출부(130)는 제1시각비교측정치에 불연속시점이 검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모델연산부(150)는 양방향 시각전송기(Two-way transfer apparatus)에 의해 측정된 제2시각비교측정치를 불연속시점검출부가 검출한 불연속시점에 대해서 분석한다. 예를 들어, 모델연산부(150)는 제1시각비교측정치의 불연속시점이 MJD 57920로 검출되었다면, MJD 57920 시점에서의 제2시각비교측정치를 다양한 분석기법을 통해 분석하여 결과값을 산출한다.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100)에 의한 시각비교측정치는 다른 장치를 통해 측정된 시각비교측정치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정밀도가 높은 특징이 있지만, 시각비교측정치의 정확도는 보장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반면, 양방향 시각전송기(190)에 의해 측정된 시각비교측정치는 다른 장치를 통해 측정된 시각비교측정치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정밀도는 떨어지지만, 시각비교측정치의 정확도가 장기안정도 관점에서 매우 안정적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점에서 고안된 발명으로서, 양방향 시각전송기(190)에 의해 측정된 제2시각비교측정치는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100)에 의해 측정된 제1시각비교측정치와 동일한 시간범위에 대해서 측정된 값으로서, 특히, 불연속시점검출부(130)에 의해 불연속시점이 검출되었다면, 제2시각비교측정치는 그 불연속시점을 포함하는 일정한 시간 범위에 대해서 분석된다.
결합처리부(170)는 모델연산부(150)가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제1시각비교측정치를 보정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본 발명은, 1차적으로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100)에 의해 측정된 제1시각비교측정치가 정밀도는 높으나 정확도는 낮은 특성을 고려하여, 양방향 시각전송기(190)에 따른 제2시각비교측정치를 제1시각비교측정치의 불연속시점을 기초로 하여 가공하여, 제1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값(보상값)을 산정함으로써,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100)의 높은 정밀도와 양방향 시각전송기(190)의 높은 정확도를 동시에 반영하는 통합(integration)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 일 실시 예로서, 모델연산부(150)는 LMS(Least Mean Square)를 이용한 선형회귀(Linear regression) 모델을 기초로 하여, 제2시각비교측정치를 검출된 불연속시점에 대해서 분석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델연산부(150)는 제1시각비교측정치의 불연속시점이 검출되면, 검출된 불연속 시점을 중심으로 하여 제2시각비교측정치의 LMS(Least Mean Square)를 이용한 선형회귀(Linear regression) 모델을 연산하게 된다. 이어서, 결합처리부(170)는 LMS(Least Mean Square)를 이용한 선형회귀(Linear regression) 모델을 이용하여 검출된 불연속시점에서의 시각비교측정치(제3시각비교측정치)와 반송파이용 시각반송기(100)로 측정된 제1시각비교측정치간의 시간오프셋(time offset)을 계산하고, 계산된 시간오프셋을 제1시각비교측정치에 보정처리함으로써, 불연속시점검출부(130)가 검출한 불연속시점에서의 제1시각비교측정치보다 더 정확한 시각비교측정치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정한 범위의 시각비교측정치를 LMS(Least Mean Square)를 이용한 선형회귀(Linear regression) 모델을 적용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종래에 알려진 방법을 따르는 것으로 본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결합처리부가 제1시각비교측정치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MJD 57907에서 57939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한국표준시인 UTC(KRIS)와 대만표준시인 UTC(TL)와의 시각비교측정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직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2017년 6월 3일에서 2017년 7월 4일까지의 시각비교측정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에서, 가로축은 시각비교측정치가 측정된 시점을 MJD 단위로 나타낸 것이고, 세로축은 시각비교측정치를 나노초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에서 Code는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에 의해 측정된 제1시각비교측정치의 로우 데이터(raw data)이고, PPP(Precise Point Positioning)는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100)에 의해 측정된 제1시각비교측정치로서 필터링된 데이터를 의미하고, TW(Two-Way)는 양방향 시각전송기(190)에 의해 측정된 제2시각비교측정치가 필터링된 데이터를 의미한다. 여기서, PPP+TW는 본 발명에 의해 보정된 제1시각비교측정치를 의미하며,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결합처리부가 제1시각비교측정치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일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한 그래프로서, 2017년 6월 3일부터 2017년 6월 10일까지의 시각비교측정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따르면, MJD 57925일 때에 제1시각비교측정치에 불연속이 발생되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모델연산부(150) 및 결합처리부(170)에 의해, MJD 57925에서의 제1시각비교측정치가 결합보정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속시점이 제거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제1시각비교측정치가 보정되기 전과 후의 주파수비교성능 및 시각비교성능을 기준으로 하여 출력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는 결합처리부(170)에 의해 보정되기 전과 후의 제1시각비교측정치를 주파수비교성능을 기준으로 하여 출력한 도면으로서, 그래프의 범례(introductory remarks)는 도 2와 동일하다. 도 4에서, 가로축은 초 단위를 로그스케일(log scale)로 나타낸 것이고, 세로축은 앨런 편차(Allen Deviation)를 로그스케일로 나타낸 것으로서, 확대된 부분을 참조하면,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100)에 따른 제1시각비교측정치가 양방향 시각전송기(190)에 따른 제2시각비교측정치에 의해서 보정됨에 따라, 보정된 제1시각비교측정치에 따른 앨런 편차가 보정되기 전의 제1시각비교측정치나 제2시각비교측정치의 앨런 편차에 비해서, 더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4에서 앨런 편차가 최소값이라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100)의 정확도가 다른 장치에 따라 산출된 표본에 비해서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어서, 도 5는 결합처리부(170)에 의해 보정되기 전과 후의 제1시각비교측정치를 시간비교성능을 기준으로 하여 출력한 도면으로서, 도 4와 마찬가지로, 그래프의 범례(introductory remarks)는 도 2와 동일하다.
도 5에서, 가로축은 초 단위를 로그스케일(log scale)로 나타낸 것이고, 세로축은 시간지연오류(Time Interval Error)를 RMS(Root Mean Square)의 로그스케일로 나타낸 것으로서, 확대된 부분을 참조하면,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100)에 따른 제1시각비교측정치가 양방향 시각전송기(190)에 따른 제2시각비교측정치에 의해서 보정됨에 따라, 보정된 제1시각비교측정치에 따른 시간지연오류가 보정되기 전의 제1시각비교측정치나 제2시각비교측정치의 시간지연오류에 비해서, 더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에서 시간지연오류가 최소값이라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100)의 정확도가 다른 조건에 따라 산출된 표본에 비해서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방법의 일 예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보정시스템(10)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도 1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측정치수신부(110)는 위성항법시스템(GNSS)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를 수신한다(S610). 단계 S610에서 수신된 시각비교측정치는 제1시각비교측정치로 호칭될 수 있다.
불연속시점검출부(130)는 단계 S610에서 수신된 시각비교측정치에 불연속시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S620).
모델연산부(150)는 단계 S610에서 수신된 시각비교측정치에서 불연속시점이 검출되면(S630), 양방향 시각전송기(190)로부터 양방향 시각비교측정치를 수신하고(S640), 양방향 시각비교측정치를 검출된 불연속시점을 기초로 하여 분석한다(S650). 단계 S640에서 양방향 시각전송기(190)로부터 수신된 양방향 시각비교측정치는 제2시각비교측정치로 호칭될 수 있고, 모델연산부(150)는 제2시각비교측정치를 검출된 불연속시점을 기초로 LMS(Least Mean Square)를 이용한 선형회귀(Linear regression) 모델을 연산하여, 제1시각비교측정치에 보정될 값을 산출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설명한 바 있다.
결합처리부(170)는 단계 S650에서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하여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100)에서 측정된 제1시각비교측정치를 보정한다(S660).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위상 모호성에 의해서 장기적으로 시각비교값을 측정하는 데에 발생되는 정확도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에 양방향 시각전송기를 결합함으로써,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100)의 높은 정밀도와 양방향 시각전송기(190)의 높은 정확도를 동시에 반영하는 통합(integration)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제1시각비교측정치를 미리 설정된 시간범위에 대해서 수신하는 측정치수신단계;
    상기 수신된 제1시각비교측정치에서 불연속시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불연속시점검출단계;
    양방향 시각전송기(two-way time transfer apparatus)에 의해 측정된 제2시각비교측정치를 상기 검출된 불연속시점에 대해서 분석하는 양방향측정치분석단계; 및
    상기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시각비교측정치를 보정하는 반송파측정치보정단계를 포함하는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각비교측정치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범위에서 측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측정치보정단계는,
    상기 보정된 제1시각비교측정치를, 보정되기 전의 제1시각비교측정치와 함께 주파수비교성능 및 시각비교성능을 기준으로 하여 출력하는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측정치분석단계는,
    LMS(Least Mean Square)를 이용한 선형회귀(Linear regression) 모델을 기초로 하여, 상기 측정된 제2시각비교측정치를 상기 검출된 불연속시점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매체.
  6.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제1시각비교측정치를 미리 설정된 시간범위에 대해서 수신하는 측정치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1시각비교측정치에서 불연속시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불연속시점검출부;
    양방향 시각전송기(two-way time transfer apparatus)에 의해 측정된 제2시각비교측정치를 상기 검출된 불연속시점에 대해서 분석하는 모델연산부; 및
    상기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시각비교측정치를 보정하는 결합처리부를 포함하는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각비교측정치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범위에서 측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처리부는,
    상기 보정된 제1시각비교측정치를, 보정되기 전의 제1시각비교측정치와 함께 주파수비교성능 및 시각비교성능을 기준으로 하여 출력하는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연산부는,
    LMS(Least Mean Square)를 이용한 선형회귀(Linear regression) 모델을 기초로 하여, 상기 측정된 제2시각비교측정치를 상기 검출된 불연속시점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시스템.
KR1020180169912A 2018-12-26 2018-12-26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방법 및 그 보정시스템 KR102089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912A KR102089555B1 (ko) 2018-12-26 2018-12-26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방법 및 그 보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912A KR102089555B1 (ko) 2018-12-26 2018-12-26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방법 및 그 보정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555B1 true KR102089555B1 (ko) 2020-03-16

Family

ID=6994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912A KR102089555B1 (ko) 2018-12-26 2018-12-26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방법 및 그 보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55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613A (ko) * 2002-01-23 2003-07-31 기창돈 위성항법-정밀측위를 위한 보정정보 생성, 송수신 방법 및장치
KR100780392B1 (ko) 2006-10-10 2007-11-29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양방향 의사위성을 이용한 동기식 의사위성 정밀항법시스템
JP2008122290A (ja) 2006-11-14 2008-05-29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コヒーレント搬送波位相による時間周波数比較方法および装置
KR20090005709A (ko) 2007-07-10 2009-01-1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항법 위성 전체 관측법을 이용한 시각 전송방법
KR20140023563A (ko) 2012-08-16 2014-02-2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글로벌 네비게이션 위성 시스템의 시스템 시간 차이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613A (ko) * 2002-01-23 2003-07-31 기창돈 위성항법-정밀측위를 위한 보정정보 생성, 송수신 방법 및장치
KR100780392B1 (ko) 2006-10-10 2007-11-29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양방향 의사위성을 이용한 동기식 의사위성 정밀항법시스템
JP2008122290A (ja) 2006-11-14 2008-05-29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コヒーレント搬送波位相による時間周波数比較方法および装置
KR20090005709A (ko) 2007-07-10 2009-01-1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항법 위성 전체 관측법을 이용한 시각 전송방법
KR20140023563A (ko) 2012-08-16 2014-02-2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글로벌 네비게이션 위성 시스템의 시스템 시간 차이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990.02.28)* *
논문(2009.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6690B2 (en) Position determination with reference data outage
US7142155B2 (en) GPS receiver
JP6119838B2 (ja) 状態検出方法、補正値処理装置、測位システム、および状態検出プログラム
US7498984B2 (en) Positioning system, information supply device,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supply device, control program of information supply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control program of information supply device
JP5895866B2 (ja) Gnss測位装置およびgnss測位方法
JP2013019893A (ja) バイアスがかかった測定値に基づいた衛星航法システムの誤り検出
US20140375495A1 (en) Vehicle Positioning in High-Reflection Environments
US9915735B2 (en) Method for positioning a vehicle
US1092112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alibration values for atmospheric sensors that provide measured pressures used for estimating altitudes of mobile devices
KR20150132165A (ko) 외부 지원 정보를 사용하여 고정, 타이밍-기반 무선 위치 결정 네트워크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
CN114859387A (zh) 静态站周跳探测的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Krawinkel et al. Benefits of chip scale atomic clocks in GNSS applications
CN115902963A (zh) 一种单点定位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16128837A (ja) Gnss測位装置およびgnss測位方法
KR101877562B1 (ko) Gps 위성의 이상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DK2425301T3 (en) Measuring system for relative time with precision on nano second level
KR102089555B1 (ko) 위성항법시스템 기반 반송파이용 시각전송기의 시각비교측정치의 보정방법 및 그 보정시스템
US20200292714A1 (en) Positioning method and positioning terminal
RU2690521C1 (ru) Способ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мониторинга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US20200363536A1 (en) Methods for enhancing non-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location and timing pseudorange positioning calculations and systems thereof
JP6203608B2 (ja) Glonass受信機
JP4322829B2 (ja) サイクルスリップ検出装置及びサイクルスリップ検出方法
US201502932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propagation time of a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CN104154923A (zh) 用于基于定位信号进行道路匹配的设备和方法
CN110764123B (zh) 一种基于glonass广播星历的伪距定位改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