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279B1 - 뇌파 전극을 갖는 안구운동 민감 소실 및 재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뇌파 전극을 갖는 안구운동 민감 소실 및 재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279B1
KR102087279B1 KR1020180159286A KR20180159286A KR102087279B1 KR 102087279 B1 KR102087279 B1 KR 102087279B1 KR 1020180159286 A KR1020180159286 A KR 1020180159286A KR 20180159286 A KR20180159286 A KR 20180159286A KR 102087279 B1 KR102087279 B1 KR 102087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lectrode
user
eeg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혁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59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61B5/047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1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8Other bio-electrical signals
    • A61M2230/10Electroencephalographic sig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일정한 방식으로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정신적 안정 및 심리치료를 돕되 안구운동 중 뇌파를 수집하여 최적의 안구운동을 지원할 수 있는 뇌파 전극을 갖는 안구운동 민감 소실 및 재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뇌파 전극을 갖는 안구운동 민감 소실 및 재처리 장치 {Apparatus for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with EEG electrodes}
본 발명은 안구운동 민감 소실 및 재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일정한 방식으로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정신적 안정 및 심리치료를 돕되 안구운동 중 뇌파를 수집하여 최적의 안구운동을 지원할 수 있는 뇌파 전극을 갖는 안구운동 민감 소실 및 재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사고 및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다양한 요인의 증가로 정신건강과 관련한 질병도 증가하고 있으며 많은 사람이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는 고통스러운 기억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비롯하여 다양한 공포증, 공황 발작, 소아 정서적 문제 등의 정신병적 증상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다.
겉으로 나타나는 질병과 달리 이러한 정신적 질병은 사회문화정서적인 문제로 드러내기를 꺼리는 경향이 있어 문제를 더욱 가속화하여, 그 정도가 심한 단계에서 약물을 이용한 치료 방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러한 약물치료 방법은 기간이 매우 오래 걸리고, 치료효과도 매우 제한적으로 얻어질 뿐 아니라 다양한 부작용 사례가 존재하는 문제가 있었다.
근래 다양한 방식을 통해 인간의 양쪽 뇌를 자극하는 것이 정신병적 증상을 치료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보고되는 가운데 미국의 심리학자 Francine Shapiro는 자발적인 안구 운동이 부정적이고 기분 나쁜 생각을 감소시킴으로써 공포증이나 공황 장애 등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여 보고하게 되었다.
이러한 안구운동은 EMDR(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Processing)이라 칭해지며, 의사가 손가락을 좌우로 움직이고 환자가 두 눈으로 의사의 손가락을 주시하도록 하여 환자가 일정한 속도로 안구를 좌우로 움직이도록 하면서 안구운동과 함께 예컨대 좌우측 손바닥에 자극을 주는 단순한 방법을 통해 실행되고 있다.
이후 EMDR은 다양한 정신과 치료 현장에서 적용되며, 기존의 약물치료방법 대비 빠른 효과와 짧은 치료기간으로 치료자와 환자에게 만족스러운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정신병원을 방문하여 정신과 의사를 통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하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신과 방문에 따른 심리적, 시간적 제약이 있으며 환자 및 치료자의 상태에 따른 적용 효과의 차이도 존재하였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3320호 (2016.08.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일정한 방식으로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정신적 안정 및 심리치료를 돕되 안구운동 중 뇌파를 수집하여 최적의 안구운동을 지원할 수 있는 뇌파 전극을 갖는 안구운동 민감 소실 및 재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뇌파 수집을 위한 전극이 장치 착용시에만 돌출되어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전극을 보호하되, 안면에 적절한 압력으로 접촉하여 전극부착으로 인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구운동 민감 소실 및 재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안구운동 민감 소실 및 재처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양쪽 눈 부분을 덮어 착용하되, 테두리를 따라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완충부재와, 머리 부분을 둘러 고정하기 위한 밴드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내측에 위치하되, 사용자의 좌측 눈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열LED부와, 우측 눈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열LED부를 구비하는 LED바; 사용자의 양측 귀에 대응하여 음향신호를 좌우 방향에 맞춰 출력하는 음향출력부; 동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와,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완충부재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접촉하여 뇌파신호를 수집하는 전극부;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모드에 따라 상기 LED바를 제어하여 제1열LED부 및 제2열LED부를 순차적으로 점멸 구동하고, 상기 음성출력부를 설정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전극부를 통해 수집되는 뇌파를 모니터링하는 제어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는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전단의 초기위치로부터 사용자의 피부를 설정된 압력으로 가압하는 거리로 후진시키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극부는 상기 위치조절부에 설정된 간격만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전극부를 후진시키도록 작용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안면부를 통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감압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감압소자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일 경우 상기 전극부를 후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일정한 방식으로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정신적 안정 및 심리치료를 돕되 안구운동 중 뇌파를 수집하여 최적의 안구운동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뇌파 수집을 위한 전극이 장치 착용시에만 돌출되어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미사용시 전극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돌출된 전극이 안면에 적절한 압력으로 접촉하여 전극으로 인한 착용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뇌파 전극을 갖는 안구운동 민감 소실 및 재처리 장치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안구운동 민감 소실 및 재처리를 위해 사용자의 양쪽 눈 부분을 덮어 착용되는 몸체(1)를 구비하며, 몸체의 테두리에는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완충부재(11)와, 머리 부분을 둘러 고정하기 위한 밴드(12)가 형성된다.
기본적으로 상기 밴드(12)는 신축성을 갖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버클이 형성되어 몸체(1)를 고정하게 착용자의 눈 부분에 고정하게 되며, 상기 완충부재(11)는 스펀지 등 탄력과 통기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몸체(1)와 안면 피부 사이의 접촉감과 밀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몸체(1) 내측에는 사용자의 좌측 눈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열LED부(141)와, 우측 눈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열LED부(142)로 이루어지는 LED바(14)가 설치된다. 상기 LED바(14)는 좌우 길이를 갖는 기판에 다수의 LED가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구성으로 좌우 측 눈의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의 안구 측으로 빛을 방출할 수 있도록 60여 개의 LED가 일렬로 배열되며 각각 제1열LED부(141)와, 제2열LED부(142)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LED에서 출력되는 광이 착용자의 눈에 직접 조사되어 불편함을 줄 수 있으므로 난반사를 방지하고 적절한 밝기로 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필터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몸체(1)의 외측에는 LED의 광출력을 통한 안구운동과 더불어 BGM이나 안구운동을 가이드하는 나레이션을 출력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양측 귀에 대응하여 음향신호를 좌우 방향에 맞춰 출력하는 음향출력부(15)가 구비된다. 이러한 음향출력부(15)는 실질적으로 스피커의 구성으로 1개가 설치될 수 있으나 좌우로 구분되는 안구의 자극 효과를 높이기 위해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체(1)에는 이어폰 단자를 설치하고 별도의 이어폰을 꼿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몸체의 외측에는 동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161)와,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62)를 구비하는 인터페이스부(16)가 구비되어, 기본적인 동작제어와 더불어 PC나 스마트폰 등과 같이 통신기능을 지원하는 기기와 연계하여 안구 자극 데이터를 비롯하여 BMG이나 나레이션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통신부(162)는 USB 커넥터를 비롯하여 블루투스 등 상용의 데이터 전송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11)에는 착용자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접촉하여 뇌파신호를 수집하는 전극부(17)가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몸체에는 MCU의 구성으로,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모드에 따라 상기 LED바(14)를 제어하여 제1열LED부(141) 및 제2열LED부(142)를 순차적으로 점멸 구동하고, 상기 음성출력부(15)를 설정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전극부(17)를 통해 수집되는 뇌파를 모니터링하는 제어부(19)가 내장된다.
즉 상기 제어부(19)는 전체적인 제어동작과 함께 BGM이나 나래이션의 합성과 재생을 제어하며,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모드는 상기 LED바(14)의 상기 음향출력부(15)를 통한 음향 재생 등과 관련하여 그 동작 순서와 시간 등을 정의하는 정보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LED바(14)는 제1열LED부(141)와 제2열LED부(142)로 구성되고, 제1열LED부(141)와 제2열LED부(142)에는 바람직하게 각각 60개의 LED가 배열된다.
상기 제어부(19)는 구동명령이 인가되면 LED바(14)의 제1열LED부(141)와 제2열LED부(142)에 구비되는 LED를 각각 하나씩 점등하되 점등되는 LED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우측 끝의 LED가 점등된 후에는 다시 점등되는 LED를 하나씩 좌측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제1열LED부(141)와 제2열LED부(142)의 LED를 점멸 구동한다. 이러한 LED 점멸동작은 착용자에게는 LED바(14) 상에서 하나의 발광점이 좌우로 이동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안구운동 민감 소실 및 재처리 작용이 진행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완충부재(11)는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공(111)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1)에는 상기 관통공(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공간부(13)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3)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부(17)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전단의 초기위치로부터 사용자의 피부를 설정된 압력으로 가압하는 거리로 후진시키는 위치조절부(18)가 설치된다.
즉 뇌파 측정을 위한 전극부(17)가 평상시 몸체 측으로 삽입, 보관되어 보호가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몸체(1)를 착용한 상태를 인지하여 돌출되며 안면에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다.
사람의 뇌에서 전기신호로 측정되는 뇌파(Electroencephalography, EEG)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안구운동 민감 소실 및 재처리 효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는 안구운동 민감 소실 및 재처리 기능의 향상에 매우 중요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종래와 같이 두피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뇌파 측정용 전극을 활용할 수도 있으나 전극의 탈부착이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땀 등에 의해 떨어지는 등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더군다나 종래에는 두피와 전극 사이에 전기 전도성을 높이는 페이스트(Paste)와 젤(Gel)을 도포함으로 이러한 불편함을 가중시켰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11)는 안면부를 통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감압소자(112)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부(18)는 상기 감압소자(112)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일 경우 상기 전극부를 후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전극 부착동작이 없이도 몸체를 착용시 자연스럽게 전극부가 돌출하여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며 뇌파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은 몸체 착용을 인지할 수 있는 감압소자(112)를 장착하여 이를 통해 몸체 착용시 자동으로 전극이 돌출하도록 하거나, 상기 인터페이스에 전극 돌출을 위한 별도의 동작버튼을 마련하는 방식으로 운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조절부(18)는 전극부가 상기 공간부(13) 측으로 삽입되는 초기위치로부터 상기 완충부재(11)를 통과하여 착용자의 안면 피부를 설정된 압력으로 가압하는 길이로 돌출시켜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회전수 조절 가능한 모터(181)와, 모터(181) 축의 회전 방향을 바꾸기 위한 기어부(182)를 구비하며, 상기 기어부(182)의 회전을 통해 전극부(17)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진 기어부(182)를 통해 옆으로 누운 형상의 모터의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바꿔 전후방향의 축을 회전시키되 이러한 축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나사가 관통된 상태로 결합한 판재가 전극부(17)를 지지하며 축 회전을 통해 이동될 수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만약 착용자가 상기 몸체를 벗게 되어 상기 감압소자(112)가 이를 감지할 경우 상기 위치조절부(18)는 상기 전극부(17)를 초기 위치로 복구시킨다.
이때 상기 전극부(17)는 상기 위치조절부(18), 즉 전극부(17)를 안쪽에서 지지하는 판재에 띄워져 설정된 간격만큼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전극부(17)를 후진시키도록 작용하는 탄성체(171)를 통해 판재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극부(17)가 사용자의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완충작용을 위한 것으로 의도치 않은 머리의 움직임으로 인한 불편함을 줄여주며 상기 전극부(17)가 무리한 힘으로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몸체 11: 완충부재
111: 관통공 112: 감압소자
12: 밴드 13: 공간부
14: LED바 141: 제1열LED부
142: 제2열LED부 15: 음향출력부
16: 인터페이스부 161: 조작부
162: 통신부 17: 전극부
171: 탄성체 18: 위치조절부
181: 모터 182: 기어부
19: 제어부

Claims (4)

  1. 안구운동 민감 소실 및 재처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양쪽 눈 부분을 덮어 착용하되, 테두리를 따라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고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공(111)을 포함하는 완충부재(11)와, 머리 부분을 둘러 고정하기 위한 밴드(12)와, 상기 관통공(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공간부(13)가 형성된 몸체(1);
    상기 몸체(1) 내측에 위치하되, 사용자의 좌측 눈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열LED부(141)와, 우측 눈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열LED부(142)를 구비하는 LED바(14);
    사용자의 양측 귀에 대응하여 음향신호를 좌우 방향에 맞춰 출력하는 음향출력부(15);
    동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161)와,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62)를 구비하는 인터페이스부(16);
    상기 완충부재(11)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접촉하여 뇌파신호를 수집하는 전극부(17);
    상기 공간부(13)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부(17)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전단의 초기위치로부터 사용자의 피부를 설정된 압력으로 가압하는 거리로 후진시키는 위치조절부(18);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모드에 따라 상기 LED바(14)를 제어하여 제1열LED부(141) 및 제2열LED부(142)를 순차적으로 점멸 구동하고, 상기 음향출력부(15)를 설정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전극부(17)를 통해 수집되는 뇌파를 모니터링하는 제어부(19);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 전극을 갖는 안구운동 민감 소실 및 재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17)는 상기 위치조절부(18)에 설정된 간격만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전극부(17)를 후진시키도록 작용하는 탄성체(17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 전극을 갖는 안구운동 민감 소실 및 재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11)는 안면부를 통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감압소자(112)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부(18)는 상기 감압소자(112)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일 경우 상기 전극부(17)를 후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 전극을 갖는 안구운동 민감 소실 및 재처리 장치.
KR1020180159286A 2018-12-11 2018-12-11 뇌파 전극을 갖는 안구운동 민감 소실 및 재처리 장치 KR102087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286A KR102087279B1 (ko) 2018-12-11 2018-12-11 뇌파 전극을 갖는 안구운동 민감 소실 및 재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286A KR102087279B1 (ko) 2018-12-11 2018-12-11 뇌파 전극을 갖는 안구운동 민감 소실 및 재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279B1 true KR102087279B1 (ko) 2020-04-20

Family

ID=70467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286A KR102087279B1 (ko) 2018-12-11 2018-12-11 뇌파 전극을 갖는 안구운동 민감 소실 및 재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70324A (zh) * 2023-08-25 2023-10-13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安定医院 一种眼动脱敏再加工干预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8309A1 (en) * 1996-08-19 2001-10-11 Torch William 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ye movement
KR20160093320A (ko) 2015-01-29 2016-08-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 측정장치
JP2018000880A (ja) * 2016-07-10 2018-01-11 株式会社博眼 脳波及び筋電測定機能を有するメガネフレーム
KR20180009728A (ko) * 2016-07-19 2018-01-29 주식회사 휴먼라인 정신치료장치 및 개인단말기와 블루투스통신을 통해 연결된 정신치료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시스템
KR101889357B1 (ko) * 2017-09-20 2018-08-17 (주)휴비딕 눈의 나노 약물 전달용 이온공급 장치
US20180280656A1 (en) * 2017-03-28 2018-10-04 Nextvr Inc. Virtual reality methods and apparatus which use or include brain activity sensor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8309A1 (en) * 1996-08-19 2001-10-11 Torch William 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ye movement
KR20160093320A (ko) 2015-01-29 2016-08-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 측정장치
JP2018000880A (ja) * 2016-07-10 2018-01-11 株式会社博眼 脳波及び筋電測定機能を有するメガネフレーム
KR20180009728A (ko) * 2016-07-19 2018-01-29 주식회사 휴먼라인 정신치료장치 및 개인단말기와 블루투스통신을 통해 연결된 정신치료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시스템
US20180280656A1 (en) * 2017-03-28 2018-10-04 Nextvr Inc. Virtual reality methods and apparatus which use or include brain activity sensors
KR101889357B1 (ko) * 2017-09-20 2018-08-17 (주)휴비딕 눈의 나노 약물 전달용 이온공급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70324A (zh) * 2023-08-25 2023-10-13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安定医院 一种眼动脱敏再加工干预系统
CN116870324B (zh) * 2023-08-25 2024-05-24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安定医院 一种眼动脱敏再加工干预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840B1 (ko) 실시간 생체신호 모니터링 및 광 치료 기능을 포함한 이명치료기 장치
US115542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modal and non-invasive stimulation of the nervous system
US20230031613A1 (en) Wearable device
TWM553988U (zh) 穿戴式生理活動感測器、感測裝置、感測系統、電極結構及電刺激裝置
JP2012110536A (ja) 起床補助装置及び起床補助方法
KR101323260B1 (ko) 시력보호장치
WO2017125082A1 (zh) 穿戴式生理活动感测装置及系统
WO2016119665A1 (zh) 穿戴式生理检测装置
WO2018013835A1 (en) Wearabl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balancing and maintaining autonomic nervous system health
TWI669102B (zh) Wearable physiological detection device
WO2016119664A1 (zh) 穿戴式心电检测装置及穿戴式生理检测装置
WO2020219350A1 (en) Smart relaxation mask
WO2017125081A1 (zh) 眼镜式生理感测装置及具生理讯号撷取功能的眼镜结构与眼镜组合
KR102087279B1 (ko) 뇌파 전극을 갖는 안구운동 민감 소실 및 재처리 장치
CN106454577B (zh) 睡眠耳机
TWI631933B (zh) Physiological resonance stimulation method and wearable system using the same
KR20180116653A (ko) 어지럼증 치료 및 재활이 가능한 복합자극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324332B1 (ko) 생체신호 측정 장치 및 그 시스템
CN209916651U (zh) 一种太阳穴按摩装置及放松仪
CN210204731U (zh) 多用途生理检测装置
TWI701016B (zh) 多用途生理檢測裝置
TW201626950A (zh) 穿戴式心電檢測裝置
CN212970054U (zh) 一种具有保健功能的耳机
TWM566551U (zh) Multi-purpose physiological detecting device and system
CN213910264U (zh) 一种基于eeg信号的睡眠梦境反馈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