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919B1 -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 - Google Patents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919B1
KR102087919B1 KR1020180133889A KR20180133889A KR102087919B1 KR 102087919 B1 KR102087919 B1 KR 102087919B1 KR 1020180133889 A KR1020180133889 A KR 1020180133889A KR 20180133889 A KR20180133889 A KR 20180133889A KR 102087919 B1 KR102087919 B1 KR 102087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earthing
chair
main body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병수
박동욱
최창호
김미란
이용운
Original Assignee
(주)월드홈닥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드홈닥터 filed Critical (주)월드홈닥터
Priority to KR1020180133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3/00Seats
    • B61D33/0007Detail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에 홀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부에 형성되고 전기전도성을 갖는 접촉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구비된 접합부 및 상기 접촉부에 연결되며 상기 홀을 통해 인출되는 인출선을 포함하는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에 관한 것이다.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기차를 이용하면서도 손 쉽게 신체 어싱(earthing)을 할 수 있어, 수면의 질이 향상되고 일상생활에서 받은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면역력을 극대화하고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Earthing pad for Scaffolding of train chair}
본 발명은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기차를 이용하면서도 손 쉽게 신체 어싱(Earthing)을 할 수 있어, 수면의 질이 향상되고 일상생활에서 받은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에 관한 것이다.
어싱(Earthing)이란 지구를 의미하는 'Earth'에 'ing'를 붙여서 이루어진 단어로, 인체와 지구를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하는 접지를 의미한다.
19세기 말 독일에서 일어난 '자연회귀'운동에서 신발을 신지 않은 맨발로 생활하는 것이 여러 가지로 건강에 유익하다는 주장이 제기 되었다. 또한, 1920년대 의사인 George Starr White는 구리선과 같은 도체를 이용하여 지면에 접지한 사람의 경우 수면의 질이 향상되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최근 인체의 어싱(Earthing)은 인체가 지구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인체의 기관과 조직이 전기적으로 안정됨으로써, 수면의 질 향상, 통증 완화, 이완, 상처 치유의 가속, 심장 박동의 안정, 적혈구 응집 현상 감소 및 혈액 점도의 감소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어싱(Earthing)을 통해 인체의 생체전기의 전위차를 0인 상태로 유지하며, 지구 표면에 존재하는 전자를 흡수하여, 생리학적으로 여러 가지 유익한 효과를 누릴 수 있다.
그러나, 고무와 같은 비전도성 경화 밑창이 달려있는 신발을 신고, 고무 타이어를 기본으로 하는 교통 수단을 주로 이용하는 현대인들은 일상생활에서 어싱(Earthing)을 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또한, 주거 환경의 변화로 현대인들은 주로 고층아파트에서 생활하여 어싱(Earthing)이 불가능 하게 되었고, 이에 더해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의한 전자기파에 노출되어 인체의 전위차가 높게 유지되며, 이로써 인체를 구성하는 분자들의 3차원적 형태에 영향을 주어 다양한 생리학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20-0484977호(2017.11.08 등록)
본 발명은 측면에 홀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부에 형성되고 전기전도성을 갖는 접촉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구비된 접합부 및 상기 접촉부에 연결되며 상기 홀을 통해 인출되는 인출선을 포함하는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에 관한 것으로, 기차를 이용하면서도 손 쉽게 신체 어싱(Earthing)을 할 수 있어, 수면의 질이 향상되고 일상생활에서 받은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는, 측면에 홀이 형성된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 상부에 형성되고 전기전도성을 갖는 접촉부(200);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면에 구비된 접합부(300); 및 상기 접촉부(200)에 연결되며 상기 홀을 통해 인출되는 인출선(400);을 포함하는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를 들 수 있다.
상기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는 상기 인출선(400)에 연결되는 다이오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200)의 재질은 구리, 금 또는 은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출선(400)은 구리선 또는 알루미늄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출선(400)은 어싱(Earthing)된 기차의 접지선과 직접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는 상기 본체부(100)를 감싸며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전도성 시트(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측면에 홀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부에 형성되고 전기전도성을 갖는 접촉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구비된 접합부, 상기 접촉부에 연결되며 상기 홀을 통해 인출되는 인출선을 포함하는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로써, 사용자는 기차를 이용하면서도 손 쉽게 신체 어싱(Earthing)을 할 수 있어, 수면의 질이 향상되고 일상생활에서 받은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를 이용하여 어싱(Earthing)을 하게 되면 신체 전위를 0으로 조정할 수 있어, 신체 분자들이 전기적으로 안정을 취할 수 있어 면역이 극대화되며 통증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어싱(Earthing) 된 기차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기차용 의자 발판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시트를 더 포함하는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 및 접촉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는, 도 1 과 같이 어싱(Earthing)이 된 기차의 의자 발판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기차를 이용하면서도 어싱(Earthing)을 통해 인체의 전위를 낮출 수 있어, 피로의 감소, 통증의 완화, 염증반응의 감소, 수면의 질 향상 및 면역강화 등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는, 측면에 홀이 형성된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 상부에 형성되고 전기전도성을 갖는 접촉부(200), 상기 본체부(100) 외측면에 구비된 접합부(300) 및 상기 접촉부(200)에 연결되며 상기 홀을 통해 인출되는 인출선(4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의 전체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3과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형태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본체부(100)의 측면에는 인출선이(400)이 인출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부에는 접촉부(2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면에는 기차의 의자 발판에 고정될 수 있는 접합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접촉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 3과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긴 막대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접촉부(200)는 인체에 직접 접촉되는 역할을 하므로, 전기전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전도성을 갖는 접촉부(200)가 인체에 직접 접촉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됨으로써, 어싱(Earthing)되어 인체의 전위를 낮출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200)의 재질로는 금, 은, 구리 등을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전도성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제조비용을 고려하는 경우, 접촉부(200)의 재질은 구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부(300)는 본 발명의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를,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은 기차의 의자 발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체부(100)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접합부(300)는,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기차의 의자 발판에 고정될 수 있는 갈고리 형태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벨크로 형태 등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를 기차의 의자 발판에 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이러한 접합부(300)의 위치는 기차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무궁화객차의 경우 도 3(a)와 같이 인출선(400)이 연결된 본체부(100)의 외측 일면에 구비된 2개의 접합부(300) 서로의 간격이 넓게 위치할 수 있으며, KTX객차의 경우 도 3(b)와 같이 인출선(400)이 연결된 본체부(100)의 외측 일면에 구비된 2개의 접합부(300) 서로의 간격이 좁게 위치할 수 있다. 이는 객차에 설치된 발판의 구조에 대응하여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가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KTX객차의 경우 발판이 의자 프레임으로부터 길고 좁게 연장된 목부(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으며, 접합부(300)의 간격이 목부의 폭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하여, 발판과 본체부(100)가 길이 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인출선(400)은 상기 접촉부(200)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100)에 형성된 홀을 통해 인출되는 것으로, 구리선, 알루미늄선, 은선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5와 같이, 인출선(400)의 일단은 상기 접촉부(200)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도체인 기차 의자의 금속 뼈대와 직접 접촉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됨으로써 어싱(Earthing)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기차는 어싱(Earthing)이 되어 있기 때문에, 도체인 기차 의자의 금속 뼈대와 접촉부(200)가 인출선(400)에 의해 연결된 경우, 인체를 직접 접촉부(200)에 접촉하게 되면 어싱(Earthing)될 수 있어 인체의 전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선(400)의 다른 일단은 기차의 접지선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인출선(400)이 기차의 접지선과 직접 연결되는 경우, 기차 의자의 금속 뼈대 등 과 같은 다른 도체를 거치지 않고 전류가 흐를 수 있어, 저항이 줄어들기 때문에 빠르고 효과적으로 어싱(Earthing)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멀티 커넥터를 통해 하나의 기차 접지선에 복수의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를 연결할 수 있어, 여러 사람이 동시에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를 사용하여 어싱(Earthing)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인출선(400)이 의자에 연결되기 어려운 경우, 기차의 다른 금속 프레임에 연결되어도, 기차의 금속 프레임이 접지선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인출선(400)이 의자에 연결된 경우와 같은 어싱(Earthing)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인출선(400)은 기차에 구비된 접지용 콘센트(미도시)에 설치된 접지 케이블에 연결하여 어싱(Earthing)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는,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인출선(400)에 연결되는 다이오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는 전류를 한쪽으로는 흐르게 하고 반대쪽으로는 흐르지 않게 하는 정류작용을 하는 전자 부품으로, 인출선(400)에 다이오드(500)가 연결된 경우, 낙뢰, 대전 또는 잘못된 배전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역방향 전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다이오드(500)가 역방향 전류를 방지함으로써,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와 연결된 신체의 전기적 쇼크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는,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체부(100)를 감싸는 전도성 시트(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 시트(700)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섬유는 전기전도성을 가지고 있어,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전도성 시트(700)를 본체부(100)에 감싸는 경우 사용자가 발을 본체부(100)의 어느 위치에 올려 놓아도 어싱을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 및 접촉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 및/또는 접촉부(200')의 상부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만곡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인간의 발바닥의 중앙 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된 것에 상보적으로 접촉부(200')가 볼록하게 형성되고, 발바닥의 오목한 부분에 접촉부(200')의 볼록한 부분이 대응하여 접촉됨으로써, 발바닥과 접촉부(200')의 접촉면적을 넓히므로, 발이 접촉부(200') 상에 편안하게 안착되며, 어싱(Earthing) 효과도 우수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접촉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중앙 영역과 사이드 영역으로 구별되며, 사이드 영역의 면적이 중앙 영역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이로써, 접촉부(200'') 상에 발이 안착되는 사이드 부분의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발이 접촉부(20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어싱(Earthing)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가 기차의 의자 발판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는 기차의 의자 발판(600) 상부에 위치하여 결합될 수 있다.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를 기차의 의자 발판(600) 상부에 위치시킨 후, 본체부(100)의 외측면에 구비된 갈고리 형태의 결합부(300)를 기차의 의자 발판(600)에 체결하여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를 고정시킨 후, 접촉부(200)와 연결된 인출선(400)을 기차 의자의 금속 뼈대와 직접 접촉시켜 전류룰 흐르게 할 수 있다.
이후, 설치된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의 접촉부(200)에, 도 9과 같이, 사용자가 발(P)을 접촉시킴으로써 신체 어싱(Earthing)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류가 흘러 어싱(Earthing)이 일어나는 것을 고려할 때, 사용자는 맨 발로 20분 이상 지속하여 접촉부(200)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당연하다 할 것이다.
100: 본체부 200: 접촉부
300: 결합부 400: 인출선
500: 다이오드 600: 기차 의자 발판
700: 전도성 시트 P: 발

Claims (7)

  1. 어싱(Earthing)되는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에 있어서,
    측면에 홀이 형성된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 상부에 형성되고 전기전도성을 갖는 접촉부(200);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면에 구비된 복수의 결합부(300);
    상기 접촉부(200)에 연결되며 상기 홀을 통해 인출되는 인출선(400);
    상기 인출선(400)에 연결되는 다이오드(500); 및
    상기 본체부(100)를 감싸며 탄소 섬유로 이루어진 전도성 시트(700);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200)의 상부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부(300) 각각은, 일단이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면에서 연장되고, 타단이 기차의 의자 발판과 결합되는 형상의 갈고리 형태이고,
    상기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는, 상기 의자 발판과 마주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의자 발판과 동일한 넓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부(300)를 통하여 상기 의자 발판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200)의 재질은, 구리, 금 또는 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선(400)은, 구리선 또는 알루미늄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선(400)은, 기차의 접지선과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33889A 2018-11-02 2018-11-02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 KR102087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889A KR102087919B1 (ko) 2018-11-02 2018-11-02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889A KR102087919B1 (ko) 2018-11-02 2018-11-02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919B1 true KR102087919B1 (ko) 2020-03-11

Family

ID=69809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889A KR102087919B1 (ko) 2018-11-02 2018-11-02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9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8631A (ja) * 1998-05-18 1999-11-24 Koito Ind Ltd 腰掛用足掛装置
KR100563810B1 (ko) * 2000-03-14 2006-03-28 어쓰 테더 인터내셔날 코포레이션 개인용 신체 접지 장치
KR20140000973U (ko) * 2012-08-02 2014-02-12 김대중 정전기 방지 겸용 흡음 장치
KR200484977Y1 (ko) 2016-05-13 2017-11-15 문석금 어싱용 매트
KR20180008184A (ko) * 2016-07-15 2018-01-24 주식회사 나라인터내셔널 인체 접지 및 전자파 배출 전기매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8631A (ja) * 1998-05-18 1999-11-24 Koito Ind Ltd 腰掛用足掛装置
KR100563810B1 (ko) * 2000-03-14 2006-03-28 어쓰 테더 인터내셔날 코포레이션 개인용 신체 접지 장치
KR20140000973U (ko) * 2012-08-02 2014-02-12 김대중 정전기 방지 겸용 흡음 장치
KR200484977Y1 (ko) 2016-05-13 2017-11-15 문석금 어싱용 매트
KR20180008184A (ko) * 2016-07-15 2018-01-24 주식회사 나라인터내셔널 인체 접지 및 전자파 배출 전기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3779B2 (en) Personal body grounding system
US20140257449A1 (en) Conductive garment
KR20040103909A (ko) 하지의 정맥 부전 기능 장애를 전기 자극에 의해 치료하고심정맥 혈전증을 방지하기 위한 의료용 편물 및 의료 기구
US20130033121A1 (en) Personal grounding device or method to ground for a human being
KR102087919B1 (ko) 기차 의자 발판용 어싱 패드
KR200484977Y1 (ko) 어싱용 매트
KR102140081B1 (ko) 반려동물용 저주파 치료기
CN105939757B (zh) 脚穿型生长刺激装置
CN206424426U (zh) 治疗仪电极片
KR100514341B1 (ko) 전위치료장치
CN105056384B (zh) 耳迷走神经刺激仪一体式硅橡胶耳部电极
CN203723843U (zh) 一种防静电运动休闲垫
KR101253651B1 (ko) 사용이 편리한 피부미용장치용 핸들
CN202844360U (zh) 人体除静电装置
JP2004275750A (ja) 治療用器具
US20190143104A1 (en) Patient electrical treatment system
US8457765B2 (en) Ear clip with pole
KR200232246Y1 (ko) 수지용 티봉
CN208405769U (zh) 电极帽
CN209490379U (zh) 一种可供高电位治疗设备应用的通电台
CN211045935U (zh) 一种按摩椅用机内设备连接线
CN215691060U (zh) 一种按摩组件及颈部按摩装置
CN210331383U (zh) 一种远红外保健理疗座椅
TWM580893U (zh) Conductive sole structure
KR20190064775A (ko) 어싱패드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