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042B1 - Control system and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ntrol system and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042B1
KR102087042B1 KR1020190056857A KR20190056857A KR102087042B1 KR 102087042 B1 KR102087042 B1 KR 102087042B1 KR 1020190056857 A KR1020190056857 A KR 1020190056857A KR 20190056857 A KR20190056857 A KR 20190056857A KR 102087042 B1 KR102087042 B1 KR 102087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ser
input unit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8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세호
Original Assignee
오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호 filed Critical 오세호
Priority to KR1020190056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04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0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erating system providing an interface extended for use in various content and a terminal including the same. The operating system comprises: a first input unit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and capable of operating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terminal; and a second input unit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and capable of operating the content separately from the first input unit. The second input unit includes an input module capable of operating the content, and an authentication module allowing the first and second input units to operate together or separately based on a signal input from a user. Accordingly, by providing various interface environments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of the user, not only the content is more easily operated, but also the burden on a finger or a wrist of the user can be reduced.

Description

조작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CONTROL SYSTEM AND TERMINAL COMPRISING THE SAME}Control system and terminal including the same {CONTROL SYSTEM AND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작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ystem and a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system and a terminal including the same that can operat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terminal screen.

콘텐츠 산업의 발전으로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 최적화된 다양한 콘텐츠가 생산 및 유통되고 있다. 이에, 다양한 콘텐츠를 대응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에 연동되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기술들이 출시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s industry, various contents optimized for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are produced and distributed. Accordingly, various interface technologies linked to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released to cope with various contents.

이러한 종래의 인터페이스 기술은 이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0875(스마트폰 블루투스 원격제어 엘이디 컨트롤러, 2013.02.06.)"에 의해 공개된 바 있다. 상기 공개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에 연동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확장기술을 특징으로 한다.This conventional interface technology has already been disclosed by "Korean Utility Model No. 20-2013-0000875 (Smartphone Bluetooth Remote Control LED Controller, 2013.02.06.)". The disclosure is characterized by an interface extension technology that can be linked to the portable terminal to control the contents of the portable terminal in real time.

다만, 종래의 인터페이스의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와 별도로 컨트롤러를 소지해야 됨에 따라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인터페이스의 경우 휴대용 단말기와 컨트롤러의 연결에서 부피가 커지고 접촉 불량 등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가 낙하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interfa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rtability is inferior as the controller has to be carried separately from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interfa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olum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ontroller are connected and the portable terminal falls and breaks due to poor contact.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0875(스마트폰 블루투스 원격제어 엘이디 컨트롤러, 2013.02.06.)Republic of Korea Open Utility Model No. 20-2013-0000875 (Smartphone Bluetooth Remote Control LED Controller, 2013.02.06.)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콘텐츠에 사용 가능하도록 확장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조작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eration system for providing an interface extended to be used for various contents and a terminal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에 따른 조작시스템은 단말기의 앞면에 마련되며, 상기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조작할 수 있는 제1 입력부 및 상기 단말기의 후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입력부와 별개로 상기 콘텐츠를 조작할 수 있는 제2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입력부는 상기 콘텐츠의 조작할 수 있는 입력모듈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입력부가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인증모듈을 포함한다.The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terminal, the first input unit for operating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terminal and the rear side of th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second input unit that can operate the content separately from the first input unit; A second in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unit includes an input module for operating the content, and an authentication module for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input units together or separately based on a signal input from a user .

상기 인증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1 및 제2 입력부가 함께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1 입력부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2 입력부가 동작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3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2 입력부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1 입력부가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module causes the first and second input units to be driven together when a first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and stops driving of the first input unit when the second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The additional operation may be performed, and when the third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driving of the second input unit may be stopped and the first input unit may be operated.

상기 인증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접촉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신호를 구별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module may distinguish the first to third signals according to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user.

상기 인증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제1 패턴을 그릴 때에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제2 패턴을 그릴 때에 상기 제2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제3 패턴을 그릴 때에 상기 제3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module generates the first signal when the user draws a first pattern, generates the second signal when the user draws a second pattern, and the third when the user draws a third pattern. You can generate a signal.

상기 인증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신호로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인증모듈에 접촉할 때에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신호로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인증모듈에 접촉할 때에 상기 제2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3 신호로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인증모듈에 접촉할 때에 상기 제3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module generates the first signal when the user contacts the authentication module by the number of times set as the first signal, and when the user contacts the authentication module by the number of times set by the second signal, the first signal is generated. The second signal may be generated, and the third signal may be generated when the user contacts the authentication module the number of times set as the third signal.

상기 인증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신호를 구별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module may distinguish the first to third signals according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상기 인증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신호로 설정된 제1 손가락을 상기 인증모듈에 접촉할 때에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신호로 설정된 제2 손가락을 상기 인증모듈에 접촉할 때에 상기 제2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3 신호로 설정된 제3 손가락을 상기 인증모듈에 접촉할 때에 상기 제3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module generates the first signal when the user contacts the authentication module with the first finger set as the first signal, and the user contacts the authentication module with the second finger set as the second signal. The second signal may be generated when the second signal is generated, and the third signal may be generated when the user contacts the authentication module with a third finger set as the third signal.

상기 입력모듈은 상기 단말기의 후면 상부영역에 마련되는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module may include a touch panel provided in an upper region of the rear side of the terminal.

상기 입력모듈은 상기 단말기의 후면에 마련되는 방향키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키는 상기 콘텐츠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키를 포함하는 방향조작모듈과, 상기 콘텐츠를 선택 및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선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module includes a direction key provided on the rear of the terminal, the direction key includes a direction operation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to enable the operation of the content, and a selection module for selecting and operating the content It may include.

상기 복수 개의 키는 상기 콘텐츠를 상측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상키, 상기 콘텐츠를 하측으로 제어할 수 있는 하키, 상기 콘텐츠를 좌측으로 제어할 수 있는 좌키 및 상기 콘텐츠를 우측으로 제어할 수 있는 우키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키의 중심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keys may include an upper key for controlling the content upward, a hockey control for the content downward, a left key for controlling the content left, and a right key for controlling the content right. The selection module may be arranged in a central area of the plurality of keys.

상기 사용자는 상기 복수 개의 키에 상기 콘텐츠의 제어와 관련된 신호를 사전에 설정 및 저장하여 해당 키가 조작될 때에 상기 콘텐츠가 사전에 설정된 신호로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The user may preset and store a signal related to control of the content in the plurality of keys so that the content is controlled by a preset signal when the corresponding key is operated.

상기 입력모듈은 상기 단말기의 후면에 마련되는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module may include a joystick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erminal.

상기 입력모듈과 상기 인증모듈은 단일의 모듈로 마련될 수 있다.The input module and the authentication module may be provided as a single module.

상기 입력모듈은 터치패널, 방향키 및 조이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modu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ouch panel, a direction key, and a joystick.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 및 제2 입력부가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신호를 사전에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user may preset and store a signal for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input units together or separatel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콘텐츠를 조작할 수 있는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1 입력부의 후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입력부와 별개로 상기 콘텐츠를 조작할 수 있는 제2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입력부는 상기 콘텐츠를 조작할 수 있는 입력모듈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입력부가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인증모듈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nput unit that displays the content and can operate the content and a second input unit provided on the rear of the first input unit for operating the content separately from the first input unit. The second input unit may include an input module capable of manipulating the content, and an authentication module configured to operate the first and second input units together or separately based on a signal input from a user.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여 콘텐츠의 조작이 보다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수지 및 손목에 부담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operation system and th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various interface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reby making it easier to manipulate the contents and reducing the burden on the user's resin and wrist. .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technical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작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작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작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조작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조작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3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5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is embodiment makes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for complete information. Shap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more clear description, and the element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means the same elements.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작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기(10)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는다.1 and 2, the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includ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nd a tablet PC. However,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type of the terminal 10 is not limited.

이러한 단말기(10)에는 조작시스템(100)이 탑재된다. 조작시스템(100)은 제1 입력부(110), 제2 입력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system 100 is mounted on the terminal 10. The operation system 100 may include a first input unit 110, a second input unit 120, a storage unit 130, and a controller 140.

먼저, 제1 입력부(110)는 단말기(10)의 앞면에 마련된다. 제1 입력부(110)는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터치패널 자체일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제1 입력부(110)를 통해 단말기(10)의 콘텐츠를 조작할 수 있다.First, the first input unit 11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10. The first input unit 110 may be a display touch panel on which content is displayed. Accordingly, the user may manipulate the content of the terminal 10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10.

그리고 제2 입력부(120)는 단말기(10)의 후면에 마련된다. 제2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제2 입력부(120)를 통해 단말기(10)의 콘텐츠를 조작할 수 있게 한다. The second input unit 12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erminal 10. The second input unit 120 allows a user to manipulate the contents of the terminal 10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120.

일반적으로 단말기(1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단말기(10)를 파지하였을 때에 엄지는 단말기(10)의 앞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는 단말기(10)의 후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다른 한 손으로 제1 입력부(110)를 조작하여 단말기(10)의 콘텐츠를 조작하거나, 단말기(10)의 앞면에 위치한 엄지를 이용하여 단말기(10)의 콘텐츠를 조작한다. 이때, 단말기(10)의 후면에 위치하는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는 단말기(1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general, when a user who uses the terminal 10 grips the terminal 10, the thumb is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10. And the user's detection, stop, ring finger and possession will be located on the back of the terminal (10). Accordingly, the user manipulates the content of the terminal 10 by operating the first input unit 110 with the other hand, or manipulates the content of the terminal 10 by using a thumb located on the front of the terminal 10. At this time, the detection, stop, ring finger and possession located on the back of the terminal 10 serves to support the terminal 10.

이에, 제2 입력부(120)는 제1 입력부(110)와 구별된 조작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터치패널(121)을 포함할 수 있다. Thus, the second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touch panel 121 to provide a different operation environment from the first input unit 110.

터치패널(121)은 사용자가 단말기(10) 후면에 위치한 수지를 이용하여 단말기(10)의 콘텐츠를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터치패널(121)은 입력모듈(121a) 및 인증모듈(121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ouch panel 121 allows a user to manipulate the contents of the terminal 10 by using a resin located on the rear of the terminal 10. The touch panel 121 may include an input module 121a and an authentication module 121b.

먼저, 입력모듈(121a)은 단말기(10) 후면 상부에 마련되어 단말기(10)를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수지를 기반으로 단말기(10)의 콘텐츠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인증모듈(121b)은 기설정된 패턴 또는 인증을 통해 제2 입력부(120)의 동작을 on/off시킬 수 있다. First, the input module 121a is provided on the rear of the terminal 10 so that a user holding the terminal 10 can manipulate contents of the terminal 10 based on the resin.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may turn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second input unit 120 through a predetermined pattern or authentication.

예컨대, 단말기(10)는 제1 입력부(110)만이 작동하고 제2 입력부(120)는 미작동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인증모듈(121b)을 통해 기설정된 패턴 또는 인증 신호를 입력하여 제1 신호를 발생시킨다면, 제어부(140)는 발생된 제1 신호를 인식하여 제2 입력부(120)가 제1 입력부(110)와 함께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erminal 10 may operate only the first input unit 110 and the second input unit 120 may not operate. At this time, if the user generates a first signal by inputting a predetermined pattern or authentication signal through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the controller 140 recognizes the generated first signal and the second input unit 120 receives the first input unit. Can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110.

이 경우에, 사용자는 제1 입력부(110)와 제2 입력부(120)를 함께 사용할 수 있어 보다 확장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user may use the first input unit 110 and the second input unit 120 together, and thus, the user may use an extended interface.

한편, 사용자가 인증모듈(121b)을 통해 기설정된 패턴 또는 인증 신호를 입력하여 제2 신호를 발생시킨다면, 제어부(140)는 발생된 제2 신호를 인식하여 제1 입력부(11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하고, 제2 입력부(120)만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제2 입력부(120)를 통해 콘텐츠를 조작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generates a second signal by inputting a predetermined pattern or authentication signal through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the controller 140 recognizes the generated second signal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first input unit 110. In this case, only the second input unit 120 may be operated. In this case, the user manipulates the content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120.

이에, 단말기(10)는 전면의 디스플레이 터치패널을 손으로 가릴 필요성이 없어진다. 따라서 보다 향상된 가시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터치패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엄지를 이용하여 제1 입력부(110)를 구동할 필요성이 없는 바, 사용자의 엄지와 손목에 부담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us, the terminal 10 does not need to cover the front display touch panel by han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visibility and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display touch panel. And there is no need to drive the first input unit 110 using the thumb,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burden on the user's thumb and wrist.

한편, 사용자가 인증모듈(121b)을 통해 기설정된 패턴 또는 인증 신호를 입력하여 제3 신호를 발생시킨다면, 제어부(140)는 발생된 제3 신호를 인식하여 제2 입력부(12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하고, 제1 입력부(110)만이 재차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generates a third signal by inputting a predetermined pattern or authentication signal through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the control unit 140 recognizes the generated third signal and the operation of the second input unit 120 is stopped. In this case, only the first input unit 110 may be operated again.

한편, 인증모듈(121b)은 입력모듈(121a)과 구별되도록 마련되거나 입력모듈(121a)에 포함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may be provided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input module 121a or included in the input module 121a.

또한, 제1 내지 제3 신호를 발생시키는 패턴 또는 인증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패턴 및 인증 방법은 기설정된 패턴을 인증모듈(121b)에 그리는 방식, 설정된 횟수로 인증모듈(121b)을 두들기는 방식 및 지문과 같은 생체정보를 인증모듈(121b)에 인증하는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ttern or authentication method for generating the first to third signals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For example, a pattern and an authentication method include a method of drawing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a method of tapping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a method of authenticating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a fingerprint to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Can be applied.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단말기(10)의 설정을 통해 그리는 방식, 두들기는 방식, 인증하는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방식에 따라 제1 내지 제3 신호를 발생시키는 패턴 또는 인증방법을 입력하여 저장한다. 이후, 단말기의 사용에서 사용자는 기설정된 신호를 입력하여 제1 입력부(110)와 제2 입력부(120)의 작동을 on/off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user may select one of a drawing method, a tapping method, and an authentication method through setting of the terminal 10. The controller may input and store a pattern or an authentication method for generating the first to third signals according to the selected method. Thereafter, in the use of the terminal, the user may input a predetermined signal to turn on / off the operations of the first input unit 110 and the second input unit 120.

예컨대, 사용자는 그리는 방식을 통해 패턴을 입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input a pattern by drawing.

이때, 사용자가 기설정된 제1 패턴을 인증모듈(121b)에 그릴 경우에, 제어부(140)는 제1 신호의 발생을 감지하여 제1 입력부(110)와 제2 입력부(120)가 함께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기설정된 제2 패턴을 인증모듈(121b)에 그릴 경우에, 제어부(140)는 제2 신호의 발생을 감지하여 제2 입력부(120)만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기설정된 제3패턴을 인증모듈(121b)에 그릴 경우에, 제어부(140)는 제3 신호의 발생을 감지하여 제2 입력부(12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제1 입력부(110)만이 다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draws a preset first pattern on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the controller 140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first signal so that the first input unit 110 and the second input unit 120 operate together. can do. When the user draws the preset second pattern on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the controller 140 may detect the occurrence of the second signal so that only the second input unit 120 is operated. In addition, when the user draws a preset third pattern on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the controller 140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third signal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second input unit 120 and the first input unit 110. Only can get it working again.

그리고 사용자는 두들기는 방식을 통해 패턴을 입력할 수 있다. And the user can input the pattern by tapping.

이때, 사용자가 제1 신호로 설정된 횟수만큼 인증모듈(121b)을 두들긴 경우에, 제어부(140)는 제1 신호의 발생을 감지하여 제1 입력부(110)와 제2 입력부(120)가 함께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2 신호로 설정된 횟수만큼 인증모듈(121b)을 두들긴 경우에, 제어부(140)는 제2 신호의 발생을 감지하여 제2 입력부(120)만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3 신호로 설정된 횟수만큼 인증모듈(121b)을 두들긴 경우에, 제어부(140)는 제3 신호의 발생을 감지하여 제2 입력부(12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제1 입력부(110)만이 다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taps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the number of times set as the first signal, the controller 140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first signal and the first input unit 110 and the second input unit 120 together. It can work. When the user taps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the number of times set as the second signal, the controller 140 may detect the occurrence of the second signal so that only the second input unit 120 may be operated. In addition, when the user taps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the number of times set as the third signal, the control unit 140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third signal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second input unit 120 and the first input unit ( Only 110 can be reactivated.

또한, 사용자는 인증하는 방식을 통해 인증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input an authentication signal through a method of authenticating.

예컨대, 사용자가 제1 신호로 설정된 손가락, 예컨대 검지의 지문을 인증모듈(121b)에 입력할 경우에, 제어부(140)는 제1 신호의 발생을 감지하여 제1 입력부(110)와 제2 입력부(120)가 함께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2 신호로 설정된 손가락, 예컨대 중지의 지문을 인증모듈(121b)에 입력할 경우에, 제어부(140)는 제2 신호의 발생을 감지하여 제2 입력부(120)만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3 신호로 설정된 손가락, 예컨대, 약지의 지문을 인증모듈(121b)에 입력할 경우에, 제어부(140)는 제3 신호의 발생을 감지하여 제2 입력부(12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제1 입력부(110)만이 다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inputs a finger set as a first signal, for example, a fingerprint of an index finger to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the controller 140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first signal to detect the first input unit 110 and the second input unit. 120 may be operated together. When the user inputs a finger set as a second signal, for example, a fingerprint of a middle finger, to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the controller 140 may detect the occurrence of the second signal so that only the second input unit 120 may be operated. have. 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s a finger set as a third signal, for example, a fingerprint of the ring finger, to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the controller 140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third signal to operate the second input unit 120. Stop and allow only the first input 110 to be reactivat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인증방법으로 기설정된 패턴을 인증모듈(121b)에 그리는 방식, 설정된 횟수로 인증모듈(121b)을 두들기는 방식 및 지문과 같은 생체정보를 인증모듈(121b)에 인증하는 방식 등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인증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method of drawing a predetermined pattern as an authentication method on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a method of tapping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a set number of times, and a method of authenticating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a fingerprint to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And the like. However, this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authentication method may be variously changed.

한편, 저장부(130)는 단말기(10)에 마련되며, 조작시스템(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저장부(130)는 클라우드 등와 같은 인터넷 환경에 마련된 서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orage unit 130 is provided in the terminal 10,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ystem 100 may be mounted. However, this is to describe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torage unit 130 may be a server provided in an internet environment such as a cloud.

그리고 제어부(140)는 단말기(10)에 마련된다. 제어부(140)는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조작시스템(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단말기에 마련된 연산장치일 수 있으나, 제어부(140)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는다.The controller 140 is provided in the terminal 10.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10 and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ystem 100. The controller 140 may be a computing device provided in the terminal, but the type of the controller 140 is not limited.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에에 따른 조작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술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를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작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작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작시스템(100)은 제2 입력부(220)가 방향키(221)를 포함할 수 있다.3 and 4, in the op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econd input unit 220 may include a direction key 221.

방향키(221)는 사용자가 단말기(10) 후면에 위치한 수지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콘텐츠를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향키(221)는 방향조작모듈(221a) 및 선택모듈(221b)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rection key 221 allows the user to manipulate the contents of the terminal using the resin located on the back of the terminal 10. The direction key 221 may include a direction manipulation module 221a and a selection module 221b.

먼저, 방향조작모듈(221a)은 콘텐츠를 상측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상키(221aa), 콘텐츠를 하측으로 제어할 수 있는 하키(221ab), 콘텐츠를 좌측으로 제어할 수 있는 좌키(221ac) 및 콘텐츠를 우측으로 제어할 수 있는 우키(221ad)를 포함할 수 있다. First, the direction manipulation module 221a controls the upper key 221aa for controlling the content upwards, the hockey 221ab for controlling the content downwards, the left key 221ac for controlling the content leftwards, and the content. It may include a right key (221ad) that can be controlled to the right.

이러한 방향조작모듈(221a)은 콘텐츠의 방향 조작뿐만 아니라 각각의 키에 설정된 동작신호를 입력하여, 해당 키가 조작될 때에 콘텐츠의 해당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카메라 기능을 선택한 상태에서 상키(221aa)를 조작할 경우 카메라의 줌인 동작이 수행될 수 있고 하키(221ab)를 조작할 경우 카메라의 줌 아웃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좌키(221ac) 및 우키(221ad)는 심도 및 밝기 등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The direction manipulation module 221a may input not only the direction manipulation of the content but also an operation signal set to each key so that the corresponding operation of the content is performed when the corresponding key is operated. For example, when the user operates the top key 221aa while the user selects the camera function, the zoom in operation of the camera may be performed, and when the hockey 221ab is operated, the zoom out operation of the camera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left key 221ac and the right key 221ad may control depth and brightness.

그리고 선택모듈(221b)은 방향조작모듈(221a)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선택모듈(221b)은 사용자가 클릭 또는 더블 클릭을 통해 콘텐츠를 선택 및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선택모듈(221b)은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선택모듈(221b)의 형태는 한정하지 않는다.The selection module 221b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irection manipulation module 221a. The selection module 221b allows a user to select and manipulate content by clicking or double clicking. The selection module 221b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but the shape of the selection module 221b is not limited.

한편, 인증모듈(121b)은 기설정된 패턴 또는 인증을 통해 제1 입력부(110)와 제2 입력부(220)의 작동을 on/off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인증모듈(121b)은 방향조작모듈(221a)의 외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인증모듈(121b)을 통해 제1 내지 제3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Meanwhile,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may turn on / off the operations of the first input unit 110 and the second input unit 220 through a predetermined pattern or authentication.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is disposed outside the direction manipulation module 221a to allow a user to input first to third signals through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인증모듈(121b)과 선택모듈(221b)이 개별적으로 마련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다만, 인증모듈(121b)과 선택모듈(221b)은 일체로 마련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However,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and the selection module 221b are separately provided. However, it is noted that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and the selection module 221b may be provided integrally.

도 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조작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조작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and FIG.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조작시스템(100)은 제2 입력부(320)가 조이스틱(321)을 포함할 수 있다.5 and 6, in the op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second input unit 320 may include a joystick 321.

즉, 제2 입력부(320)는 조이스틱(321) 및 인증모듈(121b)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input unit 320 may include a joystick 321 and an authentication module 121b.

먼저, 조이스틱(321)은 단말기(1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가 단말기(10) 후면에 위치한 수지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콘텐츠를 조작할 수 있게 한다. First, the joystick 321 protrudes from the rear of the terminal 10, so that the user can manipulate the contents of the terminal by using the resin located on the rear of the terminal 10.

이러한 조이스틱(321)은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따라 적어도 일영역이 틸팅 또는 이동되며 콘텐츠가 360도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조이스틱(321)을 단말기 방향으로 클릭 또는 더블 클릭할 때에 콘텐츠가 선택 및 조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이스틱(321)은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조이스틱(321)의 형태는 한정하지 않는다.The joystick 321 tilts or moves at least one region according to the force applied from the user, and enables the content to be manipulated in the 360 degree direction. When the user clicks or double-clicks the joystick 321 toward the terminal, the content may be selected and manipulated. The joystick 321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the shape of the joystick 321 is not limited.

그리고 인증모듈(121b)은 기설정된 패턴 또는 인증을 통해 제1 입력부(110)와 제2 입력부(120)의 작동을 on/off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인증모듈(121b)은 조이스틱(321) 외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인증모듈(121b)을 통해 제1 내지 제3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may turn on / off the operations of the first input unit 110 and the second input unit 120 through a predetermined pattern or authentication.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is disposed outside the joystick 321 to allow a user to input first to third signals through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조이스틱(321)과 인증모듈(121b)이 개별적으로 마련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다만, 원통형으로 마련되는 조이스틱(321)의 상면은 지문 인증방식으로 인증모듈(121b)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증모듈(121b)은 배제될 수 있다.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joystick 321 and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are separately provided. However, the upper surface of the joystick 321 which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may replace the role of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by a fingerprint authentication method, in which case the authentication module 121b may be excluded.

한편, 상술된 실시예에서 콘텐츠의 조작은 디스플레이 터치패널에 출력되는 마우스 커서의 조작, 웹 브라우저의 조작, 사진 및 영상의 조작, 카메라의 조작, 게임의 조작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콘텐츠의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manipulation of the contents may include manipulation of a mouse cursor output to a display touch panel, manipulation of a web browser, manipulation of photos and images, manipulation of a camera, manipulation of a game, and the like. It does not limit.

이와 같이, 조작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여 콘텐츠의 조작이 보다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수지 및 손목에 부담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uch, the operation system and th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provide various interface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reby making it easier to manipulate the content and reducing the burden on the user's resin and wrist.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6)

단말기의 앞면에 마련되며, 상기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조작할 수 있는 제1 입력부; 및
상기 단말기의 후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입력부와 별개로 상기 콘텐츠를 조작할 수 있는 제2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입력부는 상기 단말기의 후면을 지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수지를 통해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콘텐츠의 조작할 수 있는 입력모듈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입력부가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인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증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1 및 제2 입력부가 함께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1 입력부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2 입력부가 동작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3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2 입력부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1 입력부가 동작되도록 하는 조작시스템.
A first input unit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and configured to manipulate content displayed on the terminal; And
A second input unit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to manipulate the contents separately from the first input unit,
The second input unit receives a signal through the resin of the user supporting the back of the terminal,
An input module that can manipulate the content;
An authentication module for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input unit together or separately based on a signal input from a user,
The authentication module
The first and second input unit is driven together when a first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When the second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the driving of the first input unit is stopped and the second input unit is operated,
And the third input unit is stopped from driving when the third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and the first input unit is operated.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접촉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신호를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uthentication module
And the first to third signals according to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user.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제1 패턴을 그릴 때에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제2 패턴을 그릴 때에 상기 제2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제3 패턴을 그릴 때에 상기 제3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uthentication module
Generating the first signal when the user draws the first pattern,
Generating the second signal when the user draws a second pattern,
And the third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user draws a third pattern.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신호로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인증모듈에 접촉할 때에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신호로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인증모듈에 접촉할 때에 상기 제2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3 신호로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인증모듈에 접촉할 때에 상기 제3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uthentication module
Generating the first signal when the user contacts the authentication module a number of times set as the first signal,
Generating the second signal when the user contacts the authentication module a number of times set as the second signal,
And generating the third signal when the user contacts the authentication module the number of times set as the third signal.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신호를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uthentication module
And the first to third signals according to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신호로 설정된 제1 손가락을 상기 인증모듈에 접촉할 때에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신호로 설정된 제2 손가락을 상기 인증모듈에 접촉할 때에 상기 제2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3 신호로 설정된 제3 손가락을 상기 인증모듈에 접촉할 때에 상기 제3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authentication module
Generating the first signal when the user touches the authentication module with the first finger set as the first signal,
Generating the second signal when the user touches the authentication module with a second finger set as the second signal,
And generating the third signal when the user touches the authentication module with a third finger set as the third sig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듈은
상기 단말기의 후면 상부영역에 마련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put module
And a touch panel provided at an upper rear region of the termi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듈은
상기 단말기의 후면에 마련되는 방향키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키는
상기 콘텐츠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키를 포함하는 방향조작모듈과,
상기 콘텐츠를 선택 및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선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put module
Includes a direction key provided on the back of the terminal,
The direction key
A direction manipulation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to enable manipulation of the contents;
And a selection module for selecting and manipulating the contents.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키는
상기 콘텐츠를 상측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상키, 상기 콘텐츠를 하측으로 제어할 수 있는 하키, 상기 콘텐츠를 좌측으로 제어할 수 있는 좌키 및 상기 콘텐츠를 우측으로 제어할 수 있는 우키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키의 중심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plurality of keys
An upper key to control the content upward, a hockey control to control the content downward, a left key to control the content to the left, and a right key to control the content to the right,
The selection module
And a center area of the plurality of keys.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복수 개의 키에 상기 콘텐츠의 제어와 관련된 신호를 사전에 설정 및 저장하여 해당 키가 조작될 때에 상기 콘텐츠가 사전에 설정된 신호로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user
And setting and storing a signal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content in the plurality of keys in advance so that the content is controlled by a preset signal when the corresponding key is operat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듈은
상기 단말기의 후면에 마련되는 조이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put module
Operation system comprising a joystick provided on the rear of the termi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듈과 상기 인증모듈은
단일의 모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put module and the authentication module
Opera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s a single modu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듈은
터치패널, 방향키 및 조이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put module
And at least one of a touch panel, a direction key, and a joystic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 및 제2 입력부가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신호를 사전에 설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And storing in advance a signal for causing the first and second input units to operate together or separately.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콘텐츠를 조작할 수 있는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1 입력부의 후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입력부와 별개로 상기 콘텐츠를 조작할 수 있는 제2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입력부는 상기 단말기의 후면을 지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수지를 통해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콘텐츠를 조작할 수 있는 입력모듈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입력부가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인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증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1 및 제2 입력부가 함께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1 입력부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2 입력부가 동작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3 신호가 입력될 때에 상기 제2 입력부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1 입력부가 동작되도록 하는 단말기.
A first input unit configured to display content and manipulate the content; And
A second input unit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input unit to manipulate the content separately from the first input unit,
The second input unit receives a signal through the resin of the user supporting the back of the terminal,
An input module capable of manipulating the content;
An authentication module for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input unit together or separately based on a signal input from a user,
The authentication module
The first and second input unit is driven together when a first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When the second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the driving of the first input unit is stopped and the second input unit is operated,
And a terminal configured to stop driving of the second input unit and to operate the first input unit when a third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KR1020190056857A 2019-05-15 2019-05-15 Control system and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KR1020870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857A KR102087042B1 (en) 2019-05-15 2019-05-15 Control system and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857A KR102087042B1 (en) 2019-05-15 2019-05-15 Control system and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042B1 true KR102087042B1 (en) 2020-03-10

Family

ID=69800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857A KR102087042B1 (en) 2019-05-15 2019-05-15 Control system and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04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875U (en) 2011-07-28 2013-02-06 최형근 Smart Phone Bluetooth remote control LED Controller
JP2016024580A (en) * 2014-07-18 2016-02-08 富士通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put control method, and input control program
KR20160122517A (en) * 2015-04-14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875U (en) 2011-07-28 2013-02-06 최형근 Smart Phone Bluetooth remote control LED Controller
JP2016024580A (en) * 2014-07-18 2016-02-08 富士通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put control method, and input control program
KR20160122517A (en) * 2015-04-14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95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ing with computer devices
US10228833B2 (en) Input device user interface enhancements
US10108337B2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hybrid keyboard
US10732731B2 (en) Computer mouse
US8638315B2 (en) Virtual touch screen system
KR10095595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ing with computer devices
US10365822B2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multi-handed hybrid interface devices
JP2013238935A (en) Input device, input device controlling method, controll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116567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impedance touch sensor array force aware interaction in large surface devices
US111944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rect force aware touch control with variable impedance touch sensor arrays
US20100171706A1 (en) Information processor,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16183912A1 (en) Menu layout arrangement method and apparatus
KR20160019762A (en)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with one hand
JP2006092321A (en) Electronic equipment and touchpad device
KR20050084748A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ing with computer devices
CN110427138A (en) Transl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050074268A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ing with computer devices
CN100543659C (en) The navigator that is used for three-dimensional graphic user interface
KR20050083542A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ing with computer devices
KR102087042B1 (en) Control system and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KR20050074269A (en) Event processing for a navigation control device
KR101661890B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of mobile terminal
CA3170451A1 (en) Electronic input system
WO2015049892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JP7408015B1 (en) Terminal operation setting program, terminal operation setting method, terminal operation setting device, and user interfac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