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143B1 - 광학필터를 이용한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광학필터를 이용한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143B1
KR102088143B1 KR1020190133026A KR20190133026A KR102088143B1 KR 102088143 B1 KR102088143 B1 KR 102088143B1 KR 1020190133026 A KR1020190133026 A KR 1020190133026A KR 20190133026 A KR20190133026 A KR 20190133026A KR 102088143 B1 KR102088143 B1 KR 102088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detector
optical filter
lamp
test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주훈
나길주
강경훈
Original Assignee
화인컴에스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인컴에스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인컴에스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3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143B1/ko
Priority to KR1020190168841A priority patent/KR102531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06K9/6201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2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광학필터를 이용한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빛을 방출하기 위한 램프; 상기 램프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램프에 의한 빛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대역폭에 해당하는 파장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광학필터; 및 테스트 대상 불꽃 감지기의 유형에 따라 상기 광학필터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필터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발생된 근적외선 대역의 전자기파를 통과시키는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광학필터를 이용한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Testing device for flame detector using optical filter}
본 발명은 소방용 광학식 불꽃 감지기를 테스트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학식 불꽃 감지기로는 대부분 IR 센서와 UV 센서로 구성된 불꽃 감지기를 사용한다.
IR 불꽃 감지기는 가장 기본적인 감지기로 단일 IR 감지센서를 배치하고 광원의 파장과 주파수만으로 화재 여부를 판단한다. UV/IR 불꽃 감지기는 IR 불꽃 감지기의 단점을 보안한 감지기로 IR 감지 센서와 UV 감지센서를 사용하여 합산(AND) 연산으로 감지 정확도를 증가시켰다.
또한, 멀티채널(multichannel) IR 불꽃 감지기는 2개 이상의 IR 감지센서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멀티채널 IR불꽃 감지기의 세 개의 센서 중 하나의 센서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발생된 근적외선 대역의 전자기파를 감지한다. 다른 두 개의 센서는 열 복사에 의한 전자기파를 감지한다. Triple IR 불꽃 감지기는 세 개의 센서 중 하나의 센서는 일반적인 전자기파 감지가 아닌 비화재보 전자기파 감지센서, 다른 하나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발생된 근적외선 대역의 전자기파 감지센서, 마지막으로 열 복사에 의한 전자기파 감지센서로 이루어져 있다.
IR 불꽃 감지기로는 가시광선은 물론이고 인체 또는 난방기기에도 오작동할 우려가 있을 정도로 감지 정확도가 높지 않아 종래의 램프를 이용하는 테스팅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UV/IR 불꽃 감지기 또한 UV 감지 센서로도 램프의 광원과 불꽃의 적외선을 구별하지 못해 마찬가지로 기존의 램프를 이용하는 테스팅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멀티채널 IR 불꽃 감지기의 경우 램프를 이용한 테스팅장치를 사용하면 세 번째 센서에 의해 화재신호로 인식되지 않아 올바른 작동 유무를 판단할 수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02181 (등록일자 2005년07월08일) 자기 진단기능을 갖는 복합형 불꽃 감지기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모든 유형의 IR센서 기반 불꽃 감지기에 대한 테스팅을 수행할 수 있는 광학식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불꽃 감지기의 유형, 내부 점멸 알고리즘을 잘 모르는 사용자도 쉽게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빛을 방출하기 위한 램프; 상기 램프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램프에 의한 빛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대역폭에 해당하는 파장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광학필터; 및 테스트 대상 불꽃 감지기의 유형에 따라 상기 광학필터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필터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발생된 근적외선 대역의 전자기파를 통과시키는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테스트 대상 불꽃 감지기의 유형확인이 실패된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우선순위에 따른 테스팅 순서대로 상기 광학필터의 사용여부를 달리하고 상기 램프에 의한 불빛의 점멸 주파수, 빛의 세기를 달리 적용하여 각각의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한 측정값을 기반으로 상기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및 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카메라모듈에 의한 상기 테스트 대상 불꽃 감지기 및 주변에 대한 촬영영상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테스팅시에 촬영된 이미지들과의 비교에 의해 유형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메모리를 이용한 유형 확인이 실패되는 경우, 상기 광학필터의 사용여부를 달리하고 빛의 세기, 점멸 주파수를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값으로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고, 각 테스트 결과에 상응하는 유형정보와 함께 상기 카메라모듈에 의한 촬영영상을 상기 메모리에 유형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램프를 이용하여 모든 유형의 광학센서 기반 불꽃 감지기에 대한 테스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불꽃 감지기의 유형, 내부 점멸 알고리즘을 잘 모르는 사용자도 쉽게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팅 디바이스에서의 전반적인 테스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채널 IR 불꽃 감지기 테스팅을 위해 광학필터 적용 전후의 테스팅 신호를 도시한 그래픽.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테스팅에 이용되는 점멸 주파수들을 도시한 예시도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테스팅 모드에 의한 테스팅 순서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팅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팅에 조도를 이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팅에 촬영영상을 이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팅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점멸주파수 및 빛의 세기 조절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후술될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등의 용어는 실질적으로는 각각 상이하거나 일부는 동일한 값인 임계값들로 미리 지정될 수 있으나, 임계값이라는 동일한 단어로 표현될 때 혼동의 여지가 있으므로 구분의 편의상 제1, 제2 등의 용어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블록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채널 IR 불꽃 감지기 테스팅을 위해 광학필터 적용 전후의 테스팅 신호를 도시한 그래픽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는 기본적으로 램프(10), 광학필터(20), 메모리(30) 및 제어모듈(60)을 포함하되, 카메라모듈(40) 및 조도센서(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차후 관련도면(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램프(10)는 빛을 방출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일례에 따르면 램프(10)는 빛의 세기를 달리하여 방출할 수 있으며, 제어모듈(60)의 제어하에 그 빛의 세기는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터(20)는 램프(10)의 전면에 배치되며, 멀티채널 IR 센서의 테스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필터(20)는 램프(10)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도록 배치되며, 광학필터(20)는 제어모듈(60)의 제어 하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방 넓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터(20)는 램프에 의한 빛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대역폭에 해당하는 파장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필터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발생된 근적외선 대역의 전자기파를 통과시키는 필터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학필터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3의 상단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파수에 따른 신호 세기 스펙트럼이 나타나나, 램프(10) 전면에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터(10)를 일부 개방된 형태로 배치하는 경우, 도 3의 하단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에 의해 발생된 근적외선 대역의 전자기파가 증폭된 형태로 빛이 출력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터(20)를 적용하는 경우 실제 불꽃에 의해 발생하는 스펙트럼과 유사한 형태의 빛이 불꽃 감지기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광학필터(20)의 개방 정도는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에 의해 발생된 근적외선 대역의 전자기파의 신호와 다른 대역의 신호의 세기 비율 차이를 통해 불꽃 감지기가 불꽃 감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광학필터(20)는 기구적인 착탈방식으로 램프(10)의 렌즈(쿼츠렌즈) 앞에 장착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또는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장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착탈 또는 슬라이딩되는 방식뿐 아니라, 제어모듈(60)의 제어하에 자동으로 슬라이딩되거나 여닫이 방식으로 광학필터(20)의 사용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광학필터(20)의 사용여부에 따른 위치변경을 위한 이동수단(슬라이딩 방식의 경우, 모터, 레일 등을 포함)이 구비될 수 있다.
제어모듈(60)은 테스트 대상 불꽃 감지기의 유형에 따라 광학필터(20)의 사용 여부 및 램프(10)의 점멸 주파수를 결정하여 램프(10) 및 광학필터(20)를 제어하여 불꽃 감지기의 테스트를 수행한다.
즉, 테스팅 대상이 되는 불꽃 감지기가 단일 IR 방식인지, 멀티채널 IR 방식인지 등에 대한 유형과, 어떠한 점멸 주파수를 갖는지를 확인하며, 그에 따른 테스팅 방식으로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메모리(30)에는 각 유형, 점멸 주파수 각각에 대한 테스팅 방식에 따른 정보가 저장되어 제어모듈(60)이 이용하도록 한다.
카메라모듈(40)은 테스팅 대상 불꽃 감지기를 촬영하기 위한 것이며, 조도센서(50)는 외부 조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싱수단이다. 카메라모듈(40) 또는 외부 조도를 테스팅에 이용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차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팅 디바이스에서의 전반적인 테스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 및 도 5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테스팅에 이용되는 점멸 주파수들을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테스팅 디바이스는 테스트 대상 불꽃 감지기의 유형을 확인한다(S210). 일례에 따르면, 사용자가 유형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일 수 있다. 즉, 테스팅 디바이스는 구비된 입력수단 및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유형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테스팅 디바이스는 불꽃 감지기의 센싱 유형(단일 IR, UV/IR, 멀티채널 IR 중 하나), 점멸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테스팅 디바이스가 직접 불꽃 감지기의 유형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관련 도면(도 9)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불꽃 감지기의 유형이 확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유형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며, 유형 정보가 입력되어 확인된 경우라면 유형에 상응하여 광학필터(20)를 사용할지 여부(즉, 멀티채널 IR인 경우 사용함), 점멸 주파수를 결정하여 테스팅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유형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우선순위에 따른 순서대로 조건(광학필터(20) 사용여부, 개방정도, 점멸 주파수, 빛의 세기 등)을 달리하여 각각의 테스팅을 수행하여 정상적인 반응(즉, 불꽃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는 반응)을 수행하는지를 검사한다(S240).
대부분의 불꽃 감지기는 불꽃의 일렁임, 즉 점멸(깜빡임)을 인식하여 화재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불꽃 감지기에 램프(10)의 빛을 계속 비춘다고 해서 신호가 인식되는 것이 아니며, 불꽃 감지기의 종류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10Hz 이내의 점멸신호를 감지하도록 되어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불꽃의 일렁임은 4Hz~6Hz인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4를 참조하면 5개의 점멸주파수로 등분한다. 테스팅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불꽃 감지기의 알고리즘을 알고있다면 5종류로 나눈 주파수 중 하나를 택하여 더 빠르게 테스트를 할수 있을 것이다. 만일 테스트 대상 불꽃 감지기의 알고리즘을 알 수 없는 경우, 5가지 모든 점멸 주파수로 테스트를 각각 수행해야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규칙적으로 점멸하는 모드를 추가하여 테스트 시간은 길어질 수 있지만 알고리즘을 모르는 불꽃 감지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원하는 하나의 점멸 주파수를 선택하여 테스팅을 수행하거나, 테스트 대상 불꽃 감지기의 알고리즘을 모르는 경우 불규칙모드(irregular mode)로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 램프(10) 불빛의 세기도 테스트에 영향을 미칠수 있다. 즉, 햇빛에 노출되는 야외에 설치된 불꽃 감지기와 실내에 설치된 불꽃 감지기의 경우 테스트 시 불빛의 세기를 달리해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테스팅 모드에 의한 테스팅 순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든 사이클(cycle)을 가지는 자동모드(auto mode)를 설정할 수 있는데, 일례에 따르면 램프(10)의 세기, 작동 mode를 모두 고려하여 각 cycle당 30초씩 21cycle의 모드를 가진다. 사용자가 테스트 대상 불꽃 감지기의 유형과 알고리즘, 테스트 환경에 따른 불빛의 제어방식을 잘 모르는 경우, 자동모드를 실행함으로써 보다 쉽고 정확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불꽃 감지기의 특성을 모르는 상황에서 유사한 특성을 찾기 위해 사용자가 하나하나 작동시켜야 하나 자동모드로 이러한 수고를 덜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팅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팅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점멸주파수 및 빛의 세기 조절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테스팅 디바이스의 입출력수단(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테스팅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램프(10)가 점멸하지 않는 continuous mode, 원하는 주파수로 점멸할 수 있게 하는 pulse mode, 불규칙적으로 점멸하는 irregular mode, 모든 cycle을 가지는 auto mode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이중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램프(10)의 밝기를 High, Middle, Low 3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조도가 낮은 현장에 설치된 불꽃 감지기에는 약한 빛을, 조도가 높은 현장에 설치된 불꽃 감지기에는 강한 빛을 조사하여 상황에 맞게끔 램프(10)의 밝기를 조절해 배터리와 램프(1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0을 참조하면, 테스팅 디바이스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되어, 터치앤드래그 방식으로 좌우방향으로는 점멸주파수, 상하방향으로는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테스트를 수행하면서 편리하게 점멸주파수와 빛의 세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화면의 중간부위에 광학필터(20)의 사용여부 및 개방정도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1000)을 두어, 테스트 도중에라도 광학필터(20)의 사용여부 및 개방정도를 제어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팅에 조도를 이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테스팅 디바이스는 조도센서(50)에 의한 조도를 측정하여 확인하고(S810), 측정값에 상응하는 램프(10)의 세기(즉, 빛의 세기)를 결정하여 테스트에 이용한다(S820). 즉, 사용자가 직접 빛의 세기를 설정할 필요없이, 테스팅 디바이스가 직접 조도를 확인하고 그에 상응하는 세기의 빛이 방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조도가 낮은 현장에서는 임계값 미만의 빛을, 조도가 높은 현장에서는 임계값을 초과하는 강한 빛을 조사한다.
그리고, 측정된 조도값에 상응하는 테스팅 우선순위를 결정한다(S830).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우선순위에 따라 테스팅을 진행하는데, 이때 우선순위의 결정에 조도값을 이용하는 것이다.
도 7에 따른 자동모드로 테스트를 수행할 때, 상술한 우선순위가 결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조도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Light Low 프로세스에서 Light High의 순으로 우선선위가 결정될 수 있으며 조도값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엔 반대로 진행될 수 있으며, 조도값이 임계값과 유사한 경우엔 Light Middle이 가장 우선순위가 높을 수 있다.
또한, 조도값이 높다는 것은 외부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때에는 주로 외부에 설치되는 멀티채널 IR 불꽃 감지기일 확률이 높으므로 광학필터(20)를 사용한 테스트를 우선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례에 따르면, 테스팅 디바이스는 GPS수신기와 같은 위치측정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하되, 제어모듈은 위치측정모듈에 의한 위치값 및 조도센서에 의한 측정값과 유사한 값을 갖는 테스트이력을 탐색하고, 탐색된 테스트이력에 설정된 점멸 주파수, 빛의 세기를 우선 이용하여 테스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유사한 위치와 조도값을 갖는다는 것은 유사한 유형의 불꽃 감지기일 확률이 높으므로, 이때에는 그 테스트이력을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에에 따르면 자동모드를 획일적으로 진행하는 것에 비해 보다 빠른 테스팅이 가능해질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테스팅 디바이스에는 풍량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테스팅 디바이스는 풍량센서에 의한 측정값을 기반으로 테스팅 시의 점멸주파수(또는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불꽃 감지기가 선박에 설치되는 경우 실내에는 바람이 잘 불지 않아 화재시 울렁임이 적어 점멸주파수가 작게 설정되어 있을 것이며, 반대로 실외에 설치된 불꽃 감지기는 바다바람이 강하기 때문에 울렁임이 많아 점멸주파수가 높게 설치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바람의 양을 측정하고, 그에 따라 점멸주파수(또는 우선수위)를 결정함으로써, 보다 빠른 테스팅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팅에 촬영영상을 이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과 함께 도 9를 참조하면, 테스팅 디바이스는 구비된 카메라모듈(40)로 불꽃 감지기에 대한 영상을 촬영한다(S910). 즉 사용자는 테스트하고자 하는 불꽃 감지기를 테스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것이다.
영상이 촬영되면, 테스팅 디바이스는 메모리(30)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불꽃 감지기의 유형을 확인한다(S920).
테스팅 디바이스의 제어모듈(60)은 카메라모듈(40)에 의해 촬영된 테스트 대상 불꽃 감지기에 대한 영상을 메모리(30)에 저장된 이미지들(이전에 촬영된 불꽃 감지기들의 영상들임)과의 비교를 통해 동일한 불꽃 감지기라 판단되는 어느 하나를 검색하며, 검색된 이미지에 설정된 유형정보를 이용한다. 이때 테스트 대상 불꽃 감지기가 어떤 것인지를 판별하기 용이하도록 불꽃 감지기가 설치된 곳 주변까지 함께 촬영된 영상들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최초 테스트가 진행된 불꽃 감지기에 대해 그 영상이 촬영되어 메모리(30)에 유형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것이며,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차후 다시 테스트할 때 해당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불꽃 감지기에 대해 매번 유형을 입력하고 점멸 주파수를 설정하는 등의 세팅(setting) 작업을 수행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동모드를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유형 확인이 성공되었는지 판단한 결과(S930), 성공되면(즉, 동일한 불꽃 감지기에 대한 유형정보가 미리 저장된 경우) 해당 이미지에 미리 설정된 유형정보에 따라, 광학필터(20)를 사용할지 여부, 점멸 주파수를 결정하여 테스팅을 수행한다(S940).
이때, 테스팅 디바이스는 테스트 수행날자, 테스트 결과, 테스트 소요시간 등에 대한 테스팅 정보를 저장하여 차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트 수행횟수가 많아진다는 것은 노후화가 진행된 상태일 수 있으며, 또한 그 테스트 결과에 따라 노후화를 수치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불꽃 감지기의 교체 예상 시기를 산출하여 작업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유형 확인이 실패되면(즉, 동일한 불꽃 감지기라 판단되는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우선순위에 따른 순서대로 조건(광학필터(20)의 사용여부, 개방정도, 빛의 세기, 점멸 주파수)을 변경하며 테스팅을 수행한다(S950).
그리고, 테스트 결과로 인해 확인된 해당 불꽃 감지기의 유형정보와 함께 촬영된 영상을 메모리(30)에 저장함으로써(S960), 차후 테스트 진행 시 S920에서 활용하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램프 20 : 광학필터
30 : 메모리 40 : 카메라모듈
50 : 조도센서 60 : 제어모듈

Claims (5)

  1. 빛을 방출하기 위한 램프;
    상기 램프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램프에 의한 빛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대역폭에 해당하는 파장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광학필터; 및
    테스트 대상 불꽃 감지기의 유형에 따라 상기 광학필터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필터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발생된 근적외선 대역의 전자기파를 통과시키며,
    상기 테스트 대상 불꽃 감지기의 유형확인이 실패된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우선순위에 따른 테스팅 순서대로 상기 광학필터의 사용여부를 달리하고 상기 램프에 의한 불빛의 점멸 주파수, 빛의 세기를 달리 적용하여 각각의 테스트를 수행하는,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한 측정값을 기반으로 상기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메모리; 및
    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카메라모듈에 의한 상기 테스트 대상 불꽃 감지기 및 주변에 대한 촬영영상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테스팅시에 촬영된 이미지들과의 비교에 의해 유형을 확인하는,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메모리를 이용한 유형 확인이 실패되는 경우,
    상기 광학필터의 사용여부를 달리하고 빛의 세기, 점멸 주파수를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값으로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고, 각 테스트 결과에 상응하는 유형정보와 함께 상기 카메라모듈에 의한 촬영영상을 상기 메모리에 유형정보로서 저장하는,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


KR1020190133026A 2019-10-24 2019-10-24 광학필터를 이용한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 KR102088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026A KR102088143B1 (ko) 2019-10-24 2019-10-24 광학필터를 이용한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
KR1020190168841A KR102531805B1 (ko) 2019-10-24 2019-12-17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광학필터를 이용한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026A KR102088143B1 (ko) 2019-10-24 2019-10-24 광학필터를 이용한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841A Division KR102531805B1 (ko) 2019-10-24 2019-12-17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광학필터를 이용한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143B1 true KR102088143B1 (ko) 2020-03-11

Family

ID=69809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026A KR102088143B1 (ko) 2019-10-24 2019-10-24 광학필터를 이용한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1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4285A1 (en) * 2019-08-21 2021-02-25 Nero Endüstri̇ Savunma Sanayi̇ Anoni̇m Şi̇rketi̇ Shutter test device for flame/fire detectors
CN117912185A (zh) * 2024-03-19 2024-04-19 西安博康电子有限公司 一种红外火焰探测系统及远近火焰识别方法
KR20240000710U (ko) 2022-10-25 2024-05-03 (주)도요테크놀러지 불꽃감지기 성능 평활 검사 장치
KR20240000709U (ko) 2022-10-25 2024-05-03 (주)도요테크놀러지 불꽃감지기 성능 평활 검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0680A (ja) * 1995-01-12 1996-07-23 Hochiki Corp 赤外線式火災検出装置
JPH11110657A (ja) * 1997-10-06 1999-04-23 Nittan Co Ltd 火災感知器の作動試験器
KR100502181B1 (ko) 2004-09-08 2005-07-20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자기 진단기능을 갖는 복합형 불꽃감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0680A (ja) * 1995-01-12 1996-07-23 Hochiki Corp 赤外線式火災検出装置
JPH11110657A (ja) * 1997-10-06 1999-04-23 Nittan Co Ltd 火災感知器の作動試験器
KR100502181B1 (ko) 2004-09-08 2005-07-20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자기 진단기능을 갖는 복합형 불꽃감지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4285A1 (en) * 2019-08-21 2021-02-25 Nero Endüstri̇ Savunma Sanayi̇ Anoni̇m Şi̇rketi̇ Shutter test device for flame/fire detectors
KR20240000710U (ko) 2022-10-25 2024-05-03 (주)도요테크놀러지 불꽃감지기 성능 평활 검사 장치
KR20240000709U (ko) 2022-10-25 2024-05-03 (주)도요테크놀러지 불꽃감지기 성능 평활 검사 장치
CN117912185A (zh) * 2024-03-19 2024-04-19 西安博康电子有限公司 一种红外火焰探测系统及远近火焰识别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143B1 (ko) 광학필터를 이용한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
US11326955B2 (en) Intelligent flame thermogram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infrared
JP6190463B2 (ja) 感知される光レベルに対する異なる貢献度を区別する照明センサ
KR101205039B1 (ko) 눈 검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9530074B2 (en) Flam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JP6820742B2 (ja) 照明制御装置
US20100246904A1 (en) Face authentication device, face authentication method, and face authentication program
JP6785340B2 (ja) 火災検知システム及び火災検知方法
CN108918427B (zh) 物质检测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EP24874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avelength spectrum analysis for detection of various gases using a treated tape
WO2005010842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detection de sources d'infrarouge
JP2005184508A5 (ko)
KR102080070B1 (ko) 불꽃감지기용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CN105554981B (zh) 台灯调节方法和装置
KR102070549B1 (ko) 소방용 광학식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
US10775310B2 (en) Raman spectrum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power of reflected light and image recognition
KR102531805B1 (ko)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광학필터를 이용한 불꽃 감지기 테스팅 디바이스
US201603172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urgical light
CN105612566B (zh) 烟雾识别设备以及用于探测至少一个烟雾探测特征的方法
KR101975861B1 (ko) 조도감지센서가 구비된 적외선 불꽃감지기
KR101341639B1 (ko) 감시 카메라, 이의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120127560A (ko) 눈 검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00416A (ko) 불쾌 글레어 제거 기능을 가지는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411099Y1 (ko) 촬상기능을 갖는 센서램프
KR101622107B1 (ko) 범죄 예방 기능을 갖는 보안등 및 이를 갖는 보안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