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502B1 - 전자칠판 및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칠판 및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502B1
KR102087502B1 KR1020180062807A KR20180062807A KR102087502B1 KR 102087502 B1 KR102087502 B1 KR 102087502B1 KR 1020180062807 A KR1020180062807 A KR 1020180062807A KR 20180062807 A KR20180062807 A KR 20180062807A KR 102087502 B1 KR102087502 B1 KR 102087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location
user location
linked object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6730A (ko
Inventor
이명철
Original Assignee
키오스크코리아(주)
이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오스크코리아(주), 이명철 filed Critical 키오스크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80062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502B1/ko
Publication of KR20190136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칠판 및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은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 및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 및 상기 위치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상기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 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 한다.

Description

전자칠판 및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ELECTRONIC BOARD AND OBJECT DISPLAYING METHOD ON ELECTRONIC BOARD}
본 발명은 전자칠판 및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칠판 근처의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객체(예를 들어, 자주 쓰는 기능이나 주요 발표 내용)를 사용자 근처의 화면상에 배치하거나, 사용자를 따라다니게 할 수 있는 전자칠판 및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거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다양한 프로세스에 의해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패널(panel) 또는 스크린(screen)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로서, 그 방식에 따라서 TV, 모니터,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등 다양하게 구현된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다양한 기능이 추가 및 보강되고 있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을 터치하거나 또는 광빔을 주사 가능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전자칠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칠판은 입력수단(예를 들어, 전자펜, 신체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텍스트, 그림 또는 도형 등을 입력하여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판서 기능을 갖는 장치를 의미한다.
전자칠판은 사용자와 인터렉티브(interactive)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므로 상품 전시, 홍보관, 박물관, 매장, 길안내, 전자 교실 등에 사용되어 점차 사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그 크기도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크기가 커짐에 따라, 전자칠판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조작을 하기 위해 특정 위치로 이동할 때 움직이는 거리도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발표의 흐름이 끊기는 경우나, 전자칠판의 다수의 기능을 동시에 이용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콘텐츠의 사전 제작에 더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하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95723 (2014.05.16), 3쪽 내지 4쪽
본 발명은 전자칠판 근처의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객체(예를 들어, 자주 쓰는 기능이나 주요 발표 내용)를 사용자 근처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전자칠판 및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칠판 근처의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객체가 사용자를 따라다니도록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전자칠판 및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필요한 구성 요소를 단순화하여 생산과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자칠판 및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은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 및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 및 상기 위치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상기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 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연동 객체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텍스트 또는 도형 입력 자판) 객체 또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제어 메뉴) 객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근접 감지 센서, 움직임 감지 센서 및 터치 센서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해당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는 복수의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위치 감지 센서 어레이가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제1 거리를 산출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53788543-pat00001
여기에서, D1은 제1 거리, Dmean은 과거로부터 산출된 제2 거리의 평균값, ft()는 사용자 입력 값에 따라 기 설정된 거리 대응 값을 산출하는 함수, iuser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사용자 신장 길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 내에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 상에 오버랩하여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과거 이동 내역 가운데 기 설정된 시간동안의 이동 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이동 방향으로 상기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위치를 넘어가는 경우, 상기 이동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 내에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가 상기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 상에 오버랩되지 않도록 상기 산출된 영역 내에서 위치와 크기를 조정하여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에 대해 줄일 수 있는 최소 크기가 상기 산출된 영역을 넘어가는 경우, 하기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된 제2 거리만큼 상기 사용자 위치에서 이격된 위치로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출력한다.
[수학식 2]
Figure 112018053788543-pat00002
여기에서, D1은 제1 거리, fv()는 사용자 속도에 따라 기 산출된 보정 값을 출력하는 보정 함수, Vuser는 사용자 이동 속도, n은 상수, xmn은 n번째 회차에서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통해 해당 객체를 D1 이격 거리에서 다시 이동시킨 거리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위치에서 제2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 내에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에 대해 줄일 수 있는 최소 크기가 상기 산출된 영역을 넘어가는 경우,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나타내는 축소 아이콘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 또는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를 선택하고 터치 입력에 따라 해당 객체의 위치를 조정하여 출력하되, 상기 사용자의 위치 변동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변동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의 위치를 재조정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위치 감지 센서가 디스플레이부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제어부가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 조정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위치가 조정된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 또는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를 선택하고 터치 입력에 따라 해당 객체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 변동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변동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의 위치를 재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제1 거리를 산출하는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53788543-pat00003
여기에서, D1은 제1 거리, Dmean은 과거로부터 산출된 제2 거리의 평균값, ft()는 사용자 입력 값에 따라 기 설정된 거리 대응 값을 산출하는 함수, iuser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사용자 신장 길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 내에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가 상기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 상에 오버랩되지 않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산출된 영역 내에서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의 위치와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에 대해 줄일 수 있는 최소 크기가 상기 산출된 영역을 넘어가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하기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된 제2 거리만큼 상기 사용자 위치에서 이격된 위치로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수학식 2]
Figure 112018053788543-pat00004
여기에서, D1은 제1 거리, fv()는 사용자 속도에 따라 기 산출된 보정 값을 출력하는 보정 함수, Vuser는 사용자 이동 속도, n은 상수, xmn은 n번째 회차에서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통해 해당 객체를 D1 이격 거리에서 다시 이동시킨 거리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 및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전자칠판 근처의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객체(예를 들어, 자주 쓰는 기능이나 주요 발표 내용)를 사용자 근처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 및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전자칠판 근처의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객체가 사용자를 따라다니도록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 및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필요한 구성 요소를 단순화하여 생산과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칠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전자칠판에서 사용자의 위치 변동에 따라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전자칠판에서 사용자의 위치 변동에 따라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 및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칠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칠판(100)은 위치 감지 센서(110), 제어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칠판(100)은 입력수단(예를 들어, 전자펜, 신체(예를 들어, 손)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그림 또는 도형 등을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된 내용을 디스플레이부(130)에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부(130)에 이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에는 전자칠판(100)은 입력된 내용과 함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전자칠판(100)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화면을 갈무리하여 파일로 저장할 수도 있고, 연결된 프린터를 통해 인쇄할 수도 있다.
전자칠판(100)은 전자칠판 근처의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해당 사용자 위치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부(130) 화면 상에서 사용자 근처에 객체(object)(예를 들어, 텍스트, 도형, 이미지, 동영상 등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 독립 개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객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컨텐츠(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내용 포함)에 포함된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는 사용자의 위치에 영향을 받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위치가 변동되는 객체)와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해당 객체의 위치 변동이 사용자의 위치와 관계없는 객체)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칠판(100)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0)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를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로 설정할 수 있다. 전자칠판(100)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추가할 수도 있고,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에서 해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 연동 객체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텍스트 또는 도형 입력 자판) 객체 또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제어 메뉴)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감지 센서(110)는 디스플레이부(130)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 감지 센서(110)는 근접 감지 센서(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 광센서 등), 움직임 감지 센서(예를 들어, 모션 센서 등) 및 터치 센서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해당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프레임(frame)을 포함하며, 해당 프레임에는 복수의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위치 감지 센서 어레이(array)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0)에는 하부 프레임에 복수의 근접 감시 센서들이 길이 방향(x 축 방향)으로 배열된 센서 어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위치 감지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 조정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한다. 일 실시예에서, 객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컨텐츠(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내용 포함)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자칠판 근처의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해당 사용자 위치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부(130) 화면 상에서 사용자 근처에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자칠판(100)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30)에 디스플레이한다. 해당 컨텐츠는 교육 컨텐츠, 발표 컨텐츠, 광고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칠판(100)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저장 미디어를 통해 전자칠판(100)에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전자칠판(100)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30)에는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210, 220)와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23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제1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210)와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230)는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나타내며, 제2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22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객체의 속성(사용자 위치 연동 또는 사용자 위치 미연동)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의 하부 프레임에는 복수의 위치 감시 센서들이 길이 방향(x 축 방향)으로 배열된 센서 어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의 하부 프레임에 9개의 위치 감지 센서(S1, S2, S3, … , S9)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위치 감지 센서(110)들은 디스플레이부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위치 감지 센서(110)가 근접 감지 센서인 경우, 각 센서는 감지 영역 내에 사용자가 근접하였는 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 감지 센서로 초음파 센서가 사용된 경우, 각 센서는 초음파를 송신하고 사용자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 감지 센서로 터치 센서가 사용된 경우, 각 센서는 사용자의 터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터치 센서를 터치하여 자신의 이동을 기록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위치 감지 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 조정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한다. 제어부(120)는 위치 감지 센서(110)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프레임에 위치한 복수의 위치 감지 센서(S1, S2, S3, … , S9)들 가운데 사용자가 감지된 센서의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가장 최근에 터치한 센서가 S5인 경우, 제어부(120)는 해당 센서(S5)의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의 배치가 조밀할수록 사용자의 위치 산출 분해능이 높아질 수 있다.
해당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제어부(120)는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제1 거리를 산출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53788543-pat00005
여기에서, D1은 제1 거리, Dmean은 과거로부터 산출된 제2 거리의 평균값, ft()는 사용자 입력 값에 따라 기 설정된 거리 대응 값을 산출하는 함수, iuser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사용자 신장 길이)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과거 이동 내역 가운데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이동 방향을 산출하고, 산출된 이동 방향으로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과거 사용자의 위치 이동 궤적을 기초로 현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사용자의 이동방향이 좌에서 우 방향인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위치에서 우측 방향으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전자칠판에서 사용자의 위치 변동에 따라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210, 220)를 이동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230)는 사용자의 위치 변동(이동)과 관계없이 기 디스플레이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위치를 넘어가는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치가 S7 센서 위치를 넘어가는 경우(예를 들어, S7보다 우측)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의 반대방향인 사용자의 위치에서 좌측 방향으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전자칠판에서 사용자의 위치 변동에 따라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위치가 S7 센서 위치를 넘어가는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의 반대방향인 사용자의 위치에서 좌측 방향에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210, 220)를 디스플레이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 내에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가 있는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 상에 오버랩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 내에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을 산출하고,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가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 상에 오버랩되지 않도록 산출된 영역 내에서 위치와 크기를 조정하여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에 대해 줄일 수 있는 최소 크기가 산출된 영역을 넘어가는 경우, 제어부(120)는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된 제2 거리만큼 사용자 위치에서 이격된 위치로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한다.
[수학식 2]
Figure 112018053788543-pat00006
여기에서, D1은 제1 거리, fv()는 사용자 속도에 따라 기 산출된 보정 값을 출력하는 보정 함수, Vuser는 사용자 이동 속도, n은 상수, xmn은 n번째 회차에서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통해 해당 객체를 D1 이격 거리에서 다시 이동시킨 거리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사용자 위치에서 제2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 내에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을 산출한다.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에 대해 줄일 수 있는 최소 크기가 상기 산출된 영역을 넘어가는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나타내는 축소 아이콘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한다.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210, 220)와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230)는 사용자의 제어(예를 들어, 터치 입력)에 따라 선택될 수 있고, 선택된 객체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 또는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를 선택하고 터치 입력에 따라 해당 객체의 위치를 조정하여 출력한다. 사용자의 위치 변동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변동된 위치를 기초로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의 위치를 재조정하여 디스플레입(130)에 출력한다. 사용자의 변동된 위치에 따라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의 위치를 재조정하는 방법은 상기 위치를 조정하는 과정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위치 감지 센서(110)가 디스플레이부(130)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한다(단계 S510).
제어부(120)는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 조정한다(단계 S520).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제1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 내에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을 산출한다. 제어부(120)는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가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 상에 오버랩되지 않도록 산출된 영역 내에서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의 위치와 크기를 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에 대해 줄일 수 있는 최소 크기가 산출된 영역을 넘어가는 경우, 제어부(120)는 하기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된 제2 거리만큼 사용자 위치에서 이격된 위치로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와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위치가 조정된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출력한다(단계 S530).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 또는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를 선택하고 터치 입력에 따라 해당 객체의 위치를 조정한다. 사용자의 위치 변동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변동된 위치를 기초로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의 위치를 재조정한다.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전자칠판 및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모듈(module)이라 함은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명칭에 따른 기능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한 특정한 기능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한 특정한 기능과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탑재된 전자적 기록 매체, 예컨대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전자칠판 및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100 : 전자칠판
110 : 위치 감지 센서
120 : 제어부
13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8)

  1.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 및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 및
    상기 위치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상기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 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 내에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 상에 오버랩하여 출력하는 전자칠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칠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연동 객체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텍스트 또는 도형 입력 자판) 객체 또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제어 메뉴) 객체를 포함하는 전자칠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근접 감지 센서, 움직임 감지 센서 및 터치 센서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칠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해당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는 복수의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위치 감지 센서 어레이가 배열되는 전자칠판.
  6.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 및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 및
    상기 위치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상기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 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제1 거리를 산출하는 전자칠판.
    [수학식 1]
    Figure 112019094320338-pat00007

    여기에서, D1은 제1 거리, Dmean은 과거로부터 산출된 제2 거리의 평균값, ft()는 사용자 입력 값에 따라 기 설정된 거리 대응 값을 산출하는 함수, iuser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사용자 신장 길이)
  7. 삭제
  8. 삭제
  9.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 및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 및
    상기 위치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상기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 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과거 이동 내역 가운데 기 설정된 시간동안의 이동 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이동 방향으로 상기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위치를 넘어가는 경우, 상기 이동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출력하는 전자칠판.
  10.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 및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 및
    상기 위치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상기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 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 내에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가 상기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 상에 오버랩되지 않도록 상기 산출된 영역 내에서 위치와 크기를 조정하여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출력하는 전자칠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에 대해 줄일 수 있는 최소 크기가 상기 산출된 영역을 넘어가는 경우, 하기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된 제2 거리만큼 상기 사용자 위치에서 이격된 위치로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출력하는 전자칠판.
    [수학식 2]
    Figure 112018053788543-pat00008

    여기에서, D1은 제1 거리, fv()는 사용자 속도에 따라 기 산출된 보정 값을 출력하는 보정 함수, Vuser는 사용자 이동 속도, n은 상수, xmn은 n번째 회차에서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통해 해당 객체를 D1 이격 거리에서 다시 이동시킨 거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위치에서 제2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 내에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에 대해 줄일 수 있는 최소 크기가 상기 산출된 영역을 넘어가는 경우,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나타내는 축소 아이콘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전자칠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 또는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를 선택하고 터치 입력에 따라 해당 객체의 위치를 조정하여 출력하되,
    상기 사용자의 위치 변동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변동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의 위치를 재조정하여 출력하는 전자칠판.
  14.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위치 감지 센서가 디스플레이부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제어부가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 조정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위치가 조정된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 내에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가 상기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 상에 오버랩되지 않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산출된 영역 내에서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의 위치와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 또는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를 선택하고 터치 입력에 따라 해당 객체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 변동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변동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의 위치를 재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6.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위치 감지 센서가 디스플레이부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제어부가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사용자 위치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 조정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 위치 미연동 객체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위치가 조정된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제1 거리를 산출하는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19094320338-pat00009

    여기에서, D1은 제1 거리, Dmean은 과거로부터 산출된 제2 거리의 평균값, ft()는 사용자 입력 값에 따라 기 설정된 거리 대응 값을 산출하는 함수, iuser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사용자 신장 길이)
  17. 삭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에 대해 줄일 수 있는 최소 크기가 상기 산출된 영역을 넘어가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하기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된 제2 거리만큼 상기 사용자 위치에서 이격된 위치로 상기 사용자 위치 연동 객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수학식 2]
    Figure 112019094320338-pat00010

    여기에서, D1은 제1 거리, fv()는 사용자 속도에 따라 기 산출된 보정 값을 출력하는 보정 함수, Vuser는 사용자 이동 속도, n은 상수, xmn은 n번째 회차에서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통해 해당 객체를 D1 이격 거리에서 다시 이동시킨 거리

KR1020180062807A 2018-05-31 2018-05-31 전자칠판 및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102087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807A KR102087502B1 (ko) 2018-05-31 2018-05-31 전자칠판 및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807A KR102087502B1 (ko) 2018-05-31 2018-05-31 전자칠판 및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730A KR20190136730A (ko) 2019-12-10
KR102087502B1 true KR102087502B1 (ko) 2020-03-10

Family

ID=69003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807A KR102087502B1 (ko) 2018-05-31 2018-05-31 전자칠판 및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5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476B1 (ko) * 2014-02-17 2015-06-19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4057A (ko) * 2010-10-27 2012-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칠판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자 칠판 메뉴를 제어하는 방법, 클라이언트 장치 및 시스템
KR101395723B1 (ko) 2013-09-02 2014-05-16 현대아이비티주식회사 전자칠판 시스템
KR102322034B1 (ko) * 2014-09-26 2021-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환 거울을 구비한 장치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476B1 (ko) * 2014-02-17 2015-06-19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730A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7549B2 (en) Virtual object adjustment via physical object detection
KR102244925B1 (ko) 화면 상에서의 콘텐츠 조작 기법
US86248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ouch screen keyboard
US9703411B2 (en) Reduction in latency between user input and visual feedback
US20120188285A1 (en) Enhanced pointing interface
US20100103330A1 (en) Image projection methods and interactive input/projection systems employing the same
US20130111334A1 (en) Electronic device and p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US20100005427A1 (en) Systems and Methods of Touchless Interaction
KR101019254B1 (ko) 공간 투영 및 공간 터치 기능이 구비된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3294766B (zh) 基于文档图像将文档与笔划进行关联
KR20160033547A (ko) 컨텐트를 스타일링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10134071A1 (en) Display apparatus and touch sensing method
KR101575063B1 (ko) 뎁스 카메라를 이용한 다중 사용자 멀티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8547343B2 (en) Display apparatus
KR102087502B1 (ko) 전자칠판 및 전자칠판에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US7631271B2 (en) Touch screen user interface with multi-text field display
US11222445B2 (en) Input apparatus for displaying a graphic corresponding to an input touch command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TW202040351A (zh) 手寫輸入裝置、手寫輸入方法及程式
JP4615178B2 (ja) 情報入出力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KR20180016780A (ko) 사용자 접근에 따라 터치영역을 활성화하는 전자칠판, 이를 이용한 전자칠판 터치영역 활성화 방법
CN108062921B (zh) 显示装置、显示系统、显示方法以及记录介质
KR20170039345A (ko) 전자펜 시스템
US20060072009A1 (en) Flexible interaction-based computer interfacing using visible artifacts
EP4339745A1 (en) Touchless user-interface control method including fading
KR102005206B1 (ko)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에서 정보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