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389B1 - 비상용 내진 발전기 - Google Patents

비상용 내진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389B1
KR102089389B1 KR1020190165969A KR20190165969A KR102089389B1 KR 102089389 B1 KR102089389 B1 KR 102089389B1 KR 1020190165969 A KR1020190165969 A KR 1020190165969A KR 20190165969 A KR20190165969 A KR 20190165969A KR 102089389 B1 KR102089389 B1 KR 102089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seismic
plate
vibration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영
김용태
Original Assignee
(주)삼우티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티이씨 filed Critical (주)삼우티이씨
Priority to KR1020190165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3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ynamo-electric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면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되는 방진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방진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제1내진유닛; 상기 방진 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에 설치된 발전기를 지지하는 동체 플레이트; 및 상기 방진 플레이트와 동체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제2내진유닛;을 포함하는 내진 발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상용 내진 발전기{Earthquake-proof Generator for Emergency}
본 발명은 비상용 내진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지진과 같은 외력에 견딜 수 있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비상용 내진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도 크고 작은 지진이 발생하면서 수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지진으로 인한 피해는 크게 지진 자체에 의한 1차 피해와, 지진이 끝난 후 발생하는 부수적인 2차 피해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지진 자체에 의한 1차 피해는 지진발생시 지표가 갈라지거나 침하하여 생기는 지상 및 지하 구조물 붕괴, 도로와 교량 유실, 해안지역의 해일로 인한 각종 피해, 이에 따른 인명손실 등을 말한다. 그리고 2차 피해는 1차 피해로 생기는 화재, 수도 ·전기 ·가스 ·통신 ·유통시설의 파괴와 이에 따른 사회생활 혼란을 말한다.
이러한 지진 피해에 따른 대책으로 가장 기본적인 것이 인공 구조물의 설계와, 시공 시에 그 지역의 지반을 감안하여 충분한 내진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인구가 밀집되어 있고 고층건물이 많은 현대의 대도시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이러한 대책에 따라서, 각국 정부는 새로 건물을 지을 때 반드시 방진시설을 갖추도록 의무화하는 추세이다.
또한 공장, 관공서, 및 병원 등에는 상용 전원의 차단 시, 자가 발전을 통해 최소한의 비상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발전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발전기는 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볼트와 발전기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만으로 지진에 대비하도록 되어 있어 발전기의 진동을 실질적으로 억제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로써 발전기가 지진의 진동에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거나 전도되는 경우, 발전기는 비상 전력을 생산할 수 없으며, 또한 화재 시 비상 발전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 구조로 인해 화재 진압이나 비상 탈출에 필요한 비상용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전기를 지지하는 취부대의 구조를 복수의 구조로 개선하여 지진과 같은 외력에 보다 강력하게 대응할 수 있고, 또한 발전기의 진동이 설치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비상 상황에서 발전기의 수명이 다하는 순간까지 가동되는 비상용 내진 발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설치면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되는 방진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방진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제1내진유닛; 상기 방진 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에 설치된 발전기를 지지하는 동체 플레이트; 및 상기 방진 플레이트와 동체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제2내진유닛;을 포함하는 내진 발전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내진유닛과 제2내진유닛은 수직방향에 대하여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진 발전기는 상기 동체 플레이트 상에서 발전기를 지지하는 지지암과, 발전기의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암 상에 올려지는 거치암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진 발전기는 상기 지지암 또는 거치암에 장착되어 상기 탄성부의 탈거를 방지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지지암 또는 거치암 상에서 회전 또는 슬라이딩 이송하여 상기 탄성부를 외부에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탄성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회전하는 경우 상기 지지암과 거치암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커버부 내주면에 접촉하면 통전되도록 전도성 테이프 또는 전도성 물질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진 발전기는 상기 발전기가 설치된 옥내에 마련되는 화재센서로부터 화재신호를 전달받아 발전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진 발전기는 상기 발전기가 설치된 옥내에 마련되는 화재센서로부터 화재신호를 전달받아 발전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센서로부터 화재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발전기가 정지되지 않고 계속 운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화재센서로부터 화재신호가 해제되는 경우, 발전기가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상용 내진 발전기에 따르면,
첫째, 발전기를 설치면 상에서 거치하는 구조를 복수의 내진 구조를 적용해 지지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발전기가 파손되거나, 또한 발전기의 진동이 설치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둘째, 발전기와 동체 플레이트 사이에 진동 감쇄를 위해 설치된 탄성부 주변을 커버부가 차폐하기 때문에 탄성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커버부는 탄성부를 교체할 때 회전 또는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어 탄성부의 교체가 용이하고,
넷째, 탄성부 교체 시, 커버부를 회전시켜 동체 플레이트와 발전기의 거치암 사이를 지지할 수 있으며,
다섯째, 건물 내에 구비된 화재센서를 이용하여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발전기가 정지되지 않고 계속 가동되고, 화재가 진압되었을 때 발전기가 정지되도록 제어하여 비상 상황에서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내진 발전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비상용 내진 발전기를 측면에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비상용 내진 발전기의 하부에 배치된 거치구조를 도시하는 평면 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비상용 내진 발전기의 거치구조를 정면에서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비상용 내진 발전기가 동체 플레이트 상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비상용 내진 발전기의 제1내진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나타낸 비상용 내진 발전기의 제2내진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내진 발전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비상용 내진 발전기를 측면에서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비상용 내진 발전기의 하부에 배치된 거치구조를 도시하는 평면 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내진 발전기(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방진 플레이트(120)와, 제1내진유닛(130)과, 발전기(100)가 장착되는 동체 플레이트(140)와, 제2내진유닛(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발전기(100)는 발전부(11), 엔진(12), 라디에이터 그릴(13), 모터, 흡/배기관, 배터리, 연료탱크,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설치면 상에 고정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에는 방진 플레이트(120)가 배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방진 플레이트(120)는 동일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방진 플레이트(120) 사이에는 제1내진유닛(130)이 복수개 배치된다. 방진 플레이트(120) 상부에는 동체 플레이트(140)가 배치된다. 동체 플레이트(140)는 상부에 발전기(100)가 거치되어 지지된다. 방진 플레이트(120)와 동체 플레이트(140) 사이에는 제2내진유닛(150)이 복수개 배치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내진유닛(130)과 제2내진유닛(150)은 수직방향에 대해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도 3은 평면으로 투시하여 바라본 것으로, 제1내진유닛(130)과 제2내진유닛(150)이 모두 도시되어 있고, 서로 교번으로 배치된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방진 플레이트(120) 사이에서 제1내진유닛(130)이 위치한 곳을 피해서 방진 플레이트(120)와 동체 플레이트(140) 사이에 제2내진유닛(150)이 배치된다. 제1내진유닛(130)과 제2내진유닛(150)이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면 진동의 이동경로가 직결되기 때문에 진동의 전달이 보다 원활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내진유닛(130)과 제2내진유닛(150)은 서로 다른 높이에서 수평방향으로도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내진유닛(150)이 제1내진유닛(130)의 위치보다 수평방향으로 보다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물론 반대로도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비상용 내진 발전기의 거치구조를 정면에서 도시하는 참고도이며,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비상용 내진 발전기가 동체 플레이트 상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에 나타낸 비상용 내진 발전기의 제1내진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에 나타낸 비상용 내진 발전기의 제2내진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내진 발전기(100)는 설치면(GR)과 발전기(100) 사이에서 내진, 방진, 면진 등을 목적으로 내진구조가 마련된다. 즉, 내진구조는 전기한 베이스 플레이트(110), 방진 플레이트(120), 제1내진유닛(130), 동체 플레이트(140) 및 제2내진유닛(150)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내진유닛(130)과 제2내진유닛(150)이 수직방향을 따라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나타낸다. 물론, 서로 중첩되지 않되, 발전기(100) 구성들의 무게 중심에 따라서 제1내진유닛(130)과 제2내진유닛(150)의 위치, 예컨대 밀도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발전기(100)의 각 구성들은 동체 플레이트(140) 상에서 지지되도록 거치암(101)이 구비되고, 동체 플레이트(140)는 거치암(101)과 대향하도록 지지암(141)이 이 구비될 수 있다. 즉, 거치암(101)은 지지암(141) 상에서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암(141)은 발전기(100)와 같은 지지 대상물이 장착된 하나의 고정수단이 될 수도 있고, 발전기(100)나 엔진(12),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13)과 같은 각 지지 대상물의 몸체가 거치암(101) 상에 고정되는 하나의 고정 위치가 될 수도 있다.
이때 거치암(101)과 지지암(141) 사이에는 탄성부(160)가 배치된다. 탄성부(160)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탄성부(160)는 방진고무 재질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160)는 발전기(100)의 지속적인 하중에 노출되어 있고, 발전기(100)의 운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도 노출되기 때문에 설정 기간이 지나면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탄성부(160)는 교체 시기가 지나거나, 적어도 일부 파손된 경우에 고정된 위치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탄성부(160) 주변에는 커버부(170)가 구비된다.
커버부(170)는 지지암(141) 또는 거치암(101)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부(170)는 회전이나 슬라이딩 이송에 의해 탄성부(160)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도 5a는 지지암(141)과 거치암(101) 사이에 탄성부(160)와 커버부(170)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160)는 커버부(17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둘러 쌓여 있어, 탄성부(16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160) 외주면에는 전도성 물질이 코팅되거나 전도성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탄성부(160)에 이러한 전도성 구조가 구비되면, 탄성부(160)가 커버부(170)에 접촉하면서 통전되어 이를 관리자에게 알림이나 에러코드를 전송함으로써, 탄성부(160)가 이탈되거나 결합이 잘못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탄성부(160)의 교체시기를 탄성부(160)의 이탈 전에 확인할 수 있다. 탄성부(160)가 이탈되면서 발전기(100)로부터 소음이나 진동이 커지면 2차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탄성부(160)의 이탈을 방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도 5b는 커버부(170)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커버부(170)는 수평방향의 적어도 일 방향으로 탄성부(160)가 일부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부(170)가 사각형의 구조인 경우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커버부(170)의 전방 및 좌/우측 방향은 막혀있고, 후방, 즉 발전기(100)와 마주하는 면은 발전기(100)에 의해 가려지지만, 커버부의 일부분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170) 내부에서 탄성부(160)는 사방이 막혀있기 때문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커버부(170)가 원형의 구조인 경우 전방과 좌/우측 일부를 커버하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후방 면은 개방될 수 있다.
도 5c는 도 5b에 나타낸 커버부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90° 회전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탄성부(160)를 교체하는 경우 커버부(170)를 90° 또는 180° 회전하면 탄성부(16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커버부(170)를 회전하는 경우 커버부(170) 내부에 배치된 탄성부(160)가 노출되기 때문에 탄성부(160)의 교체 시 커버부(170)를 시계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5d는 도 5b에 나타낸 커버부(170) 내부에 탄성부(160)가 접촉하도록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5d를 참조하면, 탄성부(160)는 원위치(예컨대, 육각 볼트를 중심으로 탄성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일부 위치를 이동하여 커버부(170)의 일 측에 접촉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탄성부(160)의 파손 또는 일부 변형을 의심할 수 있으며, 커버부(170)의 내 측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측면에 탄성부(160)가 접촉하고 있는지도 전도성 구조(전도성 테이프 또는 전도성 코팅물질)에 의해 통전된 부분을 확인하여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160)가 커버부(170) 내측에서 접촉하고 있지 않는 방향을 향하여 커버부(170)를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고, 또한 탄성부(160)의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커버부(170)가 지지암(141) 또는 거치암(101) 상에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하면서 탄성부(160)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커버부(170)는 지지암(141)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평상 시 커버부(170)는 지지암(141) 상에서 탄성부(160) 외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탄성부(160)의 교체 시 커버부(170)는 지지암(141)으로부터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송하여 탄성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비상용 내진 발전기의 제1내진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내진유닛(13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방진 플레이트(12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사이의 진동 전달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1내진유닛(130)은 하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고정되고, 상부가 방진 플레이트(120)에 고정된다. 이때 제1내진유닛(130)의 상부에는 방진 플레이트(120)와 결합되는 면과 개재되도록 방진패드(180)가 구비될 수 있다. 방진패드(180)는 고무나 실리콘 또는 압축 스폰지 등이 적용될 수 있고, 방진 플레이트(120)와 결합되는 상/하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진패드(180)는 추가적인 진동 감쇄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1내진유닛(130)의 내부에는 제1내진유닛(130)의 상부와 하부를 방진하는 방진고무(13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나타낸 비상용 내진 발전기의 제2내진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내진유닛(150)은 방진 플레이트(120)와 동체 플레이트(14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사이의 진동 전달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내진유닛(130)과 함께 추가적으로 진동 전달을 저감시킴으로써, 설치면(GR)과 발전기(100) 사이의 진동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내진유닛(150)은 하부가 방진 플레이트(120)에 고정되고, 상부가 동체 플레이트(140)에 고정된다. 이때 제2내진유닛(150)의 상부에는 동체 플레이트(140)와 결합되는 면에 개재되도록 방진패드(18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내진유닛(150)의 내부에는 제2내진유닛(150)의 상부와 하부를 방진하는 방진스프링(15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진스프링(151)은 각각의 제2내진유닛(150)에 전달되는 하중이나 무게중심에 따라서 탄성계수 또는 스프링의 수가 조절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저면과 설치면(GR) 사이에도 방진패드(180)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발전기(100)의 운전 전반에 걸쳐 제어가 이루어지는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 또는 전자제어장치의 일부 구성일 수 있다.
발전기(100)가 설치된 옥내에는 소방 감시반과 연결된 화재센서(미도시)가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 배치된다. 이러한 화재센서는 화재로 인한 열이나 연기 또는 불꽃 등을 감지할 수 있고, 이렇게 감지된 화재 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는 화재 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일반적으로 발전기(100)가 정지되도록 제어 로직이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전기(100)를 정지시키지 않고, 계속 운전되도록 제어 로직이 구성될 수 있다. 즉, 화재가 발생된 상황에서 비상 대피 또는 화재 진압에 필요한 전원의 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발전기(100)가 정지되는 경우 이를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화재신호가 해제되기 전까지 발전기(100)가 계속 운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물론, 제어부는 화재센서로부터 화재신호가 해제되는 경우에는 발전기(100)의 정지를 검토하고, 정지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상용 내진 발전기(100)에 따르면 발전기(100)를 설치면 상에서 거치하는 구조를 복수의 내진 구조를 적용해 지지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발전기가 파손되거나, 또한 발전기(100)의 진동이 설치면(GR)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발전기(100)와 동체 플레이트(140) 사이에 진동 감쇄를 위해 설치된 탄성부(160) 주변을 커버부(170)가 차폐하기 때문에 탄성부(16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커버부(170)는 탄성부(160)를 교체할 때 회전 또는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어 탄성부(160)의 교체가 용이하고, 탄성부(160) 교체 시, 커버부(170)를 회전시켜 동체 플레이트(140)와 발전기(100)의 거치암(101) 사이를 지지할 수 있으며, 건물 내에 구비된 화재센서를 이용하여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발전기(100)가 정지되지 않고 계속 가동되고, 화재가 진압되었을 때 발전기(100)가 정지되도록 제어하여 비상 상황에서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된 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비상용 내진 발전기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방진 플레이트
130 : 제1내진유닛
140 : 동체 플레이트
150 : 제2내진유닛
160 : 탄성부
170 : 커버부
180 : 방진패드

Claims (10)

  1. 설치면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되는 방진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방진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제1내진유닛;
    상기 방진 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에 설치된 발전기를 지지하는 동체 플레이트;
    상기 방진 플레이트와 동체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제2내진유닛;
    상기 동체 플레이트 상에서 발전기를 지지하는 지지암과, 발전기의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암 상에 올려지는 거치암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 및
    상기 지지암 또는 거치암에 장착되어 상기 탄성부의 탈거를 방지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지지암 또는 거치암 상에서 회전 또는 슬라이딩 이송하여 상기 탄성부를 외부에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내진 발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내진유닛과 제2내진유닛은 수직방향을 따라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내진 발전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탄성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회전하는 경우 상기 지지암과 거치암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내진 발전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커버부 내주면에 접촉하면 통전되도록 전도성 테이프 또는 전도성 물질 코팅층이 형성되는 내진 발전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가 설치된 옥내에 마련되는 화재센서로부터 화재신호를 전달받아 발전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내진 발전기.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센서로부터 화재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발전기가 정지되지 않고 계속 운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화재센서로부터 화재신호가 해제되는 경우, 발전기가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내진 발전기.
KR1020190165969A 2019-12-12 2019-12-12 비상용 내진 발전기 KR102089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969A KR102089389B1 (ko) 2019-12-12 2019-12-12 비상용 내진 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969A KR102089389B1 (ko) 2019-12-12 2019-12-12 비상용 내진 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389B1 true KR102089389B1 (ko) 2020-03-16

Family

ID=69948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969A KR102089389B1 (ko) 2019-12-12 2019-12-12 비상용 내진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3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795B1 (ko) * 2021-03-25 2021-07-08 (주)삼우티이씨 지진 감응 발전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148B1 (ko) * 2014-07-24 2014-12-12 주식회사 대흥기전 진동 차폐 장치 및 그것이 적용된 내진 발전기
KR101870158B1 (ko) * 2017-12-28 2018-06-25 (주)지엔씨에너지 변위 제한형 내진 마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148B1 (ko) * 2014-07-24 2014-12-12 주식회사 대흥기전 진동 차폐 장치 및 그것이 적용된 내진 발전기
KR101870158B1 (ko) * 2017-12-28 2018-06-25 (주)지엔씨에너지 변위 제한형 내진 마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795B1 (ko) * 2021-03-25 2021-07-08 (주)삼우티이씨 지진 감응 발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986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504617B1 (ko) 풍하중 저항부재가 구비된 면진 장치
KR102089389B1 (ko) 비상용 내진 발전기
KR101835567B1 (ko) 전원 설비의 내진장치
KR101839835B1 (ko) 내진 발전기
KR101886698B1 (ko) 내진성이 향상되는 원추형 내진 모듈장치
US10066412B2 (en) Equipment protection system and protection device thereof
JP2020186641A (ja) 天井型耐震衝撃緩衝ユニット
KR101872958B1 (ko) 수배전반용 지진감지 시스템
KR20160126260A (ko) 내진구조를 갖는 배전함
CN205396856U (zh) 一种用于灭火救援的防震指挥箱
KR101879153B1 (ko) 내진 발전기
KR101863327B1 (ko) 내진성이 향상되는 원추형 내진 모듈장치
KR20140123213A (ko) 트리거 장치를 구비한 진동저감장치
KR102274795B1 (ko) 지진 감응 발전기
CN205844454U (zh) 一种可移动式微电网故障检测平台
KR102184095B1 (ko) Pdf 면진물탱크
KR102297493B1 (ko) 함체용 진동감쇠장치
CN106143343A (zh) 一种抗冲击的汽车发动机保护盖
CN206607808U (zh) 一种用于走廊墙面的防撞装置
CN215681609U (zh) 一种活动卡接抗震支架
KR102485695B1 (ko) 내진 방진 스프링 스토퍼
KR101013212B1 (ko) 방재형 발전기
CN214376185U (zh) 容灾备份防护存储装置
KR102548383B1 (ko)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