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011B1 - 3차원 객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정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객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정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8011B1 KR102088011B1 KR1020190029250A KR20190029250A KR102088011B1 KR 102088011 B1 KR102088011 B1 KR 102088011B1 KR 1020190029250 A KR1020190029250 A KR 1020190029250A KR 20190029250 A KR20190029250 A KR 20190029250A KR 102088011 B1 KR102088011 B1 KR 1020880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tenance
- information
- unit
- image
- augmented realit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30000003595 spect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02 image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27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37 random forest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06 support-vector machin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3 computer appl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77 logistic reg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06 recur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 G06Q50/30—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 G06K9/00201—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4—Three-dimensional objec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생성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형체를 특정하는 포인트를 지정한 모델링 결과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델링 수행 결과에 3차원 회전을 반복하여 포인트마다 도출된 스펙트럼 정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펙트럼 정보에 대한 기계 학습을 통해 스펙트럼 정보를 패턴화한 스펙트럼 패턴을 획득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객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정비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110: 영상 촬영부
120: 패턴 생성부
121: 포인트 지정부
122: 데이터 로깅부
123: 기계 학습부
130: 객체 인식부
140: 영상 보정부
150: 출력 표시부
Claims (12)
- 3차원 객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정비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부품을 포함하는 정비 대상 장비의 적어도 일 영역을 촬영하여 입력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정비 대상 장비의 상기 복수의 부품의 도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부품에 대응되는 스펙트럼 패턴을 획득하는 패턴 생성부;
상기 스펙트럼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정비 대상 장비의 부품을 식별하는 객체 인식부;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부품의 정비 교범 정보를 상기 입력 영상에 오버랩한 출력 영상을 표시하는 출력 표시부;
정비자가 상기 정비 교범 정보를 얻고자 하는 부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음성 또는 제스처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 모듈; 및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 부품과 연계된 센싱 정보를 충격 센서, 압력 센서, 진동 센서, 습도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하는 부품 상태 센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인식부는,
상기 입력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정비 대상 장비의 부품과 연계된 스펙트럼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상기 스펙트럼 정보를 상기 증강현실 기반 정비 장치에 구비되는 저장 매체에 포함된 부품별 상기 스펙트럼 패턴과의 유사도를 도출하여, 소정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부품을 결정하여 상기 식별 결과를 생성하되,
상기 정비 대상 장비의 부품을 식별한 상기 식별 결과에 식별에 대한 정확도 정보가 포함되도록 하고,
상기 출력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정비자가 선택한 부품의 정비 교범 정보를 우선적으로 상기 출력 영상에 표시하고,
해당 부품에 대한 상기 센싱 정보를 상기 출력 영상에 포함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 정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부품을 포함하는 정비 대상 장비의 상기 복수의 부품의 도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도면 데이터 상에 상기 부품의 형체를 특정하는 포인트를 지정하여 모델링을 수행하는 포인트 지정부;
모델링 수행 결과에 3차원 회전을 반복하여 상기 포인트마다 스펙트럼 정보를 도출하는 데이터 로깅부; 및
상기 스펙트럼 정보에 대한 기계 학습을 수행하여 상기 스펙트럼 정보를 패턴화하는 기계 학습부,
를 포함하는 것인, 증강현실 기반 정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부 및 상기 출력 표시부는 AR 글래스와 연계되되,
상기 영상 촬영부는 상기 AR 글래스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상기 입력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출력 표시부는 상기 AR 글래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출력 영상을 증강하여 출력하는 것인, 증강현실 기반 정비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R 글래스의 규격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하고, 외부 환경의 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영상의 선명도를 결정하는 영상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증강현실 기반 정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비 교범 정보는,
상기 해당 부품의 수리부속 제원 정보, 조립 절차 정보, 분해 절차 정보, 검사 기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 정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전기적 신호를 계측하는 오실로스코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표시부는 상기 오실로스코프의 계측값을 포함하여 상기 출력 영상을 표시하는 것인, 증강현실 기반 정비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9250A KR102088011B1 (ko) | 2019-03-14 | 2019-03-14 | 3차원 객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정비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9250A KR102088011B1 (ko) | 2019-03-14 | 2019-03-14 | 3차원 객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정비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8011B1 true KR102088011B1 (ko) | 2020-03-11 |
Family
ID=69809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9250A Active KR102088011B1 (ko) | 2019-03-14 | 2019-03-14 | 3차원 객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정비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801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5976A (ko) * | 2021-04-22 | 2022-11-01 | (주) 인텍플러스 | 구조광을 이용한 3차원 형상 측정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5446B1 (ko) * | 2012-01-26 | 2012-12-24 | 이에스이 주식회사 | 증강현실 기반의 정비 가이드 제공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비 가이드 제공 방법 |
KR20160064784A (ko) * | 2014-11-28 | 2016-06-08 |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방법 및 프로그램 |
KR101656697B1 (ko) * | 2016-06-02 | 2016-10-04 | (주)탑인프라 | 휴대용 태양광모듈 노화 계측장치 및 그 계측방법 |
KR101874461B1 (ko) * | 2018-02-23 | 2018-07-05 | (주)프론티스 | 증강 현실, 가상 현실 또는 혼합 현실 기반 군용 장비의 정비를 지원하는 서버, 방법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
-
2019
- 2019-03-14 KR KR1020190029250A patent/KR10208801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5446B1 (ko) * | 2012-01-26 | 2012-12-24 | 이에스이 주식회사 | 증강현실 기반의 정비 가이드 제공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비 가이드 제공 방법 |
KR20160064784A (ko) * | 2014-11-28 | 2016-06-08 |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방법 및 프로그램 |
KR101656697B1 (ko) * | 2016-06-02 | 2016-10-04 | (주)탑인프라 | 휴대용 태양광모듈 노화 계측장치 및 그 계측방법 |
KR101874461B1 (ko) * | 2018-02-23 | 2018-07-05 | (주)프론티스 | 증강 현실, 가상 현실 또는 혼합 현실 기반 군용 장비의 정비를 지원하는 서버, 방법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5976A (ko) * | 2021-04-22 | 2022-11-01 | (주) 인텍플러스 | 구조광을 이용한 3차원 형상 측정장치 |
KR102560351B1 (ko) * | 2021-04-22 | 2023-07-28 | (주) 인텍플러스 | 구조광을 이용한 3차원 형상 측정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60760B2 (en) | Augmented reality (AR)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arts and visually cueing a user to identify and locate parts in a scene | |
US11922711B2 (en) | Object tracking assisted with hand or eye tracking | |
US20180136332A1 (en) | Method and system to annotate objects and determine distances to objects in an image | |
US7961117B1 (en) | System, module, and method for creating a variable FOV image presented on a HUD combiner unit | |
US20170344110A1 (en) | Line-of-sight detector and line-of-sight detection method | |
JP6891954B2 (ja) | 物体検知装置、物体検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US10684674B2 (en) | Tracking portions of a user's face uncovered by a head mounted display worn by the user | |
KR20090034824A (ko) |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 |
KR102641117B1 (ko) | 영상을 증강하는 방법 및 장치 | |
US20190114490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learned mode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
KR101550972B1 (ko) |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인식하기 위한 특징점 추출 장치 및 방법 | |
US20200184678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training an object detection algorithm using synthetic images | |
KR102236469B1 (ko) | 운전자 부주의 측정 장치와 방법 | |
US2017010679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pedestrian by a vehicle during night driving | |
US12190601B2 (en) | Advanced driver assist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object in the same | |
US20220051438A1 (en) | Testing and validation of a camera unde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
US20200302245A1 (en) | Action classification based on manipulated object movement | |
JP2023100258A (ja) | 空中給油のための姿勢推定の修正 | |
KR102088012B1 (ko) | 웨어러블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정비 방법 및 시스템 | |
KR102088011B1 (ko) | 3차원 객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정비 방법 및 장치 | |
Osahor et al. | Deep adversarial attack on target detection systems | |
Hosseini et al. | A system design for automotive augmented reality using stereo night vision | |
KR102071720B1 (ko) | 차량용 레이다 목표 리스트와 비전 영상의 목표물 정합 방법 | |
Ryu et al. | Heterogeneous sensor fusion based omnidirectional object detection | |
US10586343B1 (en) | 3-d head mounted display based environmental model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3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