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085B1 -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085B1
KR102088085B1 KR1020170153725A KR20170153725A KR102088085B1 KR 102088085 B1 KR102088085 B1 KR 102088085B1 KR 1020170153725 A KR1020170153725 A KR 1020170153725A KR 20170153725 A KR20170153725 A KR 20170153725A KR 102088085 B1 KR102088085 B1 KR 102088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discharge
storage container
whee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177A (ko
Inventor
손정우
Original Assignee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53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08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량의 분말을 보관하고, 보관된 분말을 일측으로 배출하는 분말보관통(10)과; 상기 분말보관통(10)을 수납 가능케 설치하는 본체(20)와; 상기 분말보관통(10)의 분말이 수용되는 분말수용홈(301)을 방사형으로 형성한 정량배출휠(30)과; 상기 정량배출휠(30)을 등각 회전시켜 상기 분말수용홈(301)에 수용된 분말을 본체(20) 외부로 정량 배출시키는 회전구동부(4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분말 식재료를 사용하는 식품 조리 과정의 편의성과 신속성 및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Powdered food material dispensing device}
본 발명은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에 사용되는 분말 식재료를 다량으로 보관하면서 간편하게 정량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말 식재료를 사용하는 식품 조리 과정의 편의성과 신속성 및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나 코코아 등과 같이 분말 형태로 되어 물에 녹여 음료를 제조하는 식재료나, 분말 형태의 조미료와 같이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하는 각종 분말 식재료는 정확한 맛을 내기 위해 조리하는 음식에 대하여 일정한 비율로 투입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최근 유행하고 있는 다양한 맛을 내는 차 음료의 경우에, 베이스가 되는 차를 끓인 후, 일정량의 끓인 차를 잔에 담고, 담긴 차의 양에 비례하여 소비자가 선택한 맛을 내는 조미용 분말을 차가 담긴 잔에 투입함으로써 소비자가 선택한 맛의 음료 제조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음료를 제조할 때, 한 잔의 음료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일정량의 끓인 차가 담긴 잔에 투입하는 조미용 분말의 양이 소량이기 때문에 제조자가 다량의 조미용 분말이 담긴 보관통에서 개량스푼으로 일정량의 조미용 분말을 떠서 차가 담긴 잔에 투입하면 되지만, 한꺼번에 여러 잔의 음료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다량의 조미용 분말을 개량스푼을 이용해 반복적으로 떠서 각 잔에 일일이 투입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한꺼번에 여러 잔의 음료를 제조하는 경우에, 각 잔마다 동일한 양의 조미용 분말을 투입해야 하지만, 여러 잔의 음료에 조미용 분말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제조자가 조미용 분말의 투입량을 혼돈하여 정확한 조리법대로 음료가 제조되지 못할 가능성이 큰 단점도 있다.
또한, 조미용 분말을 사용할 때마다, 조미용 분말이 보관된 보관통의 뚜껑을 열고, 개량스푼을 이용해 보관통 내부의 분말을 떠내는 과정에서 보관통의 입구가 개방됨으로써 분말을 보관하는 보관통 입구의 개방이 빈번하여 벌레나 먼지 등 각종 이물질의 유입 가능성이 증가함으로써 위생적으로도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743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품에 사용되는 분말 식재료를 다량으로 보관하면서 간편하게 정량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품 조리 과정의 편의성과 신속성 및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는 다량의 분말을 보관하고, 보관된 분말을 일측으로 배출하는 분말보관통(10)과;
상기 분말보관통(10)을 수납 가능케 설치하는 본체(20)와;
외주면에 상기 분말이 수용되는 분말수용홈(301)을 방사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분말보관통(10) 하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하는 정량배출휠(30)과;
상기 본체(20)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정량배출휠(30)을 등각 회전시켜 상기 분말수용홈(301)에 수용된 분말을 본체(20) 외부로 정량 배출시키는 회전구동부(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분말보관통(10)은, 상광하협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분말수용부(101)를 형성하되;
상기 분말수용부(101)에 분말을 투입하는 투입구(102)와;
상기 투입구(102)를 개폐하는 뚜껑(103)과;
상기 본체(20) 내부에 거치하기 위하여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거치부(104)와;
상기 분말수용부(101)에 수용된 보관된 분말을 배출하는 배출구(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20)는, 상기 분말보관통(10)이 수납되는 내부공간부(201)와;
상기 내부공간부(201)와 이어지는 개구부(202a, 202b)와;
상기 분말보관통(10)에서 배출되는 분말을 최종 배출되는 분말배출부(203)와;
상기 분말배출부(203)에서 배출되는 분말을 받아내는 용기를 적재하는 용기적재부(2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적재부(204)는, 상기 용기 외부로 배출된 분말을 담기는 분말받이(204a)와;
그릴망 형태로 되어 상기 분말받이(204a)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판(20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구동부(40)는, 상기 분말보관통(10) 하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는 상기 정량배출휠(30)의 회전축(302) 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302)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레버(401)와;
상기 회전축(302) 일측에 설치되는 등각회전휠(402)과;
상기 본체(2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각회전휠(402)의 일방향 등각 회전을 위한 고정력 제공을 위해 스프링으로 탄설된 걸림부재(4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구동부(40)는, 본체(20) 전면에 설치되어 분말배출량을 입력하는 컨트롤패널(406)과;
구동기어(405a)를 구비한 모터(405)와;
상기 정량배출휠(30)의 회전축(302)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405a)와 치합하는 종동기어(404)와;
상기 회전축(302)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302)의 회전각도값을 검출하고 그 검출값을 상기 제어부(408)에 제공하는 엔코더(407)와;
상기 컨트롤패널(406)을 통해 입력된 분말배출량과, 상기 엔코더(407)에서 제공되는 상기 회전축(302)의 회전각도값에 따라 상기 모터(405)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는 분말 식재료를 다량 보관하면서 필요할 때, 정량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품 조리 과정에서 분말 식재료 사용에 따른 편의성과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말 식재료 사용의 편의성과 신속성 향상을 통해 분말 식재료의 정량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분말 식재료의 불필요한 과다 사용으로 인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말 식재료의 정량 사용에 따라 정확한 조리법에 따른 식품의 조리나 제조가 가능케 됨으로써 완성된 식품의 맛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량의 분말 식재료를 보관하는 분말보관통의 착탈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분말식재료를 보관하고, 정량 배출하는 과정에서 벌레나 먼지 등 각종 이물질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분말 식재료의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구동부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구동부 구성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다음의 설명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부분'과 '제2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는 분말보관통(10)과, 본체(20)와, 정량배출휠(30)과, 회전구동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분말보관통(10)은 다량의 분말을 보관하고, 보관된 분말을 일측으로 배출 가능하도록 상광하협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분말수용부(101)를 형성하되, 상기 분말수용부(101)에 분말을 투입하는 투입구(102)와; 상기 투입구(102)를 개폐하는 뚜껑(103)과; 상기 본체(20) 내부에 거치하기 위하여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거치부(104)와; 상기 분말수용부(101)에 수용된 보관된 분말을 배출하는 배출구(105)를 포함한다.
상기 분말보관통(10)은 위생적인 분말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이 부식이 억제되어 식품용 용기나 조리도구의 재료로 사용되는 금속재로 형성하되, 내부에 보관되는 분말의 보관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입구(102)는 상기 분말보관통(10)의 상부에 형성하되, 상기 분말수용부(101) 내부에 다량의 분말을 신속하게 투입하기 용이하도록 투입구(102)의 횡단면적은 상기 분말수용부(101)의 횡단면적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뚜껑(103)은 상기 투입구(102)를 개폐하기 위하여 분말보관통(10)과 분리되는 분리형으로 형성하거나, 분말보관통(10) 일측에 경첩으로 부착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거치부(104)는 분말보관통(10)의 외측면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거치부(104)를 상기 본체(20)의 상단부에 거치하여 분말보관통(10)의 하부를 본체(20)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분말보관통(10)을 본체(20)에서 분리할 때, 손잡이 기능을 겸하도록 함으로써 분말보관통(10)을 본체(20)에 수납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배출구(105)는 분말수용부(101) 내부에 수용된 분말의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분말보관통(10)의 하단부에 형성한다.
상기 배출구(105)는 상기 분말보관통(10) 하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는 상기 정량배출휠(30)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정량배출휠(30)의 형상에 대응하는 반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한다.
상기 본체(20)는 상기 분말보관통(10)이 수납되는 내부공간부(201)와; 상기 내부공간부(201)와 이어지는 개구부(202a, 202b)와; 상기 분말보관통(10)에서 배출되는 분말을 최종 배출되는 분말배출부(203)와; 상기 분말배출부(203)에서 배출되는 분말을 받아내는 용기를 적재하는 용기적재부(204)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공간부(201)는 상기 분말보관통(10)의 간편하고 효과적인 수납과 더불어, 상기 회전구동부(40)의 설치 및 유지 보수를 위해, 본체(20)의 상측과 후측에 각각 형성된 개구부(202a, 202b)와 이어지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부(201)에는 본체(20)의 내벽에서 돌출된 지지벽(201a)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분말보관통(10)의 수납, 거치 및 상기 회전구동부(40)의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케 된다.
즉, 본체(20)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202a)에는 상기 분말보관통(10)이 수납되고, 본체(20)의 후측에 형성된 개구부(202b)는 커버(205)에 의해 개폐 가능케 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부(201)에 분말보관통(10)이 수납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구동부(40)의 분해, 조립이나, 내부공간부(201)의 청소, 세척 등은 본체(20)의 후측 개구부(202b)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분말배출부(203)는 상기 분말보관통(10)의 배출구(105)에서 배출되는 분말이 최종 배출되도록 상기 분말보관통(10) 하단부에 형성된 배출구(105)와 이어지게 형성하되, 각종 이물질의 역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분말배출구(105)는 상기 지지벽(201a)에 분말 배출이 가능한 최소한의 직경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적재부(204)는 상기 분말배출부(203)에서 배출되는 분말을 받아내는 용기를 적재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 외부로 배출된 분말을 담기는 분말받이(204a)와; 그릴망 형태로 되어 상기 분말받이(204a)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판(204b)을 포함한다.
상기 분말받이(204a)는 상부가 개구된 박스형으로 형성하되, 신속하고 간편한 장착을 위해 상기 용기적재부(204) 상면에는 분말받이(204a)의 외형에 대응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판(204b)은 상기 분말받이(204a) 상부의 개구부에 거치식으로 착탈 가능케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분말배출부(203)를 통해 배출되는 분말이 용기적재부(204)에 적재된 용기 내부에 투입되는 과정에서 분말이 바람에 날리거나, 작업자가 분말을 받을 용기를 용기적재부(204)에 올려놓지 않은 상태에서 분말을 배출하는 경우에, 배출된 분말이 분말받이(204a)에 받아짐으로써, 잘못 배출된 분말의 처리나, 분말받이(204a)의 분리, 세척이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본체(20) 전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긴 투시장공(206)을 형성함으로써, 투명한 합성수지로 되어, 상기 내부공간부(201)에 수납되는 분말보관통(10)의 내부에 담긴 분말의 양을 본체(20) 외부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정량배출휠(30)은 상기 분말보관통(10) 내부에 보관된 분말을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분말보관통(10) 하부에 배출구(105) 내측에 회전 가능케 설치하되, 외주면에 분말보관통(10) 내부에 보관된 분말을 정량 수용하고, 정량배출휠(30)의 회전에 따라 정량 수용된 분말을 하방으로 배출하는 분말수용홈(301)을 방사형으로 형성한다.
정량배출휠(30)은 분말이 투입되는 상기 분말수용홈(301)의 체적(부피)이 다른 다양한 규격으로 제조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체적의 분말수용홈(301)이 형성된 정량배출휠(30)을 선택적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량배출휠(3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상기 정량배출휠(30)에 설치되는 회전축(302)의 선단부와 말단부는 각각 본체(20)의 전후 내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베어링수단에 의해 지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도 3은 본 발명의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구동부(40)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구동부(40)는 상기 정량배출휠(30)을 등각 회전시켜 상기 분말수용홈(301)에 수용된 분말을 본체(20) 외부로 정량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분말보관통(10) 하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는 상기 정량배출휠(30)의 회전축(302) 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302)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레버(401)와; 상기 회전축(302) 일측에 설치되는 등각회전휠(402)과; 상기 본체(2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각회전휠(402)의 일방향 등각 회전을 위한 고정력 제공을 위해 스프링으로 탄설된 걸림부재(40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레버(401)는 그 전면 중앙으로 파지부가 돌출 형성된 로터리형 레버를 상기 본체(20) 전면에 노출되게 설치함으로써 회전레버(401)를 이용해 상기 회전축(302)에 결합된 정량배출휠(30)을 회전시킬 때, 정량배출휠(30)의 회전 각도를 상기 파지부의 위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회전레버(401)가 설치되는 본체(20) 전면에 일정 각도로 눈금을 표시함으로써 회전레버(401)의 파지부를 상기 눈금이 표시된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302)에 결합된 정량배출휠(30)도 회전레버(401)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함으로써, 정량배출휠(30)의 회전각도 제어를 통한 등각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본체(20) 전면에 표시되는 눈금의 분할 각도를, 상기 정량배출휠(30)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분말수용홈(301)의 분할 각도와 동일하게 형성하면, 회전레버(401)의 회전 각도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의 분말을 배출하는 것이 가능케 된다.
일예로서, 상기 본체(20)에 설치된 회전레버(401) 둘레에 45°간격 방사형으로 눈금을 표시하고, 상기 정량배출휠(30)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8개의 분말수용홈(301)을 형성하는 경우에, 회전레버(401)를 45°씩 회전시킬 때마다 정량배출휠(30)에 형성된 분말수용홈(301)이 한 칸씩 회전하면서 그 내부에 수용된 분말이 수직 하방으로 배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분말 배출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등각회전휠(402)은 상기 회전축(302) 일측에 설치하여 회전축(302)과 같이 회전하게 하되, 외주면에는 등각 방사형으로 걸림홈(402a)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홈(402a)의 수는 상기 정량배출휠(30)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분말수용홈(301)의 수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걸림부재(403)는 상기 등각회전휠(402)의 일방향 등각 회전을 위한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본체(20)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403a)에 회동 가능케 힌지핀(403b)으로 힌지 결합한다.
이때, 상기 힌지핀(403b)에는 토션스프링(403c)을 설치하여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이 걸림부재(403)의 일측으로 작용하게 하고, 상단부에는 상기 등각회전휠(402)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402a)에 삽입되는 롤러(403d)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브래킷(403a) 일측에는 스토퍼를 구비하여 상기 토션스프링(403c)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일측으로 회전력이 발생하는 걸림부재(403)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고정브래킷(403a)에 힌지 결합된 걸림부재(403)는 토션스프링(403c)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토션스프링(403c)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걸림부재(403)의 상단부에 설치된 롤러(403d)가 상기 등각회전휠(402)의 걸림홈(402a)에 삽입됨으로써 토션스프링(403c)의 탄성력은 상기 롤러(403d)를 통해 상기 등각회전휠(402)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레버(401)를 일정한 회전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력의 크기에 따라 회전레버(401)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회전레버(401)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302)과 결합된 정량배출휠(30)과 등각회전휠(402)도 함께 회전한다.
즉, 상기 회전레버(401)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상기 등각회전휠(402)의 걸림홈(402a)에 작용하는 토션스프링(403c)의 탄성력보다 작으면, 회전레버(401)는 회전하지 못한다.
반면, 상기 회전레버(401)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상기 등각회전휠(402)의 걸림홈(402a)에 작용하는 토션스프링(403c)의 탄성력보다 크면 회전레버(401)가 회전하면서 회전축(302), 정량배출휠(30), 등각회전휠(402)이 한꺼번에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토션스프링(403c)의 탄성력보다 강한 회전력을 이용해 회전레버(401)를 회전시키면, 등각회전휠(40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403)가 힌지핀(403b)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걸림부재(403)의 상단부에 설치된 롤러(403d)가 상기 등각회전휠(402)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걸림홈(402a)에서 빠져나와, 등각회전휠(402)이 회전하는 동안 등각회전휠(402)의 외주면에 접촉하면서 구르게 되어 등각회전휠(402)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케 된다.
이때, 상기 힌지핀(403b)을 중심축으로 한 걸림부재(403)의 회전에 의해 상기 토션스프링(403c)은 압축되고, 그로 인해 탄성력(탄성에너지)이 저장된다.
그리하여 등각회전휠(402)이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등각회전휠(402)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걸림홈(402a) 중 또 다른 걸림홈(402a)이 상기 롤러(403d)에 인접하면, 상기 토션스프링(403c)의 압축에 의해 저장되었던 탄성력이 일시에 방출되면서 롤러(403d)가 인접한 걸림홈(402a)으로 투입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재(403)가 원래 위치로 리턴함으로써 등각회전휠(402)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동충격이 발생하고, 그 제동충격은 회전축(302)을 통해 회전레버(401)로 전달된다.
따라서 수동으로 일정한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회전레버(401)를 회전시키던 사용자는 회전레버(401)에 전해지는 제동충격에 따라 정량배출휠(30)이 일정 각도로 등각 회전하면서 분말이 배출되었음을 촉각을 통해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구동부(40) 구성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구동부(40)는 본체(20) 전면에 설치되어 분말배출량을 입력하는 컨트롤패널(406)과; 구동기어(405a)를 구비한 모터(405)와; 상기 정량배출휠(30)의 회전축(302)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405a)와 치합하는 종동기어(404)와; 상기 회전축(302)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302)의 회전각도값을 검출하고 그 검출값을 상기 제어부(408)에 제공하는 엔코더(407)와; 상기 컨트롤패널(406)을 통해 입력된 분말배출량과, 상기 엔코더(407)에서 제공되는 상기 회전축(302)의 회전각도값에 따라 상기 모터(405)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8)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패널(406)은 분말배출량을 입력하기 위해 분말배출횟수를 입력하는 배출버튼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모터(405)의 전원 공급 제어를 위한 전원버튼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말배출횟수는 상기 정량배출휠(30)이 일정한 각도로 회전할 때, 분말배출량을 사전에 설정함으로써, 분말배출횟수의 입력에 따른 입력값이 제어부(408)로 제공되어 입력된 횟수만큼 등각회전휠(402)의 회전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분말이 배출된다.
상기 모터(405)는 구동축의 회전각도 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405)를 사용함으로써 구동축의 회전각도 제어를 통해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기어(405a)의 회전각도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구동기어(405a)와 치합되는 상기 종동기어(404)의 회전 각도를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종동기어(404)의 회전각도 제어를 통해 종동기어(404)가 설치된 회전축(302)과 일체로 회전하는 정량배출휠(30)의 회전각도 제어가 가능케 된다.
아울러 상기 구동기어(405a)와 종동기어(404)의 기어비 조절을 통해 상기 정량배출휠(30)의 등각회전 각도의 범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엔코더(407)는 상기 회전축(302)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302)의 회전각도값을 검출하고 그 검출값을 상기 제어부(408)에 제공한다.
즉, 엔코더(407)에 의해 검출된 회전축(302)의 회전각도값은 상기 제어부(408)에 제공되어 상기 모터(405)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전한 회전축(302)이 상기 컨트롤패널(406)을 통해 입력된 분말배출량에 대응하는 각도로 정확하게 회전이 이루어졌는지를 검증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제어부(408)는,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패널(406)을 통해 분말배출량을 입력하면, 그 입력값을 수신하여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대입, 산출하여 필요한 모터(405)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405)는 제어부(408)에서 출력되는 모터(405)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회전축(302)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302)에 결합된 정량배출휠(30)이 회전하면서 사용자가 입력한 양의 분말이 배출된다.
일예로서, 사용자가 1회 배출시 필요한 분말의 양이 5g이고, 상기 정량배출휠(30)에는 분말수용량이 5g인 분말수용홈(301)을 방사형으로 12개 형성하였을 때, 컨트롤패널(406)의 배출버튼을 이용해 분말배출량을 1회로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408)는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상기 컨트롤패널(406)의 입력값을 대입, 산출하여 상기 모터(405)에 30° 회전명령이 담긴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모터(405)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축(302)을 30°만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302)과 결합된 정량배출휠(30)이 30° 회전하면서 하나의 분말수용홈(301)에 담긴 분말이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는 사용자가 필요한 분말배출량을 배출버튼을 통해 입력만 하면, 정량의 분말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각종 식품 조리 과정에서 분말 식재료 사용에 따른 편의성과 신속성 및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분말 식재료의 정량 사용이 용이하여 분말 식재료의 불필요한 과다 사용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말 식재료의 정량 사용에 따라 정확한 조리법에 따른 식품의 조리나 제조가 가능케 됨으로써 완성된 식품의 맛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 분말 식재료의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케 되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분말보관통 101: 분말수용부
102: 투입구 103: 뚜껑
104: 거치부 105: 배출구
20: 본체 201: 내부공간부
202a, 202b: 개구부 203: 분말배출부
204: 용기적재부 204a: 분말받이
204b: 커버판 205: 커버
30: 정량배출휠 301: 분말수용홈
302: 회전축 40: 회전구동부
401: 회전레버 402: 등각회전휠
403: 걸림부재 404: 종동기어
405: 모터 405a: 구동기어
406: 컨트롤패널 407: 엔코더
408: 제어부 A: 용기(컵)

Claims (3)

  1. 다량의 분말을 보관하고, 보관된 분말을 일측으로 배출하는 투명 분말보관통(10)과;
    상기 분말보관통(10)을 수납 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분말보관통(10)이 수납되는 내부공간부(201), 상기 내부공간부(201)와 이어지는 개구부(202a, 202b), 상기 분말보관통(10)에서 배출되는 분말을 최종 배출되는 분말배출부(203) 및 상기 분말배출부(203)에서 배출되는 분말을 받아내는 용기를 적재하는 용기적재부(204)로 구성되는 본체(20)와;
    외주면에 상기 분말이 수용되는 분말수용홈(301)을 방사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분말보관통(10) 하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하는 정량배출휠(30)과;
    상기 본체(20)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정량배출휠(30)을 등각 회전시켜 상기 분말수용홈(301)에 수용된 분말을 본체(20) 외부로 정량 배출시키는 회전구동부(40)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구동부(40)는 본체(20) 전면에 설치되어 분말배출량을 입력하는 컨트롤패널(406), 구동기어(405a)를 구비한 모터(405), 상기 정량배출휠(30)의 회전축(302)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405a)와 치합하는 종동기어(404), 상기 회전축(302)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302)의 회전각도 값을 검출하고 그 검출 값을 제어부(408)에 제공하는 엔코더(407) 및 상기 컨트롤패널(406)을 통해 입력된 분말배출량과 상기 엔코더(407)에서 제공되는 상기 회전축(302)의 회전각도값에 따라 상기 모터(405)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보관통(10)은,
    상광하협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분말수용부(101)를 형성하되,
    상기 분말수용부(101)에 분말을 투입하는 투입구(102)와;
    상기 투입구(102)를 개폐하는 뚜껑(103)과;
    상기 본체(20) 내부에 거치하기 위하여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거치부(104)와;
    상기 분말수용부(101)에 수용된 보관된 분말을 배출하는 배출구(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
  3. 삭제
KR1020170153725A 2017-11-17 2017-11-17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 KR102088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725A KR102088085B1 (ko) 2017-11-17 2017-11-17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725A KR102088085B1 (ko) 2017-11-17 2017-11-17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177A KR20190057177A (ko) 2019-05-28
KR102088085B1 true KR102088085B1 (ko) 2020-04-29

Family

ID=66656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725A KR102088085B1 (ko) 2017-11-17 2017-11-17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0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273Y1 (ko) 2002-09-12 2002-12-11 전덕수 대단위 급식시설용 미곡 정량보급기
KR200371365Y1 (ko) * 2004-10-15 2004-12-29 심상영 쌀불림 기능을 가지는 쌀통
JP2006521831A (ja) * 2003-04-01 2006-09-28 ビョンキ パク スプーンおよび箸の供給装置
KR101321798B1 (ko) 2013-01-16 2013-10-28 오종경 알갱이 형태의 물체 정량측정 및 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018U (ko) * 1998-11-14 1999-02-25 류한수 쌀 계량배출장치 중 회전식 손잡이와 계량통
KR200237432Y1 (ko) 2001-04-24 2001-10-12 김선우 정량 배출식 분말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273Y1 (ko) 2002-09-12 2002-12-11 전덕수 대단위 급식시설용 미곡 정량보급기
JP2006521831A (ja) * 2003-04-01 2006-09-28 ビョンキ パク スプーンおよび箸の供給装置
KR200371365Y1 (ko) * 2004-10-15 2004-12-29 심상영 쌀불림 기능을 가지는 쌀통
KR101321798B1 (ko) 2013-01-16 2013-10-28 오종경 알갱이 형태의 물체 정량측정 및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177A (ko) 201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3065609T3 (en) MIXING CONTAINER
US8534507B2 (en) Granule dispensers
CN103732110B (zh) 用于分配测量量的松散材料的系统和方法
AU2011347477B2 (en) System of a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a product and a machine for dosing the product
US20140144926A1 (en) Powder dispenser
US20230363572A1 (en) Beverage Brewer
JP2017512537A (ja) 茶入れ及び/又は茶浸し器具及び方法
US20180139979A1 (en) Portable brewing container
US20150033948A1 (en) Automated Hot Beverage Brewing Machine
US202400086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verage brewing
US202303205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verage brewing
KR102088085B1 (ko) 분말 식재료 정량 배출장치
US8074915B2 (en) Container with a grinder
US11779148B2 (en) Beverage brewer
KR102056632B1 (ko) 양념 자동 공급장치
EP3758563B1 (en) Device for dosing and pouring an amount of ground coffee powder into a coffee filter of a coffee-making apparatus
US7228991B2 (en) Condiment dispenser
EP3028609A1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a product
US20150330822A1 (en) Dry Product Dosage Dispens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08032318A2 (en) A portable dispenser device
KR101646187B1 (ko) 계량기능을 갖는 용기
KR102294396B1 (ko) 펜슬형 정량토출 용기
KR20190128773A (ko) 양념통
US20170303725A1 (en) Apparatus, system and related method for infusion of material in a liquid
GB2451901A (en) A beverage infus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