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201B1 -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201B1
KR102088201B1 KR1020190118150A KR20190118150A KR102088201B1 KR 102088201 B1 KR102088201 B1 KR 102088201B1 KR 1020190118150 A KR1020190118150 A KR 1020190118150A KR 20190118150 A KR20190118150 A KR 20190118150A KR 102088201 B1 KR102088201 B1 KR 102088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disaster information
information
output device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미향
이정원
손정균
Original Assignee
(주)오투에이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투에이브이 filed Critical (주)오투에이브이
Priority to KR1020190118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재난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지진, 미세먼지, 태풍, 홍수 등과 같은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재난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재난정보를 출력할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에 대한 이벤트 접점정보에 따라 상기 재난정보를 연계함으로써, 상기 재난상황이 발생한 정확한 위치의 재난현장에 상기 재난정보를 이용한 비상방송을 수행하여, 상기 재난현장에 위치하는 사람에게 재난상황에 대한 정확한 상황정보와 대처방법을 제공하는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BROADCASTING SYSTEM FOR LINKING DISASTER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난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지진, 미세먼지, 태풍, 홍수 등과 같은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재난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재난정보를 출력할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에 대한 이벤트 접점정보에 따라 상기 재난정보를 연계함으로써, 상기 재난상황이 발생한 정확한 위치의 재난현장에 상기 재난정보를 이용한 비상방송을 수행하여, 상기 재난현장에 위치하는 사람들에게 재난상황에 대한 정확한 상황정보와 대처방법을 제공하는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진, 화재, 태풍, 미세먼지, 홍수 등과 같은 다양한 재난상황이 자주 발생됨에 따라 재난상황에 대한 상황정보와 대처방법을 신속하게 전달하여 상기 재난상황이 발생한 재난현장에 위치하는 사람들에게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기상청과 같은 공공기관에서는, 상기 재난상황이 발생되거나 예측되는 경우, 이에 대한 재난정보를 TV등과 같은 다양한 방송매체를 통해 특보 또는 속보의 형태로 실시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송매체를 통해 재난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재난정보를 다수의 방송매체로 단순 브로드 캐스팅함으로서, 수행되기 때문에, 항상 상기 방송매체를 항상 시청하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공원, 학교, 지하철, 관공서, 백화점 등과 같이 다수의 사람들이 이동하거나 밀집되는 지역등과 같이 실질적으로 재난상황이 발생한 재난현장에 위치하는 사람들에게 상기 재난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데에는 그 한계가 있다.
한편, 최근 방송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상기 재난상황에 대비하여 상기 재난상황을 긴급하게 전파하기 위한 재난 방송장치가 상기 다수의 사람들이 이동하거나 밀집되는 지역에 필수적으로 구비되고 있다.
종래의 재난 방송장치는, 방송자가 상기 재난 방송장치를 수동으로 제어하여 복수의 구역에 각각 설치되는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재난방송출력장치로 방송자의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긴급 방송을 수행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상방송에 대한 신속성이 결여되거나, 상기 수동 제어로 인한 재난 방송장치의 오동작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재난현장을 커버링하는 복수의 재난 방송장치와 상기 재난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청과 같은 재난정보 제공 측과의 연계를 통해 정확한 위치의 재난현장에 정확한 재난정보를 신속하게 자동으로 전달할 수 있다면, 상기 재난현장에 위치하는 사람들이 상기 재난상황에 따른 대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재난상황에 따른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사전에 정의한 재난정보 메시지 규격에 따라 생성되는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정보 메시지를 통해 상기 재난정보를 제공하는 재난정보 제공 서버와 복수의 재난현장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를 커버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을 연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각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각각 커버링하는 복수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에 대한 분포맵을 구성하여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에서, 상기 분포맵을 토대로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을 통해, 재난상황이 발생되거나 상기 재난상황으로 인해 영향을 미치는 정확한 위치의 재난현장에 정확한 재난정보를 방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재난상황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1604554호(2016.03.11.)는 국지적 재난 방송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상청으로부터 재난정보를 수신하여, 재난 종류에 따라 설정된 콘텐츠 영상, CCTV 영상, 재난 메시지, 영상 자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난방송을 생성하여 DMB 채널이나, 별도의 비상 방송 채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재난방송을 출력한 복수의 단말로 제공하는 국지적 재난 방송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DMB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단말로, 상기 기상청으로부터 수신되는 재난정보에 따라 기설정한 재난방송을 별도의 비상 방송 채널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국지적으로 재난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과 같이 재난정보 제공 서버와 복수의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간의 연계를 통해 상기 각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에서, 커버링하는 복수의 재난출력장치에 대한 분포맵을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에서, 상기 분포맵을 토대로 재난정보에 대한 재난정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을 통해 정확한 위치의 재난현장에 정확한 재난정보를 방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을 전혀 기재하고 있지 않아, 상기 선행기술과 본 발명은 서로 상이한 기술적 특징을 가진 것이 분명하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930932호(2018.12.13.)는 재난 방송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해진 신호 범위 내의 방송 수신 장치로 DMB 방송 신호를 중계함과 동시에 특정 장소에 설치된 감지 수단으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장소에서의 재난상황의 발생을 판단하여, 상기 판단한 결과에 따라 방송 종료 모드에 있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웨이크업한 후, 상기 DMB 방송 신호의 중계를 중단하여 상기 재난상황의 발생에 대한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재난 방송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상기 재난상황의 발생에 대한 재난 방송 신호를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함으로서, 재난 방송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반면에 본 발명은, 복수의 재난현장에 설치되는 복수의 재난방송 출력장치를 커버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과 상기 재난정보를 제공하는 재난정보 제공 서버간의 연계를 통해 정확한 위치의 재난현장에 정확한 재난정보를 방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선행기술은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기재하거나 시사 혹은 암시도 없음이 분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 된 것으로서, 복수의 재난현장에 설치되는 복수의 재난방송 출력장치를 커버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과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정보를 제공하는 재난정보 제공 서버간의 연계를 통해 정확한 위치의 재난현장에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정보를 방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재난현장에서의 물적, 인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난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재난정보 메시지에 대한 규격을 사전에 정의하여,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과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간의 재난정보를 간편하게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에서 커버링하는 복수의 재난방송 출력장치에 대한 분포맵을 구성하여 재난정보 제공 서버에 제공하고, 특정 재난현장에서 재난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에서 상기 분포맵을 토대로 상기 재난정보를 출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에 대한 이벤트 접점정보와 상기 재난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정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벤트 접점정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를 커버링하는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의 이벤트 접점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로 상기 재난정보를 연계함으로서, 기 재난상황이 발생한 정확한 위치의 재난현장에 정확한 재난정보를 방송할 수 있도록 하는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은, 복수의 재난현장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매핑한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재난정보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 제공부, 상기 재난현장에서 특정 재난상황의 발생을 관측한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정보와, 상기 분포맵을 토대로 선택한 상기 재난정보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에 대한 이벤트 접점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재난정보 메시지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재난정보 메시지의 이벤트 접점정보에 따라 상기 재난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을 통해 상기 재난정보를 연계하여 상기 재난상황이 발생한 재난현장으로 상기 재난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는, 해당 재난정보 메시지의 식별정보, 전송시간, 전송자 정보와, 비상방송용, 테스트용 또는 훈련용을 포함하는 사용용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난정보는, 상기 재난상황의 종류, 발생위치, 규모, 발생시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정보 및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대처 요령을 포함하여 텍스트 형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은, 상기 수신한 재난정보 메시지로부터 상기 재난정보를 추출하는 재난정보 추출부, 상기 수신한 재난정보 메시지의 이벤트 접점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스위칭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에 대한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이벤트 접점정보 확인부 및 상기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로 출력하도록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은, 상기 스위칭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가 스피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텍스트 형식으로 구성되는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로 출력하도록 하는 재난정보 음성 변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는,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또는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에 부여된 식별자(I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은,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에서 커버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각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위치정보를 매핑한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구성하여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를 관리하는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관리부는,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 위치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이 변경되거나,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가 추가되거나,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가 축소되는 경우 상기 저장한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정보 연계 방송 방법은, 복수의 재난현장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재난정보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 제공 단계, 상기 재난현장에서 특정 재난상황의 발생을 관측한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정보와, 상기 분포맵을 토대로 선택한 상기 재난정보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에 대한 이벤트 접점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재난정보 메시지 수신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재난정보 메시지의 이벤트 접점정보에 따라 상기 재난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로 스위칭하는 스위칭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을 통해 상기 재난정보를 연계하여 상기 재난상황이 발생한 재난현장으로 상기 재난정보가 정확하게 방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방법은, 상기 수신한 재난정보 메시지로부터 상기 재난정보를 추출하는 재난정보 추출 단계, 상기 수신한 재난정보 메시지의 이벤트 접점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스위칭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에 대한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이벤트 접점정보 확인 단계 및 상기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로 출력하도록 상기 스위칭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방법은, 상기 스위칭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가 스피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텍스트 형식으로 구성되는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로 스위칭하도록 하는 재난정보 음성 변환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는,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또는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에 부여된 식별자(I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방법은,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에서 커버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각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위치정보를 매핑한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구성하여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를 관리하는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관리 단계는,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 위치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이 변경되거나,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가 추가되거나,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가 축소되는 경우 상기 저장한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지진, 미세먼지, 태풍, 홍수 등과 같은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정보를 제공하는 재난정보 제공 서버와 복수의 재난현장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를 커버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을 연계하여, 상기 재난상황이 발생한 정확한 위치의 재난현장에 상기 재난정보를 정확하게 방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재난현장에 위치하는 사람들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유도하여 인적 및 물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에 대한 분포맵을 구성하여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재난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정보 메시지에 상기 재난정보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에 대한 이벤트 접점정보를 포함하여 해당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를 커버링하는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으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재난상황이 발생한 정확한 위치의 재난현장에 상기 재난정보를 정확하게 방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정보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을 통해 재난정보를 연계하여 비상방송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을 통해 재난정보를 연계하여 비상방송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일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 되어 있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은,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재난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재난정보를 연계하여 재난상황이 발생하거나, 상기 발생한 재난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는 재난현장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200)를 통해 상기 재난정보를 방송함으로써,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비상방송을 수행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한편,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은, 복수의 재난현장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와 인터넷 또는 로컬에서 연결되어 일반방송 이외에 상기 비상방송을 수행하는 방송 시스템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각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비상방송을 수행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상기 커버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200)에 대한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구성한다. 이후 상기 구성한 분포맵을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로 제공하여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에서, 정확한 위치의 재난현장으로 상기 재난정보에 대한 방송(즉, 비상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분포맵을 참조하여 상기 재난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정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200)에 대한 식별정보와 상기 각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20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구성하여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로 제공함으로서,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에서 상기 각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에서 커버링하는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에 대한 식별정보는,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200)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네트워크 주소(예: IP주소)로 구성된다. 다만,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로컬에서 케이블로 연결된 경우에는, 해당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에 부여된 식별자(ID)로 구성되거나, 해당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200)를 커버링하는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의 네트워크 주소와 해당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200)에 부여된 식별자(ID)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난현장은, 학교, 지하철, 공원, 관공서, 공공기간, 아파트 등과 같이 실내외 특정 구역을 포함하여 상기 재난상황이 발생되거나, 발생된 재난상황에 의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복수의 구역을 의미하며,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는, 스피커, 디스플레이(안내용 모니터, TV 모니터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는 재난상황이 관측되거나, 예측되는 경우, 해당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한 재난정보를 이용하여 재난상황에 대한 특보, 속보 등을 수행하는 기상청과 같은 공공기관에서 운용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는, 재난상황이 발생하거나, 상기 재난상황으로 인해 영향이 미치는 특정 재난현장에 비상방송을 수행하기 위한 재난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정보 메시지를 사전에 정의된 재난정보 메시기 규격에 따라 생성하여 해당 재난현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를 커버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즉,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는,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에 따라 특정 위치에서 재난상황이 관측된 경우, 상기 재난상황이 관측되거나, 상기 재난상황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재난현장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를 선택하여, 이를 이벤트 접점정보로 구성하고, 상기 구성한 이벤트 접점정보와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정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선택한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를 커버링하는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을 통해 정확한 위치의 재난현장에 상기 재난정보를 방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는, 메시지 식별정보, 재난상황 상태(예측, 관측), 전송시간, 메시지 사용용도(비상방송용, 테스트용, 훈련용), 전송자 정보와, 재난상황의 종류, 발생위치, 규모, 발생시간 등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정보와 상기 재난상황정보에 따른 대처요령을 포함하여 텍스트로 구성되는 재난정보 및 상기 재난정보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200)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접점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재난정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한 재난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로 스위칭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를 통해 상기 재난정보를 방송하도록 하여,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비상방송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의 이벤트 접점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로 스위칭함으로서, 정확한 위치의 재난현장에 상기 재난정보가 방송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재난현장에 위치하는 사람들의 신속한 대처를 유도하여 인적 및 물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할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가 스피커(예: 디지털 스피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한 아날로그 신호형태의 음성을 PCM(pulse-code modulation) 변조방법을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여 해당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를 통해 출력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방송을 수행한다.
다만, 상기 스위칭할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가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는 텍스트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해당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비상방송을 수행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정보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정보 메시지는,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에서, 특정 재난상황이 관측(이하, 관측은 예측도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함)된 경우, 각각의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받은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토대로 정확한 위치의 재난현장에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비상방송을 수행하기 위해 생성된다.
또한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으로 생성되며, 해당 재난정보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식별정보, 관측된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상황 상태,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를 전송한 전송시간과, 비상방송용, 테스트용 또는 훈련용을 포함하는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의 사용용도, 해당 재난정보 메시지를 전송한 전송자 정보와, 텍스트 형식으로 구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 출력장치(300)를 통해 방송됨으로써, 실제 비상방송에 활용되는 재난정보, 상기 재난정보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 출력장치(3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접점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재난상황 상태는 재난현장에서 특정 재난상황이 관측(혹은 예측)된 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 사용용도는, 실제 재난상황이 관측되어 해당 재난정보 메시지가 비상방송용으로 이용되거나, 특정 재난현장에 대한 테스트용으로 이용되거나, 특정 재난현장에 대한 훈련용으로 이용되도록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에 대한 사용용도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재난정보는, 텍스트 형식으로 구성되어 상기 각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에서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의 종류에 따라 음성으로 변환되어 실제 비상방송에 이용되는 것으로, 지진, 홍수, 미세먼지, 화재 등과 같은 재난상황의 종류, 해당 재난상황이 발생한 발생위치, 재난상황의 규모(예: 재난상황이 지진인 경우에는 진도, 미세먼지인 경우에는 미세먼지 농도 등), 재난상황이 발생한 재난상황 발생시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정보 및 상기 재난상황에 따른 대처요령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재난상황이 지진인 경우, 상기 재난정보는, "9월 19일 호우 12시 경북 포항시 북구 북쪽 6km 지역 규모 5.5 지진 발생, 여진, 해일 등 안전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라는 텍스트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재난정보는, 상기 재난정보를 출력할 재난현장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이벤트 접점정보는,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에서, 파악한 재난상황이 발생한 재난현장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각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으로 부터 제공받은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토대로 상기 파악한 재난현장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를 선택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재난정보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재난방송 출력장치(300)의 네트워크 주소는, 상기 재난방송 출력장치(300)가 네트워크 주소를 가지고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과 연결될 때, 해당 재난방송 출력장치(300)의 식별정보로써 부여되며, 상기 재난방송 출력장치(300)의 식별자(ID)는, 상기 재난방송 출력장치(300)가 로컬에서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과 연결될 때 부여된 식별자(ID)가 상기 재난방송 출력장치(300)의 식별정보로써, 부여된다.
또한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는,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를 전송할 때, 상기 이벤트 접점정보로 선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방송 출력장치(300)를 커버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후,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이벤트 접점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의 재난정보를 상기 확인한 결과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로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재난정보를 연계하여 정확한 위치의 재난현장에 상기 재난정보가 방송되도록 하여 해당 재난현장에 위치하는 사람이 상기 재난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대처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의 메시지 사용용도가 비상방송용이 아니라, 테스트용 혹은 훈련용인 경우에는, 상기 재난정보에 해당 방송이 테스트용 혹은 훈련용임을 명시하여 해당 재난현장에 위치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혼동을 주지 않아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을 통해 재난정보를 연계하여 비상방송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은, 재난상황을 관측하여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정보 메시지를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재난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로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재난정보를 연계하여 정확한 위치의 재난현장에 대한 비상방송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은, 해당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에서 커버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에 대한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자체적으로 구비되는 메모리에 저장(①)하여 관리하고 있으면서, 상기 저장한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로 전송한다(②).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은, 상기 각 재난현장에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가 설치될 때, 해당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에 부여된 식별정보와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의 위치정보를 매핑한 매핑테이블을 의미하며,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의 식별정보, 위치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이 변경되거나, 또는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가 추가되거나 축소된 경우에는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업데이트하여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식별정보는, 다른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의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의 네트워크 주소이거나,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에 부여된 식별자(ID)로 구성되며, 상기 네트워크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각 장비 간에 주어지는 유일한 IP주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당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의 식별정보로도 이용된다.
또한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는, 특정 위치에서 재난상황이 관측된 경우에는, 해당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정보 메시지를 상기 제공받은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토대로 생성(③)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④).
여기서,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는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를 생성할 때, 상기 재난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따라 상기 각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에서 제공한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참조하여 상기 재난정보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에 대한 식별정보를 이벤트 접점정보로 하여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를 커버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후,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텍스트 형식의 재난정보를 추출한다(⑤).
또한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수신한 재난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이벤트 접점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로 스위칭함으로서,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비상방송을 수행한다.
즉,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와의 연계를 통해 상기 재난상황이 발생한 정확한 위치의 재난현장에 정확한 재난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해당 재난현장에 위치하는 사람들에게 재난상황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고, 필요한 대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는, 텍스트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출력할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가 디스플레이인 경우에는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해당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로 스위칭하여 상기 재난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가 스피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으로 변환한 재난정보를 해당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로 스위칭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이 커버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에 대한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로 제공하는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 제공부(110),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특정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재난정보 메시지 수신부(120), 상기 수신한 재난정보 메시지로부터 재난정보를 추출하는 재난정보 추출부(130),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재난정보 음성 변환부(140), 상기 수신한 재난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이벤트 접점정보를 확인하는 이벤트 접점정보 확인부(150),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 또는 상기 음성신호로 변환한 상기 재난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현장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로 스위칭하는 것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160),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를 관리하는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관리부(170), 메모리(180) 및 상기 스위칭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 또는 상기 음성신호로 변환한 상기 재난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로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를 통해 상기 발생한 재난상황에 대한 비상방송을 수행하도록 하는 스위칭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 제공부(110)는,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이 커버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에 대한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은,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의 식별정보와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가 설치된 위치정보가 매핑된 매핑테이블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가 설치될 때, 사전에 설정되어 상기 메모리(180)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의 식별정보가 변경되거나,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가 추가되거나 축소됨에 따라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이 업데이트되는 경우에는,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 제공부(110)는,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 수신부(120)는,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재난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재난정보 추출부(130)는 상기 수신한 재난정보 메시지로부터 실제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비상방송에 이용할 재난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재난정보는 텍스트 형식으로 구성되어, 상기 발생한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상황정보와 해당 재난상황에 대한 대처요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재난정보 음성 변환부(140)는,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상기 스위칭부(190)를 통해 스위칭되는 특정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가 스피커로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추출한 텍스트 형식의 재난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재난정보 음성 변환부(140)는, 상기 추출한 텍스트의 재난정보를 숫자, 문자 또는 기호를 자연어 단어로 변화한 후, 상기 재난정보를 구성하는 문장을 단어 단위로 분류하여, 상기 분류한 단어를 분석하여 음소(phoneme)단위로 구분하여 상기 구분한 음소단위에 대한 표현을 음성신호로 생성함으로써,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재난정보 음성 변환부(140)는 아날로그 신호 형태의 상기 음성으로 변환한 상기 재난정보를 PCM 변조방법으로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스피커로 구성되는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로 스위칭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접점정보 확인부(150)는, 상기 수신한 재난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이벤트 접점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 또는 상기 음성으로 변환한 재난정보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정보 또는 식별자로 구성되는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의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 제어부(160)는, 상기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 또는 상기 음성으로 변환한 재난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로 스위칭하도록 상기 스위칭부(19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스위칭 제어부(160)는, 상기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 또는 식별자에 따른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를 상호 매칭시켜 상기 스위칭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 또는 상기 음성으로 변환한 상기 재난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로 스위칭되어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비상방송을 수행하도록 상기 스위칭부(190)를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관리부(170)는,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에서 커버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에 대한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매핑한 매핑테이블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에 대한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한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상기 메모리(180)에 저장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관리부(170)는,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의 식별정보(즉, 네트워크 주소 또는 식별자)가 변경되거나,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가 추가되거나,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가 축소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180)에 저장된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업데이트한다.
이렇게 상기 메모리(180)에 저장되어 관리되는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은,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 제공부(110)를 통해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관리부(170)는,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200)의 동작을 위해 설치되는 소프트웨어(또는 펌웨어)에 대한 업그레이드를 지원하여, 최신의 소프트웨어로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190)는, 상기 스위칭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 또는 상기 음성으로 변환한 상기 재난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로 스위칭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를 통해 상기 발생한 재난상황에 대한 비상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에 대한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로 제공하고, 상기 제공한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토대로 생성되는 재난정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재난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로 연계함으로써, 상기 재난상황이 발생한 정확한 위치의 재난현장에 상기 재난정보를 전달하여 해당 재난현장에 위치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정확하고 신속한 대처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을 통해 재난정보를 연계하여 비상방송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을 통해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재난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재난정보를 연계하여, 재난상황에 대한 비상방송을 수행하는 절차는 우선,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은, 해당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에 의해 관리(즉, 커버링)되고, 복수의 재난현장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에 대한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로 제공하는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 제공 단계를 수행한다(S110).
한편, 상기 재난방송 방송출력 장치 분포맵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의 네트워크 주소 또는 식별자로 구성되는 식별정보와 상기 각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 제공 단계는,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이 업데이트된 경우에는, 상기 업데이트된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로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은, 재난정보 메시지 수신 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S120), 상기 수신한 재난정보 메시지로부터 재난상황에 대한 상황정보와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대처요령을 포함하는 텍스트 형식의 재난정보를 추출하는 재난정보 추출 단계를 수행한다(S130).
한편,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는 XML 형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재난정보 이외에 상기 재난정보를 출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출력장치(300)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접점정보 등을 포함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는, 상기 재난상황의 발생을 관측하거나 예측한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에서 생성되며, 상기 재난상황이 발생하거나, 상기 재난상황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재난현장의 위치를 파악한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200)에서, 상기 파악한 재난현장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각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받은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에 대한 분포맵을 토대로, 상기 재난정보를 출력하여 비상방송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를 선택함으로서, 상기 이벤트 접점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에 포함되며, 상기 이벤트 접점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수신한 재난정보 메시지의 이벤트 접점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이벤트 접점정보 확인 단계를 수행한다(S140).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의 네트워크 주소 또는 식별자(ID)로 구성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즉, 상기 이벤트 접점정보 확인 단계는,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로 스위칭하기 위한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의 네트워크 주소나 식별자(ID)를 확인하여 재난상황이 발생한 정확한 위치의 재난현장에 비상방송을 통한 상기 재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단계이다.
다음으로,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로 스위칭함으로서, 재난상황이 발생한 정확한 위치의 재난현장으로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출력하도록 하여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비상방송을 수행하는 스위칭 단계를 수행한다(S150).
이때,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확인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의 네트워크 주소나, 상기 식별자(ID)에 따라 상기 스위칭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 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가 정확한 위치의 재난현장에서 방송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스위칭 단계를 수행할 때, 상기 스위칭의 대상이 되는 특정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300)가 스피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재난정보 음성 변환 단계를 더 수행하여, 상기 음성으로 변환한 재난정보가 상기 스피커로 통해 방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재난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재난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재난정보 메시지의 이벤트 접점정보에 따라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의 재난정보를 연계하여 정확한 위치의 재난현장에 상기 재난정보를 이용한 비상방송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재난현장에 위치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정확한 재난상황에 대한 상황정보와 대처방법을 제공하여, 상기 재난상황에 따른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
110 :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 제공부 120 : 재난정보 메시지 수신부
130 : 재난정보 추출부 140 : 재난정보 음성 변환부
150 : 이벤트 접점정보 확인부 160 : 스위칭 제어부
170 :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관리부 180 : 메모리
190 : 스위칭부 200 : 재난정보 제공 서버
300 :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Claims (10)

  1. 복수의 재난현장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와 각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위치정보를 매핑한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재난정보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 제공부;
    상기 재난현장에서 특정 재난상황의 발생을 관측한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정보와 상기 분포맵을 토대로 선택한 상기 재난정보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에 대한 이벤트 접점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재난정보 메시지 수신부;
    상기 수신한 재난정보 메시지의 이벤트 접점정보에 따라 상기 재난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 위치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이 변경되거나,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가 추가되거나,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가 축소되는 경우, 저장한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업데이트하여 관리하는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을 통해 상기 재난정보를 연계하여 상기 재난상황이 발생한 정확한 위치의 재난현장으로 상기 재난정보가 방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는, 해당 재난정보 메시지의 식별정보, 전송시간, 전송자 정보와, 비상방송용, 테스트용 또는 훈련용을 포함하는 사용용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난정보는, 상기 재난상황의 종류, 발생위치, 규모, 발생시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정보 및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대처 요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은,
    상기 수신한 재난정보 메시지로부터 상기 재난정보를 추출하는 재난정보 추출부;
    상기 수신한 재난정보 메시지의 이벤트 접점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스위칭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에 대한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이벤트 접점정보 확인부; 및
    상기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로 출력하도록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은,
    상기 스위칭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가 스피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로 출력하도록 하는 재난정보 음성 변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는,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또는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에 부여된 식별자(I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
  5. 삭제
  6.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에서, 복수의 재난현장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와 각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위치정보를 매핑한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재난정보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 제공 단계;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재난현장에서 특정 재난상황의 발생을 관측한 상기 재난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정보와, 상기 분포맵을 토대로 선택한 상기 재난정보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에 대한 이벤트 접점정보를 포함하는 재난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재난정보 메시지 수신 단계;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한 재난정보 메시지의 이벤트 접점정보에 따라 상기 재난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로 스위칭하는 스위칭 단계; 및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 위치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이 변경되거나,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가 추가되거나,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가 축소되는 경우, 저장한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분포맵을 업데이트하여 관리하는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 관리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을 통해 상기 재난정보를 연계하여 상기 재난상황이 발생한 정확한 위치의 재난현장으로 상기 재난정보가 방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 연계 방송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재난정보 메시지는, 해당 재난정보 메시지의 식별정보, 전송시간, 전송자 정보와, 비상방송용, 테스트용 또는 훈련용을 포함하는 사용용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난정보는, 상기 재난상황의 종류, 발생위치, 규모, 발생시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정보 및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대처 요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 연계 방송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방법은,
    상기 수신한 재난정보 메시지로부터 상기 재난정보를 추출하는 재난정보 추출 단계;
    상기 수신한 재난정보 메시지의 이벤트 접점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스위칭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에 대한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이벤트 접점정보 확인 단계; 및
    상기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로 출력하도록 상기 스위칭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 연계 방송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재난정보 연계 방송 방법은,
    상기 스위칭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가 스피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로 스위칭하도록 하는 재난정보 음성 변환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식별정보는,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또는 상기 재난정보 방송출력장치에 부여된 식별자(I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 연계 방송 방법.
  10. 삭제
KR1020190118150A 2019-09-25 2019-09-25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88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150A KR102088201B1 (ko) 2019-09-25 2019-09-25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150A KR102088201B1 (ko) 2019-09-25 2019-09-25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201B1 true KR102088201B1 (ko) 2020-03-12

Family

ID=6980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150A KR102088201B1 (ko) 2019-09-25 2019-09-25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2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793B1 (ko) 2020-10-29 2021-07-20 마이크로닉 시스템주식회사 다중 비상방송용 프로그램 컨트롤러를 구비한 다중 재난경보 방송시스템
KR102404277B1 (ko) * 2021-07-07 2022-06-02 (주)이지엠시스템즈 재난 방송의 송출 여부에 대한 자동 감시를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8035A (ko) * 2005-09-07 2007-03-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방송 수신을 위한 통신/방송 통합 단말 장치 및 그방법
KR20170121366A (ko) * 2016-04-22 2017-11-02 한국폴리텍Ⅱ대학 산학협력단 재난 방송 시스템
KR20180030055A (ko) * 2015-06-23 2018-03-21 에이씨앤씨, 엘엘씨 비상경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8035A (ko) * 2005-09-07 2007-03-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방송 수신을 위한 통신/방송 통합 단말 장치 및 그방법
KR20180030055A (ko) * 2015-06-23 2018-03-21 에이씨앤씨, 엘엘씨 비상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1366A (ko) * 2016-04-22 2017-11-02 한국폴리텍Ⅱ대학 산학협력단 재난 방송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793B1 (ko) 2020-10-29 2021-07-20 마이크로닉 시스템주식회사 다중 비상방송용 프로그램 컨트롤러를 구비한 다중 재난경보 방송시스템
KR102404277B1 (ko) * 2021-07-07 2022-06-02 (주)이지엠시스템즈 재난 방송의 송출 여부에 대한 자동 감시를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8052B2 (en) Digital signage system and emergency alerting method using same
US85841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communications through a set-top box
US20110095881A1 (en) Alert network systems and methods
KR102088201B1 (ko) 재난정보 연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80335B1 (ko) 건물 내 설치되는 재난 방송 시스템
KR102278793B1 (ko) 다중 비상방송용 프로그램 컨트롤러를 구비한 다중 재난경보 방송시스템
Kuligowski et al. A review of public response to short message alerts under imminent threat
KR101237414B1 (ko) 영상 정보와 위치 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비상방송 시스템 및 방법
CN102147956B (zh) 消防警情综合业务受理系统
JP2014170135A (ja) 屋外環境音声伝達装置、屋外環境音声伝達システム
KR101906256B1 (ko) Dmb 재난방송 수신데이터를 활용한 전관안내방송 시스템
KR101937091B1 (ko) 미세먼지 알림 방송시스템
KR20170110216A (ko) 장애인을 위한 재난 경보 메시지 전송 방법
CN205681581U (zh) 一种地面数字电视应急预警信息系统
JP6771520B2 (ja) 放送システム及び情報提示装置
KR102148404B1 (ko) 다중이용시설용 경보 단말장치
JP2022131995A (ja) 広報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KR101796232B1 (ko) Cdma를 이용한 cbs기반의 led 전광판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1279832B1 (ko)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
KR101339677B1 (ko)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
JP2005043791A (ja) 教育用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70080057A (ko) 침수심 조견형 지진해일 재해정보도를 이용한 무선망 기반 지진해일 재해정보도 제공방법
JP6395187B2 (ja) 情報配信装置
KR102389905B1 (ko)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
CN111711502B (zh) 一种广播监听方法及广播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