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996B1 - 소비자 반응을 이용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 이를 이용한 상품 기획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소비자 반응을 이용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 이를 이용한 상품 기획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996B1
KR102086996B1 KR1020190096237A KR20190096237A KR102086996B1 KR 102086996 B1 KR102086996 B1 KR 102086996B1 KR 1020190096237 A KR1020190096237 A KR 1020190096237A KR 20190096237 A KR20190096237 A KR 20190096237A KR 102086996 B1 KR102086996 B1 KR 102086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onsumer
information
reaction information
platform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영
Original Assignee
장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영 filed Critical 장현영
Priority to KR1020190096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9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브랜드(brand) 관리 플랫폼 시스템은, 상품의 시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품정보 제공부; 하나 이상의 소비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시제품에 대한 반응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반응정보 수집부; 상기 상품의 카테고리 별로 소비자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값 또는 표준 어휘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기준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기준값 또는 상기 표준 어휘를 이용하여 상기 반응정보를 정량화된 소비자 반응 수치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반응정보 분석부; 및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시제품을 보완할 상품의 보완요소 및 상기 보완요소에 관련된 척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상품 기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에 의하면, 상품 또는 서비스의 시제품에 대해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또는 설문에 대한 응답으로 보인 반응들을 사전에 정의된 어휘 기반 규칙에 의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시제품을 보완한 제품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을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비자 반응을 이용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 이를 이용한 상품 기획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PLATFORM SYSTEM FOR BRAND MANAGEMENT USING RESPONSES OF CONSUMERS, METHOD FOR PRODUCT PLANNING USING THE SAME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
실시예들은 브랜드(brand) 관리 플랫폼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상품 기획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의 카테고리에 따라 시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판매자가 측정된 소비자 반응을 기준으로 삼아 보완된 제품을 기획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 관련 기술에 대한 것이다.
제조업 분야에 종사하는 판매자들은, 시시 각각 변화하는 트렌드에 맞추어 소비자들의 수요를 충족하는 상품을 새로이 개발하여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현재는 제조업 분야 판매자들은 각자 독자적인 방법으로 소비자들의 수요를 예측하여 아이디어를 기획하고 이를 상품화하며, 상품화가 완료된 후 양산을 위한 제조 설비를 마련하고 상품에 대한 마케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판매자가 자신의 시장 분석만을 토대로 상품을 개발하는 상황에서는, 새로운 상품이 시장에서 판매되기 전의 상품화 과정이나 양산 과정에서는 소비자들의 반응을 직접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한계로 인하여, 제품 출시 시점의 소비자들의 수요를 정확하게 반영한 상품이 시장에 출시되는 것은 쉽지 않으며, 때로는 상품 자체의 우수성보다도 상품화 후 마케팅에 따라 상품의 성공 또는 실패가 결정되어 버리기도 한다.
또한, 판매자는 해외에서 상업적으로 성공한 상품을 수입하여 국내에 출시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국가 별로 법규상의 제약, 시장 상황 및 소비자의 선호도 등이 상이하므로 해외에서의 상품 성공이 국내에서의 상품 성공을 보장해주지는 못하며, 수입 제품을 국내에 출시하려면 국내 실정에 맞는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상품을 수입하는 판매자로서는 어떠한 요소들에 대한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한지를 상품 출시 전에 확인하는 것이 쉽지 않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8369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품화 기획부터 판매까지의 브랜드(brand) 사업의 모든 과정이 소비자들의 반응을 반영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판매자가 측정된 소비자 반응을 기준으로 삼아 보완된 제품을 기획할 수 있도록 하는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상품 기획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브랜드(brand) 관리 플랫폼 시스템은, 상품의 시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품정보 제공부; 하나 이상의 소비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시제품에 대한 반응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반응정보 수집부; 상기 상품의 카테고리 별로 소비자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값 또는 표준 어휘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기준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기준값 또는 상기 표준 어휘를 이용하여 상기 반응정보를 정량화된 소비자 반응 수치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반응정보 분석부; 및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시제품을 보완할 상품의 보완요소 및 상기 보완요소에 관련된 척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상품 기획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준 어휘는 하나 이상의 긍정 표준 어휘 및 하나 이상의 부정 표준 어휘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정보 분석부는, 상기 반응정보에서 상기 긍정 표준 어휘 또는 상기 부정 표준 어휘 중 하나 이상의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응정보 분석부는, 상기 반응정보에서 후기 사진의 존재 여부, 판매자 평점, 제품 평점 및 사용자들의 공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더 이용하여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반응정보를 전송한 상기 소비자에게 상기 반응정보의 제공에 대한 보상으로 수수료 또는 상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을 통한 상품 구매에 관련된 혜택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보상 결정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상 결정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비자 중 상기 상품 기획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보완요소에 상응하는 상기 반응정보를 전송한 소비자에게 상기 수수료 또는 상기 상품 구매에 관련된 혜택을 제공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품 기획 방법은,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에 상품의 카테고리 별로 소비자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값 또는 표준 어휘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상품의 시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이 하나 이상의 소비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시제품에 대한 반응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기준값 또는 상기 표준 어휘를 이용하여 상기 반응정보를 정량화된 소비자 반응 수치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시제품을 보완할 상품의 보완요소 및 상기 보완요소에 관련된 척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준 어휘는 하나 이상의 긍정 표준 어휘 및 하나 이상의 부정 표준 어휘를 포함하며,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반응정보에서 상기 긍정 표준 어휘 또는 상기 부정 표준 어휘 중 하나 이상의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반응정보에서 후기 사진의 존재 여부, 판매자 평점, 제품 평점 및 사용자들의 공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더 이용하여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기획 방법은, 상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반응정보를 전송한 상기 소비자에게 상기 반응정보의 제공에 대한 보상으로 수수료 또는 상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을 통한 상품 구매에 관련된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비자 중 상기 상품 기획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보완요소에 상응하는 상기 반응정보를 전송한 소비자에게 상기 수수료 또는 상기 상품 구매에 관련된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품 기획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브랜드(brand) 관리 플랫폼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상품 기획 방법에 의하면, 상품 또는 서비스의 시제품에 대해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또는 설문에 대한 응답으로 보인 반응들을 사전에 정의된 어휘 기반 규칙에 의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시제품을 보완한 제품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을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상품 기획 방법에 의하면, 시제품에 대한 반응을 보임으로써 상품 기획에 도움을 준 소비자들에 대하여 소정의 기준에 따른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시제품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응을 보이도록 유도하여 판매자의 시장 분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상품 기획 방법에 의하면, 판매자가 시제품을 보완한 제품을 기획하였을 경우 시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토대로 설정된 기준을 보완된 제품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플랫폼이 자동으로 검사하여 제품에 대한 판매를 승인함으로써 플랫폼을 통해 판매되는 상품들의 품질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랜드(brand) 관리 플랫폼 시스템을 포함하는 장치 간의 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기획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기획 방법에 의하여 소비자 반응을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랜드(brand) 관리 플랫폼 시스템을 포함하는 장치 간의 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상품 판매자의 사용자 장치(1)(또는, 제1 사용자 장치) 및 판매자의 상품에 대한 잠재적인 구매자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소비자의 사용자 장치(2)(또는, 제2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며 동작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 장치(1, 2)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앱(app))과 통신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또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 장치(1, 2)상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등을 통하여 접속 가능한 소정의 웹 페이지(web page)를 제공하는 웹 서버(web server)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판매자의 제1 사용자 장치(1)는 노트북 컴퓨터의 형태로 도시되며 소비자의 제2 사용자 장치(2)는 스마트폰(smartphone)의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각각의 사용자 장치(1, 2)로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등 임의의 컴퓨팅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 사용자 장치(1, 2)의 개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의하여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을 이용할 수 있는 판매자 또는 소비자의 수가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쇼핑몰 서버(4)와 더 통신하며 동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판매자의 상품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직접 전송하고 추가적으로 소비자가 희망할 경우 상품의 구매까지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품에 대한 정보의 제공과 구매 기능은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과 별도로 구비된 쇼핑몰 서버(4)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쇼핑몰 서버(4)는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의 운영자와 동일한 사업자 또는 다른 상이한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폐쇄몰 또는 오픈 마켓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판매자의 시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시제품의 보완요소 및 그 척도에 대한 기준을 설정함으로써 판매자가 소비자들의 반응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동작을 위하여,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1, 2) 및/또는 쇼핑몰 서버(4)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들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 및 이와 통신하는 각각의 장치, 서버 및 이들에 포함된 각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장치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module)", "서버", "시스템", "플랫폼", "장치" 또는 "단말"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여기서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상품정보 제공부(31), 반응정보 수집부(32), 기준정보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33), 반응정보 분석부(34) 및 상품 기획부(35)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보상 결정부(36)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보완상품 검증부(37)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1에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의 각 부(31-37)는 서로 구분되는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을 이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에 의해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술한 각 부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하나의 장치 내에 집적화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 이상의 부가 다른 부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의 각 부는 분산 컴퓨팅 환경 하에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다.
상품정보 제공부(31)는, 판매자의 상품의 시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상의 동작은 쇼핑몰 서버(4)를 경유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품이란, 제조업에 종사하는 판매자에 의하여 생산된 제품을 예시로 하여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물품이 아닌 다른 유형의 물건 또는 무형의 서비스 등 판매자와 소비자 사이의 거래의 대상이 되는 임의의 재화 또는 용역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시제품 역시 마찬가지로 유형의 제품을 예시로 하여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정보 수집부(32)는, 하나 이상의 소비자의 사용자 장치(2)로부터 상품의 시제품에 대한 반응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품에 대한 정보의 제공 과정과 마찬가지로, 일 실시예에서는 시제품에 대한 반응정보를 수신하는 과정도 쇼핑몰 서버(4)를 경유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소비자의 반응이란, 소비자가 상품 또는 판매자에 대해 매긴 평점이나, 소비자가 상품에 대해 업로드한 후기 또는 사진, 자신의 후기에 대해 소비자가 붙인 태그(tag) 정보, 타인의 후기에 대해 소비자가 표시한 공감 정보 등 소비자가 상품에 대한 호불호를 나타낼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정보를 지칭한다.
기준정보 DB(33)는, 반응정보 수집부(32)에 수집된 소비자 반응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정보들을 저장한다. 예컨대, 기준정보 DB(33)에 저장되는 정보는 소비자 반응을 수치화한 결과에 대한 기준값, 또는 소비자가 입력한 후기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전에 설정된 단어(예컨대, 긍정 표준 어휘 및 부정 표준 어휘를 포함한다)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기준정보는 상품의 카테고리별로 각각 설정됨으로써 상품의 특성에 따라 이에 적합한 기준을 적용하여 소비자 반응의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반응정보 분석부(34)는, 기준정보 DB(33)에 저장된 기준값 또는 표준 어휘 등을 이용하여 소비자들의 반응정보를 정량화된 소비자 반응 수치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반응정보 분석부(34)는 반응정보에서 긍정 표준 어휘 및/또는 부정 표준 어휘의 빈도에 기초하여 소비자 반응 수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또한, 반응정보 분석부(34)는 소비자 반응정보에서 후기 사진의 존재 여부, 판매자 평점, 제품 평점 및/또는 사용자들의 공감 정보 등을 더 이용하여 소비자 반응 수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품 기획부(35)는, 반응정보 분석부(34)에 의해 얻어진 소비자 반응 수치를 기초로, 판매자의 시제품을 보완할 상품에 관련된 보완요소 및 보완요소에 관련된 척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보완요소란 시제품에서 보완이 필요한 상품 특성을 지칭할 수 있으며, 척도는 해당 상품 특성을 보완함으로써 달성하여야 하는 특정 측정값 또는 소비자들의 반응 수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보완요소 및 보완요소에 관련된 척도에 대한 정보는 판매자의 사용자 장치(1)에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보상 결정부(36)를 포함하며, 보상 결정부(36)는 시제품에 대한 반응을 보임으로써 보완 제품의 기획에 기여한 소비자들에게 반응정보의 제공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반응정보의 제공에 따른 보상은 수수료 또는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또는, 쇼핑몰 서버(4))을 통한 상품 구매에 관련된 적립금, 포인트, 할인, 빠른 배송 등 혜택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상 결정부(36)는 시제품에 대해 반응정보를 전송한 소비자 중 특히 상품 기획부(35)에 의해 보완요소로 결정된 상품 특성에 관련된 반응을 보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보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보완상품 검증부(37)를 더 포함하며, 보완상품 검증부(37)는 판매자가 보완요소 및 관련 척도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은 후 새로 개발한 보완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러한 보완 상품이 기존에 시제품을 기반으로 결정된 보완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보완상품 검증부(37)는, 보완이 요구되었던 상품 특성에 대한 자료가 판매자로부터 수신되었는지 여부 및/또는 보완 제품에 대한 초기 소비자들의 반응정보를 토대로 보완 상품이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기획 방법의 순서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상품 기획 방법은 실시예들에 따른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소비자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값 및/또는 표준 어휘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S1). 표준 어휘는 긍정 표준 어휘와 부정 표준 어휘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들의 출현 빈도에 기반하여 소비자 반응의 텍스트(text)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소비자 반응을 수치적으로 정량화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준값과 표준 어휘는 모든 상품에 대해 동일한 것이 아니라 상품의 카테고리별로 각각 별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판매자는, 제1 사용자 장치(1)로부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에 시제품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시제품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노출시키며, 소비자들이 희망할 경우 시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판매자의 시제품 정보의 제공과 구매 기능은 쇼핑몰 서버(4)를 통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시제품에 대한 정보를 열람하거나 시제품을 직접 사용해 본 소비자들은, 제2 사용자 장치(2)로부터 시제품에 대한 반응정보를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에 전송할 수 있다(S3). 시제품 정보의 제공과 구매 과정과 마찬가지로, 소비자들로부터 반응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역시 쇼핑몰 서버(4)를 경유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소비자로부터 반응정보를 수신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에서는,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에 미리 저장된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소비자의 반응 정보를 소비자 반응 수치로 정량화하고(S4), 정량화된 소비자 반응 수치를 토대로 판매자의 시제품에 관련된 보완요소 및 척도를 결정할 수 있다(S5).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기획 방법에 의하여 소비자 반응을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비자들은 상품에 대하여 소위 리뷰(review) 등의 형태로 반응을 보일 수 있는데, 이러한 리뷰는 기본적으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소비자가 업로드한 텍스트 정보에서 사전에 설정된 표준 어휘를 탐지하고, 그 출현 빈도를 기초로 소비자 반응을 수치화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소비자 반응정보는 리뷰 외에도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이 제공하는 설문에 대한 소비자의 응답을 통하여 얻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고급스러운"(321) 또는 "만족"(329)과 같이 그 존재 자체가 긍정적인 의미인 단어, 또는 "좋아"(322), "좋았습니다"(323) 등과 같이 "좋다"라는 긍정적인 어간을 가지는 단어를 일반적으로 긍정 표준 어휘로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좋았는데"(327)와 같이 어미의 형태에 따라서는 어간의 기본적인 의미와 의미를 달리하는 어절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특정 소비자의 리뷰에 대한 평가는 해당 리뷰에서 검출된 복수의 어휘를 반영하여 종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어휘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실제 검출하여야 하는 어휘는 어미의 변형된 형태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나아가,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전술한 일반 표준 어휘 외에도 해당하는 상품의 특성(예컨대, 식품, 생활용품 등 물품의 카테고리, 또는 제조업, 유통업 등 업종의 카테고리 등)에 따라 흔히 사용되는 어휘들을 표준 어휘로 지정할 수 있다. 의류의 경우를 예로 들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트(fit)", "신축성", "착용감" 등의 용어가 상품의 특성을 평가할 때 흔히 사용되므로, 이러한 단어의 존재 자체나 또는 이러한 단어가 "좋다" 또는 "나쁘다" 등 일반적인 평가 어휘와 함께 조합되어 사용된 형태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트되는", "피트된다" 등 "피트"(326)라는 단어의 존재가 긍정 표준 어휘에 해당할 수 있으며, 또는 "신축성" 또는 "착용감"과 함께 "좋아", "좋았습니다" 등의 "좋다"라는 어간을 가진 어휘가 인접하여 사용된 경우(322, 323)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이를 긍정 표준 어휘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부정 표준 어휘의 예로는 "줄어든"(324)과 같이 "줄다"라는 어간을 가진 어휘, 또는 "보푸라기"(328)라는 그 자체가 상품의 부정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어휘가 존재할 경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이를 부정 표준 어휘로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전술한 단어 인식을 기반으로 각 소비자의 평가를 점수화하고, 복수의 소비자들에 의한 평가 점수를 합산하여 소비자 반응 수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소비자 반응정보의 텍스에서 부정 표준 어휘의 출현 빈도가 높을수록 소비자 반응 수치의 점수가 감소하고, 긍정 표준 어휘의 출현 빈도가 높을수록 소비자 반응 수치의 점수가 증가하도록 소비자 반응 수치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소비자 반응에서 검출된 부정 표준 어휘 중 "나쁘다"와 같은 일반적인 평가가 아니라 "줄다" 또는 "보푸라기" 등 상품의 특정 속성을 지칭하는 단어를 검출함으로써, 시제품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보완요소와 척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전술한 텍스트 기반의 분석 외에도 소비자들의 업로드한 다른 정보를 더 반영하여 소비자 반응 수치를 정의할 수도 있다. 예컨대, 소비자들이 업로드한 다른 정보에는 후기 사진(301)의 존재 여부, 상품에 대한 평점(302), 다른 소비자의 후기에 대한 공감 및/또는 비공감 정보(303), 소비자가 자신의 후기에 대해 입력 또는 선택한 태그(tag) 정보(304, 305) 등이 추가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상품에 대한 직접적인 평가 외에도 소비자들이 해당 상품의 판매자에 대하여 업로드한 평점(310) 또는 호감의 표시(311) 등이 소비자 반응 수치의 결정에 더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소비자들이 후기 사진(301)을 올리지 않은 경우에 비해 후기 사진(301)을 올렸을 경우 더 높은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또는,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텍스트 기반으로 소비자의 반응을 긍정 또는 부정으로 분류하고 점수를 부여하되, 후기 사진(301)이 있을 경우 가중치를 부여할 수도 있다. 예컨대, 긍정적인 텍스트를 올린 소비자가 후기 사진(301)도 업로드하였을 경우 추가적인 양의 점수를 가산하고, 부정적인 텍스트를 올린 소비자가 후기 사진(301)도 업로드하였을 경우에는 추가적인 음의 점수를 가산할 수 있다.
또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개별 소비자들의 리뷰를 긍정 표준 어휘 또는 부정 표준 어휘의 빈도에 따라 긍정 또는 부정으로 분류하고, 긍정적인 리뷰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들의 공감 개수가 많을수록 또는/또한 부정적인 리뷰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들의 비공감 개수가 많을수록 소비자 반응 수치가 높게 책정되고, 긍정적인 리뷰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들의 비공감 개수가 많을수록 또는/또한 부정적인 리뷰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들의 공감 개수가 많을수록 소비자 반응 수치가 낮게 책정되도록 소비자 반응 수치를 정의할 수 있다.
나아가,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소비자가 상품에 대해 매긴 평점(302)이 높을수록, 소비자가 상품에 대해 붙인 태그(304, 305)가 긍정적인 종류일수록,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가 해당 판매자에 대해 매긴 평점(310)이 높을수록, 또한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가 해당 판매자에 대해 호감 정보(311)를 표시하였을 경우에 소비자 반응 수치가 높게 책정되도록 소비자 반응 수치를 정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기 사진(301)의 존재 여부, 상품에 대한 평점(302), 후기에 대한 공감 및/또는 비공감 정보(303), 소비자가 자신의 후기에 대해 입력 또는 선택한 태그 정보(304, 305), 판매자 평점(310), 판매자 호감 표시(311) 등의 분석을 통한 소비자 반응 수치의 결정은 기준값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전술한 텍스트 외 다른 요소의 분석에 의한 분류 결과를 점수화하고, 합산된 점수를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에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소비자 반응 수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텍스트 기반의 분석에 의한 소비자 반응 수치와 전술한 다른 정보, 즉, 후기 사진(301)의 존재 여부, 상품에 대한 평점(302), 후기에 대한 공감 및/또는 비공감 정보(303), 소비자가 자신의 후기에 대해 입력 또는 선택한 태그 정보(304, 305), 판매자 평점(310), 판매자 호감 표시(311)의 분석에 의한 소비자 반응 수치를 합산하여 최종 소비자 반응 수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텍스트 및 전술한 다른 요소 각각에 의한 점수는 동등하게 합산될 수도 있으며, 또는 각각의 요소 별로 사전에 설정된 가중치를 곱한 값을 합산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이상의 과정에 의하여 결정된 보완요소 및/또는 관련 척도에 대한 정보를 판매자의 제1 사용자 장치(1)에 제공함으로써(S6), 판매자가 시제품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객관적으로 확인하고 이러한 소비자 반응을 개선하도록 시제품을 개량한 보완 상품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시제품에 대한 보완요소가 결정된 후 시제품에 대한 평가에 참여한 소비자들에게 소비자 반응정보를 업로드한 것에 대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S7). 예를 들어,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이 판매자로부터 수취하는 수수료의 일정 비율을 소비자에게 보상으로서 제공하거나, 또는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또는, 쇼핑몰 서버(4))을 통한 상품 구매에 관련된 적립금, 포인트, 할인, 빠른 배송 등을 소비자에게 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이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보상은 소비자가 시제품에 대해 보인 반응정보의 내용에 따라 그 유무 또는 수량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시제품에 대해 반응정보를 전송한 소비자 중에서 특히 단계(S5)에서 보완요소로 결정된 상품 특성에 관련된 반응을 보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의류 상품의 시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을 종합한 결과 "신축성"이 보완요소로 결정된 경우를 상정하면,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반응정보를 전송한 소비자 중에서 텍스트 분석 결과 "신축성"이라는 요소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 소비자를 선별하여 해당 소비자에게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
판매자가 보완 상품을 준비한 후 이에 대한 정보를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에 전송하면(S8),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시제품과 마찬가지로 보완 상품의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노출시키고 소비자들이 보완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컨대,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보완 상품의 정보를 쇼핑몰 서버(4)에 전송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쇼핑몰을 통하여 해당 상품의 정보를 열람하고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할 수 있다(S10).
일 실시예에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보완 상품을 소비자들이 구매 가능하도록 상품 정보를 노출시키기 전에, 보완 상품이 전술한 단계(S5)에서 결정된 보완요소 및 관련 척도에 대한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S9).
도 3에 도시된 예와 같은 의류 상품이 소비자들로부터 "신축성"이 좋지 않다는 반응을 다수 받은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신축성"을 해당 시제품에 대한 보완요소로 결정하고, 보완 제품에서 "신축성"이 만족하여야 하는 기준을 "신축성"이라는 보완요소에 대한 척도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척도는, "신축성"이라는 물리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특정 값 또는 값들로 정의되는 구간일 수도 있으며, 또는 "신축성" 분야에서 소비자들로부터 얻어야 하는 정량화된 소비자 반응 수치를 지칭하는 값일 수도 있다.
예컨대, "신축성"이라는 보완요소를 보완한 제품이 달성하여야 하는 척도는 물리적인 특성으로서 사전에 각 상품별로 전문가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판매자가 보완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때 이러한 특성을 증명하기 위한 증빙자료(예컨대, 시험성적서)를 요구하는 방식으로 보완 제품이 시제품의 보완요소를 개선한 것인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또는, "신축성"이라는 보완요소를 보완한 제품이 달성하여야 하는 척도는 소비자 반응 수치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보완 제품을 일반 소비자들에게 판매하기 전에 소수의 선별된 전문가들에게 사용해 보도록 하고 상기 전문가들로부터 반응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보완 제품을 일반 소비자들에게 판매하되 초기에 구매한 소비자들로부터 반응정보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보완 제품에 대한 반응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소비자 반응 수치로 정량화할 수 있다. 이때,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신축성"이라는 보완요소를 전문가 또는 소비자들이 반드시 평가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설문을 제공하여 이에 대한 응답으로 반응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상의 과정에 대한 검증 결과, 보완 제품이 "신축성"이라는 보완요소의 측면에서 시제품을 개선한 것으로 볼 수 없는 경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보완 제품의 판매용 등록을 거절하거나 또는 보완 제품의 진행 중인 판매를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완 제품이 "신축성"이라는 요소에 대하여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을 갖는 점에 대한 증빙 자료가 제출되지 않은 경우, 또는 보완 제품의 "신축성"에 대해 전문가 또는 초기 소비자들이 보인 반응을 평가한 결과 소비자 반응 수치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 미만일 경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3)은 보완 제품이 검증에 실패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품 기획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상품의 시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품정보 제공부;
    하나 이상의 소비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시제품에 대한 반응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반응정보 수집부;
    상기 상품의 카테고리 별로 소비자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표준 어휘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기준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표준 어휘를 이용하여 상기 반응정보를 정량화된 소비자 반응 수치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반응정보 분석부; 및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시제품을 보완할 상품의 보완요소 및 상기 보완요소에 관련된 척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상품 기획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준 어휘는 하나 이상의 긍정 표준 어휘 및 하나 이상의 부정 표준 어휘를 포함하며, 상기 긍정 표준 어휘 및 상기 부정 표준 어휘는 상기 상품의 카테고리별로 정의되고,
    상기 반응정보 분석부는,
    상기 반응정보에서 상기 긍정 표준 어휘 또는 상기 부정 표준 어휘 중 하나 이상의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정보를 긍정 또는 부정으로 분류하고,
    상기 반응정보의 후기 사진의 포함 여부 및 상기 반응정보에 대해 공감 또는 비공감으로 정의되는 사용자들의 공감 정보에 기초하여, 긍정으로 분류된 상기 반응정보에 상기 후기 사진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가 증가하며, 부정으로 분류된 상기 반응정보에 상기 후기 사진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가 감소하고, 긍정으로 분류된 상기 반응정보에 대해 공감 개수가 많을수록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가 증가하며, 긍정으로 분류된 상기 반응정보에 대해 비공감 개수가 많을수록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가 감소하고, 부정으로 분류된 상기 반응정보에 대해 비공감 개수가 많을수록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가 증가하며, 부정으로 분류된 상기 반응정보에 대해 공감 개수가 많을수록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가 감소하도록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상품 기획부는, 상기 부정 표준 어휘를 포함하는 상기 반응정보에서 미리 설정된 상품 속성을 지칭하는 단어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보완요소 및 상기 척도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반응정보를 전송한 상기 소비자에게 상기 반응정보의 제공에 대한 보상으로 수수료 또는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을 통한 상품 구매에 관련된 혜택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보상 결정부; 및
    상기 시제품의 판매자가 상기 보완요소 및 상기 보완요소에 관련된 척도를 수신한 후 상기 판매자로부터 보완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보완 상품에 대한 정보가 상기 보완요소 및 상기 보완요소에 관련된 척도를 이용하여 결정된 보완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도록 구성된 보완상품 검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상 결정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비자 중 상기 상품 기획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보완요소에 상응하는 상기 상품 속성과 관련하여 상기 부정 표준 어휘를 포함하는 상기 반응정보를 전송한 소비자에게 상기 수수료 또는 상기 상품 구매에 관련된 혜택을 제공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보완요소에 관련된 척도는, 상기 보완요소에 상응하는 물리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미리 설정된 값에 의해 정의되는 구간, 또는 상기 보완요소와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소비자 반응 수치의 기준값이고,
    상기 보완상품 검증부는, 상기 보완요소에 상응하는 상품 특성이 상기 미리 설정된 값에 의해 정의되는 구간에 속하는 것을 나타내는 자료가 상기 판매자로부터 수신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보완 상품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소비자의 반응정보가 상기 기준값 이상의 값을 달성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보완 상품이 상기 보완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에 상품의 카테고리 별로 소비자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표준 어휘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상품의 시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이 하나 이상의 소비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시제품에 대한 반응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표준 어휘를 이용하여 상기 반응정보를 정량화된 소비자 반응 수치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시제품을 보완할 상품의 보완요소 및 상기 보완요소에 관련된 척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표준 어휘는 하나 이상의 긍정 표준 어휘 및 하나 이상의 부정 표준 어휘를 포함하며, 상기 긍정 표준 어휘 및 상기 부정 표준 어휘는 상기 상품의 카테고리별로 정의되고,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반응정보에서 상기 긍정 표준 어휘 또는 상기 부정 표준 어휘 중 하나 이상의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반응정보를 긍정 또는 부정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반응정보의 후기 사진의 포함 여부 및 상기 반응정보에 대해 공감 또는 비공감으로 정의되는 사용자들의 공감 정보에 기초하여, 긍정으로 분류된 상기 반응정보에 상기 후기 사진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가 증가하며, 부정으로 분류된 상기 반응정보에 상기 후기 사진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가 감소하고, 긍정으로 분류된 상기 반응정보에 대해 공감 개수가 많을수록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가 증가하며, 긍정으로 분류된 상기 반응정보에 대해 비공감 개수가 많을수록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가 감소하고, 부정으로 분류된 상기 반응정보에 대해 비공감 개수가 많을수록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가 증가하며, 부정으로 분류된 상기 반응정보에 대해 공감 개수가 많을수록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가 감소하도록 상기 소비자 반응 수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완요소 및 상기 보완요소에 관련된 척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부정 표준 어휘를 포함하는 상기 반응정보에서 미리 설정된 상품 속성을 지칭하는 단어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보완요소 및 상기 척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반응정보를 전송한 상기 소비자에게 상기 반응정보의 제공에 대한 보상으로 수수료 또는 상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을 통한 상품 구매에 관련된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시제품의 판매자가 상기 보완요소 및 상기 보완요소에 관련된 척도를 수신한 후 상기 판매자로부터 보완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보완 상품에 대한 정보가 상기 보완요소 및 상기 보완요소에 관련된 척도를 이용하여 결정된 보완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비자 중 상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에 의해 결정된 상기 보완요소에 상응하는 상기 상품 속성과 관련하여 상기 부정 표준 어휘를 포함하는 상기 반응정보를 전송한 소비자에게 상기 수수료 또는 상기 상품 구매에 관련된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완요소에 관련된 척도는, 상기 보완요소에 상응하는 물리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미리 설정된 값에 의해 정의되는 구간, 또는 상기 보완요소와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소비자 반응 수치의 기준값이며,
    상기 보완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보완요소에 상응하는 상품 특성이 상기 미리 설정된 값에 의해 정의되는 구간에 속하는 것을 나타내는 자료가 상기 판매자로부터 수신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보완 상품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소비자의 반응정보가 상기 기준값 이상의 값을 달성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보완 상품이 상기 보완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기획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6항에 따른 상품 기획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96237A 2019-08-07 2019-08-07 소비자 반응을 이용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 이를 이용한 상품 기획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86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237A KR102086996B1 (ko) 2019-08-07 2019-08-07 소비자 반응을 이용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 이를 이용한 상품 기획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237A KR102086996B1 (ko) 2019-08-07 2019-08-07 소비자 반응을 이용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 이를 이용한 상품 기획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996B1 true KR102086996B1 (ko) 2020-05-29

Family

ID=70911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237A KR102086996B1 (ko) 2019-08-07 2019-08-07 소비자 반응을 이용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 이를 이용한 상품 기획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9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260A (ko) 2020-07-28 2022-02-04 박재원 공공 바우처 기반의 소비자 평가 조사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635204B1 (ko) 2023-10-17 2024-02-08 (주)화인인베스트 초기 제품에 대한 소비자 피드백 정보의 수집을 위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4277A (ko) * 2010-08-09 2012-02-1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상품평 극성 분류를 위한 특징별 서술어 긍정 및 부정 사전 자동 구축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05595A (ko) * 2011-03-09 2012-09-26 주식회사 이노케어시스템즈 네트워크 기반 제품 개발 방법
KR20180113797A (ko) * 2017-04-07 2018-10-17 김형욱 재고 및 반품이 최소화되는 온라인 오디션 쇼핑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90018369A (ko) 2017-08-14 2019-02-22 주식회사 카벤토리 상품기획서버를 이용한 상품 기획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4277A (ko) * 2010-08-09 2012-02-1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상품평 극성 분류를 위한 특징별 서술어 긍정 및 부정 사전 자동 구축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05595A (ko) * 2011-03-09 2012-09-26 주식회사 이노케어시스템즈 네트워크 기반 제품 개발 방법
KR20180113797A (ko) * 2017-04-07 2018-10-17 김형욱 재고 및 반품이 최소화되는 온라인 오디션 쇼핑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90018369A (ko) 2017-08-14 2019-02-22 주식회사 카벤토리 상품기획서버를 이용한 상품 기획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260A (ko) 2020-07-28 2022-02-04 박재원 공공 바우처 기반의 소비자 평가 조사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138852A (ko) 2020-07-28 2022-10-13 박재원 공공 바우처 기반의 소비자 평가 조사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635204B1 (ko) 2023-10-17 2024-02-08 (주)화인인베스트 초기 제품에 대한 소비자 피드백 정보의 수집을 위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9562B1 (en) Automatic identification of unreliable user ratings
US98524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social media sales
US20170236182A1 (e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a recommendation of a product or service based on inferring a 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a customer
Ram et al.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adop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of antecdants
US201100045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sales of item listings
US20140207592A1 (en) Real-Time Transaction Data Processing and Reporting Platform
WO20160531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data analysis and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US201500325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er Evaluation and Retention
US202002342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tity performance and risk scoring
US20160189173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edict attitudes of consumers
US20220180379A1 (en) Transaction-base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and article
CN101496058A (zh) 使用认知概念关系的独立于数据的相关性评估
JPWO2005024689A1 (ja) 消費者の購買行動分析方法及び装置
KR102084719B1 (ko)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86996B1 (ko) 소비자 반응을 이용한 브랜드 관리 플랫폼 시스템, 이를 이용한 상품 기획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2018139036A (ja) 分析装置
Gregg et al. Factors affecting the long-term survival of eBay ventures: a longitudinal study
Xiong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igital economy consumer online shopping behavior on market changes
KR20190056075A (ko)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평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Du et al. Automated fashion size normalization
WO20201505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tity performance and risk scoring
KR102499688B1 (ko) 빅데이터 기반의 이커머스 상품 판매 스토어 관리 서버 및 이의 상품평가정보 통합 제공 서비스 방법
US202201984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grammatic generation of survey queries
Dong Analysis on influencing factors of consumer trust in E-commerce marketing of green agricultural products based on big data analysis
Singh et al. Structural investigation of export assistance and performance of handloom exporters